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53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53B1
KR101328053B1 KR1020070030464A KR20070030464A KR101328053B1 KR 101328053 B1 KR101328053 B1 KR 101328053B1 KR 1020070030464 A KR1020070030464 A KR 1020070030464A KR 20070030464 A KR20070030464 A KR 20070030464A KR 101328053 B1 KR101328053 B1 KR 10132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osed
ke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079A (ko
Inventor
설원석
김병욱
신호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53B1/ko
Priority to US11/924,276 priority patent/US7869834B2/en
Priority to MX2007013869A priority patent/MX2007013869A/es
Priority to CN2007101940349A priority patent/CN101277321B/zh
Publication of KR2008008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콘 또는 키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가 외면에 배치되고, 내면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폴딩 라인을 중심으로 폴딩 및 오픈 상태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면에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배치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면들 중 일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리시버 및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이한 작업들 각각에 적합한 사용 환경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MOBILE TERMINAL}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 놓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바디만을 분리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회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400: 제1 바디 110,410: 제1 디스플레이
140,540: 마이크 150,450: 리시버
160,460: 제2 디스플레이 180: 내부 카메라
200: 제2 바디 210,510: 키패드
220: 외부 카메라 550: 제3 디스플레이
300,600: 선회 힌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 이상의 동작 형태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사이즈(및 무게)를 가지는 전자기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무선 통신 기능 외의 다른 기능들이 집적되고 있는 추세에 놓여 있다. 상기 다른 기능들의 예로는 카메라 촬영 기능, 이메일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의 구현에 적합한 동작 형태를 가지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상기 다른 기능들에 적합한 형태를 동시에 갖추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현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능과 다른 부가적인 기능들에 적합한 동작 형태들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콘 또는 키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가 외면에 배치되고, 내면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폴딩 라인을 중심으로 폴딩 및 오픈 상태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면에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배치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면들 중 일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리시버 및 마이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100)에 대하여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2 바디(200) 위에 쌓아 올려진 상태(stacked position) 또는 닫힌 상태(closed position)에 놓여 있다.
제1 바디(100)의 외면(101)은 제2 바디(200)와 마주하지 않는 면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면(101)은 주면(main surface)(101a)와 그에서 연장하는 측면(101b)를 포함한다.
외면(101)의 주면(101a)에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터치 패드(120)가 배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프로그램적인 설정에 의해 시각 정보를 표시한다. 전자의 일 형태로서, 도 1에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stylus, S) 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120)에 입력한 문자가 제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상황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드(120)는 표시되는 키 또는 메뉴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터치 패드(120)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130)이 추가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문자, 그림 등이 입력될 수 있는 터치 패드(120)와 달리, 상기 키버튼(130)은 푸싱 방식에 의해 특정한 문자 등만이 입력되나 터치 패드(120)보다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키버튼(130)은 스크롤키(scroll key) 및 엔터키(enter key) 등 반복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키버튼(130)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패드(120)를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활성화버튼일 수도 있다.
키버튼(130)에 인접하여, 외면(101)의 측면(101b)에는 마이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의 마이크(140)가 설치된 단부 측에 대향되는 단부 측의 외면(101)의 주면(101a)에는 리시버(15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패드(120)나 키버튼(130)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건 상태에서, 마이크(140)와 리시버(150)를 이용하여 바로 무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바디(100)를 제2 바디(200)에 대해 선회시켜 단말기의 상태를 변환할 필요 없이 무선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터치 패드(120)를 이용하여서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단순하고 반복적인 입력들은 키버튼(1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 이 터치 패드(120)와 키버튼(130)이 병존하여 서로 보완 관계에 놓이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은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달리, 상기 마이크(140) 역시도 주면(101a)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시버(150)가 측면(101b)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마이크(140)와 리시버(150)가 제1 바디(100)가 아닌 제2 바디(200)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라면 외면(101)에 노출된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사용자의 안면과의 접촉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open position)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배면 측에서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열린 상태는 도 1의 닫힌 상태에서 제1 바디(100)를 폴딩 라인(F)을 따라 배치된 선회 힌지(300)를 중심으로 제2 바디(200)에서 멀어지게 선회시킴에 따라 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00)의 내면(102)은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면이다. 상기 내면(102)에는 제2 디스플레이(160)가 배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160)는 제1 바디(100)의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를 가져서 와이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160)가 터치 스크린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면, 정보의 표시뿐만 아니라 입력도 가능하게 된다.
제2 디스플레이(160)의 양단부 측에는 한 쌍의 스피커(170)가 배치된다. 스피커(170)는 하나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인 경우에는 서라운드 음향을 제공할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스피커(170)와 인접해서는 내 부 카메라(180)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80)는 제2 디스플레이(16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얼굴을 지향하는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바디(100)와 연결된 제2 바디(200)는 닫힌 상태에서 제1 바디(100)의 내면(102)과 마주하는 내면(201)을 가진다. 상기 내면에는 정보의 입력 수단들 중 하나로서, 키패드(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210)는 제1 및 제2 키 영역(211 및 2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 영역(211)의 키들은 제2 바디(20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쿼티(QWERTY) 방식의 배열을 가지는 것이 제2 디스플레이(160)와 제2 바디(200)의 배치 관계 및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2 키 영역(212)에는 방향키나 엔터 키, 전원 키 등과 같은 기능키 들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키 영역(212)에 의한 입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0)의 외면(202)에는 외부 카메라(2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카메라(220)의 촬영 방향은 상기 내부 카메라(180)와 달라지며, 단말기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 거의 반대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외부 카메라(220)에 인접해서는 플래쉬(23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외면(202)에는 배터리(25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선회힌지(300)를 통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에서 폴딩 라인(F)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연결된다. 선회힌지(300)의 제1 힌지부(310)는 제1 바디(100)의 내면(102)에서 돌출하며 제1 바디(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한 채로 형성된다. 제1 힌지 부(3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힌지부(320)는 제2 바디(200)에 리세스된(recessed) 형태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선회 힌지(300)는 제1 바디(100)의 외면(101)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대신에 제1 힌지부(310) 및 제2 힌지부(320)는 제2 바디(200)의 외면(202)의 일 모서리 측에서 노출되게 형성된다. 제1 바디(100)의 외면(101)에 선회 힌지(300)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외면(101)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110)의 사이즈를 크게 함에 있어서 선회 힌지(300)가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선회 힌지(300)에 의하여, 제1 바디(100)의 내면(102)은 제2 바디(200)의 내면(201)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40도 등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각도는 제2 바디(200)가 책상 등의 일 면에 놓이게 되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제2 디스플레이(160)를 보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선회 힌지(300)는 제1 바디(100)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 회전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남은 각도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동캠과 고정캠,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캠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선회 힌지(300)는 프리스탑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1 바디(100)의 열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의 캠 유닛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캠 유닛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인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열린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160)의 와이드한 화면을 보면서 제1 키 영역(211)으로 문자 등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제1 키 영역(211)이 쿼티 배열을 가짐에 따라, 문자 또는 이메일의 작성, 나아가 채 팅 등을 위한 문자 등의 입력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2 디스플레이(160)의 시청시 제1 디스플레이(110)에 의한 정보의 표시는 전력 절감 등의 차원에서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제1 바디(100)를 선회시켜 닫힌 위치에 이르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160)를 차단함과 동시에 다시 제1 디스플레이(110)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할 것이다.
제2 디스플레이(160)는 화상 채팅 등의 경우에 2 개 이상의 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는 화상 채팅의 경우에 2 개의 표시 영역에 각각 상대방의 이미지와 채팅 내용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내부 카메라(180)에 의해 포착된 사용자의 이미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화상 채팅 등의 경우가 아니라도, 내부 카메라(180)가 사용자를 지향함에 따라, 사용자는 내부 카메라(180)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160)는 뷰 파인더(view finder)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바디(400)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에서 선회되도록 제2 바디(500)에 연결된다.
제1 바디(400)의 외면(410)은 주면(401a)과 측면(401b)을 포함한다. 상기 주면(401a)에는 정보의 출력 및 입력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410)가 장착된다. 제1 디스플레이(410)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41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430)이 배열되며, 이들 중 하나는 제1 디스플레이(410)의 터치 입력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제1 디스플레이(410)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버튼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410)의 타 측에는 리시버(450)가 장착될 수 있다. 마이크(54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제2 바디(500)의 외면(50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은 다양한 영역들로 나뉘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를 걸려는 경우라면, 번호확인 영역(412)와 버튼입력 영역(413)이 요구될 수 있다. 버튼입력 영역(413)의 숫자가 표시된 부분 또는 키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의해 번호확인 영역(412)에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번호가 표시된다. 나아가, 번호확인 영역(412)의 상측에는 시간이나 배터리 잔량 등과 같은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 영역(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410)의 화면 하측에는 전화 번호 입력을 통한 통화 기능 외의 기능, 예를 들어 사진 촬영, 문자 전송, 인터넷 접속 등의 실행을 위한 메뉴 또는 메뉴 아이콘이 표시되는 메뉴표시 영역(4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 놓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도 5의 제1 바디(400)만을 분리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들 중 제2 디스플레이(460)와, 스피커(470)와, 키패드(510) 등과 같이 앞선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들에 대해서는 앞선 구성들과 유사한 번호를 부여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나아가, 제2 바디(500)의 외면(502) 중 주면에 대한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기에 도시를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바디(500)의 외면(502) 중 측면에는 마이크(540)가 장착된다. 제2 바디(500)의 내면(501)에는 제3 디스플레이(550)가 배열된다. 제3 디스플레이(550)는 선회 힌지(600)의 한 쌍의 제1 힌지부(610)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이점도 제공한다.
제3 디스플레이(550)의 양단부 측에서는 상기 제1 힌지부(610)들이 제2 바디(500)에 형성된 제2 힌지부(620)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선회 힌지(600)에 의하여, 제1 바디(400)는 제2 바디(500)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선회될 수 있다. 제2 바디(500)에 대한 제1 바디(400)의 선회 기준 라인이 되는 폴딩 라인(F')은 선회 힌지(600)를 따라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회 힌지(600)의 제1 힌지부(610)는 제1 바디(400)의 내면(402)에서 돌출하도록 연장한다. 이에 의하여,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바디(400)의 외면(401)에는 제1 힌지부(610)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제1 바디(400)의 외면(401)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1 디스플레이(410)의 배치 공간이 선회 힌지(600)에 의해 제한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자는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대하는 단말기의 외관에 대한 인상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고, 후자는 제1 디스플레이(410)의 사이즈를 외면(401)의 범위 내에서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1 디스플레이(410)의 사이즈의 최대화에 의하여, 제1 디스플레이(410)는 제2 디스플레이(460)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2 바디(500)를 손으로 잡고서 제2 디스플 레이(460)를 통해 와이드한 화면으로 이미지,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이나 문자 작성, 인터넷 접속 등의 경우에 있어서 키패드(510)를 통해 긴 문장 등을 보다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5에 예시되 바와 같이, 외부 카메라(220, 도 3 참조)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제2 디스플레이(460)의 제1 영역(461)에 표시됨과 동시에 통신으로 연결된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이미지 정보는 제2 영역(462)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표시 영역들(461 및 462)에 표시된 이미지들을 동시에 비교하면서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나 상대방이 입력하는 대화 내용은 제3 디스플레이(55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디스플레이(550)는 제2 디스플레이(460)와 유사한 길이{폴딩 라인(F')을 따라 연장하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라면,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60 및 55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작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웹 페이지는 제2 디스플레이(460) 뿐만 아니라 제3 디스플레이(550)에 걸쳐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회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회 힌지(600)에 의하여 제1 바디(400)는 제2 바디(500)로부터 2 단계의 선회 형태로 선회될 수 있다.
먼저, 제1 선회 각도(α1), 대략 140도까지는 프리스탑 방식으로 임의의 선회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될 수 있다. 제1 선회 각도(α1)가 지나도록 선회시키면, 제1 바디(400)는 멈춤 없이 바로 제2 선회 각도(α2)까지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선회 각도(α2)는 180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단 선회 힌지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특허권자인 특허출원 2005년 00916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바, 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선회 힌지(600)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제2 바디(200)에 대하여 제1 바디(400)를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와 같이 제1 선회 각도(α1)까지 개방된 경우에는 책상 등의 표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160)를 시청하기에 유용하고, 제2 선회 각도(α2)까지 개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제2 디스플레이(460)를 시청하기에 편리할 것이다.
나아가, 제1 선회 각도(α1)가 되기 전까지는 임의의 각도에서 제1 바디(400)가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시선방향과 제1 디스플레이(460)를 보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선회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면에 터치패드를 구비함에 따라, 닫힌 상태에서도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외면에 마이크와 리시버 등이 배치됨에 따라서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열린 상태로 전환 없이도 바로 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외면에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선회 힌지가 제1 바디의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최대화에 힌지가 제약을 가하지 않게 된다.
열린 상태로 전환 시에는 문자 작성, 이메일, 인터넷 등의 기능에 보다 적합 한 환경이 제공된다. 나아가, 외부 및 내부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채팅도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콘 또는 키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제1 디스플레이가 외면에 배치되고, 내면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폴딩 라인을 중심으로 폴딩 및 오픈 상태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폴딩 상태에서 상기 내면과 대면하는 면에 키패드가 장착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사이에 두고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리시버 및 마이크;
    단말기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고, 상기 선회의 중심축을 이루며, 상기 폴딩 라인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힌지; 및
    제2 바디의 상기 내면과 대면하는 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힌지와 제2 힌지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바디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및 마이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양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는 터치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중 하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활성화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정보의 표시 및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내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각각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대향되는 양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피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쿼티키 배열을 가지는 제1 키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가지는 제2 키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오픈 상태에서 활성화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오픈 상태에서 상기 폴딩 상태 전환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외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제1 카메라를 더 포함하 고,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포착된 이미지는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오픈 상태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표시 영역들로 나뉘어 각각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포착된 이미지는 상기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내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포착된 이미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중인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는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부를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는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에 대하여 복수의 선회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회 각도는 2개의 선회 각도들이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폴딩 위치에서 제1 선회 각도까지 프리스탑 방식으로 선회되고, 상기 제1 선회 각도에서 제2 선회 각도까지 정지 없이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회 각도에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30464A 2007-03-28 2007-03-28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2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64A KR101328053B1 (ko) 2007-03-28 2007-03-28 이동통신 단말기
US11/924,276 US7869834B2 (en) 2007-03-28 2007-10-25 Mobile terminal
MX2007013869A MX2007013869A (es) 2007-03-28 2007-11-05 Terminal movil.
CN2007101940349A CN101277321B (zh) 2007-03-28 2007-11-26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64A KR101328053B1 (ko) 2007-03-28 2007-03-28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079A KR20080088079A (ko) 2008-10-02
KR101328053B1 true KR101328053B1 (ko) 2013-11-08

Family

ID=3999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64A KR101328053B1 (ko) 2007-03-28 2007-03-28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8053B1 (ko)
CN (1) CN101277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3054B2 (ja) * 2009-08-26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2577337B (zh) * 2009-09-16 2015-08-05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信息设备和显示控制方法
KR101899502B1 (ko) * 2012-05-31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컴퓨팅장치
KR101978169B1 (ko) * 2012-10-18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TWI660635B (zh) * 2018-04-13 2019-05-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內建喇叭的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1240B2 (en) * 2004-03-26 2007-02-20 Casio Computer Co., Ltd.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US7460893B2 (en) *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1240B2 (en) * 2004-03-26 2007-02-20 Casio Computer Co., Ltd.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US7460893B2 (en) *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079A (ko) 2008-10-02
CN101277321A (zh) 2008-10-01
CN101277321B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834B2 (en) Mobile terminal
FI118073B (fi) Kannettava, ainakin kaksi käyttöasentoa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aranamekanismi sitä varten
JP4715208B2 (ja) 携帯電話機
JP4162683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
FI118621B (fi)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KR100810353B1 (ko)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싱장치
KR20120053685A (ko)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KR1013280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KR100754605B1 (ko)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JP2005216158A (ja) 携帯端末
KR100800827B1 (ko) 플립 업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WO2005043929A2 (en) Cellular telephone with improved mechanical design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KR100876790B1 (ko)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090073901A (ko) 휴대 단말기
JP4243083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3811401B2 (ja) 携帯端末
JP4658985B2 (ja) 携帯端末
KR20080023898A (ko) 멀티미디어용 이동 통신 단말기
JP418716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4974079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JP2001358811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89518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