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410B1 -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410B1
KR100708410B1 KR1020050024711A KR20050024711A KR100708410B1 KR 100708410 B1 KR100708410 B1 KR 100708410B1 KR 1020050024711 A KR1020050024711 A KR 1020050024711A KR 20050024711 A KR20050024711 A KR 20050024711A KR 100708410 B1 KR100708410 B1 KR 10070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receiving
main body
displace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714A (ko
Inventor
교이치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방송 등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가 다중화된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 가능한 휴대전화 등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가 다중화된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면 그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할 시에는 표시부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20)가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21)의 위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아래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며, 수용부(20)가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21) 전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그 영상데이터의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PU, OFDM복조부, 영상복호부, 음성복호부, 스위치부, 표시드라이버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변위상태와 표시화면의 관계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표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본체로부터 여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도 3b 및 3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수용부를 연 후에 회전 운동하여 표시부를 노출하여 닫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동작을 나타내는 CPU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6은 도 5에 계속되는 CPU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7은 도 6에 계속되는 CPU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8은 CPU의 착신검지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CPU 2: ROM
3: RAM 4: RF블록
5: 튜너 6: OFDM복조부
7: 영상복호부 8: 음성복호부
9: 스위치부 10: VRAM
11: 기구부 12: 표시드라이버
13: 마이크 14: 스피커
15: 이어폰 20: 수용부
21: 표시부 30: 힌지부
40: 본체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방송 등의 텔레비전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전화 등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전화나 메일의 송수신의 기능 외에,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소자, CCD 등의 촬상소자, 화상메모리를 내장한 디지털카메라의 기능을 새롭게 부가한 제품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프린트기판 그 외의 배선기술의 향상에 의해서, 전자부품이나 키 스위치 등을 내장하는 본체와, 표시부인 LCD(액정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수용부(덮개부)가 힌지부로 결합되고, 본체와 LCD수용부를 개폐하는 접이형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개2003-319043호 공보에는 접이형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조작부를 갖는 하측유닛과, 표시부를 갖는 상측유닛과, 하측유닛과 상측유닛을 개폐 자유롭게 결합하는 힌지부를 갖는 접이형 휴대전화기가 개시되어 있고, 상측유닛은 표시부유닛과, 지지부유닛과, 회전/슬라이드기구를 갖고 있다. 표시부유닛은 표시부를 설치하는 표시면을 갖는다. 표시부유닛에 배치된 한쌍의 정면카메라부는 표시부가 세로로 긴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의 상하에 위치하고, 표시부유닛을 회전/슬라이드함으로써 표시부가 가로로 긴 상태로 된 경우에는 표시부의 좌우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장치를 세로로 길게, 또는 가로로 길게 자유롭게 변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 3D(3차원)화상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 및 표시부유닛의 한쌍의 카메라를 텔레비전전화사용 시에는 전화 상대방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하여 좌우의 표정의 차이를 때와 경우에 따라 구별하여 쓸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구성에 있어서는 표시부유닛의 변위상태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 대하여 표시면의 어떤 코너로부터 개시하는지를 설정할 뿐이며, 표시화상의 종횡의 사이즈가 지정된 화상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즉, 표시부유닛의 변위상태에 따라서는 같은 풍경을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화상의 종횡의 사이즈는 전혀 다른 것으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일본국 내에 있어서 2003년 12월부터 일부의 지역에서 방송이 개시된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제품화하는 경우에는 표시부 를 세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와 가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로 표시화상의 종횡의 사이즈가 다른 표시는 허용되지 않는다.
발명의 과제는 영상데이터의 표시화상의 종횡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하여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화상을 정상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지상파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에 다중화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여 영상정보를 주체로서 보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문자정보를 주체로서 보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보다 보기 쉬운 텔레비전화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가 다중화된 텔레비전방송을 수신하는 동시에,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표시체에 표시할 수 있고, 이 표시체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를 조작에 따라서 제 1 변위상태 또는 제 2 변위상태로 설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갖는다. 그리고 이 수용부가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체 일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표시체의 다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또 수용부가 제 2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체 전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영상데이터의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휴대전화를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에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방송영상과 문자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휴대전화는 표시부인 LCD(액정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수용부(덮개부)(20)가 서로 직교하는 2축구조의 힌지부(30)에 의해서 CPU 그 외의 IC 등의 전자부품이나 키 스위치를 수용하는 본체(40)와 결합되어 있다. 2축구조의 힌지부(30)는 예를 들면 완구나 그 외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구조로, 휴대전화에 있어서도 점차 이용되어 오고 있는데, 특별히 새로운 기술은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부(20)와 본체(40)는 힌지부(30)의 한쪽의 축(도 1a의 X축)을 중심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쪽의 축(도 1a의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a는 수용부(20)가 열려져서 표시부(21)가 노출된 상태이다. 도 1b는 도 1a의 상태로부터 수용부(20)가 회전 운동되고, 표시부(21)가 노출된 상태에서 수용부(20)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2a∼도 2c 및 도 3a∼도 3c에 의거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지는 휴대전화의 수용부(20)의 변위상태와 표시부(21)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a∼도 2c는 휴대전화의 표시부(21)를 수용하는 수용부(20)를 본체(40)로부터 여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도 3c는 수용부(20)를 연 후에 회전 운동하여 표시부(21)를 노출하여 닫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용부(20)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1)는 본체(40)에 대면하여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표시부(21)는 가려져 있기 때문에 화면을 볼 수는 없다. 이 상태에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20)를 열어가면, 도 2c와 같은 변위상태로 되고,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1)가 보이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본체(40)의 문자입력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작성한 메일을 표시부(21)에 표시하여 송신스위치의 조작으로 송신하거나, 수신한 메일을 표시부(21)에 표시하여 보존스위치나 삭제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그 메일의 보존이나 삭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에 수용부(20)를 회전 운동시켜서 수용부(20)의 좌우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닫으면,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위상태로 되고, 표시부(21)가 노출된 상태(좌우를 역으로 한 상태)에서 수용부(20)를 닫을 수 있다. 즉, 도 1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의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CPU(1)는 베이스밴드신호처리의 DSP(디지털·시그널·프로세서)를 내장한 원칩IC로 구성되어 있다. CPU(1)의 시스템버스에는 ROM(2), RAM(3), RF블록(4), 튜너(5), OFDM(직교주파수분할다중)복조부(6), 영상복호부(7), 음성복호부(8), 스위치부(9)가 접속되어 있다. 또 CPU(1)의 포트에는 VRAM(비디오RAM)(10) 및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힌지부(30) 및 변위센서나 전원제어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기구부(11)가 접속되어 있다. 변위센서는 도 2a의 상태, 도 2c 즉 도 1a의 상태, 도 3c 즉 도 1b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변위센서로서는 몇 개인가의 구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개 2003-319043호 공보와 같이, 마그넷과 자기센서를 이용한 구성이어도 좋고,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의 조합에 의한 근접스위치를 이용한 구성이어도 좋으며, 기계적인 기계스위치를 이용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져 있는 튜너(5), OFDM복조부(6), 영상복호부(7) 및 음성복호부(8)는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영상·음성신호를 받아들이는 텔레비전수상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텔레비전수상부의 전원은 휴대전화의 회로의 전원과는 독립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CPU(1)에는 표시드라이버(12)를 통하여 표시부(21)가 접속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는 상기한 바와 같이 CPU(1) 등의 전자부품이나 스위치부(9)를 수용하는 본체(도 1a, 도 1b 및 도 2a∼도 2c의 본체(40))와, 표시부(21)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도 1a, 도 1b 및 도 2a∼도 2c의 수용부(20))가 기구부(11)의 힌지부(30) 즉 접이기구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나 수용부에는 마이크(13), 스피커(14), 이어폰(15)이 설치되고,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CPU(1)에 접속되어 있다.
ROM(2)에는 다른 휴대전화와 통화나 메일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수신처리나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처리 및 음성처리 등의 신호처리의 프로그램, 이니셜라이즈에 있어서의 디폴트값 등이 격납되어 있다. RAM(3)은 CPU(1)의 작업영역이고, CPU(1)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스토어하는 버퍼영역, 각종 레지스터나 플래그 등의 영역, 송신하는 메일을 스토어하는 영역, 수신한 메일을 스토어하는 영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RF블록(4)은 전화통신망과의 사이에서 전화나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 소로서 무선송수신부, 무선신호처리부, 음성신호처리부 등(어느 쪽이든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튜너(5)는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하여 고주파 증폭 등의 신호처리를 실시한다. OFDM복조부(6)는 튜너(5)로부터 얻어지는 OFDM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영상 및 음성의 부호화데이터를 출력한다. 영상복호부(7)는 OFDM복조부(6)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지털영상데이터를 CPU(1)에 출력한다. CPU(1)는 텔레비전수상부로부터 얻어지는 디지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드라이버(12)를 통하여 표시부(21)에 출력하여 텔레비전화상을 표시한다. 또 음성복호부(8)는 OFDM복조부(6)로부터 출력된 음성의 부호화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지털음성신호를 CPU(1)에 출력한다. CPU(1)는 그 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4) 또는 이어폰(15)에 출력하여 텔레비전음성을 발생한다. 또 CPU(1)는 RF블록(4)이 착신을 검지한 때는 스피커(14)에 의해서 호출통지를 실시한다.
스위치부(9)는 휴대전화를 위한 오프훅(off-hook)스위치, 온훅(on-hook)스위치, 발신스위치, 커서스위치, 실행스위치, 클리어스위치, 숫자스위치 등의 키 스위치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개의 스위치가 텔레비전스위치와 겸용되어 있다. 마이크(13)는 통화처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CPU(1)에 입력한다. VRAM(10)은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1프레임의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스토어하는 영역(a)과, 실제로 표시부(21)에 표시하는 1프레임의 데이터를 스토어하는 영역(b)을 갖는 메모리이며, CPU(1)는 영역(a)의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 리를 실시하여 영역(b)에 스토어한다. 이 화상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RAM(3)에 VRAM(10)의 기능을 갖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 휴대전화에 있어서의 전화 및 메일의 송수신의 동작 및 지상파 디지털방송으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의 처리에 대하여 CPU(1)에 의하여 실행되는 도 5 내지 도 8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CPU(1)의 메인루틴의 흐름도이다. 휴대전화의 덮개부가 열려져 전원스위치가 ON되었을 때는 소정의 이니셜라이즈를 실시하여(스텝SA1) 표시부(21)에 대기화면의 화상을 표시한다(스텝SA2). 다음으로 오프훅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3), 이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는 전화번호입력화면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스텝SA4). 그리고 스위치부(9)의 조작에 의해서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는 번호입력처리를 실시하여(스텝SA5) 전화망에 대하여 발신한다(스텝SA6). 또 스피커(14)에 의해서 호출통지를 실시한다(스텝SA7). 이 호출통지의 사이에 발신에 응답하여 피호출측과의 사이에 회선접속이 확립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8), 회선접속이 확립했을 때는 통화처리로 천이하여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SA9).
통화처리에 있어서는 온훅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10), 이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는 회선절단 등의 통화종료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11). 통화종료처리의 후는 스텝SA2로 이행하여 재차 대기화면의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 스텝SA3에 있어서, 오프훅스위치가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 텔레비전스위치가 ON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 SA12), 이 스위치가 ON되었을 때는 텔레비전수상부의 전원을 ON으로 하여(스텝SA13) 텔레비전수상부로부터의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방송데이터를 로드하여 VRAM(10)의 영역(a)에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프레임의 방송데이터를 스토어한다(스텝SA14). 그리고 방송데이터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14)에 출력하고(스텝SA15), 방송데이터로부터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를 분리한다(스텝SA16).
다음으로 현재의 표시형태가 세로인지 가로인지를 변위센서에 의해서 검출하여(스텝SA17) 검출결과를 표시형태의 플래그로 설정한다. 표시형태가 세로인 경우에는 VRAM(10)에 있어서의 화상전개를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화면이 되도록 화상처리한다. 즉 영상데이터를 표시부(21)의 일부의 표시영역인 위절반의 영상영역(22)에 출력하고(스텝SA18), 텍스트데이터를 표시부(21)의 아래절반의 텍스트영역에 출력한다(스텝SA19). 한편, 표시형태가 가로인 경우에는 VRAM(10)에 있어서의 화상전개를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화면이 되도록 화상처리한다. 즉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가로방향으로 변환하고(스텝SA20), 영상데이터상에 텍스트데이터를 중첩시킨다(스텝SA21). 그 중첩시킨 데이터를 표시부(21)에 출력한다(스텝SA22).
스텝SA19 또는 스텝SA22에 있어서 데이터를 표시부(21)에 출력한 후는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조작에 의해서 기구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23). 즉 수용부(20)의 변위상태가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기구변화가 있었을 때는 세로표시로부터 가로표시로 변화했는지 또는 가로표시로부터 세로표시 로 변화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A24). 세로표시로부터 가로표시로 변화했을 때는 표시부(21)의 전 표시영역을 영상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스텝SA25), 표시형태의 플래그를 가로로 설정한다(스텝SA26). 한편, 기구변화가 가로표시로부터 세로표시인 때는 표시부(21)의 위절반인 일부의 표시영역(22)을 영상표시영역으로 설정하고, 아래절반을 텍스트영역으로 설정한다(스텝SA27). 그리고 표시형태의 플래그를 세로로 설정한다(스텝SA28).
스텝SA26 또는 스텝SA28에 있어서 표시형태의 플래그를 설정한 후, 또는 스텝SA23에 있어서 기구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스위치가 OFF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29), 이 스위치가 OFF가 아닌 경우에는 도 6의 스텝SA14로 이행하여 도 7의 스텝SA29에 이르는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A29에 있어서 텔레비전스위치가 OFF되었을 때는 텔레비전수상부의 전원을 OFF로 하여(스텝SA30) 도 5의 스텝SA2로 이행하여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8은 착신검지처리의 흐름도이다. RF블록(4)에 의해서 전화의 착신을 검지했을 때는 텔레비전수상부가 ON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1), ON인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OFF로 한다(스텝SB2). 텔레비전수상부가 OFF의 경우 또는 일시 OFF로 한 후는 스피커(16)에 의해서 착신의 호출통지를 실시한다(스텝SB3). 그리고 오프훅스위치가 ON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4), 이 스위치가 ON되었을 때는 호출통지를 정지하여 호출측(發呼側)과의 회선접속을 실시하여 통화처리로 천이한다(스텝SB5). 통화처리에 있어서는 온훅스위치가 ON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6), 이 스위치가 ON되었을 때는 회선절단 등의 통화종료처리를 실시한다(스 텝SB7). 그리고 텔레비전수상부가 일시 OFF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8), 일시 OFF인 경우에는 텔레비전수상부를 ON으로 되돌린다(스텝SB9). 텔레비전수상부를 ON으로 되돌린 후, 또는 텔레비전수상부가 일시 OFF가 아니고, 착신의 전으로부터 OFF상태인 경우에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 간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CPU(1)는 텔레비전수상부에 의해서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가 다중화된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면, 그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할 시에는 표시부(21)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20)가 도 1a의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21)의 위절반의 표시영역(22)에 표시하고,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아래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며, 수용부(20)가 도 1b의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21) 전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그 영상데이터의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수신한 방송데이터의 표시화상의 종횡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하여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로로 길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화상을 정상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지상파 디지털방송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에 다중화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여 영상정보를 주체로서 보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문자정보를 주체로서 보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보다 보기 쉬운 텔레비전화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구부(11)는 조작에 따라서 수용부(20)와 본체(40)를 개 폐 및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30)를 갖는 동시에, 수용부(20)와 본체(40)가 열려져 회전 운동되어 있지 않은 도 1a의 변위상태 및 수용부(20)와 본체(40)가 열려져 회전 운동된 도 1b의 변위상태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21)의 수용부(2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스위치 등에 의한 설정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원하는 표시형태로 텔레비전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CPU(1)는 수용부(20)가 도 1a의 변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화상의 수직방향과, 수용부(20)가 도 1b의 변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화상의 수직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표시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화상의 수직방향을 의식하는 일 없이, 표시부(21)의 수용부(20)를 조작하여 변위상태를 바꿀 수 있다.

Claims (8)

  1. 종횡의 사이즈가 다른 표시수단과,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가 다중화된 텔레비전방송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수신수단 및 화상처리수단 중, 적어도 상기 표시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그 이외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수용부와 본체를 접속하고,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세로로 긴 사이즈로서 사용하는 제 1 변위상태 및 상기 표시수단을 가로로 긴 사이즈로서 사용하는 제 2 변위상태의 적어도 한쪽에 설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의 일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이외의 다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 2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 전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영상데이터의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수단은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를 개폐 및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기구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가 열려져 회전 운동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 1 변위상태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다른 수용부가 열려져 회전 운동된 상기 제 2 변위상태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화상의 수직방향과,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 2 변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화상의 수직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표시제어를 실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의 위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아래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종횡의 사이즈가 다른 표시수단과,
    영상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가 다중화된 텔레비전방송을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전화통신망과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실시하는 통신제어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수신수단, 통신제어수단 및 화상처리수단 중, 적어도 상기 표시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그 이외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수용부와 본체를 접속하고,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세로로 긴 사이즈로서 사용하는 제 1 변위상태 및 상기 표시수단을 가로로 긴 사이즈로서 사용하는 제 2 변위상태의 적어도 한쪽에 설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의 일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이외의 다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 2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 전부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영상데이터의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수단은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를 개폐 및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기구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가 열려져 회전 운동 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 1 변위상태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다른 수용부가 열려져 회전 운동된 상기 제 2 변위상태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화상의 수직방향과,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 2 변위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화상의 수직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표시제어를 실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수용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변위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의 위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텍스트데이터의 화상을 아래절반의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KR1020050024711A 2004-03-26 2005-03-25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KR100708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0912 2004-03-26
JP2004090912A JP4975240B2 (ja) 2004-03-26 2004-03-26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14A KR20060044714A (ko) 2006-05-16
KR100708410B1 true KR100708410B1 (ko) 2007-04-18

Family

ID=3498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11A KR100708410B1 (ko) 2004-03-26 2005-03-25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81240B2 (ko)
JP (1) JP4975240B2 (ko)
KR (1) KR100708410B1 (ko)
CN (1) CN1674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569A (ko) * 1999-10-27 2012-01-18 피루쯔 가사비안 일체화된 키패드 시스템
WO2005122401A2 (en) * 2004-06-04 2005-12-22 Keyless Systems Ltd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KR20050115148A (ko)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의 착탈에 따라 표시모드를 자동 전환하는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4403398B2 (ja) * 2004-09-08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NZ589382A (en) * 2005-06-16 2012-03-30 Keyless Systems Ltd Data Entry System
KR100663447B1 (ko) * 2005-10-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0735665B1 (ko) * 2006-03-06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와이드 시청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EP2001210B1 (en) 2006-03-29 2010-09-01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telephone
US20080141125A1 (en) * 2006-06-23 2008-06-12 Firooz Ghassabian Combined data entry systems
KR100827802B1 (ko) * 2006-10-24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화상 통화 송수신방법
EP2091242A4 (en) * 2006-12-13 2012-09-19 Sharp Kk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YSTEM AND MOBILE TELEPHONE
KR101328053B1 (ko) * 2007-03-28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7869834B2 (en) * 2007-03-28 2011-01-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L188523A0 (en) * 2008-01-01 2008-11-03 Keyless Systems Ltd Data entry system
KR101634388B1 (ko) * 2009-12-07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19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0251A (ko) * 2002-01-07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에서 표시 화면의 전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397A (ja) * 1997-12-26 1999-07-21 Canon Inc 表示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2135380A (ja) *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US7050109B2 (en) * 2001-03-02 2006-05-2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user selected advanced close captions
US6768899B2 (en) * 2001-04-04 2004-07-27 Motorola, Inc.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JP2003111054A (ja) * 2001-09-28 2003-04-11 Access:Kk 動画配信システム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100468368B1 (ko) * 2002-04-03 2005-01-27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2축 힌지장치
JP4063571B2 (ja) *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20050096082A1 (en) * 2003-11-03 2005-05-05 Chin-Wei Chang Duo-display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19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0251A (ko) * 2002-01-07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에서 표시 화면의 전환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30619 *
102003006025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77992A (ja) 2005-10-06
US20050212983A1 (en) 2005-09-29
KR20060044714A (ko) 2006-05-16
CN1674614B (zh) 2010-08-18
US7181240B2 (en) 2007-02-20
CN1674614A (zh) 2005-09-28
JP4975240B2 (ja)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410B1 (ko) 단말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JP5151976B2 (ja) 携帯電話機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US200602761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JP2007312039A (ja) Tv電話機能付き携帯端末
EP1471719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method for taking a photograph with the same
US81401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70012062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JP4858874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処理プログラム
JP5465138B2 (ja)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63429B1 (ko) 줌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5156652A (ja)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92235A (ja)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06092B1 (ko)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KR20050120850A (ko) 카메라와 두개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JP2005252774A (ja) テレビ付き携帯電話機
KR10054788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영상데이터 표시장치 및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KR1006780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3126255U (ja) 携帯送受信装置
KR101168091B1 (ko)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20060017085A (ko) 이어 기능과 영상 기능을 동일 잭으로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5109617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その信号処理のプログラム
KR100747454B1 (ko) 방향 조정이 가능한 부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