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73Y1 - 이온교환수지 필터 - Google Patents

이온교환수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73Y1
KR200437273Y1 KR2020060028794U KR20060028794U KR200437273Y1 KR 200437273 Y1 KR200437273 Y1 KR 200437273Y1 KR 2020060028794 U KR2020060028794 U KR 2020060028794U KR 20060028794 U KR20060028794 U KR 20060028794U KR 200437273 Y1 KR200437273 Y1 KR 200437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xchange resin
side wall
ion exchang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봉
정동민
Original Assignee
우리텍 주식회사
(주)동보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텍 주식회사, (주)동보기전 filed Critical 우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6Ion exchange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와 부직포를 함께 사용한 이온교환수지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는, 하판(11), 외측벽(12), 중공측벽(13), 격벽(14), 내측벽(15) 및 상판(16) 등으로 이루어지며, 중공을 구비한 원통형 케이스와; 중공측벽(13)의 하단부에서 하판(11) 저면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 결합관체(17)와; 케이스의 내부공간(R)에 채워지며, 이온교환수지와 부직포 등이 분리된 상태로 채워진 필터링부재(18)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는, 정수 효율이 향상되며, 부직포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소공간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링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온교환수지, 부직포, 정수, 정수대상수

Description

이온교환수지 필터{Ion exchange resin filter}
도 1은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상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측벽들과 하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상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측벽들과 하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판 12. 외측벽 13. 중공측벽
14. 격벽 15. 내측벽 16. 상판
17. 결합관체 18,18'. 필터링부재
C. 틈새 E. 출수구 F. 부직포
H. 관통공 h. 통공 I. 입수구
J,J'. 단턱 R,R'''. 내부공간 R',R". 부직포충진부
본 고안은, 중공의 하단부를 제외한 상·하단부가 밀봉된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부직포, 이온교환수지 등의 필터링부재가 채워지고, 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입수구를 통하여 정수대상수가 주입된 후 케이스 내부를 일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정수대상수가 케이스 중심부의 중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이온교환수지 필터에 관한 것이다.
산업 고도화와 함께 필연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각종 공해문제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상수원의 오염문제로서, 상수원의 오염은 공장, 축산 농가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폐수와 생활 하수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으며, 상수원 자체의 품질 저하와 함께 상수원 및 수돗물 공급 관로의 노후화와 아파트 등의 집단 주거 시설 증가는 각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질을 더욱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수돗물 공급관로의 노후화는 철, 아연 등 각종 금속 이온과 녹의 공급원이 되고 있으며, 집단 주거 시설의 수돗물 저장 탱크는 각종 미생물과 세균의 서식 장소가 됨에 따라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마실 수가 없는 실정이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천연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수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방식의 각종 정수기를 사용하여 수돗물을 정수 후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정수를 필요로 하는 음용수 외에, 음용수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mineral)까지도 제거한 순수 또는 단물이라고도 불리우는 연수(軟水) 등이 필요로 되면서 이온교환수지 필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근래 들어 비데의 사용 증가와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가정에서의 연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급증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다소나마 진정시키기 위하여 그러한 어린이들의 샤워나 목욕 등을 무자극성 연수로 하려고 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또한, 초음파 가습기, 식기 세척기 등 같이 물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제품에 일반 음용수 등을 사용하는 경우 음용수 등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이 물과 접촉하는 부품 표면에 축적되어 자주 세척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세척을 하여도 결국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는 바, 각 종 미네랄 특히, 칼슘, 마그네슘, 염소 등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한 연수에 대한 필요성 및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실생활에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연수를 얻기 위하여 음용수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염소 등을 제거하여 주는 것이 이온교환수지 필터로서, 국내실용신안공보 실1990-4887호에 "정수기"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하단부가 밀페되는 원통형 정수기의 내부가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격판에 의해 90°의 중심각을 갖는 4개의 부채꼴 단면 격실로 분리 되고, 중심부에는 배수관이 구비되고, 이온교환수지와 활성탄이 두 격실에 서로 인접하도록 충진된 구조로서, 일측 이온교환수지 격실의 상부로 유입된 정수대상수는 두 이온교환수지 격실을 분리하는 격판의 하부 통수로를 통하여 타측 이온교환수지 격실의 하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타측 이온교환수지 격실의 하부로 유입된 정수대상수는, 일측 활성탄 격실과의 격판 상부 통수요홈을 통하여 일측 활성탄 격실 상부로 유입된 후 타측 활성탄 격실과의 격판 하부 통수로를 통하여 타측 활성탄 격실로 유입되고, 타측 활성탄 격실로 유입된 정수대상수는 그 상부로 이동한 후 배수관 상단부의 절결홈을 통하여 배수관으로 유입 및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대상수가 이온교환수지 및 활성탄을 거치는 2단계의 정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각 격실로 유입된 정수대상수와 필터링부재 즉, 이온교환수지나 활성탄과의 접촉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필터링부재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즉, 필터링부재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일측 격판 하단부의 통수로와 타측 격판 상단부의 통수요홈을 잇는 상향 또는 하향 직선이 정수대상수의 최단 이동거리가 되는 바, 기본적으로 정수대상수의 이동거리가 짧다.
또한, 격판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구비된 통공인 통수로나 통수요홈을 통하여 정수대상수가 이동하게 되는 바, 정수 가능 용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대상수의 이동거리를 연장하는 동시에 정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22702호의 "가습기의 정수 장치"에 게시되어 있 는 바, 이 정수 장치 역시 상기 실용신안공보의 정수기와 같이 중공을 가진 원통형 구조를 취하나, 그 내부가 방사상의 격판으로 분리되지 않고 외측벽과 동심원을 형성하는 내측벽이 구비되고, 외측벽의 반대되는 양 측 외주면 하부에서 내부로 정수대상수가 정수 장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양 측 외주면의 각 유입공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정수대상수는 각각 양분되어 외측벽 내주면과 내측벽 외주면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흐른 후 내측벽을 관통하여 내측벽 내주면과 중공벽 외주면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다시 서로 합쳐지며, 서로 합쳐진 각 정수는 중공벽의 반대되는 양 측 외주면을 관통하여 중공 내부에서 전체가 합류된 후 배출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가습기의 정수 장치는, 상기 실용신안공보의 정수기에 비하여 정수대상수의 이동거리 즉, 필터링부재와의 접촉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정수 효율이 향상되며, 정수 장치의 양 측에서 정수대상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정수량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정수대상수가 흐르는 유로가, 두 곳으로 완전히 분리되고, 분리된 각 유로는 다시 분리된 후 합쳐지는 구조로서, 정수대상수가 2회에 걸쳐 분기되기 때문에 주어진 크기의 원통형 구조 범위 내에서 정수대상수가 필터링부재와 접촉하는 거리가 여전히 충분치 못하다.
또한, 정수대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정수 장치 외주면의 하부에 치우쳐 위치함으로써, 정수대상수의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에는 문제가 다소 희석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정수 장치 내 상부에 채워진 필토링부재 즉, 이온교환수지의 사 용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정수 용량 증가에도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온교환수지 필터가 가지고 있는 제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대상수와 이온교환수지와의 접촉 시간과 정수 용량을 함께 극대화할 수 있는 원통형 구조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제공하되, 필요에 따라 이온교환수지 외의 다른 필터링부재를 함께 사용할 수 필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정수대상수의 1회 분기 구조와, 축 방향을 따라 각 측벽의 상·하단부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된 입수구 및 출수구와, 다수의 부직포충진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는, 중심부의 중공을 제외한 상·하단부가 밀폐된 구조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 다수 곳의 부직포충진부에 채워진 부직포와; 부직포충진부를 제외한 공간에 채워진 이온교환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필터는, 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으로 주입된 정수대상수가 케이스 중심부의 중공을 통하여 배출되기전 이온교환수지와의 접촉 시간이 최대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케이스에 구비된 입수구와 출수구 및 부직포가 채워지는 부직충진부에 의해 정수 용량이 증가되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케이스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구성하는 케이스는,
중앙부에 원형 관통공이 형성된 환형 하판과;
상판의 직상에 하판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중앙부에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하판의 테두리부를 연결하며 일측에 입수구가 구비된 원통형 외측벽과;
상기 하판의 관통공 내주면에서 상판 저면까지 직립하며, 일측에 출수구가 구비되고, 평면도 상에서 외측벽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형 중공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입수구 반대측에 위치한 외측벽 내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즉, 출수구 반대측의 중공측벽 외주면을 연결하는 직경 방향의 격벽과;
상기 외측벽 및 중공측벽과 평면도 상에서 동심원을 이루도록 외측벽과 중공측벽 사이에 직립하나, 일측이 개방되어 그 양 단부가 상기 격벽의 양 면과 이격된 일측 개방형 원통상의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과 내측벽 및 중공측벽의 상단부에 저면이 밀착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상판과;
상기 하판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중공측벽의 하단부에서 하판 저면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 파이프형 결합관체 등을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정수대상수의 유로가 최대화되는 바, 평면도 상에서, 외측벽의 일측에 구비된 입수구를 통하여 케이 스 내부 즉,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로 유입된 정수대상수는 양 측으로 나늬어져 각각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를 통하여 입수구 반대측 즉, 180°되는 지점까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180°를 이동하여 입수구 반대측에 각각 도달한 정수대상수는, 서로 이격된 내측벽의 양 단부와 격벽의 양 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 두 틈새를 통하여 격벽의 양 면에 인접한 내측벽과 중공측벽 사이로 각각 유입되고, 격벽의 양 면에 각각 인접한 내측벽과 중공측벽 사이로 유입된 양 측 정수대상수는 방향을 바꿔 각각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180°되는 지점까지 재이동한 후 중공측벽에 구비된 출수구에서 합류된 상태로 중공 내로 배출된다.
이때, 입수구가 있는 외측벽 내주면과 내측벽 외주면 사이 및 출수구가 있는 내측벽 내주면과 중공측벽 외주면 사이에는 부직포 등의 필터링부재가 채워지는 부직포충진부가 각각 구비되는 바, 부직포충진부에 채워진 부직포는, 정수대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과 함께, 정수대상수를 신속히 흡수한 후 배출함으로써 정수대상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정수 용량을 증가시켜 주는 보조적인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분해 단면도를, 도 3에 상판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제1실시예의 평면도를, 도 4에 본 고안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측벽들과 하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는,
중앙부에 원형 관통공(H)이 형성된 환형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직립하며,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입수구(I)가 관통 형성된 원통형 외측벽(12)과;
상기 하판(11)의 관통공(H) 내주면을 따라 직립하며, 외측벽(12)의 입수구(I)와 마주하는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출수구(E)가 관통 형성되고, 평면도 상에서 외측벽(12)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형 중공측벽(13)과;
상기 외측벽(12)에 구비된 입수구(I) 반대측의 외측벽(12) 내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중공측벽(13) 외주면을 연결하는 직경 방향 격벽(14)과;
상기 외측벽(12) 및 중공측벽(13)과 평면도 상에서 동심원을 이루도록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 사이의 하판(11) 상면에서 직립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평면도 상에서의 양 단부가 상기 격벽의 양 면과 이격됨으로써 둘 사이에 각각 틈새(C)를 형성하는 일측 개방형 원통상의 내측벽(15)과;
상기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 및 내측벽(15)의 상단부에 저면이 밀착 결합되며, 중앙부에 다수의 통공(h)이 구비된 원판 형상의 상판(16)과;
상기 하판(11)의 관통공(H)을 관통하도록 중공측벽(13)의 하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며, 정수기 등에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형 결합관체(17)와;
상기 중공측벽(13)의 내경부 즉, 중공을 제외하고 상·하판(16)(11)과 세 측 벽(12)(13)(15) 및 격벽(1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R)에 채워지는 필터링부재(18)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16) 중앙부의 통공(h)들은, 정수된 물이 중공측벽(13)의 내경부를 통하여 하향 이동시 중공측벽(13) 내주면 상부와 상판(16) 저면 사이에 부압이 형성되면서 물의 하향 흐름이 방해되거나 원활치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구멍이다.
그리고, 상판과 하판 및 세 측벽은 각각 제조된 후 조립될 수도 있으며, 상판 또는 하판과 세 측벽을 일체로 성형한 후 하판 또는 상판을 결합할 수도 있는 바,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수구(I)와 출수구(E)는 각각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에 관통 형성되는데, 각 측벽(12)(13)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전체가 절개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단부와 하단부를 잇는 직선을 따라 다수개가 일렬 또는 다수열로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는 바, 일측 상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직하의 하단부를 잇는 직선 전체 또는 대부분에 형성되도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입수구(I)와 출수구(E)에 인접한 외측벽(12)의 내주면과 내측벽(15)의 내·외주면 및 중공측벽(13)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1단턱(J)이 각각 돌출 구비됨으로써, 인접한 두 쌍씩의 제1단턱(J) 사이에 부직포(F)를 충진하기 위한 공간인 제1부직포충진부(R')가 형성되는 바, 제1부직포충진부(R')에는 필터링부재(18)로서 부직포가 채워지고, 제1부직포충진부(R')를 제외한 내부공간(R)에는 필터링부재(18)로서 이온교환수지가 채워지는 구조이다.
또한,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위 즉, 출수구(E)의 양 측으로 떨어진 내측벽(15)의 내주면 및 중공측벽(13)의 외주면에 각각 한 쌍씩의 제2단턱(J')을 추가적으로 돌출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두 쌍씩의 제2단턱(J')에 의해 제2부직포충진부(R")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출수구(E)측 제1부직포충진부(R')와 이에 인접한 제2부직포충진부(R") 사이의 공간(R''')에는 이온교환수지나 부직포가 아닌 다른 종류의 필터링부재(18'), 예를 들어, 활성탄 등을 충진함으로써 정수대상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단턱(J')을 형성시키지 않고 그 위치에 부직포 등의 필터링부재를 채운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정수지 등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관체(17)의 경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시켜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외주면에 오링("O" ring) 등과 같은 씰링부재를 결합하여 단순 삽입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온교환수지 필터는 중공을 가진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채워진 필터링부재와 정수대상수 사이의 접촉 시간과 정수 용량의 최대화를 위한 최적의 유로와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어 정수 효율이 향상되며, 이온교환수지와 함께 부직포를 다수 곳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수대상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 만아니라, 부직포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소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링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Claims (5)

  1. 중공을 구비한 원통형 케이스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에 있어서,
    중앙부에 원형 관통공(H)이 구비된 환상의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 테두리부에 직립하며,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입수구(I)가 관통 형성된 원통형 외측벽(12)과;
    상기 하판(11)의 관통공(H) 내주면을 따라 직립하며,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출수구(E)가 관통 형성된 원통형 중공측벽(13)과;
    상기 입수구(I) 반대측의 외측벽(12) 내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중공측벽(13) 외주면을 연결하는 격벽(14)과;
    상기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 사이의 하판(11) 상면에 직립하며, 연결되지 않은 양 단부가 격벽(14) 양 면과의 사이에 각각 틈새(C)를 형성하는 일측 개방형 원통상의 내측벽(15)과;
    상기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 및 내측벽(15)의 상단부에 저면이 밀착 결합된 원판형 상판(16)과;
    상기 중공측벽(13)의 하단부에서 하판(11) 저면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 결합관체(17)와;
    상기 상·하판(16)(11)과 세 측벽(12)(13)(15) 및 격벽(14)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R)에 채워지며,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필터링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I)와 출수구(E)에 인접한 외측벽(12)의 내주면과 내측벽(15)의 내·외주면 및 중공측벽(13)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1단턱(J)이 각각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단턱(J) 중 서로 인접한 각 두 쌍씩의 제1단턱(J) 사이에는 제1부직포충진부(R')가 형성되며, 각 제1부직포충진부(R')에는 부직포(F)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 필터.
  4. 중공을 구비한 원통형 케이스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에 있어서,
    중앙부에 원형 관통공(H)이 구비된 환상의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상면 테두리부에 직립하며,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입수구(I)가 관통 형성된 원통형 외측벽(12)과;
    상기 하판(11)의 관통공(H) 내주면을 따라 직립하며, 외주면 일측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출수구(E)가 관통 형성된 원통형 중공측벽(13)과;
    상기 입수구(I) 반대측의 외측벽(12) 내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중공측벽(13) 외주면을 연결하는 격벽(14)과;
    상기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 사이의 하판(11) 상면에 직립하며, 연결되지 않은 양 단부가 격벽(14) 양 면과의 사이에 각각 틈새(C)를 형성하는 일측 개방형 원통상의 내측벽(15)과;
    상기 외측벽(12)과 중공측벽(13) 및 내측벽(15)의 상단부에 저면이 밀착 결합된 원판형 상판(16)과;
    상기 중공측벽(13)의 하단부에서 하판(11) 저면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 결합관체(17)와;
    상기 상·하판(16)(11)과 세 측벽(12)(13)(15) 및 격벽(14)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R)에 채워지며,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필터링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입수구(I)와 출수구(E)에 인접한 외측벽(12)의 내주면과 내측벽(15)의 내·외주면 및 중공측벽(13)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1단턱(J)이 각각 돌출되고, 인접한 각 두 쌍씩의 제1단턱(J) 사이에 형성된 각 제1부직포충진부(R')에는 부직포(F)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E)의 양 측으로 떨어진 내측벽(15)의 내주면 및 중공측벽(13)의 외주면에는 각각 한 쌍씩의 제2단턱(J')이 추가적으로 돌출 구비되고, 두 쌍씩의 제2단턱(J')에 의해 형성된 제2부직포충진부(R")에는 부직포(F)가 충진되며,
    제1부직포충진부(R')와 제2부직포충진부(R') 사이의 공간(R''')에는 이온교환수지와 부직포가 아닌 필터링부재(18')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 필터.
KR2020060028794U 2006-10-31 2006-10-31 이온교환수지 필터 KR200437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94U KR200437273Y1 (ko) 2006-10-31 2006-10-31 이온교환수지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94U KR200437273Y1 (ko) 2006-10-31 2006-10-31 이온교환수지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73Y1 true KR200437273Y1 (ko) 2007-11-28

Family

ID=4163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794U KR200437273Y1 (ko) 2006-10-31 2006-10-31 이온교환수지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45B1 (ko) * 2009-07-20 2010-01-15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생물학적 분해반응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KR20140143011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WO2020116823A1 (ko) * 2018-12-06 2020-06-11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온교환수지모듈 및 이를 사용한 이온제거장치
GB2594601A (en) * 2018-02-08 2021-11-03 Hyosung Heavy Ind Corp Ion-exchange resin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45B1 (ko) * 2009-07-20 2010-01-15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생물학적 분해반응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KR20140143011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125718B1 (ko) * 2013-06-05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GB2594601A (en) * 2018-02-08 2021-11-03 Hyosung Heavy Ind Corp Ion-exchange resin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same
GB2594601B (en) * 2018-02-08 2022-10-12 Hyosung Heavy Ind Corp Ion-exchange resin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same
WO2020116823A1 (ko) * 2018-12-06 2020-06-11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온교환수지모듈 및 이를 사용한 이온제거장치
US11970407B2 (en) 2018-12-06 2024-04-30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Ion-exchange resin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5675A (ja) 磁化濾過装置
KR200437273Y1 (ko) 이온교환수지 필터
JP5765676B2 (ja) 浄化システム及びフィルタ
EP2719668A1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pitcher-type water purifier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US9629345B2 (en) Biochemical ball
CN211284078U (zh) 一种水产养殖池塘的水体净化系统的净化槽结构
CN109392815A (zh) 鱼池净化装置
JP4299522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20160106925A (ko) 정수기용 필터 케이스
CN110228834B (zh) 可反冲洗的自流式水处理系统
KR200308789Y1 (ko)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
KR100459038B1 (ko) 수처리용 평막 모듈
RU2188699C1 (ru) Аппарат для фильтрации
JP5081750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CN213085686U (zh) 一种串联式集成水路板及净水装置及净软水一体机
CN209872507U (zh) 具有厌氧池的分散式小户型污水处理单元
CN220091021U (zh) 滤膜杀菌模块、水龙头组件以及净水机
RU144017U1 (ru) Септик
KR100649145B1 (ko) 오수 정화장치
CN213112848U (zh) 一种并联式集成水路板及净水装置及净软水一体机
CN212293175U (zh) 多功能水处理装置
CN215161914U (zh) 一种鱼菜共生过滤净水设备
CN209872660U (zh) 分散式小户型污水处理单元
KR200344030Y1 (ko) 물을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