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342B1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342B1 KR101980342B1 KR1020190015635A KR20190015635A KR101980342B1 KR 101980342 B1 KR101980342 B1 KR 101980342B1 KR 1020190015635 A KR1020190015635 A KR 1020190015635A KR 20190015635 A KR20190015635 A KR 20190015635A KR 101980342 B1 KR101980342 B1 KR 101980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support plate
- leakage
- sodium hypochlorite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을 포함하는 제품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파이프라인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 모듈에 제공되는 상부 파이프라인과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부 모듈에서 발생되는 누액이 담기기 위해 제공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엣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액이 상기 지지판의 외부로 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류벽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에서의 염소투입은 산화제, 탈취제, 탈색제 등 여러 가지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 또는 불활성시키는 소독효과가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가진 염소는 기체, 액체, 고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액화염소,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등이 있다.
이 중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이하, “차염”이라 함)은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살균장치, 일반화학 공장의 냉각용수 보일러, 담수화 공정 처리수, 발전소의 냉각수 처리, 음용수 처리, 식물 및 채소, 육류가공, 수영장외 세탁 및 제지, 가정용 표백제로 사용되는 강한 염소취를 갖는 무색투명 액체형태의 염소계 소독제이다. 이러한 차염은 바닷물 등의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염수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전기분해하면 양전극(Anode)에서는 염소가스(Cl2)가 생성되고 음전극(Cathode)에서는 수산화이온(OH-)과 수소가스(H2)가 생성된다. 발생된 수산화이온은 나트륨이온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생성하고, 양전극에서 발생되는 염소가스와 음전극에서 생성된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차염 용액이 생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극 : 2Cl- → Cl2 + 2e-
(-)극 : 2H2O + 2e- → H2 + 2OH- / 2Na+ + 2OH- → 2NaOH
NaOCl 생성 반응 : 2NaOH + Cl2 → NaOCl + Cl- + Na+ + H2O
전체 반응 : 2NaCl + 2H2O → NaOCl + NaCl + H2O + H2
이러한 원리로 차염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염을 생성하기 때문에, 액화 염소와 같이 위험물 취급에 따른 인력 및 운반 등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차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차염 발생 장치의 일 예가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741120호(2017.05.23))에 개시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염 발생 장치는, 브라인 탱크, 연수기, 염수희석모듈, 전기분해조 및 저장탱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염 발생 장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구조로서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로 구성되어 상부 모듈에 전기분해조가 포함되고, 하부 모듈에 염수희석모듈, 염수 공급 펍프, 전도도 센서 등이 구성되는 구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하 모듈로 구분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차염 발생 장치에서는 하부 모듈에 대부분의 배관 설비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관 설비들에서 누액이 발생될 경우, 염도가 높은 염수나 발생중인 차염의 누액에 의해 장치 내 설비들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차염 발생 장치에서 누액이 발생될 경우 이를 조기에 감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써, 하부 모듈에서 누액이 발생될 경우 이를 조기에 감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누액이 발생되면 이것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을 포함하는 제품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파이프라인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 모듈에 제공되는 상부 파이프라인과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부 모듈에서 발생되는 누액이 담기기 위해 제공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엣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액이 상기 지지판의 외부로 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류벽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지지판 상에 담긴 누액을 감지하는 누액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누액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센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하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지지대는 상기 저면 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판 상에 담긴 누액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방류벽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굴곡져서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조인트; 및 상기 상부 조인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희석염수가 상기 상부 조인트를 통해 상기 상부 파이프라인으로 투입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상에는 유량계, 전도도 센서, 전해액 희석 유닛, 유량 제어 밸브, 염수 공급 펌프, 압력 조절 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지되고, 상기 유량계, 상기 전도도 센서, 상기 전해액 희석 유닛,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상기 염수 공급 펌프, 상기 압력 조절 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있어서 하부 모듈에서 누액이 발생될 경우 이를 조기에 감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내에서 누액이 발생되면 이것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서 하부 모듈이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서 하부 모듈이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측 등의 방향 표현은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는 소정의 수준으로 희석된 염수의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는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져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모듈(10)과 하부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모듈(10)은 연수와 염수가 혼합된 희석 염수를 공급받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는 전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부 모듈(10)의 각 부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하부 모듈에서 만들어진 희석염수의 공급량을 보여주는 플로우트식 유량계(시량계), 공급된 희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 및 발생된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차염저장부로 내보내는 배출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부는 연수와 염수가 혼합된 희석 염수를 공급받아 전기분해 함으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전해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해부의 전해조는 공급되는 희석 염수의 전기 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거나, 적어도 둘 이상 직렬로 구비되어 전단의 전해조에서 1차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고, 후단의 전해조에서는 전단의 전해조에서 미처 발생시키지 못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는 전해조의 개수는 전해조의 길이방향 크기 또는 처리용량에 따라 다양한 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파이프라인(12)은 후술할 하부 모듈(20)의 하부 파이프라인(300)과 조인트(2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부 모듈(10)의 하측에는 하부 모듈(2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모듈(20)은 저판(22) 및 하부 모듈(20) 내의 저판(22) 상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 공간(14)에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00)는 수용 공간(24)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트레이(100) 또는 저판(22) 상에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저판(22) 상에 또는 트레이(100)에 휠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부 모듈(20)은 예를 들어, 유량계(400), 전도도 센서(500), 전해액 희석 유닛(600), 유량 제어 밸브(700), 염수 공급 펌프(800) 및 압력 조절 밸브 (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하부 모듈(20)로 공급되는 연수는 유량 제어 밸브(700)에 의해 적절한 유량으로 제어되어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염수는 염수 공급 펌프(800)에 의해 펌핑된 후, 압력 조절 밸브(900)에 의해 공급 압력이 적정한 수준으로 제어되면서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 공급된 염수와 연수는 혼합되어 희석 염수로서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되는 희석 염수는 전도도 센서(500)를 거치게 되고, 전도도 센서(500)는 통과하는 희석 염수의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도도 센서(500)를 통과한 희석 염수는 유량계(400)에 의해 적정한 유량으로 제어되어 상부 모듈(10)로 공급되어 전해조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전도도 센서(500)에 의해 측정된 희석 염수의 전도도에 따라 유량계(400)에서 적정한 수준의 희석 염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계의 제어를 위해 소정의 프로세서가 상부 모듈(10) 또는 하부 모듈(20)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량계(400), 전도도 센서(500), 전해액 희석 유닛(600), 유량 제어 밸브(700), 염수 공급 펌프(800), 압력 조절 밸브(9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트레이(10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유량계(400), 전도도 센서(500), 전해액 희석 유닛(600), 유량 제어 밸브(700), 염수 공급 펌프(800), 압력 조절 밸브(9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부 파이프라인(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량계(400), 전도도 센서(500), 전해액 희석 유닛(600), 유량 제어 밸브(700), 염수 공급 펌프(800), 압력 조절 밸브(900)는 하부 파이프라인(3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서로 유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100)는 지지판(110), 방류벽(120), 배출 밸브(130), 누액 감지 센서(140) 및 센서 지지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0)은 하부 모듈(20)에서 발생되는 누액이 담기기 위해 제공되며, 트레이(100)의 저면을 구성한다. 또한, 지지판(110)은 대체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측에 경사면(112) 및 저면(114)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2)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면(114)은 경사면(112)의 하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모듈(10) 또는 하부 모듈(20)로부터 누액이 발생되면, 경사면(112)을 따라 흘러서 저면(114) 상으로 누액이 수집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누액은 배출 밸브(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면(112) 및 저면(114)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방류벽(120)은 지지판(110)의 엣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누액이 지지판(110)의 외부로 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지지판(110) 상에 발생된 누액이 배출 밸브(130)를 통해서가 아닌 지지판(110)의 엣지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월류되는 것이 방류벽(12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의 정상 가동시 누액이 발생되더라도 누액이 월류되어 장치 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배출 밸브(130)는 지지판(110) 상에 담긴 누액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배출 밸브(130)는 저면(1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센서 지지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면(114)에 수집된 누액이 배출 밸브(130)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누액 감지 센서(140)는 지지판(110) 상에 제공되고, 지지판(110) 상에 담긴 누액을 감지한다. 이러한 누액 감지 센서(140)는 저면(114) 상에 제공되어 저면(114)에 수집된 누액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액 감지 센서(140)는 전도성 전극봉으로 두 개의 센싱 라인이 구성되어, 두 센싱 라인이 누액과 접촉하면 전류 흐름이 발생됨에 따라 누액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지지대(150)는 지지판(110)의 상면과 연결되어 지지판(110)에 의해 지지되고, 누액 감지 센서(140)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대(150)는 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누액 감지 센서(14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하측으로는 누액이 통과될 수 있으며, 누액 감지 센서(140)로부터 돌출된 센싱 라인이 센서 지지대(15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면(114)으로 수집되는 누액을 확실히 감지하기 위해, 센서 지지대(150)는 저면(114) 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0')의 구성이 도시된다. 이러한 트레이(100')는 차단벽(160)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트레이(100)와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을 원용한다.
차단벽(160)은 방류벽(120)의 상측 단부로부터 지지판(11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굴곡져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벽(160)은 트레이(100')의 모든 엣지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 엣지에 대해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차단벽(160)에 의해 트레이(100') 상에 수용된 누액이 외부로 월류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으로 돌아오면, 하부 모듈(20)의 조인트(200)는 트레이(100)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파이프라인(300)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부 모듈(10)에 제공되는 상부 파이프라인(12)과 하부 파이프라인(30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200)는 상부 조인트(210) 및 하부 조인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조인트(210)는 하부 파이프라인(3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며,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부터 상부 모듈(10)의 전해부로 희석 염수가 공급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조인트(220)는 상부 조인트(2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연수 투입구(222), 염수 투입구(224) 및 배출구(226)를 포함할 수 있다.
연수 투입구(2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수가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염수 투입구(22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염수가 전해액 희석 유닛(600)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26)는 운전 중 장치의 동작이상이 발생하거나 누액이 발생하여 장치의 운전을 정지 시킬 경우, 하부 모듈을 수용공간에서 분리하기 전에 전해조와 상부 및 하부 배관 내부에 있는 모든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외부의 드레인 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의 정상 가동시에는, 하부 모듈(20)이 수용 공간(24) 내에 수용되고, 상부 파이프라인(12)과 하부 파이프라인(300)이 조인트(20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의 차염 생산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모듈(20)에 이상이 생겼거나, 누액이 발생되어 트레이(100)에 누액이 수용된 경우, 누액 감지 센서(140)에 의해 감지되어 관리자에게 소정의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가 누액 발생 사실을 인지한 후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1)의 가동을 중지하고, 배출 밸브(130)를 통해 누액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트레이(100)를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시켜서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는, 하부 모듈에서 누액이 발생될 경우 이를 조기에 감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내에서 누액이 발생되면 이것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소재,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으로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 장치 10: 상부 모듈
20: 하부 모듈 100: 트레이
110: 지지판 120: 방류벽
130: 배출 밸브 140: 누액 감지 센서
150: 센서 지지대 160: 차단벽
200: 조인트 210: 상부 조인트
220: 하부 조인트 222: 연수 투입구
224: 염수 투입구 226: 배출구
400: 유량계 500: 전도도 센서
600: 전해액 희석 유닛 700: 유량 제어 밸브
800: 염수 공급 펌프 900: 압력 조절 밸브
20: 하부 모듈 100: 트레이
110: 지지판 120: 방류벽
130: 배출 밸브 140: 누액 감지 센서
150: 센서 지지대 160: 차단벽
200: 조인트 210: 상부 조인트
220: 하부 조인트 222: 연수 투입구
224: 염수 투입구 226: 배출구
400: 유량계 500: 전도도 센서
600: 전해액 희석 유닛 700: 유량 제어 밸브
800: 염수 공급 펌프 900: 압력 조절 밸브
Claims (10)
- 희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발생시키는 전기분해조를 포함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의 하측에 제공되는 상기 하부 모듈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
염수와 연수를 혼합하여 상기 희석염수를 공급하는 전해액 희석 유닛; 및
상기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파이프라인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상부 모듈에 제공되는 상부 파이프라인과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부 모듈에서 발생되는 누액이 담기기 위해 제공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담긴 누액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배출 밸브;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하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저면; 및
상기 지지판의 엣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액이 상기 지지판의 외부로 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류벽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상에는 유량계, 전도도 센서, 상기 전해액 희석 유닛, 유량 제어 밸브, 염수 공급 펌프, 압력 조절 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지되며,
상기 유량계, 상기 전도도 센서, 상기 전해액 희석 유닛, 상기 유량 제어 밸브, 상기 염수 공급 펌프, 상기 압력 조절 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상부파이프라인과 상기 하부파이프라인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희석염수의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지지판 상에 담긴 누액을 감지하는 누액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누액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센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대는 상기 저면 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방류벽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굴곡져서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하부 파이프라인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조인트; 및
상기 상부 조인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635A KR101980342B1 (ko) | 2019-02-11 | 2019-02-11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635A KR101980342B1 (ko) | 2019-02-11 | 2019-02-11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0342B1 true KR101980342B1 (ko) | 2019-05-20 |
Family
ID=6667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5635A KR101980342B1 (ko) | 2019-02-11 | 2019-02-11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03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01466A1 (en) * | 2020-11-16 | 2022-05-25 |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 Electrolysis arrangemen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7604A (ja) * | 2007-05-31 | 2008-12-1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海水電解装置 |
KR100904682B1 (ko) * | 2008-12-09 | 2009-06-24 | (주) 아큐스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JP2014076834A (ja) * | 2012-10-11 | 2014-05-01 | Air Water Inc | 飲料水ディスペンサの水報知機構 |
KR101741120B1 (ko) | 2017-03-27 | 2017-05-29 | (주) 아큐스 |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
KR20180020530A (ko) * | 2016-08-18 | 2018-02-28 | 주식회사 제이오텍 | 액체 공급 장치 |
-
2019
- 2019-02-11 KR KR1020190015635A patent/KR1019803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7604A (ja) * | 2007-05-31 | 2008-12-1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海水電解装置 |
KR100904682B1 (ko) * | 2008-12-09 | 2009-06-24 | (주) 아큐스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JP2014076834A (ja) * | 2012-10-11 | 2014-05-01 | Air Water Inc | 飲料水ディスペンサの水報知機構 |
KR20180020530A (ko) * | 2016-08-18 | 2018-02-28 | 주식회사 제이오텍 | 액체 공급 장치 |
KR101741120B1 (ko) | 2017-03-27 | 2017-05-29 | (주) 아큐스 |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01466A1 (en) * | 2020-11-16 | 2022-05-25 |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 Electrolysis arrang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78159B2 (ja) | 電解式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 |
KR101118795B1 (ko) | 소독부산물 저감형 고효율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 |
PL176918B1 (pl) | Ogniwo elektrolityczne do produkcji mieszaniny gazu utleniającego | |
KR101361651B1 (ko) | 양극성 막을 사용하는 해수 전해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차아염소산 용액과 수소의 제조방법 | |
KR101600037B1 (ko) |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 | |
JPH10140384A (ja) | 電解による強アルカリ水と次亜塩素酸殺菌水の同時生成装置 | |
JP2010115639A (ja) | ペーハー調整方法および装置 | |
KR20130110359A (ko) | 해수 전해 장치 | |
EP1461291B1 (en) | Electrolytic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water in a water supply system by means of the generation of active chlorine | |
KR101980342B1 (ko)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
JP2005177672A (ja) | 電解式オゾナイザ | |
KR101371616B1 (ko) |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차염 희석구조 | |
KR101763351B1 (ko) |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 |
WO2008032946A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 |
KR100706118B1 (ko) |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의 물 보충장치 | |
JP7180008B2 (ja) | 塩素消毒水生成装置 | |
JP4394941B2 (ja) | 電解式オゾナイザ | |
KR100250539B1 (ko) | 차아염소산의 생성시스템 | |
RU211048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воды | |
GB2445940A (en) | An electrochlorinator | |
KR101390651B1 (ko) | 메쉬전극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 |
KR101313698B1 (ko) |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 |
JPH0699174A (ja) | 殺菌水製造用電解反応ユニット | |
KR101054711B1 (ko) |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의 염수 공급장치 | |
KR101367779B1 (ko) |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염수 공급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