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802B1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802B1
KR101044802B1 KR1020080128440A KR20080128440A KR101044802B1 KR 101044802 B1 KR101044802 B1 KR 101044802B1 KR 1020080128440 A KR1020080128440 A KR 1020080128440A KR 20080128440 A KR20080128440 A KR 20080128440A KR 101044802 B1 KR101044802 B1 KR 10104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brine
water
unsaturated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891A (ko
Inventor
표수길
Original Assignee
표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수길 filed Critical 표수길
Priority to KR102008012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8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 내의 일측벽 중간부위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주거나, 또는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의 일측부에 그 높이가 염수 저장조 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방이 개구되게 성형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내부 하방부에서 중간부까지 수개의 받침돌기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그 상부로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가 구비된 뚜껑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염수 저장조로 보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일측 벽면 중간부와 하방부 사이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므로 소금의 보충시 염수 저장조 내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충되는 소금이 플로우트밸브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되며, 염수 저장조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분리하고 간편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고, 항상 정해진 농도 로 포화된 염수를 전기분해조로 공급할 수 있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염수 저장조의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 인해 생기는 브리지 형태의 소금 덩어리를 자연적으로 하강시켜 물속으로 침전시켜 줄 수 있고, 또 항상 일정한 농도의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 측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염수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포화염수에 항상 일정한 유량과 압력으로 직수를 혼합시켜 전기분해조로 공급시킬 수 있어 원하는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차아염소산나트륨, 염수 저장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브리지

Description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SALT WATER TANK INCLUD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수 저장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밸브의 설치 자체를 배제하는 대신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치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염수 저장조 내의 중간부위에 부착 설치하거나 또는 일측벽 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는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여 소금의 보충시 염수 저장조 내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플로우트밸브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고, 또 염수 저장조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분리하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상 포화상태를 갖고 일측 공간부에 수용되는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로 공급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염수 저장조의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 인해 생기는 덩어리(또는 브리지) 형태를 갖는 소금의 하강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염수 저장조의 바닥부로 교반을 위한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항상 일정한 농도의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 측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상방부에 플로우트밸브를 구비한 희석수 저장조를 부가 설치하여 염수 저장조 내의 포화염수에 항상 일정한 유량과 압력으로 직수를 혼합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Sodium Hypochlorite)은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살균장치, 일반화학 공장의 냉각용수 보일러, 담수화 공정 처리수, 발전소의 냉각수 처리, 음용수 처리, 식물 및 채소, 육류가공, 수영장의 세탁 및 제지, 가정용 표백제로 사용되는 강한 염소취를 갖는 무색투명 액체형태의 염소계 소독제이다.
이와 같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되는 비 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일정량 및 압력의 인입수와 물속에 대량의 소금을 침전시켜 소소한 3시간 내지 8시간 이상 유지시킴으로 인해 26-30%의 소금이 용융되어 포화된 일정량 및 압력의 포화염수가 펌프 등을 통하며 혼합되어 2.8-3.0%의 염도가 유지되는 희석염수를 격막(이온교환막)이 없는 일련의 전극(양극, 음극)을 갖는 전기분해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극 양측에 부가된 직류 전압에 의해 희석염수 중의 소금을 전기분해한다.
즉, 전기분해장치 내로 유입된 2.8-3.0%의 희석염수는 소듐이온(Sodium ion. Na+)과 염소이온(Chloride, Cl-)으로 해리되어 염소이온은 양극에서 산화되어 염소가 되고(①식), 소듐이온은 음극에서 환원되어 소듐이 생성되며(②식), 생성된 소듐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NaOH, 가성소다)과 수소로 된 후(③식), 양극에서 생성된 염소와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생성된다(④식).
Cl- → ½Cl2 + e- -------------------- ① 식
Na+ + e- → Na ------------------------ ② 식
Na + H2O → NaOH + ½H2 ------------ ③ 식
2NaOH + Cl2 → NaOCl + H2 + NaCl + H2O ------------ ④ 식
상기와 같이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염수의 안전한 형태로서 소독이나 산화가 필요한 현장에 염소소독이나 산화제로 사용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과 함유농도는 파라데이의 법칙에 따르며, 공급되는 인입수와 소금물이 혼합된 희석염수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함유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서 일정량의 인입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대부분 도 1과 같이 인입수 공급용 펌프(10)를 이용하고 있고, 이 인입수 공급용 펌프(10)와 유량계(2)를 통해 공급되는 인입수는 감압밸브 또는 유량조절밸브(3)를 이용하여 인입수 자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인입수의 공급과 중단은 상기 인입수 공급용 펌프(10)를 ON/OFF하 는 방식을 통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일정량의 물을 넣고 그 내부에 다량의 소금을 칩전시킨 후 최소 3시간 내지 8시간 이상 경과시킴으로 인해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염수는 염수 공급용 펌프(6)를 통해 인입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기 공급관(4)으로 계속 일정량씩 공급시켜 공급관(4) 내에서 직수인 인입수와 희석되어 2.8-3.0%의 염수 농도를 갖는 희석염수가 형성되도록 한 후 이 희석염수가 전기분해조(7)로 유입되어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생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염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에 부응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계속적인 발생을 위해서는 포화 염수의 지속적인 생성 및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대부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서는 직수관과 상기 염수 저장조(5) 사이에 전동밸브(11)가 구비된 별도의 물 공급관(12)을 설치하고,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에는 부구형 또는 전극봉형 상,하한 수위감지센서(13)를 설치하여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염수 수위가 하한치에 이르면 물 공급관(4)의 전동밸브(11)가 자동으로 열려 직수가 자동으로 공급되어 보충되고, 이와 같이 물이 보충됨으로 인해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수위가 상한치에 이르면 전동밸브(11)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직수의 공급이 차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염수 수위가 하한치에 이르렀을 때 물 공급관(4)의 전동밸브(11)가 자동으로 열려 염기 성분이 전혀 없는 직수가 비교적 다량으로 공급되므로 염수 저장조(5) 내의 소금물에 대한 포화상태(즉, 염기 성분이 26-30%인 상태)가 일시적으로 깨져 그 농도가 낮아지게 되어 전기분해조(7)에서 발생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생산량이 일시적으로 다르게 되고, 희석염수의 농도가 급격히 낮아질 경우 과열 인해 전기분해장치가 가열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수 저장조로 일반 직수가 일시에 보충수로 공급됨으로 인해 포화상태에 대한 불균형이 발생된 상태(즉, 저농도 상태)에서 이 소금물이 인입수와 희석된 후 전기분해조로 공급될 경우 희석염수 농도 저하에 따른 전기분해조의 전류값 변동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보호장치들이 가동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 자체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염수 저장조의 상,하한 수위감지센서로 부구형을 설치한 경우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장기간 구동시키다 보면 상기 염수 저장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한 수위감지센서의 부구와 지지봉 사이에 소금 찌꺼기가 끼어 부구의 승,하강에 방해를 주어 정확한 수위 검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 부구 및 지지봉의 설치와 작동을 용이하게 위해서는 염수 저장조 내에 상당히 큰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염수 저장조 자체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염수 저장조의 상,하한 수위감지센서로 전극봉형을 설치한 경우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장기간 구동시키다 보면 상,하한 수위감지센서를 구성하고 있는 크고 작은 전극봉 자체에 많은 스케일이 끼게 되어 수위감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전류량이 스케일 량에 부응하여 크게 변화되므로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부 염수 저장조(예를 들어 국대 특허 10-0802361호 및 미국 특허 4,329,215호 등)에는 염수의 소비량에 대응하여 직수를 계속적으로 보충시키기 위해 플로우트밸브가 구비된 것들은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의 경우 염수 저장조에 설치된 플로우트밸부가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어 소금의 보충시 그 냥에 대응하여 염수 저장조 내의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보충되는 소금이 플로우트밸브에 장애를 주게 되어 차우 수위에 따른 작동이 정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염수 저장조 내에 플로우트밸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경우 염수 저장조 내부를 골고루 청소하는데 매우 불편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그 내부를 깨끗이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이 평판 형태를 갖고 있어 보충수의 유입시 소금물에 대한 포화상태가 일시적으로 깨져 그 농도가 낮아진 염수가 전기분해조로 공급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저하 및 농도가 낮은 상태로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염수 저장조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써 사출금형의 특성상 상방 개구부로부터 하방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성형되고, 또한 소금은 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상호 응집되어 덩어리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염수 저장조 내에서 수면 위로 떠있는 소금 덩어리가 염수의 배출량에 부응하는 수면 하강량 및 녹는 량에 부응하여 하강하지 못하고 브리지 형상화된 상태에서 염수 저장조의 경사 내면에 걸려진 형태를 갖게 되어 결 국 염수 저장조 내에 소금은 충분히 잔존하는데도 불구하고 브리지화된 소금이 물속으로 침전되지 않아 원하는 염기 성분(즉, 26-30%의 염기성분)이 포함됨 포화염소를 전기분해조 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없어 원하는 염기성분을 갖는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연속적으로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염수 저장조 내에는 보충수와 포화염수를 희석시켜 주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항상 일정한 염기 성분이 포함됨 포화염소를 전기분해조 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염수 저장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밸브의 설치 자체를 배제하는 대신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함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염수 저장조 내의 중간부위에 부착 설치하거나 또는 일측벽 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는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소금의 보충시 염수 저장조 내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충되는 소금이 플로우트밸브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되며, 염수 저장조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분리하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상 포화상태를 갖고 일측 공간부에 염수 공급용 펌프의 흡입구를 설치함으로써 항상 정해진 농도로 포화된 염수를 전기분해조로 공급할 수 있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일측면과 염수 저장조의 대향면 경사각은 동일하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염수 저장조의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 인해 생기는 브리지 형태의 소금 덩어리를 자연적으로 하강시켜 물속으로 침전시켜 줄 수 있고, 또 염수 저장조의 바닥부로 교반을 위한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줌으로써 항상 일정한 농도의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 측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상방부에 플로우트밸브를 구비한 희석수 저장조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염수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포화염수에 항상 일정한 유량과 압력으로 직수를 혼합시켜 전기분해조로 공급시킬 수 있어 원하는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담수된 물에 다량의 소금을 공급하고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시켜 줌으로 인해 생성된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염수를 염수 공급용 펌프를 통해 펌핑하여 인입수와 정해진 비율로 희석(2.8-3.0%의 염수 농도를 갖도록 희석)하고 이를 전기분해조로 유입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해 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 내의 일측벽 중간부위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상부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에 있는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로 송수할 때 원하는 염소농도를 갖도록 물을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를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는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와 최대로 멀리 떨어져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에 염수 공급용 펌프와 연결된 포화염수 흡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내부에 담수된 물에 다량의 소금을 공급하고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시켜 줌으로 인해 생성된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염수를 염수 공급용 펌프를 통해 펌핑하여 인입수와 정해진 비율로 희석(2.8-3.0%의 염수 농도를 갖도록 희석)하고 이를 전기분해조로 유입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해 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의 일측부에 그 높이가 염수 저장조 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방이 개구되게 성형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내부 하방부에서 중간부까지 수개의 받침돌기를 수직방 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그 상부로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가 구비된 뚜껑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염수 저장조로 보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일측 벽면 중간부와 하방부 사이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외주면은 염수 저장조와 같이 상방부에서 하방부로 갈수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염수 저장조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맞보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면이 경사진 염수 저장조 일측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브리지 형태로 응고된 소금 덩어리가 자동 하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중간부에 설치된 뚜껑체의 상면부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에 있는 포화염수가 전기분해조로 이송될 때 원하는 염소농도를 갖도록 물을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는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저부가 염수 저장조 내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와 최대로 멀리 떨어져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에 염수 공급용 펌프와 연결된 포화염수 흡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므로 소금의 보충시 염수 저장조 내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보충되는 소금이 플로우트밸브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되며, 셋째 염수 저장조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분리하고 간편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넷째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상 포화상태를 갖고 일측 공간부에 염수 공급용 펌프의 흡입구를 설치함으로써 항상 정해진 농도로 포화된 염수를 전기분해조로 공급할 수 있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일측면과 염수 저장조의 대향면 경사각은 동일하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염수 저장조의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 인해 생기는 브리지 형태의 소금 덩어리를 자연적으로 하강시켜 물속으로 침전시켜 줄 수 있 고, 또 염수 저장조의 바닥부로 교반을 위한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줌으로써 항상 일정한 농도의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 측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염수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포화염수에 항상 일정한 유량과 압력으로 직수를 혼합시켜 전기분해조로 공급시킬 수 있어 원하는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정 단면 및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정 단면 및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담수된 물에 다량의 소금을 공급하고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최소 3시간 내지 8시간) 이상 경과시켜 줌으로 인해 생성된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염수를 염수 공급용 펌프(6)를 통해 펌핑하여 인입수와 정해진 비율로 희석(2.8-3.0%의 염수 농도를 갖도록 희석)하고 이를 전기분해조(7)로 유입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해 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5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일측벽 중간부위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81)와 뚜껑체(82)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83)은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5)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뚜껑체(82) 상부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111)와 뚜껑체(112)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5)에 있는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7)로 송수할 때 원하는 염소농도(2.8-3.0%의 염수 농도)를 갖도록 인입수 공급펌프(10)를 통해 물을 펌핑하여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11)를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바닥면에는 수개의 격벽(52)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예를 들어 희박농도 염수 수용부(521), 중간농도 염수 수용부(522) 및 포화염수 수용부(523) 등)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와 최대로 멀리 떨어져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인 포화염수 수용부(523)에 염수 공급용 펌프(6)와 연결된 포화염수 흡입구(6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염수 저장조(5) 바닥면에는 필요에 따라 에어펌프(12)와 연결된 에어 배출구(121)를 부가 설치하여 염수 저장조(5) 내 물을 에어를 이용한 교반을 통해 염소농도가 균일하도록 희석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내부에 담수된 물에 다량의 소금을 공급하고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최소 3시간 내지 8시간) 이상 경과시켜 줌으로 인해 생성된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염수를 염수 공급용 펌프(6)를 통해 펌핑하여 인입수와 정해진 비율로 희석(2.8-3.0%의 염수 농도를 갖도록 희석)하고 이를 전기분해 조(7)로 유입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해 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5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5)의 일측부에 그 높이가 염수 저장조(5) 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방이 개구되게 성형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내부 하방부에서 중간부까지 수개의 받침돌기(84)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그 상부로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81)가 구비된 뚜껑체(82)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염수 저장조(5)로 보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물 배출공(83)은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일측 벽면 중간부와 하방부 사이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5)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외주면은 염수 저장조(5)와 같이 상방부에서 하방부로 갈수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맞보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면이 최소한 평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브리지 형태로 응고된 소금 덩어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 하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중간부에 설치된 뚜껑체(82)의 상면부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111)와 뚜껑체(112)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5)에 있는 포화염수가 전기분해조(7)로 이송될 때 원하는 염소농도(2.8-3.0%의 염수 농도)를 갖도록 인입수 공급펌프(10)를 통해 물을 펌핑하여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 수 저장조(11)를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바닥면에는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수개의 격벽(52)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예를 들어 희박농도 염수 수용부(521), 중간농도 염수 수용부(522) 및 포화염수 수용부(523) 등)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와 최대로 멀리 떨어져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인 포화염수 수용부(523)에 염수 공급용 펌프(6)와 연결된 포화염수 흡입구(6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염수 저장조(5) 바닥면에는 필요에 따라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에어펌프(12)와 연결된 에어 배출구(121)를 부가 설치하여 염수 저장조(5) 내 물을 에어를 이용한 교반을 통해 염소농도가 균일하도록 희석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전,후면에는 각각 상기 염수 공급용 펌프(6)와 포화염수 흡입구(61) 및 에어펌프(12)와 에어 배출구(121)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호스(62)(12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호스 삽입부(85)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염수 저장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지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5)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5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사각 용기 형상을 갖는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일측벽 중간부위에 수위 조 절용 플로우트밸브(81)와 뚜껑체(82)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83)은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5)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와 같이 뚜껑체(82) 자체에 플로우트밸브(81)가 설치되어 밀폐된 상태를 갖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 내의 일측벽 중간부위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83)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주게 되면, 염수 저장조(5)의 수위가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설치 위치에 부응하여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므로 염수 저장조(5) 내에서 상방향으로 큰 공간부를 갖게 되어 소금의 보충시 염수 저장조(5) 내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수 저장조(5) 및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밸브(81) 자체가 뚜껑체(82)에 의해 밀폐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에 존재하게 되므로 염수 저장조(5)로 소금을 보충시킬 때 염수 저장조(5) 및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밸브(81)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83)을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방부에 천공시켜 주는 이유는,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물 배출공(8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염수 저장조(5)의 일측 내벽을 따라 흘러내려 기 포화상태를 갖는 염수에 희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
또한,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의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7)로 송수시켜 주는 염수 공급용 펌프(6)의 포화염수 흡입구(61)는 염수 저장조(5)의 바닥면에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가 설치된 반대 측벽 하방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록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83)을 통해 배출되어 염수 저장조(5)의 일측 내벽을 따라 흘러내린다 하더라도 상기 염수 공급용 펌프(6)의 포화염수 흡입구(61)가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가 설치된 측벽 하방부에 설치된 경우 보충수에 의해 그 농도가 낮아진 염수가 포화염수에 이르기 전에 전기분해조(7)로 송급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염수 공급용 펌프(6)의 포화염수 흡입구(61)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서 공급되는 보충수의 유입측과 최대로 먼 거리에 위치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가 설치된 염수 저장조(5)의 타측벽 하방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뚜껑체(82) 상부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111)와 뚜껑체(112)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5)에 있는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7)로 송수할 때 2.8-3.0%의 염수농도를 갖도록 인입수 공급펌프(10)를 통해 물을 펌핑하여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11)를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설계할 때 희석수 저장조(11)를 염수 저장조(5)와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공지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5)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5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체적으로는 사각 용기 형상을 갖는 상기 염수 저장조(5)의 일측부에 그 높이가 염수 저장조(5) 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방이 개구되게 성형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하방부에서 중간부에 이르는 내주면에는 수개의 받침돌기(84)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그 상부로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81)가 구비된 뚜껑체(82)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상기 염수 저장조(5)로 보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물 배출공(83)은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일측 벽면 중간부와 하방부 사이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줌으로써 염수 저장조(5)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 실시 예와 달리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의 내부 높이와 같게 형성하여 염수 저장조(5)의 일측 벽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에는 수개의 받침돌기(84)를 돌출 형성하여 그 상부로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81)가 구비된 뚜껑체(82)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물 배출공(83)은 염수 저장조(5) 내벽과 근접된 일측 벽면 중간부와 하방부 사이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줌으로써 염수 저장조(5)의 수위가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우트밸브(81)의 설치 위치에 부응하여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 저장조(5) 내에 소금을 보충할 때 염수 저장조(5) 내의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염수 저장조(5) 및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밸브(81) 자체가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중간부에 설치된 뚜껑체(82)에 의해 보호되므로 염수 저장조(5)로 소금을 보충시킬 때 염수 저장조(5) 및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밸브(81)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의 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차후 염수 저장조(5)의 내부가 오염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를 염수 저장조(5)의 내부로부터 분리시키고 텅 빈 상태를 염수 저장조(5)를 청소하면 되므로 청소에 따른 불편함이 전혀 없음은 물론 염소 저장조 내부를 빠른시간 내에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8과 같이,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외주면을 염수 저장조(5)와 같이 상방부에서 하방부로 갈수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내 타측면과 서로 대향되게 맞보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면이 최소한 평행 상태가 유지되므로 비록 물을 흡수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됨으로 인해 소금이 브리지 형태로 응고된 덩어리 형태를 갖는다 하더라도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내측 타측면과 서로 대향되게 맞보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면 사이에서 브리지 형태로 응고된 소금 덩어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 하강하게 되므로 소금이 충분히 잔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금 덩어리가 물속에 침전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포화농도의 깨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내측 타측면과 서로 대향되게 맞보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면은 최소한 염수 저장조(5)의 타측면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경사면 각도가 염수 저장조(5)의 내측 타측면 경사각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중간부에 설치된 뚜껑체(82)의 상면부에 필요에 따라서는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111)와 뚜껑체(112)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5)에 있는 포화염수가 전기분해조(7)로 이송될 때 원하는 염소농도(2.8-3.0%의 염수 농도) 갖도록 인입수 공급펌프(10)를 통해 물을 펌핑하여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11)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를 설계할 때 희석수 저장조(11)를 염수 저장조(5)와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두 실시 예에 있어서 공통으로 상기 염수 저장조(5)의 바닥면에 필요에 따라서는 수개의 격벽(52)을 단차(예를 들어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격벽(52)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예를 들어 희박농도 염수 수용부(521), 중간농도 염수 수용부(522) 및 포화염수 수용부(523) 등)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로부터 최대로 멀리 떨어져 완전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인 포화염수 수용부(523)에 염수 공급용 펌프(6)와 연 결된 포화염수 흡입구(61)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항상 정해진 농도로 포화된 염수를 전기분해조로 공급할 수 있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량 및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두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염수 저장조(5) 바닥면에 필요에 따라 에어펌프(12)와 연결된 에어 배출구(121)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염수 저장조(5) 내로 보충되는 물과 기 유입되어 포화상태를 갖는 포화염수가 에어에 의해 지속적으로 교반되어 희석되는 과정의 반복 작동을 통해 염소농도가 균일하도록 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농도의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7) 측으로 계속 공급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8)의 전,후면에 호스 삽입부(85)를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한 상기 염수 공급용 펌프(6)와 포화염수 흡입구(61) 및 에어펌프(12)와 에어 배출구(121)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호스(62)(122)가 원활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정 단면 및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의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염수 저장조의 정 단면 및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염수 저장조 6 : 염수 공급용 펌프
7 : 전기분해조 8 :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10 : 인입수 공급펌프 11 : 희석수 저장조
12 : 에어펌프 51, 82, 112 : 뚜껑체
52 : 격벽 61 : 포화염수 흡입구
62, 122 : 호스 81, 111 : 플로우트밸브
83 : 물 배출공 84 : 받침돌기
85 : 호스 삽입부 121 : 에어 배출구
521 : 희박농도 염수 수용부 522 : 중간농도 염수 수용부
523 : 포화염수 수용부

Claims (10)

  1. 내부에 담수된 물에 다량의 소금을 공급하고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시켜 줌으로 인해 생성된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염수를 염수 공급용 펌프를 통해 펌핑하여 인입수와 정해진 비율로 희석하고 이를 전기분해조로 유입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해 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 내의 일측벽 중간부위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에 천공되는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벽면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상부에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에 있는 포화염수를 전기분해조로 송수할 때 원하는 염소농도를 갖도록 물을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를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는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와 최대로 멀리 떨어져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에 염수 공급용 펌프와 연결된 포화염수 흡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4. 삭제
  5. 내부에 담수된 물에 다량의 소금을 공급하고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시켜 줌으로 인해 생성된 26-30%의 포화농도를 갖는 염수를 염수 공급용 펌프를 통해 펌핑하여 인입수와 정해진 비율로 희석하고 이를 전기분해조로 유입시켜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해 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에 뚜껑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염수 저장조의 일측부에 그 높이가 염수 저장조 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방이 개구되게 성형된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중간부에는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염수 저장조로 보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물 배출공은 염수 저장조 내벽과 근접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일측 벽면 중간부와 하방부 사이 또는 바닥면에 천공시켜 염수 저장조의 수위가 항상 중간 레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 외주면은 염수 저장조와 같이 상방부에서 하방부로 갈수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염수 저장조 내에서 브리지 형태로 응고되는 소금 덩어리가 자동으로 하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내부 하방부에서 중간부까지 수개의 받침돌 기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는 뚜껑체에 설치하여 상기 받침돌기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중간부에 설치된 뚜껑체의 상면부에는 수위 조절용 플로우트밸브와 뚜껑체를 구비하고 염수 저장조에 있는 포화염수가 전기분해조로 이송될 때 원하는 염소농도를 갖도록 물을 희석시켜 주기 위한 희석수 저장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염수 저장조의 바닥면에는 수개의 격벽을 단차지게 설치하여 상기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의 저부가 염수 저장조 내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금의 포화농도에 부응하여 몇 단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되, 불포화 보충수 저장탱크와 최대로 멀리 떨어져 포화염수가 수용된 최외측 공간부에 염수 공급용 펌프와 연결된 포화염수 흡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28440A 2008-12-17 2008-12-17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KR10104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440A KR101044802B1 (ko) 2008-12-17 2008-12-17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440A KR101044802B1 (ko) 2008-12-17 2008-12-17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891A KR20100069891A (ko) 2010-06-25
KR101044802B1 true KR101044802B1 (ko) 2011-06-29

Family

ID=4236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440A KR101044802B1 (ko) 2008-12-17 2008-12-17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8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789Y1 (ko) 1997-04-25 1999-06-15 권현철 전기증기 발생장치
KR20010045789A (ko) * 1999-11-08 2001-06-05 윤종용 기준전압을 단순화한 시그마 델타 변환기
KR20020095854A (ko) * 2001-06-16 2002-12-28 임용택 간이상수도용약품주입기구조
KR100706118B1 (ko) 2006-09-13 2007-04-13 표수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789Y1 (ko) 1997-04-25 1999-06-15 권현철 전기증기 발생장치
KR20010045789A (ko) * 1999-11-08 2001-06-05 윤종용 기준전압을 단순화한 시그마 델타 변환기
KR20020095854A (ko) * 2001-06-16 2002-12-28 임용택 간이상수도용약품주입기구조
KR100706118B1 (ko) 2006-09-13 2007-04-13 표수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891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6005A (en) Electrolytic chlorinator
US5037519A (en) Electrolytic chlorine generator
US5362368A (en) Chlorine generator
US4724059A (en) Automated chlorine generator
US4500404A (en) Chlorine generator device
US4781810A (en) Advanced chlorine generating system
US4693806A (en) Chlorine generator device
AU2015268102A1 (en) Improved chemical management for swimming pools
CN208328130U (zh) 基于浮球控制阀自动补水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JP2009072755A (ja)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GB2046308A (en) Electrolytic chlorine purification of water
CN208328131U (zh) 可提高反应速率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US4363713A (en) Electrolytic halogen generators
CN208328133U (zh) 可降低盐耗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KR100736155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JP2010007281A (ja) 水洗トイレ用殺菌・洗浄装置
KR100706118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JP3818619B2 (ja) 次亜塩素酸塩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7180008B2 (ja) 塩素消毒水生成装置
KR10194137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1054711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의 염수 공급장치
KR10104480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KR101705890B1 (ko)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KR10198034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101367779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염수 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