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594B1 -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594B1
KR100464594B1 KR10-2002-0033805A KR20020033805A KR100464594B1 KR 100464594 B1 KR100464594 B1 KR 100464594B1 KR 20020033805 A KR20020033805 A KR 20020033805A KR 100464594 B1 KR100464594 B1 KR 10046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case
formwork
installing
un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696A (ko
Inventor
천영수
안희규
윤영호
박지영
김상범
Original Assignee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대한주택공사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대한주택공사,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두하요코모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5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단순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거푸집 시공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시공효율이 우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기설치된 슬래브(101)의 계단실 개구부에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을 배근하고 계단실 벽체용 외부 거푸집(114)을 설치하는 단계, (2) 상기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의 내부에 계단참 하부 벽체용 거푸집(116) 및 계단참용 거푸집(117)을 설치하고 계단참용 철근(118)을 배근하는 단계, (3)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을 설치하고 슬래브용 철근(103)을 배근하는 단계, (4)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10)보다 폭이 작은 가설 계단유닛(20)을 슬래브 거푸집(102)과 계단참용 거푸집(117)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5) 상기 벽체용 철근(112)의 내부에 나머지 내부 벽체용 거푸집(119)을 설치하는 단계, (6)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된 후에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 및 (7) 가설 계단유닛(20)을 제거하고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10)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refabricated step o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시공이 단순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거푸집 시공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시공효율이 우수한 새로운 방식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상하측 수직동선을 연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와 함께 계단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계단은 좁은 계단실 공간 내에서 상하층 슬래브와 연결시켜야 하며, 그 형태도 복잡하여 일반적으로 슬래브나 벽체와 같은 부재와는 달리 시공에 따른 작업조건이 까다롭다. 따라서, 근래에 건축되는 고층건물에는 계단을 철골재로 유니트화시켜 제작하여 건물의 구체에 연결하는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최근의 유니트화된 철골계단의 조립시에 사용되는 부착금구(12)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이를 이용한 조립식 철골계단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대체로 철재로 된 계단유닛(10)은 철판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디딤판(7)을 구성하고 이에 경사진 측판(8)을 부착하여 제작한다. 한편 단면 L자 형상의 앵글부재로 부착금구(12)를 제작하여 슬래브와 계단참의 선단부에 매입하고, 그 위에 계단유닛(10)을 설치고정한다. 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시킨다. 이 부착금구(10)는볼트 또는 못 등에 의해 슬래브용 거푸집(102)에 장착하여 시공한다. 이 때, 앵글형태의 부착금구(12)의 수직판(12a)의 하단에서 일체로 되어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평판(12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유닛(10)의 반대쪽의 슬래브 거푸집(102)에 면하여 장착되어, 장착상태에서 부착금구(12)는 슬래브 거푸집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한편, 계단유닛(10)은 부착금구(12)의 수평판(12b)의 반대쪽에 일체로 용접된 브라켓(14,15)에 접합된다. 이 브라켓(14,15)은 부착금구(12)의 양단에 접합되는 한 쌍의 단부브라켓(14)과, 부착금구(12)의 중간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접합된 또 다른 한 쌍의 중간 브라켓(15)으로 이루어진다. 번호 11은 슬래브 속에 매입되는 인서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철골계단 유닛을 습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에, 철골계단 유닛의 양 측단부가 계단실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시공되어야 하므로, 벽체와 철골계단 유닛이 접합되는 부위의 거푸집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계단유닛(10)을 일측으로 이동하여 시공하더라도, 계단실의 측벽과 철골계단유닛간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거푸집의 설치 및 탈형시 어려움이 많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계단을 습식공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는 데에 따른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골계단 유닛의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하면서도, 거푸집공사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시공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철골계단의 부착금구의 예시도
도 2는 상기 부착금구를 사용하는 조립식 철골계단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3은 상기 조립식 계단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상기 조립식 계단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계단유닛 20. 가설계단유닛
12. 부착금구 12b. 수평판
101. 슬래브 102. 슬래브용 거푸집
112. 계단실 벽체용 철근 114. 계단실 벽체용 외부 거푸집
116. 계단참 하부 벽체용 거푸집 117. 계단참용 거푸집
118. 계단참용 철근 119. 계단실 내부 나머지 벽체용 거푸집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 계단실용 개구부에 계단실 벽체와 미리 제작된 조립식 계단유닛(10)을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1) 기설치된 슬래브(101)의 계단실 개구부에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을 배근하고 계단실 벽체용 외부 거푸집(114)을 설치하는 단계,
(2) 상기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의 내부에 계단참 하부 벽체용 거푸집(116) 및 계단참용 거푸집(117)을 설치하고 계단참용 철근(118)을 배근하는 단계,
(3)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을 설치하고 슬래브용 철근(103)을 배근하는 단계,
(4)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10)보다 폭이 작은 가설 계단유닛(20)을 슬래브 거푸집(102)과 계단참용 거푸집(117)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5) 상기 벽체용 철근(112)의 내부에 나머지 내부 벽체용 거푸집(119)을 설치하는 단계,
(6)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된 후에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
(7) 가설 계단유닛(20)을 제거하고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10)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계단참용 거푸집(117) 및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의 설치시에 계단유닛(10,20) 설치용 부착금구(12)을 함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설 계단유닛(20)을 슬래브 거푸집(102)과 계단참용 거푸집(117)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계단참 상하부에 설치될 두개의 계단유닛(20)에서 어느 하나는 가설 계단유닛(20)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실제 계단유닛(1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계단유닛(10,20) 설치용 부착금구(12)는 수직판(12a)와 수평판(12b)을 포함하는 앵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12b)은 상기 수직판(12a)의 하부에서 계단유닛(10,2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공순서도를 보여준다.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기 시공된 하층 슬래브(101)의 계단실 개구부에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을 배근하고, 계단실 벽체용 외부거푸집(114)을 설치한다. 이때, 계단실 출입용 개구부나 창호용 개구부는 배근 및 거푸집 설치를 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2) 다음에, 계단실 내부에 계단참용 거푸집(117)을 설치하고, 계단참용 철근(118)을 배근한다. 또한, 계단참용 거푸집(117)을 설치하기 위해, 계단참 하부의 벽체용 거푸집(116)을 미리 설치한다. 이때, 조립식 계단, 바람직하게는 철골계단유닛을 설치할 수 있는 부착금구(12)를 계단참의 선단부에 위치되도록 계단참용 거푸집(117)의 소정 위치에 미리 설치하여, 추후에 가설 계단유닛(20)이나 실제 계단유닛(10)을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러한 부착금구(12)는 시공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착금구(1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앵글부재로 되어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앵커부재 또는 스터드 볼트 형태의 인서트(11)가 다수 결합되고, 계단유닛(10)과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14,15)이 구비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앵글부재로 된 부착금구(12)의 수직판(12a) 하단의 수평판(12a)이 슬래브 쪽이 아닌, 계단유닛(10) 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수평판(12a)이 계단유닛(10) 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면, 계단유닛(10)을 설치하는 경우에 계단유닛(10)의 선단부를 이 수평판(12a) 위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용이하게 설치작업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 수평판(12a) 위에 놓인 계단유닛(10)을 좌우로 이동시켜서 계단실 내벽의 거푸집 작업을 위한 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고, 계단유닛(10)을 정확한 설치위치로 위치조정할 수 있다.
(3) 다음에,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을 설치하고 상층 슬래브용 철근(103)을 배근한다. 이 때에도, 계단유닛(10)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슬래브용 거푸집(102)의 선단에 계단유닛 장착용 부착금구(12)을 미리 배치하여 둔다.
이러한 부착금구(12)의 설치시점은 각각 계단참용 거푸집(117)의 시공시 및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의 시공시에 동시에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콘크리트의 타설 이전이면 언제라도 시공에는 문제가 없음은 물론이다.
(4) 다음에, 실제 설치된 계단유닛, 바람직하게는 철골계단유닛(10) 보다 폭이 작은 가설 계단유닛(20)을 상기 슬래브용 거푸집(10)의 부착금구(12)와 계단참용 거푸집(117)의 부착금구(12) 사이에 설치하여 가체결한다. 이때, 가설 계단유닛(20)은 실제로 설치될 계단유닛(10)과 결합방식이나 규격 등이 대체로 동일하되, 계단실 내벽의 거푸집 공사를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해 그 폭을 실제 계단유닛(10)보다 작은 것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폭은 800mm 이하이다. 이와 같이, 가설 계단유닛(20)과 실제 계단유닛(10)의 규격이나 조립방식 등을 동일하게 하는 이유는 나중에 실제 계단유닛(10)을 설치할 때, 오차를 점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 계단참을 중심으로 상하부 계단유닛 중에서 두개의 계단유닛을 모두 가설계단유닛(20)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적절한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만있다면, 어느 하나는 가설 계단유닛(20)을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실제 계단유닛(10)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가설계단유닛(20)과 실제 계단유닛(10)을 하나씩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작업공간확보를 위해, 실제 계단유닛(10)은 실제 설치되어야 할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한 후에, 후술하는 거푸집 탈형 후에,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5) 다음에, 계단실 내부 벽체용 거푸집 중에서 계단참 하부 벽체용 거푸집(116)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벽체용 거푸집(119)을 설치한다. 이러한 나머지 내부 벽체용 거푸집(119)의 시공은 기 설치된 가설 계단유닛(20)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위치를 이동하면서 거푸집작업을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리고, 가설 계단유닛(20)은 그 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계단실의 내부 벽체용 거푸집(119) 공사를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6) 이와 같이, 계단실용 벽체 거푸집 및 계단참용 거푸집과 철근 배근이 완료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면 거푸집을 탈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계단유닛 장착용 부착금구(12)는 슬래브 및 계단참의 선단부에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고정설치된다.
(7) 이와 같이, 계단실용 벽체 및 계단참 등의 구체공사가 완료되면, 가설 계단유닛(20)을 부착금구(12)로부터 해제하여 제거하고, 실제의 계단유닛(10)을 부착금구(12)에 체결하여 계단유닛(10)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가설 계단유닛(20)을 하나만 설치한 경우에는 이 가설 계단유닛(20) 만을 교체하면 족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단유닛(10)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경사판에 절곡된 철판으로 디딤판을 형성한 철골계단유닛이 바람직하지만, 디딤판은 기성재 콘크리트 파넬이나 기타의 다른 재료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계단유닛(10)의 재료는 반드시 강재로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습식 콘크리트 구조물의 계단실에 조립식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에,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가설 계단유닛을 사용하여 계단실 내벽의 거푸집 공사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과 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동일한 규격의 가설 계단유닛을 미리 설치함으로써, 시공상의 오차를 미리 점검하고 시정할 수 있어서, 간편하면서도 정밀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계단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 계단실용 개구부에 계단실 벽체와 미리 제작된 조립식 계단유닛(10)을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1) 기설치된 슬래브(101)의 계단실 개구부에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을 배근하고 계단실 벽체용 외부 거푸집(114)을 설치하는 단계,
    (2) 상기 계단실 벽체용 철근(112)의 내부에 계단참 하부 벽체용 거푸집(116) 및 계단참용 거푸집(117)을 설치하고 계단참용 철근(118)을 배근하는 단계,
    (3)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을 설치하고 슬래브용 철근(103)을 배근하는 단계,
    (4)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10)보다 폭이 작은 가설 계단유닛(20)을 슬래브 거푸집(102)과 계단참용 거푸집(117)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5) 상기 벽체용 철근(112)의 내부에 나머지 내부 벽체용 거푸집(119)을 설치하는 단계,
    (6)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된 후에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
    (7) 가설 계단유닛(20)을 제거하고 실제 설치될 계단유닛(10)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참용 거푸집(117) 및 상층 슬래브용 거푸집(102)의 설치시에 계단유닛(10,20) 설치용 부착금구(12)를 함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설 계단유닛(20)을 슬래브 거푸집(102)과 계단참용 거푸집(117)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계단참 상하부에 설치될 두개의 계단유닛(20)에서 어느 하나는 가설 계단유닛(20)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실제 계단유닛(1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유닛(10,20) 설치용 부착금구(12)는 수직판(12a)와 수평판(12b)을 포함하는 앵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12b)은 상기 수직판(12a)의 하부에서 계단유닛(10,2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KR10-2002-0033805A 2002-06-17 2002-06-17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KR100464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805A KR100464594B1 (ko) 2002-06-17 2002-06-17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805A KR100464594B1 (ko) 2002-06-17 2002-06-17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96A KR20020064696A (ko) 2002-08-09
KR100464594B1 true KR100464594B1 (ko) 2005-01-03

Family

ID=2772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805A KR100464594B1 (ko) 2002-06-17 2002-06-17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20B1 (ko) 2006-06-05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계단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714A (zh) * 2017-10-08 2019-04-16 李聪 一种带安装凸台的楼梯间预制隔墙及其安装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082A (ja) * 1997-11-06 1999-05-25 Toden Sekkei Kk 階段の構築方法及びユニット階段
JP2000038841A (ja) * 1998-07-21 2000-02-08 Yokomori Mfg Co Ltd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支持装置
KR20010038432A (ko) * 1999-10-25 2001-05-15 김헌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계단실의 시공방법
KR20020062858A (ko) * 2001-01-25 2002-07-31 가부시키가이샤 요코모리 세이사쿠쇼 철골계단의 부착금구 및 철골계단의 부착장치 그리고부착방법
JP2002364139A (ja) * 2001-06-12 2002-12-18 Yokomori Mfg Co Ltd 鉄骨階段取付金物及び取付け装置並びに取付け方法
JP2003293538A (ja) * 2002-04-02 2003-10-15 Yokomori Mfg Co Ltd 階段構造及び階段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082A (ja) * 1997-11-06 1999-05-25 Toden Sekkei Kk 階段の構築方法及びユニット階段
JP2000038841A (ja) * 1998-07-21 2000-02-08 Yokomori Mfg Co Ltd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支持装置
KR20010038432A (ko) * 1999-10-25 2001-05-15 김헌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계단실의 시공방법
KR20020062858A (ko) * 2001-01-25 2002-07-31 가부시키가이샤 요코모리 세이사쿠쇼 철골계단의 부착금구 및 철골계단의 부착장치 그리고부착방법
JP2002364139A (ja) * 2001-06-12 2002-12-18 Yokomori Mfg Co Ltd 鉄骨階段取付金物及び取付け装置並びに取付け方法
JP2003293538A (ja) * 2002-04-02 2003-10-15 Yokomori Mfg Co Ltd 階段構造及び階段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20B1 (ko) 2006-06-05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계단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96A (ko)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213B1 (ko) 부착철물 및 계단 구조물
JPH08269911A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部の構造
KR100433561B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0464594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KR100500306B1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676193B1 (ko) 철골 계단 구조
KR20210069209A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20070009061A (ko) 피씨 폼을 사용한 동시 시공형 조립식 계단 시공방법
KR200395552Y1 (ko) 철골 계단 구조
JP270674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階段の施工法とこれに用いる階段手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階段段型枠
KR100550458B1 (ko) 건축공사의 프리캐스트 계단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88515Y1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KR102386983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200349959Y1 (ko) 콘크리트 건물의 계단용 거푸집 구조
KR102659857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0386354B1 (ko) 슬립폼 공법을 이용한 고층 집합 주거건물의 시공방법
KR200368283Y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KR100683506B1 (ko)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H0419425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構築工法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
JP3239921B2 (ja) 階段用打込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階段の施工方法
KR100762421B1 (ko) 철골 계단 선행공법형 지지 시스템
JP200000857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立上げ壁の取付構造
KR20060099359A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JPH01190866A (ja) コンクリート製階段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683878B2 (ja) プレキャスト階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