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340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340B1
KR100693340B1 KR1020050074505A KR20050074505A KR100693340B1 KR 100693340 B1 KR100693340 B1 KR 100693340B1 KR 1020050074505 A KR1020050074505 A KR 1020050074505A KR 20050074505 A KR20050074505 A KR 20050074505A KR 100693340 B1 KR100693340 B1 KR 10069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roller
shaft
developing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489A (ko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40B1/ko
Priority to US11/475,988 priority patent/US7437094B2/en
Priority to CNA2006101009668A priority patent/CN1912772A/zh
Publication of KR2007001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55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72Housing of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레임; 그 외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감광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현상롤러, 및 감광드럼을 지지하는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현상롤러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감광드럼축지지홈 및 현상롤러축지지홈을 갖는 현상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현상기; 및 현상기가 메인프레임에 장,탈착되는 상태에 따라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현상기가 유통되는 동안 현상롤러나 감광드럼을 구성하는 입자 중의 저 분자요소가 스며나오는 현상(MIGRATION이라 함)이나, 롤러들의 눌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갭 유지 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 시 예를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현상기가 장,탈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를 따른 현상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현상기가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현상기가 메인프레임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0 : 메인프레임 111 : 가이드레일
150 : 현상기 152a : 현상기 플레이트
152a : 감광드럼축지지홈 153 : 감광드럼
153a : 감광드럼축 157 : 현상롤러
157a : 현상롤러축 200 : 간격조절유닛
210 : 수평이송유닛 211 : 캠면
211a : 돌출면 211b : 테이퍼면
213 : 만곡면 230 : 갭조정유닛
231 : 돌기부 233 : 홈
261 : 그라운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 잠상을 소정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하여 기록매체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현상기는 감광드럼, 현상롤러, 공급롤러, 교반롤러등의 부품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회전롤러들은 기어 열에 의해 정해진 속도 비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상기들은 생산 당시 검사 화상을 출력하고, 합격하면 포 장되어 출하한다. 그런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접하는 현상닙에 존재하는 현상제는 고온 고압에 의해 감광드럼 표면이나 현상롤러의 표면에 융착된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에 융착될 경우 새로운 현상제가 감광드럼 표면으로 현상될 수 없게 되어 실제 화상을 형성할 경우 기록 매체 상에서는 흰색으로 나타난다.
반대로, 현상 롤러에 융착될 경우 현상제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1:1의 속도 비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 융착된 부분은 조금씩 떨어져 나간다. 그러나, 융착된 토너가 완전히 떨어져 나갈 때까지 수십, 수 백장을 인쇄해야 흔적이 사라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가 융착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현상기를 포장백에 밀봉 포장하고, 다시, 포장박스에 밀봉포장하여 선적할 경우 현상기의 온도는 주위 환경에 따라 상승할 경우도 있다. 이때, 현상롤러나 대전롤러 혹은 감광드럼을 구성하는 입자 중의 저 분자요소가 스며나오는 현상(MIGRATION이라 함)이나, 롤러들의 눌림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가 현상닙을 이루는 접촉 현상 방식에 있어서는 더욱 심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역시 현상닙 사이에 밴드가 형성되어 올바른 화상출력이 어렵고, 해당부위가 검게 혹은 하얗게 출력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통 과정 동안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와의 사이를 떨어뜨리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갭 유지 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광드럼(1) 및 현상롤러(3)의 사이에 갭 유지 장치(5)가 삽입된 것이 도시된다. 갭 유지 장치(5)는 몰드물이나 금속류 등이 적용되거나, 혹은 종이나 시트류 등이 적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갭 유지 장치(5)는 사용자가 직접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와의 갭을 적절히 유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04101호가 개시된 바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04101호를 따르면, 현상롤러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접동축를 중심으로해서 접동 자유롭게 배설하고, 지지판에 코일을 배설하고, 마그네트와 요크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계에 의해 코일을 구동한다. 그에 더하여, 현상롤러 및 감광드럼과의 갭을 레이저발광부 및 수광부에 의해서 검출하고, 검출치가 일정하게 되도록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고, 지지판을 접동축을 중심으로 접동시켜 현상롤러를 지지판과 함께 이동시켜서 감광드럼에 대하여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와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또 다른 예가 미국특허공보(미국특허번호 6,385,417)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번호 6,385,417를 따르면,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과,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와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갭조절유닛이 구성된다. 갭조절유닛은 감광드럼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현상롤러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04101호 및 미국특허번호 6,385,417에 개시된 구성들은 비접촉 현상 방식에서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현상기는 유통상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메인프레임; 그 외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감광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현상롤러, 및 상기 감광드럼을 지지하는 감광드럼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현상롤러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감광드럼축지지홈 및 현상롤러축지지홈을 갖는 현상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현상기;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탈착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현상롤러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을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유닛; 및 상기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외경과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과의 갭을 조정하는 갭조정유닛;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이송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느 한 측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을 상기 축방향으로 미는 캠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갭조정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현상롤러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 환형띠돌기를 이루고, 상기 홈은 상기 환형띠돌기에 대응하는 환형띠홈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수평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유닛이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을 대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송되는 상기 감광드럼축의 타단에는 그라운드가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면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의 경계부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캠면과 접하는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회전롤러축의 단부는 만 곡면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현상기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부터 탈착되었을 때 상기 감광드럼축 및 상기 현상롤러축간의 거리가 상기 현상기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감광드럼축 및 상기 현상롤러축간의 거리보다 크게 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 시 예를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 명령이 내려지면 픽업롤러(135)가 회전하면서 마찰패드(137)와의 마찰력에 의해 녹업플레이트(131)의 상면에 적재된 기록매체(101)가 낱장으로 분리되어 감광드럼(153) 및 전사롤러(159)의 사이로 공급된다.
그와 동시에 대전롤러(155)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153)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드럼(153)의 표면은 광주사유닛(170:Laser Scanning Unit)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L))에 의해 주어진 패턴으로 노광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이후, 감광드럼(153)의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롤러(157)가 회전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전사롤러(159)가 감광드럼(153)을 가압함과 아울러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53)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매체공급유닛(130)을 통해 공급된 기록매체(101)에 전사한다.
그후, 기록매체(101)는 계속 이송되어 정착유닛(180)의 가열롤러(181:Heating Roller) 및 가압롤러(183: Pressing Roller)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됨과 아울러서 가압되어 분말상태의 토너 화상이 기록매체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는 배지롤러(191) 및 배지아이들롤러(193)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되어 배지구(117)을 통해 배지되고 배지대(118)에 적재됨으로써 인쇄를 마친다.
여기서, 현상기(15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잠시 설명한다.
현상기(150)는 다량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토너실(151a)과, 토너실(151a)의 토너가 이송되어 급지된 기록매체(101)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실(151b)을 갖는 카트리지(151)로 구성된다. 현상실(151b)에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는 감광드럼(153)이 카트리지(151)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감광드럼(153)의 일측에는 감광드럼(153)의 표면을 소정의 전압으로 대전하는 대전롤러(155)가 설치된다. 감광드럼(153)의 타측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53)의 표면에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한 현상롤러(157)가 설치되며, 현상롤러(157)의 타측에는 현상롤러(157)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58)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현상기가 장,탈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를 따른 현상기의 정면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현상기(150)는 하나의 카트리지로 일체화되어 그 수명을 다할 경우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여 사용되고, 기록매체의 잼 제거를 행할 경우 메 인 프레임(110)로부터 빼낸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때,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에는 현상기(150)의 장,탈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광드럼(153), 대전롤러(155), 현상롤러(157) 및 공급롤러(158)의 회전축(153a,155a,157a,158a)들의 양단은 각각 현상기 플레이트(152)에 지지된다.
다음은 상술한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현상기(150)를 장착 또는 탈착하는 동안 감광드럼(153) 및 현상롤러(157)의 갭이 가변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현상기가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현상기가 메인프레임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B를 참조하면, 현상기(150)가 메인프레임(110)에 장,탈착되는 상태에 따라 감광드럼(153) 및 현상롤러(157)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간격조절유닛(200)이 도시된다. 간격조절유닛(200)은 현상기(150)가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로부터 탈착되었을 때 감광드럼축(153a) 및 현상롤러축(157a)간의 거리가 현상기(150)가 메인프레임(110)의 내부에 장착되었을 때 감광드럼축(153a) 및 현상롤러축(157a)간의 거리보다 크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간격조절유닛(200)은 감광드럼(153) 또는 현상롤러(157)중 어느 하나를 대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간격조절유닛(200)이 감광 드럼(153)을 대상으로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간격조절유닛(200)은 감광드럼축(153a)의 축방향(A)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유닛(210)과, 축방향(A)으로 이송되는 감광드럼축(153a)의 외경과 감광드럼축지지홈(152a)의 내경이 이루는 갭을 조정하는 갭조정유닛(230)을 포함한다.
수평이송유닛(210)은 메인프레임(110)의 어느 한 측 내면에 마련되며, 감광드럼축(153a)의 단부와 접촉되어 감광드럼축(153a)을 예컨대, 축방향(A)으로 미는 캠면(211)을 포함한다. 캠면(211)은 메인프레임(110)의 내면 즉, 가이드레일(111)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면(211a)과, 돌출면(211a)과 상기 가이드레일면(111)의 경계부를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테이퍼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캠면(211)과 접하는 감광드럼축(153a)의 단부는 만곡면(213)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갭조정유닛(230)은 감광드럼축지지홈(152a)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231) 및 감광드럼축(15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233)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31)는 감광드럼축지지홈(152a)의 내경을 따라 환형띠돌기를 이루고, 홈(233)은 환형띠돌기에 대응하는 환형띠홈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광드럼축(153a)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유닛(250)을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 유닛(250)은 감광드럼축지지홈(152a)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51)과, 감광드럼축(153a)에 형성된 걸림돌기(2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토퍼 유닛(250)이 감광드럼축지지홈(152a)부와 감광드럼축(153a)에 일체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에 대응하는 별도의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걸림턱(253)을 대신하여 이(E)-링과 같 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캠면(211)의 돌출면(211a)과 대향하는 메인프레임(110)의 타측면상에는 그라운드(261)가 추가로 구성되어 감광드럼(153)을 접지시킴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263)는 감광드럼(153)을 감광드럼축(153a)과 연결함과 아울러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가 마련된 캡 부재를 나타낸다.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감광드럼(153) 및 현상롤러(157)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50)가 메인프레임(110)상에 장착되기 전에는 감광드럼축(153a)은 캠면(211)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는 감광드럼축지지홈(152a의 내경에 형성된 돌기부(231)와, 감광드럼축(153a)의 외경에 형성된 홈(233)이 서로 대응한다. 이때, 돌기부(231) 및 홈(233)은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감광드럼(153)과 현상롤러(157)와의 간격은 멀어진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50)가 메인프레임(110)상에 장착되면, 감광드럼축(153a)의 만곡면(213)은 캠면(211)을 따라 점차 축방향(A)으로 이동되고, 감광드럼축(153a)상에 형성된 홈(233)은 돌기부(231)로부터 벗어난다. 이때, 감광드럼축(153a)의 외경은 돌기부(231)와 맞닿아 감광드럼축(153a) 및 돌기부(231)와의 간격이 줄어든다. 따라서, 감광드럼(153)과 현상롤러(157)간의 간격이 줄어들어 접촉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감광드럼(153)과 현상롤러(157)간의 간격 조정 범위는 0.05㎜ ~ 0.2 ㎜정도의 사이에 해당하므로 실제 눈으로 확인하기는 비교적 어렵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감광드럼(153) 및 현상롤러(157)간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롤러 즉, 예컨대, 대전롤러(151)간의 간격을 가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기가 유통되는 동안 롤러들 예컨대, 감광드럼 및 현상롤러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시켜 현상롤러 또는 감광드럼을 구성하는 입자 중의 저 분자요소가 스며나오는 현상(MIGRATION이라 함)이나, 롤러들의 눌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기가 유통되는 동안 롤러들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현상제 즉, 토너를 선택함에 있어서, 좀더 선택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메인프레임;
    그 외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감광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현상롤러, 및 상기 감광드럼을 지지하는 감광드럼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현상롤러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감광드럼축지지홈 및 현상롤러축지지홈을 갖는 현상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현상기; 및
    상기 현상기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탈착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감광드럼축 및/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현상롤러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을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유닛; 및
    상기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외경과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과의 갭을 조정하는 갭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느 한 측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을 상기 축방향으로 미는 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갭조정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현상롤러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 환형띠돌기를 이루고, 상기 홈은 상기 환형띠돌기에 대응하는 환형띠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의 수평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유닛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지지홈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지지홈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현상롤러축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축을 대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송되는 상기 감광드럼축의 타단에는 그라운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면의 경계부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캠면과 접하는 상기 감광드럼축 또는 상기 회전롤러축의 단부는 만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KR1020050074505A 2005-08-12 2005-08-12 화상 형성 장치 KR10069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505A KR100693340B1 (ko) 2005-08-12 2005-08-12 화상 형성 장치
US11/475,988 US7437094B2 (en) 2005-08-12 2006-06-28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gap regulating mechanism to regulate a gap between a photosensitive drum and a developing roller
CNA2006101009668A CN1912772A (zh) 2005-08-12 2006-08-04 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505A KR100693340B1 (ko) 2005-08-12 2005-08-12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89A KR20070019489A (ko) 2007-02-15
KR100693340B1 true KR100693340B1 (ko) 2007-03-09

Family

ID=3772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505A KR100693340B1 (ko) 2005-08-12 2005-08-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7094B2 (ko)
KR (1) KR100693340B1 (ko)
CN (1) CN1912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551B1 (ko) 2008-12-26 2011-11-17 양지화학 주식회사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468B2 (ja) * 2007-05-15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344744A (zh) * 2008-08-15 2009-01-14 珠海赛纳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碳粉盒的光敏元件与显影元件距离的方法及装置
JP5310522B2 (ja) * 2009-12-14 2013-10-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部蓋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像保持体、画像形成組立体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503281B2 (ja) * 2009-12-25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4199263A (zh) * 2011-05-03 2014-12-1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及显影盒
CN108549200B (zh) * 2011-05-03 2020-01-31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显影盒和图像形成设备
CN203038004U (zh) * 2012-12-27 2013-07-0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用处理盒
CN108700842B (zh) * 2016-04-28 2022-04-15 惠普深蓝有限责任公司 控制接合力
CN108062019A (zh) * 2016-11-09 2018-05-22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以及电子成像装置
CN111157825A (zh) * 2020-01-08 2020-05-15 深圳市大隆科技有限公司 电子成像系统中功能性部件电性能的电晕放电检测方法及装置
CN214202052U (zh) * 2020-12-03 2021-09-1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粉盒组件、显影盒及打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79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의 감광체 유닛 착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1579A (en) 1988-03-17 1989-08-29 American Cyanamid Company Suppression of B-lymphocytes in mammals by administration of anti-B-lymphocyte antibodies
JP3131991B2 (ja) * 1990-09-27 2001-0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ユニット及び画像記録装置
JPH07160175A (ja) * 1993-12-07 1995-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04101A (ja) 1996-01-26 1997-08-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385417B1 (en) * 2000-07-07 2002-05-0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Holding structure of image holding member in image forming system
US6397026B1 (en) * 2000-09-25 2002-05-28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creasing bias force on opposing photosensitive member and developing means
KR100476772B1 (ko) 2002-11-19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JP3962734B2 (ja) * 2004-08-31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取り外し可能に装着する装着機構
US7221888B2 (en) * 2005-04-24 2007-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cartridge having position in which rollers are separated from photoconductor
KR100629497B1 (ko) * 2005-09-06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93338B1 (ko) * 2005-09-0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79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의 감광체 유닛 착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551B1 (ko) 2008-12-26 2011-11-17 양지화학 주식회사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37094B2 (en) 2008-10-14
US20070036580A1 (en) 2007-02-15
KR20070019489A (ko) 2007-02-15
CN1912772A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40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764914B2 (en) Fuser belt assembly
US8019259B2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00004183A1 (en) Fus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950060A (en) Fixing device
KR20120048327A (ko) 화상형성장치
US20110262183A1 (en) Im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99342B2 (en) Belt driv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22669A (ja) 一様なグロス制御装置及び方法
US7813681B2 (en) Contact pressure sett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2071413B1 (en) Develop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80733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ift regulating member
JP619076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117251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91395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70090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49265A (ja) 画像形成装置
CN112867972A (zh) 成像系统
JP2008197237A (ja) 画像形成装置
US11815838B2 (en) Structure for adjusting paper path gap using the roller moving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per
US10670986B2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70305A (ja) 画像形成装置
JP525818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328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7210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