KR100893533B1 -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 Google Patents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533B1
KR100893533B1 KR1020070062608A KR20070062608A KR100893533B1 KR 100893533 B1 KR100893533 B1 KR 100893533B1 KR 1020070062608 A KR1020070062608 A KR 1020070062608A KR 20070062608 A KR20070062608 A KR 20070062608A KR 100893533 B1 KR100893533 B1 KR 10089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s
linked
man
glc
mannopyranos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956A (ko
Inventor
박순영
박준덕
김정수
베이커 존
박준선
Original Assignee
박순영
박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영, 박준덕 filed Critical 박순영
Publication of KR2008000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KCCM KSSW01) 및 이의 자실체로부터 항암 효과를 갖는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분리 다당체 및 이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의 자실체인 금사상황버섯의 자실체 수용성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제 1단계의 추출물을 침전 및 여과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분획물로부터 컬럼을 이용하여 더욱 정제된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 3단계; 제 3단계의 정제된 분획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전물을 수득하는 제 4단계; 최종적으로 세파덱스 크로마토 그래피법을 수행하는 제 5단계의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 갖는 β-1,3 글루코만난 다당체를 분리할 수 있다.
금사상황버섯, β-1,3 글루코만난, 다당체, 항암, 면역, 분리방법

Description

신규 균주 및 이의 자실체로부터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 갖는 β-1,3 글루코만난을 분리하는 방법{A novel Phellinus strain and the method for isolating β-1,3 glucomannan therefrom showing immune enhancing activity and antitumor activity}
도 1은 세파로스 CL-6B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헥소스(hexose)의 양을 분획에 따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세파로스 CL-6B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글리칸의 크기별로 글루코스와 만노스 연결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금사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과 일반 재배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색상 차이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인체 시험시 총 백혈구 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인체 시험시 NK 세포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인체 시험시 NK 세포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인체 시험시 TNF-α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인체 시험시 IFN-γ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인체 시험시 IL-12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체중에 대한 비장의 무게 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체중에 대한 흉선의 무게 비를 나타낸 도이고,
도 12는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IL-2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13은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IL-6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14는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IL-12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15는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TNF-α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16은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IFN-γ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17은 마우스 시험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투여 후 NK 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KCCM KSSW01) 및 이의 자실체로부터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 갖는 β-1,3 글루코만난 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암활성이 있는 다당체는 고등식물, 곰팡이, 효모(yeast), 세균(bacteria) 등 천연자원에서 계속 분리되고 있다 (Takeda. T. et al., Chem . Pharm . Bull ., 17, pp.1910-1916, 1969 ; Kao. I., Kobayashi et al., Gann, 72, pp.517-523, 1981). 이 다당체들 중에서 담자균류의 항암활성이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으며(Chihara, Hanuram et al., Nature, 225, pp.943-944, 1970), 치아라(Chihara) 등은 표고버섯(Lenitnus edodes)의 자실체로부터 사코마(sarcoma) 180에 강력한 저지력을 지닌 고분자 β-1,3-글루칸(β-1,3-glucan)인 렌티난(lentinan)을 분리한 바 있다 (Chihara et al, Nature , 222: pp 687-678, 1969). 이들 담자균류의 항암성분들이 면역능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렌티난(lentinan)이 세포성 면역의 면역증강제(immumoaccelator)로 작용함과 동시에 T세포 보조제(T-cell adjuvant)로 작용함을 입증한 바 있다(Sasaki et al., Res ., 47, pp.99-104, 1976).
한편, 한국산 담자균류의 항암성분에 관한 연구는 김(Kim) 등에 의해 구름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등의 자실체의 열수 추출물이 사코마(sarcoma) 180에 강한 저지력이 있음이 밝혀졌고(Kim, B.K. et al., Sing . Arch. Pharm . Res ., 2, pp.145-149, 1979), 김 등은 상황버섯이 항암활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Kim, H.M., Int. J. Immunopharmacology, 18, pp.295-303 ; Han S.B. et al., Immunopharmacology, 41, pp.157-164, 1999).
본 발명자들은 이미 이전에 재배가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던 상황버섯 자실체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대량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강원 제 K-41호 공시균주 상황버섯 균사체를 1차적으로 액체 배양한 후, 이 액체 종균을 미리 준비하여 비닐 포트내 고체 배지에 2차 접종하여 상황버섯 자실체의 대량 배양하는 방법을 성공하여 특허 등록한 바가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0179725호).
그러나 상기한 문헌 및 연구 보고서 어디에도 본 발명의 신규 균주의 자실체인 금사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다당체의 항암효과에 대한 효과는 전혀 개시되거나 기재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신규 균주로 인공 재배된 금사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용성 추출물을 획득한 후 글리코실 연결 분석을 통한 β-1,3 글루코만난의 분리 방법을 제공하며, β-1,3 글루코만난의 암세포주에 대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KCCM KSSW01,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 금사상황버섯의 자실체로부터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 및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CM KSSW01의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신규 균주는 대한민국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 1동 유림빌딩 361-221에 위치한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2007년 3월 8일자로 기탁번호 KCCM KSSW01로 기탁되었으며, 서열번호 1의 DNA 서열로 표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균주의 자실체인 금사상황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신규 구조의 면역 증진 및 항암 활성을 갖는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 분획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 분획 다당체는 하기와 같은 분리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1. 먼저, 본 발명의 신규 균주의 자실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한국특허등록 제 0179725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신규 균주의 자실체인 금사상황버섯 자실체에 무게(㎏)의 약 2배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6배의 물을 가한 후 약 3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에서 3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6일 동안 추출하고 여과한 후 이를 투석하고 동결 건조하여 수용성 추출물을 수득하는 1단계;
2. 상기 수용성 추출물에 고체 황산암모늄을 가하여 혼합,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여과함으로서 정제 글리칸 분획물(여과물)을 수득하는 제 2 단계;
3. 이 분획물(여과물)에 탄산수소나트륨 시약을 가하고 컬럼을 이용하여 산 성 글리칸 분획만을 회수하는 제 3 단계;
4. 상기 산성 글리칸 분획물에 아세트산과 같은 약산을 가하여 pH를 4.0 내지 6.0으로 조정한 후,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전물을 얻는 제 4단계;
5. 최종적으로 글리칸을 크기별로 분획하기 위하여 액체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는 정제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황암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정제된 형태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 즉, 32-36 번째 분획물(이하, KMP-(a)라 명명함), 37-41 번째 분획물(이하, KMP-(b)라 명명함), 42-46 번째 분획물(이하, KMP-(c)라 명명함), 47-51 번째 분획물(이하, KMP-(d)라 명명함)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면역 증진 및 항암활성을 갖는 정제된 형태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 KMP-(a) 내지 KMP-(d)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 재배 상황버섯이나 기타 버섯류의 추출방법은 보통 70 내지 80℃에서 9 내지 24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되나, 본 발명의 금사상황버섯은 보통의 방법과는 달리 100 내지 130℃에서 3 내지 6일간 추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반 재배 상황버섯의 균사체 추출물과 본 발명의 금사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상면에 있어서 각각 황색 및 담갈색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이므로, 타 버섯의 균사체 추출물과 혼동을 예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공정으로부터 수득된, 정제된 형태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 체 KMP-(a) 내지 KMP-(d)는 각각 하기와 같은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A. KMP-(a)의 물리화학적 특성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얻어지는 32-36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340: 60: 471: 128)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1.39)이며;
(3) 하기 표 1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7.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4.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3.8
말단의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t-gal) 미량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2.0
2,3-연결된 자일로필노실 잔기들(2,3-xyl) 1.3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23.2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8.1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8.2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8.0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4.8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9.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4.5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3.4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9.6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잔기들(3,4,6-gal) 1.7
B. KMP-(b)의 물리화학적 특성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얻어지는 37-41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324: 63: 518: 95)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1.60)이며;
(3) 하기 표 2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0.7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5.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4.1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2.4
2,3-연결된 자일로피란실 잔기들(2,3-xyl0 1.3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22.0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4.0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2.3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5.0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4.3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9.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2.7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1.3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3.1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8.9
2,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6-gal) 1.1
3,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6-man) 0.5
3,4,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6-man) 0.6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4,6-gal) 1.1
C. KMP-(c)의 물리화학적 특성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얻어지는 42-46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231: 144: 570: 54)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2.47)이며;
(3) 하기 표 3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0.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5.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2.5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3.2
2,3-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2,3-xyl) 미량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14.0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4.5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1.4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5.9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3.4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8.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4.5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3.8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2.2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9.0
2,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6-gal) 2.4
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6-gal) 미량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4,6-gal) 3.7
2,3,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3,6-gal) 2.2
2,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6-Glc) 2.9
D. KMP-(d)의 물리화학적 특성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얻어지는 47-51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165: 125: 669: 42)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4.05)이며;
(3)하기 표 4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9.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12.8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2.8
4-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 미량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12.5
말단의 갈락토피라노실 잔기(t-gal) 3.7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3.5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6.0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6.4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3.7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13.6
3,4,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6-man) 5.2
본 발명은 상기 정제공정으로부터 얻어진 금사상황버섯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암질환은 복수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성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 질환, 바람직하게는 복수암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분획 다당체를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분획 다당체를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분획 다당체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획 다당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분획 다당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는 1일 0.0001 내지 1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분획 다당체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암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분획 다당체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화합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분획 다당체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실시예 1. 일반 상황버섯 균사체의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KCCM KSSW01)의 자실체인 금사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과 색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상황버섯 균사체 약 300g에 약 5배의 물을 가하여 8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고 잔사를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합쳐서 투석하고 동결 건조하여 하기 특성을 갖는 수용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 KCCM KSSW01 )
본 발명의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Phellinus linteus는 대한민국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 1동 유림빌딩 361-221에 위치한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2007년 3월 8일자로 기탁번호 KCCM KSSW01로 기탁되었으며, 이의 DNA 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다.
실시예 1. β -1,3 글루코 만난 분획 다당체의 제조
1-1. 인공 재배된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 KCCM KSSW01 ) 자실체의 추출물 제조
하기 단계에서 금사상황버섯 자실체는 금사상황버섯 농원에서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KCCM KSSW01)를 비닐포트 인공재배한 자실체를 사용하였다. 인공 재배된 금사상황버섯 자실체의 추출은 시료 약 500g에 5배의 물을 가하여 120℃에서 5일간 추출하여 여과하고 잔사를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합쳐서 투석하고 동결 건조하여 하기 특성을 갖는 수용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1a. 수용성 추출물의 탄수화물 분석
상기 실시예 1-1의 수용성 추출물을 드레이우드의 안스론 방법(Dreywood's Anthrone method, Morris, D. L., Science, 107, pp.254-255, 1948)에 의하여 총 탄수화물의 양을 분석해 본 결과 28% 정도를 차지했다. 모세관 전기영동법(Capillary electrophoresis)을 통하여 분석된 바에 의하면 주요 단당체로서 글루코스와 만노스의 비율이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7로 나타났다. 또한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락토스와 자일로스도 미량 검출되었다.
추출물내 (mg/g)
글루코스 198.9
만노스 54.0
동정된 갈락토스&자일로스 상대적으로 소량
총 탄수화물량 278
금사상황버섯 수용성 추출물의 구성 분석
글리코실 잔기 질량(㎍) 몰(mole)%1
아라비노스(Arabinose) 검출안됨
람노스(Rhamnose) 검출안됨
퓨코스(Fucose) 7.5 5.8
자일로스(Xylose) 8.4 7.1
글루쿠론 산(Glucuronic acid) 검출안됨
갈락튜론 산(Galacturonic acid) 검출안됨
3-O-메틸글루코스 3.1 2.2
만노스 33.2 23.5
갈락토스 10.9 7.7
글루코스 75.9 53.7
N-아세틸 갈락토사민(N-acetyl galactosamine) 검출안됨
N-아세틸 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검출안됨
N-아세틸 뉴라민 산(N-acetyl neuramic acid) 검출안됨
∑=139.0
1 :수치는 전체 탄수화물양에 대한 몰 퍼센트, 전체 탄수화물의 퍼센트는 전체질량의 46%
1-2. 수용성 추출물로부터 β -1,3 글루코만난 다당체 분획 정제 및 분리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수용성 추출물 10g를 물 1L을 넣어 섞어주었다. 상기 수용성 추출물에 630g의 고체 황산암모늄을 첨가하여 잘 섞은 후에 90% 포화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잘 혼합 상태로 4℃에서 하루 밤 동안 방치하고, 부유물을 낮은 진공 하에서 와트만 여과지(Whatman #54 paper)를 통해 여과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농축하고 색소들을 필터로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약 1500㎖의 상등액을 미니탄 초여과 시스템(Minitan ultrafiltration system)에 의해 농축/투석하였다. 20 lb/in 이하의 역 압력하의 5000MW 분자량한계를 갖는 필터로 여과한 후, 상등액을 무설페이트 상태(sulfate-free)로 그 용량이 약 200㎖로 줄어들 때까지 회수하였다. 2/100 부피에 해당하는 1M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비카보네이트(bicarbonate)하에서 0.02M 농도의 리텐테이트(retentate)로 만들어 이를 트리스아크릴 엠(Trisacryl M.)으로 충진한 50㎖ 충진 용량의 컬럼에 통과시켜 유출시켰다. 컬럼(3 x 50㎖)을 0.02M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세척한 세척물을 포함하여 컬럼을 통과한 컬럼 유출물을 회수하였다(이 조건에서 리텐테이트로부터 나온 대부분의 색소가 이 DEAE 컬럼과 결합되고 또한 산성 글리칸 (Acidic glycan)도 결합될 수 있음). 회수된 컬럼 유출물 약 350㎖에 1.0M 아세트산을 가하여 pH 5.0으로 조정한 후, 글리칸을 회수하기 위해서 4배 부피의 에탄올을 잘 저어 섞은 뒤, 4 ℃에서 하루 동안 보관한 후 원심분리(2000xg, 4℃, 20분)를 통하여 침전되어 정제된 글리칸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글리칸(총 탄수화물 0.9-1.0g, 글루코스/만노스= 2.30)을 50㎖의 물에 용해하여 -15℃에 저장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정제된 글리칸을 크기별로 분획하기 위하여, 0.2M 액체 아세트산을 용매로 이용하여 세파로스(Sepharose) CL-6B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더욱 정제된 형태의 순수한 β-1,3 글루코 만난 분리 다당체 KMP-(a) 내지 KMP-(d)를 분리하였다(도 1 내지 도 2 참조).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글리칸은 Vo와 Vt 간에 널리 펼쳐진 최고점(peak)에 솟아오른 것처럼 다분화성을(polydisperse) 나타내었다. 표준 덱스트란(dextrans)의 Kav v. log 분자량의 도표로부터, 수용성 글리칸의 평균분자량이 25 kDa로 나타났는데, 이는 즉 약 150 단당체 잔기들(monosaccharide residues)의 글리칸임을 나타낸다. 글리칸 피크(Glycan peak)를 통한 분획(분율, fraction)이 합쳐진 다음, 단당류들(monosaccharides)을 위한 가수분해 후 분석되었다.
도 2는 세파로스 CL-6B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금사상황버섯 수용성 추출물의 글리칸을 분획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다당체 분획에 대해 가장 고함량의 당, 글루코스, 만노스의 연결을 고려해 보면 글리칸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글리칸 연결 형태의 비율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연결된 글루코스의 증가분이 3,6-연결된 글루코스보다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지를 치는 정도의 감소가(KMP-(c) 및 KMP-(d)) 글리칸의 감소되는 정도의 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1-2a. 글리코실 구조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β-1,3 글루코 만난 다당체 분획 KMP-(a) 내지 KMP-(d)를 시료로 하여 DMSO에서 수산화나트륨과 메틸 요오드를 이용한 방법(Cinkanu and Kerek , Carbohydr., Res., 131, pp.209-217, 1984)으로 퍼메틸화하였다. 퍼메틸화는 중합체의 완성된 메틸화를 보조하기 위하여 두 번에 걸쳐 반복하였다. 시료의 정밀 검사 과정에 따라, 퍼메틸화된 시료를 2M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이용하여 121℃에서 봉해진 튜브 안에서 2시간동안 수산화 반응을 시킨 후, NaBD4로 환원하여,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아세틸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생긴 PMAAs(partially methylated alditol acetates)를 5970 MSD(mass selective detector, electron impact ionization mode)가 연결 된 휴렛 페커드(Hewlett Packard) 5890 GC 상에서 분석하였다. 분리과정은 실리카 모세 컬럼(30m Supelco 2330 bonded phase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에서 행하였으며 결과는 표 7 내지 표 10과 같다.
금사상황버섯 수용성 추출물로부터 글리코실 연결 분석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기 15.6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기 23.0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기 15.9
4-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기 14.6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기 1.8
3,4-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기 11.1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기 18.0
각 시료의 다당체 조성
시료 분획번호 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글루코스:만노스의 비율
KMP-(a) 32~36 340 60 471 128 1.39
KMP-(b) 37~41 324 63 518 95 1.60
KMP-(c) 42~46 231 144 570 54 2.47
KMP-(d) 47~51 165 125 669 42 4.05
단당류의 함유량은 탄수화물(carbohydrate)에 대한 g/㎎로 나타내었음.
KMP-(a) 및 KMP-(b)의 글리코실 연결 분석
시료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KMP-(a)(분획32 내지 분획36)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7.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4.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3.8
말단의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t-gal) 미량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2.0
2,3-연결된 자일로필노실 잔기들(2,3-xyl) 1.3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23.2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8.1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8.2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8.0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4.8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9.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4.5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3.4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9.6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잔기들(3,4,6-gal) 1.7
KMP-(b)(분획37 내지 분획41)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0.7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5.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4.1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2.4
2,3-연결된 자일로피란실 잔기들(2,3-xyl0 1.3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22.0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4.0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2.3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5.0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4.3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9.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2.7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1.3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3.1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8.9
2,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6-gal) 1.1
3,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6-man) 0.5
3,4,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6-man) 0.6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4,6-gal) 1.1
KMP-(c) 및 KMP-(d)의 글리코실 연결 분석
시료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KMP-(c)(분획42 내지 분획46)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0.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5.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2.5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3.2
2,3-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2,3-xyl) 미량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14.0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4.5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1.4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5.9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3.4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8.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4.5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3.8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2.2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9.0
2,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6-gal) 2.4
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6-gal) 미량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4,6-gal) 3.7
2,3,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3,6-gal) 2.2
2,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6-Glc) 2.9
KMP-(d)(분획47 내지 분획51)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9.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12.8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2.8
4-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 미량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12.5
말단의 갈락토피라노실 잔기(t-gal) 3.7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3.5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6.0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6.4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3.7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13.6
3,4,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6-man) 5.2
표 9 및 표 10의 시료는 복잡한 연결 크로마토그램을 만들어 낸다. KMP-(a)의 시료는 주로 3-만노스가 다른 연결 구조인 3-글루코스, 3,4-만노스, 3-갈락토스, 4-글루코스, 6-만노스로 연결된 구조이다. KMP-(b) 내지 KMP-(d)도 KMP-(a)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KMP-(a)는 가장 큰 글리칸 종을, KMP-(d)는 가장 작은 글리칸 종을 포함하고 있었다. 표 8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만노스와 글루코스의 비율이 글리칸의 평균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극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획화 되지 않은 상태의 추출물에서 얻어진 글리칸은 글루코스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존재하지만(glucose/mannose=2.3), 분획화 된 상태에서는 글루코스와 만노스가 풍부하였다. 적은 양을 구성하는 모노사카라이드(monosaccharide)중에서 3-O-메틸글루코스(3-O-methylglucose)를 수득하였으며 갈락토스와 만노스도 수득하였다.
글루코스 잔여물은 오직 C3와 C3, C6 사이만 연결되어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로 거의 동일한 비율로 존재하며 이런 사실로부터 글루칸은, 그 중심이 C1이 C3에 연결된 구조이고, 측면가지들은 글루코피라노스(glucopyranose)잔기의 절반가량이 C6을 통해 연결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글루칸은 측면가지가 매우 많은 구조라고 할 수 있고, 짧은 측쇄의 수는 그리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만노스 잔기에 연결된 주요 탄수화물은 C3과 C6이었다. 만노피라노실 체인은 가지가 쳐진 구조가 아니고, 2,3-연결된 만노스는 소량의 만노스가 2개 연결된 구조로만 존재한다. 1-3글루칸의 측쇄는 β(1-3) 이나 β(1-6)에 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임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글리칸의 평균 크기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글루코스 대 만노스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이러한 만노스 가지 길이의 감소로 간단히 설명된다. 또한 글루코만난의 β-만노시다제(β-mannosidase) 작용에 대한 감수성이나 β-1,3 글루카나제(β-1,3 glucanase)에 대한 감수성은 제시된 구조의 관점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었다. 치환되지 않은 만노스 사슬은 공격에 민감하고 치환된 글루칸 체인은 글루카나제가 통과하기 어려웠다. 글루코만난의 분자량은 대략 25 kDa로 나타났는데, 이는 즉 약 150 단당체 잔기로 이루어져있다. 글리칸은 다분화성이며 이형성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글리칸의 특성이 수용성임에도 불구하고(즉,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불규칙하며 유동성 구조), 염기-가용성 글리칸(alkali-soluble glycan)의 구조와 특성은 꽤 다른 점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참고예 2. 금사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의 인공 재배 준비
3-(4,5-디메틸티아졸-2-yl)-2,5-디페닐테트라졸브로마이드(MTT,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bromide), 트립신(trypsin), RPMI1640 배지는 시그마(Sigma)사에서 구입하였으며, 안티바이오틱스-안티마이코틱스(antibiotics-antimycotics), FBS는 디프코(Difco)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SNU-C4, A-549, P-388, L-1210, MA104 세포주는 서울대학교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참고예 3. 항암 동물 모델 준비
실험동물로 사용한 SPF ICR 생쥐는 대한동물(주)에서 분양 받아 경희대학교 청정실험동물시설(environmental safety cabinet, Myungjin model)에서 온도 22± 0.5℃, 습도 55± 5%, 배기 10∼20회/h, 형광등 명암 12h cycle, 조도 300∼500 lux의 환경으로 조절하여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사용하였다.
참고예 4. 일반 재배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과 금사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색상 비교
비교실시예 1 및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일반 재배 상황버섯 추출물 및 금사상황버섯 추출물의 색상을 비교한 결과,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신규 균주의 자실체인 금사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은 담갈색, 일반재배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황색을 나타내는 바, 혼동의 염려 없이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β -1,3 글루코만난 다당체의 시험관 내 세포독성 조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의 정상세포(MA-104)와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암세포주로는 SNU-C4, A-549, P-388, L-1210을 사용하였으며 10% FBS, 1% 안티바이오틱스-안티마이코틱스(antibiotics-antimycotics)와 2.2g/L 소디움 비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를 보강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SNU-C4, A-549는 0.25% 트립신(trypsin)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플라스크로부터 수집하고 세포수를 3× 104 (세포/웰)로 맞추어 96웰에 180㎕씩 분주하였다. 상기 세포주를 24시간 동안 37℃의 5% CO2가 포화된 CO2 배양기에서 안정화시켰다. P-388과 L-1210은 4× 104(세포/웰)이 되도록 세포수를 맞추어 180㎕씩 분주하여 2시간 동안 5% CO2가 포화된 CO2 배양기에서 안정화시켰다. 상기 세포에 10㎎/㎖이 되도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KMP-(a) 내지 KMP-(d): pool 1 내지 pool 4)의 농도를 맞추어 고압증기로 멸균한 검체를 각 웰 당 20㎕씩 가하여 시료의 최종농도가 1㎎/㎖이 되게 한 후 37℃의 5% CO2가 포화된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20㎎/㎖의 MTT시약을 각 웰 당 50㎕씩 가하여 4시간동안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에 DMSO 100㎕를 가하여 580nm에서 엘리자 리더(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약물로는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세포(MA-104)와 비교 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은 세포 독성이 아주 낮거나 거의 없었다.
시료 IC50
A549 SNU C4 L1210 P388 MA-104
KMP-(a) 0.5 >0.5 0.38 >0.5 >0.5
KMP-(b) 0.5 >0.5 0.33 >0.5 >0.5
KMP-(c) 0.5 >0.5 0.33 >0.5 >0.5
KMP-(d) 0.5 >0.5 0.3 >0.5 >0.5
아드리아마이신 >0.5 0.05 0.02 0.01 0.001 0.5
A549: 사람폐암세포, SNU C4: 사람결장암세포, L1210: 쥐의 임파성백혈병세포, P388: 쥐 림포성 네오플라즈마 세포, MA-104: 마카쿠스 레슈스(Macacus rhesus) 원숭이 신장 세포
실험예 2. β -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의 생체 내 항암활성 조사
생체 내에서 실시예 1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 KMP-(a) 및 KMP-(d)의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즉, 사코마(sarcoma) 180을 사용하여 마우스에 복수암과 고형암을 유발시킨 뒤, KMP-(a) 또는 KMP-(d)를 투여하여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복수암에 대한 KMP-(a) 또는 KMP-(d)의 항암활성 측정은 사코마(sarcoma) 180을 이식(2× 107 세포/㎖)한 생쥐에서 복수액을 취하여 생리식염수에 현탁하고 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한 다음 이를 2회 반복하여 세척하고 0.4% 트립판 블루(trypan blue)로 염색하여 2× 107 세포/㎖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상의 조작은 모두 4℃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제조한 사코마(sarcoma) 180을 ICR계 생쥐(웅성 25g) 40마리에 0.1㎖씩 복강투여하고 한 군을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었다. 사코마(sarcoma) 180의 대조군으로 1군에는 생리식염수를 복강내에 투여하였고, 2-1군에는 KMP-(a)을 kg당 100mg, 2-2군에는 KMP-(d)를 kg당 100mg, 3-1군에는 KMP-(a)을 kg당 10mg, 3-2군에는 KMP-(d)를 kg당 10mg을 사코마(sarcoma) 180을 이식한 날부터 7일 동안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의 10마리 마우스에는 사코마(sarcoma) 180을 투여하지 않고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하여 40일간 사육하면서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고형암에 대한 항암활성 측정은 복수암에 대한 항암활성 측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코마(sarcoma) 180을 제조하고 이를 ICR계 마우스 30마리에 0.1㎖씩 안와에 주사하여 이식하고 한 군을 10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1군에는 생리식염수, 2군에는 KMP-(a)을 마우스의 단위체중당 25mg을 사코마(sarcoma) 180을 이식한 날부터 7일 동안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의 10마리 마우스에는 사코마(sarcoma) 180을 투여하지 않고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하였고, 20일 동안 사육 후 도살하여 안와에 생긴 고형암세포를 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복수암을 유발시킨 경우 대조군에서는 모두 30일 이내에 사망했으며 생존기간은 16.4일 이였다. 그러나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KMP-(a) 및 KMP-(d)를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단위 체중당 10mg/kg에서 30% 이상의 생명연장효과가 있었고, 생존율이 20%를 나타냈다. 단위 체중당 100mg /kg을 투여한 경우는 50% 이상의 생명연장효과와 20%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사코마(sarcoma) 180으로 복수암을 유발시킨 ICR마우스에서 KMP-(a) 및 KMP-(d)의 항암활성
그룹 투여량(mg/kg 체중) 생존율(%) 생존기간(day)
대조군 0 100 -
그룹1* 0 0 16±4.7a
그룹2-1** 100 20 25±4.7b
그룹2-2 100 23 24±6.1b
그룹3-1** 10 20 22±3.0
그룹3-2 10 25 23±4.0
* : 사코마(sarcoma) 180 처리함, 그룹2-1 및 3-1: KMP-(a)을 투여, 그룹2-2 및 3-2: KMP-(d)투여, a : 평균±표준편차, b : 대조군대비 통계적 유의성(P<0.05)
또한 마우스에 고형암을 유발시킨 경우 표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암세포 투여 21일 후에 암세포의 무게가 3.6g이였으나 KMP-(a)을 투여한 경우 70%이상의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KMP-(a)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체 내 실험에서 암세포를 이식한 경우에는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
사코마(sarcoma) 180으로 고형암을 일으킨 ICR마우스에서 KMP-(a)의 항암활성
그룹 투여량(mg/kg 체중) 암세포 무게(g)
대조군 0 0
그룹 1* 0 3.6±1.80a
그룹 2** 25 1.1±1.20b
* : 사코마(sarcoma) 180 처리함, ** :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 KMP-(a)을 투여, a : 평균±표준편차, b :대조군 대비 통계적 유의성(p<0.05)
실험예 3.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을 1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4. 면역 증진 효과 확인 인체시험
4-1. 시험방법
본 시험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병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산 48번지, 한국)을 인체시험 실시 기관으로 하여 실시된 단일기관, 무작위, 위약대조(placebo), 비교 인체시험으로, 연구 대상은 일반인을 대상자로 20~75세 남성 및 임신 가능성이 없는 비수유부 여성이 선정되었으며, 각 군(본 발명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 투여군(이하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이라 명명함) 및 대조약 투여군)당 31명을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시험에 들어가기 전 2주간의 스크리닝 기간을 갖고 마지막 날에 환자가 시험의 대상 환자 요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였으며, 환자들은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 KMP-(b)를 8주간 하루 3캡슐씩 2회, 총 6캡슐(3.3g/일)또는 위약을 투여(시험기간 2005년 7월 1일 ~ 2005년 11월 30일)하였다.
본 인체시험은 단일기관 인체시험으로 진행되었으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병원에서 의약품 인체시험 관리기준(GCP)에 따라 이루어 졌고 병원에서의 피험자 등록 연구자와의 의견 교환 등을 포함한 시험의 전반적인 진행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주)솔로몬메디칼리서치가 모두 관련하였다.
4-2. 피험자의 투여 전 특성
피험자의 기초정보(성별, 연령, 흡연력 및 음주력), 과거병력 및 약물 복용력을 하기 표 14 내지 표 16에 나타내었으며, 대상자 중에서 인체시험 기간 동안 특정 질환이 발병한 경우는 없었고, 약물 복용력에서 양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은바(p>0.05), 피험자는 거의 동일한 조건을 가진 대상자였으며, 거의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에 행하여 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1명) 대조약 투여군(31명) 전체(62명) P-값a
피험자 수(%) 또는 평균 ± 표준편차
성별
남성 12(38.7) 7(22.6) 19(30.7) 0.2705
여성 19(61.3) 24(77.4) 43(69.3)
연령 41.4±9.4 40.4±10.1 40.9±9.7 0.7067
20대 이하 3(9.4) 4(12.5) 7(11.1) 0.944
30대 15(46.9) 12(38.7) 27(42.8)
40대 10(31.3) 11(35.5) 21(33.3)
50대 이상 4(12.5) 4(12.5) 8(12.7)
흡연력
없음 24(77.4) 25(80.65) 49(79.0) 0.8433
있음(이전에) 4(12.9) 3(9.68) 7(11.3)
있음(습관적) 3(9.7) 3(9.68) 6(9.7)
음주력
없음 17(58.9) 19(61.3) 36(58.0) 0.7051
주 2/1 이상 11(35.5) 9(29.0) 20(32.3)
주 2/1 초과 3(9.7) 3(9.7) 6(9.7)
a : x2-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 또는 t-test 결과임.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1명) 대조약 투여군 (31명) 전체 (62명)
피험자 수 (%)
위장관계 1(3.2) 1(3.2) 2(3.2)
호흡기계 2(6.4) 0(0.0) 2(3.2)
생식기계 1(3.2) 0(0.0) 1(1.6)
근골격계 0(0.0) 2(6.4) 2(3.2)
피부 및 부속계 2(6.4) 2(6.4) 4(6.4)
심혈관계 2(6.4) 1(3.2) 1(1.6)
기타 1(3.2) 0(0.0) 1(1.6)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1명) 대조약 투여군(31명) 전체 (62명)
피험자(%)
심혈관계 & 조혈기계 용제 2(6.4) 1(3.2) 3(4.8)
소화기계 및 간담도계 용제 2(6.4) 2(6.4) 4(6.4)
근-신경계 용제 2(6.4) 0(0.0) 2(3.2)
기타 제제 2(6.4) 1(3.2) 3(4.8)
항생제 2(6.4) 2(6.4) 4(6.4)
비타민 3(9.6) 5(16.1) 8(12.8)
4-3. 면역 증진효과 분석
유효성 자료는 PP(per protocol)분석법을 원칙으로 하였고, 본 발명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 (KMP-(b)) 투여군(이하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이라 명명함) 및 대조약(위약) 투여군에 하루 6캡슐씩 3.3g를 경구 투여하였을 때의 비특이적 면역기능 개선효과 즉, 총 백혈구의 수, NK 세포의 활성도(NK cell activity) 및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의 발현을 기준시기(0주)에 측정하고 시험 종료 시(8주)에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7 내지 표 22 및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총 백혈구 수의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0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 표준편차
0주 5500±950 5775±1326 0.347
4주 5545±1111 5142±1027 0.143
4주-0주 44.5±810 -590±1160 0.016
8주 5740±1430 5500±1155 0.473
8주-0주 243±1101 -239±1299 0.124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test 실시 결과
표 17 및 도 4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기준시기의 총 백혈구 수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이 대조약(위약) 투여군에 비해 평균치가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투약 8주째에는 금사상황버섯군 투약군의 백혈구 평균치가 더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면역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대상자의 NK 세포의 활성도(NK cell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표 18 및 도 5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은 48.35%(0주)에서 55.65%(8주)로 8주 동안 6.43%의 활성도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반면에 대조약 투여군에서는 활성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스튜던드 t-검정(Student's t-test)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한 결과 기준시기(0주)에 대조약 투여군과 전혀 차이가 없었던 NK 세포 활성도(p= 0.9346)는 투약 8주에는 p-값이 0.0002로서 유의하게 금사상황버섯 투약군의 NK 세포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준시기(0주)에 대한 투약 8주째의 변화도 금사상황버섯 투약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음이 확인되었다(p-값 0.0117).
NK 세포 활성도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0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 표준편차
0주 48.25± 10.31 48.45± 8.21 0.9346
8주 55.65± 6.39 48.17± 8.17 0.0002
8주-0주 6.43± 8.79 -0.28± 9.85 0.0117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test 실시 결과
표 19 및 도 6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총 NK세포수의 변화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 및 대조약 투여군의 경우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8주간의 투여가 총 NK세포의 수를 증가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NK 세포수의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0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 표준편차
0주 1.78± 0.40 1.65± 0.38 0.1909
8주 1.81± 0.56 1.77± 0.48 0.7197
8주-0주 0.03± 0.46 0.13± 0.47 0.2694
p-값b 0.9974 0.1265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test 실시 결과
b : 양 투여군 내 0주 대비 8주 검사치의 페어드 t-검정 실시
또한, 투여가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NF-α, INF-γ 및 IL-12를 대상으로 기준시기(0주)에 대한 투약 8주 후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양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20 내지 표 22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바와 같이 TNF-α의 경우 페어드 t-검정(paired t-test)을 이용하여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를 복용하기 전과 복용한 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TNF-α의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p=0.0573), INF-γ의 경우 페어드 t-검정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INF-γ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p=0.0001). IL-12의 경우도 금사상황버섯 투여군 및 대조약 투여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도 9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그 증가되는 정도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이 훨씬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NF-α 발현량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0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 표준편차
0주 183.98± 90.31 199.97± 210.65 0.7037
8주 296.76± 188.3 211.82± 127.68 0.2000
8주-0주 73.82± 184.81 35.84± 141.5 0.4224
p-값b 0.0573 0.2272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검증 실시 결과
b : 양 투여군 내 0주 대비 8주 검사치의 페어드 t-테스트를 실시
INF-γ 발현량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0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 표준편차
0주 9.53± 36.86 5.21± 22.59 0.5927
8주 20.69± 42.59 6.45± 12.48 0.0878
8주-0주 11.09± 23.02 1.46± 14.65 0.0633
p-값b 0.0001 0.1099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검정 실시 결과
b : 양 투여군 내 0주 대비 8주 검사치의 페어드 t-검정 실시
IL-12 발현량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0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 표준편차
0주 54.45± 122.23 52.83± 114.06 0.9586
8주 243.92± 264.94 163.37± 140.98 0.1486
8주-0주 172.22± 204.51 114.33± 118.58 0.1939
p-값b < 0.0001 < 0.0001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검정 실시 결과
b : 양 투여군 내 0주 대비 8주 검사치의 페어드 t-검정 실시
4-4. 안전성 분석
안전성 분석에서 이상반응은 ITT set을 대상으로 평가하였고, 실험실 검사 및 그 외의 항목에 대하여는 조사된 자료를 모두 이용하였다.
먼저, 기초생체지표의 변화는 시험식품을 투여하기 직전과 투여한 후 8주째 후의 변화량을 페어드 t-검정의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룹별 차이는 스튜던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표 2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금사상황버섯 투여군은 0.76Kg, 대조약 투여군은 0.5Kg의 유의한 체중증가를 보였으나, 그 차이에 대한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를 복용한 후의 혈압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생체지표 변화
금사상황버섯 투여군(31명) 대조약 투여군(30명) p-값a
평균±표준편차
체중
0주 60.84±9.24 59.38±8.31 0.5154
8주 61.38±8.83 60.04±8.45 0.5489
8주-0주 0.76±1.15 0.5±1.21 0.3990
p-값 0.0012 0.0313
수축기 혈압
0주 124.9±17.49 115.48±17.96 0.0407
8주 122.7±15.56 119.23±20.08 0.4579
8주-0주 -2.37±17.10 2.8±14.35 0.2102
p-값 0.4585 0.2941
이완기 혈압
0주 80±6.93 79.09±11.67 0.7128
8주 78.8±9.73 78.46±11.72 0.9051
8주-0주 -1.2±7.59 -1.27±7.20 0.9723
p-값 0.3936 0.3433
a : 금사상황버섯 투여군과 대조약 투여군에 대한 t-검정 실시 결과
b : 양 투여군 내 0 주 대비 8 주 검사치의 페어드 t-검정 실시
실험실 검사 결과는 투여군 내에서는 시험식품 투여 전(0주)과 투여 후(8주)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차이 값에 대하여 페어드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는 0주 대비 8주 변화량에 대한 스튜던트 t-검정을 실시하여 결과를 표 24에 나타내었다.
투여군 내의 변화를 보면, 일반혈액검사 결과인 헤모글로빈(Hemoglobin), 헤마토크릿(Hematocrit), 혈장(Platelet), 적혈구(RBC)와 생화학적 검사인 크레아티닌(creatinine), Na, K 등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수치상 대부분이 검사항목의 정상범위 내에서 변화하였고 모든 항목이 양쪽 그룹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므로 임상적으로는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며, 아마도 이것은 8주째 혈액 채취 당시(10월 말)의 기온이 기준시기(0주)에 비해 현저히 낮음으로 인해 전체 혈액 중의 혈장 부피가 상대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즉, 본원 발명의 금사상황버섯 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의 투여는 전혀 인체에 해가 없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실 검사 결과
금사상황버섯 투여군 대조약 투여군 p-값b
0주 8주 p-값a 0주 8주 p-값a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혈액 성분(Hematology)
헤모글로빈 (Hemoglobin) 13.4±01.92 13.08±1.94 0.0078 13.48±1.44 13.33±1.48 0.0653 0.5865
헤마토크릿 (Hematocrit) 40.82±5.11 39.35±5.50 0.0017 40.79±4.01 40.08±4.42 0.0623 0.3517
혈장(Platelet) 24.12±4.93 22.80±5.72 0.0247 25.00±3.55 23.74± 4.08 0.0205 0.8365
적혈구(RBC) 4.62±0.46 4.42±0.44 0.0001 4.47±0.43 4.39± 0.38 0.0254 0.4240
혈액의 화학적 분석(Blood Chemistry)
BUN 11.70±2.92 12.40±3.02 0.1585 11.47±2.30 12.22± 3.71 0.1652 0.8797
크레아티닌 (Creatinine) 0.97±0.15 0.90±0.17 0.0001 0.93±0.16 0.87± 0.13 0.0011 0.8213
Na (Sodium) 142.71±2.22 143.60±1.40 0.0650 142.03±1.92 144.19± 1.44 0.0001 0.1062
K (Potassium) 4.63±0.33 4.43±0.16 0.0084 4.65±0.30 4.44± 1.44 0.0037 0.8646
전체 빌리루린 (bilirubin) 0.80±0.23 0.77±0.22 0.4642 0.88±0.31 0.84± 0.27 0.1982 0.7374
SGOT (AST) 23.32±5.35 24.03±6.08 0.6639 20.93±6.60 22.59± 10.26 0.2024 0.5954
SGPT (ALT) 22.19±8.18 21.67±10.01 0.6523 1894±7.38 17.90± 11.27 0.4541 0.9025
요산(Uric acid) 4.55±1.38 4.79±1.31 0.1859 4.57±1.14 4.77± 1.11 0.1366 0.8266
콜레스테롤 (Cholesterol) 179.74±36.04 81.73±35.96 0.6287 186.72±29.93 191.00± 28.23 0.4308 0.7491
Gamma-GT 24.26±17.22 24.3±14.89 0.8045 30.18±66.11 32.77± 82.75 0.5336 0.5025
트리글리세라이드 (Triglyceride) 135.06±96.30 44.93±92.86 0.4505 166.78±128.60 58.26± 111.36 0.4278 0.2771
HDL-콜레스테롤 51.97±11.51 52.63±11.58 0.4689 54.00±10.55 57.6± 13.65 0.0162 0.1013
LDL-콜레스테롤 100.94±29.58 99.93±28.48 0.6190 103.13±23.12 103.42± 22.40 0.9327 0.8187
a : 양 투여군 내 0주 대비 8주 검사치의 페어드 t-검정을 실시
b : t-검정을 실시
인체시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의 투여가 총 백혈구 수치를 개선하고 NK 세포의 활성도(NK cell activity) 및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켜 비특이적 면역반응의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면역 증진 효과 확인 동물시험
모든 실험에 관한 유의성 검정은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 -test)을 사용하였다. 정상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P<0.05(*), P<0.01 (**)에 한하여 인정하였다. 면역 저하를 유도한 군(Dmab)에 대한 유의성은 P<0.05 (#), P<0.01 (##)로 나타내었다.
5-1. 실험 준비
암컷 6주령 BALB/c 마우스(15-18 g) 70마리를 ㈜ 코아텍에서 공급받아, 1주일 동안 적응시켰다. 시험군의 분류 및 구성은 시험 시료 별로 군당 8마리씩 난괴법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 당 평균 몸무게(6주령)는 약 15-18 g로 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 사료를 사용하였고, 하루 공급량은 300 g 씩 제한 급여하였다. 사료의 오염 물질 확인은 공급처에서 제공한 자료를 근거한 바 시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시험에 사용된 모든 개체에 대해 투여 후 1주일 동안은 매일 무게를 측정하였고, 투여 2주차, 3주차 기간에는 3회/주 로 측정하였으며, 사료는 매일 100 g를 각 사육 상자에 주어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한 후 전 날과의 g수의 변화를 개체수로 나누어 평균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물은 음수가 가능한 상수도수를 급여하였고 사료섭취량과 같은 방식으로 240 ml를 제한 급수하여 변화량을 개체수로 나누어서 평균 음수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시험은 온도 23± 3℃, 상대습도 50± 10%, 조명시간 12시간, 환기 횟수 10~20회/시간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된 동물실에서 사육하였으며, 실험자는 소독된 기구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기간 중 동물실의 온도 및 습도는 자동 온/습도 조절장치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환경 모니터링 결과 시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동은 없었다. 순화기간 및 시험기간 중에는 플라스틱제 사육 상자로 (200W x 260 L x 130 H mm)를 8마리/사육 상자로 수용하였다.
5-2. 시료의 투여 및 면역 활성 측정
본 발명의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의 면역 증강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상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양성 대조군으로 키토산 100 mg/kg을, 면역저하 유도 및 시험 물질 투여군에는 본 발명의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들 (KMP-(c))을 250, 500, 1,000 mg/kg의 용량으로 동일용량으로 경구 투여(이하, PL이라 명명함)하였다. 면역저하유도군은 다클리주마브(Daclizumab (Zenapax™, Roche) 2.0 mg/kg을 복강 주사하여 면역 저하를 유도하였으며, 하기에 투여군 및 투여 용량을 나타내었다.
군의 이름 마릿수 투여 시료 및 투여량 (mg/kg) 투여용량 (ml) 비고
CTL 8 생리식염수 0.2 정상대조군
PL500 8 KMP-(c) 500 0.2 시험물질투여군
Dmab 8 Daclizumab, 2.0 0.2 면역저하유도군
D+chito 8 Daclizumab, 2.0 + Chitosan 100 0.2 양성대조군
D+PL250 8 Daclizumab, 2.0 + KMP-(c) 250 0.2 면역저하유도 및 시험물질투여군
D+PL500 8 Daclizumab, 2.0 + KMP-(c) 500 0.2 면역저하유도 및 시험물질투여군
D+PL1,000 8 Daclizumab, 2.0 + KMP-(c) 1,000 0.2 면역저하유도 및 시험물질투여군
이하 KMP-(c) 500 mg/kg 투여군을 PL500로, 다클리주마브 2.0 mg/kg 주사군을 Dmab로, 다클리주마브 2.0 mg/kg 주사군 + 키토산 100 mg/kg 투여군을 D+chito로, 다클리주마브 2.0 mg/kg 주사군 + KMP-(c) 250 mg/kg 투여군을 D+PL250로, 다클리주마브 2.0 mg/kg 주사군 + KMP-(c) 500 mg/kg 투여군을 D+PL500로, 다클리주마브 2.0 mg/kg 주사군 + KMP-(c) 1,000 mg/kg 투여군을 D+PL1000로 명명한다.
3주간의 투여 기간 동안 매일 1회 이상씩 일반 증상의 변화 및 사망 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면역 저하를 유도하기 위해 다크리주마브(Daclizumab) 2mg/kg을 1회/주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0, 4, 7일에 총 3회가 투여되었으며, 정상군에는 생리식염수를 동일하게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KMP-(c)에 대한 예비 실험 결과 1,000 mg/kg 용량에서 효과를 나타냈으므로 이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250 mg/kg, 500 mg/kg, 1,000 mg/kg으로 설정하였다. 1일/1회 오전 10시에 투여하였으며, 정상대조군에는 살린(saline)을, 면역저하 유도 및 시험물질 투여군에는 동일량의 시험물질을 3주간 연속 경구투여 하였다.
혈액을 채취한 후 클린 벤치 내 무균 상태에서 비장과 흉선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3주간의 시험기간이 종료된 동물을 16시간 절식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시켜 개복한 후 1 ㎖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3,000 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분리한 혈청은 생화학적 분석전까지 -7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실험 결과, 시험 기간 동안 개체 간, 그룹간 마우스의 체중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에 대한 비장의 무게 비는 면역 저하를 유도한 군 (Dmab)에서 정상 대조군 (control)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으로써 Dmab에 의한 면역억제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도 10 참조, GP 500 mg/kg을 단독 투여한 군(PL500)은 정상대조군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 (D+Chito)은 Dmab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0.05), GP 투여군(D+PL250, D+PL500, D+PL1,000)은 Dmab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체중에 대한 흉선의 무게 비는 Dmab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으로써 Dmab에 의한 면역억제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도 11 참조). GP를 단독 투여한 PL500군은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Dmab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GP 투여군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5-3. 혈청 사이토카인 함량 측정
사이토카인 측정은 마우스에서 분리한 마우스 혈청을 이용하여 면역학적 키트(Enzyme-linked Immunosolbent assay kit, Pierce biotechnology, IL, USA)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5-3-1. IL-2 측정법
IL-2 측정은 ELISA 키트(EndogenR Mouse IL-2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IL, USA)를 이용하였다. 미리 IL-2에 대한 단일클론항체가 부착된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료와 표준 희석제(standard diluent)를 1:1로 희석하여 50 ㎕를 각 웰에 넣었다. 37℃에서 2시간 배양(incubation) 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5번 씻었다. 시약(Conjugate Reagent) 100㎕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 5번 세척하였다. TMB 기질 용액 100㎕을 첨가하여 30 분 동안 암소에서 보관하였다. 100㎕의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450 nm의 파장에서 ELISA 리더(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PL500군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mab군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양성대조군은 Dmab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GP 250 mg/kg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도 12 참조)
5-3-2. IL-6 측정법
IL-6 측정은 ELISA 키트(EndogenR Mouse IL-6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IL, USA)를 이용하였다. 미리 IL-6에 대한 단일클론항체가 부착된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료와 표준 희석제를 1:1로 희석하여 50 ㎕를 각 웰에 넣어 20-25℃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50 ㎕ 시약(Biotinylated Antibody Reagent)을 첨가하여 20-25℃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씻었다. 100 ㎕ 스트렙타비딘-HPR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상온에 둔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씻었다. 100 ㎕ TMB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30 분 동안 암소에서 보관한 후, 100 ㎕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450nm의 파장에서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PL500군은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Dmab군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Dmab군에 비해 양성대조군은 유의성 있게 통계적으로 증가하였다 (P<0.01). D+PL250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D+PL500, D+PL1,000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13 참조).
5-3-3. IL-12 측정법
IL-12 측정은 ELISA 키트(EndogenR Mouse IL-12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IL, USA)를 이용하였다. 미리 IL-12에 대한 단일클론항체가 부착된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료와 표준 희석액을 1:1로 희석하여 50 ㎕를 각 웰에 넣어, 20-25℃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씻었다. 100 ㎕ 시약(Biotinylated Antibody Reagent)을 첨가하여, 20-25℃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씻었다. 100 ㎕ 스트렙타비딘-HRP 용액을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상온에 둔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씻고, 100 ㎕ TMB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30 분 동안 암소에서 보관한 후, 100 ㎕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450 nm의 파장에서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대조군과 면역 저하 유도군, 양성대조군, 모든 시험 물질 투여군을 비교한 결과 사이토카인 분비량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도 14 참조).
5-3-4. TNF-α 측정
TNF-α, ELISA 키트(EndogenR Mouse TNF-α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Inc. USA)를 이용하였다. 미리 TNF-α에 대한 단일클론항체가 부착된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료와 표준 희석제를 1:1로 희석하여 50 ㎕를 각 웰에 넣어 20-25℃에서 2시간 배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5번 씻었다. 50 ㎕ 시약(Biotinylated Antibody Reagent)을 첨가하여, 20-25℃에서 2시간 배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5번 세척하였다. 100 ㎕ 스트렙타비딘-HRP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상온에 둔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세척하였다. 100 ㎕ TMB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암소에서 보관한 후, 100 ㎕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450 nm의 파장에서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PL500군은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Damb군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도 15 참조). 양성대조군은 Dmab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PL500, D+PL1,000군은 Damb군과 양성대조군에 비해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5-3-5. IFN-γ 측정법
IFN-γ측정은 ELISA 키트(EndogenR Mouse IFN-γ ELISA Kit, Pierce Biotechnology Inc. USA)를 이용하였다. 미리 IFN-γ에 대한 단일클론항체가 부착된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료와 표준 희석제를 1:1로 희석하여 50 ㎕를 각 웰에 넣어 20-25℃에서 2시간 배양한 후, 50 ㎕ 시약(Biotinylated Antibody Reagent)을 첨가하였다. 20-25℃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세척하였다. 100 ㎕ 스트렙타비딘-HRP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상온에 둔 후 세척 완충액으로 3번 씻었다. 100 ㎕ TMB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암소에서 보관한 후, 100 ㎕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450 nm의 파장에서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PL500군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0.05), Dmab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성대조군 D+Chito 투여군과 GP 250, 500, 1,000 mg/kg 투여군에서 Dmab군에 비해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1, 도 16 참조).
5-4. NK 세포 활성 측정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비장에서 NK 세포를 분리하여 2시간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NK 세포와 타겟 세포(target cell)인 마우스 림프종(mouse lymphoma) Yac-1 세포를 적절한 비율로 함께 분주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MTT 에세이를 실시하여 세포 사멸 정도를 확인하여 면역 증강 여부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마우스 NK 세포 활성도는 Dmab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활성이 감소함을 보여 주어 Dmab에 의한 면역억제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0.01, 도 17 참조) GP를 단독 투여한 PL 500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NK 세포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Dmab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GP 투여군 역시 유의적으로 NK 세포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GP 투여군에 있어서의 NK 세포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GP의 투여가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NK 세포 활성 증가를 통해 체내 면역력을 증강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험으로, 금사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는 마우스의 세포성 면역 기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β-1,3 글루코만난 분획 다당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a)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b)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c)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d)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a)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식품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b)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a)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 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분획 다당체, 금사상황버섯의 자실체로부터 β-1,3 글루코만난(β-1,3 glucomannan) 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 및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10> PARK, Soon Young PARK, Jun Deok <120> A novel Phellinus strain and the method for isolating beta-1,3 glucomannan thereform showing immune enhancing activity and antitumor activity <130> DIF/070318_MR <150> KR10-2006-0067748 <151> 2006-07-20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97 <212> DNA <213> Phellinus linteus KSSW01 <400> 1 gtaggtgaac ctgcggaagg atcattatcg agttttgaaa gcgagacctg ctgctggtgc 60 gaaatcgcgc atgtgcacgg tcttcgcgct caaatccaac tcaaacccct gtgcacctta 120 tatatcgcga gtcgaagtta gtagcctgag gtcttgtaag taattagtag aagggcgaaa 180 gcgagtcttg ctcgttaggt agcctttcga aaatgaaagc gagtgcgtcg ggtgaagact 240 tcggcttgtc gttacaaaac accttatatt gtctttgtra atgtaatgct ccttgtgggc 300 gaaaataaat acaactttca acaacggatc tcttggctct cgcatcgatg aagaacgcag 360 cgaaatgcga taagtaatgt gaattgcaga attcagtgaa tcatcgaatc tttgaacgca 420 ccttgcgccc cttggtattc cgaggggcat gcctgtttga gtgtcatgtt tatctcaaac 480 cgctcgtctt tcttaattga agggcttgag gtttggactt ggaggtttac tgctggcgcc 540 tttcgagggg tcggctcctc ttaaatacat tagctgggct ttggctcgcg tttacggtgt 600 aatagttgat tccattcacc aacgagcgct tgcctgacga gcttgcttct agccgtccgc 660 gtcgtcggac aaggagtcac ctccttcttg acacctt 697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서열번호 1의 DNA 서열을 갖는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기탁번호 KCCM KSSW01)으로부터 분리되는 하기 특성을 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a);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32-36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340: 60: 471: 128)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1.39)이며;
    (3) 하기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갖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7.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4.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3.8 말단의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t-gal) 미량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2.0 2,3-연결된 자일로필노실 잔기들(2,3-xyl) 1.3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23.2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8.1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8.2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8.0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4.8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9.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4.5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3.4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9.6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잔기들(3,4,6-gal) 1.7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서열번호 1의 DNA 서열을 갖는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기탁번호 KCCM KSSW01)으로부터 분리되는 하기 특성을 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b);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37-41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324: 63: 518: 95)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1.60)이며;
    (3) 하기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갖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0.7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5.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4.1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2.4 2,3-연결된 자일로피란실 잔기들(2,3-xyl0 1.3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22.0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4.0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2.3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5.0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4.3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9.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2.7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1.3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3.1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8.9 2,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6-gal) 1.1 3,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6-man) 0.5 3,4,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6-man) 0.6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4,6-gal) 1.1
  15. 서열번호 1의 DNA 서열을 갖는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기탁번호 KCCM KSSW01)으로부터 분리되는 하기 특성을 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c);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42-46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231: 144: 570: 54)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2.47)이며;
    (3) 하기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갖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0.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5.0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2.5 4-연결된&2-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2-xyl) 3.2 2,3-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2,3-xyl) 미량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14.0 3-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gal) 4.5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1.4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5.9 2,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man) 3.4 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man) 8.6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4.5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3.8 2,3,4-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2,3,4-man) 2.2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9.0 2,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6-gal) 2.4 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6-gal) 미량 3,4,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3,4,6-gal) 3.7 2,3,6-연결된 갈락토피라노실 잔기들(2,3,6-gal) 2.2 2,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6-Glc) 2.9
  16. 서열번호 1의 DNA 서열을 갖는 신규 펠리누스 속 균주 (기탁번호 KCCM KSSW01)으로부터 분리되는 하기 특성을 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KMP-(d);
    (1)세파덱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47-51 번째 분획물;
    (2)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중량 조성비(=165: 125: 669: 42)이고, 글루코스/만노스 중량 비율(=4.05)이며;
    (3)하기의 글리코실 연결형태 분석 결과를 갖는 다당체:
    글리코실 잔기 함량(중량%) 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glc) 19.8 말단의 만노피라노실 잔기(t-man) 12.8 말단의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t-xyl) 2.8 4-연결된 자일로피라노실 잔기들(4-xyl) 미량 3-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man) 12.5 말단의 갈락토피라노실 잔기(t-gal) 3.7 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6-man) 13.5 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4-Glc) 6.0 3,4-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4-Glc) 6.4 2,3-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2,3-Glc) 3.7 3,6-연결된 글루코피라노실 잔기(3,6-Glc) 13.6 3,4,6-연결된 만노피라노실 잔기들(3,4,6-man) 5.2
  17. 제 4항,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형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18. 제 4항,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β-1,3 글루코만난 분리 다당체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형암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62608A 2006-07-20 2007-06-26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KR100893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7748 2006-07-20
KR1020060067748 2006-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956A KR20080008956A (ko) 2008-01-24
KR100893533B1 true KR100893533B1 (ko) 2009-04-17

Family

ID=3922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608A KR100893533B1 (ko) 2006-07-20 2007-06-26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9008A (zh) * 2019-12-13 2020-04-1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抗炎活性桑黄多糖shp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2558B (zh) * 2022-04-06 2023-09-15 四川奥邦投资有限公司 一种新型葡甘杂聚糖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206A (ja) * 1997-08-29 1999-03-26 Hitoshi Ito ヒメマツタケ培養物から分離されるグルコマンナン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
KR20050038603A (ko) * 2005-03-08 2005-04-27 충북 상황버섯 영농조합법인 상황, 천마, 상옆의 추출물 및 분말이 들어간 면류, 수제비, 만두피, 떡, 과자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206A (ja) * 1997-08-29 1999-03-26 Hitoshi Ito ヒメマツタケ培養物から分離されるグルコマンナン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
KR20050038603A (ko) * 2005-03-08 2005-04-27 충북 상황버섯 영농조합법인 상황, 천마, 상옆의 추출물 및 분말이 들어간 면류, 수제비, 만두피, 떡, 과자류 및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Microbiol Biotechnol 2002, 60, 258~27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9008A (zh) * 2019-12-13 2020-04-1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抗炎活性桑黄多糖shp及其制备方法
CN111019008B (zh) * 2019-12-13 2022-04-05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抗炎活性桑黄多糖shp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956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 novel polysaccharide from Ficus carica
Bandara et al. Polyporus umbellatus, an edible-medicinal cultivated mushroom with multiple developed health-care products as food, medicine and cosmetics: a review
KR100930580B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6094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SG174110A1 (en) New ganoderma tsugae var. jannieae strain tay-i and biologically active biomass and extracts therefrom
US20070027069A1 (en) Glucan-protein complex extracted from grifola (Maitake)
KR20180090198A (ko)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Thatoi et al. Prebiotics and their production from unconventional raw materials (Mushrooms)
KR100676869B1 (ko)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KR100893533B1 (ko)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SG174111A1 (en) NOVEL ß-GLUCANS ISOLATED FROM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 GANODERMA TSUGAE VAR. JANNIEAE
KR101561648B1 (ko) 감귤류 가공부산물 유래의 면역활성 다당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N105192820A (zh) 一种降血脂蛹虫草多糖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5009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0428B1 (ko) 기능성 한방 팽이버섯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19311A (ko) 면역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조제한 인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활성용 조성물
KR101345734B1 (ko) 참송이 버섯 유래 변성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항암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
KR101986174B1 (ko)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KR20050100718A (ko)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득한 베타글루칸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101068699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80090197A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90086961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40702B1 (ko)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