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20B1 -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20B1
KR100836720B1 KR1020060135197A KR20060135197A KR100836720B1 KR 100836720 B1 KR100836720 B1 KR 100836720B1 KR 1020060135197 A KR1020060135197 A KR 1020060135197A KR 20060135197 A KR20060135197 A KR 20060135197A KR 100836720 B1 KR100836720 B1 KR 10083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storage tank
flow rate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일
조민제
조영건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구비된 다수개의 필터 중 특히 세디멘트필터와 멤브레인필터의 막힘 유무를 압력센서를 통해 조기에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가 막히게 되면 사용자에게 알려 신속한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수기의 정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한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필터를 갖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외부로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산출하고,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설정된 비교값과 비교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과 비교값을 비교하여 상기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기, 필터, 세디멘트, 멤브레인, 압력센서, 마이컴,

Description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Indicating Apparatus of Filter Exchange Period in A Water Purifier}
도1은 종래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부와 저수탱크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부 2 : 세디멘트필터
3 : 선카본필터 4 : 멤브레인필터
5 : 후카본필터 6 : 저수탱크
7 : 추출부 8 : 추출코크
9 : 배출밸브 10 : 유량검출수단
20 : 압력센서 21 : 추출시간검출센서
30 : 마이컴 4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는 정수기에 구비된 다수개의 필터 중 특히 세디멘트필터와 멤브레인필터의 막힘 유무를 압력센서를 통해 조기에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가 막히게 되면 사용자에게 알려 신속한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수기의 정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한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바,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위치에 따라서 카운터 탑(Counter top)형과 언더싱크(Under sink)형이 사용되고 있다. 카운터 탑형은 필터와 저장탱크가 일체의 캐비넷 안에 설치되어서 카운터 위에 설치되는 것이며, 언더싱크형은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정수기의 정수과정과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1은 종래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부와 저수탱크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에는,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를 바닥에 가라앉혀 여과하기 위한 세디멘트필터(2)와, 상기 세디멘트필터(2)를 통과한 원수 중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선카본필터(3)와, 상기 선카본필터(3)를 통과한 원수 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필터(4)와, 상기 멤브레인필터(4)를 통과한 식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5)로 이루어진 필터부(1)가 구비된다.
즉, 정수기에 공급되는 원수는 세디멘트필터(2)를 거치면서 큰 입자들이 1차적으로 여과되고, 다음으로 선카본필터(3)를 거치면서 2차 여과작용이 일어나며, 선카본필터(3)를 거친 물은 멤브레인필터(4)를 거치면서 3차적으로 여과된 후, 최종적으로 후카본필터(5)를 거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서 정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후카본필터(5)를 통과한 정수는 상기 후카본필터(5)와 연결된 저수탱크(6)에 저장되고, 상기 저수탱크(6)에 저장된 물은 저수탱크(6)의 일측에 마련된 추출부(7)를 통해 외부로 추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상기 추출부(7)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저수탱크(6)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추출코크(8)가 구비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저수탱크(6)의 물을 음용하고자 할 때 상기 추출코크(8)를 열어서 물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6)에는 저수탱크(6) 내부로 정수가 어느 정도 채워지면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더 이상의 정수가 저수탱크(6)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수위감지센서(6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필터(4)의 하단에는 배출밸브(9)가 마련되어 있어서, 음용하는 이외의 용도, 예를 들면 청소용도로 물을 사용하거나 세탁용으로 물을 사용 할 경우에 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배출밸브(9)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상기 세디멘트필터(2)와 선카본필터(3) 만을 통과한 물로써 멤브레인필터(4)를 통과하기 직전 상태의 물이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들을 갖는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필터의 교환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정수기를 사용하다가 물이 잘 나오지 않으면 그제야 각종의 필터들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다.
또한, 필터가 막힌 것을 인지하더라도 정확히 어느 필터가 막혔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는바, 필터의 막힘이 의심되면 일일이 필터들의 막힘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수기에서는 필터의 관리가 깨끗한 물을 음용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필터가 막히면 신속히 필터를 신품으로 교환하여야 하지만, 종래에는 필터의 막힘을 알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정수기 제작사에서 권장하는 필터 교환주기를 준수하여 필터의 실제 막힘여부와 전혀 상관없이 일정기간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를 교환하는 방법으로 필터를 관리하였는바, 이러한 방법은 실제로 사용가능한 필터를 폐기하는 폐해를 야기하므로 자원낭비와 필터관리에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수기 필터의 막힘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필터가 막히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필터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토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필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어느 필터가 막혔는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필터의 허용수명에 의존하는 종래의 간접적 필터관리에서 벗어나 필터의 막힘 여부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낭비를 방지하고 필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데 있다.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필터에서 필터링된 통수량을 직접 측정하여 필터의 권장수명과 비교를 통해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필터를 갖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외부로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산출하고,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설정된 비교값과 비교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과 비교값을 비교하여 상기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는 원수를 1차로 여과하는 세디멘트필터와, 상기 세디멘트필터를 통과한 물을 2차로 여과하는 선카본필터와, 상기 선카본필터를 통과한 물 을 3차로 여과하는 멤브레인필터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를 통과한 물을 4차로 여과하는 후카본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디멘트필터의 막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세디멘트필터와 선카본필터 사이에는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출할 수 있는 유량검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복수의 램프로 이루어진 점검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필터부의 막힘을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추출부에는 추출되는 물의 추출시간을 검출하는 추출시간검출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추출시간검출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수탱크의 수위별 압력에 따른 물의 통수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필터부(1)와, 저수탱크(6)와, 추출부(7)로 이루어진 정수기에 압력센서(20)와 마이컴(30) 및 디스플레이부(40) 등이 구비되도록 하여 필터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이다.
필터부(1)는 원수를 정화하여 사용자가 음용하기에 적합한 정수로 바꾸어주는 정수기의 핵심구성으로서, 상기 필터부(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디멘트필터(2), 선카본필터(3), 멤브레인필터(4) 및 후카본필터(5)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세디멘트필터(2)는 원수 속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나 녹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로 원수를 1차로 필터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디멘트필터(2)를 통과한 물은 선카본필터(3)로 유입되어 상기 선카본필터(3)에서 2차로 필터링되는데, 선카본필터(3)는 물속의 잔류염소나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제거한 후, 멤브레인필터(4)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멤브레인필터(4)로 유입된 물은 매우 높은 압력으로 멤브레인필터(4)를 통과하는데, 이 과정에서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온성물질 및 미생물 등이 제거되어 매우 정화된 상태의 물이 멤브레인필터(4)의 후단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멤브레인필터(4)를 통과한 물은 다시 후카본필터(5)로 유입되는데, 상기 후카본필터(5)는 물에서 나는 냄새를 제거하고 물맛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카본필터(5)를 통과한 정화된 물은 저수탱크(6)로 유입되어 저수탱크(6) 안에 저장되고, 상기 저수탱크(6)에 저장된 물은 추출부(7)에 설치된 추출코크(8)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원수는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정수된 후 사용자에게 음용되는데, 이때 상기 필터들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필터부(1)는 반드시 세디멘트필터(2), 선카본필터(3), 멤브레인필터(4) 및 후카본필터(5)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중에서 몇 가지가 빠질 수도 있고, 여기에 새로운 기능을 갖는 또 다른 필터가 추가될 수도 있는바, 본 발명에서의 필터부(1)란 정수기에 구비되는 모든 종류의 필터들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6)의 내부 일측에는 압력센서(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력센서(20)는 저수탱크(6)로 유입되어 수용된 물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마이컴(30)에 의해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압력센서(20)를 통하여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센서(20)는 저수탱크(6)의 내측면 저부 측에 설치되거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센서(20)는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검출하기 위하여 압력센서(20)와 연결된 마이컴(30)에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변화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물의 유속이 비교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필터부(1)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필터부(1)가 막혔을 때, 즉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제공받은 연속신호에 의하여 물의 유속이 비교값보다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마이컴(30)은 정수기의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40)와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마이컴(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부(1)가 막히게 되면 상기 압력센서(20)의 신호 변화를 감지한 마이컴(3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필터부(1)의 막힘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먼저 도3에 보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램프로 이루어진 점검창(41)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검창(41)은 상기 마이컴(30)에 연결되어 마이컴(3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데, 만약 저수탱크(6)로 물이 정상적인 속도로 유입되면 상기 마이컴(30)은 내부에 프로그램된 비교값과 상기 압력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한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으면 물이 정상속도로 유입되고 있다고 판단해 상기 점검창(41)에 정상램프(42)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렇게 점검창(41)의 정상램프(42)가 점등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20)의 출력신호가 마이컴(30)에 설정된 비교값보다 작게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필터부(1)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창(41)에 이상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상기 점검창(41)은 단순히 정상과 막힘여부만을 표시하는 것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램프(43)와 교환램프(44)로 구분하여 필터부(1)를 조기에 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력센서(20)에서 들어오는 신호가 마이컴(30)에 설정된 비교값 대비 약 70%정도의 수준이라면 마이컴(30)은 상기 점검창(41)의 점검램프(43)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필터부(1)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고, 압력센서(20)의 출력신호가 마이컴(30)의 비교값 대비 약 50%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점검창(43)의 교환램프(44)를 점등시켜 필터부(1)의 교환시기를 알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점검창(41)에 표시되는 램프를 보고 현재 필터부(1)의 막힘 정도와 교환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필터부(1)의 막힘을 소리로 알릴 수도 있는데, 이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스피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가 막혀서 필터부(1)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마이컴(30)에 설정된 알람이나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해 내보내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1)가 여러 개의 필터로 구성된 경우, 어느 필터가 막혔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즉, 필터부(1)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막히더라도 상기 마이컴(30)은 필터의 막힘을 인식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작동시킬 것인데, 이때 사용자는 어느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부(1)가 세디멘트필터(2), 선카본필터(3), 멤브레인필터(4) 및 후카본필터(5)로 구성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필터의 막힘은 세디멘트필터(2)와 멤브레인필터(4)에서 주로 발생되므로 상기한 두 필터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세디멘트필터(2)의 막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세디멘트필터(2)와 선카본필터(3) 사이에는 관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출할 수 있는 유 량검출수단(10)이 설치된다.
상기 유량검출수단(10)은 유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한데, 본 발명에서는 관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적산하기에 좋은 유량계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서 필터의 막힘이 표시된 상태라면 상기 유량검출수단(10)을 보고 세디멘트필터(2)가 막혔는지 멤브레인필터(4)가 막혔는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검출수단(10)이 정상적인 유량을 표시한다면 상기 세디멘트필터(2)는 막히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멤브레인필터(4)를 교환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 멤브레인필터(4)가 막히면 상기 유량검출수단(10)을 통해서 정확한 유량의 검출이 불가능하므로, 이때는 상기 멤브레인필터(4)의 후단에 마련된 배출밸브(9)를 열어서 선카본필터(3)까지 통과한 물이 멤브레인필터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직접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막혀 있는 멤브레인필터(4)를 거치지 않고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유량검출수단(10)을 통해 세디멘트필터(2)를 통과한 물의 정확한 유량을 알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서 필터의 막힘을 표시하면, 먼저 상기 유량검출수단(10)을 확인하여 세디멘트필터(2)의 막힘을 확인하고, 세디멘트필터(2)가 막히지 않았다면 상기 멤브레인필터(4)의 막힘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멤브레인필터(4)를 교환하면 된다.
한편, 상기 추출부(7)에는 추출되는 물의 추출시간을 검출하는 추출시간검출센서(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추출부(7)에 상기 추출시간검출센서(21)가 추가로 구비되어 물의 추출시간이 상기 마이컴(30)으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와 상기 추출시간검출센서(21)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통해 저수탱크(6)의 수위에 따른 단위시간동안의 물의 통수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저수탱크(6)에서는 수위에 따라 압력에 차이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수위별 압력차에 따라 상기 추출부(7)의 개방시 단위시간동안 추출되는 물의 양이 달라지게 되는바, 정확한 통수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저수탱크(6)의 수위에 관한 정보와 상기 추출부(7)의 추출시간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추출시간검출센서(21) 및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수탱크(6)의 수위별 압력에 따른 물의 통수량을 계산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실제로 정수기의 물을 추출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더라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여 필터교환 시기가 도래하면 필터의 정확한 사용량, 즉 필터가 얼마나 많은 양의 물을 정수하였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아직 사용 가능한 필터도 신품으로 교체하여 자원낭비를 초래하였는데, 상기 추출시간검출센서(21)와 압력센서(20)에 의하면 정확한 통수량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마이컴(30)은 그 데이터를 미리 입력되어 있는 필터의 권장수명과 비교하여 현재 필터의 수명 이 한계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3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필터의 수명이 권장수명의 범위 내에 들어오면 상기 점검창(41)의 점검램프(43)를 점등시키고, 이미 권장수명을 초과한 상태라면 교환램프(44)를 점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 필터의 막힘 여부를 압력센서를 통해 직접 검출하여 필터가 막히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필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어느 필터가 막혔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필터 교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의 필터에서 필터링된 통수량을 직접 측정하여 필터의 권장수명과 비교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정수기의 보다 세심한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필터를 갖는 필터부(1)와, 상기 필터부(1)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6)와, 상기 저수탱크(6)의 물을 외부로 추출하는 추출부(7)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6)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탱크(6)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20);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산출하고, 상기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설정된 비교값과 비교하는 마이컴(30); 및
    상기 마이컴(30)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저수탱크(6)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과 비교값을 비교하여 상기 필터부(1)의 막힘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는 원수를 1차로 여과하는 세디멘트필터(2)와, 상기 세디멘트필터(2)를 통과한 물을 2차로 여과하는 선카본필터(3)와, 상기 선카본필터(3)를 통과한 물을 3차로 여과하는 멤브레인필터(4)와, 상기 멤브레인필터(4)를 통과한 물을 4차로 여과하는 후카본필터(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디멘트필터(2)의 막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세디멘트필터(2)와 선카본필터(3) 사이에는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출할 수 있는 유량검출수단(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필터부(1)의 막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복수의 램프가 구비된 점검창(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필터부(1)의 막힘을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7)에는 추출되는 물의 추출시간을 검출하는 추출시간검출센서(21)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추출시간검출센서(21) 및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수탱크(6)의 수위별 압력에 따른 물의 통수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KR1020060135197A 2006-12-27 2006-12-27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KR10083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97A KR100836720B1 (ko) 2006-12-27 2006-12-27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97A KR100836720B1 (ko) 2006-12-27 2006-12-27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20B1 true KR100836720B1 (ko) 2008-06-10

Family

ID=3977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197A KR100836720B1 (ko) 2006-12-27 2006-12-27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2728B2 (en) * 2007-09-27 2011-01-04 Water Of Life, Llc.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0453020Y1 (ko) * 2008-12-30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씨텍 세정수 공급라인
WO2013083317A1 (de) * 2011-12-09 2013-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Frischwasserversorgungsanlage für ein schienenfahrzeug
US8529770B2 (en) 2007-09-27 2013-09-10 Water Of Life, Llc. Self-contained UV-C purification system
CN111547782A (zh) * 2020-04-09 2020-08-18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滤芯堵塞判断方法及净饮设备
KR102176337B1 (ko) 2019-12-06 2020-11-09 이홍섭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KR20220165511A (ko) * 2021-06-08 2022-12-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900A (ko) * 1998-06-20 1998-10-26 심한섭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77111A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KR19980067316U (ko) * 1997-05-26 1998-12-05 이영서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조절장치
KR19990080432A (ko) * 1998-04-16 1999-11-05 지봉일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표시장치
KR20040078376A (ko) *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위닉스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111A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KR19980067316U (ko) * 1997-05-26 1998-12-05 이영서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조절장치
KR19990080432A (ko) * 1998-04-16 1999-11-05 지봉일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표시장치
KR19980071900A (ko) * 1998-06-20 1998-10-26 심한섭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78376A (ko) *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위닉스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2728B2 (en) * 2007-09-27 2011-01-04 Water Of Life, Llc.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US8529770B2 (en) 2007-09-27 2013-09-10 Water Of Life, Llc. Self-contained UV-C purification system
KR200453020Y1 (ko) * 2008-12-30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씨텍 세정수 공급라인
WO2013083317A1 (de) * 2011-12-09 2013-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Frischwasserversorgungsanlage für ein schienenfahrzeug
KR102176337B1 (ko) 2019-12-06 2020-11-09 이홍섭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CN111547782A (zh) * 2020-04-09 2020-08-18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滤芯堵塞判断方法及净饮设备
KR20220165511A (ko) * 2021-06-08 2022-12-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 방법
KR102606718B1 (ko) * 2021-06-08 2023-11-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720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US7988852B2 (en) Water treatment assembly
US7718054B2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070119758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JPH08112590A (ja) 浄水器のフィルタ取替え時期報知装置
KR0175886B1 (ko) 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20100062205A (ko) 필터교환시기 표시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및 그 필터교환시기 표시방법
CN115104912A (zh) 饮水机通道门的过滤器钥匙
KR20030062838A (ko) 수질 및 유량측정이 가능한 역삼투압 정수기
CN205495124U (zh) 滤芯寿命监控装置以及净水设备
KR100884643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측정장치
KR20090095049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326028A (ja) 浄水器
JPH06134489A (ja) 良質上水供給装置
KR20080095682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정수기 모니터링 장치
KR100540744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JP3440594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30077383A (ko) 정수기
KR19980077111A (ko)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JP3471567B2 (ja) 浄水器
JP3471791B2 (ja) 浄水器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80076453A (ko) 저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WO2012120391A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a water purifying system
KR20090085392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