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936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936A
KR20150116936A KR1020140041672A KR20140041672A KR20150116936A KR 20150116936 A KR20150116936 A KR 20150116936A KR 1020140041672 A KR1020140041672 A KR 1020140041672A KR 20140041672 A KR20140041672 A KR 20140041672A KR 20150116936 A KR20150116936 A KR 2015011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water
main body
apparatus mai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950B1 (ko
Inventor
이종환
이정환
엄주혁
주우진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5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장치본체; 및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탈착되는 지지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정수필터로 여과하는 등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나 볼트 등의 조립부재 없이도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물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수처리장치로는 물을 정수필터로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나, 물을 전해조에서 전기분해하여 사용자에게 알칼리수 등을 공급하는 이온수기, 또는 물에 탄산을 포함시켜서 사용자에게 탄산수를 공급하는 탄산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는 수처리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장치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처리를 위한 정수필터나 전해조 또는 수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등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 수처리장치는 먼저 장치본체를 이루는 부분품을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정수필터나 전해조도 장치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치본체에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는 일일이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처리장치를 이루는 구성품을 조립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수처리장치의 조립과 해체에 시간과 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정수필터 등의 수처리를 위한 구성을 교체하는 등의 수처리장치의 수리를 위해서는, 나사나 볼트 등의 조립부재를 수처리장치로부터 일일이 해체한 후 정수필터 등을 교체하고 나사나 볼트 등의 조립부재로 수처리장치를 다시 조립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수처리장치의 수리에도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나사나 볼트 등의 조립부재 없이도 수처리장치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수처리장치의 조립과 해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수처리장치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수처리장치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장치본체; 및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부재가 구비되며 장치본체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수용공간에 탈착되는 지지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은 장치본체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장치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구멍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며 수처리부재가 탈착되는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에는 슬라이딩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슬라이딩구멍에는 이탈방지부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수처리부재가 탈착되는 탈착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구는 원호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장치본체에는 위치고정부를 가압하여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부재에 의해서 처리된 물이 저장되며 장치본체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수용공간에 탈착되는 물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는 탈착돌기가 형성되고, 장치본체에는 탈착돌기가 탈착되는 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물탱크를 지지하는 탱크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며, 장치본체의 개방된 전면은 전면커버가 탈착되어 개폐되고 개방된 상면은 상면커버가 탈착되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에는 연결용 구멍이 형성되고, 물배출유닛이 연결용 구멍을 통하여 물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배출유닛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물탱크에는 걸림고리가 걸리는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에는 수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품이 탈착되는 탈착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부재는 정수필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 등의 수처리부재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이 장치본체의 개폐가능한 부분을 통해 장치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탈착되도록 하여, 나사나 볼트 등의 조립부재 없이도 수처리장치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의 조립과 해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3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장치본체(200) 및, 지지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된 육면체일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전면은 전면커버(220)가 탈착되어 개폐되고 개방된 상면은 상면커버(230)가 탈착되어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부분과 이를 개폐하는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프레임(300)이 후술할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부분과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는, 후술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를 위한 수처리부재(WP)가 구비된 지지프레임(300)이나 물탱크(400) 또는 수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품(600) 등 수처리를 위한 구성이 수용된다.
이러한 장치본체(200)에는 슬라이딩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4의 저면도와 같이 슬라이딩구멍(211)은 장치본체(200)의 하면에 평행하게 2개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슬라이딩부(310)에는 이에 대응되게 2개의 슬라이딩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돌기(311)가 슬라이딩구멍(211)에 삽입되어 이동, 즉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300)이 장치본체(20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300)이 장치본체(200)에 탈착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의 하면에 레일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300)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슬라이딩구멍(211)의 형상과 개수 및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프레임(30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형상과 개수 및 형성위치라면 어떠한 형상과 개수 및 형성위치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의 슬라이딩구멍(211)에는 도4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슬라이딩돌기(311)에 형성된 후술할 이탈방지부(312)가 슬라이딩구멍(211)의 통과부(212)를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하면 아래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0)의 슬라이딩 이동시 슬라이딩부(310)의 슬라이딩돌기(311)가 슬라이딩구멍(21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장치본체(200)에는 고정클립(213)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클립(213)은 도1과 도4의 일부 확대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전면측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클립(213)은 지지프레임(300)의 슬라이딩부(310)에 형성된 위치고정부(313)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지지프레임(300)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고정클립(213)의 일측은 장치본체(200)에 힌지연결되고 고정클립(213)의 타측에는 도4의 일부 확대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2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310)의 위치고정부(313)에는 가압턱(3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클립(213)이 회전하여 고정클립(213)의 가압돌기(213a)가 위치고정부(313)의 가압턱(313a)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프레임(300)의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클립(213)의 형상이나 위치고정부(313)를 가압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프레임(300)의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나 구성이라면 끼워맞춤식 등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나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에는 탈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탈착부(214)에 의해서 후술할 물탱크(400)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 탈착부(214)는 물탱크(400)가 구비되는 장치본체(20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탈착부(214)는 도1과 도4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후면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탈착부(214)의 장치본체(200)에서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탱크(400)가 탈착될 수 있는 위치라면 장치본체(200)의 어떠한 위치라도 형성될 수 있다.
탈착부(214)에는 물탱크(400)에 형성된 탈착돌기(410)가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탈착부(214)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구멍(214a)이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400)의 탈착돌기(410)가 탈착부(214)의 탈착구멍(214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물탱크(400)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구비된다. 그리고, 물탱크(400)의 탈착돌기(410)가 탈착부(214)의 탈착구멍(214a)으로부터 나오는 것에 의해서 물탱크(400)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물탱크(400)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클립 등에 의해서 물탱크(400)를 고정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에는 제1전면커버결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커버결합부(215)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커버(220)가 장치본체(200)에 탈착될 수 있다.
제1전면커버결합부(215)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전면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면커버결합부(215)에는 제1결합구멍(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의 제1전면커버결합부(215)는 후술할 전면커버(220)에 형성되고 제2결합구멍(222a)이 형성된 제2전면커버결합부(222)와 겹쳐질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면커버결합부(215)의 제1결합구멍(215a)과 제2전면커버결합부(222)의 제2결합구멍(222a)에는 결합보조부재(216')와 결합부재(216)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전면을 전면커버(220)가 덮도록 전면커버(220)가 장치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보조부재(216')와 결합부재(216)를 제1전면커버결합부(215)의 제1결합구멍(215a)과 제2전면커버결합부(222)의 제2결합구멍(222a)으로부터 빼내면, 전면커버(220)를 장치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200)의 전면측의 양측에는 전면커버(22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17)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의 전면측의 하부에는 이에 대응되는 전면커버(220)의 위치에 형성된 위치기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위치기준구멍(2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전면커버(220)의 위치기준돌기를 장치본체(200)의 위치기준구멍(218)에 삽입하여 전면커버(220)의 조립위치를 정한 후 전면커버(220)를 장치본체(200)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220)를 장치본체(200)로부터 해제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결합보조부재(216')와 결합부재(216)를 제1전면커버결합부(215)의 제1결합구멍(215a)과 제2전면커버결합부(222)의 제2결합구멍(222a)으로부터 빼낸 후, 전면커버(220)의 위치기준돌기를 장치본체(200)의 위치기준구멍(218)으로부터 나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면커버(220)를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전면에 탈착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면커버(220)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연결용 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220)에는 후술할 상면커버(230)에 형성된 제2상면커버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탈착되는 제2상면커버결합부(223)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의 후면측의 상부에는 상면커버(230)에 형성된 제1상면커버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탈착되는 제1상면커버결합부(2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면커버(230)가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상면에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면커버(230)를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상면에 탈착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지지프레임(300)은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부재(WP)가 구비될 수 있다. 수처리부재(WP)는 연결관에 의해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수처리부재(WP)는 정수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수처리부재(WP)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해조(도시되지 않음)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수처리부재(WP)는 지지프레임(30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수처리부재(WP)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300)에 구비되는 수처리부재(WP)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지지프레임(300)은 장치본체(200)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프레임(30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면커버(220)에 의해서 개폐되는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300)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탈착되도록 하는 장치본체(200)의 개폐 가능한 부분은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전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의 개폐 가능한 어떠한 부분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프레임(300)은 장치본체(20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300)이 장치본체(200)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수용공간(210)에 탈착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바퀴와 레일에 의해서 이동하여 탈착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지지프레임(300)은 슬라이딩부(310)와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0)의 슬라이딩부(310)에는 슬라이딩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3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슬라이딩구멍(211)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돌기(311)에는 이탈방지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12)는 장치본체(200)의 통과구멍(212)을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슬라이딩돌기(311)가 통과구멍(212)이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딩구멍(211)의 부분을 따라 이동할 때, 이탈방지부(312)는 슬라이딩돌기(311)가 슬라이딩구멍(2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3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고정클립(213)에 의해서 가압되는 위치고정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슬라이딩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310)가 지지부(320)와 일체로 되어 지지부(320)가 슬라이딩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320)가 슬라이딩부(3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부(310)와 별도로 만들어진 후 접착제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지지부(320)에는 수처리부재(WP)가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지부(320)에는 수처리부재(WP)가 탈착되는 탈착부재(321)가 구비될 수 있다.
탈착부재(321)는 원호형상일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321)는 중심각이 둔각인 원호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처리부재(WP)는 탈착부재(321)의 개방된 측을 통해 탈착부재(321)에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탈착부재(3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처리부재(WP)를 탈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ㄷ'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320)에는 후술할 물탱크(400)를 지지하는 탱크지지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탱크지지부(3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탱크(4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물탱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400)에는 수처리부재(WP)에 의해서 처리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물탱크(400)는 수처리부재(WP)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400)도 장치본체(200)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 물탱크(4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커버(230)에 의해서 개폐되는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물탱크(400)가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탈착되도록 하는 장치본체(200)의 개폐 가능한 부분은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상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의 어떠한 개폐 가능한 부분이라도 가능하다.
물탱크(400)에는 탈착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400)의 탈착돌기(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탈착부(214)에 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400)가 장치본체(20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220)에는 연결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유닛(500)이 연결구멍(221)을 통해 물탱크(4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배출유닛(500)은 연결구멍(221)을 통과하여 물탱크(400)에 형성된 물배출부(44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수처리부재(WP)에 의해서 처리되어 물탱크(400)에 저장된 물은 물배출유닛(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물배출유닛(500)에는 레버(5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520)의 조작에 의해서 물배출유닛(500)을 통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물배출유닛(5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자식으로 물배출유닛(500)을 통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물배출유닛(500)에는 걸림고리(5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400)에는 물배출유닛(500)의 걸림고리(510)가 걸리는 걸림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20)의 연결구멍(221)을 통해 물배출유닛(500)을 물탱크(400)의 물배출부(440)에 연결한 후, 물배출유닛(500)을 회전하여 물배출유닛(500)의 걸림고리(510)가 물탱크(400)의 걸림부재(420)에 걸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물배출유닛(500)이 비교적 견고하게 물탱크(400)에 연결된다.
한편, 물탱크(400)에는 수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품(600)이 탈착될 수 있다. 물탱크(40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400)에 연결되어 물탱크(400)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가 탈착될 수 있다.
그러나, 물탱크(400)에는 전술한 수위조절장치 이외에도 수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품도 탈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물탱크(400)에는 탈착후크(4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장치 등인 다른 구성품(600)에는 후크삽입구멍(611)이 형성된 후크삽입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400)의 탈착후크(430)가 후크삽입부(610)의 후크삽입구멍(611)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물탱크(400)에 다른 구성품(6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400)의 탈착후크(430)가 후크삽입부(610)의 후크삽입구멍(611)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서, 다른 구성품(600)이 물탱크(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물탱크(400)에는 수위조절장치 등의 다른 구성품(600)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유동연결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상면커버결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면커버(230)에 형성된 제2상면커버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제2상면커버결합부(223)에 탈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도3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0)의 탈착부재(321)에 수처리부재(WP)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후, 수처리부재(WP)가 구비된 지지프레임(300)의 이탈방지부(312)를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슬라이딩구멍(211)의 통과구멍(212)으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0)의 슬라이딩돌기(311)가 장치본체(200)의 슬라이딩구멍(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여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장치본체(200)의 고정클립(213)으로 지지프레임(300)의 위치고정부(313)를 가압하여 지지프레임(3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처리부재(WP)가 구비된 지지프레임(300)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고정되도록 수용된다.
이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400)의 탈착돌기(410)를 장치본체(200)의 탈착부(214)의 탈착구멍(214a)에 삽입하여, 물탱크(400)도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고정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위조절장치 등의 다른 구성품(600)의 후크삽입부(610)에 형성된 후크삽입구멍(611)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400)의 탈착후크(430)가 삽입되도록 하여 다른 구성품(600)을 물탱크(400)에 결합시킴으로써, 다른 구성품(600)도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고정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처리에 필요한 수처리부재(PW)와 물탱크(400) 및 수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품(600)이 장치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수용되도록 하면, 전면커버(220)로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전면을 닫는다.
그리고, 물배출유닛(500)이 전면커버(220)의 연결용 구멍(221)을 통해 물탱크(40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유닛(500)을 회전하여서 물배출유닛(500)의 걸림고리(510)가 물탱크(400)의 걸림부재(420)에 걸리도록 한다.
이후, 상면커버(230)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개방된 상면을 닫으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해체는 전술한 조립의 역순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나사나 볼트 등의 조립부재 없이도 수처리장치(10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수처리장치(10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처리장치(100)의 조립과 해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수처리부재(WP)의 교환 등의 수처리장치(100)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처리장치(100)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수용공간 211 : 슬라이딩구멍
212 : 통과부 213 : 고정클립
213a : 가압돌기 214 : 탈착부
214a : 탈착구멍 215 : 제1전면커버결합부
215 : 제1결합구멍 216 : 결합부재
216' : 결합보조부재 217 : 가이드
218 : 삽입구멍 219 : 제1상면커버결합부
220 : 전면커버 221 : 연결용 구멍
222 : 제2전면커버결합부 222a : 제2결합구멍
223 : 제2상면커버결합부 230 : 상면커버
300 : 지지프레임 310 : 슬라이딩부
311 : 슬라이딩돌기 312 : 이탈방지부
313 : 위치고정부 313a : 가압턱
320 : 지지부 321 : 탈착부재
322 : 탱크지지부 400 : 물탱크
410 : 탈착돌기 420 : 걸림부재
430 : 탈착후크 440 : 물배출부
450 : 유동연결부 500 : 물배출유닛
510 : 걸림고리 520 : 레버
600 : 구성품 610 : 후크삽입부
611 : 후크삽입구멍 WP : 수처리부재

Claims (1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장치본체; 및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탈착되는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장치본체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탈착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장치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구멍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처리부재가 탈착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돌기에는 상기 슬라이딩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구멍에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수처리부재가 탈착되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원호형상인 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이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부재에 의해서 처리된 물이 저장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탈착되는 물탱크;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탈착돌기가 탈착되는 탈착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는 탱크지지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개방된 전면은 전면커버가 탈착되어 개폐되고 개방된 상면은 상면커버가 탈착되어 개폐되는 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연결용 구멍이 형성되고,
    물배출유닛이 상기 연결용 구멍을 통하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유닛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리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수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품이 탈착되는 탈착후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부재는 정수필터인 수처리장치.
KR1020140041672A 2014-04-08 2014-04-08 수처리장치 KR10216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72A KR102167950B1 (ko) 2014-04-08 2014-04-08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72A KR102167950B1 (ko) 2014-04-08 2014-04-08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36A true KR20150116936A (ko) 2015-10-19
KR102167950B1 KR102167950B1 (ko) 2020-10-21

Family

ID=543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672A KR102167950B1 (ko) 2014-04-08 2014-04-08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988A (ko) * 2016-08-02 2018-0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08633271A (zh) * 2017-01-18 2018-10-09 日本多宁股份有限公司 电解水生成装置
KR102574178B1 (ko) * 2022-11-16 2023-09-04 주식회사 비.엘.아이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446U (ko) * 1999-05-06 2000-12-05 박휘경 정수기
KR20080004101U (ko) * 2007-03-21 2008-09-25 손미경 다기능을 가진 기능성 미네랄 워터 정수기
KR20100019263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승광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0990497B1 (ko) * 2007-03-20 2010-11-01 류기석 살균수 생성 기능과 정수기능을 하는 수처리 장치
KR101372051B1 (ko) * 2011-07-08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446U (ko) * 1999-05-06 2000-12-05 박휘경 정수기
KR100990497B1 (ko) * 2007-03-20 2010-11-01 류기석 살균수 생성 기능과 정수기능을 하는 수처리 장치
KR20080004101U (ko) * 2007-03-21 2008-09-25 손미경 다기능을 가진 기능성 미네랄 워터 정수기
KR20100019263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승광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1372051B1 (ko) * 2011-07-08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988A (ko) * 2016-08-02 2018-0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08633271A (zh) * 2017-01-18 2018-10-09 日本多宁股份有限公司 电解水生成装置
KR102574178B1 (ko) * 2022-11-16 2023-09-04 주식회사 비.엘.아이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950B1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6936A (ko) 수처리장치
KR102533256B1 (ko)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EP1904407A4 (en) METHOD FOR TREATING A SULFUR - CONTAINING DEFLECTOR REFRIGERATION CIRCULAR USING A MEMBRANE ELECTROLYSEUR DRIVEN BY A FUEL CELL
KR101532253B1 (ko) 정수기 필터 탈착 장치
KR200408232Y1 (ko) 슬라이드 필터 교환 방식 정수기
KR20100050335A (ko) 정수필터 조립체
CN208757110U (zh) 冷却循环水供水装置
KR101660260B1 (ko) 안정기 케이스 구조
CN209132915U (zh) 一种方便拆装的烟感组件
KR102557443B1 (ko) 정수기
CN205518195U (zh) 污水处理池新型过滤装置
CN203122114U (zh) 饮水机
CN210717713U (zh) 一种电气盒拆装方便的集成灶
EP2934608B1 (en) Sterilisation machine for reprocessing an endoscope
CN208947392U (zh) 用于连接转向管柱护罩和仪表台的连接结构及汽车
CN220193442U (zh) 一种麻醉废弃收集装置
CN208822012U (zh) 一种骑马抽的快拆装置
CN210945440U (zh) 一种葛根素的快速提取纯化装置
CN104654219B (zh) 灯具
CN209883587U (zh) 一种用于沙发的弹簧结构
CN213721425U (zh) 一种壳体可拆的饮水机
CN220027308U (zh) 一种节能环保型矿山碎石处理装置
CN211512787U (zh) 一种快速拆装的过氧化氢低温等离子体灭菌器外壳
CN204184050U (zh) 一种微型打印机机壳
KR200479705Y1 (ko) 정수기용 취출코크 연결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