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263A - 자연여과식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연여과식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263A
KR20100019263A KR1020080078202A KR20080078202A KR20100019263A KR 20100019263 A KR20100019263 A KR 20100019263A KR 1020080078202 A KR1020080078202 A KR 1020080078202A KR 20080078202 A KR20080078202 A KR 20080078202A KR 20100019263 A KR20100019263 A KR 2010001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hole
case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020B1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KR102008007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0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수도배관을 연결하지 않고 탱크 내에 저장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는 자연여과식 정수기로서, 특히 정수의 저장용량이 크게 늘어나는 동시에 정수소진 또는 원수보충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언제나 충분한 양의 정수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제 1 탱크와; 상기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매개로 상기 제 1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제 2 탱크와; 펌프를 매개로 상기 제 2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탱크의 정수가 공급 저장되며 출수콕이 설치된 제 3 탱크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탱크 각각에 내장되는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콘트롤회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여과식 정수기{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수도배관을 연결하지 않고 탱크 내에 저장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는 자연여과식 정수기로서, 특히 정수의 저장용량이 크게 늘어나는 동시에 정수소진 또는 원수보충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언제나 충분한 양의 정수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널리 활용되는 정수기(water cleaner)는 수돗물 등의 원수(原水)를 '먹는물관리법' 제5조 제3항 규정에 적합한 음용수로 정화하는 장치로서, 그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때,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원수가 공급되는 수도배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해서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고,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일정용량의 원수를 저장해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는다. 그리고 증류식은 원수를 끓여 수증기를 수집하는 방식을 취하며, 역삼투압식은 멤 브레인(membrane)이라 불리는 반투막을 이용해서 원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한편, 특수용도에 한정되는 증류식과 역삼투압식 정수기를 제외하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수기는 직결여과식과 자연여과식 정수기이지만, 이들 각각은 용도에 따른 쓰임이 다르다.
즉,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수도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으므로 수도배관의 연결이 쉽고 물 사용이 많은 장소에 주로 설치되는 반면,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별도의 수도배관 없이 그 내부에 저장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방식을 나타내는바, 건물구조상 수도배관이 없거나 연결이 용이치 않은 장소 또는 전산실, 기계실 등 누수로 인해 치명적 손해가 예상되는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때문에 자연여과식 정수기에는 직결여과식과 달리 원수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탱크가 내장되며, 이로 인해 흔히 탱크형 정수기 또는 등나무 정수기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특히 직결여과식 정수기와 비교해서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야외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을 나타낸다.
하지만,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그 정수방식상 몇 가지 불편함이 존재하는데, 원수저장용량에 한계가 있어 원수를 자주 보충해야하고, 정수가 소진된 경우에는 원수보충에 따른 정수 생성시까지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원수 저장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이로 인해 제품 디자인에 제약이 나타나고,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하지 않는 이상 정수소진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발생될 여지가 많으며, 원수 를 자주 보충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아울러,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탱크 등에 상시적으로 물이 충만되는 관계로 물때 등의 오염은 물론 세균번식가능성이 크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수기 내부의 정수와 원수를 완전히 비운 후 실질적으로 정수기 전체를 분해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의 소모가 크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장 가능한 정수의 용량을 크게 늘리는 동시에 정수소진 내지는 원수보충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언제나 충분한 양의 정수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여과식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분해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정수기 내부를 간편히 살균 소독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지 관리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제 1 탱크와; 상기 제 1 탱크의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매개로 상기 제 1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정화에 따른 정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제 2 탱크와; 펌프를 매개로 상기 제 2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탱크 의 상기 정수가 공급 및 저장되며 출수콕이 설치된 제 3 탱크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탱크 각각에 내장되는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고 제 3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고, 제 2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원수공급요청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표시유닛을 통해 상기 원수공급요청메지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원수공급요청메지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와, 상기 원수공급요청메지시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구동시간을 토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상기 원수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는 상하로 결합되어 경계면에 관통된 필터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홀에 관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홀에 관통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상단에 결합되는 돔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메인하우징 하단에 복수 개가 차례로 결합되고, 각각의 저면에 복수의 홀이 관통된 버 툼하우징과; 상기 버툼하우징에 각각 내장되는 필터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3 탱크에 내장되는 자외선램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탱크의 저면에는 제 1 램프홀이 관통되고, 상기 자외선램프어셈블리는, 자외선램프 및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제 1 램프홀에 관통 삽입되는 나사플렌지가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 3 탱크의 외부 저면에 밀착되는 램프박스와; 상기 램프박스 상단의 상기 나사플렌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자외선램프를 수용하는 투명 램프하우징과; 상기 제 3 탱크 내에서 상기 나사플렌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3 탱크의 내부 저면에 밀착되는 너트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플로트센서가 일정 이하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자외선램프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탱크 저면에는 정수홀이 관통되고, 상기 정수홀과 연결되는 정수배출홀이 관통된 채 상기 제 3 탱크를 지지하고, 그 저면에 상기 정수배출홀을 연장하는 정수배출하우징이 마련된 유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출수콕은 상기 정수배출하우징의 말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로플레이트 저면으로부터 상기 정수배출하우징을 관통해서 상기 정수홀에 유격있게 삽입되는 정수공급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펌프는 상기 정수공급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수공급구가 관통 삽입되는 너트홀이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제 3 탱크 내부의 상기 정수홀에 설치되고, 외면을 따라 상기 정수홀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단이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 사이사이로 상기 정수홀을 노출시키는 너트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콕을 제외한 나머지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바닥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상기 유로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걸림단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와; 상기 출수콕을 노출시키며 전면을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마주보며 후면을 덮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탑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 전면에 결합되는 컨트롤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는 상하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 안착되고, 상기 제 3 탱크는 상기 제 1 탱크의 선단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탑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탱크와 연결되는 원수공급홀과; 상기 원수공급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탑케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리드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 저장을 위한 제 1 탱크와, 정수 저장을 위한 제 2 및 제 3 탱크를 사용함에 따라 저장 가능한 정수의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는 한편, 제 1 내지 제 3 탱크 각각에 내장된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의 감지결과를 일정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정수소진 내지는 원수보충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언제나 충분한 양의 정수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분해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제 3 탱크에 내장된 자외선램프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정수기 내부를 간편히 살균 소독할 수 있고, 정수사용량에 근거한 정확한 필터교체시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에 따라 최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이하, 간략하게 정수기라 한다.)의 블럭도로서, 제 1 내지 제 3 탱크(T1~T3)와, 필터어셈블리(F)와, 출수콕(C)과, 제어부를 포함한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내지 제 3 탱크(T1~T3)는 차례로 연결되어 정해진 종류의 물이 각각 저장되는 부분으로, 제 1 탱크(T1)로는 외부의 원수가 공급 및 저장되고, 제 2 탱크(T2)로는 제 1 탱크(T1)에 저장된 원수의 정화에 따른 정수가 공급 및 저장되며, 제 3 탱크(T3)로는 제 2 탱크(T2)에 저장된 원수가 공급 및 저장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탱크(T1,T2)는 상하로 결합되어 그 사이의 경계면에 관통된 필터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 3 탱크(T2)는 제 1 및 제 2 탱크(T1,T2)와 분리되어 펌프(P)가 설치된 튜브 등의 연결관(28)을 통해 제 2 탱크(T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중 제 1 및 제 2 탱크(T1,T2) 사이로는 필터어셈블리(F)가 개재되 며, 여기에는 원수의 정화를 위한 복수의 필터가 내장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필터어셈블리(F)는 제 1 및 제 2 탱크(T1,T2)를 연결하는 필터홀에 관통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탱크(T1,T2)를 연결하는 관로의 역할을 겸할 수 있고, 그 결과 제 1 탱크(T1)에 저장된 원수는 그 자체하중에 의해 필터어셈블리(F)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정수로 변화되어 제 2 탱크(T2)로 공급 및 저장된다.
또한 제 3 탱크(T3) 일측에는 출수콕(C)이 설치되어 제 3 탱크(T3)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최종 공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출수콕(C)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온/오프 되는 콕 밸브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출수콕(C)을 수동 조작해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제 3 탱크(T3)의 정수를 사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제 1 내지 제 3 탱크(T1~T3) 각각에 내장되어 해당 탱크(T1~T3)의 내부수위를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와, 소정의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펌프(P)를 적절히 제어하는 콘트롤회로(150)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입력유닛(156)과 정수기 사용에 필요한 메시지, 예컨대 원수공급요청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표시유닛(158)이 마련되어 콘트롤회로(150)와 연동될 수 있는데, 일례로 입력유닛(156)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누르는 횟수와 시간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기(旣) 지정된 지시가 입력되는 방식일 수 있고, 표시유닛(158)은 LCD 및/또는 스피 커 등으로 이루어져 원수공급요청메시지 등을 문자, 도형, 숫자와 같은 시각적 요소로 표시하거나 소리, 음성과 같은 청각적 요소로 표현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콘트롤회로(150)는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의 감지결과와 입력유닛(156)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펌프(P)를 적절히 제어하는 한편,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의 감지결과에 따라 표시유닛(158)을 통해 원수공급요청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우선 가장 기본적인 내용으로서, 사용자가 제 1 탱크(T1)로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의 자체하중에 의해 필터어셈블리(F)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되어 제 2 탱크(T2)로 저장되고, 펌프(P)의 구동에 의해 제 2 탱크(T2)의 정수는 제 3 탱크(T3)로 공급 및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콕(C)을 수동 조작에서 제 3 탱크(T3)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한다.
이 과정 중에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콘트롤회로(C)는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펌프(P)를 적절히 제어하는 한편, 적절한 시기에 표시유닛(158)을 통해 원수공급요청메시지 등을 표시하는바, 이에 따른 사용자의 원수보충을 통해 제 3 탱크(T3)에 상시적으로 일정량 이상의 정수가 유지되도록 하여 정수소진 내지는 원수보충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도 연속적인 정수배출이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회로(150)는 제 2 플로트센서(S2)가 기준치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고 제 3 플로트센서(S3)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펌프(P)를 구동시키고, 제 2 플로트센서(S2)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펌프(P)를 정지시키며, 제 1 플로트센서(S1)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원수보충요청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특히 콘트롤회로(150)는 제 3 플로트센서(S3)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더라도 제 2 플로트센서(S2)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펌프(P)를 구동시키지 않는데, 그 이유는 공회전에 의한 펌프(P)의 손상을 막기 위한 것이며, 이와 달리 제 1 플로트센서(S1)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제 2 플로트센서(S2)가 기준치 이상의 수위를, 제 3 플로트센서(S3)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경우에는 펌프(P)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원수공급요청메시지를 표시한다.
아래의 표 1은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의 감지결과와 이에 따른 콘트롤회로(150)의 조치사항을 정리한 표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동작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표 1>
제 1 플로트센서 제 2 플로트센서 제 3 플로트센서 조치
1 기준치 이상 기준치 이상 기준치 이상 없음
2 기준치 미만 기준치 이상 기준치 이상 원수공급요청메지시
3 기준치 이상 기준치 미만 기준치 이상 없음
4 기준치 이상 기준치 이상 기준치 미만 펌프 구동
5 기준치 미만 기준치 미만 기준치 이상 원수공급요청메시지
6 기준치 미만 기준치 이상 기준치 미만 원수공급요청메시지/펌프구동
7 기준치 이상 기준치 미만 기준치 미만 없음
8 기준치 미만 기준치 미만 기준치 미만 원수공급요청메시지
이하, 도 1과 함께 별도 언급되는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앞서 살펴본 구성요소 중 제 1 내지 제 3 탱크(T1~T3)와, 출수콕(C)과, 펌프(P) 및 연결관(28)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바닥역할의 베이스플레이트(160) 상에 안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및 제 2 탱크(T1,T2)는 상하로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60)의 후단에 안착되고, 펌프(P)가 설치된 연결관(28)을 통해 제 2 탱크(T2)와 연결되는 제 3 탱크(T3)는 베이스플레이트(160)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별도의 유로플레이트(80)에 지지되어 제 1 탱크(T1)의 선단에 나란히 배치되며, 출수콕(C)은 유로플레이트(80)에 선단에 고정되어 이를 매개로 제 3 탱크(T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필터어셈블리(F)와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S1~S3) 등은 제 1 내지 제 3 탱크(T1~T3)에 각각 내장된 관계로 본 도면에서는 확인하기 어렵고, 제어부의 콘트롤회로(150)와 입력유닛(156) 및 표시유닛(158) 등은 편의상 생략하였는바, 이들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각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1 및 제 2 탱크(T1,T2)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과 도 4는 각각 제 1 및 제 2 탱크(T1,T2)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해당되고, 도 5는 제 1 및 제 2 탱크(T1,T2)의 단면도에 해당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탱크(T1,T2)는 각각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나타내며, 제 1 및 제 2 탱크(T1,T2)의 상하결합에 의해 그 사이의 경계면을 이루는 제 1 탱크(T1)의 바닥면에는 필터홀(10)이 마련되어 필터어셈블리(F)가 관통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탱크(T1,T2) 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플로트센서(S1,S2)가 내장되고, 제 2 탱크(T2)의 바닥면에는 정수배출구(22)가 구비되어 연결관(28)을 통해 제 3 탱크(T3)와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탱크(T1,T2)는 가볍고 견고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터홀(10)의 가장자리로부터는 소정높이의 플랜지(12)가 하방 돌출되어 그 내면을 따라 나사산(14)이 형성되는 한편, 여기에 관통 고정되는 필터어셈블리(F)의 외면에는 소정의 돌출단(74)이 구비되어 플렌지(12) 내면의 나사산(1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탱크(T2)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의 제 1 리브(24)가 돌출되어 제 1 탱크(T1)에 저장되는 원수와 제 2 탱크(T2)에 저장되는 정수의 하중에 의한 형태변형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어셈블리(F)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F)는 원통형상을 나타내는 메인하우징(50)의 상부로 원통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필터플랜지(70)가 결합되는 한편, 메인하우징(50)의 하부로는 보울 형상의 저면에 복수의 제 1 내지 제 5 홀(H1~H5)이 각각 관통된 제 1 내지 제 5 버툼하우징(54,56,58,60,62)이 차례로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는 전체적으로 원통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데, 필터플렌지(70)의 상부에는 돔 형상의 세라믹필터(76)가 결합되어 제 1 탱크(T1) 내부로 위치되고, 제 1 내지 5 버툼하우징(54,56,58,60,62) 내에는 각각 목적에 맞는 필터물질이 내장되어 제 2 탱크(T2) 내부로 위치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5 버툼하우징(54,56,58,60,62)에 내장된 필터물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부직포(57,59,61,63) 등이 개재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F)는 제 1 및 제 2 탱크(T1,T2)를 연결하는 관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는바, 제 1 탱크(T1)에 저장된 원수는 그 자체하중에 의해 세라믹필터(76)와, 필터플랜지(70)를 비롯한 메인하우징(50)과, 제 1 내지 제 5 버툼하우징(54,56,58,60,62) 내부의 필터물질을 차례로 경유하는 과정 중에 정수로 정화되어 제 2 탱크(T2)로 전달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메인하우징(50)과 필터플렌지(70)는 홈(75) 및 여기에 끼워지는 돌기(52) 등으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고, 플렌지(12) 내면의 나사산(14)에 나사 결합되는 돌출단(74)은 필터플렌지(70)의 외면에 돌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7과 도 8과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T3)와 유로플레이트(8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과 도 8은 각각 제 3 탱크(T3)와 유로플레이트(80)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해당되고, 도 9는 제 3 탱크(T3)와 유로플레이트(80)의 분해상태를 투시해서 나타낸 투시도에 해당된다.
보이는 것처럼, 제 3 탱크(T3)는 제 1 및 제 2 탱크(T1,T2)와 유사하게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나타내고, 그 내부에는 제 3 플로트센서(S3)가 내장되며, 바닥면에는 정수홀(34)이 관통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3 탱크(T3)의 바닥면 외부로는 정수홀(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홀플렌지(33)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탱크(T3)가 안착되는 유로플레이트(80)에는 홀플랜지(33)가 끼워지는 정수배출홀(84)이 관통되어 정수홀(32)과 연결되고, 이와 별도로 제 3 탱크(T3)에 관통 삽입되는 정수공급구(82)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유로플레이트(80)의 단면도인 도 9와 제 3 탱크(T3) 및 유로플레이트(80)의 일부 단면도인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유로플레이트(80)의 저면에는 정수배출홀(84)을 연장하는 정수배출하우징(86)이 구비되는 한편, 정수공급구(82)는 정수배출하우징(86)을 관통해서 정수배출홀(84)에 유격있게 삽입되어 상기 배출하우징(86)의 말단에는 출수콕(C)이 연결되고 정수공급구(82)에는 연결관(28)이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관(28)을 통해 전달되는 제 2 탱크(T2)의 정수는 정수배출하우징(86)을 관통하는 정수공급구(82)를 통해 제 3 탱크(T3)로 공급되고, 제 3 탱크(T3)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공급구(82)와 정수홀(32) 사이의 정수배출홀(84)을 통해 정수배출하우징(86)을 따라 출수콕(C)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특히 제 3 탱크(T3)의 정수홀(32)에는 별도의 너트캡(100)이 장착되어 제 3 탱크(T3)로 공급되는 정수와 제 3 탱크(T3)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너트캡(100)은 정수공급구(82)가 관통 삽입되는 너트홀(102)이 상 하 관통된 상태로 정수홀(32)에 설치되되, 상기 정수홀(32) 보다 작은 직경을 나타내는 외면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단(103)이 돌출되어 정수홀(3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바, 정수공급구(82)로 전달되는 제 2 탱크(T2)의 정수는 너트캡(100)의 너트홀(102)을 통해 제 3 탱크(T3)로 유입되고, 제 3 탱크(T3)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는 너트캡(100)의 걸림단(103) 사이사이로 노출된 정수배출홀(84)을 통해 정수배출하우징(86)으로 전달되어 유로플레이트(80) 선단의 출수콕(C)으로 전달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94는 제 3 탱크(T3)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유로플레이트(8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3 탱크(T3)의 양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단을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96은 유로플레이트(8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후술하는 케이스부와 결합되는 후크돌기(96)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 3 탱크(T3)에는 자외선램프어셈블리(110)가 내장되어 제 3 탱크(T3) 내부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탱크(T3)는 스테인레스 등 부식성이 낮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3 탱크(T3)의 저면에는 제 1 램프홀(34)이 관통되어 자외선램프어셈블리(110)가 제 3 탱크(T3)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3 탱크(T3)에 저장된 정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램프어셈블리(110)는 제 3 탱크(T3) 저면의 제 1 램프홀(34)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는 램프박스(112)와 너트플렌지(122)를 포함한다.
즉, 첨부된 도 12는 제 3 탱크의 일부 단면도로서 앞서 도면들과 함께 참조 하면, 자외선램프 및 배터리 등이 실장되는 램프박스(112)의 상단으로부터는 나사플렌지(114)가 돌출되어 제 3 탱크(T3) 저면의 제 1 램프홀(34)에 관통 삽입되는 한편, 제 3 탱크(T3) 내부에는 너트플렌지(122)가 실장되어 나사플렌지(114)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램프박스(112)의 상단에는 자외선램프를 수용하는 투명재질의 램프하우징(115)이 결합되어 나사플렌지(122)를 관통해서 제 3 탱크(T3)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그 결과 자외선램프어셈블리(110)는 누수현상 없이 제 3 탱크(T3)의 제 1 램프홀(34)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고, 자외선램프의 자외선에 의해 제 3 탱크(T3) 내부를 살균 소독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필요하다면 자외선램프는 제 3 플로트센서(S3) 및 콘트롤회로(150)와 연동되어 제 3 플로트센서(S3)가 일정 이상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에만 온(ON) 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막아 효과적인 살균 소독을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설명 중 콘트롤회로(150)는 펌프(P)의 구동시간을 근거로 실질적인 정수 사용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일정량 이상의 정수가 사용되면 표시유닛(158)을 통해 필터의 교체를 요청하는 별도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한바,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이 없어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T3)와 유로플레이트(80)의 변형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앞서 도 10과 마찬가지로 투시도의 형태로 나타내었다.
보이는 것처럼, 본 활용예에서 제 3 탱크(t3)는 별도의 뚜껑(40)으로 밀폐되고, 여기에 자외선램프어셈블리(100)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 3 탱크(t3)의 상면을 밀폐하는 뚜껑(40)에는 제 2 램프홀(42)이 관통되고, 자외선램프어셈블리(100)는 도 10과 반대 방식으로 제 2 램프홀(42)에 고정되는바, 램프박스(112)의 하단으로부터는 나사플렌지(114)가 돌출되어 뚜껑 외면의 제 2 램프홀(34)에 관통 삽입되고, 뚜껑(40) 내면으로 돌출된 나사플렌지(114)에는 너트플렌지(122)가 나사 결합되며, 자외선램프를 수용하도록 램프박스(11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투명재질의 램프하우징(115)은 제 2 램프홀(42) 및 나사플렌지(122)를 관통해서 제 3 탱크(T3)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때, 본 활용예에서처럼 제 3 탱크(t3)를 밀폐하는 별도의 뚜껑(40)을 마련한 후 여기에 자외선램프어셈블리(100)를 고정할 경우, 자외선램프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 불필요하게 제 3 탱크(t3)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유지 관리가 한결 수월하며, 해당 부위를 통한 누수현상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역시 자외선램프는 제 3 플로트센서(S3) 및 콘트롤회로(150)와 연동되어 제 3 플로트센서(S3)가 일정 이상의 수위를 감지한 경우에만 온(ON)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소정의 케이스부에 실장되어 외관이 완성되는데,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케이스부가 결합된 외관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2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부를 일부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부는 전체를 지지하는 바닥 역할의 베이스플레이트(160)와, 좌우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와, 전후면을 이루는 프론트 및 리어케이스(210,240)와, 윗면을 이루는 탑케이스(190)를 포함하며, 이 중 프론트케이스(210)로부터는 출수콕(C)이 노출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물받이케이스(220)가 설치되며, 프론트케이스(210)의 전면에는 별도의 컨트롤케이스(230)가 결합되어 입력유닛(156)과 표시유닛(158)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방향을 정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선단이라 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 또는 후단이라 하며, 냉온 정수기의 윗부분을 상방 또는 상단이라 하고, 그 반대편을 하방 또는 하단이라 한다.
먼저, 베이스플레이트(160)는 소정두께의 판 형상을 이룸에 따라 정수기가 안착되는 상면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소정 폭의 전후면과 좌우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전면 부분을 제외한 상면의 세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각각 복수 개의 슬릿홈(162)이 일정간격으로 줄지어 관통된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는 서로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각각의 네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나타내는 전후면과 상하면과 제공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전면과 상면과 후면을 따라서는 각각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끼움홈(172,182)이 관통되고, 하면을 따라서는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슬릿홈(162)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돌출 단(176,186)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이때, 특히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의 내면을 따라서는 유로플레이트(80)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단(178,188)이 마련되는데, 여기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후크홀(179,189)이 구비되어 유로플레이트(80) 양 단의 후크돌기(96)가 삽입됨으로써 한층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제 1 사이드케이스(170) 내면에는 콘트롤회로(15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탑재된 제 1 인쇄회로기판(152)이 제 1 볼트(B1)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프론트케이스(210)는 콘트롤회로(150)와 입력유닛(156) 및 표시유닛(158)의 연결을 위한 개구홀(212)과 출수콕(C)이 결합되는 콕홀(214)이 관통되고, 각각의 네 가장자리는 후단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나타내는 상하면과 좌우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상면의 안쪽 끝단으로부터는 제 1 끼움돌기(216)가 돌출되고, 좌우면의 안쪽 끝단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의 제 1 및 제 2 끼움홈(172,182)에 삽입되는 제 2 끼움돌기(218)가 돌출되며, 하면으로부터는 복수의 제 1 볼트결합단(215)이 하향 돌출되어 각각을 관통해서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전면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4 볼트(B4)로 고정된다.
그리고 프론트케이스(210)의 전면 하단에는 정수기의 사용 중 출수콕(C)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수집하기 위한 물받이케이스(220)가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리어케이스(240)는 좌우 가장자리를 관통해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의 후면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볼트(B2)로 고정되는 동시에 그 후단으로부터는 복수의 제 2 볼트결합단(244)이 하향 돌출되어 각각을 관통해서 베이스플레이트(160)의 후면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3 볼트(B3)로 고정된다. 그리고 리어케이스(240)의 상면으로부터는 소정형상의 끼움구(242)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탑케이스(190)는 제 1 및 제 3 탱크(T1,T3)의 상면을 덮는 판 형상으로서 좌우 및 후단의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어 소정폭의 좌우면과 후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탑케이스(190)의 선단을 따라서는 프론트케이스(210)의 제 1 끼움돌기(216)와 엇갈려 끼워지는 제 2 끼움돌기(192)가 돌출되고, 좌우면의 안쪽 끝단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의 제 1 및 제 2 끼움홈(172,174)에 각각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삽입단(194,196)이 하향 돌출되며, 후면에는 리어케이스(240)의 끼움구(242)가 끼워지는 소정의 끼움홀(198)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특히 탑케이스(190)에는 제 1 탱크(T1)를 노출시키는 원수공급홀(197)이 마련되어 별도의 리드케이스(200)로 밀폐 또는 개방되는바, 사용자는 원수 보충 등을 위해 탑케이스(190)를 분해하는 대신 리드케이스(200)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원수를 보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론트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콘트롤케이스(230)에는 입력유닛(156)과 표시유닛(158)을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2 장착홀(232,234)이 관통되어 있고, 상단 및 좌우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나타내는 상면 및 좌우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중 좌우면의 끝단으로부터는 프론트케이스(210)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체결단(236)이 돌출되고, 이와 대응되는 프론트케이스(210)의 해당위치에는 슬릿홀(219)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부를 결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정수기를 베이스플레이트(160)에 안착 및 고정시킨 후 제 4 볼트(B4)를 이용해서 프론트케이스(210)를 베이스플레이(160) 전면에 고정한 다음 콕홀(214)을 통해 출수콕(C)을 설치한다.
이어서 제 3 볼트(B3)를 이용해서 리어케이스(240)를 베이스플레이트(160) 후면에 고정하고,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를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슬릿홈(162)에 제 1 및 제 2 돌출단(176,186)을 끼우는 동시에 프론트케이스(210) 제 2 끼움돌기(218)에 제 2 끼움홈(182)을 맞춰 삽입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의 후면을 관통해서 리어케이스(240)의 좌우 가장자리로 삽입되는 제 2 볼트(B2)를 체결하여 긴밀하게 고정시킨다. 이 과정 중 적절한 시기에 프론트케이스(210)의 전면으로 콘트롤케이스(220) 및 물받이 케이스(220)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탑케이스(190)를 결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탑케이스(190) 선단의 제 2 끼움돌기(192)와 프론트케이스(210)의 제 1 끼움돌기(216)를 서로 엇갈려 삽입되게 한 후 탑케이스(190) 후단의 끼움홀(198)에 리어케이스(240)의 끼움구(242)를 끼우면 완료되며, 이 과정 중에 탑케이스(190)의 제 1 및 제 2 삽입단(194,196)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의 제 1 및 제 2 끼움홈(172,182)에 끼워진다.
마지막으로 탑케이스(190)의 원수공급홀(197)에 리드케이스(200)를 끼우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부의 결합이 완료되는바, 이상에서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60)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70,180)와, 프론트케이스(210)와, 리어케이스(240)와 탑케이스(190)는 서로 걸리는 구조를 나타내므로 튼튼한 외관을 이루는 한편, 사용자는 원수보충 등을 위해 리드케이스(200) 만을 분리 및 결합하면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시키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1 및 제 2 탱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1 및 제 2 탱크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 및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 및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 및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 및 자외선램프어셈블리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 3 탱크 및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변형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
도 15 내지 도 2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케이스부에 대한 분해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1,T2,T3 : 제 1 내지 제 3 탱크
S1,S2,S3 :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
F : 필터어셈블리 C : 출수콕
150 : 콘트롤회로 P : 펌프
28 : 연결관 156 : 입력유닛
158 : 표시유닛

Claims (17)

  1. 원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제 1 탱크와;
    상기 제 1 탱크의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매개로 상기 제 1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정화에 따른 정수가 공급 및 저장되는 제 2 탱크와;
    펌프를 매개로 상기 제 2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탱크의 상기 정수가 공급 및 저장되며 출수콕이 설치된 제 3 탱크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탱크 각각에 내장되는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플로트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고 제 3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고, 제 2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원수공급요청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플로트센서가 기준치 미만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표시유닛을 통해 상기 원수공급요청메지시를 표시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원수공급요청메지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와, 상기 원수공급요청메지시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구동시간을 토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상기 원수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는 상하로 결합되어 경계면에 관통된 필터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홀에 관통설치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홀에 관통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상단에 결합되는 돔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메인하우징 하단에 복수 개가 차례로 결합되고, 각각의 저면에 복수의 홀이 관통된 버툼하우징과;
    상기 버툼하우징에 각각 내장되는 필터물질을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탱크에 내장되는 자외선램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탱크의 저면에는 제 1 램프홀이 관통되고,
    상기 자외선램프어셈블리는, 자외선램프 및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제 1 램 프홀에 관통 삽입되는 나사플렌지가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 3 탱크의 외부 저면에 밀착되는 램프박스와;
    상기 램프박스 상단의 상기 나사플렌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자외선램프를 수용하는 투명 램프하우징과;
    상기 제 3 탱크 내에서 상기 나사플렌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3 탱크의 내부 저면에 밀착되는 너트플렌지를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플로트센서가 일정 이하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자외선램프를 오프시키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탱크 저면에는 정수홀이 관통되고,
    상기 정수홀과 연결되는 정수배출홀이 관통된 채 상기 제 3 탱크를 지지하고, 그 저면에 상기 정수배출홀을 연장하는 정수배출하우징이 마련된 유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출수콕은 상기 정수배출하우징의 말단에 설치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로플레이트 저면으로부터 상기 정수배출하우징을 관통해서 상기 정수홀에 유격있게 삽입되는 정수공급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펌프는 상기 정수공급구와 연결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수공급구가 관통 삽입되는 너트홀이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제 3 탱크 내부의 상기 정수홀에 설치되고, 외면을 따라 상기 정수홀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단이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 사이사이로 상기 정수홀을 노출시키는 너트캡을 더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수콕을 제외한 나머지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바닥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상기 유로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걸림단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와;
    상기 출수콕을 노출시키며 전면을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마주보며 후면을 덮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탑케이스와;
    상기 프론트케이스 전면에 결합되는 컨트롤케이스를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는 상하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 안착되고, 상기 제 3 탱크는 상기 제 1 탱크의 선단에 나란히 배치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탑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탱크와 연결되는 원수공급홀과;
    상기 원수공급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탑케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리드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20080078202A 2008-08-08 2008-08-08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156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202A KR101565020B1 (ko) 2008-08-08 2008-08-08 자연여과식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202A KR101565020B1 (ko) 2008-08-08 2008-08-08 자연여과식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63A true KR20100019263A (ko) 2010-02-18
KR101565020B1 KR101565020B1 (ko) 2015-11-13

Family

ID=4208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202A KR101565020B1 (ko) 2008-08-08 2008-08-08 자연여과식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0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36A (ko) * 2014-04-08 2015-10-1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980855B1 (ko) * 2018-02-13 2019-05-22 강경아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72B1 (ko) * 2017-06-08 2019-01-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007Y1 (ko) * 2002-07-29 2002-10-28 산소발생기연구조합 산소수 정수기
KR200380200Y1 (ko) * 2004-12-29 2005-03-29 최강수 황토 지장수제조기
KR200392939Y1 (ko) * 2005-05-13 2005-08-17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정수의 수위감지를 이용한 필터보호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36A (ko) * 2014-04-08 2015-10-1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980855B1 (ko) * 2018-02-13 2019-05-22 강경아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020B1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8222B1 (en)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KR20100019263A (ko)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1070406B1 (ko) 탱크형 냉온 정수기
WO2011105533A1 (ja) 空気浄化機能を有する空気清浄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CN100528048C (zh) 循环再净化型防二次污染饮水机
JP2015160196A (ja) 浄水装置
KR102263914B1 (ko) 정수장치
CN110731448A (zh) 一种智能·oh水羟基水触媒食材清洗净化装置
KR20130127680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15667272U (zh) 一种电控铜离子消毒器
CN209367954U (zh) 一种无压力桶的ro机
CN112832329A (zh) 一种智能化装配式蓄水池
CN206428103U (zh) 一种超集成一体机
JP3505457B2 (ja) 水処理装置
CN214884073U (zh) 一种智能化装配式蓄水池
KR100807197B1 (ko) 고농도 산소 용존 정수장치
CN102671455B (zh) 一种水过滤装置
CN208151065U (zh) Mbr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KR20140040455A (ko) 필터 어셈블리 및 필터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CN109179707A (zh) 一种无压力桶的ro机
CN214629186U (zh) 一种鱼缸用过滤装置
CN215712363U (zh) 一种工业用纯化水设备
CN220597246U (zh) 一种二次供水净化装置
KR101423385B1 (ko) 정수기
JP2018202293A (ja) 純水製造装置とそ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