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405B1 -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405B1
KR100704405B1 KR1020050062941A KR20050062941A KR100704405B1 KR 100704405 B1 KR100704405 B1 KR 100704405B1 KR 1020050062941 A KR1020050062941 A KR 1020050062941A KR 20050062941 A KR20050062941 A KR 20050062941A KR 100704405 B1 KR100704405 B1 KR 10070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proof
sleeper
block
concret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034A (ko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102005006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4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4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combined with inserts of wood or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32Fastening on steel sleepers with clamp members
    • E01B9/34Fastening on steel sleepers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콘크리트 도상에 형성된 안착홈에 설치된 방진침목을 교체하는 경우, 방진침목위에 체결장치에 의해 장착되는 레일 밑면에 내구성 및 탄성력이 뛰어난 탄성패드를 설치하고, 방진침목과 콘크리트 도상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충진시킴에 따라, 열차 운행시 궤도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에 방진상자를 안착하되, 방진상자에 안착되는 방진패드위에 방진침목을 장착하고 방진침목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레일클립에 의해 레일 플랜지를 가압고정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진침목으로 부터 레일을 분리하고, 콘크리트 도상으로 부터 방진침목, 방진패드 및 방진상자를 철거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와,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가 가조립된 블럭형 방진침목을 안착홈에 안착하되, 체결구에 의해 레일을 고정하는 제3단계와,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 외측으로 블럭형 방진침목에 설치된 레벨조정 볼트에 의해 안착홈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되는 블럭형 방진침목의 레벨을 맞추는 제4단계와,
콘크리트 도상과 블럭형 방진침목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는 제5단계와,
무수축 몰탈 경화후, 레벨조정 볼트를 블럭형 방진침목으로 부터 제거하고, 레벨조정 볼트용 결합공에 이물질 유입방지용 캡을 결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도상, 방진패드, 방진상자, 레일

Description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method of repairing a vibration proof sleeper of the concrete ballas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콘크리트 도상에 방진침목이 설치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e)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작업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에 레일을 고정하는 체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a,b,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진침목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에 레일을 고정하는 체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콘크리트 도상 11; 안착홈
12; 블럭형 방진침목 13; 매립전
14; 방진패드 15; 베이스 플레이트
16; 플랜지 17; 레일
18; 레일패드 19; 요홈
20; 앵글가이드 플레이트 21; 체결구
22; 텐션클램프 23; 상부 보강철근
24; 하부 보강철근 25; 와이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상위에 설치된 방진침목, 방진패드 및 방진상자를 해체한 후 방진침목을 교체시 방진기능이 뛰어난 탄성패드가 레일 밑면을 지지하도록하고, 방진침목과 콘크리트 도상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충진시켜 진동,소음을 줄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도상에 형성된 안착홈에 설치된 방진침목을 교체하는 경우, 방진침목위에 체결장치에 의해 장착되는 레일 밑면에 내구성 및 탄성력을 갖는 탄성패드를 설치하고, 방진침목과 콘크리트 도상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충진시킴에 따라, 열차 운행시 궤도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주행시 레일과 바퀴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은 흔들림, 균열 등을 유발하여 구조물의 사용성 및 안전성에 악영향을 주게되며, 철도레일 주변의 생활환경에 소음과 진동의 공해를 유발시킴에 따라 선로 주변에서 끊임없는 민원이 발생된다. 이로인해 철도의 방진 및 소음과 관련된 기술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꾸준하게 개발되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콘크리트 도상에 방진침목이 설치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해 콘크리트 도상에 방진침목을 설치하는 경우, 콘크리트 도상(1)위에 형성된 안착홈(1a)에 방진패드(2)가 바닥면에 깔린 방진상자(3)가 안착되고, 방진패드(2)에 보강 콘크리트침목(reinforced concrete; RC) 또는 응력처리된 콘크리트침목(prestressed concrete;PC)(4)이 안착되며, 침목(4)에 체결된 체결구(5)에 의해 압착되는 텐션클램프(6)에 의해 레일 플랜지(7)를 가압고정한다. 이때 레일 플랜지(7) 하부에 레일패드(8)가 설치된다.
즉, 콘크리트 도상(1)이 자갈도상 궤도와 비슷한 궤도 탄성을 갖도록 하여,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저주파수대의 진동은 침목(4) 바닥면에 설치된 방진패드(2)에서 흡수하고, 고주파수대의 진동은 레일(9)의 플랜지(7)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패드(8)에서 흡수하여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반복적인 철도 운행에 따른 장기간 동적하중 발생으로 피로 파괴에 의한 방진패드(2)의 수축, 탄성력 저하 및 경화(硬化)를 초래하여 궤도 보수는 필수적이고, 방진패드(2) 두께의 불균일한 감소(불균일한 단면 수축됨을 말함)로 인해 고저 틀림이 발생되어 레일에 파상마모 등을 유발하며 진동,소음 발생은 물론, 노반의 균열을 초래하여 차량 증가구간과 곡선구간에서는 방진상자(3)에 크랙이 발생되며, 궤도의 유지 및 보수 작업으로 관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로인해, 콘크리트 도상 또는 침목을 보수작업하는 경우, 방진패드(2)와 방진상자(3)를 재설치할 필요가 있으나, 콘크리트침목(4) 교체시 잭(미도시됨)을 이용하므로 정밀 시공이 이루어지지않고, 콘크리트 도상(1)의 안착홈(1a)에 대해 교체되는 방진상자(3)의 사이즈가 항시 일치된다고 볼 수 없어 보수 또는 교체작업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진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안착홈(1a)과 방진상자(3) 사이즈의 불일치로 인한 궤도 틀림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에 설치된 방진침목을 블럭형 방진침목으로 교체시 레일 밑면에 탄성력이 뛰어난 방진패드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선로 주변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고, 레벨조정볼트에 의해 레일 레벨을 조정한 후 무수축 몰탈을 충진시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 주행시 내구성 및 탄성계수가 우수한 방진패드에 의해 레일의 파상마모를 줄임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고, 온도 변화에 따른 탄성계수의 변화량이 적어 사계절 온도 변화가 뚜렷한 장소에서도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강철근이 좌우양측에 노출된 방진침목으로 교체시 콘트리트도상의 안착홈 일부를 확장하여 무수축 몰탈에 의해 타설하므로, 열차 운행시 방진침목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방진침목을 성형시 레일을 체결하는 고정장치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출하되므로 현장에서 작업공정이 단순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레일을 고정하는 부품의 교환이 가능하고 체결구의 허용변형이 크므로 체결구의 이완 발생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에 방진상자를 안착하되, 방진상자에 안착되는 방진패드위에 방진침목을 장착하고 방진침목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레일클립에 의해 레일 플랜지를 가압고정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진침목으로 부터 레일을 분리하고, 콘크리트 도상으로 부터 방진침목, 방진패드 및 방진상자를 철거하는 제1단계와,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와,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가 가조립된 블럭형 방진침목을 안착홈에 안착하되, 체결구에 의해 레일을 고정하는 제3단계와,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 외측으로 블럭형 방진침목에 설치된 레벨조정 볼트에 의해 안착홈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되는 블럭형 방진침목의 레벨을 맞추는 제4단계와,
콘크리트 도상과 블럭형 방진침목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는 제5단계와,
무수축 몰탈 경화후, 레벨조정 볼트를 블럭형 방진침목으로 부터 제거하고, 레벨조정 볼트용 결합공에 이물질 유입방지용 캡을 결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블럭형 방진침목은,
블럭형 방진침목 상부에 횡방향으로 복열을 이루어 내설되는 상부 보강철근과, 블럭형 방진침목 하부에 종방향으로 복열을 이루어 내설되는 하부 보강철근과, 블럭형 방진침목 중간정도에 나선형을 이루어 내설되는 금속재 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블럭형 방진침목은, 하부 보강철근이 좌우양측에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열차 운행시 콘크리트 도상에 대해 블럭형 방진침목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보강철근의 연장편을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 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9)의 플랜지(7)를 가압한 체결구(미도시됨)를 풀어 방진침목(4)으로 부터 레일(9)을 분리한 후, 유압 쟈키 등을 이용하여 방진침목(4)을 방진상자(3)로 부터 들어올리며, 콘크리트 도상(10)의 안착홈(11)으로 부터 방진패드(2)가 바닥면에 장착된 방진상자(3)를 철거한다(S100 참조).
전술한 안착홈(11)에 부착되는 각종 이물질을 브러쉬 또는 그라인더(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즉 블럭형 방진침목(12)이 설치되는 자리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단계로서, 안착홈(11) 내측면에 균열이 발생된 경우 모르타르 등을 틈새에 채워넣어 보수한 후, 송풍기 등을 이용하여 안착홈(11) 내측면에 잔존되는 수분을 제거한다(S200 참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형 방진침목(12) 콘크리트 타설시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가 가조립되어 출하되는 블럭형 방진침목(12)을 안착홈(11)에 안착하되, 체결구(21)에 의해 레일(17)을 체결한다(S300 참조).
이와 같이, 전술한 체결구(21)와 텐션클램프(22) 등의 체결부재가 방진침목 (12)에 가조립되어 현장에 투입되므로, 현장에서 작업자는 체결구(21)를 이용하여 레일(17)을 블럭형 방진침목(12)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 외측으로 블럭형 방진침목(12)에 설치된 레벨조정 볼트(29)를 조정하여 안착홈(11)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되는 블럭형 방진침목(12)의 수평방향의 레벨을 맞추고, 궤간 간격을 맞춘다(S400 참조). 즉 레벨조정 볼트(29)의 회전방향에 따라 안착홈(11) 바닥면에 대해 방진침목(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벨조정 볼트(2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방진침목(12)은 안착홈(11)으로 멀어져 안착홈(11)으로 부터 올라오게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도상(10)과 블럭형 방진침목(12)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몰탈(26)을 타설할 수 있도록 거푸짚(미도시됨)을 설치한 후, 무수축 몰탈(26)을 타설한다(S500 참조). 이때 무수축 몰탈(26)은 20 - 30㎜정도 타설되며, 무수축 몰탈(26)은 일반 시멘트에 비하여 3 - 6배 정도의 완충성이 뛰어나므로 철도 운행시 궤도로 부터 진동 및 소음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도상(10)과 블럭형 방진침목(12)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몰탈(26)을 타설시 레벨조정 볼트(29)에 의해 블럭형 방진침목(12)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수축 몰탈(26) 타설후 경화될때 까지 블럭형 방진침목(12)을 콘크리트 도상(10)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도상(10)의 안착홈(11)에 설치된 방진침목(12)을 교체작업시 레벨조정 볼트(29)를 이용하여 레일(17) 레벨을 조정함에 따라 정밀한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된 무수축 몰탈(26) 경화후, 거푸짚을 해체하고, 레벨조정 볼트(29)를 블럭형 방진침목(12)으로 부터 제거하되 레벨조정 볼트용 결합공(27)에 빗물 등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캡(28)을 결합한다(S600 참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에 레일을 고정하는 체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을 방진침목에 고정하는 체결장치는, 콘크리트 도상(10)에 형성된 안착홈(11)에 장착되는 블럭형 방진침목(12)과,
블럭형 방진침목(12)의 안착홈(11) 좌우측에 매립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절연체의 매립전(13)과,
매립전(13)사이의 안착홈(11) 바닥면에 장착되는 내구성이 뛰어난 탄성체의 방진패드(14)와,
방진패드(14)위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5)와,
베이스 플레이트(15)와 레일(17)의 플랜지(16)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력이 뛰어난 레일패드(18)와,
안착홈(11) 좌우측에 형성된 요홈(19)에 안착되고, 레일(17)의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연체로 형성되는 앵글가이드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15)와 방진패드(14)를 관통하여 매립전(13)에 체결되는 체결구(21)(나사 스파이크를 말함)에 의해 고정지지되고, 레일(17)의 플랜지(16)를 압착고정하는 텐션클램프(22)를 포함한다.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블럭형 방진침목(12)은,
블럭형 방진침목(12) 상부에 횡방향으로 복열을 이루어 내설되는 상부 보강철근(23)과, 블럭형 방진침목(12) 하부에 종방향으로 복열을 이루어 내설되는 하부 보강철근(24)과, 블럭형 방진침목(12) 중간정도에 나선형을 이루어 내설되는 금속재 와이어(2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5(a,c)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블럭형 방진침목(12)은 블럭형 방진침목(12)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고, 블럭형 보강블럭(12)을 안착홈(11)에 안착시킨 후 무수축 몰탈(26)을 타설시 매설되어 콘크리트 도상(10)에 대해 블럭형 방진침목(12)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편(24a)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블럭형 방진침목(12)을 콘크리트 도상(10)에 형성된 안착홈(11)에 설치하는 경우, 방진침목(12)에 노출된 연장편(24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안착홈(11)의 좌우 양측을 공구(햄머 등을 말함)를 이용하여 확장한 후, 레벨조정볼트(29)를 이용하여 레일(17) 레벨을 조정하고, 무수축 몰탈 (26)을 충진시킴에 따라 콘크리트 도상(10)에 대해 방진침목(12)의 교체작업은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에 설치된 방진침목을 블럭형 방진침목으로 교체작업시, 레일 밑면에 탄성력이 뛰어난 방진패드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선로 주변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고, 레벨조정볼트에 의해 레일 레벨을 조정한 후 무수축 몰탈을 충진시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다.
열차 주행시 내구성 및 탄성계수가 우수한 방진패드에 의해 레일의 파상마모를 줄임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고, 온도 변화에 따른 탄성계수의 변화량이 적어 사계절 온도 변화가 뚜렷한 장소에서도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보강철근이 좌우양측에 노출된 방진침목으로 교체시 콘트리트 도상의 안착홈 일부를 확장하여 무수축 몰탈에 의해 타설하므로, 열차 운행시 방진침목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방진침목을 성형시 레일을 체결하는 고정장치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출하되므로 현장에서 작업공정이 단순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레일을 고정하는 부품의 교환이 가능하고 체결구의 허용변형이 크므로 체결구의 이완 발생을 방지하여 유 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에 방진상자를 안착하되, 방진상자에 안착되는 방진패드위에 방진침목을 장착하고 방진침목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레일클립에 의해 레일 플랜지를 가압고정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진침목으로 부터 레일을 분리하고, 콘크리트 도상으로 부터 방진침목, 방진패드 및 방진상자를 철거하는 제1단계;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안착홈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가 가조립된 블럭형 방진침목을 안착홈에 안착하되, 체결구에 의해 레일을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레일 클램프용 체결부재 외측으로 블럭형 방진침목에 설치된 레벨조정 볼트에 의해 안착홈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되는 블럭형 방진침목의 레벨을 맞추는 제4단계;
    상기 콘크리트 도상과 블럭형 방진침목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무수축 몰탈 경화후, 레벨조정 볼트를 블럭형 방진침목으로 부터 제거하고, 레벨조정 볼트용 결합공에 이물질 유입방지용 캡을 결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형 방진침목은,
    상기 블럭형 방진침목 상부에 횡방향으로 복열을 이루어 내설되는 상부 보강철근;
    상기 블럭형 방진침목 하부에 종방향으로 복열을 이루어 내설되는 하부 보강철근; 및
    상기 블럭형 방진침목 중간정도에 나선형을 이루어 내설되는 금속재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럭형 방진침목은, 상기 하부 보강철근이 좌우양측에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열차 운행시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대해 블럭형 방진침목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4. 삭제
KR1020050062941A 2005-07-12 2005-07-12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KR10070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41A KR100704405B1 (ko) 2005-07-12 2005-07-12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41A KR100704405B1 (ko) 2005-07-12 2005-07-12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34A KR20070008034A (ko) 2007-01-17
KR100704405B1 true KR100704405B1 (ko) 2007-04-10

Family

ID=3801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941A KR100704405B1 (ko) 2005-07-12 2005-07-12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67A (ko) 2021-11-24 2023-05-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초속경 하이브리드 충진패드 궤도구조 시스템 및 그 급속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415B1 (ko) * 2020-05-25 2022-07-04 문정복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방진침목 교체시공방법
KR102416416B1 (ko) * 2020-05-29 2022-07-04 문정복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US20220178083A1 (en) * 2020-12-04 2022-06-09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Track rail fastening system having cantilevered third rail support bracket and direct fixation fastener assembly for same
KR102240816B1 (ko) * 2020-12-21 2021-04-15 주식회사 세안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목침목 분기기를 rc침목 분기기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02Y1 (ko) 1998-06-12 2000-10-02 신종서 레일 조립대
KR20030058830A (ko) * 2002-01-02 2003-07-07 (주)석탑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KR100408823B1 (ko) 2001-02-13 2003-12-1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 레일 방진장치
KR20040027777A (ko) * 2004-03-04 2004-04-01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보수방법 및 침목 보수용보조기구
KR20060011192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02Y1 (ko) 1998-06-12 2000-10-02 신종서 레일 조립대
KR100408823B1 (ko) 2001-02-13 2003-12-1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 레일 방진장치
KR20030058830A (ko) * 2002-01-02 2003-07-07 (주)석탑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KR20040027777A (ko) * 2004-03-04 2004-04-01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보수방법 및 침목 보수용보조기구
KR20060011192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5883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67A (ko) 2021-11-24 2023-05-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초속경 하이브리드 충진패드 궤도구조 시스템 및 그 급속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34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861B1 (ko) 철도교량용 침목 체결시스템
US4703890A (en) Components for ballast-less railroad lines laid on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labs
KR100704405B1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KR101801318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방법
KR101234092B1 (ko) 피씨 슬래브와 강거더를 포함하는 피씨 합성판형교 및 그 시공방법
CN105525541A (zh) 轨道交通用新型预制板式减振轨道结构
JP5220752B2 (ja) レール用弾性支持ブロックアセンブリ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0643204B1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KR100613412B1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EP0983400B1 (en) Track superstructure, in particular for tramway, tram-railway and underground railway lines
CZ319492A3 (en) Load-bearing structure of a permanent way and a prefabricated platform thereof
JP5169955B2 (ja) 走行レールの据付方法及びその据付構造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JP3014088B2 (ja) 鋼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用支承部材及び、支承構造
JPH11269801A (ja) 土構造物上の省力化軌道構造、及び土構造物上の省力化軌道の沈下補修方法
JP3510824B2 (ja) 枕木の敷設構造
KR20030065897A (ko)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HU221891B1 (hu) Zúzottkőágyazat nélküli, a síneket hordozó előregyártott beton- tartólemezekkel rendelkező vasúti felépítmény, valamint eljárás azok pótlására
JP3636624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軌道用防振ゴムの取付け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JPH09316809A (ja) 踏切路床板及びレール添え部材
KR101195159B1 (ko) 철도 교량용 강합성 콘크리트 침목 궤도 및 이의 시공방법
HU215794B (hu) Helyzetstabil vasúti felépítmény, és eljárás helyzetstabil felépítmény, különösen vasúti felépítmény kialakítására
KR102665114B1 (ko) 초속경 하이브리드 충진패드 궤도구조 시스템 및 그 급속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