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335B1 -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 Google Patents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335B1
KR100707335B1 KR1020060104031A KR20060104031A KR100707335B1 KR 100707335 B1 KR100707335 B1 KR 100707335B1 KR 1020060104031 A KR1020060104031 A KR 1020060104031A KR 20060104031 A KR20060104031 A KR 20060104031A KR 100707335 B1 KR100707335 B1 KR 100707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material
food packaging
film
bon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흑교
Original Assignee
(주)동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산업 filed Critical (주)동림산업
Priority to KR102006010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5/00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e.g.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식품포장용 포장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필름, 특히 고융점 외피 필름과 저융점 내피 필름으로 구성되는 식품포장용 필름에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물 입자는 통과하지 않는 기능을 부여하는 식품 포장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식품포장용 포장재는 포장재의 상,하부가 봉합되는 밀봉포장재에 식품류를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고, 냉동 또는 냉장식품류를 전자레인지로에 넣고 가열 조리할 때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식품 본래의 맛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식품 포장재의 중앙융착부 접합부분에 섬유질 표면에 유기고분자를 라미네이팅시켜 제공되는 서방형 접합필름을 부착시켜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물 입자는 통과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재가 제공된다.
상기 식품 포장재의 서방형 접합필름은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도록 0.01 ~ 0.1 mm 정도의 미세한 기공(pore)부를 0.3 ~ 3 mm 간격으로 형성하여 식품 포장용 포장재가 제공된다.
식품포장재, 서방형 접합필름, 유기고분자, 라미네이팅, 미세공(pore)

Description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Food wrap pack having late release film}
도 1 : 본원의 식품 포장재에 적용되는 서방형 접합필름을 얻기 위한 실시 공정 예시도.
도 2a : 식품 포장재에 서방형 접합필름을 부착시킨 상태도
도 2b : 식품 포장재에서 서방형 접합필름 부착부가 저면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직포 11 : 연장롤러
12 : 회전롤러 20 : 유기고분자(EVA)
21 : 용융가열로 22, 23 : 1차 압압롤러
24, 25 : 2차 압압롤러 30 : 천공롤러
31 : 융기부 32 : 카운터롤러
33 : 돌기 침 34 : 제3롤러
35 : 제2 연장롤러 36 : 제2 회전롤러
40 : 와인딩 롤 50 : 서방형 접합필름
51 : 좌측접착부 52 : 우측접착부
60 : 포장재 61 : 상부봉합부
62 : 하부봉합부 63 : 좌측 연부
64 : 우측 연부 70 : 만두 용기
본 발명은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식품포장용 포장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필름, 특히 고융점 외피 필름과 저융점 내피 필름으로 구성된 다중 필름과 이러한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서방형 접합필름이란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도록 0.01 ~ 0.1 mm 정도의 미세한 기공(pore)부를 0.3 ~ 3 mm 간격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미세기공을 통하여 더워진 공기는 서서히 방출되고 물 분자는 통과시키지 않는 상태의 미세기공을 갖고 접착성능을 갖는 필름을 서방형 접합필름으로 명하여 사용하고자 하였다.
근래 사회환경이 핵가족화의 진전 등 근대화됨에 따라 식생활 문화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개인 기호별로 시차별로 다양한 식사류가 선택되거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편성과 편리성을 구비한 시간절약형 조리기구인 전자레인지를 이용하는 식품류의 수요도 급증되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금속제 공간 내에 식품을 넣고 고주파의 전파로 가열하는 조리기구로서 식품이 가열되는 원리는 2,450 MHz를 공급하여 그에 해당하는 물 분자의 진동에 의한 진동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전도가열방식(Condution heating)이나 유도가열방식(Induction heating)과는 다르게 적용되는바, 전자레인지의 가열방식은 안테나로부터 고주파의 전파를 가열실 내로 조사하여 전파가 빛의 속도로 식품과 충돌되게 하여 식품 자체의 분자를 운동시키고 식품분자 간의 마찰열이 열에너지로 변환되게 하여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전자레인지는 식품의 조리와 해동 등 용도가 다양하면서 조작이 간편하고 식품형태의 변형이 없으며, 조리시간도 빠르고 살균효과가 있는 등 많은 이점을 갖고 있으나, 조리 후 적당한 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제 맛을 내는 식품류, 예를 들면 냉동만두, 냉동피자, 찐빵(호빵), 햇반 밥과 같은 즉석 조리식품을 가열 조리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과다하게 증발되어 조리 후 이들 식품 맛의 변질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어 왔다.
전자레인지가 종래의 전도가열방식이나 유도가열방식에 비하여 수분의 증발량이 크게 되는 이유는 비교적 넓은 가열실 공간 내에서 포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가열되는데 있으며, 냉동만두나 냉동피자 등은 주로 합성수지 재질로 된 포장재로 포장되어 밀봉 포장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데 조리시에는 밀봉포장재를 개봉한 상태에서 가열조리하게 되는바 그 이유는 조리시의 수분증발을 억제시켜 주기 위해서 밀봉 포장 된 상태에서 그대로 가열하게 되면 가열에 의해 밀봉 포장재 내의 공기가 팽창되면서 포장재가 터지게 되며, 합성수지로 된 포장재가 전자레인지 가열실 내에서 터지게 되면 합성수지 필름이 가열실 금속 벽에 융착되게 되어 전자레인지 자체를 못 쓰게 할 우려가 있고, 금속그릇 또는 유리그릇 같은 식기를 씌워서 가열하게 되면 전파가 차단되어 내용물 깊이까지 가열되지 않고 외곽부분만 가열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밀봉포장재에 내장된 식품류를 가열 조리할 때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억제하여 주기 위한 전자레인지용 포장재로서 포장지 일부분에 직경 0.2~0.5 mm의 유통구멍을 여러 개 설치하고 이 구멍들을 열용융성 접착테이프로 봉합시켜서 제공되는 포장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포장재는 포장지의 일정 부분에 다수의 유통구멍을 형성해 주고 이 구멍과 일치되도록 열용융성 접착테이프를 부착시켜 막어 주는 상태로 제공되고 전자레인지 내에서 조리 대상 식품류가 가열될 시 일정 가열온도에 이르면 열용융성 접착테이프가 녹아지면서 유통구멍을 열어주는 상태가 되어 조리대상 식품류에 적합한 조리시간 내에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며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으나 상기 구조에서는 열용융성 접착테이프가 녹아지면서 유통구멍이 일시에 열리는 구조로 되어 조리대상 식품류가 내장하는 수분이 서서히 승온되면서 내용물에 충분히 스며들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고 일시에 방출되며 수분까지 방출하는 결과가 되어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하기에 만족함을 주지 못하는 것 이었다.
따라서 본원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밀봉포장 재에 내장된 식품류를 가열 조리 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주는 전자레인지용 포장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의 포장재는 조리대상 식품류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 조리 시, 내용물이 승온되면서 식품류 자체에 내장된 수분이 밀봉포장재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식품에 그대로 남아 가공식품에 충분히 스며들게 함으로 방금 만들어진 것과 똑같은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하도록 하는 식품 포장재를 제공하고 하는 과제를 갖는다.
본원은 냉동 또는 냉장 보관 식품류를 전자레인지로에 넣고 가열 조리 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하기 위한 식품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품 포장재가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물 입자는 통과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포장재의 융착부 접합부분에 섬유질 표면에 유기고분자를 라미네이팅시켜 제공되는 서방형 접합필름을 부착시켜 식품 포장재를 제공하고; 상기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된 포장재를 전자레인지의 트레이에 넣을 때 식품포장재의 서방형 접합필름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적치하는 방법으로 냉동식품이 전자레인지에서 가온되면서 공기가 팽창하고 포장재가 부풀어지면서 더운 공기가 상부를 먼저 순회하고 저부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를 통하여 서서히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식품에 내재하던 수분이 증발되면서 포장재 내부를 계속 순환하면서 식품에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시간과 공간을 부여하여 식품 본래의 맛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식품 포장재의 융착부 접합부분에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는 미세기공을 갖는 서방형 접합필름은 섬유질 표 면으로 유기고분자를 라미네이팅시켜 제공되는 필름을 만들되, 라미네이팅된 필름은 열원(열압착)에 의해 유기고분자가 홋멜트 방식으로 바인더 역활을 하면서 섬유질과 일체화되어 필름형상을 이루고, 일체화된 필름은 미세 천공침을 갖는 롤러를 통과시켜 필름에 0.01 ~ 0.1 mm 정도의 미세한 기공(pore)부를 0.3 ~ 3 mm 정도의 간격으로 구성시키는 제조방법에 의해 서방형 접합필름을 얻고, 서방형 접합필름을 이용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원의 포장재는 통기성 또는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물입자는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미세공(pore)을 갖도록 구성되고, 미세공으로부터 포장재 내부공기는 외부로 통과시키나 물 입자는 통과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며, 식품류에 가장 적절한 조리조건을 제공하는 미세공의 공경과 구멍 면적율 또는 개공율의 범위를 찾아 식품 본래의 맛과 품질을 제공하면서 작업성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식품보관용 포장재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한 식품 조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식품을 일정기간 안정하게 보관하기 위해 제공되는 식품류 포장재는 투명 내지 반투명 필름 또는 광 투과성의 플라스틱제 필름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제 필름의 소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필름, 폴리프로필렌(PP)필름,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OPP)필름, 폴리스티렌(GP-PS)필름,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필름, 2축연신 폴리스티렌(OPS)필름, 폴리에스테르(PET)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필름, 폴리비닐알코올(PVA)필름, 폴리 염화비닐(PVC)필름, 셀룰로오스계 플라스틱 필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필름 등으로부터 사용 목적, 즉 보호대상으로 하는 식품류 종류에 따라 얼마든지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식품류의 포장재는 보관대상 물품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바, 대표적으로 만두나 찐빵, 피자 등을 보관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 포대를 예로 들어 보면, 포장용 포대의 외피층을 구성하기 위해 강인한 재질의 폴리에스텔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그 내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저융점의 합성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팅시켜 이용되고 있다.
포장재의 접합방식은 포장용 포대가 내용물을 수용하고 밀봉하였을 때 상하 단부의 내측으로 접히는 봉합부분의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핫멜트형 접착제 층에 의하여 접착되고 중앙의 길이방향 융착부도 외피 표면에 접착되어 외피 표면에 밀착되는 형식으로 핫멜트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식품포장용 포대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필름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장용 포대는 포장용 포대가 내용물을 수용하고 밀봉하였을 때 상하 단부가 내측으로 접히는 봉합부분의 서로 밀봉되도록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구성은 기존의 포장재와 다를 것이 없으나, 포장재의 양측 연부를 융착시킴에 있어, 포장재 양측 연부의 융착부에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는 미세공(pore)을 갖는 서방형 접합필름을 형성하여 포장재 양측 연부 사이에 접합시킴으로 포장재에 내장된 식품류를 전자레인지 등의 이용하여 조리할 때 식품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며 식품 본래의 맛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하 게 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기술구성을 갖는다.
본원의 포장재에 사용되는 서방형 접합필름은 섬유질 표면에 유기고분자를 라미네이팅시켜 제공되는 필름의 것으로, 라미네이팅된 필름은 열원(열압착)에 의해 홋멜트 방식으로 바인더 역활을 하면서 섬유질과 일체화되어 필름형상을 이루고, 일체화된 필름은 미세 천공침을 갖는 롤러를 통과시켜 필름에 0.01 ~ 0.1 mm 정도의 미세한 기공(pore)부를 0.3 ~ 3 mm 정도의 간격으로 구성시키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접합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고분자는 EVA, Rubb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ester,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vinyl chloride 중에서 1종 내지는 그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식품류와 관련한 어떠한 유해성을 배척하기 위하여 EVA, Polyester, Polyethyl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세한 다공(pore)의 가공성, 유해성 및 가격경쟁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서방구조접합필름의 섬유질로는 방적용 부직포(spinning fleece)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PP 방적용 부직포, PE 방적용 부직포, 예를 들면 주로 PET(예컨대 10% 내지 40% 사이)를 갖는 PP/PE 부직포 물질, 펄프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질 표면으로 라미네이팅 되는 고분자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종 이상의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 폴리머란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코폴리머, 및 터폴리머를 말하고 1종 이상의 극성(polar) 모노머와 에틸렌의 코폴리머, 예컨대 모노카르복시산, 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와 메탄올 또는 그들의 알코올의 기타 비닐 에스테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류가 이용될 수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텐, 및 그의 혼합물 및 블렌드가 포함된다.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의 혼합물 등도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방형 접합필름은 상기 제시되는 원료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에서 실험실 규모로 실시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PE 방적용 부직포 상부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라미네이팅시켜일정 기공을 갖는 서방형 접합필름을 얻기 위한 실시예 도면이다.
일측으로는 PE 방적용 부직포가 와인딩 롤에서 풀리는 구조로 제공되고 일측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폴리머를 용융시켜 부직포에 폴리머를 녹여 융착시켜 미세 기공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천공롤러(30) 맞은 편에는 카운터롤러(32)가 배치되고 천공롤러(30)의 또 다른 맞은 편에 제3롤러(34)가 설치되며 천공롤러(30)는 외연으로 융기부(31)를 갖고 카운터 롤러(32)의 외연으로는 돌기 침(33)을 갖고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이루면서 천공롤러(30)의 융기부(31)에 감겨 지나가는 서방형 접합필름(50)에 카운터롤러(32)에 내장되는 돌기 침(33)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제3 롤러(34)를 거쳐 와인딩 롤러(40)에 감겨지는 구조로 기 공(pore)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부직포 공급롤(10)에서는 PE 방적용 부직포가 평면 구조물로 연장롤러(11)와 회전롤러(12)를 경유하며 텐션을 조절하여 유입되고,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20)는 용융가열로(21)에서 홋멜트되어 1차 압압롤러 1, 2(22, 23)사이로 유입되면서 PE 방적용 부직포와 2차 압압롤러 3, 4(24, 25)사이를 통과하여 천공롤러(30)와 카운터롤러(32)를 경우하며 필름에 0.01 ~ 0.1 mm 정도의 미세한 기공(pore)부를 0.3 ~ 3 mm 정도의 간격으로 구성되는 서방형 접합필름(50)을 얻고 서방형 접합필름은 평면 구조물로 연장롤러(35)와 회전롤러(36)를 경유하며 텐션을 조절받으며 와인딩롤(40)에 감겨지는 구조로 서방형 접합필름(50)을 얻는 기술구성을 갖는다.
상기의 서방형 접합필름(50)에 형성되는 미세기공은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에 따라 예를 들면 냉동만두, 냉동피자, 찐빵(호빵), 햇반 밥과 같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변형 조절되어 조리 후 이들 식품 본래의 맛의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0.01 ~ 0.1 mm 정도의 미세한 기공(pore)부를 0.3 ~ 3 mm 정도로 조절하여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서방형 접합필름(50)의 적용예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2a는 식품 포장재에 서방형 접합필름을 부착시키는 기술구성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고, 도 2b는 식품 포장재에서 서방형 접합필름 부착부가 저면으로 향하도록 하고 포장재 내부로 식품이 담겨 진 용기가 삽입되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인바, 본원의 서방형 접합필름(50)을 냉동만두 포장재(60)에 적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포장재 접합부의 중앙으로 좌측 연부(63)와 우측 연부(64) 를 융착시킴에 있어, 서방형 접합필름(50)이 예를 들어 10 ~ 20 mm 정도의 폭을 갖도록 절단되어 준비되고 포장재 좌,우측 연부의 융착부에 절단된 서방형 접합필름이 일측은 포장재의 좌측 연부(63)와 겹쳐 좌측접착부(51)를 이루고, 일측은 포장재의 우측 연부(64)와 겹쳐 우측접착부(52)를 이루며, 중앙쪽으로는 포장재와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서방형 접합필름부(50')만이 제공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부봉합부(61)를 접합시킨 상태로 포장재가 준비되고, 별도로 준비되는 용기(70)에 만두가 담겨져서, 포장재 내부로 만두가 담겨 진 용기가 내삽된 후 하부봉합부(62)를 실링하는 구조로 만두 포장재로 제공된다.
상기 포장식품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해동 및 조리시킴에도 본원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를 갖는 포장재의 구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방형 접합필름부(50') 부위가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만두가 담겨지는 용기의 바닥부가 서방형 접합필름부(50') 안쪽으로 배치될 때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시에 더 좋은 식품 본래의 맛을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종래의 밀봉포장재에 넣어져서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한 식품류를 전자레인지로에 넣고 해동시키고 가열하여 따듯한 상태의 조리 식품을 얻고자 하는 경우( 서방형 접합필름부를 이용하는 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포장지의 상, 하부를 구분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나, 본원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를 갖는 구조(식품내용물을 가열할 때 외부로 나가기를 원하는 공기는 서방구조 접합필름부(50')의 미세기공을 통하여 더운 공기는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고 물 분자는 서방형 접합필름부(50')의 미세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구조를 이루는 서방 형 접합필름부(50')를 갖는 구성)에서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에 냉동식품을 넣을 때 식품포장재의 서방구조접합필름부(50') 부위가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냉동식품이 가온되면서 공기가 팽창하고 포장재가 부풀어지면서 더운 공기가 상부를 먼저 순회하고 저부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를 통하여 서서히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식품에 내재하던 수분도 증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상부로 향하였다가 포장재 내부를 계속 순환하면서 식품에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여 식품 본래의 맛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더욱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먼저 도 2에 도시된 필름형 포장재(60)로 밀봉 포장된 냉동만두(냉동온도 -18℃)의 무게를 측량하였다. 이를 전자레인지 내에서 정확히 2분 30초간 가열하고, 실내온도로 냉각한 후 KS M0009의 방법에 의해 수분의 유실량과 이에 따른 맛을 확인하였다. 이때 포장재(60)의 용기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이고 내면 재질은 저밀도폴리에틸렌이며 서방형 접합필름부(50')은 0.08 mm 기공을 0.5 mm 간격으로 형성하여 제공하고 포장재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가 하부를 향한 구조에서 전자레인지 내에서 조리하도록 하였다.
실시 예 2
포장재(60)의 용기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이고 내면재질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이며 서방형 접합필름부(50')은 0.08 mm 기공을 0.5 mm 간격으로 형성하여 제공한 것 이외에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 예 3
포장재(60)의 용기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이고 내면재질은 폴리에스터이며 서방형 접합필름부(50')은 0.05 mm 기공을 0.4 mm 간격으로 형성하여 제공한 것 이외에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 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를 이루고, 실시예 3에서는 전자레인지 트레이 위에서 포장재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고 조리한 것에 비하여, 실시예 4에서는 전자레인지 트레이 위에서 포장재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가 상부를 향하도록 적재하고 조리하도록 하였다.
비교 예 1
본 발명의 서방형 접합필름부가 포함하지 않고 종래의 냉동만두(냉동온도 -18℃) 포장품으로 0.2 mm 기공을 0.8 mm 간격으로 형성하여 만들고 열용융성 접착테이프로 봉합하여 제공된 샘플로 나머지 조건은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비교 예 1 및 실시 예 1~3을 통해 전자렌지에 의한 가열과정 중 KS M0009의 방법에 의해 수분의 유실량을 확인하여 서방형 접합필름에 대한 특징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구 분 수분유실량(%)
실시 예 1 2.05 매우우수
실시 예 2 2.02 매우우수
실시 예 3 1.98 매우우수
실시 예 4 2.87 우 수
비교 예 1 10.6 미 흡
냉동만두를 전자레인지로 조리하는 데는 약 2분 30초 정도가 소요되는데 1분 경과 시 포장재가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며 1분 30초 정도부터 서방형 접합필름부(50')로 공기가 분출되나 물 분자는 누출이 매우 적은 반면 종래의 방법은 수분의 유실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리 후 냉동 만두의 맛은 금방 제조된 냉동만두의 맛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가스렌지에 의한 가열과 동시에 수분증발 및 압력이 증가하나 본 발명의 미세한 다공성은 가스의 통과를 원활하게 하는 반면 극성이 높은 물분자를 막아주는 선택적인 여과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원은 식품 포장재의 융착부 접합부분에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는 미세기공을 갖는 서방형 접합필름을 부착시켜 식품 포장재를 제공함으로 전자레인지로 조리 시 식품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며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원의 포장재는 식품류에 가장 적절한 조리조건을 제공하는 미세공의 공경과 구멍 면적율 또는 개공율의 범위를 찾아 식품 본래의 맛과 품질을 제공하면서 작업성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식품보관용 포장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라서 본원의 포장재로 포장된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하여 주게 되면 식품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억제시켜 줄 수 있어 조리에 따르는 식품 맛의 변질을 억제해 줄 수 있어 식품 본래의 맛과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식품류를 포장재에 내장하고 이를 봉합시켜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고, 냉동 또는 냉장식품류를 전자레인지로에 넣고 가열 조리 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하기 위한 식품 포장재에 있어서,
    식품포장재(60)의 후면 접힘부 사이에 서방형 접합필름(50)이 접합부재로 부착되어 제공되되, 접합부재는 섬유질 표면에 유기고분자를 라미네이팅시켜 미세기공을 형성시켜 제공됨으로 서방형 접합필름의 접합부재가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물 입자는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는 EVA, Rubb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ester,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vinyl chloride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접합필름은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도록 0.01 ~ 0.1 mm 범위의 미세공(pore)이 0.3 ~ 3 mm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4. 제1항의 식품포장재를 이용하여 냉동 또는 냉장 보관 식품류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 조리 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여 식품 본래의 맛을 제공하기 위한 식품 조리방법에 있어서,
    식품포장재(60)에 가공대상 식품을 넣고 서방형 접합필름(50)을 접합부재로 이용하여 포장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된 포장재를 전자레인지의 트레이에 넣을 때 식품포장재의 서방형 접합필름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적재하는 단계;
    냉동식품이 가온되면서 더운 공기가 상부를 먼저 순회하고 저부의 서방형 접합필름부(50')를 통하여 서서히 배출이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여 더운 공기가 순환하면서 식품에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방법.
KR1020060104031A 2006-10-25 2006-10-25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KR10070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31A KR100707335B1 (ko) 2006-10-25 2006-10-25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31A KR100707335B1 (ko) 2006-10-25 2006-10-25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335B1 true KR100707335B1 (ko) 2007-04-13

Family

ID=3816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031A KR100707335B1 (ko) 2006-10-25 2006-10-25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255B1 (ko) * 2016-05-31 2017-01-10 (주)디엘팩 종이 질감을 갖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320A (ja) 2000-08-28 2002-03-08 Sumitomo Bakelite Co Ltd 青果物鮮度保持包装体及び青果物の調理方法
JP2004016134A (ja) 2002-06-18 2004-01-22 Sumitomo Bakelite Co Ltd 青果物入り包装体
JP2004331156A (ja) 2003-05-07 2004-11-25 Idemitsu Unitech Co Ltd 蓋付き密封包装体及び当該包装体を構成する蓋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320A (ja) 2000-08-28 2002-03-08 Sumitomo Bakelite Co Ltd 青果物鮮度保持包装体及び青果物の調理方法
JP2004016134A (ja) 2002-06-18 2004-01-22 Sumitomo Bakelite Co Ltd 青果物入り包装体
JP2004331156A (ja) 2003-05-07 2004-11-25 Idemitsu Unitech Co Ltd 蓋付き密封包装体及び当該包装体を構成する蓋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255B1 (ko) * 2016-05-31 2017-01-10 (주)디엘팩 종이 질감을 갖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5190B2 (en)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d product
US20090175563A1 (en) Microwaveable steam pouch
US20070160805A1 (en) Reusable air permeable packaging film
US8414997B2 (en) Absorbent insert for foodstuff packaging
WO1992003356A1 (en) Food packaging bag
JPH10147381A (ja) 圧力調節弁機能を有するフィルムシート、包装材料及びパッケージ
US20180037393A1 (en) Moisture degraded packaging seal
JPH01226577A (ja) マイクロ波調理用包装
US20030054122A1 (en) Processes of using at least one absorbent pouch
US20130272629A1 (en) Vacuum packing envelope for cooking
JP2010516583A (ja) 生体流体吸収用包装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KR100707335B1 (ko) 서방형 접합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식품 포장재
Thanakkasaranee et al. Packaging materials and technologies for microwave applications: a review1
MX2013005373A (es) Embalaj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JP2016016064A (ja) 食品加熱調理用包装体
KR20120103821A (ko)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재
CA2587317A1 (en) Tray for defrosting food products with microwaves
TWI326666B (en) Airtight regulating composite film for food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798160B1 (en) Package for vacuum or protective atmosphere preservation of food products which tend to release liquids
US20220332491A1 (en) Moisture degraded packaging seal
JP2967270B1 (ja) 呼吸可能な飲食品調理用包材と飲食品パッケージ
EP1445213A1 (en) Microwaweable container
JP2000190410A (ja) 積層シート
US20080083750A1 (en) Microwave oven thawing tray for foodstuff
US20170280930A1 (en) Microwavable Cooking Shee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