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530A - 액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530A
KR20180020530A KR1020160104986A KR20160104986A KR20180020530A KR 20180020530 A KR20180020530 A KR 20180020530A KR 1020160104986 A KR1020160104986 A KR 1020160104986A KR 20160104986 A KR20160104986 A KR 20160104986A KR 20180020530 A KR20180020530 A KR 2018002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quid
storage tank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241B1 (ko
Inventor
신현주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오텍
Priority to KR102016010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2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일정량의 액체를 저류할 수 있는 용기 형태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 내에 위치하여 급수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누수에 의한 트레이 바닥의 액체 유무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누수 차단 벨브;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누수 차단 벨브를 통과한 액체를 저장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로부터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전;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저류조와 급수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조로부터의 액체를 급수전을 통해 압송하는 펌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 공급 장치{Supplying Device of Liquid material}
본 발명은 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험실이나 연구실 등에서 사용하는 멸균기, 인큐베이터, 항습기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되는 액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 공급 장치는 수전으로부터의 물을 일정량씩 저장하는 저류조와 저류조로부터의 물을 압송하는 펌프, 그리고 그 중간에 배수 경로를 차단하는 체크벨브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액체 공급 장치는 대부분 항습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물 공급이 필요한 시설에 대해 부속 장치로 사용된다.
종래 액체 공급 장치의 문제는 누수에 대한 방지책이 미비하다는 점이다. 수전으로부터 저류조-압송 펌프-급수관에 이르는 급수 경로에는 여러 부품이 연결 부품과 함께 존재하게 되는데, 오랜 사용으로 누수가 발생했을 때 이에 대처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실례로 본 출원인의 연구실에서, 24시간 가동되는 항습기에 종래 액체 공급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에 출근하였더니 액체 공급 장치의 오래된 배관 연결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여 밤새 누수가 발생하였었다. 이로 인해 연구실 전체 바닥이 물이 가득하였고 이로 인해 큰 물적 피해를 입었었다.
본 발명은 누수에 대해 원천적으로 안전한 관리가 가능한 액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일정량의 액체를 저류할 수 있는 용기 형태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 내에 위치하여 급수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누수에 의한 트레이 바닥의 액체 유무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누수 차단 벨브;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누수 차단 벨브를 통과한 액체를 저장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로부터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전;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저류조와 급수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조로부터의 액체를 급수전을 통해 압송하는 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누수차단 벨브, 저류조, 펌프 그리고 이들 부품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누액이 발생했을 대, 누액이 상기 트레이에 고이도록 하고, 상기 누수 차단 벨브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와 급수전의 사이에 펌프와 급수전 사이의 급수 경로를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벨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누수 차단 벨브와 저류조의 사이에 급수 압력을 강하하는 감압벨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가 그 하부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방에 상기 저류조가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의 바닥의 가까이에 감압 벨브, 상기 펌프, 솔레노이드 벨브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경로 상에 여러 부품이 사용됨으로써 연결 부분 및 각 부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또는 누액을 트레이에 의해 일정량 수용토록하고, 누액 또는 누수가 발생했을 때 즉시 누수 차단 벨브를 작동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액체 공급을 방지하고, 따라서 트레이에 약간 고이는 정도 이상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액체 공급 장치가 사용되는 인큐베이터, 멸균기, 항습기 등 연구실 또는 실험실에서의 누수에 따른 막대한 손실을 방지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에서 급수 경로를 중심으로 전제 부품의 개략적 배열 및 연결 상태를 보인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에서, 하우징 내부의 주요 부품의 배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에서 트레이와 이에 지지되는 부품 들의 배치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에서, 보다 구체적인 부품의 배치 및 급수관 연결 구조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에서 급수 경로를 중심으로 전제 부품의 개략적 배열 및 연결 상태를 보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100)는 저류조(130)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급수원(1)과 출수전(2)의 사이에 위치한다.
급수원(1) 측의 수전(급수 벨브, 161)와 저류조(130)의 사이에는 누수 차단 벨브(110), 누수 차단 벨브(110)로 부터의 급수 압력을 일정치 이하로 감압하는 감압벨브(120)가 위치한다. 상기 저류조(130)는 일정량의 물 또는 액체 만을 저장하도록수위를 조절하는 소위 플로팅 벨브(floating valve) 또는 부력식 볼탭 벨브(131)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저류조(130)의 하부에는 저류조(130)로부터의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140) 그리고 송수 경로를 원격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벨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벨브(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펌프(140)와 솔레노이브 벨브(150)는, 타이머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80)에 의해 주어진 시간 펌프가 작동하면서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게 되는데, 펌프(140)가 작동하기 전에 솔레노이드 벨브(150)가 먼저 개방되며, 펌프(140)가 작동 중단된 직후에는 솔레노이브 벨브(150)가 작동하여 송수 경로를 완전 차단한다.
이와 같이 펌프(140)가 작동 정지한 후 솔레이이드 벨브(150) 차단되는 것은펌프(140)를 통한 약간의 액체 통과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된 구조를 다시 살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100)는, 그 모든 부품이 트레이(190)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누수 차단 벨브(110)는 트레이(19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서, 트레이(190)에 고이는 액체 또는 누수를 검출하고, 누수가 검출되면 즉시 작동하여 급수원(1)으로부터의 원수를 완전 차단한다.
누액 또는 누수는 위에서 언급된 송수 또는 급수 경로 상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부품 자체의 노후, 그리고 부품과 부품을 잇는 배수경로(배수관)의 이음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가 발생되었을 초기에 급수원(1)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누수 차단 벨브(110)를 통해 급수를 중단함으로써 트레이 내부에 약간의 누수 발생 후, 더 이상의 누수가 방지되게 된다.
이하, 실제 구조의 액체 공급 장치(100)의 외관을 살펴본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100)는 하나의 단품, 즉 완성체로서 항습기, 인큐베이터 등에 부설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공급 장치(100)는 전면판(101), 배면판(103), 상판(102), 좌,우측판(104, 105)등을 포함하는 육면체 하우징을 갖는다.
도면에서 좌측의 일측판(104)에는 내부 부품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블록(Terminal block, 106)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하부 측에 급수원(1)으로부터의 급수관이 통과하는 인입부(104a)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내부에는 도1에서 설명된 요소들이 설치된다.
도3은 상기 하우징에서 배면판(103)을 남기고 전면판(101), 상판(102), 좌우측판(104, 105)이 제거된 상태로 내부 주요 부품의 배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배면판(103)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판(10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106)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높이의 플랜지(106a)가 벤딩(절곡)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는 배면판(103)의 상방에 저류조(1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출수구(131)가 위치하는 저류조(13)의 하방에 누수 차단 벨브(110), 감압 벨브(120), 펌프(140) 및 솔레노이드 벨드(15)가 위치한다.
상기 누수 차단 벨브(110), 감압 벨브(120), 펌프(140) 및 솔레노이드 벨드(15)는 별도로 부품으로 된 트레이(190)에 설치되는데, 트레이(190)의 후측에는 트레이(190)를 하우징의 배면판(103)에 맞대어져 고정되는 고정판(191)이 마련되어 있다.
도4는 트레이(190)와 이에 지지되는 부품 들의 배치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190)의 가장자리에는 누수된 액체가 고일 수 있는 누수 저류 공간을 위한 벽체(191)가 소정 높이 에워싸여 있다. 상기 트레이(190)의 바닥에 누수 차단 벨브(110)가 설치되어 있어서, 트레이(190) 바닥에 누수가 고일 때에 이를 검출하여 급수원(10)으로부터 저류조(130)로 공급되는 액체 유동을 차단한다.
누수 차단 벨브(110) 우측의 지지앵글(151) 위에 누수 차단 벨브(110)와 비슷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감압 벨브(120)가 설치되며, 이는 누수 차단 벨브(110)과 급수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감압 벨브(120)를 통과한 공급수는 그 상부의 저류조(130)로 공급된다. 저류조(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위 볼탭 등에 의해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부의 출수구(131)는 펌프(140)에 연결되며, 펌프(140)는 솔레노이드 벨브(120)에 연결된다.
도5는 좀 더 구체적으로 배관이 연결된 상태의 액체 공급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저류조(130)의 상방에 감압 벨브(120)로 부터의 급수관이 연력되어 있다. 저류조(13)의 상방에는 전술한 볼탭이 마련되어 있어서 급수관으로부터의 액체 또는 물을 제한적으로 받아들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트레이가 하부에 마련되는 프레임(17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70)이 상방에 상기 저류조(130)가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190)의 바닥의 가까이에 감압 벨브(120), 펌프,(140) 솔레노이드 벨브(12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
상기 감압벨브(120)는 누수 차단 벨브(110)를 통해서 급수원(1)에 연결된 원수 공급관(202)에 연결되는 되는데, 누수 차단 벨브(110)는 트레이(190)의 바닥에설치되어 트레이(190) 고여있는 액체 유무를 검출하고, 액체가 검출되면 즉시 급수 경로를 차단하여 감압 벨브(120)로의 원수 공급을 차단한다. 이러한 원수의 차단은 액체 공급 장치(100)의 초단부분이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액체 공급 장치(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액체 공급을 위한 부품과 이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배관 연결구를 가지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 액체가 이르기 전에 장치 입구 부분에서부터 액체를 완전하게 차단하다.
한편, 전류조(130)의 하부에 마련된 출수구(131)로부터의 액체는 펌프(140)를 통해 출수관(203) 또는 이에 연결되는 출수전(162)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 진다.
여기에서, 상기 펌프(140)과 솔레노이드벨브(150)는 제어 회로에 의해 작동이 되며, 펌프(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솔레노이드벨브(15)가 작동하여 액체 흐름을 완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경로 상에 여러 부품이 사용됨으로써 연결 부분 및 각 부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또는 누액을 트레이에 의해 일정량 수용토록하고, 누액 또는 누수가 발생했을 때 즉시 누수 차단 벨브를 작동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액체 공급을 방지하고, 따라서 트레이에 약간 고이는 정도 이상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액체 공급 장치가 사용되는 인큐베이터, 멸균기, 항습기 등 연구실 또는 실험실에서의 누수에 따른 막대한 손실을 방지한다.
위의 본 발명의 구조에서 트레이는 누수 차단 벨브에 의해 검출된 수 있는 정도의 액체를 모아 둘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하여, 액체가 소정량 고일 수 있는 구조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있다 볼 수 있다.
100: 액체 공급 장치
110: 누수 차단 벨브
120: 감압 벨브
130: 저류조
140: 펌프
150: 솔레노이드 벨브
170: 프레임
180: 제어부
190: 트레이 (누수 검출 용기)
201, 202, 203: 급수관

Claims (5)

  1. 일정량의 액체를 저류할 수 있는 용기 형태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 내에 위치하여 급수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누수에 의한 트레이 바닥의 액체 유무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누수 차단 벨브;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누수 차단 벨브를 통과한 액체를 저장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로부터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전;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저류조와 급수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저류조로부터의 액체를 급수전을 통해 압송하는 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누수차단 벨브, 저류조, 펌프 그리고 이들 부품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누액이 발생했을 대, 누액이 상기 트레이에 고이도록 하고, 상기 누수 차단 벨브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액체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급수전의 사이에 펌프와 급수전 사이의 급수 경로를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벨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차단 벨브와 저류조의 사이에 급수 압력을 강하하는 감압 벨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하부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방에 상기 저류조가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의 바닥의 가까이에 감압 벨브, 상기 펌프, 솔레노이드 벨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하부에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방에 상기 저류조가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의 바닥의 가까이에 감압 벨브, 상기 펌프, 솔레노이드 벨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KR1020160104986A 2016-08-18 2016-08-18 액체 공급 장치 KR101932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86A KR101932241B1 (ko) 2016-08-18 2016-08-18 액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86A KR101932241B1 (ko) 2016-08-18 2016-08-18 액체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30A true KR20180020530A (ko) 2018-02-28
KR101932241B1 KR101932241B1 (ko) 2019-03-20

Family

ID=6140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986A KR101932241B1 (ko) 2016-08-18 2016-08-18 액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42B1 (ko) * 2019-02-11 2019-05-20 (주)아큐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394A (ja) * 2005-03-09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KR20090002858A (ko) * 2007-07-04 2009-01-09 이재영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KR100942811B1 (ko) * 2009-08-18 2010-02-18 (주)삼원씨앤지 건물 급수 설비의 누수 감지 차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394A (ja) * 2005-03-09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KR20090002858A (ko) * 2007-07-04 2009-01-09 이재영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KR100942811B1 (ko) * 2009-08-18 2010-02-18 (주)삼원씨앤지 건물 급수 설비의 누수 감지 차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42B1 (ko) * 2019-02-11 2019-05-20 (주)아큐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241B1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9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endoscopes
US20070224050A1 (en) Condensate pump
TW200744525A (en) Apparatus for deactivating instruments and devices
US20150114490A1 (en) Water management system
US20110284094A1 (en) Liquid leak control appliance pedestal
US20130263794A1 (en) Volume based automatic animal watering system
KR101932241B1 (ko) 액체 공급 장치
CN100566649C (zh) 餐具清洗机
US2570934A (en) Toilet deodorizer
JP4967836B2 (ja) 浴室
KR10261506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872173B2 (en) Nursing machine host and nursing machine to which same belongs
BR112019010423A2 (pt) arranjo para acumulação e escoamento de água de descongelamento e condensação de unidades de refrigeração e arrefecimento
KR102043238B1 (ko) 액체 공급 장치
US20100275820A1 (en) Receiving apparatus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US20160227747A1 (en) Water inlet system for an aquarium, a siphon stopper and a method of attaching the system to an aquarium
RU2011153750A (ru) Промы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чистки сосков
JP5734248B2 (ja) 薬液注入装置
CN205027489U (zh) 原位清洗系统的自动检漏系统
KR20100019263A (ko) 자연여과식 정수기
JP2010053543A (ja) 浴槽の残り湯利用装置
JP2008128155A (ja) 屋内燃料タンクを備えたエンジン発電装置
CN209127381U (zh) 处理水中转存储系统
JP2019142526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およびその給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