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855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855B1
KR101980855B1 KR1020180017621A KR20180017621A KR101980855B1 KR 101980855 B1 KR101980855 B1 KR 101980855B1 KR 1020180017621 A KR1020180017621 A KR 1020180017621A KR 20180017621 A KR20180017621 A KR 20180017621A KR 101980855 B1 KR101980855 B1 KR 10198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er case
water level
diaphragm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아
Original Assignee
강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아 filed Critical 강경아
Priority to KR102018001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필터의 정수효과가 향상되면서, 정수필터의 교체시 발생되는 폐필터유닛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필터유닛(30)의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c)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5,36)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격판(35,36) 또는 외부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5b,36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덮개판(32)과 격판(35,36)을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접합하지 않고,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필터링부재(35,36)와 제1 및 제2 격판(35,36)과 덮개판(32)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함으로서, 필터유닛(30)을 조립할 수 있으며, 필터유닛(30)을 교체하여 발생된 폐필터유닛(30)의 경우, 상기 덮개판(32)과 제1 및 제2 격판(35,36)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배출하여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30)의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분리하여 폐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케이스(31)와 제1 및 제2 격판(35,36)과 덮개판(32)은 세척하여 재활용할 수 있음으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필터의 정수효과가 향상되면서, 정수필터의 교체시 발생되는 폐필터유닛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돗물을 정수하여 깨끗한 정수를 만들들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가정용 정수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정수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원수가 저장되며 하측면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원수통(10)과, 상기 원수통(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배수구(11)와 연결되는 연통구(21)가 형성된 저수통(20)과, 상기 원수통(10)의 배수구(11)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11)로 배출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수통(20)으로 배출하는 필터유닛(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수통(1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뚜껑(13)에 의해 개폐되는 주입구(12)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12)를 통해 내부에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수통(2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 하측에는 배수밸브(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저수통(20)의 하측에는 지지대(23)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밸브(22)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필터유닛(30)은 상단에 개구부(3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배수공(31b)이 형성된 외부케이스(31)와,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통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덮개판(32)과, 다수개의 통공(3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공간부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판(33)과, 상기 격판(33)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필터링부재(33)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31)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이 상기 원수통(10)의 배수구(1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덮개판(32)과 격판(33)은 합성수지재질의 디스크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주면에 접합고정된다.
상기 필터링부재(33)는 활성탄이나, 세라믹볼, 마그네슘볼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적절한 종류의 필터링부재(33)가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수돗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수돗물은 상기 배수구(11)를 통해 상기 필터유닛(30)으로 공급된 후, 상기 필터링부재(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강되면서 정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을 통해 하측의 저수통(20)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배수밸브(22)를 통해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여 사용, 또는 음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정수기의 필터유닛(30)은 일정주기로 상새로운 필터유닛(30)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리고, 필터유닛(30)을 교체할 때 발생되는 폐필터유닛(30)은,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3)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폐기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필터유닛(30)은 상기 덮개판(32)과 격판(33)의 둘레면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케이스에 접합고정됨으로,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3)를 폐기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케이스(31)를 파쇄하고, 파쇄된 외부케이스(31)에서 배출된 필터링부재(33)를 종류별로 분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필터유닛(30) 특히, 필터유닛(30)의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3)를 폐기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합성수재질로 구성된 외부케이스(31)를 파쇄함으로, 외부케이스(31)와 덮개판(32) 및 격판(33)을 재활용하지 못하고 함께 폐기하여야 함으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67469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필터의 정수효과가 향상되면서, 정수필터의 교체시 발생되는 폐필터유닛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원수가 저장되며 하측면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원수통(10)과, 상기 원수통(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배수구(11)와 연결되는 연통구(21)가 형성된 저수통(20)과, 상기 원수통(10)의 배수구(11)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11)로 배출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수통(20)으로 배출하는 필터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30)은 상단에 개구부(3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배수공(31b)이 형성된 외부케이스(31)와,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통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덮개판(32)과, 다수개의 통공(35a,36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공간부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판(35,36)과, 상기 격판(35,36)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필터링부재(35,36)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c)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5,36)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격판(35,36) 또는 외부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5b,36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판(35,36)은 상기 통공(35a)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격판(35)과, 상기 통공(36b)이 둘레면에 형성된 제2 격판(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격판(35)과 제2 격판(36)이 번갈아가면서 상측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격판(35)의 상면 또는 하측면에는 상기 통공(35a)의 외측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관(35c)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격판(36)의 상하측면에는 상기 통공(36b)의 내측 둘레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관(36c)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의 외경은 상기 제2 가이드관(36c)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하단이 개방되고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체(37)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관체(37)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된 후 가이드관체(37)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수통(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4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50)와,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램프(6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램프(70)와,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0,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램프(60,70)를 on-off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램프(60)를 on시키고,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에 의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램프(70)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필터유닛(30)의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c)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5,36)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격판(35,36) 또는 외부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5b,36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덮개판(32)과 격판(35,36)을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접합하지 않고,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필터링부재(35,36)와 제1 및 제2 격판(35,36)과 덮개판(32)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함으로써, 필터유닛(30)을 조립할 수 있으며, 필터유닛(30)을 교체하여 발생된 폐필터유닛(30)의 경우, 상기 덮개판(32)과 제1 및 제2 격판(35,36)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배출하여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30)의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분리하여 폐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케이스(31)와 제1 및 제2 격판(35,36)과 덮개판(32)은 세척하여 재활용할 수 있음으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정수기의 필터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유닛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유닛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 실시예의 필터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 실시예의 필터유닛의 분하생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 실시예의 필터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원수가 저장되며 하측면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원수통(10)과, 상기 원수통(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배수구(11)와 연결되는 연통구(21)가 형성된 저수통(20)과, 상기 원수통(10)의 배수구(11)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11)로 배출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수통(20)으로 배출하는 필터유닛(3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원수통(1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뚜껑(13)에 의해 개폐되는 주입구(12)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12)를 통해 내부에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2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 하측에는 배수밸브(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수통(20)의 하측에는 지지대(23)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밸브(22)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유닛(30)은 상단에 개구부(3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배수공(31b)이 형성된 외부케이스(31)와,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통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덮개판(32)과, 다수개의 통공(35a,36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공간부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판(35,36)과, 상기 격판(35,36)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필터링부재(35,36)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32)을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측에 결합하면,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에 상기 걸림턱(31c)에 걸려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35,36)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격판(35,36) 또는 외부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5b,36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격판(35,36)을 설치할 때, 지지바(35b,36b)의 하단이 상기 공간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용이하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35,36)은 상기 통공(35a)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격판(35)과, 상기 통공(36b)이 둘레면에 형성된 제2 격판(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격판(35)과 제2 격판(36)이 번갈아가면서 상측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 하측에는 제1 격판(35)이 구비되고, 그 상측에 상기 제2 격판(36)과 제1 격판(3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상기 필터링부재(35,36)를 충진한 후 제1 격판(35)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격판(35)의 상측에 필터링부재(35,36)를 충진한 후 그 상측에 제2 격판(36)을 배치하고, 제2 격판(36)의 상측에 필터링부재(35,36)를 충진한 후 그 상측에 제1 격판(35)을 배치하고, 제1 격판(35)의 상측에 다시 필터링부재(35,36)를 충진한 후 상기 덮개판(32)을 결합함으로써, 필터유닛(3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필터유닛(30)을 상기 원수통(10)의 배수구(11)에 결합한 후, 상기 원수통(10)에 수돗물을 공급하면, 상기 덮개판(32)을 통해 외부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격판(35,36)의 통공(35a,36b)을 통과하면서 내외측으로 경로가 유도되면서, 상기 공간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통과하여 정수된 후,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을 통해 상기 저수통(20)으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는, 상기 필터유닛(30)의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c)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5,36)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격판(35,36) 또는 외부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5b,36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덮개판(32)과 격판(35,36)을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접합하지 않고,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필터링부재(35,36)와 제1 및 제2 격판(35,36)과 덮개판(32)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함으로서, 필터유닛(30)을 조립할 수 있으며, 필터유닛(30)을 교체하여 발생된 폐필터유닛(30)의 경우, 상기 덮개판(32)과 제1 및 제2 격판(35,36)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배출하여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30)의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5,36)를 분리하여 폐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케이스(31)와 제1 및 제2 격판(35,36)과 덮개판(32)은 세척하여 재활용할 수 있음으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제1 및 제2 격판(35,36)을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삽입할 때, 지지바(35b,36b)의 하단이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충진된 필터링부재(34)를 손쉽게 파고들게 되어, 필터링부재(35,36)와 제1 및 제2 격판(35,36)을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교대로 설치하는 장점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격판(35,36)은 상기 통공(35a)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격판(35)과, 상기 통공(36b)이 둘레면에 형성된 제2 격판(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격판(35)과 제2 격판(36)이 번갈아가면서 상측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구비됨으로, 상측의 제1 격판(35)의 통공(35a)을 통과한 물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 격판(36)의 통공(36b)을 통과하고 다시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의 제1 격판(35)의 통공(35a)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이 내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복잡한 경로를 통해 하측으로 흐르게 되어, 수돗물과 필터링부재(35,36)의 접촉시간과 면적이 증가되어, 수돗물을 효과적으로 정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격판(35)의 상면 또는 하측면에는 상기 통공(35a)의 외측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관(35c)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격판(36)의 상하측면에는 상기 통공(36b)의 내측 둘레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관(36c)이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적층된 3개의 격판(35,36)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제1 격판(35)은 하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이 구비된다.
그리고, 중간부에 구비된 제2 가이드관(36c)은 상하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관(36c)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가장 하측에 구비된 제1 격판(35)은 상하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의 외경은 상기 제2 가이드관(36c)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격판(35,36)을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적층하면,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이 제2 가이드관(36c)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관(35c)과 제2 가이드관(36c)의 사이에 수돗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31d는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의 외측에 위치되는 보조가이드관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는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이 도 7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격판(35,36)의 통공(35a,36b)을 통과한 후, 상기 제1 가이드관(35c)과 제2 가이드관(36c)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게 됨으로, 수돗물이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복잡한 경로를 통해 흐른 후,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부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이 필터링부재(35,36)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가되어, 수돗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정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체(37)와, 상기 원수통(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4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50)와,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램프(6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램프(70)와,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0,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램프(60,70)를 on-off시키는 제어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관체(37)는 상하단이 개방되고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관체(37)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된 후 가이드관체(37)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에 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관체(37)가 없을 경우, 상기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물의 상면으로 떨어지면서 소음을 발생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가이드관체(37)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관체(37)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됨으로,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의 상면으로 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40)는 원수통(10)의 내부 하측, 특히, 원수통(10)의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원수통(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매우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는 상기 저수통(20)의 내부 상측, 특히, 저수통(20)의 내부 상측면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저수통(20)에 저장될 수 있는 물의 최고수위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저수통(20)은 상기 배수구(11)를 통해 상기 원수통(10)과 연결되며,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저장되면, 내부에 남아있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수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는 이와 같이, 저수통(20)의 내부에 최대한의 물이 저장되었을 때의 물의 수면의 높이에 구비되어,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최대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램프(60)는 링형태로 구성된 LED램프를 이용하며, 상기 원수통(10)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어, 점등되면 상기 원수통(10)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램프(60)는 적색으로 점등된다.
상기 제2 램프(70)는 링형태로 구성된 LED램프를 이용하며, 상기 저수통(20)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어, 점등되면 상기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을 조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램프(70)는 청색으로 점등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수위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면, 즉, 원수통(10)의 내부에 남은 물이 거의 없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램프(60)를 on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원수통(10)의 물이 거의 없는 것을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에 의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즉, 저수통(20)에 물이 꽉 차게 되면, 상기 제2 램프(70)를 on시킴으로써, 저수통(20)에 물이 꽉 찬 것을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는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상하단이 개방되고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가이드관체(37)의 상단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관체(37)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된 후 가이드관체(37)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물의 상면으로 떨어지면서 소음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통(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4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50)와,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램프(6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램프(70)와,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0,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램프(60,70)를 on-off시키는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램프(60)를 on시키고,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에 의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램프(70)를 on시킨다.
따라서, 원수통(10)에 저장된 물이 거의 남지 않거나, 상기 저수통(20)에 물이 꽉 찰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수통(10)에 물을 추가하거나,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원수통(10)이나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은 투명함으로, 외부에서 볼 때, 물의 수위가 잘 보이지 않게 되며, 경우에 따라, 원수통(10)에 물이 비었는데도 사용자가 물을 보충하지 않거나, 저수통(20)에 물이 ?? 찼는데도 불필요하게 원수통(1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원수통(10)에 저장된 물이 거의 남지 않거나, 상기 저수통(20)에 물이 꽉 찰 경우, 상기 제1 램프(60) 또는 제2 램프(70)를 on시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원수통(10)에 물을 추가하거나,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원수통 20. 저수통
30. 필터유닛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원수가 저장되며 하측면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원수통(10)과,
    상기 원수통(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배수구(11)와 연결되는 연통구(21)가 형성된 저수통(20)과,
    상기 원수통(10)의 배수구(11)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11)로 배출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수통(20)으로 배출하는 필터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30)은
    상단에 개구부(3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배수공(31b)이 형성된 외부케이스(31)와,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통공(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덮개판(32)과,
    다수개의 통공(35a,36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공간부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판(35,36)과,
    상기 격판(35,36)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필터링부재(35,36)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3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판(32)의 하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c)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5,36)의 하측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격판(35,36) 또는 외부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5b,36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35b,36b)의 하단은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격판(35,36)은
    상기 통공(35a)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격판(35)과,
    상기 통공(36b)이 둘레면에 형성된 제2 격판(3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격판(35)과 제2 격판(36)이 번갈아가면서 상측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격판(35)의 상면 또는 하측면에는 상기 통공(35a)의 외측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관(35c)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격판(36)의 상하측면에는 상기 통공(36b)의 내측 둘레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관(36c)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드관(35c)의 외경은 상기 제2 가이드관(36c)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하단이 개방되고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외부케이스(31)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체(37)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배수공(31b)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관체(37)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된 후 가이드관체(37)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통(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는 제1 수위감지센서(4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 수위감지센서(50)와,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램프(60)와,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램프(70)와,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0,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램프(60,70)를 on-off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수위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원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램프(60)를 on시키고, 상기 제2 수위감지센서(50)에 의해 상기 저수통(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램프(70)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80017621A 2018-02-13 2018-02-13 정수기 KR10198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21A KR101980855B1 (ko) 2018-02-13 2018-02-1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21A KR101980855B1 (ko) 2018-02-13 2018-02-13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855B1 true KR101980855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621A KR101980855B1 (ko) 2018-02-13 2018-02-1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8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01Y1 (ko) * 2002-06-07 2002-10-09 실버레이 주식회사 다단 필터방식의 정수기
KR100674691B1 (ko) 1999-11-30 2007-01-26 나이토 요스케 병 용기용 정수기
KR20100019263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승광 자연여과식 정수기
KR20160106925A (ko) * 2015-03-03 2016-09-13 조원재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KR101770652B1 (ko) * 2016-08-31 2017-08-23 권사겸 물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691B1 (ko) 1999-11-30 2007-01-26 나이토 요스케 병 용기용 정수기
KR200291201Y1 (ko) * 2002-06-07 2002-10-09 실버레이 주식회사 다단 필터방식의 정수기
KR20100019263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승광 자연여과식 정수기
KR20160106925A (ko) * 2015-03-03 2016-09-13 조원재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KR101770652B1 (ko) * 2016-08-31 2017-08-23 권사겸 물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252B1 (ko) 제거가능한 강화 미디어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
RU2537286C2 (ru) Водоочиститель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фильтрования
US4015959A (en) In-line filter for gases
US20040060873A1 (en)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US5985139A (en) Septic tank pump and filter system
KR101471864B1 (ko)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RU2008130406A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для кувшинов
CN101439241B (zh) 净水滤芯以及具备该净水滤芯的净水器
US6287456B1 (en) Filtration system with filtrate volume indicator
KR101980855B1 (ko) 정수기
KR100836720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JPH11207320A (ja) 家庭用浄水器
TWI396662B (zh) 淨水濾心以及淨水器
CN103052597A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JP3107287U (ja) サイフォン式浄水器
KR101063108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JPH0631110A (ja) オイルと水とを分離する装置
JP5728801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102035216B1 (ko) 빗물 정화장치
JP5736733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20120094022A (ko) 정수기
EP3388396B1 (en) Liquid purification device
GB2042917A (en) Oil Separator
KR101442964B1 (ko) 다단낙수판이 구성된 정수 시스템
US11857896B2 (en) Fluid filter for treating the flui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relea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