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551B1 -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 Google Patents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551B1
KR101084551B1 KR1020080134124A KR20080134124A KR101084551B1 KR 101084551 B1 KR101084551 B1 KR 101084551B1 KR 1020080134124 A KR1020080134124 A KR 1020080134124A KR 20080134124 A KR20080134124 A KR 20080134124A KR 101084551 B1 KR101084551 B1 KR 10108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carbamoyl
trifluoromethylbenzamide
ethyl
pyrrol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180A (ko
Inventor
임지웅
김종훈
옥민호
나용호
오유나
최운선
이정옥
손정덕
이정근
Original Assignee
양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551B1/ko
Priority to PCT/KR2009/006854 priority patent/WO2010074409A2/ko
Publication of KR2010007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09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2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romakali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4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R2 (chemokine receptor 2)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이것의 염 또는 이성체 등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합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동맥경화증, 다발성경화증, 천식 및 기타 CCR2에 관련된 여러 질환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CCR2, 아미노피롤리딘, 염증

Description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3-Aminopyrrolidine Derivatives as CCR2 Antagonists}
본 발명은 생체내 CCR2 (chemokine receptor 2) 길항 효과를 통해 염증 및 기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MCP-1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의 수용체인 CCR2 (chemokine receptor 2)에 대한 길항 작용을 나타내는 3-아미노피롤리딘(3-aminopyrrolidine) 유도체의 활성 효과를 검증하여, 이러한 생리 작용과 관련된 질환,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동맥경화증, 다발성경화증, 천식 및 기타 CCR2에 관련된 여러 질환을 치료 또는 개선하는 데 유용한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케모카인(chemokine)은 주로 생체내 면역 체계에 작용하는 생리활성 단백질로서 이제까지 50여종의 물질이 밝혀졌으며, 아미노산 서열상 공통적인 시스테인의 구조적 차이를 근거로 하여 C, CC, CXC 및 CX3C의 4가지로 분류된다. 각각의 케모카인은 GPCR (G-protein-coupled receptor)에 결합하여 그들의 생리작용을 나타내는데, 특히 CC 케모카인인 MCP-1이 결합하는 수용체를 CCR2라고 한다. MCP-1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염증 유발 과정에서 단핵세포(monocyte)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 Nature Review Drug Discovery, 2002, 1, 347). 예를 들면,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MCP-1 및 CCR2가 과도하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참조 : Arthritis Rheum., 2001, 44, 2750), 또한 넉아웃 마우스 (knockout mouse)에 의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MCP-1과 CCR2의 역할이 검증되었다 (참조 : Chemokine in Disease, 1999, 53-65).
CCR2는 염증 질환의 유망한 약물 표적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CCR2 길항 효과를 통해 염증 관련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슨 앤 존슨 (Johnson & Johnson)사는 CCR2 길항제인 디피페리딘 화합물의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 화합물은 CCR2 수용체에 대한 높은 결합력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THP-1 세포주에서 MCP-1에 의해 유도된 주화성(chemotaxis)을 차단하였다 (참조 : WO 2006-036527, WO 2007-106797). 한편, 밀레니엄사는 역시 CCR2에 대한 인간 단일클론 항체 MLN1202를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개발하여, 동맥경화증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음으로써 CCR2가 염증 질환의 유망한 약물 표적임을 입증하였다.
한편,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특징인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은 염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성적으로 과잉영양 상태가 지속되면 지방조직에서 대식세포가 침윤되어 국소적 염증이 초래되고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강화시킨다. 이때 MCP-1이나 그 수용체인 CCR2를 저해하면 대식세포의 지방조직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조직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감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동물 시험 결과에 의하면, CCR2를 결핍시킨 마우스는 정상적인 마우스에 비해 식사량이 감소하고 고지방의 식사를 섭취하더라도 비만이 발달하지 못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참조 : Nature, 2007, 447, 1116).
CCR2는 알츠하이머 병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제공한다.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뇌에 형성되는 플라크(plaque) 형태의 단백질인 아밀로이드-베타(amyloid-beta)의 축적 과정은 뇌와 중추신경계의 면역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의 조절을 받는 염증 반응경로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CR2는 이 소교세포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 Nature Medicine, 2007, 13, 432).
CCR2 수용체의 길항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서 3-아미노피롤리딘을 핵심 구조로 가지는 것은 공지의 기술로서, 예를 들면 WO 2004-050024에 의하면 3-아미노피롤리딘에 시클로알칸이 결합된 대표적인 구조가 제시되었다. 또한 WO 2000-069432에 의하면 3-아미노피롤리딘에 알킬기가 결합되고 이것에 다시 아릴 또는 시클로알킬이 연결된 화합물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화합물의 대표적인 구조는 3-아미노-N-벤질피롤리딘으로서 이것의 CCR2 수용체에 대한 길항 작용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3-아미노피롤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보다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로서 WO 2003-075853에 제시된 바와 같이 3-아미노피롤리딘의 탄소 원자에 아릴술폰기가 치환된 화합물이 공지되었다. 한편 WO 2007-053495, WO 2007-053498, 및 WO 2007-053499에 의하면, 3-아미노피롤리딘에 결합된 구조로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시클로알칸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3-아미노피롤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신규 화합물로서, MCP-1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과 CCR2 (chemokine receptor 2)의 상호 작용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기하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및 결정다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CR2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혈관보호제 또는 면역억제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독립적으로 다음 화학식 2, 3 및 4 중 한 가지로 선택될 수 있고,
[화학식 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4
[화학식 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5
상기 화학식 2의 W1은 독립적으로 다음 화학식 5 및 6 중 한 가지로 선택될 수 있고,
[화학식 5]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6
[화학식 6]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7
상기 화학식 5에서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3 알킬, 할로겐 원자, C1 - C2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때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및 브롬 원자 중 하나임을 의미하고,
상기 화학식 6에서 W3은 산소, 황, 질소로 이루어진 헤테로 원자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 - C3 알킬을 의미하고, n = 1 또는 2를 의미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6각 또는 7각의 고리형태를 나타내고,
A가 화학식 2로 선택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시스 및 트랜스의 기하학적 이성체가 각각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3의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4 알킬, 및 C6H5-CH2-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4의 W2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결합 또는 카르보닐, 메틸렌, 술포닐, C1 - C3 알킬카르보닐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3 알킬, C6 - C10 아릴 및 C5 - C8 헤테로아릴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 경우 C6 - C10 아릴 및 C5 - C8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0개 내지 3개의 치환체 R5를 가질 수 있고, R5는 또한 독립적으로 C1 - C3 알킬, 할로겐 원자, C1 - C2 할로알킬, 시아노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및 브롬 원자 중 하나임을 의미함.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N-{[1-(4-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 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4-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1-(4-티오모폴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1-(4-티오모폴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 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이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1,4-디아제판-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1,4-디아제판-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모포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모포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2R,5S)-2,5-디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N-{[1-(4-((2R,5S)-2,5-디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메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 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에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프로폭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부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벤질옥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4,6-트리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5-디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프로필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4-디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브로모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에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톨루엔-4-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 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벤젠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4-클로로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펜타노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이소부티릴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프로피오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피리딘-4-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피리딘-3-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나프탈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1H-인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브로모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시아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및
N-{[1-(2-(1-(3,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기하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결정다형체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CR2 (chemokine receptor 2)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경감용 약학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관보호제 또는 면역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CR2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증상은 알레르기성 비염, 호흡기성 알레르기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폐렴, 류마티스성 관절염, 포도막염, 다발성 경화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크론씨병, 대장염, 신염, 당뇨병, 당뇨 합병증,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재협착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혈관보호제 또는 면역억제제로서의 용도임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CCR2 수용체 단백질에 대해 친화력이 높고, 낮은 농도 범위에서도 칼슘 유입 및 화학 주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YP450에 대한 저해도가 비교적 낮으며, 심장 독성과 세포 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화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동맥경화증, 다발성경화증, 천식 및 기타 CCR2에 관련 된 여러 질환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CCR2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이성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독립적으로 다음 화학식 2, 3 및 4 중 한 가지로 선택될 수 있고,
Figure 112008089109740-pat00009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0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1
상기 화학식 2의 W1은 독립적으로 다음 화학식 5 및 6 중 한 가지로 선택될 수 있고,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3
상기 화학식 5에서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3 알킬, 할로겐 원자, C1 - C2 할로알킬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때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및 브롬 원자 중 하나임을 의미하고,
상기 화학식 6에서 W3은 산소, 황, 질소로 이루어진 헤테로 원자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 - C3 알킬을 의미하고, n = 1 또는 2를 의미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6각 또는 7각의 고리형태를 나타내고,
A가 화학식 2로 선택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시스 및 트랜스의 기하학적 이성체가 각각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3의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 - C4 알킬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4의 W2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결합 또는 카르보닐, 메틸렌, 술포닐, C1 - C3 알킬카르보닐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3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 경우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0개 내지 3개의 치환체 R5를 가질 수 있고, R5는 또한 독립적으로 C1 - C3 알킬, 할로겐 원자, C1 - C2 할로알킬, 시아노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및 브롬 원자 중 하나임을 의미함.
본 발명은 MCP-1 및 CCR2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길항함으로서 항염증 및 면역기능 조절을 통해 CCR2와 관련된 여러 질환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화합물의 가능한 기하학적 이성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의 특정 관능기에 따라 통상의 유기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한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때 부가되는 산 또는 염기는 인체에 무해하거나 비교적 독성이 적어서 약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일 경우 염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산이 부가되어야 한다. 이때 바람직한 산 부가염은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요오드산 등의 무기산과, 아세트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갈락탐산, 말론산, 말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메탄술폰산, 젖산, 옥살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만델산, 프탈산 등의 유기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성일 경우 염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염기가 부가되어야 한다. 이때 바람직한 염기 부가염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유기암모늄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은 용매화되지 않거나 또는 물을 포함한 수화물 또는 통상의 유기합성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를 포함한 용매화물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수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은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방식으로서 무정형 또는 다수의 결정다형(polymorphism)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무정형 또는 각각의 결정다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유기합성 기술에 의해 다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3-아미노피롤리딘 구조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원료에 따라 다수의 방법으로 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반응식 1 내지 6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 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공통적인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3-아미노피롤리딘 구조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는 화합물 (3)과 같은 (3R)-(-)-1-벤질-3-아미노피롤리딘이다. 이때 피롤리딘 고리의 3번 탄소는 키랄성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3-아미노피롤리딘 구조를 포함하는 모든 화합물은 화합물 (3)의 명명법을 기준으로 하여 (R)-형태에 한정된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4
상기 반응식 1에 의하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출발물질인 화합물 (1)을 아미노산의 한 종류인 글리신과 함께 염기성 및 수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화합물 (2)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키랄성 3-아미노피롤리딘의 유도체인 화합물 (3)을 화합물 (2)와 반응시켜 아미드 결합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다수의 공지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합물 (2)의 카르복실산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isobutyl chloroformate)를 예시하였 으며, 이때 염기는 N-메틸모폴린(N-methylmorpholine ; NMM)을 사용하여 화합물 (4)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4)의 N-벤질기는 보호기의 의미로서, 피롤리딘 구조에 N-알킬화 및 기타 N-치환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벤질기를 탈보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팔라듐 촉매(Pd(OH)2)하에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화합물 (5)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화합물 (5)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CCR2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주요 중간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반응식 1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모든 중간체 화합물은 고체 상태로 수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극성 용매하에서 목적하는 화합물을 고체화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공업적 대량 생산에 용이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다수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주요 중간체로서의 화합물 (7)을 합성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합성은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5
상기 반응식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5)를 출발물질로 하여, 1,4-시클로헥산디온 모노에틸렌키탈 (1,4-cyclohexanedione monoethyleneketal)을 환원성 아민화 반응시켜 화합물 (6)과 같은 N-알킬 피롤리딘 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환원제는 다수의 공지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비교적 환원성이 약한 환원제인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sodium triacetoxyborohydride ; NaBH(OAc)3)를 사용하여 N-알킬피롤리딘 화합물의 용이한 제조법을 예시한다. 이렇게 제조된 화합물 (6)에서 보호기로 사용된 에틸렌키탈기를 수성 염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혼합용매 조건에서 용이하게 제거하여 목적하는 중간체 화합물 (7)을 제조한다.
한편 반응식 2에서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모든 중간체 화합물은 고체 상태로 수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극성 용매하에서 목적하는 화합물을 고체화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공업적 대량 생산에 용이한 제조 방법을 제공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가 화학식 2로 선택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하기 반응식 3에서 표시된 R3, R4, W3 및 n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6
상기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8) 및 화합물 (9)는 동일한 조건으로서 환원성 아민화 반응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즉 화합물 (8)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치환기 R3을 가지는 벤질아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화합물 (9)를 합성하기 위하여 치환기 R4 및 W3을 가지는 다수의 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9)를 합성하기 위한 물질로서는 모폴린(morpholine), 티오모폴 린(thiomorpholine), 피페라진(piperazine), 호모피페라진(homopiperazine) 및 R4의 치환기를 가지는 이들의 2급 아민 유도체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 (8) 및 (9)와 같은 1,4-치환된 시클로헥산 유도체들은 시스 및 트랜스 이성체로 각각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성체는 실리카겔을 이용한 통상적인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3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실시예 화합물번호 화학명
1 8-1-A N-{[1-(4-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
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1 8-1-B N-{[1-(4-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
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2 8-2-A N-{[1-(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2 8-2-B N-{[1-(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3 8-3-A N-{[1-(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3 8-3-B N-{[1-(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4 8-4-A N-{[1-(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 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4 8-4-B N-{[1-(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
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
(극성 기하이성질체)
5 9-1-B N-{[1-(4-(4-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6 9-2-A N-{[1-(1-(4-티오모폴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6 9-2-B N-{[1-(1-(4-티오모폴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
`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7 9-3-A N-{[1-(4-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이미드 염산염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7 9-3-B N-{[1-(4-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극성 기하이성질체)
8 9-4-A N-{[1-(4-(1,4-디아제판-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8 9-4-B N-{[1-(4-(1,4-디아제판-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극성 기하이성질체)
9 9-5-A N-{[1-(4-모포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9 9-5-B N-{[1-(4-모포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극성 기하이성질체)
10 9-6-A N-{[1-(4-((2R,5S)-2,5-디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
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비극성 기하이성질체)
10 9-6-B N-{[1-(4-((2R,5S)-2,5-디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
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극성 기하이성질체)
한편 A가 화학식 3으로 선택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 또는 반응식 5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4 및 5에서 표시된 R1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7
상기 반응식 4에 의하면 목적 화합물 (11)은 두가지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원료에 따라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화합물 (7)의 케톤기는 히드록시아민과 반응하여 결정성 물질로서 화합물 (10)을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액성에 영향을 주는 사용 원료의 형태에 따라 적합한 염기성 첨가물을 가하여 반응 조건을 정할 수 있다. 화합물 (10)의 옥심 구조로부터 목적하는 화합물 알콕심 유도체 (1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알킬할라이드, 디아조알칸 등 다수의 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합물의 특성을 고려, 디알킬 술페이트(dialkyl sulfate)를 사용하여 알킬화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예시한다. 한편 알콕시아민 원료가 제공 가능할 경우 화합물 (7)로부터 한 단계로 목적하는 화합물 (1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합물 (11)을 합성하는 또다른 방법을 예시하는데, 하기 반응식 5에서와 같이 독립적인 시클로헥산 유도체에 먼저 옥심 구조를 도입한 후 본 발명의 주요 구조인 3-아미노피롤리딘 중간체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는 키탈 구조로 보호화된 화합물 (12)로부터 출발하여, 옥심화, 알킬화 및 탈보호화 반응을 거쳐 화합물 (15)를 합성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환원성 아민화 반응에 의해 중간체 화합물 (5)와 결합하여 목적하는 화합물 (11)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8
상기 반응식 4 또는 5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실시예 화합물번호 화학명
11 10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2 11-1 N-{[1-(4-메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3 11-2 N-{[1-(4-에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4 11-3 N-{[1-(4-프로폭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5 11-4 N-{[1-(4-부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6 11-5 N-{[1-(4-벤질옥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
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한편 A가 화학식 4로 선택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6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하기 반응식 6에서 표시된 W2, R2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8089109740-pat00019
본 발명에서 제시된 주요 중간체 화합물 (5)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응식 6에서와 같이 N-보호화된 4-에틸피페리딘 유도체 (16)을 출발물질로 하여 목적 화합물 (21)을 합성하는 것을 제시한다. 이때 피페리딘의 N-보호기는 여러 반응 조건 및 탈보호를 고려하여 t-부톡시카르보닐기(Boc)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체 화합물 (5)와의 친핵치환 반응을 위하여 화합물 (17)로부터 알코올기를 메실화 (methanesulfonyl ; mesyl)시킨다. 화합물 (19)로부터 산 조건하에 탈보호화된 화합물 (20)을 수득한 후 얻어진 2급 아민기에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다양한 치환체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원료는 아릴카르보닐 할라이드, 아릴술포닐 할라이드, 아릴메틸렌 할라이드, 아릴 알킬카르보닐 할라이드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아릴기는 다수의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테로아릴카르보닐 할라이드, 헤테로아릴술포닐 할라이드, 헤테로아릴메틸렌 할라이드, 헤테로아릴알킬카르보닐 할라이드, 알킬 할라이드, 알킬카르보닐 할라이드, 알킬술포닐 할라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헤테로아릴기는 다수의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6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실시예 화합물번호 화학명
17 20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
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8 21-1 N-{[1-(2-(1-(2,4,6-트리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
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9 21-2 N-{[1-(2-(1-(3,5-디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0 21-3 N-{[1-(2-(1-(2-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1 21-4 N-{[1-(2-(1-(4-프로필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2 21-5 N-{[1-(2-(1-(3-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3 21-6 N-{[1-(2-(1-(4-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4 21-7 N-{[1-(2-(1-(4-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5 21-8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
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
아미드
26 21-9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
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
아미드
27 21-10 N-{[1-(2-(1-(3,4-디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
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8 21-11 N-{[1-(2-(1-(3-브로모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9 21-12 N-{[1-(2-(1-(4-에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0 21-13 N-{[1-(2-(1-(4-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1 21-14 N-{[1-(2-(1-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
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2 21-15 N-{[1-(2-(1-(톨루엔-4-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3 21-16 N-{[1-(2-(1-벤젠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4 21-17 N-{[1-(2-(1-(2-(4-클로로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
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
35 21-18 N-{[1-(2-(1-(2-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6 21-19 N-{[1-(2-(1-펜타노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7 21-20 N-{[1-(2-(1-이소부티릴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8 21-21 N-{[1-(2-(1-프로피오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
-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39 21-22 N-{[1-(2-(1-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
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0 21-23 N-{[1-(2-(1-(피리딘-4-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1 21-24 N-{[1-(2-(1-(피리딘-3-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2 21-25 N-{[1-(2-(1-(나프탈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
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3 21-26 N-{[1-(2-(1-(1H-인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
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4 21-27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
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
45 21-28 N-{[(1-(2-(1-(4-브로모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6 21-29 N-{[1-(2-(1-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
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7 21-30 N-{[1-(2-(1-(4-시아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8 21-31 N-{[1-(2-(1-(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9 21-32 N-{[1-(2-(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
(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 21-33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
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
아미드
51 21-34 N-{[1-(2-(1-(3,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
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약학적 용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CCR2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다수의 질환 및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CR2가 매개하는 염증성 질환, 장애 및 증상을 예방, 치료 및 개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는, MCP-1의 발현 또는 과다 발현과 관련된 질환 및 증상에 대하여 이로 인한 CCR2의 활성화를 억제 또는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질환은 염증 및 자가면역에 관련된 질환, 구체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호흡기성 알레르기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폐렴, 류마티스성 관절염, 포도막염, 다발성 경화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크론씨병, 대장염, 신염을 포함한다. 또한 대사성 질환으로서 당뇨병, 당뇨 합병증, 비만, 고지혈증을 포함한다. 또한 혈관 관련 질환으로서 동맥경화증, 재협착증에 이용될 수 있으며 기타 혈관보호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관 이식의 거절반응에 대한 면역억제제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은 CCR2 수용체의 병리학적 역할에 기인하는 질환 및 증상에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환 및 증상에 대한 치료제 또는 증상 완화제로서의 용도는 여기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은 CCR2 길항제로서의 유효성분이며, 이 유효성분의 1일 경구투여량은 0.01mg 내지 1,000mg/k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100mg의 범위를 가진다. 이는 해당 질환 및 투여 대상에 따라 선택된 투여 방식에 적절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1일 1회 내지 5회의 투약 요법에 따라 투여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타 약제와의 병용 투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발포성 정제, 캅셀제, 과립제, 산제, 서방성 정제, 서방성 캅셀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정맥 또는 근육내 주사제, 현탁액, 좌제, 피부 패취제, 복강내 주사제, 비강내 전달기구 등의 제형을 포함하며 기타 유효성분 및 투여 목적에 적합한 약학적 형태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생리학적으로 내성이 있는 부형제, 희석제, 보조제, 피복물질, 항산화제, 방향성 물질을 포함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부형제 및 보조제의 구체적인 예는 젤라틴, 자당, 유당, 레시틴, 펙틴, 전분, 시클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아라비아 고무, 알긴산, 틸로오스, 활석, 리코포듐, 실리식산, 인산수소칼슘, 셀룰로오스, 메톡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 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식물성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족 알코올, 글리콜, 글리세롤,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제 또는 붕해제의 구체적인 예는 교차 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전분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가 있다. 또한 정제의 피복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중합체 및 공중합체, 제인, 에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석시네이트, 셀락, 시트르산 에스테르, 타르타르 에스테르, 글리세롤,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한편 바람직한 제형화 또는 현탁액의 제조를 위하여 물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적절한 분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액체 제형에 있어서는 보존제, 항산화제 및 방향 강화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솔베이트 칼륨, 메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아스코빅산, 페퍼민트 오일 등이 있다. 바람직한 제형화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솔베이트 80과 같은 용해제 및 에멀젼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을 인체에 투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약학적 방법을 정제를 예시로 설명하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하기 제시된 화합물 A, B 및 C는 본 발명에서 CCR2 수용체 길항을 위한 유효 성분으로 제시한 물질을 의미한다.
조성물 1 (단위 : 정제당 mg)
화합물 A : 100.00
락토오스 : 183.00
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SLS) : 18.00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 15.00
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스 : 18.00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 60.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6.00
총량 : 400.00
조성물 2 (단위 : 정제당 mg)
화합물 A : 200.00
락토오스 : 203.75
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SLS) : 15.00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 12.50
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스 : 15.00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 50.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3.75
총량 : 500.00
조성물 3 (단위 : 정제당 mg)
화합물 C : 100.00
락토오스 : 213.00
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SLS) : 12.00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 10.00
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스 : 12.00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 50.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3.00
총량 : 400.00
[약리학적 효과]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의 CCR2 길항 효과는 적절한 약리 시험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CCR2 수용체 단백질과의 친화력, 또는 세포 단위의 시험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화학 주성(chemotaxis) 억제 효과 및 세포질내 칼슘 이온 유입(Ca2+ flux)의 억제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판단할 수 있다. 각 약리 시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 기술된 바와 같다.
1) CCR2 수용체 단백질과의 친화력 측정(CCR2 protein binding assay)
CCR2에 결합하여 수용체의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화합물의 친화력은 CHO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유전자 재조합 CCR2 수용체 (Perkinelmer, USA)와 방사능리간드 [125I]-MCP1 (Perkinelmer, USA)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수용체 결합 분석을 위해서 사용된 완충용액은 5mM MgCl2, 1mM CaCl2 및 0.5% BSA가 함유된 50mM Hepes (pH 7.4)를 사용한다. [125I]-MCP1 결합 분석시 96-웰 플레이트에 시험 약물과 CCR2 막(10μg/well), [125I]-MCP1을 가하여 최종 부피 0.25ml의 반응 혼합물을 만들고 이를 27℃에서 60분간 배양한다. 배양 후, 이노테크 하비스터(Inotech harvester, Inotech)를 이용하여 0.5% PEI에 미리 적신 Wallac filtermat A GF/C 유리섬유 필터(Wallac, Finland)를 통하여 신속히 여과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차가운 50mM Tris-HCl(pH 7.4) 완충용액으로 세척한다. 필터를 멜티렉스(MeltiLex)로 덮고, 샘플백에 봉인하여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마이크로베타 플러스(MicroBeta Plus, Wallac)로 카운트한다. 화합물의 수용체 친화력은 10μM의 고농도에서 측정하고, 10μM에서 50%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친화력이 비교적 우수한 화합물에 대하여 7~8단계 농도로 각 2개의 시험관에서 2회 반복 실험하며, 이로부터 얻은 등온선을 컴퓨터에 의한 비직선형 회귀분석에 의하여 수용체 친화력(IC50)을 계산한다.(GraphPad Prism Program, San Diego, USA) 비특이적 결합측정에는 D-Trp6-LHRH (1μM)를 사용한다.
2) CCR2의 칼슘 유입(Ca2+ flux) 억제 효과
CCR2b 형질전환세포(HEK293/CCR2b)를 라이신이 코팅된 black-clear bottom plate에 seeding한 후 24시간 동안 순응시키고 SFM(serum free media-DMEM)으로 교체하여 일야 방치시킨다. 다음날 Flour-4(calcium dye, Molecular probe사)를 처리하여, 배양기에 50분 동안 넣어둔 후에 칼슘이 제거된 완충용액으로 씻고 화합물을 10-15분 동안 전처리 한다. 여기에 MCP-1을 가하여 나타나는 신호를 FlexStationII (Molecular device사)에서 측정한다.
3) 화학 주성(Chemotaxis) 억제 효과
CCR2 기능에 대한 화합물의 길항 효과는 적당한 세포를 이용하는 백혈구 화학주성 분석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적당한 세포에는 CCR2를 발현하고 CCR2 리간드 (예를 들어, MCP-1)에 의해 유도되는 화학 주성을 나타내는 세포주, 재조합 세포 또는 분리된 세포가 포함된다.
사용한 세포주는 THP-1 세포이며, THP-1 세포는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소태아혈청을 보충한 RPMI-1640에서 증식시킨다. 세포 밀도는 0.5 x 106 cells/ml 사이에서 유지시킨다. MCP-1 유발 화학 주성을 96-웰 화학 주성 챔버(Neuro Probe)에 가동시키고, 재결합 hMCP-1(10ng/ml, R&D) 또는 완충액 단독 30μl를 하부 챔버에 첨가, 각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과 15분간 예비 배양된 THP-1 세포(4 x 106 cells/ml) 50μl를 상부 챔버에 첨가한다. 세포는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화학 주성을 갖도록 허용된다. 2시간 배양 후, 필터의 상부로부터 이동되지 않은 세포를 면봉으로 필터를 가볍게 닦아냄으로써 제거한다. 아래쪽 챔버로 이동된 세포는 형광판 판독기(fluorescent plate reder)(λ여기=480nm; λ방출=520nm)를 이용해서 측정한다. 화학주성 반응은 MCP-1 존재하에 이동된 세포의 평 균치와 케모카인 부재시의 이동된 세포의 평균치의 비인 화학 주성 지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의 수학식 1을 이용해서 저해 %를 산출한다
저해 % = (1-((F샘플-F완충액)/(FMCP-1-F완충액))) × 100
식 중, F샘플은 각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에 의해 미리 배양되고 하부 챔버 10ng/ml MCP-1으로 이동된 세포의 형광이고; FMCP-1은 완충액-0.1% DMSO에 의해 미리 배양되고 10ng/ml로 이동된 세포의 형광이고; F완충액은 완충액-0.1% DMSO에 의해 미리 배양되어 하부 챔버의 완충액으로 자발 이동된 세포의 형광이다.
상기 CCR2 수용체 단백질에 대한 친화력 프로토콜에 의한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IC50이 1nM 내지 10μM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칼슘 유입 억제 효과 및 화학 주성 억제 효과 프로토콜에 의한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각의 시험에 대하여 IC50이 1nM 내지 10μM의 범위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화합물에 대하여, 의약품 활성성분으로서의 유효성을 적절한 약리 시험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약물간 상호작용을 예측하기 위하여 약물 대사 효소에 대한 저해도(CYP450 inhibition)를 평가하며, 심장 독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hERG K 이온 통로에 대한 결합력을 평가하고, 또한 기타 다수의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을 실시하여 약물로서의 독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각 약리 시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 기술된 바와 같다.
1) CYP450 저해도 평가
약물대사 효소인 11종의 CYP450 효소중 5종(CYP3A4, 2C9, 2C19, 2D6, 1A2)에 대한 저해도 검색(P450-GloTM, Promega사)을 분석한다. 루시페린 측정시약을 완충액에 녹이고 각각의 CYP효소의 막을 준비한다. 화합물을 4배농도로 6.25μl 준비하고, 효소의 종류마다 적절한 기질과 효소를 섞은 반응 혼합물을 6.25μl 가하여 10분간 방치한다. 12.5μl의 CYP효소 NADPH 재생성 시약을 가하여 반응을 30분간 시킨 후 25μl의 루시페린 측정시약을 넣고 20분간 반응시켜서 형광을 Fusion α에서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들은 상기 CYP450 저해도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각 화합물의 농도는 10, 1, 0.1, 0.01μM로 한 결과, 상기 기술된 5종의 CYP450 효소들에 대하여 10μM 농도에서 0 내지 60%, 1μM 농도에서 0 내지 25%, 0.1μM 농도에서 0 내지 15%, 0.01μM 농도에서 0 내지 10%의 범위에서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CYP450에 대한 저해도가 비교적 낮음을 알 수 있다.
2) hERG K+ 심장독성 평가
약물의 hERG K+ 이온 통로(채널) 결합력을 방사성 리간드 [3H]Astemizole 치환 평가법 (hERG 결합 검색법)으로 수행한다. hERG 세포막(2.5μg/well), [3H]-Astemizole (4nM)을 포함한 완충액에 약물을 가하여 0.2ml의 반응 혼합물을 만들고 이를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이를 하비스터(Inotech harvester)를 이용하여 0.3% 폴리에틸렌이민에 미리 적신 Filtermat-A(Wallac) 필터로 신속히 여과, 세척한 후, 필터를 멜티렉스(MeltiLex)로 덮고, 샘플백에 봉인, 건조시켜 마이크로베타 플러스(MicroBeta Plus, Wallac)로 RI 값을 측정한다. 실험에서 얻은 저해도를 비직선형 회귀분석(GraphPad Prism Program)하여 결합억제도(IC50)를 계산하고 비특이적 결합측정에는 0.1μM의 astemizole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상기 hERG K 심장독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화합물의 농도 10μM에서 30% 이하의 범위에서 결합력을 나타내어 심장 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다.
3) 세포독성 평가 (cell viability ; cytotoxicity)
시험 화합물의 세포독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THP-1 세포에 대하여 MTS(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Promega, U.S.A) 방법을 이용한다. MTS 방법은 세포의 생활력과 증식 및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예민한 방법으로서 살아있는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가 노란색의 MTS를 불용성인 formazan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한 방법이다. THP-1 세포는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소태아혈청을 보충한 RPMI-1640에서 증식시킨다. 세포 밀도는 0.5 × 106 cells/ml 사이에서 유지시킨다. THP-1 세포를 1 × 105 cell/ml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시험 화합물을 1, 10μM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뒤 317μg/ml의 MTS를 96-웰 플레이트에 20μl 처리한다. 1시간 뒤 ELISA reader에서 흡광 490nm에서 측정하여 세포의 활성도를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formazan 결정의 흡광도로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다.
세포생존율(%) = (실험군의 흡광도 (Absorbance of experimental wells)/대조군의 흡광도 (Absorbance of control wells)) × 100
시험 화합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험 화합물 10μM 처리군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안전한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약리 시험 프로토콜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예시로서 기술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약리 시험 화합물 21-14 화합물 11-1 화합물 9-5-A
CCR2 수용체 친화력
IC50(μM)
0.58 5.14 0.72
칼슘이온 유입 억제
IC50(μM)
0.072 0.58 0.43
화학주성 억제
IC50(μM)
0.11 0.17 0.22
CYP450 억제% 1A2
@ 10, 1, 0.1, 2C9
0.01 μM 2C19
(농도 순서대로 2D6
기술) 3A4
7, 18, -10, -15
15, -3, -24, 2
57, 5, -1, -2
19, 10, 4, -1
9, 3, -4, -9
45, 16, -3, -11
14, 4, 4, 2
54, 23, 2, 8
14, 13, 7, 2
3, 3, 14, 9
-
hERG K 억제%
@ 10μM
25 27 -
세포 생존율
(LD50, μM)
100.0
(>10)
99.1
(>10)
99.7
(>10)
한편, 본 발명의 CCR2 길항제로서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해 하기 제조예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중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예 1 :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아세트산 ; 화합물 (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0
글리신 0.763g(10.16mmol)을 아세토니트릴 20ml에 현탁시키고 2M NaOH 수용액 12.7ml(25.40mmol, 2.5eq.)을 가하였다. 0-3℃로 냉각한 후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2.12g(10.16mmol, 1.0eq.)을 아세토니트릴 4ml에 희석시켜 천천히 적가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한 후 3N 염산 수용액으로 pH = 2-3으로 조절하였다. 상온에서 정치시킨 후 상층 유기용액을 분리하고, 하층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ml로 3회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은 유기 용액을 모두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고체화시켜 여과한 후 노르말 헥산으로 세척,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2.28g(91%)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3.94(2H,d), 7.74(1H,t), 7.93(1H,d), 8.16(1H,d), 8.20(1H,s), 9.12(1H,t)
제조예 2 :
N-[(1-벤질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1
제조예 1에서 기술된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아세트산 10.74g(43.4mmol) 및 N-메틸모폴린 6.58g(65.10mmol, 1.5eq.)을 아르곤 가스 하에 테트라히드로퓨란 80ml에 용해시켰다. -10℃로 냉각시킨 후 이소부틸 클로로포메이트 7.11g(52.08mmol, 1.2eq.)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0ml에 희석시켜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15분간 교반하고 (3R)-(-)-1-벤질-3-아미노피롤리딘 8.03g(45.57mmol, 1.1eq.)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0ml에 희석시켜 천천히 적가하였다. -1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정제수 100ml를 투입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로 3회 연속 추출하여 유기층을 회수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t-부틸 메틸 에테르로 고체화시켜 여과한 후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2.18g(6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62-1.66(1H,m), 2.26-2.36(2H,m), 2.54-2.59(1H,m), 2.63-2.66(1H,m), 2.89-2.93(1H,m), 3.62(2H,d), 4.10(2H,d), 4.46-4.90(1H,m), 4.62(1H,br s), 7.15(1H,br s), 7.29-7.34(5H,m), 7.59(1H,t), 7.78(1H,d), 8.00(1H,d), 8.11(1H,s)
제조예 3 :
N-(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5)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2
제조예 2에서 기술된 N-[(1-벤질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9.00g(22.20mmol)을 메탄올 45ml에 용해시키고 팔라듐 히드록시드(Pd(OH)2) 0.05g(촉매량)을 투입하였다. 반응액을 수소 가스 1기압 환경하에 상온에서 일야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규조토를 사용하여 여과, 여과액을 회수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 (이동상 : 메탄올), 목적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5.74g(82%)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47-1.52(1H,m), 1.86-1.91(1H,m), 2.68-2.74(1H,m), 2.79-2.84(1H,m), 2.86-2.91(1H,m), 3.16(2H,s), 3.86(2H,d), 4.05-4.13(1H,m), 7.73(1H,t), 7.93(1H,d), 8.00(1H,d), 8.17(1H,d), 8.22(1H,s), 8.98(1H,t)
제조예 4 :
N-{[1-(1,4-디옥사스피로[4.5]데스-8-일)-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6)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3
1,4-시클로헥산디온 모노에틸렌키탈 297mg(1.90mmol, 1.2eq.) 및 제조예 3에서 기술된 N-(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0mg(1.59mmol)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퓨란 25ml에 용해시켰다.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839mg(3.96mmol, 2.5eq.)을 반응 용액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메탄올 5ml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5:1)한 후 무색 투명한 오일 상태의 목적 화합물 640mg(8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42-1.55(2H,m), 1.55-1.78(4H,m), 1.80-2.05(3H,m), 2.08-2.20(1H,m), 2.23-2.37(1H,m), 2.90-3.05(1H,m), 3.10-3.25(2H,m), 3.50-3.60(1H,m), 3.80-3.92(6H,m), 4.38-4.47(1H,m), 7.33(1H,t), 7.92(1H,d), 8.19(1H,d), 8.23(1H,s), 8.47(1H,br s), 9.09(1H,br s)
제조예 5 :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7)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4
제조예 4에서 기술된 N-{[1-(1,4-디옥사스피로[4.5]데스-8-일)-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0mg(1.10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5ml 및 3N 염산 수용액 15ml에 용해시키고 50℃로 가온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 증류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한 후 고체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3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농축한 후 일야 정치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340mg(76%)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58-1.67(1H,m), 1.70-1.81(2H,m), 1.88-1.99(2H,m), 2.05-2.14(1H,m), 2.17-2.25(2H,m), 2.30-2.50(5H,m), 2.70-2.80(2H,m), 3.86(1H,d), 4.18-4.25(1H,m), 7.73(1H,t), 7.91(1H,d), 8.14(1H,t), 8.15-8.19(2H,m), 8.21(1H,s), 8.99(1H,t)
제조예 6 :
t-부틸 4-(2-메탄술포닐옥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 화합물 (18)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5
디클로로메탄 50ml에 2-(피페리딘-4-일)에탄올 2.00g(15.48mmol)을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ml에 희석시킨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 3.38g((Boc)2O, 15.48mmol, 1.0eq.)을 0-3℃에서 천천히 투입하였다. 상온에서 일야 교반한 후 정제수 50ml를 투입하고 정치,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물층을 다시 디클로로메탄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7), 즉 t-부틸 4-(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2.53g(71.3%)을 수득하였다. 이를 다시 디클로로메탄 4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1.21g(11.99mmol, 1.1eq.)과 메실 클로라이드 1.50g(13.08mmol, 1.2eq.)을 가하고 24시간 상온에서 교반했다. 반응액에 정제수 40ml를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다시 수층을 디클로로메탄 40ml로 1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5:1)하여 백색 고체로서 목적 화합물 2.88g(85%)을 수득했다.
1H NMR(400MHz,DMSO-d6) 0.99(2H,q), 1.38(9H,s), 1.50-1.65(5H,m), 2.66(2H,br s), 3.16(3H,s), 3.90(2H,d), 4.23(2H,t)
제조예 7 :
N-{[1-(2-(1-(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9)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6
제조예 3에서 기술된 N-(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00g(3.17mmol)과 탄산칼륨 0.93g(9.52mmol, 3.0eq.)을 아세토니트릴 25ml에 투입하고, 아세토니트릴 5ml에 희석시킨 제조예 6의 t-부틸 4-(2-메탄술포닐옥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93g(3.17mmol, 1.0eq.)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24시간 교반한 다음, 정제수 25ml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MC/MeOH = 9:1)하여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41g(8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9-0.99(2H,m), 1.30-1.34(3H,m), 1.37(9H,s), 1.41-1.44(1H,m), 1.52-1.62(3H,m), 2.03-2.08(1H,m), 2.28-2.40(4H,br s), 2.60-2.66(4H,br s), 3.85(3H,d), 3.90-3.97(1H,br s), 4.14-4.16(1H,m), 7.73(1H,t), 7.91(1H,d), 8.10(1H,d), 8.17(1H,d), 8.21(1H,s), 8.98(1H,t)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
N-{[1-(4-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8-1-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7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00mg(0.24mmol)을 디클로로메탄 10ml에 용해시킨 후, 벤질아민 21mg(0.20mmol, 0.8eq.)과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69mg(0.32mmol, 1.3eq.)을 가하였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뒤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10ml를 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 5:1)하여 각각의 이성질체를 분리, 하기와 같이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8-1-A) : 비극성 이성질체, 노란색 고체, 37mg(30%)
1H NMR(400MHz,DMSO-d6) 1.33-1.49(4H,m), 1.50-1.70(6H,m), 1.98-2.10(2H,m), 2.29-2.35(1H,m), 2.37-2.44(2H,m), 2.56-2.64(1H,m), 2.69(1H,t), 3.67(2H,s), 3.86(2H,d), 4.10-4.20(1H,m), 7.15-7.21(1H,m), 7.25-7.33(4H,m), 7.72(1H,t), 7.90(1H,d), 8.08(1H,d), 8.17(1H,d), 8.21(1H,s), 8.99(1H,t)
화합물 (8-1-B) : 극성 이성질체, 노란색 고체, 43mg(35%)
1H NMR(400MHz,DMSO-d6) 1.00-1.10(4H,m), 1.50-1.58(1H,m), 1.61(1H,s), 1.82-1.96(5H,m), 1.98-2.08(1H,m), 2.26-2.33(1H,m), 2.34-2.41(2H,m), 2.62-2.70(2H,m), 3.69(2H,s), 3.84(2H,d), 4.08-4.16(1H,m), 7.15-7.22(1H,m), 7.25-7.33(4H,m), 7.72(1H,t), 7.90(1H,d), 8.06(1H,d), 8.15(1H,d), 8.21(1H,s), 8.97(1H,t)
실시예 2 :
N-{[1-(4-(3,4-디클로로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8-2-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8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00mg(0.24mmol), 3,4-디클로로벤질아민 35mg(0.20mmol, 0.8eq.)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69mg(0.32mmol, 1.3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8-2-A) : 비극성 이성질체, 노란색 고체, 58mg(42%)
1H NMR(400MHz,DMSO-d6) 1.33-1.47(4H,m), 1.48-1.70(6H,m), 1.96-2.10(2H,m), 2.31(1H,t), 2.37-2.44(1H,m), 2.55-2.63(1H,m), 2.70(1H,t), 3.66(2H,s), 3.86(2H,d), 4.10-4.20(1H,m), 7.30(1H,d), 7.53(1H,d), 7.58(1H,s), 7.72(1H,t), 7.90(1H,d), 8.13(1H,d), 8.17(1H,d), 8.22(1H,s), 9.10(1H,t)
화합물 (8-2-B) : 극성 이성질체, 미황색 고체, 42mg(30%)
1H NMR(400MHz,DMSO-d6) 0.95-1.12(4H,m), 1.49-1.58(1H,m), 1.59(1H,s), 1.80-1.95(5H,m), 1.96-2.06(1H,m), 2.21-2.30(1H,m), 2.34-2.42(2H,m), 2.64(2H,q), 3.68(2H,s), 3.84(2H,d), 4.08-4.17(1H,m), 7.31(1H,d), 7.53(1H,d), 7.57(1H,s), 7.72(1H,t), 7.90(1H,d), 8.09(1H,d), 8.17(1H,d), 8.21(1Hs,), 9.04(1H,t)
실시예 3 :
N-{[1-(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8-3-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29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00mg(0.24mmol),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민 35mg (0.20mmol, 0.8eq.)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69mg(0.32mmol, 1.3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8-3-A) : 비극성 이성질체, 노란색 고체, 51mg(37%)
1H NMR(400MHz,DMSO-d6) 1.20-1.49(4H,m), 1.50-1.60(3H,m), 1.61-1.70(3H,m), 2.00-2.08(2H,m), 2.29-2.35(1H,m), 2.38-2.45(2H,m), 2.55-2.65(1H,m), 2.70(1H,t), 3.76(2H,s), 3.87(2H,d), 4.10-4.20(1H,m), 7.48-7.58(2H,m), 7.62(1H,d), 7.69(1H,s), 7.72(1H,t), 7.90(1H,d), 8.07(1H,d), 8.17(1H,d), 8.21(1H,s), 8.98(1H,t)
화합물 (8-3-B) : 극성 이성질체, 미황색 고체, 55mg(40%)
1H NMR(400MHz,DMSO-d6) 0.98-1.13(4H,m), 1.50-1.60(2H,m), 1.81-1.93(5H,m), 1.96-2.07(1H,m), 2.24-2.33(1H,m), 2.34-2.40(2H,m), 2.66(2H,t), 3.78(1H,s), 3.85(2H,d), 4.10-4.18(1H,m), 7.48-7.56(2H,m), 7.62(1H,d), 7.68(1H,s), 7.72(1H,t), 7.91(1H,d), 8.09(1H,d), 8.17(1H,d), 8.21(1H,s), 9.02(1H,t)
실시예 4 :
N-{[1-(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8-4-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0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00mg(0.24mmol),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민 49mg(0.20mmol, 0.8eq.)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69mg(0.32mmol, 1.3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8-4-A) : 비극성 이성질체, 노란색 고체, 63mg(41%)
1H NMR(400MHz,DMSO-d6) 1.36-1.50(3H,m), 1.52-1.72(5H,m), 1.73-1.83(1H,m), 1.85-1.97(1H,m), 2.00-2.13(2H,m), 2.17-2.26(1H,m), 2.30-2.45(2H,m), 2.54-2.65(1H,m), 2.70-2.78(1H,m), 3.82-3.90(4H,m), 4.11-4.25(1H,m), 7.73(1H,t), 7.92(1H,s), 8.05(1H,s), 8.12(1H,d), 8.19(1H,d), 8.23(1H,s), 9.08(1H,t)
MS (M+1)+ 639.3
화합물 (8-4-B) : 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58mg(37%)
1H NMR(400MHz,DMSO-d6) 1.00-1.15(4H,m), 1.50-1.58(2H,m), 1.80-1.95(5H,m), 2.25-2.34(2H,m), 2.35-2.40(2H,m), 2.61-2.70(2H,m), 3.82-3.86(4H,m), 4.09-4.17(1H,m), 7.72(1H,t), 7.90(2H,d), 8.02(2H,s), 8.07(1H,d), 8.16(1H,d), 8.21(1H,s), 8.99(1H,t)
실시예 5 :
N-{[1-(4-(4-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9-1-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1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00mg(0.73mmol) 및 1-메틸피페라진 73mg(0.73mmol, 1.0eq.)을 디클로로에탄 5ml에 용해시켰다.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0.62g(2.92mmol, 4.0eq.)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25ml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5:1)하였다. 이때 실리카겔 상에서 분리된 이성질체 중 극성 이성질체만을 회수하여 목적 화합물 160mg(4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CDCl3) 1.24-1.33(2H,m), 1.45(2H,t), 1.53-1.64(2H,m), 1.65-1.74(4H,m), 1.78-1.90(2H,m), 2.15-2.27(4H,m), 2.29(3H,s), 2.47(4H,q), 2.50-2.70(2H,m), 2.72(1H,d), 2.97(1H,t), 4.12(2H,t), 4.48-4.51(1H,m), 6.43(1H,d), 7.12(1H,s), 7.60(1H,t), 7.78(1H,d), 8.01(1H,d), 8.12(1H,s), 8.03(1H,d), 8.14(1H,s)
MS (M+1)+ 496.4
실시예 6 :
N-{[1-(1-(4-티오모폴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9-2-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2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50mg(0.36mmol) 및 티오모폴린 38mg(0.36mmol, 1.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하기와 같이 수득하였다.
화합물 (9-2-A) : 비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22mg(12%)
1H NMR(400MHz,CDCl3) 1.42-1.57(5H,m), 1.72-1.95(4H,m), 2.18-2.39(4H,m), 2.56-2.62(1H,m), 2.70(5H,d), 2.82(4H,t), 2.93-3.09(1H,s), 4.13(2H,t), 4.48-4.54(1H,m), 6.63(1H,s), 7.24(1H,s), 7.60(1H,t), 7.78(1H,d), 8.03(1H,d), 8.13(1H,s)
화합물 (9-2-B) : 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68mg(37%)
1H NMR(400MHz,CDCl3) 1.20-1.37(5H,m), 1.83(2H,d), 1.93-2.06(3H,m), 2.27-2.37(3H,m), 2.60(1H,dd), 2.67(4H,t), 2.78(1H,dd), 2.84(4H,t), 2.99-3.04(1H,m), 4.10(2H,d), 4.45-4.51(1H,m), 6.40(1H,d), 7.06(1H,s), 7.60(1H,t), 7.78(1H,d), 8.01(1H,d), 8.11(1H,s)
실시예 7 :
N-{[1-(4-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이미드 염산염 ; 화합물 (9-3-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3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00mg(0.24mmol) 및 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5mg(0.24mmol, 1.0eq.)을 디클로로에탄 5ml에 용해시켰다.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0.20g(0.96mmol, 4.0eq.)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25ml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5:1)하였다. 이때 실리카겔 상에서 분리된 비극성 및 극성 이성질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이성질체를 각각 염산이 포화된 에탄올 15ml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30분 교반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고진공하에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을 하기와 같이 수득하였다.
화합물 (9-3-A) : 비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19mg(15%)
1H NMR(400MHz,DMSO-d6) 1.73-1.82(3H,m), 1.89-2.05(5H,m), 2.12-2.28(5H,m), 2.30-2.35(2H,m), 2.93-2.99(1H,m), 3.42-3.78(7H,m), 3.80-3.98(3H,m), 4.45-4.55(1H,m), 7.70-7.76(1H,m), 7.92(1H,t), 8.18(1H,d), 8.23(1H,s), 8.45-8.63(1H,m), 9.07-9.12(1H,m), 9.32-9.48(2H,m), 10.85-10.97(1H,m), 11.64-11.70(1H,m)
화합물 (9-3-B) : 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40mg(32%)
1H NMR(400MHz,DMSO-d6) 1.43-1.68(4H,m), 1.82-2.03(2H,m), 2.09-2.33(5H,m), 2.95-3.30(4H,m), 3.44-3.72(9H,m), 3.84-3.93(2H,m), 4.26-4.47(1H,m), 7.73(1H,q), 7.92(1H,t), 8.19(1H,d), 8.23(1H,s), 8.50(1H,t), 9.06-9.13(1H,m), 9.46-9.75(2H,m), 11.28-11.40(1H,m), 11.93-12.04(1H,m)
실시예 8 :
N-{[1-(4-(1,4-디아제판-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 화합물 (9-4-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4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300mg(0.73mmol) 및 t-부틸 호모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50mg(0.73mmol, 1.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하기와 같이 수득하였다.
화합물 (9-4-A) : 비극성 이성질체, 노란색의 고체, 77mg(20%)
1H NMR(400MHz,DMSO-d6) 1.64-1.79(2H,m), 1.93-2.43(10H,m), 2.96-3.14(1H,m), 3.20-3.38(3H,m), 3.42-3.51(6H,m), 3.77-4.05(6H,m), 4.46-4.52(1H,m), 7.73(1H,t), 7.91(1H,t), 8.19(1H,d), 8.23(1H,s), 8.60-8.66(1H,m), 9.11(1H,d), 9.31-9.49(1H,m), 9.76-9.94(1H,m), 10.84-11.03(1H,m), 11.61-11.68(1H,m)
화합물 (9-4-B) : 극성 이성질체, 노란색의 고체, 168mg(43%)
1H NMR(400MHz,DMSO-d6) 1.43-1.70(4H,m), 1.72-1.98(1H,m), 2.07-2.34(7H,m), 2.95-3.30(10H,m), 3.48-3.72(6H,m), 4.28-4.47(1H,m), 7.72(1H,q), 7.90(1H,d), 8.19(1H,d), 8.23(1H,s), 8.47-8.59(1H,m), 9.12(1H,d), 9.27-9.41(1H,m), 9.71-9.83(1H,m), 11.40-11.58(2H,m)
실시예 9 :
N-{[1-(4-모포린-4-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9-5-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5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200mg(0.49mmol) 및 모폴린 42mg(0.49mmol, 1.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하기와 같이 수득하였다.
화합물 (9-5-A) : 비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70mg(29%)
1H NMR(400MHz,CDCl3) 1.48-1.58(2H,m), 1.80-1.87(5H,m), 2.17-2.23(1H,m), 2.24-2.32(1H,m), 2.33-2.47(2H,m), 2.48-2.60(4H,m), 2.61-2.69(1H,m), 2.70-2.89(2H,m), 2.94(1H,d), 3.11-3.21(1H,m), 3.73-3.78(4H,m), 4.15(2H,dd), 4.53-4.64(1H,m), 7.38(1H,br s), 7.45(1H,br s), 7.59(1H,t), 7.77(1H,d), 8.06(1H,d), 8.16(1H,br s)
화합물 (9-5-B) : 극성 이성질체, 백색의 고체, 105mg(44%)
1H NMR(400MHz,CDCl3) 1.63-1.79(1H,m), 1.92-2.10(7H,m), 2.12-2.23(2H,m), 2.24-2.42(4H,m), 2.55(3H,t), 2.65(1H,dd), 2.83(1H,d), 3.06(1H,t), 3.72(4H,t), 4.11-4.16(2H,m), 4.42-4.59(1H,m), 6.78(1H,br s), 7.18(1H,br s), 7.60(1H,t), 7.78(1H,d), 8.02(1H,d), 8.12(1H,s)
실시예 10 :
N-{[1-(4-((2R,5S)-2,5-디메틸피페라진-1-일)-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 화합물 (9-6-A, B)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6
제조예 5에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150mg(0.36mmol) 및 (2S,5R)-t-부틸 2,5-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78mg(0.36mmol, 1.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하기와 같이 수득하였다.
화합물 (9-6-A) : 비극성 이성질체, 노란색의 시럽, 42mg(21%)
1H NMR(400MHz,DMSO-d6) 1.28(6H,d), 1.40(3H,d), 1.71-1.77(1H,m), 1.78-1.90(2H,m), 2.01-2.11(2H,m), 2.13-2.21(2H,m), 2.24-2.42(2H,m), 2.91-3.13(2H,m), 3.48-3.57(2H,m), 3.63-3.97(8H,m), 4.46-4.61(1H,m), 7.72(1H,q), 7.90(1H,t), 8.19(1H,d), 8.23(1H,s), 8.50-8.75(1H,m), 9.06-9.12(1H,m), 9.73-10.20(3H,m), 10.77-10.89(1H,m), 11.98-12.09(1H,m)
화합물 (9-6-B) : 극성 이성질체, 노란색의 시럽, 86mg(43%)
1H NMR(400MHz,DMSO-d6) 1.31(3H,d), 1.38(3H,d), 1.46-1.49(1H,m), 1.62-1.79(3H,m), 1.94-2.05(2H,m), 2.10-2.32(4H,m), 2.97-3.30(5H,m), 3.48-3.72(5H,m), 3.74-3.82(1H,m), 3.88(3H,d), 4.31-4.47(1H,m), 7.73(1H,q), 7.92(1H,t), 8.19(1H,d), 8.23(1H,s), 8.49-8.57(1H,m), 9.11(1H,d), 9.78-9.94(1H,m), 10.17-10.34(1H,m), 11.27-11.44(1H,m), 12.15-12.27(1H,m)
실시예 11 :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0)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7
제조예 5에서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700mg(1.70mmol), 중탄산나트륨 429mg(5.10mmol, 3.0eq.) 및 히드록시아민 염산염 180mg(2.60mmol, 1.5eq.)을 메탄올 30ml에 현탁시켰다. 상온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물 30ml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45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t-부틸 메틸 에테르로 고체화시켜 목적 화합물 457mg(6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30-1.48(2H,m), 1.51-1.63(1H,m), 1.72-1.90(2H,m), 1.98-2.10(3H,m), 2.20-2.32(2H,m), 2.38-2.50(2H,m), 2.62-2.70(3H,m), 3.85(2H,d), 4.10-4.20(1H,m), 7.73(1H,t), 7.91(1H,d), 8.12-8.18(2H,m), 8.21(1H,s), 8.99(1H,t), 10.17(1H,s)
MS (M+1)+ 427.2
실시예 12 :
N-{[1-(4-메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1-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8
제조예 5에서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0mg(1.22mmol), 중탄산나트륨 310mg(3.69mmol, 3.0eq.) 및 O-메틸히드록실아민 염산염 150mg(1.80mmol, 1.5eq.)을 메탄올 25ml에 현탁시켰다. 상온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물 50ml를 투입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t-부틸 메틸 에테르 및 노르말 헥산 혼합용매로 고체화시켜 목적 화합물 420mg(7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32-1.52(2H,m), 1.52-1.63(1H,m), 1.70-1.90(2H,m), 2.00-2.18(3H,m), 2.20-2.32(2H,m), 2.35-2.50(2H,m), 2.62-2.78(3H,m), 3.68(3H,s), 3.86(2H,d), 4.12-4.23(1H,m), 7.23(1H,t), 7.91(1H,d), 8.11(1H,d), 8.16(1H,d), 8.21(1H,s), 8.97(1H,t)
실시예 13 :
N-{[1-(4-에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1-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39
실시예 11에 기술된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mg(0.12mmol)을 메탄올 5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술페이트 90mg(0.59mmol, 5.0eq.)와 2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0.12ml(0.23mmol, 2.0eq.)를 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정제수 15ml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5:1)하여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34mg(6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4(3H,t), 1.37-1.45(2H,m), 1.57-1.61(1H,m), 1.74-1.89(2H,m), 2.03-2.16(3H,m), 2.20-2.36(2H,m), 2.39-2.48(2H,m), 2.67-2.78(3H,m), 3.85(2H,d), 3.94(2H,q), 4.13-4.23(1H,m), 7.73(1H,t), 7.91(1H,d), 8.09(1H,d), 8.16(1H,d), 8.21(1H,s), 8.97(1H,t)
실시예 14 :
N-{[1-(4-프로폭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1-3)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0
실시예 11에 기술된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mg(0.12mmol), 디프로필 술페이트 107mg(0.59mmol, 5.0eq.) 및 2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0.23ml(0.47mmol, 4.0eq.)를 사용하여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38mg(6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5(3H,t), 1.36-1.50(2H,m), 1.51-1.62(3H,m), 1.73-1.88(2H,m), 2.05-2.18(3H,m), 2.20-2.32(2H,m), 2.38-2.50(2H,m), 2.64-2.79(3H,m), 3.83-3.86(4H,m), 4.12-4.22(1H,m), 7.73(1H,t), 7.91(1H,d), 8.09(1H,d), 8.16(1H,d), 8.21(1H,s), 8.97(1H,s)
실시예 15 :
N-{[1-(4-부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1-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1
실시예 11에 기술된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50mg(0.12mmol), 디부틸 술페이트 123mg(0.59mmol, 5.0eq.) 및 2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0.23ml(0.47mmol, 4.0eq.)를 사용하여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40mg(7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7(3H,t), 1.30(2H,q), 1.34-1.58(5H,m), 1.72-1.88(2H,m), 2.04-2.13(3H,m), 2.20-2.31(2H,m), 2.38-2.50(2H,m), 2.61-2.78(3H,m), 3.85-3.91(4H,m), 4.14-4.21(1H,m), 7.73(1H,t), 7.91(1H,d), 8.08(1H,d), 8.16(1H,d), 8.21(1H,s), 8.97(1H,s)
실시예 16 :
N-{[1-(4-벤질옥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11-5)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2
제조예 5에서 기술된 N-{[1-(4-옥소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80mg(0.19mmol) 및 O-벤질히드록실아민 24mg(0.19mmol, 1.0eq.)을 메탄올 25ml에 현탁시켰다.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물 15ml를 투입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5:1)하여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0mg(8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33-1.52(2H,m), 1.53-1.64(1H,m), 1.73-1.89(2H,m), 2.06-2.11(2H,m), 2.12-2.22(1H,m), 2.23-2.35(2H,m), 2.39-2.50(2H,m), 2.63-2.84(3H,m), 3.85(2H,d), 4.12-4.23(1H,m), 4.98(2H,s), 7.26-7.36(5H,m), 7.72(1H,t), 7.91(1H,d), 8.09(1H,d), 8.16(1H,d), 8.21(1H,s), 8.97(1H,s)
MS (M+1)+ 517.1
실시예 17 :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 화합물 (20)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3
제조예 7에서 기술된 N-{[1-(2-(1-(t-부톡시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메틸벤즈아미드 0.68g(1.30mmol)을 염산으로 포화된 에탄올 3ml에 용해시켰다. 상온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고, 고진공하에 일야 건조시킨 후 노란색 시럽으로의 목적 화합물 0.58g(98%)을 수득하였다.
MS (M+1)+ 427.10
실시예 18 :
N-{[1-(2-(1-(2,4,6-트리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4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50mg(0.32mmol)과 탄산칼륨 130mg(0.94mmol, 2.9eq.)을 아세토니트릴 6ml에 투입한 후, 아세토니트릴 2ml에 희석한 2,4,6-트리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65.1mg(0.36mmol, 1.1eq.)을 적가하였다. 일야 환류, 교반한 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정제수 15ml를 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 3:1)하여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19mg(6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0-1.10(2H,m), 1.30-1.38(2H,m), 1.45-1.60(3H,m), 1.76(1H,d), 2.04(3H,s), 2.08-2.14(4H,m), 2.22(3H,s), 2.25-2.40(4H,m), 2.50-2.61(2H,m), 2.70(1H,t), 2.90(1H,t), 3.10-3.18(1H,m), 3.84(2H,d), 4.10-4.19(1H,m), 4.53(1H,d), 6.85(2H,d), 7.72(1H,t), 7.91(1H,d), 8.10(1H,d), 8.17(1H,d), 8.21(1H,s), 9.02(1H,t)
MS (M+1)+ 573.4
실시예 19 :
N-{[1-(2-(1-(3,5-디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화합물 (21-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5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50mg(0.32mmol), 탄산칼륨 130mg(0.94mmol, 2.9eq.) 및 3,5-디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60mg(0.36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15mg(6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95-1.05(2H,m), 1.28-1.40(2H,m), 1.44-1.64(3H,m), 1.65-1.77(1H,m), 2.00-2.10(1H,m), 2.27(6H,s), 2.31-2.45(4H,m), 2.54-2.62(2H,m), 2.65-2.72(1H,m), 2.85-3.00(1H,m), 3.46-3.60(1H,m), 3.85(2H,d), 4.10-4.20(1H,m), 4.35-4.46(1H,m), 6.92(2H,s), 7.04(1H,s), 7.72(1H,t), 7.90(1H,d), 8.10(1H,d), 8.17(1H,d), 8.21(1H,s), 8.98(1H,t)
실시예 20 :
N-{[1-(2-(1-(2-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3)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6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50mg(0.32mmol), 탄산칼륨 130mg(0.94mmol, 2.9eq.) 및 2-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55mg(0.36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32mg(7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0-1.14(2H,m), 1.28-1.40(2H,m), 1.46-1.61(3H,m), 1.65-1.80(1H,m), 1.95-2.10(1H,m), 2.21-2.23(3H,m), 2.25-2.42(4H,m), 2.50-2.63(2H,m), 2.71(1H,t), 2.91(1H,t), 3.17-3.20(1H,m), 3.85(2H,d), 4.15(1H,s), 4.59(1H,d), 7.72(1H,t), 7.90(1H,d), 8.09(1H,d), 8.16(1H,d), 8.21(1H,s), 8.98(1H,t)
실시예 21 :
N-{[1-(2-(1-(4-프로필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7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4-프로필벤조일 클로라이드 43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4mg(6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9(3H,t), 1.00-1.10(2H,m), 1.32-1.40(2H,m), 1.50-1.63(5H,m), 2.00-2.10(1H,m), 2.30-2.42(4H,m), 2.52-2.62(4H,m), 2.63-2.73(1H,m), 3.07(1H,s), 3.48-3.51(1H,m), 3.85(2H,d), 4.10-4.20(1H,m), 4.45-4.50(1H,m), 7.21-7.27(4H,m), 7.73(1H,t), 7.91(1H,d), 8.08(1H,d), 8.16(1H,d), 8.21(1H,s), 8.96(1H,t)
실시예 22 :
N-{[1-(2-(1-(3-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5)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8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3-메톡시벤질 클로라이드 37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74mg(6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0-1.14(2H,m), 1.33-1.42(2H,m), 1.51-1.62(3H,m), 1.65-1.78(1H,m), 2.00-2.11(1H,m), 2.20(3H,s), 2.33-2.43(4H,m), 2.54-2.66(2H,m), 2.89-3.01(1H,m), 3.07(1H,s), 3.45-3.60(1H,m), 3.85(2H,d), 4.10-4.19(1H,m), 4.45-4.50(1H,m), 7.10-7.15(2H,m), 7.23(1H,d), 7.30(1H,t), 7.74(1H,t), 7.91(1H,d), 8.08(1H,d), 8.20(1H,d), 8.96(1H,t)
실시예 23 :
N-{[1-(2-(1-(4-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6)
Figure 112008089109740-pat00049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4-메톡시벤질 클로라이드 37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90mg(76%)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0-1.13(2H,m), 1.34-1.41(2H,m), 1.50-1.61(3H,m), 1.65-1.76(1H,m), 2.00-2.10(1H,m), 2.26-2.30(1H,m), 2.32(3H,s), 2.33-2.42(3H,m), 2.53-2.62(2H,m), 2.85-3.00(1H,m), 3.50-3.61(1H,m), 3.85(2H,d), 4.10-4.20(1H,m), 4.35-4.48(1H,m), 7.20-7.25(4H,m), 7.73(1H,t), 7.91(1H,d), 8.08(1H,d), 8.17(1H,d), 8.21(1H,s), 8.97(1H,t)
실시예 24 :
N-{[1-(2-(1-(4-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7)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0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42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03mg(82%)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8-1.23(2H,m), 1.32-1.40(2H,m), 1.50-1.64(3H,m), 1.68-1.80(1H,m), 2.00-2.10(1H,m), 2.28-2.39(4H,m), 2.52-2.61(2H,m), 2.65-2.81(1H,m), 2.94-3.04(1H,m), 3.40-3.52(1H,m), 3.85(2H,d), 4.10-4.19(1H,m), 4.39(1H,br s), 7.38(2H,d), 7.49(2H,d), 7.73(1H,t), 7.92(1H,d), 8.10(1H,d), 8.17(1H,d), 8.21(1H,s), 8.98(1H,t)
실시예 25 :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8)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1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50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9mg(6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20-1.28(2H,m), 1.32-1.40(2H,m), 1.50-1.62(3H,m), 1.70-1.80(1H,m), 2.00-2.08(1H,m), 2.28-2.40(4H,m), 2.51-2.61(2H,m), 2.70-2.80(1H,m), 2.94-3.03(1H,m), 3.25-3.32(1H,m), 3.85(2H,d), 4.11-4.18(1H,m), 4.40-4.48(1H,m), 7.57(2H,d), 7.73(1H,d), 7.79(2H,d), 7.92(1H,d), 8.10(1H,d), 8.17(1H,d), 8.21(1H,s), 8.98(1H,t)
실시예 26 :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9)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2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50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2mg(6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9-1.30(2H,m), 1.32-1.42(2H,m), 1.50-1.63(3H,m), 1.70-1.78(1H,m), 2.00-2.10(1H,m), 2.28-2.40(4H,m), 2.52-2.63(2H,m), 2.65-2.78(1H,m), 2.96-3.05(1H,m), 3.15-3.20(1H,m), 3.85(2H,d), 4.10-4.20(1H,m), 4.42-4.45(1H,m), 7.57(2H,d), 7.73(1H,t), 7.79(2H,d), 7.92(1H,d), 8.11(1H,d), 8.17(1H,d), 8.21(1H,s), 8.99(1H,t)
실시예 27 :
N-{[1-(2-(1-(3,4-디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0)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3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3,4-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50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96mg(7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20-1.29(2H,m), 1.30-1.40(2H,m), 1.50-1.62(3H,m), 1.66-1.78(1H,m), 2.00-2.10(1H,m), 2.28-2.40(4H,m), 2.52-2.61(2H,m), 2.66-2.77(1H,m), 2.95-3.05(1H,m), 3.40-3.50(1H,m), 3.85(2H,d) 4.10-4.19(1H,m), 4.35-4.45(1H,m), 7.35(1H,d), 7.64(1H,d), 7.66-7.76(2H,m), 7.92(1H,d), 8.10(1H,d), 8.17(1H,d), 8.21(1H,s), 8.97(1H,t)
실시예 28 :
N-{[1-(2-(1-(3-브로모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4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및 3-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52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95mg(72%)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8-1.30(2H,m), 1.32-1.40(2H,m), 1.50-1.65(3H,m), 1.66-1.77(1H,m), 2.00-2.10(1H,m), 2.28-2.40(4H,m), 2.52-2.62(2H,m), 2.63-2.78(1H,m), 2.95-3.05(1H,m), 3.07(1H,s), 3.85(2H,d), 4.10-4.20(1H,m), 4.45-4.55(1H,m), 7.33-7.42(2H,m), 7.53(1H,s), 7.63(1H,d), 7.73(1H,t), 7.92(1H,d), 8.11(1H,d), 8.17(1H,d), 8.21(1H,s), 9.00(1H,t)
실시예 29 :
N-{[1-(2-(1-(4-에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5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62mg(0.13mmol) 및 탄산칼륨 74mg(0.55mmol, 4.0eq.)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현탁시켰다. 4-에틸벤조일 클로라이드 25mg(0.15mmol, 1.1eq.)을 가한 후 30분간 가열 환류시켰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희석시킨 다음 물 15ml로 세척하고, 다시 포화 식염수 15ml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감암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1)하였다. 농축 잔류물을 t-부틸 메틸 에테르 및 노르말 헥산 혼합용매로 고체화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 46mg(62%)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8(3H,t), 1.55-1.79(5H,m), 1.80-1.90(1H,m), 1.92-2.00(1H,m), 2.10-2.20(1H,m), 2.30-2.50(2H,m), 2.62(2H,q), 2.85-2.90(1H,m), 3.10-3.40(5H,m), 3.50-3.68(2H,m), 3.89(2H,d), 4.30-4.49(2H,m), 7.32-7.40(4H,m), 7.73(1H,t), 7.92(1H,d), 8.19(1H,d), 8.22(1H,s), 8.44(1H,t), 9.05-9.13(1H,m)
MS (M+1)+ 559.1
실시예 30 :
N-{[1-(2-(1-(4-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3)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6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65mg(0.47mmol, 4.0eq.) 및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19mg(0.19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36mg(61%)을 수득하였다.
MS (M+1)+ 549.1
실시예 31 :
N-{[1-(2-(1-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7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2mmol)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 65mg(0.47mmol, 4.0eq.)과 벤조일 클로라이드 16mg(0.12mmol, 1.0eq.)를 가하였다. 이 반응물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정제수 15ml를 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2회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하여 노란색 시럽 형태로 목적 화합물 45mg(73%)을 수득했다.
1H NMR(400MHz,DMSO-d6) 0.91-1.16(2H,m), 1.38(2H,q), 1.58(2H,q), 1.68-1.80(1H,m), 2.04-2.11(1H,m), 2.33-2.50(4H,m), 2.67(4H,q), 2.91-3.02(2H,m), 3.85(2H,d), 4.11-4.23(1H,m), 4.35-4.49(1H,m), 7.33(2H,d), 7.45(3H,t), 7.72(1H,t), 7.92(1H,t), 8.17(2H,d), 8.21(1H,s), 9.02(1H,s)
실시예 32 :
N-{[1-(2-(1-(톨루엔-4-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5)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8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3mmol)과 트리에틸아민 59mg(0.59mmol, 2.5eq.)을 디클로로메탄 5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후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49mg(0.26mmol, 1.1eq.)을 가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한 다음 정제수 15ml를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5:1)하여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7mg(6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9-1.23(6H,m), 1.28-1.37(2H,m), 1.67(2H,d), 2.09-2.15(3H,m), 2.31-2.38(4H,m), 2.39(3H,s), 3.57(2H,d), 3.84(2H,d), 4.10-4.11(1H,m), 7.10(1H,d), 7.42(2H,d), 7.59(2H,d), 7.73(1H,t), 7.91(1H,d), 8.15(1H,d), 8.20(1H,s), 8.96(1H,s)
MS (M+1)+ 581.0
실시예 33 :
N-{[1-(2-(1-벤젠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6)
Figure 112008089109740-pat00059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40mg(0.086mmol) 및 트리에틸아민 26mg(0.26mmol, 3.0eq.)을 디클로로메탄 5ml에 투입하고 0-3℃로 냉각시켰다. 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17mg(0.096mmol, 1.1eq.)을 가하고 동일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정제수 5ml, 포화 식염수 5ml로 각각 세척한 다음 유기 용액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농축 후 노르말 헥산으로 고체화하여 목적 화합물 30mg(62%)을 수득하였다.
MS (M+1)+ 567.2
실시예 34 :
N-{[1-(2-(1-(2-(4-클로로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7)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0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1.0eq.), 탄산칼륨 87mg(0.63mmol, 2.9eq.), 4-클로로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45mg(0.24mmol, 1.1eq.) 및 요오드화 나트륨 65mg(0.43mmol, 2.0eq.)을 아세토니트릴 10ml에 가하고 일야 환류한 뒤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정제수 15ml를 투입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3회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 3:1)하여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96mg(7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0-0.95(2H,m), 1.20-1.35(3H,m), 1.45-1.66(4H,m), 2.00-2.10(1H,m), 2.25-2.47(4H,m), 2.51-2.52(2H,m), 2.88-2.97(1H,m), 3.07(1H,s), 3.68(2H,s), 3.85(2H,d), 4.10-4.18(1H,m), 4.33(1H,d), 7.22(2H,d), 7.34(2H,d), 7.73(1H,t), 7.92(1H,d), 8.09(1H,d), 8.17(1H,d), 8.21(1H,s), 8.97(1H,t)
실시예 35 :
N-{[1-(2-(1-(2-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8)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1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88mg(0.63mmol, 2.9eq.), 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37mg(0.24mmol, 1.1eq.) 및 요오드화 나트륨 65mg(0.43mmol, 2.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1mg(6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75-0.95(2H,m), 1.20-1.33(3H,m), 1.42-1.67(4H,m), 2.00-2.10(1H,m), 2.25-2.40(4H,m), 2.52-2.62(2H,m), 2.91(1H,t), 3.07(1H,s), 3.67(2H,s), 3.85(2H,d), 4.09-4.18(1H,m), 4.28-4.39(1H,m), 7.15-7.23(3H,m), 7.24-7.31(2H,m), 7.73(1H,t), 7.91(1H,d), 8.09(1H,d), 8.17(1H,d), 8.21(1H,s), 8.97(1H,t)
실시예 36 :
N-{[1-(2-(1-펜타노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19)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2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88mg(0.63mmol, 2.9eq.), 발레로일 클로라이드 29mg(0.24mmol, 1.1eq.) 및 요오드화 나트륨 65mg(0.43mmol, 2.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0mg(7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0-0.90(4H,m), 0.95-1.05(1H,m), 1.20-1.38(5H,m), 1.39-1.48(2H,m), 1.49-1.70(4H,m), 2.00-2.10(1H,m), 2.20-2.27(2H,m), 2.28-2.40(4H,m), 2.51-2.63(2H,m), 2.92(1H,t), 3.85(2H,d), 4.10-4.20(1H,m), 4.33(1H,d), 7.73(1H,t), 7.91(1H,d), 8.09(1H,d), 8.17(1H,d), 8.21(1H,s), 8.97(1H,t)
실시예 37 :
N-{[1-(2-(1-이소부티릴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0)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3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이소부티릴 클로라이드 12mg(0.11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시럽로서의 목적 화합물 43mg(8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9-1.00(9H,m), 1.01-1.05(1H,m), 1.18-1.24(1H,m), 1.33-1.51(2H,m), 1.53-1.65(3H,m), 2.02-2.14(1H,m), 2.78-2.88(1H,m), 2.95(1H,t), 3.16(3H,s), 3.82-3.93(3H,m), 4.09(1H,br s), 4.18(1H,br s), 4.27-4.38(1H,m), 7.73(1H,t), 7.92(1H,d), 8.17(2H,d), 8.21(1H,s), 8.99(1H,t)
MS (M+1)+ : 497.3
실시예 38 :
N-{[1-(2-(1-프로피오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 화합물 (21-2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4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12mg(0.11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39mg(69%)을 수득하였다.
MS (M+1)+ : 483.3
실시예 39 :
N-{[1-(2-(1-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5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40mg(0.086mmol)과 트리에틸아민 11mg(0.11mmol, 1.3eq.)을 디클로로메탄 8ml에 가한 후 0-3℃로 냉각시켰다. 디클로로메탄 2ml에 희석시킨 초산 무수물 10mg(0.10mmol, 1.2eq.)을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정제수 10ml를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수층을 다시 디클로로메탄 10ml로 추가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노르말 헥산 및 아세톤의 혼합용매로 고체화시켜 미황색 고체로서 목적 화합물 28mg(69%)을 수득하였다.
MS (M+1)+ : 469.3
실시예 40 :
N-{[1-(2-(1-(피리딘-4-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3)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6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109mg(0.79mmol, 3.7eq.), 이소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 42mg(0.24mmol, 1.1eq.) 및 요오드화 나트륨 65mg(0.43mmol, 2.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란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101mg(8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3-1.13(2H,m), 1.32-1.42(2H,m), 1.51-1.64(3H,m), 1.70-1.80(1H,m), 2.00-2.10(1H,m), 2.28-2.40(4H,m), 2.53-2.63(2H,m), 2.74(1H,t), 2.99(1H,t), 3.07(1H,s), 3.85(2H,d), 4.10-4.19(1H,m), 4.36-4.46(1H,m), 7.34(2H,d), 7.73(1H,t), 7.79(1H,d), 7.91(1H,d), 8.08(1H,d), 8.16(1H,d), 8.21(1H,s), 8.64(1H,d), 8.97(1H,t)
실시예 41 :
N-{[1-(2-(1-(피리딘-3-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7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109mg(0.79mmol, 3.7eq.), 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 42mg(0.24mmol, 1.1eq.) 및 요오드화 나트륨 65mg(0.43mmol, 2.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8mg(7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13-1.16(2H,m), 1.30-1.42(2H,m), 1.48-1.65(3H,m),1.68-1.80(1H,m), 2.00-2.15(1H,m), 2.30-2.41(4H,m), 2.52-2.64(2H,m), 2.69-2.80(1H,m), 2.96-3.03(1H,m), 3.40-3.53(1H,m), 3.85(1H,d), 4.10-4.20(1H,m), 4.38-4.44(1H,m), 7.46(1H,d), 7.73(1H,t), 7.79(1H,d), 7.91(1H,d), 8.09(1H,d), 8.17(1H,d), 8.21(1H,s), 8.56(1H,d), 8.63(1H,d), 8.99(1H,t)
실시예 42 :
N-{[1-(2-(1-(나프탈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5)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8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100mg(0.22mmol), 탄산칼륨 88mg(0.63mmol, 2.9eq.) 및 2-나프탈렌카르보닐 클로라이드 45mg(0.24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18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88mg(7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5-1.20(2H,m), 1.35-1.45(2H,m), 1.50-1.65(3H,m), 2.00-2.10(1H,m), 2.30-2.45(4H,m), 2.55-2.65(2H,m), 2.70-2.85(1H,m), 2.95-3.05(1H,m), 3.07(1H,s), 3.50-3.65(1H,m), 3.85(2H,d), 4.10-4.20(1H,m), 4.42-4.53(1H,m), 7.47(1H,d), 7.55-7.60(2H,m), 7.73(1H,t), 7.90-8.02(5H,m), 8.08(1H,d), 8.16(1H,d), 8.21(1H,s), 8.96(1H,t)
실시예 43 :
N-{[1-(2-(1-(1H-인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6)
Figure 112008089109740-pat00069
제조예 3에서 기술된 N-(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48mg(0.15mmol)과 탄산칼륨 63mg(0.45mmol, 3.0eq.)을 아세토니트릴 4ml에 가하고 아세토니트릴 1ml에 희석시킨 2-(1-(1H-인돌-3-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 메탄술포네이트 42mg(0.24mmol, 1.0eq.)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요오드화 나트륨 45mg(0.30mmol, 2.0eq.)을 가한 후 일야 환류한 뒤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정제수 10ml를 투입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ml로 3회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t-부틸 메틸 에테르로 고체화하여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56mg(6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0.80-0.88(2H,m), 1.08-1.20(2H,m), 1.35-1.48(2H,m), 1.55-1.70(2H,m), 1.75(2H,d), 2.06-2.15(1H,m), 2.30-2.49(3H,m), 2.55-2.72(2H,m), 3.06(1H,s), 3.86(2H,d), 4.12-4.22(1H,m), 4.42(1H,d), 7.02(1H,t), 7.16(1H,t), 7.40(1H,d), 7.58(1H,d), 7.73(1H,d), 7.91(1H,d), 8.07-8.15(1H,m), 8.17(1H,d), 8.22(1H,s), 8.99(1H,t), 11.52(1H,s)
MS (M+1)+ : 570.1
실시예 44 :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7)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0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과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을 아세토니트릴 4ml에 현탁시킨 후, 아세토니트릴 2ml에 희석시킨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브로마이드 28mg(0.12mmol, 1.1eq.)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5시간 환류한 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정제수 10ml를 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10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7:1)하여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44mg(7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8-1.10(2H,m), 1.22-1.31(3H,m), 1.33-1.41(2H,m), 1.54-1.65(3H,m), 1.86-1.98(2H,m), 2.02-2.15(1H,m), 2.28-2.44(4H,m), 2.75(2H,d), 3.52(2H,s), 3.86(2H,d), 4.10-4.22(1H,m), 7.53-7.65(5H,m), 7.73(1H,t), 7.92(1H,d), 8.16(1H,d), 8.21(1H,s), 8.95-9.04(1H,m)
실시예 45 :
N-{[(1-(2-(1-(4-브로모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28)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1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4-브로모벤질 브로마이드 27mg(0.12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와 동일한 방법으로 갈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53mg(82%)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5-1.18(2H,m), 1.20-1.32(3H,m), 1.33-1.44(2H,m), 1.60(3H,d), 1.84-1.93(2H,m), 2.20-2.11(1H,m), 2.12-2.48(4H,m), 2.70-2.79(2H,m), 3.43-3.52(2H,m), 3.86(2H,d), 4.25-4.32(1H,m), 7.24(2H,d), 7.49(2H,d), 7.73(2H,t), 7.93(1H,d), 8.15(1H,d), 8.21(1H,s), 8.96-9.20(1H,m)
실시예 46 :
N-{[1-(2-(1-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화합물 (21-29)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2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벤질 클로라이드 15mg(0.12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37mg(66%)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9-1.16(2H,m), 1.19-1.30(3H,m), 1.34(2H,d), 1.52-1.64(3H,m), 1.82-1.92(2H,m), 2.00-2.11(1H,m), 2.30-2.41(4H,m), 2.54-2.65(1H,m), 2.74(2H,d), 3.85(2H,d), 4.10-4.20(1H,m), 7.22-7.30(5H,m), 7.73(1H,t), 7.91(1H,d), 8.09(1H,d), 8.16(1H,d), 8.21(1H,s), 8.93-8.98(1H,m)
실시예 47 :
N-{[1-(2-(1-(4-시아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30)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3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4-시아노벤질 클로라이드 23mg(0.12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46mg(7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8-1.20(3H,m), 1.22-1.28(2H,m), 1.31-1.48(2H,m), 1.52-1.63(3H,m), 1.85-1.94(2H,m), 2.01-2.12(1H,m), 2.29-2.42(4H,m), 2.72(2H,d), 3.50(2H,s), 3.85(2H,d), 4.10-4.26(1H,m), 7.48(2H,d), 7.73-7.79(3H,m), 7.92(1H,d), 8.10(1H,d), 8.16(1H,d), 8.21(1H,s), 8.97(1H,t)
MS (M+1)+ : 542.1
실시예 48 :
N-{[1-(2-(1-(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31)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4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4-플루오로벤질 클로라이드 17mg(0.12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46mg(8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4-1.17(3H,m), 1.18-1.28(2H,m), 1.29-1.37(2H,m), 1.50-1.63(3H,m), 1.82-1.90(2H,m), 2.01-2.11(1H,m), 2.24-2.51(4H,m), 2.72(2H,d), 3.85(2H,d), 4.10-4.20(1H,m), 7.08-7.13(2H,m), 7.27-7.31(2H,m), 7.73(1H,t), 7.91(1H,d), 8.09(1H,d), 8.16(1H,d), 8.21(1H,s), 8.97(1H,t)
MS (M+1)+ : 535.14
실시예 49 :
N-{[1-(2-(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32)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5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4-클로로벤질 클로라이드 19mg(0.12mmol, 1.1eq.)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41mg(6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5-1.18(3H,m), 1.20-1.29(2H,m), 1.30-1.48(2H,m), 1.51-1.63(3H,m), 1.82-1.91(2H,m), 1.99-2.11(1H,m), 2.22-2.43(1H,m), 2.54-2.65(2H,m), 2.73(2H,d), 3.85(2H,d), 4.11-4.20(1H,m), 7.29(2H,d), 7.35(2H,d), 7.73(1H,t), 7.91(1H,d), 8.10(1H,d), 8.16(1H,d), 8.21(1H,s), 8.97(1H,t)
MS (M+1)+ : 551.08
실시예 50 :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 화합물 (21-33)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6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mol),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클로라이드 26mg(0.11mmol, 1.0eq.)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황색 고체로서의 목적 화합물 47mg(7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05-1.19(2H,m), 1.21-1.29(1H,m), 1.30-1.39(2H,m), 1.50-1.63(3H,m), 1.91(2H,t), 2.00-2.16(1H,m), 2.25-2.42(4H,m), 2.53-2.64(2H,m), 2.73(2H,d), 3.50(2H,s), 3.85(1H,d), 4.08-4.11(1H,m), 7.50(1H,d), 7.66(1H,d), 7.73(1H,t), 7.91(1H,d), 8.07(1H,d), 8.17(1H,d), 8.27(1H,s), 8.95(1H,t)
실시예 51 :
N-{[1-(2-(1-(3,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 화합물 (21-34)
Figure 112008089109740-pat00077
실시예 17에서 기술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염산염 50mg(0.11mol)과 탄산칼륨 44mg(0.32mmol, 2.9eq.)을 아세토니트릴 4ml에 현탁시킨 후, 아세토니트릴 1ml에 희석시킨 3,4-디클로로벤질 클로라이드 21mg(0.11mmol, 1.0eq.)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일야 환류한 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정제수 10ml를 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염산 1M 디에틸 에테르에 현탁시켜 고체화시켰다. 여과 후 건조시켜 갈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 45mg(6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DMSO-d6) 1.48-1.70(5H,m), 1.71-1.91(3H,m), 1.92-2.20(1H,m), 2.76-2.97(2H,m), 2.97-3.17(1H,m), 3.18-3.24(3H,m), 3.29(4H,d), 3.89(2H,s), 4.26(2H,s), 4.42-4.51(1H,m), 7.62(1H,d), 7.72(2H,d), 7.91(1H,d), 7.98(1H,s), 8.17-8.25(1H,m), 8.49-8.64(1H,m), 9.15-9.17(1H,m), 10.90-11.15(2H,m)
MS (M+1)+ : 585.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23532012-pat00078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독립적으로 다음 화학식 3 및 4 중 한 가지로 선택될 수 있고,
    [화학식 3]
    Figure 112011023532012-pat00080
    [화학식 4]
    Figure 112011023532012-pat00081
    상기 화학식 3의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4 알킬, 및 C6H5-CH2-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4의 W2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결합 또는 카르보닐, 메틸렌, 술포닐, C1 - C3 알킬카르보닐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 C3 알킬, C6 - C10 아릴 및 C5 - C8 헤테로아릴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 경우 C6 - C10 아릴 및 C5 - C8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0개 내지 3개의 치환체 R5를 가질 수 있고, R5는 또한 독립적으로 C1 - C3 알킬, 할로겐 원자, C1 - C2 할로알킬, 시아노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및 브롬 원자 중 하나임을 의미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N-{[1-(4-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메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에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프로폭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부톡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4-벤질옥시이미노시클로헥실)-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4,6-트리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5-디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프로필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4-디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브로모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에틸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벤조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톨루엔-4-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벤젠술포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4-클로로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2-페닐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펜타노일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이소부티릴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프로피오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아세틸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피리딘-4-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피리딘-3-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나프탈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1H-인돌-2-카르보닐)-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브로모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시아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N-{[1-(2-(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및
    N-{[1-(2-(1-(3,4-디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에틸)-피롤리딘-(3R)-일-카바모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3. 청구항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기하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결정다형체.
  4.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호흡기성 알레르기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폐렴, 류마티스성 관절염, 포도막염, 다발성 경화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크론씨병, 대장염, 신염, 당뇨병, 당뇨 합병증,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재협착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및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경감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보호제.
  6.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제.
KR1020080134124A 2008-12-26 2008-12-26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KR10108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124A KR101084551B1 (ko) 2008-12-26 2008-12-26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PCT/KR2009/006854 WO2010074409A2 (ko) 2008-12-26 2009-11-20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124A KR101084551B1 (ko) 2008-12-26 2008-12-26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80A KR20100076180A (ko) 2010-07-06
KR101084551B1 true KR101084551B1 (ko) 2011-11-17

Family

ID=4228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124A KR101084551B1 (ko) 2008-12-26 2008-12-26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4551B1 (ko)
WO (1) WO20100744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56B1 (ko) * 2010-10-08 2013-10-16 양지화학 주식회사 항천식 활성을 가진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A2852160A1 (en) 2011-10-28 2013-05-02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New leukocyte infiltrate markers for rosacea and uses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0024A2 (en) * 2002-11-27 2004-06-17 Incyte Corporation 3-aminopyrrolidi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s
KR100693340B1 (ko) 2005-08-12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3498A1 (en) * 2005-11-01 2007-05-10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useful as antagonists of ccr2
US8067415B2 (en) * 2005-11-01 2011-11-29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useful as antagonists of CCR2
WO2007053495A2 (en) * 2005-11-01 2007-05-10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useful as antagonists of ccr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0024A2 (en) * 2002-11-27 2004-06-17 Incyte Corporation 3-aminopyrrolidi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s
KR100693340B1 (ko) 2005-08-12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80A (ko) 2010-07-06
WO2010074409A2 (ko) 2010-07-01
WO2010074409A3 (ko)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3476B2 (ja) Nk1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ピロリジンおよびピペリジンの誘導体
CN106458986B (zh) 作为毒蕈碱m1和/或m4受体激动剂的双环氮杂化合物
ES2348122T3 (es) Derivados de diazepano moduladores de receptores de quimioquina.
US7879852B2 (en) Melanocortin receptor agonists
US6140333A (en) N-acyl cyclic amine derivatives
US20050261290A1 (en) Novel compounds of proline and morpholine derivatives
US20110160180A1 (en)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CA2569861C (en) Pyrrolidine derivatives as ccr5 antagonists
US11826350B2 (en) Proline-based neuropeptide FF receptor modulators
JP2010529069A (ja) Nk3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プロリンアミド誘導体
KR101151415B1 (ko) Ccr2 길항제로서의 피페라지닐에틸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KR101084551B1 (ko) Ccr2 길항제로서의 3-아미노피롤리딘 유도체
Paliwal et al. NK 1 ant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