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144B1 - 스패너 - Google Patents

스패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144B1
KR100703144B1 KR1020030013060A KR20030013060A KR100703144B1 KR 100703144 B1 KR100703144 B1 KR 100703144B1 KR 1020030013060 A KR1020030013060 A KR 1020030013060A KR 20030013060 A KR20030013060 A KR 20030013060A KR 100703144 B1 KR100703144 B1 KR 10070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panner
retainer
region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572A (ko
Inventor
마쓰모토마사카즈
다구치마사히로
미카도스스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켄고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켄고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켄고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0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83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internally grippi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2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6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rollers moving along radial cams in a cage structure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25B23/105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the gripping device being an integral part of the driving b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쐐기 부재의 유극 영역과 쐐기 영역으로의 전환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조임 부재에 대한 조임 및 이완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는 스패너로서, 링부(111)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복수의 쐐기 부재(12)를 유지하는 리테이너(13)를 링부(111)의 내주에 배치하고, 링부(111)의 내주면에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 영역(141) 및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을 가지는 쐐기 안내홈(14)을 쐐기 부재(12)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하고, 스패너 본체(11)에 리테이너(13)를 조작하는 전환 수단(15)을 설치하여, 이 전환 수단(15)에 의해 쐐기 부재(12)가 쐐기 안내홈(14)의 유극 영역(141)과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 중 어느 하나에 마주보는 위치로 리테이너(13)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스패너, 조임 부재, 쐐기 부재, 쐐기 안내홈, 리테이너, 전환 수단, 유극 영역, 갇힘 영역

Description

스패너{SPANNER WRENCH}
도 1은 종래의 스패너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홈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을 위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패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5-5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리테이너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A)∼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쐐기 안내홈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을 위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패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1(A)∼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쐐기 안내홈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을 위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패너, 11: 스패너 본체, 111: 링부, 112: 핸들부, 12: 쐐기 부재, 13: 리테이너, 14: 쐐기 안내홈, 141: 유극(遊隙) 영역, 142, 143: 쐐기 영역, 15: 전환 수단, 152: 전환 레버, 16: 위치 결정 기구, 162: 강구(鋼球), 163: 스프링 부재, 164a∼164c: 맞물림 구멍, 20: 스패너, 21: 스패너 본체, 211: 핸들부, 212: 원주형 기부(基部), 213: 원주체(圓柱體), 22: 쐐기 부재, 23: 리테이너, 24: 쐐기 안내홈, 241: 유극 영역, 242, 243: 쐐기 영역, 25: 전환 수단, 252: 전환 레버, 26: 위치 결정 기구, 262: 강구, 263: 스프링 부재, 264a∼264c: 맞물림 구멍
본 발명은 볼트나 너트, 공구 홀더의 조임통 등의 조임 부재를 조이고 이완(弛緩)하는 데 사용되는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패너 본체에 조임 부재의 외주에 결합되는 링부를 설치하고, 이 링부의 내주면에 상기 내주면과 조임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히는 쐐기 부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볼트나 너트 또는 공구 홀더용 조임통 등의 조임 부재는 그 자체가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들 조임 부재의 조임 또는 이완 조작은 조임 부재의 외주에 맞물린 스패너를 조임 방향 또는 이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스패너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155888호 공보에 제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스패너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내는 스패너(1)는 조임 부재(2)의 외주에 결합 이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 링부(3a) 및 이 링부(3a)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핸들부(3b)를 가지는 스패너 본체(3), 링부(3a)의 내주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롤러형 쐐기 부재(4) 및 링부(3a)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쐐기 부재(4)를 별도로 유동(遊動)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5)을 구비한다.
상기 각 홈(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깊은 홈인 유극(遊隙) 영역(5a)과, 이 유극 영역(5a)의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유극 영역(5a)보다 얕은 쐐기 영역(5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링부(3a)에는 각각의 쐐기 안내홈(5)에 대응하여 스프링 수용부(6)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수용부(6)와 홈(5)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6a)의 유극 영역(5a)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가이드 구멍(7)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7)에는 원주 부재(8)가 홈(5)측으로 출몰(出沒) 가능하게 여유있게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 수용부(6) 내에는 원주 부재(8)를 쐐기 안내홈(5)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판(板) 스프링(9)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스패너(1)의 링부(3a)가 조임 부재(2)에 맞물리기 전의 쐐기 부재(4)는, 도 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부재(8)에 눌려져서 좌우 어느 하나의 쐐기 영역(5b)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패너(1)에 있어서, 이 스패너(1)를 이용하여 조 임 부재(2)를 죄는 경우는 스패너(1)의 링부(3a)를 조임 부재(2)에 맞물린 상태에서 스패너(1)를 링부(3a)와 함께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쐐기 부재(4)가, 도 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쐐기 영역(5b)에 밀어 넣어져, 쐐기 영역(5b)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쐐기 부재(4)가 갇힘으로써 스패너(1)와 조임 부재(2)는 일체화된다. 이로써, 스패너(1)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임 부재(2)는 조여지게 된다.
또, 스패너(1)를 이용하여 조임 부재(2)를 이완할 경우는 스패너(1)의 링부(3a)를 조임 부재(2)에 맞물린 상태에서 스패너(1)를 링부(3a)와 함께 도 2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쐐기 부재(4)가, 도 2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쐐기 영역(5b)에 밀어 넣어져, 쐐기 영역(5b)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쐐기 부재(4)가 갇힘으로써 스패너(1)와 조임 부재(2)는 일체화된다. 이로써, 스패너(1)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임 부재(2)는 이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패너(1)에 있어서, 스패너 본체(3)의 링부(3a)가 조임 부재(2)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쐐기 부재(4)는, 도 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9)과 원주 부재(8)에 의해 눌려져서 좌우 어느 하나의 쐐기 영역(5b)에 위치되고, 또한 그 일부가 링부(3a)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놓여지기 때문에, 스패너 본체(3)의 링부(3a)를 조임 부재(2)에 결합하려고 할 때, 상기 돌출된 쐐기 부재(4)의 부분이 방해가 되어 조임 부재(2)에 링부(3a) 를 맞물리는 것을 원활하게 할 수 없다.
또, 종래의 스패너(1)에서는 홈(5) 내에서의 쐐기 부재(4)는 판 스프링(9)과 원주 부재(8)에 의해서 좌우 어느 한쪽의 쐐기 영역(5b)에 항상 억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홈(5) 내에서 한 쪽의 쐐기 영역(5b)으로부터 다른 쪽의 쐐기 영역(5b)으로 쐐기 부재(4)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어 불안정할 뿐 아니라, 각 쐐기 부재(4)가 좌우 어느 한쪽의 쐐기 영역(5b)에 모여진 상태로 위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쐐기 부재(4)가 왼쪽 및 오른쪽의 양쪽의 쐐기 영역(5b)에 위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부의 쐐기 부재(4)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 조임 부재(2)의 조임 및 이완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여, 쐐기 부재(4)를 좌우 어느 한쪽의 쐐기 영역(5b)에 위치되도록 위치 수정해야 할 뿐 아니라 조임 부재(2)의 조임 및 이완의 작업 능률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쐐기 부재의 유극 영역과 쐐기 영역으로의 전환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조임 부재에 대한 조임, 이완의 작업성을 용이하게 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패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5-5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리테이너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7(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쐐기 안내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을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스패너(10)는 예를 들면 공구 홀더의 조임통와 같은 조임 부재(2)(도 6 참조)를 조이거나 이완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스패너 본체(11), 쐐기 부재(12), 리테이어너(13), 쐐기 안내홈(14), 및 전환 수단(15)을 구비한다.
상기 스패너 본체(11)는 조임 부재(2)의 외주에 결합 이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링부(111) 및 이 링부(111)의 외주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핸들부(112)를 가진다.
상기 쐐기 부재(12)는 도 3∼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패너 본체(11)의 링부(1l1)를 조임 부재(2)의 외주에 맞물려 조임 부재(2)를 조임 또는 이완 조작할 때 링부(111)의 내주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히게 하여 양자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13)는 상기 쐐기 부재(12)를 링부(1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링부(111)의 내측에 링부(111)의 내주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17)은 쐐기 부재(12)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3)가 링부(111)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고리형 덮개 부재이며, 이 덮개 부재(17)는 링부(111)의 일단측 에지부에 설치된 스텝부(11la)에 끼워져, 고정 나사(18)에 의해 링부(111)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테이너(13)는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111)의 내주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이 리테이너(13)의 두께 치수는 롤러형 쐐기 부재(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리테이너(13)에는 쐐기 부재(12)를 수용하는 리테이너(13)의 축선과 평행한 긴 구멍(131)이 리테이너(13)의 둘레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 예를 들면 30도의 간격으로 12 등분된 개소 중의 11 개소에 형성되고, 이 긴 구멍(131) 각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 부재(12)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이 긴 구멍(131)의 양단에는 쐐기 부재(12)의 양단에 있는 소직경 보스부(121)가 유동 가능하게 걸려 쐐기 부재(12)가 리테이너(13)의 내주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12 등분된 개소의 나머지의 1 개소에는 전환 수단(15)이 연결되는 맞물림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 안내홈(14)은 상기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free)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쐐기 안내홈(14)은 상기 링부(111)의 내주면에 링부(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쐐기 부재(12)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쐐기 안내홈(1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 영역(141)과, 이 유극 영역(141)을 중심으로 하여 유극 영역(141)의 링부(111)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연 장되어 설치되고,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을 가진다.
상기 전환 수단(15)은 쐐기 부재(12)가 쐐기 안내홈(14)의 유극 영역(141)과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리테이너(13)를 조작하는 것이다.
이 전환 수단(1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112)의 링부(111)와의 연결 설치된 개소에 핀(15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레버(152)를 구비하고, 이 전환 레버(152)의 일단(152a)은 링부(111)를 관통하여 상기 리테이너(13)에 설치된 맞물림부(133)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전환 레버(152)의 타단부(152b)에는 쐐기 부재(12)가 유극 영역(1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부재(12)가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각각 리테이너(13)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기구(1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패너 본체(11)의 핸들부(112)와 마주보는 전환 레버(152)의 타단부(152b)에 형성된 막힌 구멍(16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강구(162), 막힌 구멍(161) 내에 삽입 장착되어 강구(162)를 핸들부(112)에 대하여 압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163), 쐐기 부재(12)가 유극 영역(1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부재(12)가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리테이너(13)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핸들부(112)의 표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또한 강구(162)가 결합 이탈되는 3개의 맞물림 구멍(164a∼164c)으로 이루어지는 클릭 스톱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구멍(164a∼164c) 중 맞물림 구멍(164a)은 쐐기 부재(12)가 유극 영역(141)과 서로 대향하도록 리테이너(13)를 중립 위치(N)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며, 맞물림 구멍(164b)은 쐐기 부재(12)가 좌측의 쐐기 영역(142)과 서로 대향하도록 리테이너(13)를 조임 위치(L)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며, 맞물림 구멍(164c)은 쐐기 부재(12)가 우측의 쐐기 영역(143)과 서로 대향하도록 리테이너(13)를 이완 위치(UL)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스패너(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임 부재(2)가 조일 경우에는 먼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수단(15)의 전환 레버(11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여, 위치 결정 기구(16)의 강구(162)를 맞물림 구멍(164a)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리테이너(1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12)는 쐐기 안내홈(14)의 유극 영역(141)과 서로 마주보게 되므로 자유 상태에 놓여진다.
이어서, 이러한 상태에 있는 스패너 본체(11)의 링부(111)를 조임 부재(2)에 맞물린 후, 전환 수단(15)의 전환 레버(152)를 도 7(B)에 나타내는 조임 위치(L)로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12)는 쐐기 안내홈(14)의 좌측의 쐐기 영역(142)과 서로 마주보게 되므로, 스패너 본체(11)를 도 7(B)의 화살표 A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쐐기 부재(12)가 좌측의 쐐기 영역(142)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힌다. 이로써, 스패너 본체(11)의 링부(111)와 조임 부재(2)는 일체화되기 때문에, 스패너(10)를 화살 표 A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임 부재(2)를 조일 수 있다.
또, 조임 부재(2)의 조임이 완료된 후에 스패너(10)를 조임 부재(2)로부터 빼낼 경우는 스패너 본체(11)를 도 7(B)의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쐐기 부재(12)의 쐐기 영역(142)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에 대한 갇힘을 해제하면 된다. 이로써, 스패너(10)를 조임 부재(2)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 부재(12)의 쐐기 영역(142)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에 대한 갇힘을 해제한 후, 전환 수단(15)의 전환 레버(1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면, 스패너(10)를 조임 부재(2)로부터 꺼내는 것이 더욱 간편해진다.
또, 조임 부재(2)를 이완할 경우는 상기 조임 부재(2)를 조일 때와 마찬가지로, 전환 수단(15)의 전환 레버(152)를 중립 위치(N)으로 회전 조작하여 위치 결정 기구(16)의 강구(162)를 맞물림 구멍(164a)에 결합시키고, 리테이너(1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12)를 쐐기 안내홈(14)의 유극 영역(141)과 서로 마주보게 하여 자유 상태로 둔다.
이어서, 이러한 상태의 스패너 본체(11)의 링부(111)를 조임 부재(2)에 맞물린 후, 전환 수단(15)의 전환 레버(152)를 도 7(C)에 나타내는 이완 위치(UL)로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12)는 쐐기 안내홈(14) 우측의 쐐기 영역(143)과 서로 마주보게 되므로, 스패너 본체(11)를 도 7(C)의 화살표 B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쐐기 부재(12)가 우측의 쐐기 영역(143)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 사이에 갇히게 되어, 스패너 본체(11)의 링부(111)와 조임 부재(2)는 일체화된다. 따라서, 스패너(10)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임 부재(2)를 이완시킬 수 있다.
또, 조임 부재(2)의 이완 조작이 완료된 후에 스패너(10)를 조임 부재(2)로부터 빼낼 경우는 스패너 본체(11)를 도 7(C)의 화살표 B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쐐기 부재(12)의 쐐기 영역(143)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에 대한 갇힘을 해제하면 된다. 이로써, 스패너(10)를 조임 부재(2)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 상기 쐐기 부재(12)의 쐐기 영역(143)의 벽면과 조임 부재(2)의 외주면으로에의 갇힘을 해제한 후, 전환 수단(15)의 전환 레버(1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면, 스패너(10)를 조임 부재(2)로부터 빼내는 것이 더욱 간편해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패너(10)에 의하면, 링부(111)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복수의 쐐기 부재(12)를 유지하는 리테이너(13)를 링부(111)의 내주에 그 둘레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링부(111)의 내주면에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 영역(141)과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을 가지는 쐐기 안내홈(14)을 쐐기 부재(12)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하고, 스패너 본체(11)에 리테이너(13)를 조작하는 전환 수단(15)을 설치하며, 이 전환 수단(15)에 의해 쐐기 부재(12)가 쐐기 안내홈(14)의 유극 영역(141)과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리테이너(13)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쐐기 부재(12)를 유극 영역(1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확실하고도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쐐기 부재(12)를 동시에 자유 상태 및 갇힘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패너(10)에 의한 조임 부재(2)의 조임 및 이완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임 부재(2)의 조임 및 이완의 작업성이 용이해져서 작업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환 수단(15)은 클릭 스톱 구성의 위치 결정 기구(1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쐐기 부재(12)를 유극 영역(1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의해 확실하고도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전환 수단(15)은 리테이너(13)에 연결된 전환 레버(15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환 레버(152)로 리테이너(13)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모든 쐐기 부재(12)를 자유 상태 및 갇힘 상태로 간편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도 11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패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패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패너의 쐐기 부재와 쐐기 안내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용 확대 단면도이다.
도 8∼도 10에 도시한 스패너(20)는 예를 들면 두부(頭部)에 원통 구멍(2Aa) 을 가지는 볼트와 같은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에 맞물려 조임 부재(2A)를 다른 부재에 대하여 조이거나 이완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스패너 본체(21), 쐐기 부재(22)와 리테이너(23), 쐐기 안내홈(24), 및 전환 수단(25)을 구비한다.
상기 스패너 본체(21)는 핸들부(211), 이 핸들부(211)의 일단에 설치한 원주형 기부(基部)(212), 및 이 원주형 기부(212)의 일단면에 동심으로 설치된 기부(2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주체(213)로 이루어지고, 이 원주체(213)의 기부(212)와의 스텝부 개소에는 상기 리테이너(23)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끼워맞춤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 부재(22)는 도 8∼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패너 본체(21)에 의해 조임 부재(2A)를 조임 또는 이완 조작할 때 원주체(213)의 외주면과 조임 부재(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갇하게 하여 양자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23)는 상기 쐐기 부재(22)를 원주체(213)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체(213)의 외주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동시에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이 리테이너(23)의 두께 치수는 롤러형 쐐기 부재(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리테이너(23)의 양단에는 리테이너(23)를 원주체(213)의 외주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환형(環形) 지지부(23a, 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23)는 이것을 원주체(213)의 외주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그의 한 쪽 환형 지지부(23a)를 상기 기부(212)의 결합부(214)에 결합하고, 또한 원주체(213)의 하단에 고정나사(27)로 고정한 캡 형상의 지지 부재(28)에 다른 쪽의 환형 지지부(23b)와 끼워 맞춤으로써 원주체(213)의 외주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23)에는 도 9∼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쐐기 부재(22)를 수용하는 리테이너(23)의 축선과 평행한 긴 구멍(231)이 리테이너(23)의 둘레 방향에 적절한 간격, 예를 들면 30도의 간격으로 12 등분된 개소 중의 11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231) 각각에는 쐐기 부재(22)가 그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쐐기 부재(22) 각각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경우와 반대로 리테이너(23)의 외주측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지지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12 등분된 개소의 나머지 1개소에는 전환 수단(25)이 연결되는 맞물림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 안내홈(24)은 상기 쐐기 부재(22)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쐐기 부재(22)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쐐기 안내홈(24)은 상기 원주체(213)의 외주면에 원주체(2l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쐐기 부재(22)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쐐기 안내홈(24)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 부재(22)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 영역(241)과, 이 유극 영역(241)을 중심으로 하여, 유극 영역(241)의 원주체(213) 둘 레 방향의 양측에 연장되어 설치되고 쐐기 부재(12)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환 수단(25)은 쐐기 부재(22)가 쐐기 안내홈(24)의 유극 영역(241)과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리테이너(23)를 조작하는 것이다.
이 전환 수단(25)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211)의 기부(212)와의 연결 설치 개소에 핀(25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레버(252)를 구비하고, 이 전환 레버(252)의 일단(252a)은 상기 리테이너(23)에 설치한 맞물림부(233)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전환 레버(252)의 타단부(252b)에는 쐐기 부재(22)가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부재(22)가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각각 리테이너(23)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기구(26)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패너 본체(21)의 핸들부(211)와 대향하는 전환 레버(252)의 타단부(252b)에 형성한 막힌 구멍(26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강구(262), 막힌 구멍(261) 내에 삽입 장착되어 강구(262)를 핸들부(211)에 대하여 압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63), 리테이너(23)를 쐐기 부재(22)가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부재(22)가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핸들부(211)의 표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또한 강 구(262)가 결합 이탈되는 3개의 맞물림 구멍(264a∼264c)으로 이루어지는 클릭 스톱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구멍(264a∼264c) 중, 맞물림 구멍(264a)은 쐐기 부재(22)가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도록 리테이너(23)를 중립 위치(N)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고, 맞물림 구멍(264b)은 쐐기 부재(22)가 좌측의 쐐기 영역(242)과 서로 마주보도록 리테이너(23)를 조임 위치(L)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며, 또한 맞물림 구멍(264c)은 쐐기 부재(22)가 우측의 쐐기 영역(243)과 서로 마주보도록 리테이너(23)를 이완 위치(UL)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스패너(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임 부재(2A)가 조일 경우에는 먼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수단(25)의 전환 레버(2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여, 위치 결정 기구(26)의 강구(262)를 맞물림 구멍(264a)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리테이너(2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22)는 쐐기 안내홈(24)의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기 때문에 자유 상태로 놓여진다.
이어서, 이러한 상태에 있는 스패너 본체(21)의 원주체(213)를 리테이너(23)마다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에 결합한 후, 전환 수단(25)의 전환 레버(252)를 도 11(B)에 도시한 조임 위치(L)로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22)는 쐐기 안내홈(24)의 좌측의 쐐기 영역(242)과 서로 마주보기 때문에, 스패너 본체(21)를 도 11(B)의 화살표 A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쐐기 부재(22)가 좌측의 쐐기 영역(242)의 벽면과 조임 부 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갇힌다. 이로써, 스패너 본체(21)의 원주체(213)와 조임 부재(2A)는 일체화되기 때문에, 스패너(2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임 부재(2A)를 죌 수 있다.
또, 조임 부재(2A)의 조임이 완료된 후에 스패너(20)를 조임 부재(2A)로부터 빼낼 경우는 스패너 본체(21)를 도 11(B)의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쐐기 부재(22)의 쐐기 영역(242)의 벽면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 내주면으로의 갇힘을 해제하면 된다. 이로써, 스패너(20)를 조임 부재(2A)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 부재(22)의 쐐기 영역(242)의 벽면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으로의 갇힘을 해제한 후, 전환 수단(25)의 전환 레버(2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면, 스패너(20)를 조임 부재(2A)으로부터 더욱 간편하게 빼낼 수 있다.
또, 조임 부재(2A)를 이완시킬 경우는 상기 조임 부재(2A)의 조임 시와 같이, 전환 수단(25)의 전환 레버(2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여 위치 결정 기구(26)의 강구(262)를 맞물림 구멍(264a)에 결합시키고, 리테이너(23)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22)를 쐐기 안내홈(24)의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게 하여 자유 상태로 둔다.
이어서, 이러한 상태의 스패너 본체(21)의 원주체(213)를 리테이너(23)와 함께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에 맞물린 후, 전환 수단(25)의 전환 레버(252)를 도 11(C)에 도시한 이완 위치(UL)로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3) 에 유지된 각 쐐기 부재(22)는 쐐기 안내홈(24)의 우측의 쐐기 영역(243)과 서로 마주보게 되므로, 스패너 본체(21)를 도 11(C)의 화살표 B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쐐기 부재(22)가 우측의 쐐기 영역(243)의 벽면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갇히게 되어, 스패너 본체(21)의 원주체(213)와 조임 부재(2A)는 일체화된다. 따라서, 스패너(20)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임 부재(2A)를 이완시킬 수 있다.
또, 조임 부재(2A)의 이완 조작이 완료된 후에 스패너(20)를 조임 부재(2A)로부터 빼낼 경우는 스패너 본체(21)를 도 11(C)의 화살표 B와 반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쐐기 부재(22)의 쐐기 영역(243)의 벽면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으로의 갇힘을 해제하면 된다. 이로써, 스패너(20)를 조임 부재(2A)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 부재(22)의 쐐기 영역(243)의 벽면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으로의 갇힘을 해제한 후, 전환 수단(25)의 전환 레버(252)를 중립 위치(N)로 회전 조작하면, 스패너(20)를 조임 부재(2A)로부터 더욱 간편하게 빼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패너(20)에 의하면, 스패너 본체(21)의 원주체(213)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복수의 쐐기 부재(22)를 유지하는 리테이너(23)를 원주체(213)의 외주에 그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원주체(213)의 외주의 내주면에, 쐐기 부재(22)를 조임 부재(2A)의 원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 영역(241)과 쐐기 부재(22)를 조임 부재(2A)의 원 통 구멍(2A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을 가지는 쐐기 안내홈(24)을 쐐기 부재(22)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하고, 스패너 본체(21)에 리테이너(23)를 조작하는 전환 수단(25)을 설치하여, 이 전환 수단(25)에 의해 쐐기 부재(22)가 쐐기 안내홈(24)의 유극 영역(241)과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 중 어느 하나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리테이너(23)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쐐기 부재(22)를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확실하고도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쐐기 부재(22)를 동시에 자유 상태 및 갇힘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원통 구멍(2Aa)을 가지는 조임 부재(2A)의 스패너(20)에 의한 조임 및 이완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임 부재(2A)의 조임 및 이완 작업성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환 수단(25)은 클릭 스톱 구성의 위치 결정 기구(2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쐐기 부재(22)를 유극 영역(2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좌우의 쐐기 영역(242, 2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또한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전환 수단(25)은 리테이너(23)에 연결된 전환 레버(25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환 레버(252)에 의해 리테이너(23)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모든 쐐기 부재(22)를 자유 상태 및 갇힘 상태로 간편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환 수단(15, 25)은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구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테이너(13, 23)에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전환 레버를 직결하고 이 전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쐐기 부재(12, 22)를 유극 영역(141, 또는 24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영역(142, 143 또는 242, 2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위치 결정 기구(16, 26)를 생략한 전환 수단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링부(111)의 쐐기 안내홈(14) 또는 원주체(213)의 쐐기 안내홈(24)은 유극 영역(141 또는 241)과 좌우의 쐐기 영역(142, 143 또는 242, 243)으로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극 영역(141 또는 241)과 좌우 어느 한쪽의 쐐기 영역으로 구성한 구조의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패너에 의하면, 쐐기 부재의 유극 영역과 쐐기 영역으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쐐기 부재를 유극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확실하게 또한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모든 쐐기 부재를 동시에 자유 상태 및 갇힘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패너에 의한 조임 부재의 조임 및 이완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고, 조임 부재의 조임 및 이완의 작업성이 용이해져서 작업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 수단은 클릭 스톱 구성의 위치 결정 기구를 구 비하고 있기 때문에, 쐐기 부재를 유극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쐐기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의해 확실하고도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 수단은 리테이너에 연결된 전환 레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환 레버에 의해 리테이너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모든 쐐기 부재를 자유 상태 및 갇힘 상태로 간편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조임 부재를 다른 부재에 대해 조이거나 이완하는 데 사용하는 스패너로서,
    상기 조임 부재의 외주(外周)에 결합 이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링(ring)부 및 상기 링부의 외주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핸들(handle)부를 갖는 스패너 본체,
    롤러 형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쐐기 부재,
    상기 링부의 내측에 상기 링부의 내주(內周) 주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부의 둘레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쐐기 부재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retainer),
    상기 링부의 내주면에 상기 링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쐐기 부재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조임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free)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遊隙) 영역과,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조임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쐐기 영역을, 상기 링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지는 쐐기 안내홈,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쐐기 안내홈의 유극 영역 및 쐐기 영역 중 어느 한쪽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를 조작하는 전환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안내홈의 쐐기 영역이 상기 유극 영역의 상기 링부 둘레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리테이너를 조작하는 전환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핸들부의 링부 근방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레버의 일단(一端)은 상기 링부를 관통하여 상기 리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전환 레버의 타단(他端)에는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유극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쐐기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각각 상기 리테이너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전환 레버의 타단에 장착된 강구(鋼球), 상기 강구를 상기 핸들부에 대해 압접(壓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유극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쐐기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상기 리테이너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강구가 결합 이탈되는 맞물림 구멍을 가지는 클릭 스톱(click stop) 기구(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6. 원통 구멍을 갖는 조임 부재를 다른 부재에 대해 조이거나 이완하는 데 사용하는 스패너로서,
    상기 조임 부재의 원통 구멍에 삽입되는 원주체(圓柱體) 및 상기 원주체에 연결되는 핸들부를 갖는 스패너 본체,
    롤러 형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쐐기 부재,
    상기 원주체의 외주에 상기 원주체의 외주 주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주체의 둘레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쐐기 부재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
    상기 원주체의 외주면에 상기 원주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쐐기 부재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조임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자유 상태로 유지하는 유극 영역과,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조임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갇힘 상태로 유지하는 쐐기 영역을, 상기 원주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지는 쐐기 안내홈,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쐐기 안내홈의 유극 영역 및 쐐기 영역 중 어느 한쪽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를 조작하는 전환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안내홈의 쐐기 영역이 상기 유극 영역의 상기 원주체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리테이너를 조작하는 전환 레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핸들부의 원주체 근방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레버의 일단은 상기 리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전환 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쐐기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유극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각각 상기 리테이너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전환 레버의 타단에 장착된 강구, 상기 강구를 상기 핸들부에 대해 압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유극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및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쐐기 영역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상기 리테이너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강구가 결합 이탈되는 맞물림 구멍을 가지는 클릭 스톱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KR1020030013060A 2002-07-09 2003-03-03 스패너 KR100703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9882A JP4157334B2 (ja) 2002-07-09 2002-07-09 スパナ
JPJP-P-2002-00199882 2002-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72A KR20040005572A (ko) 2004-01-16
KR100703144B1 true KR100703144B1 (ko) 2007-04-05

Family

ID=2972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060A KR100703144B1 (ko) 2002-07-09 2003-03-03 스패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81998B2 (ko)
EP (1) EP1380390A3 (ko)
JP (1) JP4157334B2 (ko)
KR (1) KR100703144B1 (ko)
TW (1) TW5556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82B1 (ko) 2015-12-09 2016-1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개방형 기어 스패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4575A1 (en) * 1999-09-17 2002-10-10 David Niven Gripping or clamping mechanisms
US7213492B2 (en) * 2004-10-29 2007-05-08 Chen-Chang Tsai Control mechanism for a socket wrench
US20060288822A1 (en) * 2005-06-22 2006-12-28 Peter Langas Ratchet wrench
US20070151423A1 (en) * 2005-12-30 2007-07-05 Proxene Tools Co., Ltd. Apparatus of reverse ratchet wrench to indicate the driving orientation
TW201000269A (en) * 2008-06-27 2010-01-01 Hou-Fei Hu Three-way type button wrench
JP2010158741A (ja) * 2009-01-08 2010-07-22 Tanaka Kinzoku:Kk レンチ及びレンチ用螺着部材
JP5404105B2 (ja) * 2009-03-09 2014-01-29 株式会社日研工作所 クランプ機構、およびこのクランプ機構を備えるスパナおよびツールクランパ
US7975573B2 (en) * 2009-04-03 2011-07-12 Gummow Stephen A Hand tool with stepless locking mechanism
JP5416572B2 (ja) * 2009-12-24 2014-02-12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スパナ
MX2010002057A (es) * 2010-02-22 2011-08-31 Luis Gerardo Oyervides Ochoa Llave de rodillos auto-ajustables.
TWI379739B (en) 2010-12-06 2012-12-21 Jyun Wun Liao Sleeve structure for a spanner
TW201350281A (zh) * 2012-06-06 2013-12-16 Kabo Tool Co 雙面警示手工具
WO2014179732A2 (en) * 2013-05-02 2014-11-06 Weatherford/Lamb, Inc. Tubular handling tool
CA2954537A1 (en) * 2014-07-11 2016-01-14 Hangzhou Great Star Tools Co., Ltd. Quiet wrench
CN104314947A (zh) * 2014-10-30 2015-01-2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防盗螺母及扳手
US11110570B2 (en) * 2015-01-06 2021-09-07 Earl Stuart Douglass Reversible roller wrench with a scalloped outer race
JP5914715B1 (ja) * 2015-02-19 2016-05-11 株式会社日研工作所 フックスパナ
WO2016145491A1 (en) * 2015-03-16 2016-09-22 Kevin Dein A reversible wrench
CN106737340B (zh) * 2016-11-23 2018-10-26 浙江力源工具有限公司 一种摩擦式棘轮扳手
US11235441B2 (en) 2019-02-06 2022-02-01 Albertson Enterprises, Llc Wrench
US11161222B2 (en) 2019-02-06 2021-11-02 Weikai Yang Wrench
US10668600B1 (en) * 2019-02-06 2020-06-02 Jingrong Ye Wrench
TWI789690B (zh) * 2020-02-25 2023-01-11 優鋼機械股份有限公司 滾子扳手
DE102022113887B4 (de) 2022-06-01 2024-04-25 Wiha Werkzeuge Gmbh Isoliertes Drehwerk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947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볼트 및 너트 체결용 공구
KR20020000314A (ko) * 2000-06-23 2002-01-05 하태환 렌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213A (en) * 1897-10-19 Hand drilling-iviachine
US1412688A (en) * 1920-10-21 1922-04-11 James L Layton Tool holder
DE8900543U1 (ko) * 1989-01-19 1989-02-23 Chern, Shyh Yueh, Tali Hsiang, Taichung, Tw
JP3155888B2 (ja) 1993-07-08 2001-04-16 大昭和精機株式会社 スパナ
US6276239B1 (en) * 1995-06-07 2001-08-21 David V. Albertson Hand tool
GB2318535A (en) * 1996-10-22 1998-04-29 Frank Mccann Ratchet wrench
US5941140A (en) * 1996-10-31 1999-08-24 Alvin C. Collins Reversible stepless wrench
US5848561A (en) * 1996-11-06 1998-12-15 Hsieh; Chih-Ching Ratchet socket wrench and socket arrangement
US6112624A (en) * 1998-10-01 2000-09-05 Chen; Yu-Tzu Rotary lever assembly for a wrench with a direction control mechanism
DE10084985B4 (de) * 1999-09-17 2008-08-07 Weatherford/Lamb, Inc., Houston Einspannmechanismus, Kupplung und Vorrichtung, die beides beinhaltet
US6202513B1 (en) * 1999-12-23 2001-03-20 Ching-Chih Pan Socket wrench
US6253646B1 (en) * 2000-03-09 2001-07-03 Chuck (Chen-Tsai) Chang Roller-type ratchet device for wrench
JP4187905B2 (ja) * 2000-05-11 2008-11-26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947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볼트 및 너트 체결용 공구
KR20020000314A (ko) * 2000-06-23 2002-01-05 하태환 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82B1 (ko) 2015-12-09 2016-1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개방형 기어 스패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0390A2 (en) 2004-01-14
TW555625B (en) 2003-10-01
KR20040005572A (ko) 2004-01-16
JP4157334B2 (ja) 2008-10-01
US20040007097A1 (en) 2004-01-15
US7181998B2 (en) 2007-02-27
TW200400868A (en) 2004-01-16
JP2004042156A (ja) 2004-02-12
US7036400B2 (en) 2006-05-02
US20050199101A1 (en) 2005-09-15
EP1380390A3 (en)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44B1 (ko) 스패너
US8328475B2 (en) Cutting tool assembly including a release mechanism
KR20070100778A (ko) 소켓 신속 해제 기구를 갖춘 래칫 렌치
JP3219785U (ja) 取り外し可能な締め付け装置
KR100487273B1 (ko) 토크동력공구용의 조절가능한 반작용 암과 이를 구비한토크동력공구
US7654539B2 (en) Locking drill chuck
JP5193264B2 (ja) システムレール及びシステムレールユニット
JP5378758B2 (ja) 締結装置
JP6596281B2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6025426B2 (ja) プラスドライバー
JP2011131322A (ja) スパナ
JP2005145426A (ja) 油圧式ホイール構造
JP4384751B2 (ja) カムフォロアの取付構造
KR200259960Y1 (ko) 다기능 렌치
JP2001239468A (ja) トルクアダプタ
JP4212826B2 (ja) 締結装置
JP2986394B2 (ja) 孔加工工具
JPH0899772A (ja) 線材巻取ボビン圧締方法及びその装置
JP3707485B2 (ja) ドラムのラグ取付構造
JP5383978B2 (ja) スパナ
JP2933552B2 (ja) 縦用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JPH08170607A (ja) 固定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固定構造
JP2004286086A (ja) 締結装置
JP4712770B2 (ja) 遮断機用差込固定式ホルダ
JPH0752056A (ja) 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