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275B1 -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275B1
KR100695275B1 KR1020020072248A KR20020072248A KR100695275B1 KR 100695275 B1 KR100695275 B1 KR 100695275B1 KR 1020020072248 A KR1020020072248 A KR 1020020072248A KR 20020072248 A KR20020072248 A KR 20020072248A KR 100695275 B1 KR100695275 B1 KR 10069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hardware
stair
staircase
land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657A (ko
Inventor
요코모리세이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부시키가이샤 요코모리 세이사쿠쇼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대한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부시키가이샤 요코모리 세이사쿠쇼,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대한주택공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3007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09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단차부에서 분단되는 일없이 계단실벽의 내형틀 구축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계단실벽에 근접한 위치에 철골계단을 배치한다.
기설치층(F0)의 플로어 층계참의 부착철물, 구축예정의 중간 층계참(F0-1)의 마루용 형틀(31)의 부착철물(26),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F1)의 마루용 형틀의 부착철물(26)사이에, 철골계단(10A, 10B)을 각각 가설한다. 양 철골계단(10A, 10B)을 중앙에 근접하게 하고 있어, 본래의 계단의 끝가장자리로부터 폭(D)의 스페이스(42)가 빈다(b). 스페이스(42)내에, 계단의 승강방향의 계단실벽(44)용의 내형틀(46)을 구축하고, 중간 층계참(30) 다른 구체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불필요한 임시 설치부재를 제거하면, 폭(D)의 스페이스(42)가 빈다. 철골계단(10A, 10B)을 서로 이격하도록 외측으로 이동하여, 스페이스(42)를 메우고, 계단실벽(44)의 내면(44a)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한다. 철골계단(10A, 10B)을 부착철물(26)에 고정한다(a).
계단구조, 계단부재, 부착철물, 구체, 층계참, 연결돌출판, 연결봉

Description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STEP CONSTRUCTION AND METHOD FOR BUILDING STE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축 도중의 계단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하게 F0 층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하게 F1층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중간 층계참 F0-1층의 확대 횡단면도로, (a)는 계단이동 후, (b)는 계단 이동전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D-D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E-E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F-F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철골계단의 평면도, (b)는 (a)의 G-G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 (c)는 (a)의 H-H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부착철물의 평면도, (b)는 (a)의 J-J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c)는 (a)의 K-K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a)는 도 4의 L부분의 확대도, (b)는 도 4의 M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a)∼(d)는 본 발명의 구축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철골계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철골계단을 사용한 실시예의 일부 종단면도로, (a)벽용 형틀을 구축한 상태, (b)는 벽용 형틀을 떼어낸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디딤판 2 따낸옆판(내측)
3 따낸옆판(2)의 외면 3a 따낸옆판(2)의 내면
4 따낸옆판(외측) 5 따낸옆판(4)의 외면
5a 따낸옆판(4)의 내면 6 끝판
7 연결돌출판 8 연결구멍
9 고정구멍 10 철골계단(계단부재)
11 철골계단의 중간 층계참부 13 지지판
15 부착판 16 부착판의 외면
16a 부착판의 내면 17 앵커
18 고정판 19 고정판
20 고정구멍 23 연결돌출판
24 연결구멍 26 부착철물
28 기설치층(F0)의 플로어 층계참
30 중간 층계참(F0-1)
31 중간 층계참의 마루용 형틀 
36 다음 층 F1의 플로어 층계참
37 F1의 마루용 형틀 39 볼트(연결봉)
40 너트 42 스페이스
44 계단실벽(승강방향)
45 계단실벽(승강방향과 직각인 방향)
46 계단실벽용 내형틀 47 계단실벽용 외형틀
49 종파이프 50 횡파이프
51 폐쇄판 52 모르타르
본 발명은, 계단실벽을 가지는 계단의 구축에 최적인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제의 구체(軀體)의 구축에 앞서서, 본 설치의 철골계단을 부착하고, 임시 설치계단으로서 공사에 이용하는 공법이 각종 제안되고 있다. 이 앞서 부착한 계단을, 철골계단의 승강방향으로 계단실벽을 구축하는 계단실 구조에 적용하는 일이 있었다.
또, 계단실벽을 콘크리트제로 하는 경우에는, 계단실벽의 내형틀 (계단측의 형틀)을 임시로 설치하여 지지할 필요가 있어, 통상은, 임시틀로서 내외의 합판의 합판에 맞닿는 종타입, 종파이프에 교차하는 횡파이프로 양 합판을 끼워서, 벽용 형틀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하고 있었다.
이 경우, 하나의 방법에 의하면, 철골계단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한 후, 철골계단의 외측의 따낸옆판을 계단실벽의 내형틀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따낸옆판을 피하여 계단실벽의 형틀을 조립하고 있었다.
또, 다른 방법에서는, 외측의 따낸옆판의 외측에, 따낸옆판과는 별도로 계단실의 내형틀을 구축하는 공법도 취해지고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 중, 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체의 콘크리트는, 층마다 타설되기 때문에, 계단실의 형틀도 층마다의 단위로, 구축되어 있었다. 한편 철골계단은, 각 플로어 사이에 경사지게 구축되기 때문에, 따낸옆판에서 계단실벽의 형틀, 종파이프가 분단되어, 형틀가공, 조립이 번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에는, 따낸옆판과 내형틀이 간섭하지 않고, 형틀의 가공이 번잡하지 않은데, 계단실벽과 따낸옆판의 외면 사이에, 형틀의 두께 및 종파이프 등의 간격( 7.5∼10 cm 정도)이 생겨서, 완성된 구조에서, 외관상 안좋은 경우가 생기고, 또, 간극을 통하여 물건이 하방으로 낙하할 위험이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간 극을 막을 필요도 나오는 등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계단부재의 상하를 구체에 부착하는 부착철물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였으므로, 상기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즉 본 발명은, 계단구축 위치에서, 병렬로 2개의 계단부재를 가설(架設)하고, 그 계단부재의 상하 양끝을 구체에 부착하는 계단의 구조로서, 상기 계단부재의 상하를 받치는 상측 부착철물 및 하측 부착철물을 각각 구체에 부착하고, 이 상하측 부착철물에, 상기 계단부재의 상하끝을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조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 부착철물에 돌출설치된 연결돌출판의 연결구멍과, 계단부재의 상하끝에 돌출설치된 연결돌출판의 연결구멍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봉을 끼워 통과시키고, 부착철물과 계단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계단의 구조이다.
또, 구축방법의 발명은, 이하의 공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축방법이다.
(1) 구축예정인 계단부재의 위끝, 아래끝을 지지하는 구축예정의 구체위치에, 부착철물을 각각 배치하고, 각 부착철물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한다.
(2) 이어서, 상기 부착철물간에, 2개의 계단부재를 병렬하여 가설하고, 양 계단부재를 근접하게 하여, 상기 각 계단부재의 외측에 스페이스를 비우도록 배치한다.
(3) 상기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계단실벽의 내측의 형틀을 구축하고, 또 계 단실벽의 외측의 형틀 및 그 외의 구체용의 형틀을 구축한다.
(4) 상기 부착철물을 형틀의 일부로 하여 구체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부착철물을 구체에 정착한다.
(5) 이어서, 불필요한 임시 설치부재를 상기 스페이스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양 계단부재를 서로 이격하도록 이동시켜, 양 계단부재의 외측을 상기 스페이스에 위치하게 한다.
(6)소정위치에서, 계단부재를 부착철물에 고정한다.
또, 다른 구축방법은, 이하의 공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축방법이다.
(1) 기설치 층의 플로어 층계참의 끝부에 부착철물이 매설되어 있다.
(2) 구축예정인 중간 층계참,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의 마루용 형틀의 끝부에, 각각 부착철물을 얹어놓고, 각 마루용 형틀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한다.
(3) 이어서, 기설치 층 플로어 층계참에서 중간 층계참까지의 계단부재(A)와, 중간 층계참에서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까지의 계단부재(B)를 각각 가설하고, 상기 양 계단부재(A, B)를 중앙측에 근접시켜서, 상기 부착철물에 부착하여, 상기 계단부재(A, B)의 외측에 스페이스를 비우도록 배치한다.
(4) 상기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계단실벽의 내측의 형틀을 구축하고, 또 계단실벽의 외측의 형틀 및 그 외의 구체용의 형틀을 구축한다.
(5) 상기 부착철물을 마루용 형틀의 일부로 하여, 중간 층계참,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 다른 구체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부착철물을 구체에 정착한다.
(6) 이어서, 불필요한 임시 설치부재를 상기 스페이스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계단부재(A, B)를 서로 이격하도록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양 계단부재(A, B)의 외측을 상기 스페이스 내에 위치시킨다.
(7) 소정 위치에서, 계단부재(A, B)의 상하를 부착철물에 고정한다.
상기에 있어서 구체란, 계단에 연속하는 마루 슬래브이고, 플로어 층계참, 중간 층계참 등을 가리킨다. 또, 중간 층계참이 일체로 된 계단부재에서는, 중간 층계참을 지지하는 계단실벽(승강방향과 직각인 방향)도 가리킨다.
또, 상기에서의 계단부재로서 주로 철골계단을 사용하는데, 계단을 구성하는 재료는 상관없다. 또한, 철골계단이란, 계단형상으로 나열된 소정수의 디딤판을 강재로 이루어지는 따낸옆판에 끼워 구성한 계단이다. 디딤판은, 강재, 모르타르·콘크리트계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주로 구성되는데, 디딤판의 재료는 임의이다.
또, 계단부재는, 단차부만의 경우가 가장 유효한데, 플로어 층계참과 중간 층계참의 한쪽 또는 양쪽을 단차부와 일체로 구축한 계단부재로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1) 기설치 층(F0)의 플로어 층계참(28) 끝부에 부착철물(26)이 매설되어 있다(도 14(a)).
(2) 구축예정의 중간 층계참(F0-1)의 마루용 형틀(31)의 끝부,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F1)의 마루용 형틀(37)의 끝부에, 각각 부착철물(26, 26)을 얹어놓고, 각 마루용 형틀(31, 37)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한다.
(3) 이어서, 기설치 층 플로어 층계참(28)으로부터 중간 층계참(30)까지의 철골계단(10A), 중간 층계참(30)으로부터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36)까지의 철골계단(10B)을 각각, 가설하고, 양 철골계단(10A, 10B)을 중앙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부착철물(26, 26)에 부착한다(도14(b)). 따라서, 철골계단(10A, 10B)의 외측에 본래의 계단의 끝가장자리로부터 폭(D)의 스페이스(42)가 빈다(도 4(b)). 이 상태에서, 철골계단(10A, 10B)은 작업용의 계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4) 스페이스(42)를 이용하여, 계단의 승강방향의 계단실벽(44)용의 내형틀(46)을 구축하고, 또 계단실벽(44)의 외형틀(47), 및 그 외의 구체용의 형틀을 구축한다(도 4(b), 도 13(b)).
(5) 부착철물(26, 26)을 마루용 형틀(31, 37)의 일부로 하여, 중간 층계참(30),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36), 다른 구체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부착철물(26, 26)을 구체에 정착한다 (도14(c), 도1∼도 3).
(6) 이어서, 불필요한 임시 설치부재를 스페이스(42)로부터 제거하면, 폭(D)의 스페이스(42)가 빈다. 이어서, 철골계단(10A, 10B)을 서로 이격하도록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양 철골계단(10A, 10B)의 외측이 스페이스(42) 내에 위치하고, 철골계단(10A, 10B)의 외측의 따낸옆판의 외면(5)은, 계단실벽(44)의 내면(44a)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7) 그 후, 철골계단(10A, 10B)의 따낸옆판(2, 4)의 상하를 부착철물(26)의 고정판(18, 19)에 고정하여 철골계단의 (10A, 10B)의 부착이 완료된다(도 4(a), 도 13(a), 도 14(d)).
철골계단(10)은, 2개의 철골계단(10)이 병렬된 배치로 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고, 통상은 중간 층계참을 형성하는 되접기형식의 계단에 적용되는데 (도 15(a)), 직진용의 철골계단(10, 10)을 교차시킨 계단에도 적용할 수 있다(도 15(b)).
또, 계단실벽(44, 45)을 구축하기 위한 형틀(46, 47)은, 일반적으로 합판(이른바 콤파네)을 사용하고, 이것을 파이프재나 각재(이른바 버터파이프, 버터각 등)를 사용하여 유지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또, 형틀(46, 47)은 강철제 형틀(메탈폼)이나 수지형틀 등 종래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계단실벽(44, 45)을 구축후에 철거되는 임시 설치한 형틀 이외에, 계단실벽(44, 45)과 일체로 구축되는 메워넣기 형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들을 혼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형틀(46, 47)을 지지하는 구조도 임의이고, 종래 사용되는 지지구조를 채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1]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계단부재로서의 철골계단(10)은 단차부만으로 구성하고, 플로어 층계참, 중간 층계참을, 현장에서 구축하는 실시예이다.
[1] 철골계단(10)의 구성
소정 단수의 디딤판(1, 1)의 양측을, 내측의 따낸옆판(2) 및 외측의 따낸옆판(4)으로 끼워서, 고정하여, 철골계단(10)을 구성한다. 철골계단(10)은, 기준층 의 플로어 층계참으로부터 상측의 중간 층계참까지의 철골계단(10A)과, 중간 층계참으로부터 기준층의 상층의 플로어 층계참까지의 철골계단(10B)으로, 1층분의 철골계단을 구성한다(도11(a)(b)).
따낸옆판(2, 4) 사이로서, 디딤판(1, 1)의 상하끝에, 디딤판(1)과 평행하게, 끝판(6, 6)을 각각 가설 고정한다. 각 끝판(6, 6)의 외면(디딤판(1)이 있는 측의 다른 측)의 중앙부에, 앵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돌출판(7)을 각각 돌출 설치하고, 연결돌출판(7)에 횡방향의 연결구멍(8)을 각각 뚫어설치한다(도 11(c)). 또, 따낸옆판(2, 4)의 상하 양끝에서, 상기 연결구멍(8, 8)과 동일한 위치부근에, 부착용의 고정구멍(9, 9)을 상하 2개 뚫어설치한다(도 11(b)).
[2] 부착철물(26)의 구성
구축예정의 중간 층계참, 플로어 층계참의 폭에 대응한, 앵글재로부터 수평의 지지판(13)과 수직의 부착판(15)으로 이루어지는 기재(12)를 형성한다. 기재(12)의 부착판(15)에, 소정간격으로, 투시구멍을 뚫어설치하고, 부착판(15)의 외면(16)측(지지판(13)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너트를 나사맞춤한 볼트의 축부를 투시구멍에 삽입한다. 볼트는, 그 두부(頭部)를 지지판(13)과는 반대측에 돌출시켜서 배치하고, 그 축부의 선단부를, 부착판의 양측에서 너트로 끼워서, 나사맞춤하여 긴밀히 연결하고, 부착판(15)에 고정하여, 앵커(17)를 구성한다(도 12).
부착판(15)의 내면(16a)측(지지판(13)측)에, 철골계단(10)의 따낸옆판(2, 4)의 끝부위치에 대응하여, 4매의 고정판(18, 19)을 돌출설치한다. 고정판(18, 19)은 철골계단(10)의 최종 부착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고, 최종 부착위치에서, 양 끝측의 2매의 고정판(19, 19)은, 양 철골계단(10)의 외측의 따낸옆판(4)의 외면(5)(디딤판(1)이 접합된 측의 반대측)에 맞닿는 위치에서, 중앙측의 2매의 고정판(18, 18)은, 양 철골계단(10)의 내측의 따낸옆판(2)의 내면(3a)(디딤판(1)이 접합된 측)에 맞닿는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고정판(18, 18)에는, 따낸옆판의 고정구멍(9, 9)에 대응한 고정구멍(20, 20)이 뚫어설치되어, 고정구멍(20)에 연통하는 너트(21)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또한, 외측의 고정판(19, 19)의 너트는 캡너트(22, 22)로 하여, 고정 판(19)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도 12(a)(b)).
또, 부착판(15)의 내면(16a)에, 철골계단(10)의 연결돌출판(7)에 대응한 위치에, 마찬가지로 앵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돌출판(23, 23)이 고정되고, 철골계단(10)의 연결구멍(8)에 대응한 위치에 연결구멍(24)이 각각 뚫어설치되어 있다(도 12(a)(c)).
또 지지판(13)에는, 마루형틀에 고정하기 위한 못구멍(25, 25)이 길이방향으로, 좌우대칭으로 뚫어설치되어 있다(도 12(a)). 이상과 같이 하여, 부착철물(26)을 구성한다(도 12).
[3] 계단의 구축방법
(1) 기준층(기설치층)(F0)에서는, 부착철물(26)의 일측에 하방으로부터의 철골계단(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제의 플로어 층계참(마루)(28)이 구축되어 있다(도 1∼도 3, 도 14(a)).
(2) 구축예정의 중간 층계참 층(F0-1)(F0와 F1의 중간층)을 구축하기 위한 층 계참용의 마루형틀(31), 다음 F1층의 플로어 층계참용의 마루형틀(37)을 종래의 방법에 의해 구축하여 임시 설치하여 지지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마루용의 형틀(31, 37)은, 수평으로 배치된 목제 각재(33, 33)을 통하여, 서포트(34, 34)로 지지한다(도 1). 또한, 마루용 형틀(31, 37)의 지지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채용되는 각종의 지지구조를 적용할 수가 있다(도시생략).
(3) F0-1층의 마루용 형틀(31) 및 F1층의 마루용 형틀(37)에, 미리 계단위치에 맞추어 먹줄친 위치에 맞추어서, 각각 부착철물(26)을 고정한다(도 14(b)). 부착철물(26)의 고정은, 지지판(13)의 못구멍(25)으로부터 못이나 나사류를 마루형틀(31, 37)을 향하여 박아넣어 행한다.
또, 부착철물(26, 26)의 구축에 평행하며, 또는 구축후에, 구축 예정의 F0-1층을 향하는 일측의 철골계단(10A), 및 F0-1층으로부터 F1층을 향하는 철골계단(10B)을 배치하여, 철골계단(10A, 10B)의 연결돌출판(7, 7)을 부착철물(26, 26)의 연결돌출판(23, 23)에 대향시킨다(도 4(b)).
(4) 부착철물(26)의 연결돌출판(23)의 연결구멍(24)으로부터 볼트(39)를 끼워통과하게 하여, 너트(40, 40)를 나사맞춤함과 동시에, 철골계단(10A, 10B)의 연결돌출판(7)의 연결구멍(8)에 끼워통과하게 하여, 너트(20)를 더 나사맞춤한다. 양 철골계단(10A, 10B)을 가장 근접하도록 중앙에 가까이 댄 상태에서, 너트(20, 20)를 죄이고, 철골계단(10A, 10B)의 연결돌출판(7)을 각각 끼워서, 철골계단(10A, 10B)을 임시 부착한다(도 14(b)). 이 상태에서, 철골계단(10A, 10B)은, 작업용의 계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철골계단(10A, 10B)을 중앙측에 가까이 오게 하였으므로, 본래의 철골계단(10A, 10B)의 설치위치에서, 철골계단(10A, 10B)의 외측에 폭(D)(D = 7.5∼10 ㎝ 정도)의 스페이스(42, 42)가 생기고 있다(도 4(b)).
(5) 계단의 승강방향의 계단실벽(44)의 외형틀(47), 벽용 철근(도시생략)을 배근하여, 스페이스(42, 42) 내에, 벽용 내형틀(46)을 배치한다(도 13(b)). 양 형틀(46, 47)을 종래 사용되는 방법으로 고정한다. 예를 들면, 양 벽형틀(46, 47) 내에 배치한 세퍼레이터(53)를, 폼타이(55), 3형 리브시트(리브와셔)(54)를 부착하고, 벽형틀(46, 47)을 따른 종파이프(49, 49) 및 종파이프(49, 49)에 교차한 횡파이프(50, 50)를 고정한다(도 13(b)).
이 때, 내형틀(46)의 두께는 통상 1∼2 cm 정도, 종파이프(49)의 외경은 통상 5 cm 정도이고, 내형틀(46) 및 종파이프(49)는, 폭(D)의 스페이스(42)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내형틀(46) 및 종파이프(49)는, 철골계단(10A, 10B)과 간섭하지 않고, F0층에서 F1층까지 분단되는 일없이 구축될 수 있다. 또한, 횡파이프(50, 50)는 적절한 간격으로 사용하면 좋으므로, 평면에서 보아, 스페이스(42)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 이 때, 플로어 층계참의 마루용 형틀(31), 중간 층계참의 마루용 형틀(37)과 함께, 부착철물(26, 26)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하면, 철골계단(10A, 10B)을 지지하기 위한 임시 설치물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도 1).
(6) 계단실벽 이외의 형틀, 철근도 종래의 각종 방법에 의해 구축한다. 그 후, 마루용 형틀(31, 37), 벽용 형틀(46, 47)을 비롯한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중간 층계참(30), 플로어 층계참(36), 계단실벽(44)을 비롯하여, F0∼F1의 구체를 구축한다(도 1, 도 8, 도 14(c)).
이 때, 중간 층계참(30), F1 층의 플로어 층계참(36)에서는, 부착철물(26)의 부착판(15)이, 둑판(堰板)으로서 기능하여, 형틀의 일부가 된다.
(7) 콘크리트가 고화발현(固化發現) 후, 임시지지의 형틀(31, 36) 등의 부재를 떼어낸다. 중간 층계참(30), 플로어 층계참(36)에서는, 부착철물(26)이, 앵커(17)가 매설되므로, 일체로 구축된다. 또, 부착철물(26)은 박아넣기형틀로서 남겨두고, 콘크리트제의 플로어 층계참(36), 중간 층계참(30)의 끝부가 부착철물로 보강된다. 또, 상기 부착철물(26)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못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절단된다.
또, 여기서, 계단실벽(44)의 내형틀(46), 종파이프(49) 등을 제거했으므로, 나중에 폭(D)의 스페이스(42)가 빈다.
(8) 이어서, 계단실벽(44)의 내면의 필요한 처리가 완료되었으면, 연결돌출판(23, 7)에 나사맞춤된 볼트(39)의 너트(40, 40)를 느슨하게 풀어, 수동 등에 의해 철골계단(10A, 10B)을 외측(계단실벽(44) 측)으로, 양 철골계단(10A, 10B)이 이격하도록 평행 이동하게 한다. 철골계단(10A, 10B)의 연결돌출판(7)의 연결구멍(8)에 볼트(39)가 삽입된 상태에서, 미끄럼이동한다. 철골계단(10A, 10B)의 따낸옆판(2, 4)이, 부착철물(26)의 고정판(18, 19)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철골계단(10A, 10B)은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폭(D)의 스페이스(42)는, 철골계단(10A, 10B)의 외측에서 점유된다. 또한, 철골계단(10A, 10B)의 이동은, 평행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단측 또는 하단측의 어느 한쪽을 먼저 이동하게 하고, 이어서 다른 한 쪽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볼트(39)에 나사맞춤한 너트(40, 40)를 죄이고, 너트(40, 40)로, 철골계단(10A, 10B)의 연결돌출판(7, 7)을 끼워서 고정한다. 또, 내측(중앙측)의 따낸옆판(2, 2)의 고정구멍(9)과, 부착철물(26)의 내측의 고정판(18, 18)의 고정구멍(20)이 연통하고 있으므로, 이것에 볼트를 끼워 통과시켜서 너트(21)에 나사맞춤하여 견고히 연결한다. 또, 외측(계단실벽(44)측)의 따낸옆판(4, 4)에서도 고정구멍(9)과 부착철물(26)의 외측의 고정판(19)의 고정구멍(20)이 연통하고 있으므로, 이것에 볼트를 끼워통과시켜서 부착철물(26)의 캡 너트(22)에 나사맞춤하여 견고히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철골계단(10A, 10B)을, 부착철물(26, 26)에 부착시키는 것이 완료된다(도 14(d)). 계단실벽(44)의 내면(44a)과 외측의 따낸옆판(4)의 외면(5)은, 거의 간극없이 배치할 수가 있다(도 2, 도 3, 도 4(a), 도 13(a)). 도면 중 45는, 평면으로, 계단의 승강방향과 직각인 방향의 계단실벽이다.
(9) 이어서, 철골계단(10A, 10B)의 내측의 따낸옆판(2, 2)의 외면(3, 3)사이에서, 끝판(6, 6)에 연속하는 위치에, 폐쇄판(51)을 고정하고, 부착철물(26)의 지지판(13) 위(부착판(15)과, 끝판(6) 및 폐쇄판(51) 사이)에 모르타르(52)를 충전함 과 동시에, 이것에 연속하여 플로어 층계참(36), 중간 층계참(30)의 위를 모르타르(52)로 마무리한다. 고정판(18, 19), 연결돌출판(7, 23) 등은, 모르타르(52)에 매설되므로, 보호됨과 동시에, 외부에서 이들이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상 좋다(도 5∼도 7, 도 9, 도 10).
(10) 또한, 상기에 있어서, 플로어 층계참(36), 중간 층계참(30)의 콘크리트가 고화 발현한 상태에서, F1층으로부터 다음 다음 F2층을 향한 작업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진행할 수가 있다.
(11) 이상으로, 철골계단(10A, 10B)의 구축이 완료된다(도 1, 도 2, 3).
[4] 다른 실시예
(1) 상기에 있어서, 철골계단(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연결돌출판과 이것에 나사맞춤한 볼트 및 너트를 사용했으므로, 작업효율이 좋은데, 다른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부착철물 또는 철골계단의 끝판의 한쪽에 횡방향의 레일을 부착하고, 다른 쪽에, 레일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차륜을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2)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철물(26)의 앵커(17)는 볼트로 구성하였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짧은 길이로 필요한 정착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데, 콘크리트제의 층계참(30, 36) 내에 매설되어, 정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철근 등 다른 형상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도시생략).
(3)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철물(26)은, 부착판(15)의 외면(16)에 앵커(17)를, 내면(16a)에 고정판(18, 19), 연결돌출판(23)을 돌출 설치했는데, 반대로 부착판(15)의 내면(16a)에 앵커(17)를, 외면(16)에 고정판(18, 19), 연결돌출판(23)을 돌출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도시생략).
(4)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스(42)의 폭(D)은, 적어도 계단실벽용의 내형틀(46), 종파이프(49)가 수용될 수 있는 폭이 확보되면 좋다. 즉, 작업 효율상에서는 가능한 한 넓은 쪽이 바람직한데, 철골계단(10)의 이동 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하는 편이, 시공이 용이하고, 이것과 비교 검토하여 결정된다.
(5)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차부만으로 구성했는데, 중간 층계참부(11)도 일체로 구성한 따낸옆판(2, 4)을 사용한 철골계단(11)을 사용할 수도 있다(도 16). 이 경우에는, 부착철물(26)의 앵커(17)는, 선단부를 벽을 따라서 굴곡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가설한 중간 층계참부(11)를 가지는 철골계단(11)을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가설하여, 소정 위치에 배치한 부착철물(26)에 연결한다(도 16(a)).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부착철물은, 평면에서 보아 승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계단실벽(45)의 내면부근에 배치된다. 또, 중간 층계참의 형틀(31)이 생략되므로, 철골계단의 중간 층계참부(11), 부착철물(26)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서포트류로 하방에서 지지한다(도시생략). 또한, 철골계단(10)과 부착철물(26)의 고정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결돌출판(7)과 연결돌출판(23)을 볼트(39), 너트(40, 40)로 고정한다(도 4(b)).
이어서, 계단실벽(45)용의 내형틀(46), 외형틀(47)을 소정간격으로 배치하 고, 종파이프(49) 및 횡파이프(50)로 누름과 동시에, 세퍼레이터(53), 폼타이(55), 3형 리브시트(54)로 전체를 유지한다(도 16(a)).
또, 철골계단(10)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근접되어 있어, 승강방향의 계단실벽(44) 측에, 스페이스(42)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계단실벽(44)용의 형틀(46, 47)이 구축된다(도4(b), 도 13(b)). 이어서, 그 외의 구체용 형틀을 구축한 후에,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가 고화 발현후에 형틀(46, 47)이나 3형 리브시트(54)외에, 서포트류를 철거한다.
계단실벽(44)측에서, 형틀(46, 47)을 철거한 후에, 폭(D)의 스페이스(42)가 비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중간 층계참부(11)를 가지는 철골계단(10, 10)을 서로가 이격하도록 외측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철골계단(10)과 계단실벽(44, 45)이 거의 간극없이, 근접한 상태로 배치된다(도4(a), 도13(a), 도16(b)). 이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따낸옆판(2, 4)과, 부착철물(26)의 고정판(18, 19)을, 볼트로 고정하여, 철골계단(10)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 발명은, 상하에 배치된 부착철물에, 계단부재의 상하를 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했으므로, 병렬한 계단부재를 중앙으로 오게하여 계단실벽을 구축하고, 그 후, 계단부재를 이격하도록 옆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어, 임시 설치한 계단부재가 간섭하지 않고, 지장없이 계단실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단부재의 외측을 계단실벽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계단실벽과 계단부재에 간극이 없어, 안전하고 외관상 좋은 계단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계단구축 위치에서, 병렬하여, 2개의 계단부재를 가설하고, 그 계단부재의 상하 양끝을 구체에 부착하는 계단의 구조로서,
    상기 계단부재의 상하를 받치는 상측 부착철물 및 하측 부착철물을 각각 구체에 부착하고, 그 상하측 부착철물에, 상기 계단부재의 상하끝을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철물에 돌출설치한 연결돌출판의 연결구멍과, 계단부재의 상하끝에 돌출설치한 연결돌출판의 연결구멍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연결봉을 끼워 통과시켜서, 부착철물과 계단부재를 이동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조.
  3. 구축예정인 계단부재의 위끝, 아래끝을 지지하는 구축예정의 구체 위치에, 부착철물을 각각 배치하여, 각 부착철물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하는 공정;
    이어서, 상기 부착철물간에, 2개의 계단부재를 병렬하여 가설하여, 양 계단부재를 근접하게 하여, 상기 각 계단부재의 외측에 스페이스를 비우도록 배치하는 공정;
    상기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계단실벽의 내측의 형틀을 구축하고, 또 계단실벽의 외측의 형틀 및 그 외의 구체용의 형틀을 구축하는 공정;
    상기 부착철물을 형틀의 일부로 하여 구체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부착철물을 구체에 정착하는 공정;
    이어서, 불필요한 임시 설치부재를 상기 스페이스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양 계단부재를 서로 이격하도록 이동시켜, 양 계단부재의 외측을 상기 스페이스에 위치하게 하는 공정;
    소정위치에서, 계단부재를 부착철물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축방법.
  4. 기설치 층의 플로어 층계참의 끝부에 부착철물을 매설하는 공정;
    구축예정인 중간 층계참,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의 마루용 형틀의 끝부에, 각각 부착철물을 얹어놓고, 각 마루용 형틀을 임시 설치하여 지지하는 공정;
    이어서, 기설치 층 플로어 층계참에서 중간 층계참까지의 계단부재(A)와, 중간 층계참에서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까지의 계단부재(B)를 각각 가설하고, 상기 양 계단부재(A, B)를 중앙측에 근접하게 하여, 상기 부착철물에 부착하고, 상기 계단부재(A, B)의 외측에 스페이스를 비우도록 배치하는 공정;
    상기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계단실벽의 내측의 형틀을 구축하고, 또 계단실벽의 외측의 형틀 및 그 외의 구체용의 형틀을 구축하는 공정;
    상기 부착철물을 마루용 형틀의 일부로 하여, 중간 층계참, 다음 층 플로어 층계참, 그 외의 구체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부착철물을 구체에 정착하는 공정;
    이어서, 불필요한 임시 설치부재를 상기 스페이스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계단부재(A, B)를 서로 이격하도록 외측으로 이동시켜, 양 계단부재(A, B)의 외측을 상기 스페이스 내에 위치하게 하는 공정;
    소정 위치에서, 계단부재(A, B)의 상하를 부착철물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의 구축방법.
KR1020020072248A 2002-04-02 2002-11-20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KR100695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9617A JP4016130B2 (ja) 2002-04-02 2002-04-02 階段構造及び階段の構築方法
JPJP-P-2002-00099617 2002-04-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15A Division KR100755213B1 (ko) 2002-04-02 2006-11-08 부착철물 및 계단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57A KR20030079657A (ko) 2003-10-10
KR100695275B1 true KR100695275B1 (ko) 2007-03-14

Family

ID=287862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248A KR100695275B1 (ko) 2002-04-02 2002-11-20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KR1020060109915A KR100755213B1 (ko) 2002-04-02 2006-11-08 부착철물 및 계단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15A KR100755213B1 (ko) 2002-04-02 2006-11-08 부착철물 및 계단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16130B2 (ko)
KR (2) KR100695275B1 (ko)
CN (1) CN100335729C (ko)
TW (1) TW5428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306B1 (ko) * 2002-06-14 2005-07-11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464594B1 (ko) * 2002-06-17 2005-01-03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KR100911803B1 (ko) * 2008-07-23 2009-08-12 김용근 조립식 계단
KR101012298B1 (ko) * 2008-09-08 2011-02-08 삼광티엘티(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CN104141367A (zh) * 2014-07-07 2014-11-12 张跃 一种带吊装座和连接件的混凝土楼梯
CN104295095A (zh) * 2014-10-08 2015-01-21 中国化学工程第十三建设有限公司 钢木组合楼梯模板
JP6666781B2 (ja) * 2016-04-12 2020-03-18 鹿島建設株式会社 階段構造、階段構造の構築方法、階段構造の主部材及び階段構造の中間部材
CN106958349B (zh) * 2017-05-24 2022-12-2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铝合金模板楼梯的上三步配模体系及楼梯
CN110821166B (zh) * 2018-08-09 2023-04-07 李宜君 一种建筑物楼梯成型方法及其成型模组
JP7329992B2 (ja) * 2019-07-01 2023-08-21 株式会社横森製作所 鉄骨階段
CN112081320A (zh) * 2020-08-27 2020-12-15 衡东县佳时鸿丰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节式木楼梯及其使用方法
CN113279529B (zh) * 2021-06-28 2023-09-29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基于钢筋桁架楼承板的大跨度免拆阶梯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319852B (zh) * 2022-01-20 2023-04-14 深圳市嘉盛建筑工程有限公司 铝合金全封闭楼梯模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195B2 (ja) * 1992-09-04 2000-09-11 株式会社横森製作所 階段の構築方法
KR0141463B1 (ko) * 1992-09-04 1999-02-18 세이분 요코모리 계단의 구축방법
JP3196043B2 (ja) * 1992-09-11 2001-08-06 株式会社横森製作所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KR100201539B1 (ko) 1996-09-21 1999-06-15 김헌출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JP3569861B2 (ja) * 1998-07-21 2004-09-29 株式会社横森製作所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支持装置並びに階段構造
CN2349289Y (zh) * 1998-11-28 1999-11-17 李岭群 预制整体式楼梯板
JP4061611B2 (ja) * 2000-01-24 2008-03-19 株式会社横森製作所 PCa階段の取付構造、PCa階段の取付方法、PCa階段
JP2002013207A (ja) * 2000-06-30 2002-01-18 Taisei Corp 鉄骨階段用受けファス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213B1 (ko) 2007-09-04
KR20060117898A (ko) 2006-11-17
JP4016130B2 (ja) 2007-12-05
KR20030079657A (ko) 2003-10-10
TW542868B (en) 2003-07-21
CN1448600A (zh) 2003-10-15
JP2003293538A (ja) 2003-10-15
CN100335729C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213B1 (ko) 부착철물 및 계단 구조물
WO2007011127A1 (en) Precast stairway system, unit structure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stairway system using the same
KR101765334B1 (ko)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JP5725596B2 (ja) 階段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EP2588687A1 (en) Pre- fabricated module for forming a staircase
KR100500306B1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JPH11200578A (ja) コンクリート製組立階段およびその構成方法
KR102332145B1 (ko) Pc공법을 적용한 물류구조물의 램프 시공 구조
KR20070009061A (ko) 피씨 폼을 사용한 동시 시공형 조립식 계단 시공방법
KR200209599Y1 (ko) 조립식 계단거푸집
JP3421298B2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100550458B1 (ko) 건축공사의 프리캐스트 계단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464594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KR100561081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200288515Y1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JP2004204508A (ja) 階段の構築方法及び階段用型枠
JP4061611B2 (ja) PCa階段の取付構造、PCa階段の取付方法、PCa階段
KR200270297Y1 (ko) 계단 거푸집
JPH01190866A (ja) コンクリート製階段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634120B2 (ja) プレキャスト段板を用いたrc造外部階段の構築方法
JPH07197614A (ja) 鋼製組立階段用プレハブ段板とその施工法
JPH0237466B2 (ko)
JP3318694B2 (ja) 階段の形成方法
JP200901374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階段ユニット及び当該階段ユニットを用いた階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