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925A -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925A
KR20160106925A KR1020150029650A KR20150029650A KR20160106925A KR 20160106925 A KR20160106925 A KR 20160106925A KR 1020150029650 A KR1020150029650 A KR 1020150029650A KR 20150029650 A KR20150029650 A KR 20150029650A KR 20160106925 A KR20160106925 A KR 20160106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urification
filter case
distribu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재
Original Assignee
조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재 filed Critical 조원재
Priority to KR102015002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925A/ko
Publication of KR2016010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식세라믹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이 정화 필터를 통해 2차적으로 정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필터에 포함된 필터 부재 전체가 정화 과정에서 골고루 이용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를 통해 정화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필터 교체의 주기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가 소개된다. 이러한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세라믹 필터가 설치된 저장조와 정화 필터가 설치된 정화조로 구성되고, 세라믹 필터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정화 필터에서 2차적으로 정화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정화 필터에 적용되는 필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터로부터 자유낙하하는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그 중심 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포집 홈에서 포집하고, 이 포집된 물이 그 가장자리 부분을 향해 흘러내리도록, 상기 포집 홈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 홈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이르는 경로에 물이 아래로 통과하여 낙하할 수 있는 다수의 물 통과 홀이 분산되어 형성된 물 분배 플레이트와,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가 그 상단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1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FILTER CASE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용 필터를 통과하는 물이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된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널리 활용되는 정수기(water purifier)는 수돗물 등의 원수(原水)를 '먹는물관리법' 제5조 제3항 규정에 적합한 음용수로 정화하는 장치로서, 그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때,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원수가 공급되는 수도배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해서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고,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일정용량의 원수를 저장해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는다. 그리고 증류식은 원수를 끓여 수증기를 수집하는 방식을 취하며, 역삼투압식은 멤브레인(membrane)이라 불리는 반투막을 이용해서 원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한편, 특수용도에 한정되는 증류식과 역삼투압식 정수기를 제외하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수기는 직결여과식과 자연여과식 정수기이지만, 이들 각각은 용도에 따른 쓰임이 다르다.
즉,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수도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으므로 수도배관의 연결이 쉽고 물 사용이 많은 장소에 주로 설치되는 반면,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별도의 수도배관 없이 그 내부에 저장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방식을 나타내는바, 건물구조상 수도배관이 없거나 연결이 용이치 않은 장소 또는 전산실, 기계실 등 누수로 인해 치명적 손해가 예상되는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때문에 자연여과식 정수기에는 직결여과식과 달리 원수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탱크가 내장되며, 이로 인해 흔히 탱크형 정수기 또는 등나무 정수기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특히 직결여과식 정수기와 비교해서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야외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을 나타낸다.
한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세라믹 필터(20)와 일반적인 정화 필터(30)가 함께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정수되기 위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10)를 구비하고, 이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1차적으로 세라믹 필터(20)에서 정화된 후 저장조(10)의 하측에 연결된 정화조(40)로 유동된다. 이 때, 세라믹 필터(20)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은 자유 낙하하면서 정화조(40)에 설치된 정화 필터(30)를 거치면서 2차적으로 정화되고, 2차적으로 정화된 물은 정화조(40)의 내부에 저장되며, 정화조(40)에 저장된 물은 정화조(40)에 설치된 배수 밸브(50)를 통해 정화조(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정화 필터(30)는 여러 개의 격실로 구성된 필터 케이스와 각 격실에 수납되어 여과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세라믹 필터(20)로부터 자유 낙하한 물은 상기 정화 필터(30)를 통과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반복적인 여과 과정을 통해 생겨난 물길을 따라서만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필터 부재 전체가 이용되지 못하고 어느 특정 위치의 필터 부재만 이용됨으로써, 정화 필터의 교체 주기가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652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세라믹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이 정화 필터를 통해 2차적으로 정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필터에 포함된 필터 부재 전체가 정화 과정에서 골고루 이용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를 통해 정화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필터 교체의 주기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세라믹 필터가 설치된 저장조와 정화 필터가 설치된 정화조로 구성되고, 세라믹 필터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정화 필터에서 2차적으로 정화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정화 필터에 적용되는 필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터로부터 자유낙하하는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그 중심 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포집 홈에서 포집하고, 이 포집된 물이 그 가장자리 부분을 향해 흘러내리도록, 상기 포집 홈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 홈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이르는 경로에 물이 아래로 통과하여 낙하할 수 있는 다수의 물 통과 홀이 분산되어 형성된 물 분배 플레이트와,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가 그 상단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1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의 상기 포집 홈으로부터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이르는 경로에는 물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장 길이의 물 유도 홈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물 유도 홈에는 상기 물 통과 홀이 적어도 하나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물 통과 홀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필터 케이스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와, 이 물 흐름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는 중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필터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필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필터 케이스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와, 이 물 흐름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는 가장자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필터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3 필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필터 케이스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와, 이 물 흐름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는 중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필터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4 필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필터 케이스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와, 이 물 흐름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는 가장자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에 따르면, 세라믹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이 정화 필터를 통해 2차적으로 정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필터에 포함된 필터 부재 전체가 정화 과정에서 골고루 이용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정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필터 교체의 주기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가 적용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가 적용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정수되기 위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10)를 구비하고, 이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1차적으로 세라믹 필터(20)에서 정화된 후 저장조(10)의 하측에 연결된 정화조(40)로 유동된다. 이 때, 세라믹 필터(20)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은 자유 낙하하면서 정화조(40)에 설치된 정화 필터(30)를 거치면서 2차적으로 정화되고, 2차적으로 정화된 물은 정화조(40)의 내부에 저장되며, 정화조(40)에 저장된 물은 정화조(40)에 설치된 배수 밸브(50)를 통해 정화조(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위와 같은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사용되는 정화 필터의 케이스이다.
앞서 설명된 도 1을 부분적으로 참조하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세라믹 필터(20)가 설치된 저장조(10)와 정화 필터(30)가 설치된 정화조(40)로 구성되고, 세라믹 필터(20)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정화 필터(30)에서 2차적으로 정화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정화 필터(30)에 적용되는 필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터(20)로부터 자유낙하하는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그 중심 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포집 홈(120)에서 포집하고, 이 포집된 물이 그 가장자리 부분을 향해 흘러내리도록, 상기 포집 홈(120)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 홈(120)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이르는 경로에 물이 아래로 통과하여 낙하할 수 있는 다수의 물 통과 홀이 분산되어 형성된 물 분배 플레이트(100)와,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100)가 그 상단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1 필터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100)는 대략의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10)와 이 몸체(110)의 중심 부분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포집 홈(120)을 포함하고, 상술한 특징들로 인해 도시된 것처럼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100)의 상기 포집 홈(120)으로부터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이르는 경로에는 물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장 길이의 물 유도 홈(130)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물 유도 홈(130)에는 상기 물 통과 홀이 적어도 하나 위치된다.
이처럼 상기 물 유도 홈(130)에 형성되는 물 통과 홀(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100)의 중심 부분에 몰려서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몰 분배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몰려서 배치되는 경우가 혼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물 통과 홀(140)의 배열로 인해 상기 물 유도 홈(130)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다양한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집 홈(120)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물 통과 홀(140)을 통하지 않고, 몸체(110)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에는 물 통과 홀(150)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필터 케이스(200)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210)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220)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221)와, 이 물 흐름 부재(221)의 내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222)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221)는 중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 분배 플레이트(10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제1 필터 케이스(200)의 바닥부(2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 부분에 위치한 물 통과 부재(222)를 향해 흐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상기 제1 필터 케이스(200)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필터 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케이스(300)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310)와, 이 몸체부(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310)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320)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321)와, 이 물 흐름 부재(321)의 외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322)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321)는 가장자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필터 케이스(20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제2 필터 케이스(300)의 바닥부(3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장자리에 위치한 물 통과 부재(322)를 향해 흐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상기 제2 필터 케이스(300)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3 필터 케이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필터 케이스(400)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410)와, 이 몸체부(4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410)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420)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421)와, 이 물 흐름 부재(421)의 내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422)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421)는 중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필터 케이스(30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제3 필터 케이스(400)의 바닥부(4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 부분에 위치한 물 통과 부재(422)를 향해 흐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는 상기 제3 필터 케이스(400)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필터 부재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제4 필터 케이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 케이스(500)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510)와, 이 몸체부(5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510)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바닥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520)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물 흐름 부재(521)와, 이 물 흐름 부재(521)의 외측에 위치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물 통과 부재(522)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흐름 부재(521)는 가장자리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 필터 케이스(40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제4 필터 케이스(500)의 바닥부(5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장자리에 위치한 물 통과 부재(522)를 향해 흐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에 따르면, 세라믹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이 정화 필터를 통해 2차적으로 정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필터에 포함된 필터 부재 전체가 정화 과정에서 골고루 이용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정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필터 교체의 주기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물 분배 플레이트
110 : 몸체
120 : 포집 홈
130 : 물 유도 홈
140,150 : 물 통과 홀
200 : 제1 필터 케이스
300 : 제2 필터 케이스
400 : 제3 필터 케이스
500 : 제4 필터 케이스

Claims (1)

  1. 세라믹 필터가 설치된 저장조와 정화 필터가 설치된 정화조로 구성되고, 세라믹 필터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정화 필터에서 2차적으로 정화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정화 필터에 적용되는 필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터로부터 자유낙하하는 1차적으로 정화된 물을 그 중심 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포집 홈에서 포집하고, 이 포집된 물이 그 가장자리 부분을 향해 흘러내리도록, 상기 포집 홈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 홈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까지 이르는 경로에 물이 아래로 통과하여 낙하할 수 있는 다수의 물 통과 홀이 분산되어 형성된 물 분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KR1020150029650A 2015-03-03 2015-03-03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KR20160106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50A KR20160106925A (ko) 2015-03-03 2015-03-03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50A KR20160106925A (ko) 2015-03-03 2015-03-03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25A true KR20160106925A (ko) 2016-09-13

Family

ID=5694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650A KR20160106925A (ko) 2015-03-03 2015-03-03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9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55B1 (ko) * 2018-02-13 2019-05-22 강경아 정수기
KR102321592B1 (ko) 2021-05-03 2021-11-04 명성희 공기 가압식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08A (ko) 1998-01-09 1999-08-05 김고정 정수기용 정화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08A (ko) 1998-01-09 1999-08-05 김고정 정수기용 정화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55B1 (ko) * 2018-02-13 2019-05-22 강경아 정수기
KR102321592B1 (ko) 2021-05-03 2021-11-04 명성희 공기 가압식 정수기
KR20220150185A (ko) 2021-05-03 2022-11-10 명성희 공기 가압식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20B1 (ko) 복합 필터 소자, 정수기용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와 정수기
JP2008514404A (ja) 炭素片前置フィルタ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BR112014007066B1 (pt) Um elemento filtrante composto e seu soquete
US20160152488A1 (en) Water purifier
KR102071130B1 (ko)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정수기
AU2010212269A1 (en) Replaceabl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RU2008133705A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и фильтрационная емкость для этой системы
CN102728126B (zh) 自动清污自来水终端净化装置
KR20160106925A (ko)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KR20160071505A (ko)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RU2568222C2 (ru) Переносной водоочиститель
KR200437273Y1 (ko) 이온교환수지 필터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1707026B1 (ko) 가정용 수처리 장치
CN203668172U (zh) 净水机
KR20170060637A (ko) 필터의 누수방지구조
CN208161167U (zh) 龙头净水器多级滤芯
CN205472728U (zh) 分水器组件和具有其的水处理组件
KR20160021710A (ko) 정수장치
KR101001671B1 (ko) 스페이서
KR101262109B1 (ko) 정수기
CN204619516U (zh) 一种自动清洁的水净化装置
CN103252165A (zh) 中空微滤膜片净水机
RU2270050C1 (ru) Фильтр для воды
KR100903437B1 (ko) 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