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122B1 -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122B1
KR101365122B1 KR1020110030127A KR20110030127A KR101365122B1 KR 101365122 B1 KR101365122 B1 KR 101365122B1 KR 1020110030127 A KR1020110030127 A KR 1020110030127A KR 20110030127 A KR20110030127 A KR 20110030127A KR 101365122 B1 KR101365122 B1 KR 10136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igh temperature
water supply
drinking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569A (ko
Inventor
정세경
최상화
Original Assignee
최상화
정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화, 정세경 filed Critical 최상화
Priority to KR102011003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1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살균탱크의 침전물 제거 및 배수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고온발열장치를 구성하며, 최하부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는 고온살균탱크; 고온살균탱크에서 살균되어 공급된 식수를 보관하는 식수탱크; 고온살균탱크에 연결되어 고온살균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며, 최상부에 공기유입밸브를 구성하는 급수관; 고온살균탱크에서 식수탱크로 연결되어 식수탱크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을 구성하여 드레인밸브와 공기유입밸브의 개방으로 고온살균탱크 내의 침전물 제거와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Easy to clean pipe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고온살균탱크의 침전물 제거 및 배수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고온발열장치를 구성하며, 최하부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는 고온살균탱크; 고온살균탱크에서 살균되어 공급된 식수를 보관하는 식수탱크; 고온살균탱크에 연결되어 고온살균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며, 최상부에 공기유입밸브를 구성하는 급수관; 고온살균탱크에서 식수탱크로 연결되어 식수탱크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을 구성하여 드레인밸브와 공기유입밸브의 개방으로 고온살균탱크 내의 침전물 제거와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시스템은 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되는 수도관 직결식 급수시스템과 생수 등의 정제된 물을 물통에 담아 공급되는 것을 사용하는 물통식 급수시스템이 있는데, 직결식은 수도관에서 물을 공급받아 급수시스템 내부의 장치를 통해 정화 및 살균하고, 그 식수를 식수탱크에 보관하는 것으로 학교와 같은 대규모 급수시스템 및 가정용 소규모 급수시스템 등 폭 넓게 사용되며, 물통식은 정제된 물이 담긴 물통을 공급받아야함으로 주로 소규모로 운용된다.
덧붙여 직결식은 필터와 같은 정화장치를 이용한 정화장치식과 고온발열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살균장치식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살균장치식은 수돗물을 고온살균하는 고온발열장치가 구성되는 고온발열탱크; 살균된 식수를 보관하는 식수탱크; 고온발열탱크에 연결되어 고온발열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고온발열탱크에서 식수탱크로 연결되어 식수탱크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관;으로 구성되어 바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고온발열장치를 통해 높은 온도로 살균하여 식수탱크에 저장한 후, 공급하는 방식으로 많은 양의 물을 짧은 시간에 살균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설치와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여 대용량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서 예시한 고온으로 살균하는 살균장치식은 고온발열장치가 구성된 고온살균탱크에 드레인밸브가 구성되지 않아 정기적으로 침전물이나 찌꺼기 등을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학교와 같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 방학기간 동안 급수 중단으로 사용되지 않아 내부에 세균 및 미생물이 번식하여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겨울방학에는 겨울철 온도로 인해 내부에 정체된 물이 얼어서 동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수돗물의 온도에서 살균을 위한 온도까지 가열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크며, 고온으로 살균된 식수는 그 온도로 인해 바로 음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식수탱크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내부에 고온발열장치를 구성하며, 최하부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는 고온살균탱크; 고온살균탱크에서 살균되어 공급된 식수를 보관하는 식수탱크; 고온살균탱크에 연결되어 고온살균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며, 최상부에 공기유입밸브를 구성하는 급수관; 고온살균탱크에서 식수탱크로 연결되어 식수탱크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을 구성하여 드레인밸브와 공기유입밸브의 개방으로 고온살균탱크 내의 침전물 제거와 배수를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급수관과 식수공급관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내부로 식수공급관이 구성되고, 외부로 급수관이 구성되는 이중관 형태의 열교환부를 구성함으로써, 고온살균된 식수와 급수관의 수돗물을 열교환하여 수돗물의 살균을 위한 필요에너지를 낮추도록 한다.
또한, 고온살균탱크에서 식수탱크 상부로 인입되어 식수탱크 상부에 고온의 식수를 공급하는 고온수공급관을 구성하며, 고온의 식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식수탱크 내부로 인입된 고온수공급관의 단부에 구성함으로써, 식수탱크 속을 고온의 식수를 분사하여 살균세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살균탱크 최하부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며, 급수관 최상부에 공기유입밸브를 구성함으로써, 학교의 방학과 같이 급수시스템의 사용이 장기간 중단될 경우 급수시스템을 완전 배수하여 미사용시 발생 되는 세균번식 및 동파를 방지할 뿐더러, 고온살균탱크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등, 급수시스템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열교환부를 구성하여 급수관의 수돗물과 고온살균탱크에서 살균된 고온의 식수를 열교환 함으로써, 고온살균탱크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높여 살균에 필요한 온도와의 차이를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며, 고온의 식수를 식혀 음용이 가능한 온도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온살균탱크의 고온수를 식수탱크 상부에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하여 탱크 내부를 살균 세척함으로써, 탱크 내부 청결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조도.
본 발명은 고온살균탱크의 침전물 제거 및 배수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고온발열장치를 구성하며, 최하부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는 고온살균탱크; 고온살균탱크에서 살균되어 공급된 식수를 보관하는 식수탱크; 고온살균탱크에 연결되어 고온살균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며, 최상부에 공기유입밸브를 구성하는 급수관; 고온살균탱크에서 식수탱크로 연결되어 식수탱크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을 구성하여 드레인밸브와 공기유입밸브의 개방으로 고온살균탱크 내의 침전물 제거와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은 고온살균탱크, 식수탱크, 급수관, 식수공급관, 열교환부, 고온수공급관으로 구성하며, 이렇게 나열한 순차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온살균탱크(20)는 내부로 공급된 수돗물을 끓여 살균하는 것으로, 고온발열장치(21)와 온도센서(22) 및 드레인밸브(23)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온발열장치(21)는 고온살균탱크(20) 내부에 위치하여 그 탱크 내의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살균하며, 온도센서(22)는 그 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고온발열장치(21)를 제어한다.
그리고 드레인밸브(23)는 고온살균탱크(20) 하부에 위치하여 그 탱크 내부의 침전물제거와 배수를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고온살균탱크(20) 저면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하고, 그 최하부에 드레인벨브(23)를 구성한다.
아울러 고온살균탱크(20) 외부에 내열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보온커버를 구성하여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식수탱크(50)는 식수를 보관하는 것으로, 냉수탱크(51)와 온수탱크(52)로 나누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수탱크(51)는 냉각장치(51a)와 냉수공급관(51b) 및 드레인밸브(51c)로 구성된다.
여기서 냉각장치(51a)는 냉수탱크(51)의 외부에서 측면을 감싸며, 그 탱크 내의 식수를 시원한 온도로 낮추어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냉수공급관(51b)은 그 탱크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사람들에게 냉수를 공급하며, 드레인밸브(51c)는 그 탱크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냉수탱크(51) 외부에 단열성이 우수한 보온커버를 구성하여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수탱크(52)는 냉수탱크(51)와 유사하게 발열장치(52a)와 온수공급관(52b) 및 드레인밸브(52c)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열장치(52a)는 온수탱크(52)의 외부에서 측면을 감싸며, 그 탱크 내의 식수를 따끈한 온도로 올려서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온수공급관(52b)은 그 탱크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사람들에게 온수를 공급하며, 드레인밸브(51c)는 그 탱크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온수탱크(52) 외부에 단열성이 우수한 보온커버를 구성하여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53a)가 설치된 이동관(53)을 구성하여 냉수탱크(51)에서 온수탱크(52)로 연결하되, 냉수탱크(51) 하부에 연결하고, 온수탱크(52) 상부에 연결하여 온수탱크(52)로 식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급수관(10)은 수돗물을 고온살균탱크(20)로 공급하는 관으로, 고온살균탱크(20)에 연결되며, 개방시 급수시스템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밸브(11)를 최상부에 구성한다.
다음으로 식수공급관(30)은 고온살균탱크(20)에서 살균된 식수를 식수탱크(50)로 공급하는 관으로, 고온살균탱크(20)에서 식수탱크(50)로 연결되며, 고온살균탱크(20) 측에 식수의 출입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31)를 구성하며, 식수탱크(50) 측에 관 내의 압력과 식수탱크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32)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열교환부(40)는 고온살균탱크(20)에서 살균된 고온의 식수와 고온살균탱크(20)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열을 교환하는 부분으로, 급수관(10)과 식수공급관(30)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내부로 식수공급관(30)을 구성하되, 스프링과 같이 표면적을 최대화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외부로 이 식수공급관(30)을 감싸는 급수관(10)을 구성하는 이중관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열교환부(40)는 급수관(10)에서 고온살균탱크(20) 방향으로 제 1 열교환부(41), 제 2 열교환부(42), 제 3 열교환부(43), 제 4 열교환부(44)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제 1 열교환부(41)와 제 2 열교환부(42)의 외면에 음용이 용이한 온도로 낮추는 냉각장치(41a)(42a)를 구성하고, 단열성이 우수한 보온커버를 구성하여 외부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제 3 열교환부(43) 및 제 4 열교환부(44)에 고온의 식수와 수돗물이 접촉하여 생성된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밸브(43a)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온수공급관(60)은 고온살균탱크(20)의 고온수를 식수탱크(50) 상부로 공급하여 그 탱크의 내부를 살균 세척하는 관으로, 고온살균탱크(20)에서 냉수탱크(51)와 온수탱크(52)의 상부로 인입되며, 고온살균탱크(20) 측과 냉수탱크(51) 측 및 온수탱크(52) 측에 고온수의 출입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61)를 각각 구성하며, 고온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살균 세척하는 분사장치(62a)(62b)를 냉수탱크(51)와 온수탱크(52) 상부로 인입된 단부에 각각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1)은 급수관(10)을 통해 들어온 수돗물이 열교환부(40)에서 살균된 고온의 식수와 열교환을 한 후, 고온살균탱크(20)로 공급되고, 고온발열장치(21)를 통해 탱크 내의 물은 고온 살균되며, 이 고온의 식수는 식수공급관(30)을 통해 열교환부(40)를 거쳐 급수관(10)의 수돗물과 열교환을 한 후, 냉수탱크(51)와 온수탱크(52)로 공급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급수시스템의 관리를 위해 냉수탱크(51)와 온수탱크(52)의 청소시 각 탱크의 드레인밸브(51c)(52c)를 개방하여 배수를 하고, 고온살균탱크(20)의 고온수를 고온수공급관(60)을 통해 냉수탱크(51)와 온수탱크(52) 상부로 공급하여 분사장치(62a)(62b)를 통해 탱크 내부를 살균 세척한다.
또한 급수시스템의 관리를 위해 배수시 고온살균탱크(20)의 드레인밸브(23)및 식수탱크의 드레인밸브(51c)(52c)를 개방하고, 급수관(10)의 공기유입밸브(11)를 개방하거나, 공기유입밸브(11)로 공기를 주입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사용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은 고온살균탱크 저면에 일정한 구배를 가지고 최하부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함으로써, 학교의 방학과 같이 급수시스템의 사용이 장기간 중단될 경우 급수관 최상부에 공기유입밸브를 구성하여 급수시스템을 완전 배수하여 미사용시 발생 되는 세균번식 및 동파를 방지할 뿐더러, 고온살균탱크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등, 급수시스템의 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열교환부를 구성하여 급수관의 수돗물과 고온살균탱크에서 살균된 고온의 식수를 열교환 함으로써, 고온살균탱크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높여 살균에 필요한 온도와의 차이를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며, 고온의 식수를 식혀 음용이 가능한 온도로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고온살균탱크의 고온수를 식수탱크 상부에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하여 탱크 내부를 살균 세척함으로써, 탱크 내부 청결 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1.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10: 급수관 11: 공기유입밸브
20: 고온살균탱크 21: 고온발열장치 22: 온도센서
23, 51c, 52c: 드레인밸브 30: 식수공급관 31, 61: 슬레노이드밸브
32: 압력조절밸브 40: 열교환부 41: 제 1 열교환부
41a, 42a, 51a:냉각장치 42: 제 2 열교환부 43: 제 3 열교환부
43a: 에어밸브 44: 제 4 열교환부 50: 식수탱크
51: 냉수탱크 51b: 냉수공급관 52: 온수탱크
52a: 발열장치 52b: 온수공급관 60: 고온수공급관
62a, 62b: 분사장치

Claims (4)

  1. 급수관(10)을 통해 고온살균탱크(20)로 공급 된 수돗물을 고온발열장치(21)로 살균하고, 살균된 식수를 식수공급관(30)을 통해 식수탱크(50)로 공급하여 보관하는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0)과 식수공급관(30)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내부로 식수공급관(30)이 구비되고, 외부로 급수관(10)과 연결된 이중관 형태의 열교환부(40)를 구성함으로서, 고온살균된 식수와 공급되는 급수관의 수돗물이 서로 열 교환하여 수돗물 가열을 위한 필요 에너지를 낮추도록 하며,
    상기 고온살균탱크(20)의 저면을 일정한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이 경사 구배의 최하부에 드레인밸브(23)를 구성하고, 상기 급수관(10) 최상부에 공기 유입밸브(11)를 구성하고, 급수관(10)의 최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밸브(11)를 개방하여 공기를 유입하고, 고온살균탱크(20)의 최하부의 드레인밸브(23)를 개방함으로서, 고온살균탱크(20) 및 급수관(10)과 열교환부(40) 내부의 침전물 제거와 완전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고온살균탱크(20)에서 식수탱크 상부로 인입되어 식수탱크(50) 상부에 고온의 식수를 공급하는 고온수공급관(60)을 더 구성하고, 이 고온수공급관(60)의 단부에서 식수탱크(50) 내부로 인입된 분사장치(62a)(62b)를 구비하여, 고온의 식수를 식수탱크(50) 내로 분사하여 식수탱크(50)를 살균.세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급수시스템 내부의 침전물제거와 완전배수가 가능하고, 필요 시 식수탱크 내부의 살균.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30127A 2011-04-01 2011-04-01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KR10136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27A KR101365122B1 (ko) 2011-04-01 2011-04-01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27A KR101365122B1 (ko) 2011-04-01 2011-04-01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69A KR20120111569A (ko) 2012-10-10
KR101365122B1 true KR101365122B1 (ko) 2014-02-21

Family

ID=4728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27A KR101365122B1 (ko) 2011-04-01 2011-04-01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7439B (zh) * 2022-03-01 2024-05-03 广东碧丽饮水设备有限公司 智能调温和高温杀菌饮水设备及其调温和高温杀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74A (ko) * 2003-06-18 2003-07-10 장인봉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KR100940609B1 (ko) * 2009-06-16 2010-02-05 (주)빅하우스 자동 필터링 및 청소기능을 갖는 물탱크
KR20100131633A (ko) * 2009-06-08 2010-12-16 최상화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74A (ko) * 2003-06-18 2003-07-10 장인봉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KR20100131633A (ko) * 2009-06-08 2010-12-16 최상화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KR100940609B1 (ko) * 2009-06-16 2010-02-05 (주)빅하우스 자동 필터링 및 청소기능을 갖는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69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905B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장치
KR101559634B1 (ko)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365122B1 (ko)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KR100622574B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및 그 사용방법
KR20110062568A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TW201524442A (zh) 港式奶茶製作設備
KR101032200B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KR200452878Y1 (ko) 단체급수용 식수대
KR100986823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101585470B1 (ko) 냉온정수기
KR100787911B1 (ko) 직수를 음용수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72163B1 (ko) 급속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20180065733A (ko) 정수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101098191B1 (ko) 냉수통에 체결되는 저장조
KR200449784Y1 (ko) 가열 냉각식 음수대
KR200427685Y1 (ko) 냉온정수기
KR102606718B1 (ko) 정수기의 세척 방법
CN219136397U (zh) 熟水机
KR101772162B1 (ko)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CN109757978B (zh) 饮水机
JP2003310461A (ja) 浴槽水の循環浄化装置
CN215102605U (zh) 饮水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