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실시 예가 구비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서 사용되는 전기분해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는, 직수관(1)에 인입수 공급용 펌프(10)와 유량계(2) 및 유량조절밸브(3)를 통해 유입되는 인입수와, 염수 저장조(5)에서 염수 공급용 펌프(6)을 통해 유입되는 포화 염수가 공급관(4) 내에서 일정비율로 혼합된 희석염수를 전기분해조(7)에서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저장조(5)의 일측면에 직수관(1)과 연결된 플로우트밸브(9)를 구비하고 일정 수위를 유지하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설치하여 포화 염수의 배출량에 부응하여 보충수가 자동 보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와 별개로 성형시켜 염수 저장조(5)의 일측면에 설치한 경우 연통관(81)을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와 염수 저장조(5)를 상호 연결시켜 통상시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 염수 일부가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로 유입되어 자연 혼합을 통한 희석에 의해 보충수 자체가 불포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의 일 측벽(51)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한 경우, 상기 측벽(51)에 수개의 연통공(82)을 형성시켜 통상시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 염수 일부가 일 측벽(51)의 연통공(82)을 통해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로 유입되어 자연 혼합을 통한 희석에 의해 보충수 자체가 불포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는 대기압이 수면에 작용하여 자연유 하방식에 의해 보충수가 염수 저장조(5)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부 개방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직수관(1)에 연결된 인입수 공급용 펌프(10)를 통해 공급되는 인입수와, 염수 저장조(5)에서 펌프(6)을 통해 유입되는 포화 염수를 일정비율로 혼합시켜서 된 희석염수를 전기분해조(7)로 공급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조하는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저장조(5)의 일측면에 직수관(1)과 연결된 플로우트밸브(9)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설치한 것을 주요 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는 플로우트밸브(9)를 통해 공급되는 직수(즉, 보충수) 항상 일정한 수압(즉, 대기압)을 갖도록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는 대기압이 수면에 작용하여 자연유하방식에 의해 보충수가 염수 저장조(5)로 유입되어 보충되도록 상부 개방형으로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염수 저장조(5)와 별개로 성형하여 연통관(81)을 통해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염수 저장조(5)의 일 측벽(51)에 일체로 성형시킬 수고 있는데, 후자의 경우 상기 염수 저장조(5)의 일 측벽(51)에 수개의 연통공(82)을 형성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와 별개로 성형시켜 염수 저장조(5)의 일측면에 설치하되 연통관(81)을 통해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와 염수 저장조(5)를 상호 연결시켜 주거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 크(8) 자체를 염수 저장조(5)의 일 측벽(51)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염수 저장조(5)의 일 측벽(51)에 수개의 연통공(82)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통상시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 염수 일부가 측벽(51)의 연통공(82)을 통해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로 유입되어 농도 차에 의한 자연 혼합에 의해 희석되므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보충수는 불포화 상태의 염수 성분을 갖게 된다.
또한, 밸브(91)와 부구(93) 및 작동봉(9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고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우트밸브(9)는 보충수의 수위 변화에 부응하여 그의 개폐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연통관(81) 또는 연통공(82)을 통해 염수 저장조(5) 측으로 배출되는 보충수의 수량에 부응하여 수위가 변화되면 그에 부응하여 부구(93)의 위치가 변화되므로 상기 부구(93)와 밸브(9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봉(92)의 경사 각도가 부구(93) 위치에 부응하여 변화되며 밸브(91)의 개폐량을 자동 조절하게 되므로 상기 연통관(81) 또는 연통공(82)을 염수 저장조(5) 측으로 배출되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보충수 수량에 부응하여 상기 직수관(1)에 연결된 플로우트밸브(9)를 통해 직수가 공급되어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로 보충되므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수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관(81) 또는 일 측벽(51)의 연통공(82)을 염수 저장조(5)와 연결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서 염수 저장조(5)로 공급되는 보충수 수압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항상 동일한 크기의 대기압을 받으며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불포 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서 배출되어 염수 저장조(5)로 공급되는 보충수의 압력(또는 수압)은 일정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통관(81) 또는 일 측벽(51)의 연통공(82)은 염수 공급용 펌프(6)가 연결되는 염수 배출공의 반대측에서 염수 배출공의 위치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서 상기 연통관(81) 또는 일 측벽(51)의 연통공(82)을 통해 염수 저장조(5)로 공급되는 불포화상태의 보충수가 완벽한 포화상태를 갖고 염수 공급용 펌프(6)를 통해 공급관(4) 측으로 배출되는 포화 염수에 일부라도 희석되어 그 농도를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전기분해조(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를 흘려보내기 위한 양극과 음극으로 조합된 각 전극실(75)을 나누어 놓은 전극 격리판(74)과, 전극(73)과 전극 격리판(74)이 들어가 있는 케이스(7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조(7)의 하부 쪽에 공급관(4)과 연결되는 희석염수 공급공(71)이 형성되고 상부 쪽에는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도시 생략된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로 배출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출공(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입수 공급용 펌프(10)가 설치되어 있는 직수관(1)과 상기 전기분해조(7)의 희석염수 공급공(71)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관(4)에는 인입수 공급용 펌프(10)에서 일정 압력으로 제공되는 인입수의 량을 표시해 주는 유량계(2)와, 상기 염수 저장조(5)에서 배출되는 포화 염수에 희석되는 인입수의 량을 사용자가 임 의로 조절하여 원하는 희석염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밸브(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염수 저장조(5)와 전기분해조(7)의 희석염수 공급공(71) 사이에 설치된 공급관(4)에는 염수 저장조(5) 내에서 28-30%로 포화된 염수를 인입수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염수 공급용 펌프(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염수 공급용 펌프(6)는 다이어프램 펌프나, 솔레노이드 펌프 등과 같이 일정량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정량 펌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생성시키고자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 인입수 및 염수 공급용 펌프(10)(6)를 포함하여 직류의 정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분해조(7)가 작동하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유량계(2)를 보면서 유량조절밸브(3)를 적절히 조작하여 전기분해조(7)로 공급되는 희석염수의 염수성분이 2.8-3.0%를 갖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전기의 공급이 시작되면 이전에 이미 8시간 이상 24시간 이내를 물속에 소금을 침전시켜 둠으로 인해 28-30%의 농도를 갖는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 염수가 염수 공급용 펌프(6)의 구동에 부응하여 공급관(4) 측으로 공급되고, 인입수 공급용 펌프(10)의 구동에 부응하여 직수(즉 인입수)가 유량계(2) 및 유량조절밸브(3)를 통해 공급관(4) 내로 유입되어 포화 염수와 혼합됨으로써 2.8-3.0%의 희석염수가 형성되어 전기분해조(7) 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관(4)을 통해 전기분해조(7)로 공급되어진 2.8-3.0%의 희석염수는 전기분해반응을 거치게 되고, 이 희석염수의 전기분해반응에 의해 생성된 차 아염소산나트륨은 전기분해조(7)의 상부에 구비된 배출공(76)을 통해 배출되어 미도시된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통상시 플로우트밸브(9)의 작동에 의해 직수관(1)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아 일정수위를 유지함과 동시에 연통관(81) 또는 연통공(82)을 통한 포화 염수 저장조(5)와의 연통에 의해 불포화 상태를 갖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에서는 자체에서 배출되어 염수 저장조(5)로 배출되는 보충수의 부족 양만큼 플로우트밸브(9)를 통해 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항상 일정한 압력 및 유량으로 염수 저장조(5)에 보충수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의 보충수가 연통관(81) 또는 연통공(82)을 통해 포화 염수가 저장된 염수 저장조(5)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직수관(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우트밸브(9)의 부구(93)가 보충수 수위의 변화에 부응하여 하강하게 되고, 또 상기 부구(93)에 부응하여 작동봉(92)도 밸브(91)를 중심으로 하강 회전하므로 상기 밸브(91)가 작동봉(92)의 경사각도 변화에 부응하여 열려 수로가 개방되므로 직수관(1)으로부터 직수가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로 공급되며, 공급되는 직수에 의해 보출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일정수위에 다다르면 부구(93)의 상승에 의해 밸브(91)가 다시 닫혀 수로가 닫히게 됨으로써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과 농도를 염수 저장조(5)로 보충시켜 주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보충수량과 압력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염수 농도의 변화(즉, 희석염수의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보호장치의 가동으로 인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염수 저장조(5)에 공급되는 보충수를 수위감지수단 및 보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동밸브의 사용 없이 고장율도 매우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로우트밸브(9)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와 연통되게 설치하는 것만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 중 포화염수의 사용량에 부응하여 상기 염수 저장조(5)에 보충수를 계속해서 일정압력으로 공급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전기의 배선이 전혀 필요 없게 되어 설치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분해조(7)는 희석염수가 전기분해조(7)의 한쪽 하부에 형성된 희석염수 공급공(71)을 통해 공급되고, 전극 격리판(74) 아래쪽에 관통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 각 전극실(75)로 들어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흐르면서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생성되며, 이와 같은 전기분해 과정에 발생된 수소가스와 함께 전극 격리판(74) 위쪽에 관통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서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출공(76) 쪽으로 흘러들어가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에 배출되어 저장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분해조(7) 내의 전극 격리판(74)은 상하에 관통하는 구멍이 생성되어 있고, 그 구멍을 통해 각 전극실(75)이 연결되어 있어 전기분해조 내에 생성되어 있는 하부 쪽 구멍을 통해 희석염수나 해수가 각 전극실(75)로 흘러들어가 상부의 전극을 통과하면서 전기분해가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수소가스는 전극 격리판(74)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한 후 각 전극실(75)을 통해 배출공(76)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