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053B1 -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053B1
KR100695053B1 KR1020040038568A KR20040038568A KR100695053B1 KR 100695053 B1 KR100695053 B1 KR 100695053B1 KR 1020040038568 A KR1020040038568 A KR 1020040038568A KR 20040038568 A KR20040038568 A KR 20040038568A KR 100695053 B1 KR100695053 B1 KR 100695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irror
image
half mirr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451A (ko
Inventor
우시로구니코
나가이유키
마쓰나미요시로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back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8Illuminating devices for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2005/2726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for simulating a person's appearance, e.g. hair style, glasses, clot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102),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101),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얻는 카메라(110), 및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 화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한다.
표시 장치, 미러 장치, 표시광, 표시 화면,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 하프 미러, 카메라, 표시 제어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MIRROR APPARATUS HAVING DISPLAY FUNCTION}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동작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동작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장치"의 동작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동작 흐름을 예 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미러를 이용하는 미용실, 이용실 등의 미용 관련 시설 또는 의류 분야의 패션 관련 시설 등 각종 시설에 적절하게 이용되는, 미러 및 표시 장치가 결합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용실 등의 미용 관련 시설에서는 고객 서비스로서 헤어스타일 등에 대한 상담에 종이 매체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컴퓨터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용 컴퓨터가 상담에 이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상담 시에, 헤어스타일 리스트 등이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므로, 고객 및/또는 종업원은 상담의 편의를 위해 점포 내에 있는 미러 및 손거울 상에 표시된 고객의 모습과 화면 상에 표시된 리스트를 비교한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개공보 제1990-38879호에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로서, TV 기능 및 드레서 기능을 구비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에는 하프 미러가 텔레비전 전방에 배치된다. 이 장치는, TV 기능을 온시키는 경우, 텔레비전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 장치는, TV 기능을 오프시키는 경우, 드레서 미러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용 컴퓨터로 상담하는 경우에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즉, 고객 및/또는 종업원은 전술한 두 개의 영상, 즉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고객의 모습(즉, 미러상)을 보고 동시에 또는 하나씩 서로 적절하게 비교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또는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당해 기술 분야의 기준에 따라 이미 건축된 미용 관련 시설의 제한된 공간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건물의 증개축이 요구된다. 그렇지 못하면 상기 목적을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설치를 포기해야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를 설치할 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도,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 제어 장치의 조작으로 미용 행위에 방해가 될 수 있어, 미용 처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개공보 제1990-38879호에 제안된 장치에 따르면, 미러 기능 및 TV 기능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이들 두 기능 사이에 유기적인 관계가 없기 때문에, 상기 장치에 실질적으로 제기되지 않았던 공간 절약 면에서는 기술적인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예를 들면 건물의 증개축을 통해 TV 기능을 가진 드레서를 미용실에 설치하는 경우, 미러를 이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TV를 시청하게 되면 미용의 주요 관심사에 대한 효용 가치를 전혀 찾을 수 없거나 또는 거의 찾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술한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실 등 거울을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에서 표시 화면에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미러상을 서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얻는 카메라, 및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1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면 상에 반사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즉, 하프 미러가 자신의 전방에 피사체가 위치되도록 배치된 구성에서, 피사체의 미러상은 피사체로부터의 주위광 반사 때문에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다.
특히, 하프 미러의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카메라가 촬영함으로써 그 모습이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따라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모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하는 하프 미러 영역(즉, 하프 미러면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표시된다. 그 결과, (i) 피사체의 미러상은 일반적인 미러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되고, (ii)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되며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피사체의 미러상은 서로 인접하여 동일한 영역 또는 상이한 영역에 동시 또는 하나씩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 각종 시설에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모습이 그대로 또는 원하는 경우 약간의 수정을 거쳐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미러상 즉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영상은 하프 미러면 내의 동일한 영역에 하나씩, 또는 서로 인접한 상이한 영역에 동시 또는 하나씩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되거나, 또는 동시에 하프 미러면 내의 동일한 영역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고객 등의 서비스 수혜자 및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 설 등의 미용사 등의 서비스 제공자가 미러상과 표시 화면 상의 영상을 단지 하나의 하프 미러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것은 고객 만족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예를 들면, 고객 또는 미용사가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고객의 모습과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되어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고객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면서 두발에 대하여 상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피사체인 고객 등이 헤어커팅과 같은 미용 손질 전,후에 자동적으로 촬영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미용사 등에 의하여 촬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은 하프 미러를 통해 그대로 또는 약간의 수정을 거쳐 실시간으로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준비된 헤어 카탈로그 내의 헤어 영상과 합성시킨 후 합성 영상으로서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피사체를 전방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좌측, 우측, 후방,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피사체의 미러상이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실 등의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을 포함하여 각종 시설에서 서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일 양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하프 미러와 이격되어 전방에 배치되어, 반투과 반사면 상에 위치된 피사체의 미러상을 촬영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카메라는 하프 미러와 이격된 상태로 반투과 반사면의 전방 및 또는 하프 미러에서 보아 피사체의 측면 또는 피사체의 경사진 후방에 배치된다. 카메라는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촬영한다. 다음에, 피사체의 실제 모습에 대한 플립 수평 영상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다. 따라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하프 미러를 통해 플립 수평 영상으로서 표시되거나, 반전 처리와 같은 특수 처리를 거치게 된다. 특히,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은 미러상이 아니다. 따라서,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플립 수평 영상 및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미러상 양자 모두는 반전된 영상이다. 이로써, 반전된 영상 양자 모두가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될 수 있다. 특히, 사람의 얼굴, 즉 모습은 실제로 좌우 대칭이며, 헤어스타일 및 의복도 일반적으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반전된 영상인 피사체의 미러상과 또한 반전된 영상인 표시 화면 상의 영상을 비교하는 상기 미러 장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또한, 후술하는 상기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될 영상이 두 가지 모드, 즉 반전된 영상 또는 비반전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반전 장치가 이용된다.
또한,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후방에 배치되어,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카메라는 하프 미러의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에 배치된다. 카메라는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따라서, 피사체는 예를 들면 하프 미러의 후방에 숨겨진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고객 등의 피사체가 하프 미러를 일직선으로 대면하는 경우, 피사체가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피사체로부터 하프 미러의 후방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상기 양태는 디자인이나 공간 절약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피사체는 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인지하지 못한채 촬영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형이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프 미러의 전체 표면 영역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도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프 미러의 전방 영역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도, 카메라는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하여간, 고객 등의 피사체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과 일직선으로 대면하는 경우, 피사체는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이것은 실제로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이 상기 반투과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반투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과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투명 기판 상에 반투과 전극 또는 소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의 일 양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은 반투과 반사면보다 더 작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 반사 면 중 일부 영역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 중 나머지 영역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피사체로부터 볼 때 하프 미러의 후방 공간은 상기 공간의 일부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카메라를 배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투명하지 않은 경우, 피사체는 하프 미러를 통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된 경우, 하프 미러를 일직선으로 대면하는 피사체는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한편,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 이외의 영역(중앙 영역으로부터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벗어난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영상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있는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 이외의 영역(중앙 영역으로부터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 영역으로 벗어난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된 경우, 하프 미러를 일직선으로 대면하는 피사체는 거의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한편,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영상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의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서, 카메라는 하프 미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하프 미러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기만 하면 하프 미러의 면을 따라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적합한 이동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하여 점유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화면 중 일부분이 충분하게 작은 경우, 또는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된 경우,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영상 표시에는 악영향이 전혀 없거나 또는 거의 전무하다. 한편, 카메라가 하프 미러의 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경우,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 카메라를 다른 위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화면 중 중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영상 표시용 화상 신호의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표시광의 검출과 결합하여 카메라의 위치가 전환될 수 있다.
하여간, 실제로는 CCD 카메라가, 좁은 공간에도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로서 이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소형 카메라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치수가 큰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하프 미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간을 더 넓게 또는 더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의 에지에 근접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카메라는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미러상 또는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표시 영상을 차단하지 않는다.
또한, 소형 카메라는 예를 들어 조화같은 장식물로 숨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미용 관련 시설 등의 주위 디자인 또는 아름다움이 카메라의 존재로 인하여 훼손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카메라를 촬영에 적합한 위치, 예를 들면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 하프 미러의 중앙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지 않을 때, 카메라를 미러상 또는 하프 미러 상의 표시 영상을 차단하지 않도록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소형 카메라 또는 치수가 큰 카메라는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만 피사체를 대면하는 위치로 기계적, 전기적, 전자기적 또는 다른 자동 모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는 케이블 또는 무선을 거쳐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메모리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은 상기 기록 매체를 거쳐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내로 가져올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 중 일부 또는 표시 화면 중 일부의 대신으로 배치되고,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마이크로스코프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미용실 등에 설치된 미러는 일반적으로 크고 미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피사체의 미러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하프 미러의 면 내에 시각적으로 방해되지 않게 마이크로스코프를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스코프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측, 하측, 우측 또는 좌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더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카메라 리허설(필름 시험), 기록 또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영상 확인, 실시간 영상과 과거 자신의 영상 또는 카탈로그 내의 영상과의 비교 등 각종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장치는 카메라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이전에 촬영된 영상, 또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성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더 포함하고, 표시 제어 장치는 기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록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이전에 촬영된 영상 또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성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i)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미러상과 (ii) 과거 자신 의 영상, 카탈로그 내의 영상(예를 들면, 다른 모드의 영상),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성된 영상 등 기록 장치에 기록된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등일 수 있고, 또는 네크워크를 거쳐 장치에 접속된 서버 장치 내의 대용량 기록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고객이나 다른 사람 또는 미용 관련 시설 등에서 조작할 수 있는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 등의 휴대용 기록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장치는 기록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합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서, (i) 자신의 영상과 카탈로그 영상을 합성시킨 합성 영상과 (ii) 미러 상에 표시된 자신의 미러상을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하여 비교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하프 미러 중 피사체와 대면하는 중앙 영역 둘레의 외주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피사체 영상의 유사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생성된 유사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가 하프 미러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합성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피사체의 전 방으로부터 촬영될 피사체 영상의 유사 영상을 생성시킨다. 다음에,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렇게 합성된 유사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카메라가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피사체는 자신이 하프 미러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것처럼 자신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자신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카메라는 서로 상이한 여러 방향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하는 한 대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피사체인 고객의 얼굴은 여러 방향, 즉 전방, 비스듬한 우측 전방, 비스듬한 좌측 전방, 좌측, 우측, 후측(후방), 상측, 또는 하측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방향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기록될 수 있고, 또한 이들 영상은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하기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하거나 또는 이동가능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소정의 방향에서 촬영하기 위하여 한 대의 카메라를 손으로 휴대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는 손거울, 또는 하프 미러 중 중앙 미러가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따라 제조된 트리플 미러의 좌우측 미러 등 하나 이상의 보조 미러 상에 표시된 미러상을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영상이 동시에 또는 하나씩 촬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물론 피사체는 계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방향으로부터 촬영될 수 있다.
제1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촬영된 영상 및 촬영된 영상의 플립 수평 영상을 전환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표시 제어 장치의 전환 제어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및 이의 플립 수평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은 미러상이 아니다. 따라서,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미러상 및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이의 플립 수평 영상 양자 모두는 반전된 영상이다. 이로써, 반전된 영상 양자 모두를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는 반전된 영상이 촬영되도록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광학 시스템에서 수평으로 반전된 후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후, 영상은 촬영된 영상을 수평으로 반전시키기 위하여 신호 처리를 거친 다음 기록 장치에 기록될 수 있다. 하여간, 플립 수평 영상이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반전된 영상 및 비반전된 영상을 하프 미러의 면 내의 동일 영역에 처례로, 또는 서로 인접한 상이한 영역에 동시 또는 하나씩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하프 미러의 면 내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중첩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하나의 영상 및 상기 하나의 영상의 플립 수평 영상을 전환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2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2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특히, 표시 제어 장치의 전환 제어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나의 영상 또는 이의 반전된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따라서, 하나의 영상 또는 이의 반전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면하는 하프 미러 영역 상에 표시된다. 그 결과, (i)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미러상 및 (ii) 동일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한 상이한 영역에서 동시 또는 하나씩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 또는 이의 반전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뿐만 아니라 영상 또는 이의 반전된 영상이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필요한 경우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사람의 얼굴, 즉 모습은 실제로 좌우 대칭이고, 헤어스타일 또는 의복도 일반적으로 좌우 대칭이므로, 영상 또는 이의 반전된 영상과 피사체의 미러상을 비교하는 상기 제2 미러 장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에서 실질적으로 상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미러 장치에 따르면,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에서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장치는 주위광 중 적어도 일부분인 광원광을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항하여 발광하는 광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주위광이 광원으로부터 피사체에 조사되기 때문에,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미러상이 밝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주위광 중 적어도 일부분인 광원광을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항하여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3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3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특히, 주위광은 광원으로부터 피사체에 조사되기 때문에,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미러상이 밝아지게 된다. 즉, 고객 등의 피사체 모습을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 상에 더욱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추가로 또는 이에 대신하여, 피사체는 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위하여 밝아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면하는 하프 미러의 영역에 표시된다. 그 결과,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미러상과 동일한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한 상이한 영역에서 동시 또는 하나씩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특히, 주위광이 강하면,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보기가 더욱 곤란해지는 한편, 하프 미러는 미러상을 표시하도록 그 기능이 강화된다. 반면, 주위광이 약하면,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상은 보기가 용이해지는 한편, 하프 미러는 미러상을 표시하도록 그 기능이 약화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구성요소인 광원에 의하여 미러상을 표시하는 주위광 중 일부가 되도록 광을 제어하는 것은 하프 미러 상의 미러상 및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의 상대적인 가시성을 제어할 때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뿐만 아니라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 각종 시설에서 필요한 경우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의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영상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은 전구, 백열등, 형광등, LED 등일 수 있다. 또한, 조명 효과 뿐만 아니라 장식 효과를 위하여 컬러 키네틱 LED를 이용할 수 있다. 피사체를 카메라로 촬영할 때, 만족스런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하여 복수의 광원을 하나씩 또는 유닛별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프 미러의 주변 영역에 근접하 여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구를 하프 미러의 좌우측 에지를 따라 서로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기다란 램프를 하프 미러의 좌우측 에지를 따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구 또는 기다란 램프를 하프 미러의 상부 및 하부 에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구 또는 기다란 램프는 하프 미러의 주변에 프레임처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프 미러 상에 반사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피사체를 조사하도록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촬영할 때, 촬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위한 카메라의 스위치 기구와 협동하여 휘도(광량)가 증가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종 광원으로부터의 복수의 광이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피사체가 촬영되도록 광원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동일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하는 상이한 영역에 동시 또는 하나씩 각종 광원 하에서 촬영된 복수의 피사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구 또는 형광등 하의 실내에서의 외관, 또는 태양광과 유사한 할로겐 램프 하의 실외에서의 외관 등과 같은 각종 광원 하에서의 헤어 컬러의 외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원은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3 미러 장치의 일 양태에 있어서, 광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되어,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향하여 광을 발광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광은 하프 미러를 통해 광원으로부터 발광하기 때문에, 하프 미러와 대면하는 피사체는 피사체 자신의 전방에 있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의하여 밝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미러상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조사각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보기가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곤란함은 필요한 경우 조사각을 조정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또한, 피사체가 예를 들면 광원으보부터의 광 조사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경우, 하프 미러와 대면하는 피사체가 미러상의 관찰 시 곤란함 또는 용이함에 상관없이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밝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조건 하에서 촬영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미러 장치 관련 광원의 양태에 있어서, 동일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제3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 화면 내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향하여 광원광을 발광함으로써, 광원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피사체는 예를 들면 PDP 또는 유기 EL 패널과 같은 발광형(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의 광을 이용하여 하프 미러를 통해 밝아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이 광원의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한다는 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제3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장치는 전방에 위치된 주위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주위광 검출 장치, 및 주위광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광원을 온오프시키는 광원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동작 중에, 광검출기 등을 포함하는 주위광 검출 장치가 하프 미러 전방의 주위광의 강도를 검출한다. 다음에, 결과에 따라, 광원 제어 장치가 광원을 온오프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위광의 강도가 미러상을 표시하고 카메라에 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지나치게 약한 경우, 광원이 온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면, 주위광의 강도가 미러상을 표시하고 다른 광원없이 카메라에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충분할 만큼 강한 경우, 광원이 오프되어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제1 또는 제2 미러 장치 관련 광원의 양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제3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장치는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 장치, 및 피사체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광원을 온오프시키는 광원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동작 중에,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중량 센서, 이미지 검출기, 패턴 검출기 등과 같은 피사체 검출 장치가 피사체의 존재 또는 피사체의 시선을 검출한다. 다음에, 이 결과에 따라 광원 제어 장치가 광원을 온오프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사체가 하프 미러에 근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피사체의 시선이 하프 미러를 지향하는 경우, 광원이 점등된다. 반대로, 예를 들면, 피사체가 하프 미러에 근접하여 위치되지 않는 경우, 또는 피사체의 시선이 하프 미러를 지향하지 않는 경우, 광원이 소등될 수 있어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광원의 온오프와 협동하여, 예를 들면, 영상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검 출하고 사람이 미러 전방에 앉아 있는지 또는 서서 있는지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미러 장치 관련 광원의 양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 장치, 및 상기 피사체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표시를 시작 또는 종료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4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4의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적외선 센서와 같은 피사체 검출 장치는 피사체의 존재 또는 피사체의 시선을 검출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검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시작 또는 종료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사체가 하프 미러에 근접하여 있거나, 또는 피사체의 시선이 하프 미러를 지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표시를 시작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면, 피사체가 하프 미러에 근접하여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피사체의 시선이 하프 미러를 지향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표시를 중단할 수 있어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따라서,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 뿐만 아니라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필요한 경우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4 미러 장치에 있어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광원으로부터 피사체에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장치와 협동하여 오프될 수 있는 반면,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장치를 종료시킴으로써 온될 수 있다.
제4 미러 장치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미러 중 일부분을 통해 표시되도록 발광하고 상기 하프 미러 중 나머지 부분은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미러 전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발광하거나 또는 상기 하프 미러 모두가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상기 미러 장치에 따르면, 피사체 검출 장치가 피사체의 존재 또는 시선을 검출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하에 하프 미러의 일부분을 통해 표시광을 발광하는 반면, 하프 미러의 나머지 부분은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피사체의 존재 또는 시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프 미러 전체를 통해 표시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전체 하프 미러를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사체가 하프 미러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경우, 또는 피사체의 시선이 하프 미러를 지향하는 경우, 피사체는 하프 미러 상의 미러상 및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표시 영상을 동시에 또는 하나씩 볼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면, 피사체가 하프 미러에 근접하여 배치되지 않은 경우, 또는 피사체의 시선이 하프 미러로 지향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체 하프 미러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반면,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지 않고, 그렇지 않으면 전체 하프 미러가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즉, 하프 미러는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하프 미러를 볼 수 없는 경우, 일반적인 미러 또는 표시 화면으로서만 기능한다. 이로써, 하프 미러가 일반적인 미러 및 표시 화면으로서 동시에 기능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복잡한 각종의 표시 컨트롤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전방에 위치된 주위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주위광 검출 장치, 및 상기 주위광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표시를 시작 또는 종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 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5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5의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광검출기와 같은 주위광 검출 장치는 하프 미러 전방의 주위광의 강도를 검출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시작 또는 종료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위광의 강도가 미러상을 표시하기에 지나치게 약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표시가 시작될 수 있다. 반대로, 주위광이 다른 광원없이 미러상을 표시하기에 충분할 만큼 강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 표시가 종료될 수 있어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주위광이 들어가기 쉬운 창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창에 근접한 쇼윈도에 설치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 뿐만 아니라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필요한 경우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5 미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된 경우, 예를 들면,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기능의 시작과 함께 오프되는 한편,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기능의 종료와 함께 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상기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의 좌표를 지시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6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6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표시 영상의 좌표는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된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의 동작 버턴, 키, 커서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함으로써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표시 영상에 각종의 입력 조작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입력 조작용 키보드는 하프 미러와 별개로 준비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하프 미러는 일반적인 미러 뿐만 아니라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 각종 시설에서 터치 패널을 통한 조작에 응답하여 필요한 경우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6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하프 미러가 콘솔로서 또한 이용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제6 미러 장치의 일 양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은 좌표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비접촉형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비접촉형 터치 패널을 조작하여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표시 영상에 대하여 각종의 입력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터치 패널"이란 예를 들어 종래의 검출 파라미터인 압력 변화 또는 전압 변화를 검출면 상에 실제 손가락 터치 등에 의하여 검출하는 접촉형 터치 패널인 좁은 범위의 터치 패널 외에, 비접촉형 터치 패널, 광 스캔 센서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터치 패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비접촉형 터치 패널"은 공기 중이지만 검출광이 주사된 검출 영역 내의 손가락 위치 등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검출광은 가시광이거나, 또는 적외선, 자외선 등의 비가시광일 수 있다. 특히, 비가시광이 미러상 또는 표시 영상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양태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접촉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일반적인 미러 또는 표시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의 전방 상의 지문 자국이 방지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유리하다. 또한, 하프 미러 상의 미러상 또는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표시 영상은, 투과율을 종종 하락시키거나 또는 주위광 때문에 하프 미러 혹은 표시 화면 보기를 곤란하게 만드는 특정 재료를 하프 미러의 전방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영상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럼에도, 비접촉형 터치 패널 대신에 접촉형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지문의 장점에 대한 손실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 등이 표시 화면에 접속된 경우, 태블릿, 마우스, 키보드, 10키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좌표 입력, 아이콘 컨트롤, 커서 모션 등을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표시 영상 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블릿을 이용하는 경우, 좌표 검출용 펜을 이용하는 것이 조작성 즉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투과율이 가변적인 광학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7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7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하프 미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광학 셔터의 투과율은 가변적이다. 따라서, 하프 미러가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기를 원하는 경우, 광학 셔터의 투과율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하프 미러의 후방을 어둡게 함으로써 미러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영상을 하프 미러 및 광학 셔터를 통해 볼 수 있기를 원하는 경우, 광학 셔터의 투과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시 영상을 광학 셔터 및 하프 미러를 통해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이 바이어스 또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가변적인 전기광학형 셔터가 투과율이 가변적인 광학 셔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액정 어레이가 전압 상태(즉, 온/오프)에 따라 제어되어 유리의 투과율이 순간적으로 전환되도록 적층된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시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공지의 유리 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구성의 광학 셔터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7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고,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가변적인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8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8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하프 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가변적이다. 따라서, 하프 미러가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기를 원하는 경우, 하프 미러의 반사율을 증가(즉, 하프 미러의 투과율을 감소)시킴으로써 미러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 영상을 볼 수 있기를 원하는 경우, 하프 미러의 투과율을 증가(즉, 하프 미러의 반사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 및 반사율이 바이어스 또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가변적인 전기광학형 하프 미러가 투과율 및 반사율이 가변적인 하프 미러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구성의 미러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고, 상기 표시 화면은 반투과 반사면보다 더 작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 반사면 중 일부분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i) 반투과 반사면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보이는 표시 화면 및 (ii) 미러로서 기능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일부분 양자 모두가 동시에 또는 하나씩 표시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제9 미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9 양태의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전방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 반사면 중 단지 일부분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써,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 및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는 다른 영역은 상이한 영역에, 예를 들면, 나란히, 또는 상하로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반투과 반사면을 통한) 및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는 영역이 동시에 또는 하나씩 보여진다.
따라서, 제9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미러 상에 표시된 피사체의 모습을 미러를 종종 이용하는 미용 관련 시설, 패션 관련 시설 등의 각종 시설에서 용이하고 적절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이 반투과 반사면보다 더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반투과 반 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프 미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다른 미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 및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프 미러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한다. 상기 구성에서, 전체 하프 미러는 자신의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자신의 반사면 및 반투과 반사면 상에 반사시키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발광된 표시광은 하프 미러의 후방으로부터 하프 미러의 전방으로 반투과 반사면을 투과한다. 특히, 표시 영상을 하프 미러를 통해 볼 수 없는 반사면 영역은 반투과 반사면이 아니라 일반적인 미러와 동일한 반사면이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 미러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각 미러 장치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하프 미러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기 때문에, 강한 표시광 하에서 하프 미러를 통해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DP,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기존의 발광형 패널을 이용하여 만족할 만한 밝은 표시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표 시 화면은 하프 미러를 통해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LC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반사형 또는 백라이트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또는 표시광이 되는 주위광은 통상적인 경우보다 더 강하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 및 이들 각종 양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대신에, 패널형 디스플레이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CR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미러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미러 장치가 깊이가 얕은 좁은 공간에 설치되도록 공간 절약 면에서 장점을 상실하거나, 또는 미러 스탠드로서의 구조 면에서 장점을 상실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 유용성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미용실 등의 미용 관련 시설에 "헤어 상담" 등의 용도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먼저,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100)는 하프 미러(101), 디스플레이 패널(102), 카메라(110), 및 컴퓨터(300)를 포함한다.
하프 미러(101)는, 은,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사기로서 기능하는 진공 상태의 금속층을 플라스틱, 유리 등일 수 있는 평면 투명 기판 상에 퇴적시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층을 퇴적하는 도중에, 퇴적 금속의 양은 전체 입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미러의 양 이하가 되도록 제어되어 입사광의 일부가 투과하는 반투과 반사면(101S)을 형성한다. 즉, 반사기로서의 금속층이 박막으로서 퇴적되거나 또는 기판 상에 부분적으로 퇴적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반투과 반사면(101S)으로 입사된 입사광 중 일부는 반사되고, 후방으로부터 반투과 반사면(101S)으로 입사된 입사광 중 일부는 기판 상에 반사기로서 형성된 금속층의 틈을 투과한다. 또한, 상기 반투과 반사면(101S)은 다층으로 된 적층 구조이거나, 또는 단일층 구조일 수 있고,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프 미러(101)는 전방으로부터의 입사광이 미러상을 표시하기에 강한 경우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일례인 고객(200)이 하프 미러 정면에 있는 경우, 하프 미러(101)는 고객 본인의 미러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면, "표시광"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프 미러(101)의 후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2)로부터 발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2)은 "표시광"의 일례인 영상을 하프 미러(101)를 통해 고객(200)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2)은 표시 화면(103)을 구비한 기존의 패널형 디스플레이이고,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발광(스스로 빛을 내는)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2)은 스탠드(104)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과 같은 백라이트형 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102)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 또는 하프 미러(101)의 후방으로부터 입사된 표시광은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미러(102)의 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표시 화면(10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기능이 온 상태이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광"이 표시 화면(103)으로부터 발광, 즉 영상이 표시 화면(103) 상에 표시될 때,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표시 화면 상의 영상을 전술한 광투과 기능부를 구비한 하프 미러(101)를 통하여 고객(200)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프 미러(101)의 전방에 배치된 카메라(110)는 화상 카메라 등의 동화상 촬영용 카메라이거나,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정지화상용 카메라일 수 있다. 특히, 카메라(110)는, 고객(200)의 모습이 전술한 바의 광반사 기능을 가진 하프 미러(101)에 의하여 반사되어 고객(200)의 미러상이 하프 미러(101) 상에 표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일례인 고객(200)의 모습(즉, 고객(200)의 미러상)을 촬영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300)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302),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 장치(304), 및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태블릿(디지타이저)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306)를 포함한다. 제어부(3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전에 기억 장치(304)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억 장치(304)에 장착된 기록 매체를 거쳐 컴퓨터(3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의 일례인 표시 제어부(302a) 및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장치"의 일례인 화상 처리부(302b)를 포함한다. 제어부(302)는 카메라(11)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 신호가 제어부(302)에 입력되도록 카메라(110)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부(302) 내의 표시 제어부(302a)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접속된다. 표시 제어부(302a)는 기억 장치(304) 내에 기록된 기록 영상, 화상 처리부(302b)에서 합성된 합성 영상, 또는 후술하는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하고, 상기 화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제어한다.
기억 장치(304)는 카메라(110)로 이전에 촬영된 촬영 영상, 헤어 카탈로그 등의 다른 영상, 및 촬영된 영상과 다른 영상을 제어부(302)에서 합성하여 얻은 합성 영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기록될 헤어 카탈로그 등의 영상용 화상 데이터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술한 구성 때문에, 카메라(110)에 의하여 촬영된 고객(200)의 모습이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표시 화면(103) 상에 영상으로서 표시된다. 이하, "표시 제어 장치", "합성 장치" 및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과 관련된 모 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동작을 도 1 외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가 배치된 미용 관련 시설의 일례인 미용실에서 헤어컷 전후 또는 도중에 서비스의 일부로서 "헤어 상담"을 행하는 경우, 미용사 및 고객의 행동 및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 고객(200)이 의자에 앉거나 또는 히프 미러(101)의 전방에 서게 되면, 반투과 반사면(101S)은 자체 미러 기능 때문에 고객의 모습을 표시한다(단계(S11)). 고객(200) 또는 미용사가 헤어 상담 결과에 따라 여러 가지 영상을 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단계(S12): 예), 원하는 화상의 선택 및 도 2에 도시된 입력부(306)를 거친 입력 지시가 실행될 수 있다(단계(S13)). 또한, 상기 입력부를 사용하는 선택 또는 입력 지시는 미용사의 권고에 따라 고객이 실행하거나 또는 미용사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의 선호 또는 미용사의 권유에 따라 헤어 카탈로그 영상 등이 선택된 경우(단계(S14): 예), 도 2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일례인 기록 장치(3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 제어 장치"의 일례인 표시 제어부(302a)에 의하여 액세스(호출)된다(단계(S15)).
다음에, 표시 제어부(302a)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화상 출력 상태를 "온"으로 하여 표시 화면(103) 상의 화상 신호에 따라 화상 영상을 표시한다(단계(S25)). 이 경우, 표시광이 영상으로서 하프 미러(101)의 전방으로 투과한다. 따라서, 고객(200)이 화면 상에 표시된 헤어 카탈로그 영상을 볼 수 있다. 즉, 고객(200)은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101) 상에 표시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상태로부터 시점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고 표시된 영상을 볼 수 있다.
표시될 영상을 선택할 때(단계(S13)), 카메라(110) 또는 다른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전에 촬영된 영상이 고객의 요구 또는 미용사의 권유에 따라 선택된 경우(단계(S16): 예), 헤어 카탈로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 장치(304)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 제어부(302a)에 의하여 액세스(호출)된다(단계(S17)).
다음에, 표시 제어부(302a)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화상 출력 상태를 "온"시켜(단계(S25)) 표시 화면(103) 상의 화상 신호에 따라 화상 영상을 표시한다(단계(S25)). 따라서, 고객(200)은 이전에 촬영된 자신의 영상, 즉 예를 들면 이전에 고객 자신의 두발을 손질했을 때 촬영 및 기록된 영상에 따라 미용사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표시 영상을 선택할 때(단계(S13)), 실시간에 카메라(110)로 촬영한 영상이 고객의 선택 또는 미용사의 권유에 따라 선택된 경우(단계(S22): 예), 카메라(11)는 자동적으로나 또는 미용사의 손에 의하여 "온" 상태로 조정되어 촬영이 개시된다(단계(S23)). 또한, 카메라는 본 흐름도에서는 "시작" 이후로 계속해서 "온" 상태로 유지, 즉 "시작" 이후로 "촬영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
키메라(110)는 미러상, 즉 하프 미러(101)의 반투과 반사면(101S) 상에 표시 된 고객(200)의 모습을 촬영하는 반면, 일반적인 미러로서도 기능한다. 카레라(1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화상 신호는 컴퓨터(300)에 공급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 장치"의 일례인 표시 제어부(302a)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화상 출력 상태를 "온"으로 하여(딘계(S24)) 표시 화면(103) 상의 화상 신호에 따라 화상 영상을 표시한다(단계(S25)). 따라서, 고객(200)은, 헤어컷 도중이나 그 후에, 자신의 영상을 카메라(1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도중에(단계(S23)), 컴퓨터(300)에 공급될 화상 신호가 기록 장치(304)에 전송되므로. 헤어컷이 종료되었을 때 촬영될 수 있는 고객의 영상이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 장치(304)에 기록된다. 상기 구성 때문에, 고객(200)은 예를 들면 기록 장치(304)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다음 경우에 대하여 다시 미용사와 헤어 상담을 할 수 있으므로, 이전에 촬영된 영상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단계(S17) 내지 단계(S24)).
다음에, 고객(200) 또는 미용사는 입력부(306)를 거쳐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요구 명령을 입력하는 한편, 전술한 각종 영상이 표시되고(단계(S26): 예), 표시될 영상의 선택이 또한 프롬프트된다.
대안으로서, 고객(200) 또는 미용사는 입력부(306)를 거쳐 미러상을 표시하도록 요구 명령을 입력하는 한편, 전술한 각종 영상이 표시되고(단계(S27): 예), 표시 제어부(302a)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화상 출력 상태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 경우, 하프 미러(101)는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고, 후방으로부터의 표 시광이 감소되기 때문에 고객(200)의 모습이 하프 미러(101)의 면 상에 표시된다(단계(S11)). 대안으로서, 고객(200) 또는 미용사가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요구하는 경우(단계(S27): 아니오), 원하는 영상이 표시 화면(103) 상에 다시 표시된다(단계(S25)).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에 이어 전술한 동작이 반복되므로, 표시될 영상이 화상 영상과 미러상 사이로 적절하게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200) 또는 미용사가 교대로 볼 수 있으므로 (i)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의 반투과 반사면(101S) 상에 표시된 고객(200)의 모습과 (ii) 표시 화면(103) 상에 표시된 각종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표시될 영상의 선택 과정에서(단계(S13)), 적어도 두 가지 또는 모든 카탈로그 영상, 이전에 촬영된 영상 및 실시간 촬영 영상이 선택되어 표시화면(103) 상의 분할된 윈도우에 동시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표시된 표시 영역 및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 영역이 표시 화면(103) 상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PDP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따르면, 하프 미러(101)는 미용 관련 시설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일반적인 미러 대신에 배치되며, 하프 미러(101)의 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다. 따라서, 개별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 기기 세트가 미용 관련 시설에서 일반적 인 미용 관련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실내에 상담용으로 배치된 경우와 비하여 실내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탠드형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 또는 미러들이 미용 관련 시설의 벽면 전체에 설치된 빌트-인형일 수 있고, 미러 또는 미러들의 일부는 전술한 반투과 반사면(101S)으로서 작용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컴퓨터(300)의 내부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공통이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300)는 필요한 경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카메라의 구성과 동작 및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컴퓨터 처리 과정 면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른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b)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110) 대신에, 두 대의 카메라(120)가 반투과 반사면(101S)의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반투과 반사면 (101S)은 하프 미러(101)를 구성하는 기판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두 대의 카메라(120)는 반투과 반사면(101S)이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되지 않은 영역 내에 하프 미러(101)의 좌우측 에지에 배치된다. 이들 카메라(120)는 CCD 등의 소형 카메라일 수 있으므로, 이들 카메라는 하프 미러(101)의 기판 구조 상의 작은 영역에 용이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성 때문에, 카메라(120)는, 촬영될 "피사체"로서, 고객(200)의 전방으로부터 직접 고객(200)의 모습을 촬영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미러로서 기능하는 반투과 반사면(101S) 상에 표시된 고객(200)의 모습을 촬영하는 제1 실시예의 카메라(11)와 달리, 즉 미러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0)와 달리, 카메라(120)는 고객(200)의 모습을 미러상의 플립 수평 영상으로서 촬영한다. 즉, 다른 사람이 직접 볼 수 있는 고객(200)의 모습이 이들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다.
특히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컴퓨터(300)에 대하여, 화상 처리부(302b)는 전술한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두 개의 영상에 따라 카메라의 실제 정면으로부터 "피사체"로서 고객(200)을 촬영함으로써 얻어지는 실제 영상과 유사한 유사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장치"로서 또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두 대의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화상 신호는 제어 장치(302)에 공급된다(도 2 참조). 즉, 고객(200)의 좌측 정면 및 우측 정면으로부터 고객(200)을 촬영하여 얻은 고객의 영상이 두 개의 화상 신호로서 제어 장치(302)에 입력된다. 다음에, 두 개의 화상 신호에 따라, 제2 실시예의 "합성 장치"의 일례인 화상 처리부(302b)가 "합성 영상"을 발생시킨다. 즉, 화상 처리부(302b)는 좌측 정면 및 우측 정면으로부터 각각 고객(200)을 촬영하여 얻었기 때문에 촬영 방향이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상이한 영상을 합성한다. 두 개의 상이한 영상은 고객(200)의 정면 영상과 유사한 유사 영상으로 합성된다. 표시 제어부(302a)(도 2 참조)는 상기 합성된 유사 영상을 화상 신호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화면(103)에 유사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합성 장치" 때문에, 카메라가 실제로 고객의 전방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실제로 전방에 배치된 것처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고객이 하프 미러(101)의 반투과 반사면(101S) 또는 표시 화면(103)을 보지 않고 고객의 전방에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공간이 절약된다.
또한, 카메라가 하프 미러(101)의 상단 에지 또는 하단 에지에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고객(200)의 시선이 일직선으로 전방으로 향하는 보다 자연스런 영상을 촬영 또는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300) 내의 표시 제어부(302a)(도 2 참조)는 전술한 합성 유사 영상 및 이의 플립 수평 영상이 교대로 또는 전환가능하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 즉, 다른 사람이 보아 고객의 정면에 대응하는 영상에 추가하여, 고객(200)의 미러상에 대응하는 이의 플립 수평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200)은 전방에서 카메라(120)로 촬영한 영상을 보고, 미러로서 기능하는 반투과 반사면(101S) 상에 표시된 자체 영상(미러상)을 이들 두 개의 영상이 서로 플립 수평이 되지 않도록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120)는 하프 미러(101)의 반투과 반사면(101S)을 따르는 방향 또는 반투과 반사면(101S)의 법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가능한 암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촬영 도중에는,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위치 또는 하프 미러(101)의 중앙에 대향하는 위치 등의 촬영에 적합한 위치로 카메러(12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촬영하지 않는 도중에는, 미러상 또는 표시 영상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2) 후방의 감추어진 위치로 카메라(1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장치"의 동작의 상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재된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도 1 및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컴퓨터(300) 내에서 실행되는 동작이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302b)(도 2 참조)는, 예를 들면, 헤어 카탈로그 영상 등과 카메라로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장치"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 실시예가 예시된 도 3의 단계(S13)의 "표시될 영상 선택"에 "합성 영상"이 선택적으로 추가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표시될 영상을 선택할 때(단계(S13)), 고객의 요구 또는 미용사의 권유에 따라 "합성 영상"이 선택된 경우(단계(S41): 예), 기록 장치(304) 내에 기록된 헤어 카탈로그 등의 화상 데이터가 "합성 장치"의 일례인 화상 처리부(302b)에 의하여 액세스(호출)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302a)가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한다(단계(S42)).
계속해서 또는 동시에, 카메라(110)가 자동적으로 또는 미용사의 손에 의하여 "온" 상태로 전환된다(단계(S43)). 또한, 카메라(11)는 흐름도의 "시작" 시점부터 계속해서 "온" 상태, 즉 "촬영 중 모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101) 상에 표시된 고객(200)의 모습을 촬영한다. 촬영된 화상 영상의 화상 신호가 컴퓨터(300)에 공급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화상 출력 상태가 "온" 상태로 전환된다. 동시에, 또는 상기 상태 전후에, 표시 제어부(302a)는 액세스된 카탈로그 영상 및 카메라(110)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전송한다(단계(S44)).
다음에, 카탈로그 영상 및 고객의 모습의 실시간 영상이 동시에 또는 하나씩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표시 화면(103) 상에 표시된다(단계(S45)).
다음에, "합성 장치"의 일례인 화상 처리부(302b)가 영상을 합성한다(단계(S46)). 다음에, 합성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의하여 표시된다(단계(S47)).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단계(S46)에서의 영상 합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음 설명에서, 카탈로그 영상인 헤어 카탈로그 영상은 실 시간 영상으로 표시된 고객의 모습의 얼굴 부분과 합성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탈로그 영상 및 고객의 모습 양자 모두가 표시 화면(103)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화상 처리부(302b)는 고객의 모습 중 얼굴 부분을 잘라낸다(단계(S461)). 다음에, 화상 처리부(302b)는 카탈로그 영상의 헤어 부분 등과 합치되도록 고객의 모습 중 잘라낸 얼굴 부분의 치수를 조정한다(단계(S462)).
다음에, 화상 처리부(302b)는 카탈로그 영상의 헤어 부분 등과 합치되도록 고객의 모습 중 잘라낸 부분의 위치를 조정한다(단계(S463)). 다음에, 고객의 모습 중 얼굴 부분이 카탈로그 영상과 합치된 상태에서, 영상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는 물론 헤어 컬러가 조정된다(단계(S464)). 또한, 상기 컷아웃, 치수, 위치, 휘도, 콘트라스트 및 헤어 컬러의 조정은 표시 화면(103) 상에 표시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미용사에 의하여 입력부(306)를 거쳐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화상 처리부(302b)의 영상 인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과정(동작)이 완료된 후, 하나의 합성 영상이 얻어진다(단계(S465)). 다음에, 합성된 영상이 표시 화면(103) 상에 표시된다(도 5의 단계(S47)).
전술한 "합성 장치"를 이용하여 헤어컷과 같은 미용 행위 이전에 시뮬레이션이 행해지기 때문에, 고객(200)은 이상적인 영상과 합치되는 헤어스타일을 확신을 갖고 선택 및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합성은 하프 미러(101)에 대한 고객의 관점을 변경시키지 않고 실행되므로, 미러와 별개로 배치된 표시 장치 상에서 합성하는 경우보다 더 용이하다. 또한, 표시 장치용의 임의의 추가 공간을 필 요로 하지 않고 합성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4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피사체를 검출하는 센서 및 피사체를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컴퓨터는 광원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는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되어 고객이 하프 미러를 거쳐 중앙 정면으로부터 촬영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화면은 하프 미러의 전체면보다 더 작게 구성된다. 구성 중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부분과 거의 동일하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600)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광원(601) 및 센서(602)를 포함한다. 또한, 도 8에서, 상기 미러 장치는 광원(601) 및 센서(602)를 포함하고, 또한 "피사체"인 고객이 상부에서 바라 본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광원(601)은 전구, 백열등, 형광등, LED 등의 조명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컬러 키네틱 LED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제어 등으로 점등 타이밍 제어 또는 멀티 컬러에 적합한 광색 스위치 제어와 같은 각종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원(60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미러(101)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광원(601)이 하프 미러(101)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상하 에지 또는 좌우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601)으로부터 발광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주위광의 적어도 일부로서, "피사체"인 고객(200)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하프 미러(101)가 미러로서 기능하는 경우, 고객(200)의 모습이 미러 상에 더욱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센서(60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검출 장치"의 예로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센서(6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상측 위치에 배치된다.
센서(602)는 하프 미러(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인 고객(200)의 존재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광원(601)으로부터 광의 조사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센서(602)의 설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고, 하프 미러(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인 고객(200)의 검출(즉, 고객의 존재)이 방해받지 않는 한, 하프 미러(101)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둘러싸는 주위 영역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하프 미러(101)의 후방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컴퓨터(610)는 제어부(612) 내에 표시 제어부(302a) 및 화상 처리부(302b) 외에 광원 제어부(620)를 더 포함한다. 또 한, 도 8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컴퓨터(6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록 장치(304) 및 입력부(306)를 더 포함한다.
특히, 센서(602)는 제어부(612)에 접속되어, 고객의 존재에 대한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피사체 검출 신호가 제어부(612)에 입력된다. 제어부(612) 내의 광원 제어부(620)는 광원(601)에 접속되어, 광원 제어 신호가 광원(601)에 입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02b)은 자신의 표시 화면(103b)이 하프 미러(101)의 전체면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2b)은 하프 미러(101)의 전체면 중 일부를 점유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하프 미러(101)의 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위치에 대응하는 미러 상의 영역을 점유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130)에 의하여 하프 미러를 거쳐 고객(200)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30)와 제어부(612), 또는 제어부(612)와 디스플레이 패널(102b) 간의 접속 관계, 또한 화상 신호의 입출력 관계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관계와 동일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사체 검출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130) 및 "피사체 검출 장치"의 일례로서 제어부(612) 내의 화상 처리부(302b)가 고객(200)의 시선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 따라, 시선, 또는 고객의 영상 중 눈 부분의 존재가 화상 처리부(302b)에 의하여 특히 인식되어, 고객(200)이 하프 미러(101)를 바라 보고 있다는 사실이 검출된다. 또한, 상기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표시 제어부(302a)는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화상 출력 상태를 전환시킨다.
다음에,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를 고객의 동작 또는 조작으로 행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 8 외에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개별 동작 간의 시간별 관계에 초점을 맞춰 설명한다. 도 9는 제4 실시예의 동작의 상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하프 미러(101)의 전방에 고객(200)이 위치하면(단계(S71)), 센서(602)가 고객(200)의 존재를 검출하고 피사체 검출 신호를 광원 제어부(620)로 전송한다. 다음에, 상기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광원 제어부(620)는 광원(601)이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광원 제어 신호를 광원(601)에 전송한다(단계(S72)). 이 때, 조명 장치로서 기능하는 광원(601)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고객(200)에게 조사되므로,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객(200)의 모습이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101) 상에 더욱 선명하게 표시된다.
연속해서 또는 동시에, 고객(200)이 하프 미러(101)로 향하는 경우, 즉 고객(200)이 자신의 시선을 하프 미러(101)로 지향하는 경우(단계(S73): 예), 이는 카메라(130) 및 화상 처리부(302b)에 의하여 인식된 다음, 표시 제어부(302a)의 제어에 따라 하프 미러(101)의 일부분을 거쳐 디스플레이(102b) 상에 표시된다(단계(S74)).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102b)에 의하여 점유된 영역에 대응하지 않는 하프 미러(101)의 부분이 고객(200)의 모습이 표시되지 않은 미러로서 기능한다. 즉, 이 상태에서, (i) 고객(200)의 미러상 및 (ii) 카탈로그 영상, 이전 촬영된 고객의 영상, 또는 고객의 영상과 카탈로그 영상을 합성하여 얻어진 합성 영상일 수 있 는 화상 영상이 하프 미러의 면 내에 표시된다.
또한, 이 때,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즉, 도 3의 단계(S13)부터 단계(S23)까지의 일련의 동작), 표시될 영상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에, 고객(200)의 시선이 하프 미러(101)로부터 벗어난 경우(단계(S75)), 이는 카메라(130) 및 화상 처리부(302b)에 의하여 인식된 다음, 표시 제어부(302a)의 제어에 따라 이 영상은 사라진다(단계(S76)).
연속해서 또는 동시에, 고객(200)이 하프 미러(101)의 전방으로부터 멀어진 경우(단계(S77)), 센서(602)는 피사체 검출 신호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에 응답하여, 광원 제어 신호가 광원 제어부(620)로부터 광원(601)에 전송되어 광원(601)이 오프 상태로 된다(단계(S78)).
상기 구성 및 동작 때문에, 고객(200)이 자신의 시선을 하프 미러(10) 쪽으로 향하는 경우, 고객(200)은 하프 미러(101)의 면 중 일부분 상에 표시된 자신의 미러상을 볼 수 있고, 또한 하프 미러(101)의 면 중 나머지 부분을 통해 표시 화면(103b) 상에 표시된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영상을 적시에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이것은 (i) 고객(200)의 미러상 및 (ii) 카탈로그 영상 또는 이전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미용 상담을 위하여 동시에 그리고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점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고객(200)의 존재 유무 또는 하프 미러(101)를 향한 시선의 유무에 응답하여, 광원(601)의 온오프 상태로의 제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2b)의 표시 기능 시작 또는 정지 제어는 전술한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광원(601)은 하프 미러(101) 상에 입사되는 주위광의 강도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주위가 어두울 때,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2b)은, 주위가 어두울 때,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대로, 주위가 밝을 때(환함), 광원(601)은 오프 상태로 제어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2b)은 영상 표시를 중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피사체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지 않았을 때, 광원은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2b)이 영상을 표시할 때, 광원(601)은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하여간, 광원(601), 디스플레이 패널(102b), 및 카메라(601)는 서로 연관되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광원 또는 영상 표시의 온오프 제어는 미용실 등의 용도와 같이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개별적인 특정 용도 또는 환경에서 상기 각종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성의 상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5 실시예에 관한 도 10 및 도 11에서, 제1 실시예에 관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5 실시예에서는, 비접촉형 터치 패널이 입력 신호가 터치 패널을 거쳐 컴퓨터의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성의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부분과 동일하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표시 장치(700)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하프 미러(101)의 전방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비접촉형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720)은 표시광이 이 표시광을 차단하는 조작자의 손가락 등의 동작을, 면 내의 좌표로서 광학적으로, 검출하도록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컴퓨터(710) 내의 입력부(726)는 (i) 터치 패널(720)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신호와 (ii) 메뉴 버턴 영상 또는 키 영상 또는 커서 영상 등 간의 관계에 따라 선택 버턴 등이 확인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용실 등의 제한된 공간에서 미용사 등이 하프 미러(101)를 통해 표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화면 상에서 입력 조작을 실행하는데 아주 편리하다. 또한, 비접촉형이므로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하프 미러(101) 상에 지문, 오일 등의 부착이 방지된다는 점이 실질적으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접촉형 터치 패널 대신에 접촉형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지문 등의 부착 방지에 대한 장점은 감소되지만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하프 미러(101)의 반투과 반사면 또는 새로 배치된 투명 기판을 따라 이들 근방에 검출광을 주사함으로써 면 상에 입력 펜 등을 이용하여 손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손으로 입력하는 기능은 이른바 "전자 화이트보드" 방식으로 손으로 입력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을 이용하여 상담하는데 매우 바람직하다.
(제6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2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6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투명형으로 한정된다. 구성 중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는 하프 미러(102)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카메라(15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50)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구성이 대체로 작도록 소형 카메라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카메라(150)는 고객(200)으로부터 보이질 않아 그 형상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소형 카메라일 필요는 없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2)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EL 패널 등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150)는 하프 미러(101) 및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거쳐 고객(200)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고객(200)은, 전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2)이 하프 미러의 중앙 위치에 표시하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반면, 카메라(150)는 하프 미러 상에 표시된 자신의 영상을 바라보는 고객(200)의 정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7 실시예에 관한 도 13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관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도면 부호를 포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7 실시예에는, 카메라는 하프 미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구성 중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따르면, CCD, 마이크로스코프 등의 소형 카메라(160), 하프 미러(101)와 디스플레이 패널(10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표시 화면(103)이 상기 소형 카메라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불편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작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이유로, 상기 소형 카메라(160)는 표시 화면(103)의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소형 카메라(160)는 표시 화면(103)을 따라 수동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메라는 촬영을 위하여 단지 소정의 촬영 위치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형 카메라(160)는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대형 기구가 필요하지 않도록 작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미용실 등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소형 또는 경량의 미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CCD, 마이크로스크프 등의 소형 카메라 (160)는 하프 미러의 일부분 내, 바람직하기로는 하프 미러의 에지에 근접한 작은 영역에 중앙 위치를 피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60)가 에지에 근접한 작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고객(200)은 하프 미러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을 알지 못하게 되고 , 알 수 있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불편은 없다. 또한, 상기 소형 카메라(160)는 하프 미러(101)의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조화 등의 장식물 내에 감추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여간, 카메라(160)는 촬영 도중이나 또는 촬영하지 않는 도중에 고객(200)이 알아차릴 수 없을 만큼 작기 때문에, 고객(200)은 촬영으로 인한 긴장감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제8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제8 실시예에 관한 도 14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관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8 실시예에 있어서, 하프 미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광학 셔터가 배치된다. 구성 중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영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도 14에는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하프 미러(101)와 디스플레이 패널(102) 사이에 광학 셔터(800)가 배치 된다. 광학 셔터(800)는 바이어스되거나 또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반사성 및 투과성이 변할 수 있는 전기광학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셔터(800)는 반사성 및 투과성이 바이어스되거나 또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두 개의 유리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광학형 셔터로 구성된다. 전기광학형 셔터의 예로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액정 어레이가 전압 상태(즉 온/오프)에 따라 제어되어 유리의 투과율이 순간적으로 전환되도록 적층된 PDLC 시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공지의 유리 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의 광학 셔터(800)의 온/오프 상태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표시 동작과 연관하여 컴퓨터(300)의 표시 제어부(302a)에 의하여 제어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는, 광학 셔터(800)를 표시 제어부(302a)에 의하여 투과율을 높게 전환시킨다. 이로써, 광학 셔터(800) 및 하프 미러(101)를 통해 선명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지 않기 위하여는, 광학 셔터(800)를 디스플레이 제어부(302a)에 의하여 투과율을 낮게 전환시킨다. 이로써, 후방으로부터의 광이 차단되기 때문에 하프 미러(101)의 면 상에 선명한 미러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미러 기능 및 표시 기능 양자 모두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하프 미러(101)는 바이어스되거나 또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반사율 및 투과율이 변할 수 있는 전기광학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프 미러(101)는 전방으로부터의 광은 선택적으로 및 부분적으로 반사시키고 후방으로부터의 광은 선택적으로 및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9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9 실시예에 관한 도 15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관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9 실시예에 있어서, 하프 미러는 두 개의 영역, 즉 퍼펙트 미러로서 기능하는 퍼펙트 미러 영역 및 하프 미러로서 기능하는 하프 미러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프 미러 영역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구성 중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가 없어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도 15에는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하프 미러(900)는 퍼펙트 미러 영역(901)(우측으로 경사진 사선영역) 및 하프 미러 영역(902)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퍼펙트 미러 영역(901)은, 일반적이 미러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필름, 수은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하프 미러 영역(902)은 전술한 여러 가지 실시예의 하프 미러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2b)은 하프 미러(900)보다 더 작고, 표시 화면(103b) 은 표면 영역 또는 평면 내의 하프 미러 영역(902)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의 미러 기능 및 표시 기능 양자 모두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퍼펙트 미러 영역의 반사면 상의 미러상이 더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로는 하프 미러를 통한 표시 영상은 퍼펙트 미러의 반사면 상에 표시될 필요가 없으므로 반사면은 하프 미러에 필요한 반투과 반사면 대신에 일반적인 미러의 반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 및 필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한정적이 아닌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보다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청구항의 의미 및 균등물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1)

  1.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얻는 카메라,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 화면과 대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하프 미러 전방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반투과 반사면 상에 나타난 피사체의 미러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형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은 반투과 반사면보다 더 작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 반사면 중 일부 영역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 중 나머지 영역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의 에지에 근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반투과 반사면 중 일부 또는 표시 화면 중 일부의 대신으로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마이크로스코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이전에 촬영된 영상, 또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성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기록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기록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합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하프 미러 중 피사체와 대면하는 중앙 영역 둘레의 외주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피사체의 전방으로부터 촬영될 피사체 영상의 유사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생성된 유사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서로 상이한 여러 방향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하는 한 대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플립 수평 영상을 전환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6.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하나의 영상 및 상기 하나의 영상의 플립 수평 영상을 전환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7.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위광 중 적어도 일부분인 광원광을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를 항하여 발광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8.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주위광 중 적어도 일부분인 광원광을 전방에 위치된 상기 피사체를 항하여 발광하는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프 미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상기 피사체를 향하여 광원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 화면 내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피사체를 향하여 광원광을 발광함으로써, 상기 광원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된 주위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주위광 검출 장치, 및
    상기 주위광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온오프시키는 광원 제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 장치, 및
    상기 피사체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온오프시키는 광원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3.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전방에 위치된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 장치, 및
    상기 피사체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겸출 결과에 따라, 표시를 시작 또는 종료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미러 중 일부분을 통해 표시되도록 발광하고 상기 하프 미러 중 나머지 부분은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피사체의 존재 및 피사체의 시선 중 적어도 한 가지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하프 미러 전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발광하거나 또는 상기 하프 미러 모두가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5.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전방에 위치된 주위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주위광 검출 장치, 및
    상기 주위광 검출 장치로부터 얻은 검출 결과에 따라, 표시를 시작 또는 종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6.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상기 하프 미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프 미러를 통해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의 좌표를 지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좌표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비접촉형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8.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및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투과율이 가변적인 광학 셔터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29.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고,
    상기 하프 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가변적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30.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발광하는 표시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반투과 반사면을 가진 하프 미러
    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은 표시광이 반투과 반사면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투과하도록 표시 화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프 미러는 전방으로부터의 주위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로서 또한 기능하고,
    상기 표시 화면은 반투과 반사면보다 더 작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과 반사면 중 일부분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i) 반투과 반사면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보이는 표시 화면 및 (ii) 미러로서 기능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일부분 양자 모두가 동시에 또는 하나씩 표시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31. 제1항 내지 제9항, 제16항, 및 제1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KR1020040038568A 2003-05-30 2004-05-28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KR100695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3978A JP2004357103A (ja) 2003-05-30 2003-05-30 表示装置付きミラー装置
JPJP-P-2003-00153978 2003-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51A KR20040103451A (ko) 2004-12-08
KR100695053B1 true KR100695053B1 (ko) 2007-03-14

Family

ID=3404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568A KR100695053B1 (ko) 2003-05-30 2004-05-28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357103A (ko)
KR (1) KR100695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417B1 (ko) 2015-09-21 2016-11-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3269B1 (ko) 2015-09-25 2017-03-07 주식회사 토비스 사용자 인식 스마트 윈도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905B2 (ja) * 2005-12-16 2011-03-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映像提示システム
JP5435250B2 (ja) * 2007-08-24 2014-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249743B2 (ja) * 2007-12-25 2013-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2009169109A (ja) * 2008-01-16 2009-07-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ミラーシステム
JP4598842B2 (ja) * 2008-05-23 2010-12-15 株式会社ノングリッド インタラクティブミラー
CN101779460B (zh) * 2008-06-18 2012-10-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镜装置
JP2011029847A (ja) * 2009-07-23 2011-02-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撮像表示システム
WO2014013566A1 (ja) * 2012-07-18 2014-01-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ミラー装置
US11083344B2 (en) 2012-10-11 2021-08-10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JP6316648B2 (ja) * 2014-04-30 2018-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82533B2 (ja) * 2014-06-11 2018-02-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6152606A (ja) * 2015-02-19 2016-08-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
JP6468484B2 (ja) * 2015-02-19 2019-02-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3288011A4 (en) * 2015-04-21 2018-10-31 AGC Inc. Mirror with display device
US11068051B2 (en) 2015-12-24 2021-07-20 Conopco, Inc. Augmented mirror
WO2017108702A1 (en) * 2015-12-24 2017-06-29 Unilever Plc Augmented mirror
WO2017108699A1 (en) 2015-12-24 2017-06-29 Unilever Plc Augmented mirror
JP6992603B2 (ja) * 2018-03-06 2022-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発光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発光制御方法、及び発光制御プログラム
CN108333824A (zh) * 2018-05-02 2018-07-27 江苏新通达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式一体化显示模块
CN112180627B (zh) * 2019-07-05 2024-02-0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控制方法
WO2021171442A1 (ja) * 2020-02-26 2021-09-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鏡像に情報を重畳して表示する表示装置と表示方法と表示プログラム
US11086197B1 (en) * 2020-08-28 2021-08-10 Yongtong Hu Photographing system and method of photographing human
KR102634463B1 (ko) * 2021-11-15 2024-02-06 김병준 비대면 신분증 사진 촬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8574A (ja) * 1986-05-02 1987-11-11 Fujitsu Ltd 時分割表示撮像方式
JPS63146088A (ja) * 1986-12-10 1988-06-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訓練用表示装置
JPH039686A (ja) * 1989-06-07 1991-01-17 Asahi Optical Co Ltd 撮像可能な画像表示装置
JPH03186074A (ja) * 1989-12-15 1991-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モニタ付鏡装置
JPH0481088A (ja) * 1990-07-20 1992-03-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視線一致型の人物映像表示・撮像装置
JP2859392B2 (ja) * 1990-07-20 1999-02-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視線一致型の人物映像撮影装置
JPH04315388A (ja) * 1991-04-15 1992-11-06 Toshiba Corp テレビ電話装置
JPH0515867U (ja) * 1991-08-19 1993-03-02 株式会社イナツクス 化粧設備
JPH07143469A (ja) * 1993-11-12 1995-06-02 Hitachi Denshi Ltd 撮像表示一体装置
JPH11177971A (ja) * 1997-12-09 1999-07-02 Sharp Corp テレビドアホン子機
JPH11266443A (ja) * 1998-03-17 1999-09-28 Toshiba Corp 画像及び音声送受信装置
JP3480562B2 (ja) * 1999-05-17 2003-12-22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
JP2001238206A (ja) * 2000-02-25 2001-08-31 Asahi National Lighting Co Ltd 赤外線検知型監視装置用光源
JP2002183315A (ja) * 2000-12-19 2002-06-2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洗面台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229494A (ja) * 2001-02-02 2002-08-14 Shin Etsu Polymer Co Ltd 情報表示機能付ミラー
JP2002223910A (ja) * 2001-02-05 2002-08-13 Toto Ltd 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JP2002277258A (ja) * 2001-03-15 2002-09-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4120377A (ja) * 2002-09-26 2004-04-15 Nik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の利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417B1 (ko) 2015-09-21 2016-11-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3269B1 (ko) 2015-09-25 2017-03-07 주식회사 토비스 사용자 인식 스마트 윈도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51A (ko) 2004-12-08
JP2004357103A (ja)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053B1 (ko) 표시 장치를 구비한 미러 장치
CN109791437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7209160B2 (en) Versatile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CN106068533B (zh) 定向显示器的控制
EP0631170B1 (en) Back-lighting system for transmissive display
US6710797B1 (en) Adaptable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TWI471769B (zh) 用於實體使用者介面上之影像投影之裝置、系統、及方法
US7110052B1 (en) Backlighting construction for use in computer-based display systems having direct and projection viewing modes of operation
JP5600676B2 (ja) ポータブルマルチポジション拡大鏡カメラ
Hirsch et al. BiDi screen: a thin, depth-sensing LCD for 3D interaction using light fields
US7427140B1 (en) Sunlight readable direct-view and projection-view computing device
JP2004514925A (ja) 覗き込みと投射ディスプレイのデュアルモードシステム
US9232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W201229995A (en) Background light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TW202046274A (zh) 資訊處置系統多顯示器視角亮度調整
KR100547218B1 (ko) 영상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서버장치 및 시뮬레이션엔진장치
US20130016078A1 (en) Multi-perspective imaging systems and methods
KR20130003384A (ko) 화상 및 미러 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JP6062323B2 (ja) 表示装置
US20050007514A1 (en) Backlighting construction for use in computer-based display systems having direct and projection viewing modes of operation
JPH10262165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パソコン
CN114860073A (zh) 智能化妆镜及其智能化妆方法
KR20200131389A (ko) 부분 미러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TWI263081B (en) Display device
US20230280004A1 (en) Integrated light-reflecting mirror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