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320B1 -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320B1
KR100699320B1 KR1020060026482A KR20060026482A KR100699320B1 KR 100699320 B1 KR100699320 B1 KR 100699320B1 KR 1020060026482 A KR1020060026482 A KR 1020060026482A KR 20060026482 A KR20060026482 A KR 20060026482A KR 100699320 B1 KR100699320 B1 KR 100699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axis
rotation control
hinge devic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697A (ko
Inventor
히데야 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0310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9932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제1부재에 대해서 제2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통상은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제1축과 제2축을 지니며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를, 상기 제1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개폐시키고, 상기 제2축주위에 상기 제2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축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을 지니는 곳의 상기 제2부재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과, 상기 제2축을 지니는 곳의 상기 제2부재의 수평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의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상기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의 설치부재의 사이에, 가동스토퍼수단을 설치하며, 그 가동스토퍼수단에 의해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수평방향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규제를 해제하여 더욱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축힌지장치, 전자기기,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 수평회전제어수단, 가동스토퍼수단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hinge device with two axes for an electronic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선A-A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일방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의 확대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타방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의 확대분해사시도이다.
도8은본 발명에 관한 이축힌지장치의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의 확대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 설명>
A: 제1부재 B: 제2부재
1: 설치부재 2: 지지부재
3: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
4: 브라켓 5: 샤프트
6: 프릭션 와셔 7: 회전캠
8: 고정캠 9: 가압용 와셔
10: 탄성수단 15: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
18: 제1 클릭와셔 19: 제2 클릭와셔
20: 제3 클릭와셔 21: 제4 클릭와셔
본 발명은、랩탑형 퍼스널 컴퓨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비디오카메라, 및 기타 휴대전자기기 등 키보드를 설치한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액정화면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제2부재의 사이에 사용되기 적합한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에 든 전자기기 등에 있어서,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를 수직방향으로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보드를 설치한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이축힌지장치가 일본국 특허출원번호2004-153899호에 의해 출원되어 있다.
그 일본국 특허출원번호2004-153899호에 기재된 것은, 제2부재 의 제1부재에 대한 수평방향의 회전은, 0도 내지 180도사이를 왕복하는 구성이고,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개방시킨 때에, 좌우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는 180도까지 제2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지만, 힌지장치에 설치한 고정스토퍼수단에 의해서 180도이상은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한 구성이었다.
이러한 구성이면, 상담이나 설계검토회 등의 회의에 있어서,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서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동작중의 퍼스널 컴퓨터를 둘러싸고 다수의 인물에게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화면을 보일 필요가 있는 경우, 즉, 제2부재의 정면에 있는 인물이 본체부인 제1부재를 키보드조작하여, 좌우의 인물에게 제2부재의 표시화면을 보이거나, 또는 좌우 어느 편의 인물이 제1부재를 조작하여, 표시화면인 제2부재에 표시된 화면을 그 제2부재를 회전시켜, 정면의 인물이나 그 옆의 인물에게 보이거나 하는 경우, 그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서 일방향만으로 회전할 수 없다면, 제1부재를 제2부재와 함께 회전시켜줄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한편, 퍼스널 컴퓨터는 1인의 조작자가 조작하는 일이 많다. 그 경우에는 제2부재는 제1부재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하여 버리는 일은 없고,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정대정(正對正)의 정위치(결국,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조작자의 정면을 향하고 있는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1부재에 대해서 제2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통상은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에 실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기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비디오카메라 등, 제1부재에 대해서 개폐시키는 제2부재를 지니는 기타 전자기기에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축과 제2축을 지니며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를, 상기 제1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개폐시키고, 상기 제2축주위에 상기 제2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축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을 지니는 곳의 상기 제2부재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과, 상기 제2축을 지니는 곳의 상기 제2부재의 수평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의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상기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의 설치부재의 사이에, 가동스토퍼수단을 설치하며, 그 가동스토퍼수단에 의해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수평방향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규제를 해제하여 더욱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가동스토퍼수단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스토퍼과, 상기 설치부재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압력이 가해진 때만 동작하는 가동스토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더욱, 상기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을, 회전캠과 고정캠과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소정의 수평방향의 회전각도에서 상기 제2부재를 안정되게 정지시키는 클릭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1과 같이 구성하면, 키보드를 설치한 본체부를 제1부재로 하고, 액정표시부를 제2부재로 하여,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비디오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면, 제1부재에 대한 제2부재의 통상의 개폐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어느 방향으로도 36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2와 같이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2부재의 제1부재에 대한 수평방향의 회전제어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180도의 회전각도를 넘어서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3과 같이 구성하면,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서 흡입동작에 수반되여 소정의 개폐각도로부터 자동적으로 폐쇄시키고, 또는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폐쇄상태와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제1부재와 제2 部材를 로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4와 같이 구성하면,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서 360도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힘을 가하지 아니하면 용이하게는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고, 사용시에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1로 도시한 것은 설치부재이고, 예를 들면, 도1과 도3에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제1부재A측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그 제1부재A는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를 설치한 본체부를 구성한다. 그 설치부재1는 설치베이스부1a과, 그 설치베이스부1a에서 하향절곡시켜 설치한 한쌍의 설치부1b,1b를 지니고 있다.
도면부호2로 도시한 것이, 동일하게 도1과 도3에 상상선로 도시한 제2부재B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그 제2부재B는, 동일하게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의 액정표시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 지지부재2는, 대략 T자의 정면형상을 지니고 있고, 제2축을 구성하는 본체 통형상부2a와, 그 본체 통형상부2a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신장시킨 지지팔부2b,2b를 지닌다. 그 지지팔부2b,2b의 각각의 자유단측에는, 한쌍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3,3을 개재하여 브라켓4,4가 설치되어 있고, 제2부재B가 후단부에서 상기 브라켓4,4의 설치편4a,4a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 한쌍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3,3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일방의 것 만을 설명하고, 타방의 것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팔부2b의 자유단부측에 설치한 설치변형공2c에는, 제1축을 구성하는 샤프트5가 지지팔부2b와 동축방향으로 그 소경변형설치부5a를 삽입결합시킨 뒤에, 설치나사5f로 고정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브라켓4은, 상술한 설치편4a에서 절곡된 평판부4b를 지니며, 평판부4b에 설치한 삽입관통공4c으로 샤프트5의 원형소경부5b를 삽입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그 샤프트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5는 원형소경부5b외에 대경부5c와 변형소경부5d를 지니고 있고, 대경부5c와 브라켓4의 평판부4b의 사이에,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6a으로 샤프트5의 원형소경부5b를 삽입관통시켜 프릭션(마찰) 와셔6가 설치되어 있다. 그 프릭션 와셔6는 그 주변부로부터 걸림편6b을 절곡하고, 그 걸림편6b을 대경부5c의 주변부에 설치한 걸림홈5e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샤프트5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브라켓4의 평판부4b가 프릭션 와셔6와 접하지 아니하는 측에는, 일단부면에 캠부7a를 설치한 회전캠7이, 중심부축방향에 설치한 삽입관통공7b으로 샤프트5의 원형소경부5b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관통시켜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캠7이 브라켓4의 평판부4b와 접하는 측에는, 주변부로부터 한쌍의 걸림돌기7c,7c가 돌출설치되고, 그 걸림돌기7c,7c를 브라켓4의 평판부4b의 주변부에 설치한 걸림홈4d,4d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그 회전캠7은, 브라켓4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도면부호8로 도시한 것은, 고정캠이고, 중심부축방향으로 설치한 변형삽입 관통공8a으로 샤프트5의 변형소경부5d를 삽입관통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샤프트5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도면부호9로 도시한 것은, 비교적으로 두꺼운 가압용 와셔이고, 중심부축방향에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9a으로 샤프트5의 변형소경부5d를 삽입관통결합시키고 있다.
도면부호10로 도시한 것은, 다수매의 접시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이고,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10a으로 샤프트5의 변형소경부5d을 삽입관통시켜, 가압용 와셔9와 고정캠8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5의 변형소경부5d는, 단부면을 코킹이나 리벳팅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그 고정에 의해서, 탄성수단10을 개재하여 회전캠7과 고정캠8은, 서로의 캠부7a,8b를 압접상태로 되며, 브라켓4의 회전와 함께, 그 압접상태의 압접력과, 프릭션 와셔6 및 샤프트5의 대경부5c의 사이의 압접력에 의해, 브라켓4의 회전와 함께, 프릭션 토크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3의 구성은, 다른 프릭션 와셔, 스프링와셔, 또는 탄성수단, 또는 압축스프링 등을 조합시킨 공지의 구성의 프릭션 기구의 것이 고려되고, 그 구성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공지된 구성의 것이 사용가능하다.
더욱, 지지부재2는, 상술한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15을 개재하여 설치부재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15은, 본체 통형상부2a의 변형설치공2d에, 변형설치부16a를 삽입결합시켜 단부를 시키는 것에 의해서 본체 통형상부2a에 고정장착됨과 동시에, 설치부재1의 설치베이스 부1a에 설치한 설치공1c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통형상부16과, 그 회전통형상부16의 변형설치부16a를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17a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키고, 주변부에 설치한 한쌍의 걸림편17b,17b을 본체 통형상부2a에 설치한 걸림홈2e,2e(일부만 표시)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 통형상부2a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프릭션 와셔17와, 중심부에 설치한 원형 삽입관통공18a으로 회전통형상부16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킴과 동시에 설치부재1의 설치베이스부1b의 하측에 접촉시키고 또 이와 동시에, 주변부에서 절곡된 걸림편18b,18b을 설치베이스부1a에 설치한 걸림공1d,1d으로 삽입시켜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설치부재1에 회전이 구속되는 제1 클릭와셔18와, 그 제1 클릭와셔18에 접하여 중심부에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19a으로 회전통형상부16의 변형부16c을 삽입결합시켜 설치한 제2 클릭와셔19와, 그 제2 클릭와셔19에 접하여 중심부에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20a으로 회전통형상부16의 변형부16c를 삽입결합시켜 설치한 제3 클릭와셔20와, 그 제3 클릭와셔20에 접하여 중심부에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21a으로 회전통형상부16의 변형부16c를 삽입결합시켜 설치한 제4 클릭와셔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형상부16의 제4 클릭와셔21를 설치한 측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프릭션 와셔17와 제1 클릭와셔18가 설치베이스부1a의 양측에 압접되고, 더욱, 제1∼제4 클릭와셔18∼21가 서로 압접되어 제1 클릭와셔18측으로 압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프릭션 와셔17의 표면과 제2 내지 제3 클릭와셔19,20의 표면에는, 각각 다수의 윤활유 멈춤용 소공17c,19b 및 20b이 설치됨과 동시에, 제1 클릭와셔18의 주변부에는 한쌍의 절결부18c가 설치되어, 제2 클릭와셔19의 표면과 제4 클릭와셔21의 표면에는 서로 대향위치에 돌출부19c와 돌출부21b가 한쌍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릭션 와셔17의 주변부에는, 고정스토퍼23가 설치됨과 동시에, 설치부재1의 설치베이스부1a에는 가동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스토퍼23와 가동스토퍼24로 가동스토퍼수단22를 구성하고 있다. 가동스토퍼24는, 설치베이스부1a에 코킹이나 리벳팅 등에 의해 고정장착한 설치핀25에 의해서 선회동작 가능하게 설치베이스부1a위에 설치되어 있고, 그 설치핀25에 작용시킨 프릭션 와셔26와 누름용 와셔27에 의해서, 프릭션 토크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설치핀25의 누름용 와셔27측을 고정시키고 있다. 가동스토퍼24의 자유단부측에는 스토퍼핀28이 설치되고, 그 스토퍼핀28은 설치베이스부1a에 설치한부체꼴형상의 가이드공29에 삽입되고 있다. 그것에 의해, 가동스토퍼24는, 정해진 각도에서, 고정스토퍼23에 의한 소정의 가압력이 가해진 때만, 선회동작이 가능하다.
다음에,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곧,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3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제2부재B는, 그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3의 브라켓4의 설치편4a,4a에 설치되어 있고, 통상은 제2부재B는 폐쇄되어 제1부재A와 중첩되지만,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4이 제1축인 샤프트5,5축심주위로 회전하는 것 에 의해, 그 제2부재B는 제1부재A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런데, 제1부재A와 제2부재B가 서로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캠8에 설치된 캠부8b의 돌출부8c,8c가, 타방의 회전캠7의 캠부7a에 설치된 요홈부7d,7d내로 떨어져 들어가기 때문에, 제2부재B는 제1부재A에 대해서 폐쇄상태에서 로크되어 있다.
그 폐쇄로크상태로부터 제2부재B의 앞측(조작자측)에서 손으로 제1부재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누르면, 돌출부8c,8c가 탄성수단1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홈부7d,7d로부터 탈출하는 것에 의해, 제2부재B는 제1부재에 대해서 개방되고, 그런 뒤에는, 각 캠부7a,8b의 돌출부7e,7e와 돌출부8c,8c끼리 압접상태로 되기 때문에, 프리스탑으로 정지가능한 상태로 개폐될 수 있다.
제2부재B가 제1부재A에 대해서 180도까지 개방되면, 그 直前에 있어서, 다시 각 캠8의 돌출부8c,8c가 회전캠7의 요홈부7d,7d로 떨어져 들어가는 것에 의해, 탄성수단10의 탄성력으로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로크되는 것으로 된다. 그 동작을 흡입동작, 또는 스위블(swivel)동작이라고 한다. 180도까지 개방되면, 도시하지 아니한 스토퍼에 의해, 제2부재B는 제1부재A에 대해서 그 이상 개방되지 아니한다.
제1부재A에 대해서 개방시킨 제2부재B를 폐쇄시키는 때에는, 상술한 개방과 역의 동작에 의해서 프리스탑으로 폐쇄되고, 완전하게 폐쇄되기 직전에 있어서 고정캠8의 캠부8b의 돌출부8c,8c가, 회전캠7의 캠부7a의 돌출부7e,7e로부터 요홈부7d,7d로 떨어져 들어가는 것에 의해, 앞에 설명한 흡이??동 작이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되며, 폐쇄상태에서 로크된다.
또, 제2부재B를 중간개방각도에서 클릭정지시키는 것은, 각 캠부7a,8b의 요홈부와 돌출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 전부 개방각도도 유사하게 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1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부재2의 본체 통형상부2a에 설치한 회전통형상부16는, 설치부재1의 설치베이스부1a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제1 클릭와셔18의 절결부18c,18c에로, 회전통형상부16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는 제2 클릭와셔19의 상면에 설치한 돌출부19c,19c가 삽입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위치에서 로크되고 있고, 회전통형상부16축선주위의 회전가압력이 하하여지지 아니하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상태를 설명의 편의상 0도라고 한다.
제2부재B를 제1부재A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개방하여 제1부재A를 조작하고, 제2부재B에 표시된 표시화면을, 예를 들면, 정면에 있는 조작자의 좌우측에 있는 사람에게 보이기 위해, 수평방향의 좌우 방향으로 제2부재B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제2부재B를 제1부재에 대해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부19c,19c가 절결부18c,18c에서 탈출하여 수평방향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180도까지 개방되면, 고정스토퍼23가 가동스토퍼24에 접촉하는 것과, 다시 돌출부19c,19c가 절결부18c,18c로 떨어져 들어가는 것에 의해, 그 180도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부분이 종래 기술인 경우, 제1부재A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180도 제2부재를 수평회동시키면, 그 180도의 위치에서 고정스토퍼수단이 있었으므로,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때 다음의 0도로부터 앞과는 다른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 180도까지 개방시킨 때에, 더욱 제2부재B를 180도 넘는 방향으로 누르면, 가동스토퍼수단22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제2부재B를 제1부재A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180도까지 개방하고, 일단 정지된 제2부재B를 더욱 동일방향으로 누르면, 지지부재2의 본체 통형상부2a와 함께 회전하는 프릭션 와셔17에 설치한 고정스토퍼23가, 가동스토퍼24의 스토퍼핀28을 누르는 것에 의해, 그 가동스토퍼24를 설치핀25을 지점으로 선회시키는 것으로 되고, 180도 넘는 각도를 동일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와 같이 하여, 제2부재B는 제1부재A에 대해서 180도 회전시킨 후에도, 동일방향으로 제2부재B 동일방향으로 눌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더욱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것과 같이, 한번 원 위치의 0도로 복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사실, 제2부재B가 액정표시부로서, 그 액정표시부를 둘러싸고 회의나 상담을 하고 있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요망이 종종 발생하며, 제2부재B를 동일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편리하고도 유용한 것이다.
또, 제2부재B가 상술한 0도인 때와, 180도인 때에는, 제2 클릭와셔1 9에 설치한 돌출부19c,19c가, 제1 클릭와셔18에 설치한 절결부18c,18c내로 떨어져 들어가므로, 그 때에 흡입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돌출부의 회동방향좌우로 약간의 경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15의 구성은, 실시예의 것에 한정됨이 없이, 기타의 공지구성의 것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가동스토퍼수단22의 구성은, 실시예이외에, 예를 들면, 가동스토퍼를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부재로 하거나, 가동스토퍼에 코일스프링을 작용시켜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거나, 고정스토퍼를 설치한 측(지지부재측)에 탄성수단을 작용시켜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스토퍼 또는 볼을 설치하고, 설치부재1의 설치베이스부1A의 측에, 그 가동스토퍼를 수용하는 요홈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 상기의 구성에서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가동스토퍼를 설치베이스의 측에 설치하고, 요홈부를 고정스토퍼가 설치된 측(지지부재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 특히 제1부재를 키보드가 설치된 본체부로 하고, 제2부재를 액정표시부로 하는,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이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제1축과 제2축을 지니며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 를, 상기 제1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개폐시키고, 상기 제2축주위에 상기 제2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축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을 지니는 곳의 상기 제2부재의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과, 상기 제2축을 지니는 곳의 상기 제2부재의 수평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의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상기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의 설치부재의 사이에, 가동스토퍼수단을 설치하며, 그 가동스토퍼수단에 의해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수평방향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규제를 해제하여 더욱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토퍼수단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스토퍼과, 상기 설치부재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압력이 가해진 때만 동작하는 가동스토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회전제어수단을, 회전캠과 고정캠과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소정의 수평방향의 회전각도에서 상기 제2부재를 안정되게 정지시 키는 클릭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KR1020060026482A 2005-03-31 2006-03-23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KR100699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2296 2005-03-31
JP2005102296A JP4740627B2 (ja) 2005-03-31 2005-03-31 電子機器の二軸ヒン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97A KR20060106697A (ko) 2006-10-12
KR100699320B1 true KR100699320B1 (ko) 2007-03-23

Family

ID=3703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482A KR100699320B1 (ko) 2005-03-31 2006-03-23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8458B2 (ko)
JP (1) JP4740627B2 (ko)
KR (1) KR100699320B1 (ko)
CN (1) CN1842262A (ko)
TW (1) TW2006412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88810C (zh) * 2004-04-28 2009-05-20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载用显示装置
TWM273759U (en) * 2005-03-31 2005-08-21 Shin Zu Shing Co Ltd Pivot
TWM285890U (en) * 2005-10-12 2006-01-11 Wei-Jie Juang Multi-directional rotation shaft structure
US7600298B2 (en) * 2006-01-19 2009-10-13 Lianhong Art Co., Ltd. Hinge rotative on two mutual orthogonal axes
US7707691B2 (en) * 2006-05-25 2010-05-04 Lg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140008B (zh) * 2006-09-05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US7934292B2 (en) * 2007-01-04 2011-05-03 Apple Inc. Hinge mechanism
JP5148152B2 (ja) * 2007-04-09 2013-02-20 加藤電機株式会社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JP5112925B2 (ja) * 2007-12-21 2013-01-09 加藤電機株式会社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TWM339196U (en) * 2008-01-18 2008-08-21 Chenming Mold Ind Corp Bidirectional pivot structure
TW200934962A (en) * 2008-02-05 2009-08-16 Leohab Entpr Co Ltd Pivot with increased load
US20090229080A1 (en) * 2008-03-17 2009-09-17 Shin Zu Shing Co., Ltd. Automated hinge assembly
US7559118B1 (en) * 2008-05-13 2009-07-14 Shin Zu Shing Co., Ltd. Sag preventing hinge and its assembly
US20090300881A1 (en) * 2008-06-04 2009-12-10 Chao-Chi Lin Cam for a Hinge used in an Electronic Device
CN101660566B (zh) * 2008-08-25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JP5430575B2 (ja) * 2008-09-05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
CN101725622B (zh) * 2008-10-17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725624B (zh) * 2008-10-24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725626B (zh) * 2008-10-24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KR101594179B1 (ko) * 2009-07-30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146207B2 (en) * 2009-08-17 2012-04-03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110047753A1 (en) * 2009-08-25 2011-03-03 Shin Zu Shing Co., Ltd. Hinge
CN201496391U (zh) * 2009-08-27 2010-06-02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双向枢纽器
TWI378758B (en) * 2009-09-03 2012-12-01 Acer Inc Angle positioning device of rotation shaft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M400736U (en) * 2010-04-15 2011-03-21 Lian Hong Art Co Ltd 360 degrees rotatable bi-directional hinge
JP2011256957A (ja) * 2010-06-10 2011-12-22 Sony Corp 二軸ヒンジ機構及び電子機器
DE102010041960B4 (de) * 2010-07-30 2012-12-20 Aktiebolaget Skf Gelenkanordnung
CN103261713B (zh) * 2011-03-31 2015-12-09 英特尔公司 用于电子设备的自动铰链锁定组件
CN102865290B (zh) * 2012-09-05 2016-04-27 北京泛华恒兴科技有限公司 一种部件连接旋转装置
CN104061230B (zh) * 2013-03-18 2017-07-28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铰链结构
JP6103071B2 (ja) 2013-09-27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ヒンジユニット
CN105202010A (zh) * 2014-06-12 2015-12-30 加藤电机(香港)有限公司 双轴铰链及应用此双轴铰链的终端机器
CN110502073B (zh) * 2015-04-09 2023-09-29 三星电子株式会社 折叠式设备
US10365691B2 (en)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1268565B2 (en) 2015-04-09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310551B2 (en) 2015-04-09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883534B2 (en) 2015-04-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12814992B (zh) * 2019-11-18 2022-04-26 昆山纬绩资通有限公司 双轴式枢轴机构与包括其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1732A5 (ko) * 1972-02-11 1973-09-21 Mayer Otto
US4576411A (en) * 1984-02-02 1986-03-18 Tachikawa Spring Co., Ltd. Vehicle seat
JPS6245421A (ja) * 1985-08-22 1987-02-27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等用管寄せの製法
JPH02242510A (ja) * 1989-03-16 1990-09-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JPH09151933A (ja) * 1995-11-29 1997-06-10 Nec Corp 電子機器筐体
JPH09303032A (ja) * 1996-05-16 1997-11-2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US6178596B1 (en) * 1999-01-20 2001-01-30 Koryo Co., Ltd.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of back seat for vehicle
US6256837B1 (en) * 2000-01-05 2001-07-10 Usa Spec, Inc. Hinge assembly for car-mounted video display unit
TW524262U (en) * 2001-08-16 2003-03-11 Wen-Chi Lin Positioning hinge
JP2003166522A (ja) * 2001-12-03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ンジ装置
JP2004053927A (ja) * 2002-07-19 2004-02-19 Toshiba Corp 電子機器
US6742221B2 (en) * 2002-11-06 2004-06-01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notebook computer
US6804861B2 (en) * 2002-12-04 2004-10-19 Lite-On Technology Corp. Rotation shaft mechanism of display portion of portable computer
JP4093038B2 (ja) * 2002-12-06 2008-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JP2004197862A (ja) * 2002-12-19 2004-07-15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TW587721U (en) * 2003-01-16 2004-05-11 Quanta Comp Inc Display rotation apparatus with fixing module
TW584233U (en) * 2003-01-16 2004-04-11 Quanta Comp Inc A swivel hinge with angular fix structure
KR100463777B1 (ko) * 2003-03-11 200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20040196403A1 (en) * 2003-03-19 200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6845546B1 (en) * 2003-06-20 2005-01-25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with a rotation seat available to rotate in both latitudin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a fixing seat
JP2005054890A (ja) * 2003-08-04 2005-03-0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用ヒンジ
JP4215614B2 (ja) * 2003-10-22 2009-01-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ヒンジ
TWM270402U (en) * 2004-03-09 2005-07-11 Compal Electronics Inc Improved pivot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
TWM258551U (en) * 2004-04-02 2005-03-01 Compal Electronics Inc Pivot mechanism portable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262A (zh) 2006-10-04
US7478458B2 (en) 2009-01-20
JP2006283824A (ja) 2006-10-19
US20060218750A1 (en) 2006-10-05
KR20060106697A (ko) 2006-10-12
TW200641268A (en) 2006-12-01
TWI296680B (ko) 2008-05-11
JP4740627B2 (ja)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320B1 (ko) 전자기기의 이축힌지장치
KR100722240B1 (ko)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JP2006283824A5 (ko)
US6618903B2 (en) Hinge device
JP5112925B2 (ja)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7177829A (ja) 回転規制機能付2軸ヒンジ装置
US8141207B2 (en) Two-axis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9236315A (ja)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TWI726439B (zh) 具有彈性構件之鉸鏈總成
JPWO2004027274A1 (ja) ヒンジ装置
JP2009063039A (ja) チルトヒンジ装置
US10365694B2 (en) Pivot structur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4474568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動可能な表示部のロック装置
US8084689B2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9253153B (zh) 终端机器的自动站立开合装置及使用该装置的终端机器
JP5148152B2 (ja)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WO2021210075A1 (ja) 昇降式2軸ヒンジ並びにこの昇降式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TW201351098A (zh) 應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支撐機構及其旋轉式電子設備
CN215521602U (zh) 一种枢纽器和电子设备
KR101272439B1 (ko) 휴대기기의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이용한 휴대기기
US11448294B2 (en) Linkage mechanism
TWI715198B (zh) 轉軸模組與可攜式電子裝置
CN216122609U (zh) 电子装置
JP2775636B2 (ja) 機器ケースの開閉構造
JP2004353748A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604

Effective date: 201202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