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18B1 - 정수기의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18B1
KR102606718B1 KR1020210074233A KR20210074233A KR102606718B1 KR 102606718 B1 KR102606718 B1 KR 102606718B1 KR 1020210074233 A KR1020210074233 A KR 1020210074233A KR 20210074233 A KR20210074233 A KR 20210074233A KR 102606718 B1 KR102606718 B1 KR 10260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mber
water
flow rate
cleaning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511A (ko
Inventor
정휘동
안대훈
남광희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의 세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은, 정수유로, 냉수유로,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필터부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의 유속의 기준 설정을 위해 제1 필터부재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 제어부가 정수유로,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의해 제1 필터부재의 세척 또는 교환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세척 방법{STERILIZATION METHOD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막힘 정도를 파악하여 세척이 진행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 탱크와,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부재 및,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탱크에 저장된 물은 취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필터는 계속적 사용에 의해 이물질이 쌓이므로 세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또한, 필터에는 미생물이 생성되므로 살균을 통해 미생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 정수기의 필터는 세척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서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사용 후에는 필터를 교환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필터의 교환은 자원이 낭비되므로 필터를 세척하거나, 또는 살균 및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필터의 막힘 정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일정한 주기마다 반복하여 항상 필터의 세척을 진행하게 되면, 필터의 세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세척이 진행되어 물과 전기 등의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0531667호(공고일자:2005년11월2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수 또는 정수의 유속을 통해 제1 필터부재의 막힘 정도를 파악하여 세척 또는, 살균 및 세척을 진행하므로 물과 전기 등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유로, 냉수유로,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필터부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의 유속의 기준 설정을 위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정수유로,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상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 또는 교환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물의 유속이, 상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이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물의 유속이, 상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교환 알림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설정된 기준의 물의 유속보다 80% 이하이고 50% 이상인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이 진행되고,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설정된 기준의 물의 유속보다 50%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교환 알림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유속이, 상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이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유속이, 상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는, 연속적 반복 또는 단속적 반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은, 원수가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을 세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가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을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필터부재가 교환되는 경우, 물의 유속의 기준 설정을 초기화하여 물의 유속을 재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필터부재가 장착된 케이스의 필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교환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냉수 또는 정수의 유속을 통해 제1 필터부재의 막힘 정도를 파악하여 세척 또는, 살균 및 세척을 진행하므로 물과 전기 등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정수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의 내측을 살균하고, 원수가 살균된 제1 필터부재를 세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살균 시스템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정수기나 생수기와 같은 각종 장치에 설치된 후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필터 살균 시스템이 정수기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정수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의 내측을 살균하고, 원수가 살균된 제1 필터부재를 세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은, 정수유로(180), 냉수유로(200), 온수유로(190)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필터부재(16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하며, 취수유로(210)에 연결된 취수부(270)를 통해 통해 취수 가능한 정수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우선, 제1 필터부재(160)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 즉, 제1 필터부재(160)가 사용되기 전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없는 새로운 제품이 설치된 상태에서 물의 유속의 기준 설정을 위해 제어부(290)가 정수유로(180), 냉수유로(200) 및 온수유로(1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즉, 정수유로(180), 냉수유로(200) 및 온수유로(1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초기 유속을 저장한다.
여기서, 온수는 온도를 높이기 위해 유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정수와 냉수의 초기 유속을 저장한다. 다만, 온수의 초기 유속을 저장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의 유속, 즉, 새 제품의 제1 필터부재(160)가 설치된 후 측정된 물의 유속을 유속에 관한 기준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새 제품의 제1 필터부재(160)란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전혀 없는 깨끗한 상태의 제1 필터부재(160)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새롭게 제작된 제품에 한정되는 개념은 아니다.
여기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수는 제1 필터부재(160)에 앞서 배치된 제2 필터부재(110)를 통과 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필터부재(110)와 제1 필터부재(160) 사이에는 유량계(1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량계(120)를 통해 물의 유속을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전혀 없는 깨끗한 제1 필터부재(160)가 설치된 후에 측정된 물의 유속값을 100%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후 제1 필터부재(160)가 계속적으로 사용되면 제1 필터부재(160)에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발생되므로 물의 유속이 느려진다. 여기서, 새 제품의 제1 필터부재(160)에 대한 물의 유속값을 100%로 설정한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그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의해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 또는 교환을 진행하도록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의 물의 유속이, 유속의 설정된 기준, 즉,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전혀 없는 깨끗한 제1 필터부재(160)가 설치된 후에 측정된 물의 유속값을 100%로 설정한 경우, 이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속하게 되면 제어부(290)에 의해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전술한 바에 따라 설정된 100%를 기준으로 80% 이하이고 50% 이상인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전혀 없는 깨끗한 제1 필터부재(160)가 설치된 후에 측정된 물의 유속이 10인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8이하이고 5이상인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의 물의 유속이, 유속의 설정된 기준, 즉,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전혀 없는 깨끗한 제1 필터부재(160)가 설치된 후에 측정된 물의 유속값을 100%로 설정한 경우, 이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보다 낮게 되면 제어부(290)에 의해 제1 필터부재(160)의 교환 알림이 실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전술한 바에 따라 설정된 100%를 기준으로 50% 미만인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교환 알림이 실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전혀 없는 깨끗한 제1 필터부재(160)가 설치된 후에 측정된 물의 유속이 10인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5미만인 경우 제1 필터부재(160)를 교환하는 알림이 실행될 수 있다.
다만,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전술한 바에 따라 설정된 100%를 기준으로, 80% 이하이고 50% 이상인 범위의 기준, 및 50% 미만의 기준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그 범위는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의 유속이,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 한번만 포함되어도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지만, 또는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의 유속이,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전술한 바에 따라 설정된 100%를 기준으로 80% 이하이고 50% 이상인 범위에 속하는 횟수가 설정된 횟수만큼, 예를 들어 설정된 횟수가 10회인 경우 10회 반복되었을때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횟수는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의 유속이,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는, 연속적 반복 또는 단속적 반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재(160)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전술한 바에 따라 설정된 100%를 기준으로 80% 이하이고 50% 이상인 범위에 속하는 횟수가 예를 들어 10회 반복되는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된 경우라면, 연속적으로 10회에 해당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단속적으로 10회에 해당되는 경우에도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준에 따라 제1 필터부재(160)를 세척하는 경우, 제1 필터부재(160)의 세척은 원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필터부재(160)를 세척할 수도 있지만, 또는, 원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을 세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을 살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종래 필터를 살균하는 기술은, 필터의 외부로부터 필터의 외측에 살균물질을 공급하여 필터를 살균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필터 내측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필터 레이어에 박혀 있는 오염입자의 제거가 불가능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살균 방법은,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과 제1 필터부재(160)에 연결된 유로를 살균 후 배출된다.
도 3에서 실선 A는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160)를 살균하고 배수되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점선 B는 원수가 제1 필터부재(160)를 세척하고 배수되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실선 A 및 점선 B를 참조하여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160)를 살균하는 과정 및 원수가 제1 필터부재(160)를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실선 A를 참조하면, 원수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살균모듈(140)을 통과 후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즉, 원수밸브(150)가 폐쇄되고 살균밸브(130)가 개방되면 원수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전극살균모듈(140)로 이동한다. 원수는 전극살균모듈(140)을 통과하면서 전기 분해되어 살균수로 전환된다.
전극살균모듈(140)을 통과하면서 원수로부터 전환된 살균수는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을 살균한다.
이에 의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필터 레이어에 박혀 있는 오염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밸브(220)가 개방되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을 살균한 살균수가 배수부(280)를 통해 배수된다.
즉, 살균밸브(130)가 개방되고 배수밸브(220)도 개방되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을 살균한 살균수는 배수부(280)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이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의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밸브(130)와 배수밸브(220)가 폐쇄되고, 원수밸브(150)가 개방되며, 또한, 냉수밸브(250)와, 온수밸브(240)와, 정수밸브(230) 중 하나가 개방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원수밸브(150)와 정수밸브(230)와 유로전환밸브(260)가 개방되도록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점선 B의 경로를 참조하면, 원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외측으로부터 제1 필터부재(160)를 통과하면서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 제1 필터부재(160)를 세척하며, 정수유로(180)를 통과하여 배수부(280)를 통해 배출된다.
즉, 살균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을 살균하고 배출되면 원수가 제1 필터부재(160)의 외측으로부터 제1 필터부재(160)를 통과하면서 제1 필터부재(160)를 세척 후 정수유로(180)와, 온수유로(190)와, 냉수유로(200) 중 하나의 유로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제1 필터부재(160)의 내측의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290)는 제1 필터부재(160)가 교환되는 경우, 즉, 제1 필터부재(160)에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발생하여 제1 필터부재(160)가 새로운 제품을 교환되는 경우 물의 유속의 기준 설정을 초기화하며, 새로운 제1 필터부재(160)에 대해 물의 유속을 재측정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290)는 제1 필터부재(160)가 장착된 케이스의 필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기준으로 제1 필터부재(160)의 교환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원수공급부 110 : 제2 필터부재
120 : 유량계 130 : 살균밸브
140 : 전극살균모듈 150 : 원수밸브
160 : 제1 필터부재 170 : 냉각수공급밸브
180 : 정수유로 190 : 온수유로
200 : 냉수유로 210 : 취수유로
220 : 배수밸브 230 : 정수밸브
240 : 온수밸브 250 : 냉수밸브
260 : 유로전환밸브 270 : 취수부
280 : 배수부 290 : 제어부

Claims (9)

  1. 정수유로, 냉수유로,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필터부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의 유속의 기준 설정을 위해, 상기 제1 필터부재가 사용되기 전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없는 새로운 제품이 설치된 상태인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정수유로, 냉수유로 및 온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여 물의 초기 유속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상기 초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 또는 교환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물의 유속이, 상기 초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이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물의 유속이, 상기 초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교환 알림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유속이, 상기 초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이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의 유속이, 상기 초기 유속의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는, 연속적 반복 또는 단속적 반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설정된 기준의 물의 초기 유속보다 80% 이하이고 50% 이상인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이 진행되고,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사용시 물의 유속이 설정된 기준의 물의 초기 유속보다 50%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교환 알림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세척은, 원수가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살균수가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측을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필터부재가 교환되는 경우, 물의 초기 유속의 기준 설정을 초기화하여 물의 초기 유속을 재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필터부재가 장착된 케이스의 필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필터부재의 교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KR1020210074233A 2021-06-08 2021-06-08 정수기의 세척 방법 KR10260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33A KR102606718B1 (ko) 2021-06-08 2021-06-08 정수기의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33A KR102606718B1 (ko) 2021-06-08 2021-06-08 정수기의 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511A KR20220165511A (ko) 2022-12-15
KR102606718B1 true KR102606718B1 (ko) 2023-11-29

Family

ID=8443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33A KR102606718B1 (ko) 2021-06-08 2021-06-08 정수기의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69B1 (ko) * 2006-05-12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정수기 상태 검출 및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36720B1 (ko) * 2006-12-27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KR102176337B1 (ko) * 2019-12-06 2020-11-09 이홍섭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67B1 (ko)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KR20150010897A (ko) * 2013-07-19 2015-0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이송배관 이물질 제거용 자동필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0223B1 (ko) * 2019-02-25 2021-05-07 송영삼 음용수 정수방법
KR20210026945A (ko) * 2019-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용 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69B1 (ko) * 2006-05-12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정수기 상태 검출 및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36720B1 (ko) * 2006-12-27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KR102176337B1 (ko) * 2019-12-06 2020-11-09 이홍섭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511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9249B2 (ja) 洗浄水生成装置および食品洗浄システム
KR20120047141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164722B1 (ko)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102606718B1 (ko) 정수기의 세척 방법
US20120087845A1 (en) Steam sterilization system for a water purifier
KR101738066B1 (ko)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
KR20140121234A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849075B1 (ko) 수처리장치 및 그 살균방법
KR20220165510A (ko) 정수기의 살균 방법
JP2000051852A (ja) 浄水殺菌装置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CN109124528A (zh) 洗碗机的供水集成模块及具有该供水集成模块的洗碗机
CN214665199U (zh) 一种医废环氧乙烷消毒柜循环水净化节能加热系统
KR20130123566A (ko) 식용뼈 세척장치
CN205214025U (zh) 泡椒凤爪制备中的清洗冷却装置
CN214662440U (zh) 一种智能水龙头
JP3236202U (ja) 飲用水殺菌装置
JP4531590B2 (ja) 熱水供給装置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SE541251C2 (en) Method for hygenisation of a device intended for recycling of water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365122B1 (ko)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KR20180013595A (ko) 직수 정수기의 전극 살균수를 이용한 배관 살균장치 및 배관 살균방법
KR101745328B1 (ko)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의 제어방법
TW201637568A (zh) 水循環寵物洗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