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90B1 -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90B1
KR101705890B1 KR1020150068906A KR20150068906A KR101705890B1 KR 101705890 B1 KR101705890 B1 KR 101705890B1 KR 1020150068906 A KR1020150068906 A KR 1020150068906A KR 20150068906 A KR20150068906 A KR 20150068906A KR 101705890 B1 KR101705890 B1 KR 101705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ank
water
brin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511A (ko
Inventor
김건웅
Original Assignee
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5006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탱크 내부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탱크의 공간을 제1실과 제2실로 구획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다공판;과, 상기 탱크의 제1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기;와, 일단이 상기 탱크의 제2실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실에 수용된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파이프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소금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염수가 다공판과 함께 여과필터를 통과하여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고, 탱크의 제1실에 수용되는 소금은 다공판과 여과필터를 통해 제2실로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는 염수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염도의 염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탱크의 제2실에 형성되는 교반수단을 통해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할 수 있어 염수의 염도가 균일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로 인한 염수의 재결정을 방해하여 염수의 재결정으로 인해 염수가 유통되는 파이프가 폐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매우 편리한 장치의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탱크의 제1실에 충진되는 소금이 물공급부의 공급파이프가 묻히도록 충진되므로, 공급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항상 일정한 높이의 소금을 통과하게 유도하여 고농도의 염수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Concentrated saline water production unit}
본 발명은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소금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염수가 다공판과 함께 여과필터를 통과하여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고, 탱크의 제1실에 수용되는 소금은 다공판과 여과필터를 통해 제2실로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는 염수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염도의 염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은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살균장치, 일반화학 공장의 냉각용수 보일러, 담수화 공정 처리수, 발전소의 냉각수 처리, 음용수 처리, 식물 및 채소, 육류가공, 수영장의 세탁 및 제지, 가정용 표백제로 사용되는 강한 염소취를 갖는 유색 액체형태의 염소계 소독제이다.
이와 같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염수 생산장치를 통해 염도 20% 내외의 염수를 생산하고, 그 염수를 전기분해장치로 공급하여 전기분해하면, 소듐이온(Sodium ion. Na+)과 염소이온(Chloride, Cl-)으로 해리되어 염소이온은 양극에서 산화되어 염소가 되고, 소듐이온은 음극에서 환원되어 소듐이 생성되며, 생성된 소듐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NaOH, 가성소다)과 수소로 된 후, 양극에서 생성된 염소와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NaCl)이 생성된다.
여기서, 염수를 생산하는 종래의 염수 생산장치는 크게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탱크와, 상기 탱크 내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다수의 미세한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탱크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탱크 내부의 저면에 소금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그 물이 소금을 통과하면서 염수로 생성되어 상기 배출파이프의 배수구멍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염수 생산장치는 물에 녹은 미세한 크기의 소금이 배수구멍을 통해 상기 배출파이프로 유입되어 염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므로, 염수의 염도가 균일하지 않아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염수의 품질을 저하시켜 완제품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을 더욱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소금은 포함하는 고농도의 염수는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주간에는 고농도였다가 야간에는 저농도로 변화면서 염수가 재결정화되어 상기 배출파이프의 내부를 폐쇄하여 장치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배출파이프 내부를 뚫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장치의 운영관리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염수 생산장치는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파이프를 통해 소금이 위치된 하부로 낙하하는 구조이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소금이 녹아 높이가 점차 낮아지면 물이 소금을 통과하는 높이가 점차 낮아져 염수의 염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소금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염수가 다공판과 함께 여과필터를 통과하여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고, 탱크의 제1실에 수용되는 소금은 다공판과 여과필터를 통해 제2실로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는 염수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염도의 염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탱크의 제2실에 형성되는 교반수단을 통해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할 수 있어 염수의 염도가 균일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로 인한 염수의 재결정을 방해하여 염수의 재결정으로 인해 염수가 유통되는 파이프가 폐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매우 편리한 장치의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탱크의 제1실에 충진되는 소금이 물공급부의 공급파이프가 묻히도록 충진되므로, 공급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항상 일정한 높이의 소금을 통과하게 유도하여 고농도의 염수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탱크 내부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탱크의 공간을 제1실과 제2실로 구획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다공판;과, 상기 탱크의 제1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기;와, 일단이 상기 탱크의 제2실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실에 수용된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파이프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탱크의 입구를 통해 상기 다공판의 상부로 소금이 유입 안치되면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탱크의 제1실에 안치된 소금으로 물을 공급하고, 그 공급된 물에 소금이 녹으면서 서로 혼합된 염수가 상기 다공판의 배수구멍을 통해 상기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염수는 상기 배출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일단은 상기 탱크의 제1실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사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분사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상기 공급파이프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파이프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를 포한하여 구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급파이프의 타단으로 물이 공급되어 유통되면 상기 공급파이프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상기 탱크의 제1실로 분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판의 상부에 적층 되는 것으로, 상기 다공판 상부에 안치되는 소금이 상기 다공판의 배수구멍을 통해 상기 탱크의 제2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필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탱크의 제1실로 물이 공급되어 염수가 생성되면, 그 염수는 상기 여과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다공판의 배수구멍을 통해 상기 제2실로 공급되되, 소금은 상기 여과필터를 통해 상기 제2실로 배출 낙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하여 상기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의 농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1교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교반수단은 일단은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사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파이프와, 상기 교반파이프의 분사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파이프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제2실로 분사 공급하되, 상기 제2실에 수용된 염수가 상기 교반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교반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파이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하여 상기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의 농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교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교반수단은 일단은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교반날개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축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의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송신하는 레벨측정기와, 상기 레벨측정기에서 송신하는 측정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2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박스에서 상기 레벨측정기를 통해서 측정되는 상기 제2실의 염수 수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입수량 및 상기 염수의 수위를 조절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탱크의 제1실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오버플로우 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너무 많은 물이 공급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제1실의 상부까지 높아지면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판 및 여과필터는 수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에 의하면, 물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소금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염수가 다공판과 함께 여과필터를 통과하여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고, 탱크의 제1실에 수용되는 소금은 다공판과 여과필터를 통해 제2실로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탱크의 제2실로 유입되는 염수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염도의 염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탱크의 제2실에 형성되는 교반수단을 통해 제2실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할 수 있어 염수의 염도가 균일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로 인한 염수의 재결정을 방해하여 염수의 재결정으로 인해 염수가 유통되는 파이프가 폐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매우 편리한 장치의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탱크의 제1실에 충진되는 소금이 물공급부의 공급파이프가 묻히도록 충진되므로, 공급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항상 일정한 높이의 소금을 통과하게 유도하여 고농도의 염수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종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종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종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100)는 탱크(10)와, 덮개(20)와, 다공판(30)과, 물공급부(40)와, 염도측정기(50)와, 배출파이프(60)와, 제1개폐밸브(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는 내부에는 소금 및 염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염수를 생성할 원료인 소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입구(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는 상기 탱크(10)의 입구(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10) 내부에 소금을 투입시에는 상기 입구(13)를 개방하고, 장치를 작동하여 염수를 생성시에는 상기 입구(13)를 폐쇄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판(30)은 상기 탱크(10) 내부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탱크(10)의 공간을 제1실(11)과 제2실(12)로 구획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구멍(3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 내부로 소금이 투입되면 상기 다공판(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쌓이게 되며,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될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소금이 안치된 상기 제1실(11)로 물이 공급되면 소금이 녹아 물과 혼합되어 염수가 생성되고, 그 염수가 상기 다공판(30)의 배수구멍(31)을 통과하여 상기 제2실(12)에 저장된다.
여기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판(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소금이 물에 녹아 크기가 작아지면 상기 다공판(30)에 형성되는 배수구멍(31)을 통과하여 상기 제2실(12)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공판(30)의 상부에 적층 위치되어 염수(액체)는 통과시키되 소금은 걸러내어 통과를 방해하는 여과필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상기 탱크(10)의 제1실(11)로 물이 공급되어 염수가 생성되면, 그 염수는 상기 여과필터(80)를 통과하여 상기 다공판(30)의 배수구멍(31)을 통과해 상기 제2실(12)로 공급되되, 소금은 상기 여과필터(80)를 통해 상기 제2실(12)로 배출 낙하가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공판(30) 및 여과필터(80)는 염수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100)에서는 다공판(30) 및 여과필터(80)를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작하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판(30)으로 인해 제1실(11)과 제2실(12)로 구획된 상기 탱크(10)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10)에는 상기 제1실(11)과 제2실(12)을 각각 식별할 수 있는 통상의 점검창(2)을 마련하여 상기 탱크(10) 내부의 상황을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40)는 상기 탱크(10)의 제1실(11)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탱크(10)의 제1실(11)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사구멍(41a)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파이프(41)와, 상기 공급파이프(41)의 분사구멍(41a)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파이프(4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 배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42)과, 상기 공급파이프(41)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파이프(41)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43)를 포한하여 구성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물공급원(미도시)에서 상기 공급파이프(41)의 타단으로 물이 공급되어 유통되면 상기 공급파이프(41)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스프레이 노즐(42)을 통해 상기 탱크(10)의 제1실(11)에 쌓인 소금로 물을 골고루 분사 배출시켜 고농도의 염수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송신하는 레벨측정기(121)와, 상기 레벨측정기(121)에서 송신하는 측정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2개폐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2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22)에서 상기 레벨측정기(121)를 통해서 측정되는 상기 제2실(12)의 염수 수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개폐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입수량 및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 제어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벨측정기(121)에서 상기 탱크(10) 내부로 길게 유입되여 염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부분은 통상의 여과막(3)으로 감싸서 소금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레벨측정기(121) 내부로 물만 유입되게 유도하여 상기 탱크(10) 내부의 염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유도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염도측정기(50)는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염도가 다소 낮게 측정되면 상기 제1실(11)에 쌓인 소금이 많이 녹아 소진된 것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탱크(10)의 입구(13)를 통해 소금을 충진하여 고농도의 염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파이프(60)는 일단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를 소독제인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제작하는 통상으 전기분해장치(미도시)로 안내 공급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밸브(70)는 상기 배출파이프(6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파이프(60)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의 공급 유무를 결정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탱크(12)의 제1실(11)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오버플로우 배관(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너무 많은 물이 공급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제1실(11)의 상부까지 높아지면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 및 파손을 안전하게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130)은 통상적으로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관(1)과 연통되게 연결하여 사용하여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게 설계되도록 함이 좋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하여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농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1교반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교반수단(90)은 일단은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사구멍(91a)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10)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파이프(91)와, 상기 교반파이프(91)의 분사구멍(91a)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파이프(91)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제2실(12)로 분사 공급하되,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가 상기 교반파이프(9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92)와, 상기 교반파이프(9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파이프(9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아(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의 교반이 요구되면 상기 브로아(93)를 통해 상기 교반파이프(91)로 공기를 공급하고, 그 공급된 공기는 상기 교반파이프(91) 내부로 유통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92)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의 순환(교반)을 유도함으로,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농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교반수단(90)을 대신하여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하는 제2교반수단(110);이 사용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교반수단(110)은 일단은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교반날개(111a)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10)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축(111)과, 상기 교반축(111)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축(111)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다.
즉,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의 교반이 요구되면 상기 교반모터(112)를 작동을 통해 교반날개(111a)가 형성된 상기 교반축(111)을 회전시켜 간편히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가 교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100)는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1실(11)에 쌓인 소금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염수가 상기 다공판(30)과 함께 여과필터(80)를 통과하여 상기 탱크(10)의 제2실(12)로 유입되고, 상기 탱크(10)의 제1실(11)에 수용되는 소금은 상기 다공판(30)과 여과필터(80)를 통해 상기 제2실(12)로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상기 탱크(10)의 제2실(12)로 유입되는 염수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염도의 염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형성되는 상기 제1교반수단(90) 또는 제2교반수단(110)을 통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할 수 있어 염수의 염도가 균일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로 인한 염수의 재결정을 방지하여 염수의 재결정으로 인해 염수가 유통되는 상기 파이프(70)가 폐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매우 편리한 장치의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염수를 생산 공급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100)를 통해 염수를 생산하기 위해 탱크(10)의 입구(13)를 폐쇄하는 덮개(20)를 열어 상기 탱크(10)의 제1실(11)로 소금을 충진한 후, 상기 탱크(10)의 입구(13)를 상기 덮개(20)로 폐쇄한다.
이때, 상기 제1실(11)에 충진되는 소금은 상기 제1실(11)에 위치되는 물공급부(40)의 공급파이프(41)가 소금에 묻히도록 충진하여 상기 공급파이프(4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항상 일정한 높이의 소금을 통과하게 유도하여 고농도의 염수가 연속적으로 생산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물공급원(미도시)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40)의 공급파이프(41)로 물을 공급하면, 상기 공급파이프(41) 내부로 유통되어 상기 공급파이프(41)에 형성된 스프레이 노즐(42)을 통해 주변으로 골고루 분사 배출되고, 그 배출된 물이 소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금이 녹아 물과 혼합되어 염수가 생산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생산된 염수는 다공판(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여과필터(80)를 통과한 후에 상기 다공판(30)의 배수구멍(31)을 통과하여 상기 탱크(10)의 제2실(12)로 낙하하여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다공판(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소금이 물에 녹아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상기 다공판(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여과필터(80)로 인해 상기 다공판(30)의 배수구멍(31)을 통한 상기 제2실로(12)의 이송이 방지되어 상기 제2실(12)에 저장되는 염수의 품질이 확보된다.
한편,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의 외부 유통이 요구되면 배출파이프(60) 상에 형성되는 제1개폐밸브(70)를 열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가 상기 배출파이프(60)를 통해 외부의 전기분해장치(미도시)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측정기(121)를 통해서 측정되는 상기 제2실(12)의 염수 수위 정보를 기반으로 컨트롤박스(122)가 상기 제2개폐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제2실(12)의 염수 수위가 높으면 상기 제2개폐밸브(43)를 차단하여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한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2실(12)의 염수 수위가 낮으면 상기 제2개폐밸브(43)를 열어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물의 입수량 및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 제어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도측정기(50)를 통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염도가 다소 낮게 측정되면 상기 제1실(11)에 쌓인 소금이 많이 녹아 소진된 것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탱크(10)의 입구(13)를 통해 소금을 충진하여 고농도의 염수를 생성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염도가 형성되도록 교반이 요구되면 제1교반수단(90)의 브로아(93)를 통해 상기 교반파이프(91)로 공기를 공급하고, 그 공급된 공기가 상기 교반파이프(91) 내부로 유통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92)를 통해 분사되게 하여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의 원활하게 순환(교반)되게 한다.
한편,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너무 많은 물이 공급되어 물의 수위가 상기 제1실(11)의 상부까지 높아지면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 및 파손을 안전하게 방지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드레이 배관 2. 점검창
3. 여과막
10. 탱크 11. 제1실
12. 제2실 13. 입구
20. 덮개 30. 다공판
31. 배수구멍 40. 물공급부
41. 공급파이프 41a. 분사구멍
42. 스프레이 노즐 43. 제2개폐밸브
50. 염도측정기 60. 배출파이프
70. 제1개폐밸브 80. 여과필터
90. 제1교반수단 91. 교반파이프
91a. 분사구멍 92. 역류방지밸브
93. 브로아 110. 제2교반수단
111. 교반축 111a. 교반날개
112. 교반모터 121. 레벨측정기
122. 컨트롤박스 130. 오버플로우 배관
100.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Claims (8)

  1.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제조를 위한 염수 생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어 입구(13)가 형성되는 탱크(10);
    상기 탱크(10)의 입구(13)를 개폐하는 덮개(20);
    상기 탱크(10) 내부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탱크(10)의 공간을 제1실(11)과 제2실(12)로 구획하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구멍(31)이 형성되는 다공판(30);
    상기 탱크(10)의 제1실(11)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측정기(50);
    일단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60); 및
    상기 배출파이프(6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파이프(60)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탱크(10)의 입구(13)를 통해 소금이 투입되어 상기 다공판(30)의 상부에 유입 안치되면 상기 물공급부(40)를 통해 상기 탱크(10)의 제1실(11)에 안치된 소금으로 물을 공급하고, 그 공급된 물에 소금이 녹으면서 서로 혼합된 염수가 상기 다공판(30)의 배수구멍(31)을 통과해 상기 탱크(10)의 제2실(12)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염수는 상기 배출파이프(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를 교반하여 상기 제2실(12)에 수용되는 염수의 농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1교반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교반수단(90)은 일단은 상기 탱크(10)의 제2실(12)에 위치되되,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사구멍(91a)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10)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파이프(91)와, 상기 교반파이프(91)의 분사구멍(91a)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파이프(91)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제2실(12)로 분사 공급하되, 상기 제2실(12)에 수용된 염수가 상기 교반파이프(9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92)와, 상기 교반파이프(9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파이프(9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아(9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68906A 2015-05-18 2015-05-18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KR101705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06A KR101705890B1 (ko) 2015-05-18 2015-05-18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06A KR101705890B1 (ko) 2015-05-18 2015-05-18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11A KR20160135511A (ko) 2016-11-28
KR101705890B1 true KR101705890B1 (ko) 2017-02-13

Family

ID=5770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906A KR101705890B1 (ko) 2015-05-18 2015-05-18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34B1 (ko) * 2016-12-30 2017-03-23 (주) 시온텍 요소수 연속 생산 장치 및 방법
KR102072626B1 (ko) * 2019-07-19 2020-03-02 (주)리코시스템 염도 자동조절이 가능한 염수 칠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0366B2 (ja) * 2009-08-05 2013-10-09 三浦工業株式会社 軟水装置の塩水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838Y2 (ja) * 1993-01-14 1998-01-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の高濃度水溶液タンク
JP3578888B2 (ja) * 1997-04-30 2004-10-20 アマノ株式会社 電解水生成機用塩水生成装置
KR101331688B1 (ko) * 2012-01-05 2013-1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0366B2 (ja) * 2009-08-05 2013-10-09 三浦工業株式会社 軟水装置の塩水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11A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120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US3495948A (en) Bypass chemical dissolver
CN208328132U (zh) 具有在线精确配比功能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KR101045056B1 (ko) 살균수 제조장치
CN208328130U (zh) 基于浮球控制阀自动补水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KR101705890B1 (ko)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CN208328131U (zh) 可提高反应速率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208328133U (zh) 可降低盐耗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JP2010115639A (ja) ペーハー調整方法および装置
WO1999029403A1 (en) Automatic dry granular chemical dispenser
JP7180008B2 (ja) 塩素消毒水生成装置
KR20160011986A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2154849B1 (ko) 하수슬러지 처리설비
JP6291974B2 (ja) 除菌水生成装置
KR10194137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JP2007248102A (ja) 水質測定装置
JP3256693B2 (ja) 高濃度食塩水の生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次亜塩素酸含有の除菌水製造装置
KR20180095394A (ko) 전해수 생성장치
KR101590793B1 (ko) 염수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90025240A (ko) 희석식 살균수 제조장치
KR10104480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용 염수 저장조
KR10198034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200422964Y1 (ko) 간이 상수도용 염소살균 소독장치
CN219260223U (zh) 一种高效的次氯酸钠发生器装置
KR20200105252A (ko) 살균수 희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