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772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772B1
KR100476772B1 KR10-2002-0071906A KR20020071906A KR100476772B1 KR 100476772 B1 KR100476772 B1 KR 100476772B1 KR 20020071906 A KR20020071906 A KR 20020071906A KR 100476772 B1 KR100476772 B1 KR 10047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roller
gear
shafts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580A (ko
Inventor
김호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7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해도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이 변동하지 않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롤러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로 현상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감광드럼 양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 양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축, 및 감광드럼 양단의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 양단의 현상롤러축에 설치되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machin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을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는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한 후 인쇄매체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이 형성된 인쇄물을 얻는 장치이다. 통상 감광드럼의 표면은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고, 정전잠상은 레이저주사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주사되어 형성된다. 또한, 정전잠상은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상으로 현상되며, 이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유닛에 설치된 현상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으로 공급된다. 현상제가 소모되면 교체할 수 있도록 현상제 공급유닛은 감광드럼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상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현상제로 감광드럼 표면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는 현상롤러의 표면과 감광드럼의 표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자성성분을 갖는 이성분 현상제를 자석으로 성형된 현상롤러로 감광드럼 상으로 이송시키는 경우에, 안정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서는 현상롤러의 표면과 감광드럼 표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현상롤러 표면과 감광드럼 표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의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상장치는 상프레임(30)에 설치된 감광드럼(10)과 대전롤러(20), 및 하프레임(50)에 설치된 현상롤러(40)로 구성된다.
대전롤러(20)는 그 양단의 중심에 대전롤러축(2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감광드럼(10)과 마주 보며 회전할 수 있도록 대전롤러축(21,22)이 상프레임(30)에 회전지지되어 있다. 또한, 일단의 대전롤러축(22)에는 제4기어(24)가 조립되어 있다.
감광드럼(10)은 그 양단의 중심에 감광드럼축(1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감광드럼축(11,12)이 상프레임(30)에 의해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기어(24)와 맞물리도록 일단의 감광드럼축(12)에는 제3기어(16)가 조립되어 있고 타단의 감광드럼축(11)에는 제1기어(14)가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10)이 회전하면, 제3기어(16)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제4기어(24)가 회전하여 대전롤러(20)가 감광드럼(10)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현상롤러(40)는 그 양단의 중심에 현상롤러축(4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현상롤러축(41,42)이 하프레임(50)에 의해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감광드럼(10)의 제1기어(14)가 설치된 감광드럼축(11)과 대응되는 일단의 현상롤러축(41)에는 제2기어(44)가 조립되어 있다. 현상롤러(40)의 일단과 제2기어(44)의 사이의 현상롤러축(41)에는 제1간격유지링(60)이 조립되어 있다. 제1간격유지링(60)은 현상롤러축(4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제1간격유지링(60)의 표면은 감광드럼(10)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측의 현상롤러축(42)에는 제2간격유지링(62)이 제1간격유지링(60)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되어 있다.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의 외경은 현상롤러(40) 표면과 감광드럼(10) 표면의 간격을 현상제가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데 적절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정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현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광드럼축(11,12)이 회전하면, 감광드럼(10)이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0)의 양단에 설치된 제1기어(14) 및 제3기어(16)도 회전한다. 제1기어(14)가 회전하면, 제1기어(14)와 맞물린 제2기어(44)가 회전한다. 제2기어(44)가 회전하면 현상롤러축(41,42)이 회전하여 현상롤러(40)도 감광드럼(10)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현상롤러(40)가 회전하면 현상롤러(40)에 의해 현상제가 감광드럼(10)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은 그 표면은 감광드럼(10) 표면과 접하며, 중앙부는 현상롤러축(41,42)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은 감광드럼(10)이 회전하면 감광드럼 표면과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 표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감광드럼(10)에 피동하여 현상롤러축(41,42)에 대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롤러(40)는 감광드럼(1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장치는 일정한 품질로 정전잠상을 현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현상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면, 감광드럼(10)과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이 계속 접촉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감광드럼(10)의 표면이 마모되고,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도 마모되게 된다. 감광드럼(10)과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이 마모되면, 감광드럼(10) 표면과 현상롤러(40) 표면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면, 감광드럼(10) 표면의 정전잠상이 일정하게 현상되지 않기 때문에 현상장치의 화상재현 기능이 저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광드럼(10)과 제1 및 제2간격유지링(60,62)이 마모되면, 제1기어(14)와 제2기어(44) 사이의 축간거리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의 진동이 발생하여 인쇄품질을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인쇄품질이 악화되지 않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대한 발명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에 유지되며,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화상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롤러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로 현상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감광드럼 양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 양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축, 및 감광드럼 양단의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 양단의 현상롤러축에 설치되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감광드럼축을 양단 지지하는 상프레임, 및 현상롤러축을 양단 지지하는 하프레임을 포함하며, 간격유지판은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의 바깥쪽에서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축에 조립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광드럼의 일단에 설치된 제1기어, 및 현상롤러축의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제2기어를 포함하며, 제1기어가 회전하면 제2기어가 회전함으로써 현상롤러가 회전하여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균형유지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과, 감광드럼의 양단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감광드럼의 일단에 조립된 제1기어와,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회전지지하는 상프레임과, 감광드럼과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의 양단 중심으로 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현상롤러축과,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2기어와,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을 회전지지하는 하프레임과,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제1 및 제2현상롤러축 사이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균형유지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격유지판은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의 바깥쪽에서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축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상프레임(30)에 설치된 감광드럼(10)과 대전롤러(20), 하프레임(50)에 설치된 현상롤러(40), 및 간격유지판(100)을 포함한다.
대전롤러(20)는 그 양단의 중심에 제1 및 제2대전롤러축(21,22)이 돌설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감광드럼(10)과 마주 보며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대전롤러축(21,22)이 상프레임(30)에 회전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대전롤러축(22)에는 제4기어(24)가 조립되어 있다.
감광드럼(10)은 그 양단의 중심에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이 돌설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이 상프레임(30)에 의해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기어(24)와 맞물리도록 제2감광드럼축(12)에는 제3기어(16)가 조립되어 있고, 타단의 제1감광드럼축(11)에는 제1기어(114)가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10)이 회전하면, 제3기어(16)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제4기어(24)가 회전하여 대전롤러(20)가 감광드럼(10)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현상롤러(40)는 그 양단의 중심에 제1 및 제2현상롤러축(41,42)이 돌설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제1 및 제2현상롤러축(41,42)이 하프레임(50)에 의해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감광드럼축(11)에 설치된 제1기어(114)와 맞물리도록 제1현상롤러축(41)에는 제2기어(116)가 조립되어 있다.
간격유지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의 양측, 즉 제1감광드럼축(11)과 제1현상롤러축(41) 사이와 제2감광드럼축(12)과 제2현상롤러축(42) 사이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되어 있다. 간격유지판(100)은 판상의 강체에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과 제1 및 제2현상롤러축(41,42)이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그 형상은 두 구멍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현상롤러축(41,42)과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으로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판(100)의 재질은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의 회전에 의해 구멍 간의 거리가 변형되지 않는 강도를 지닌 재질이어야 한다.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과 간격유지판(100) 구멍 사이에는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이 간격유지판(100)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과 간격유지판(100)이 마모되지 않도록 베어링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현상롤러축(41,42)과 간격유지판(100)의 경우도 동일하다.
이상에서, 감광드럼(10)이 간격유지판(100)의 설치로 인해 회전시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기어(114)를 제1균형유지부재(110)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균형유지부재(110)는 일종의 웨이트 밸런스로서 감광드럼(10)이 고속회전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감쇄시킨다. 따라서, 고속회전에 의한 진동으로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 사이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상롤러(40)가 간격유지판(100)의 설치로 인해 회전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기어(116)를 제2균형유지부재(112)와 일체로 성형한다. 제1 및 제2균형유지부재(110,112)는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의 고속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방지하여 감광드럼(10) 표면과 현상롤러(40) 표면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인입되는 진동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균형유지부재(110,112)는 제1기어(114)와 제2기어(116)를 사출성형하는 경우 일체로 사출성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또한, 제1기어(114)와 제2기어(116), 및 제3기어(16)와 제4기어(24)는 헬리컬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소음이나 동력전달의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현상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감광드럼축(11,12)이 회전하면, 감광드럼(10)이 상프레임(30)에 지지되어 회전하고 감광드럼(10)의 양단에 설치된 제1기어(114)와 제3기어(16)도 회전한다. 제3기어(16)가 회전하면 제4기어(24)도 회전하므로, 제4기어(24)가 조립된 제2대전롤러축(22)이 회전하여 대전롤러(20)가 감광드럼(10)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1기어(114)가 회전하면, 이와 맞물린 제2기어(116)가 회전하므로 제2기어(116)가 조립된 제1현상롤러축(41)과 이와 일체로 된 현상롤러(40) 및 제2현상롤러축(42)이 하프레임(50)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감광드럼축(11,12)과 현상롤러축(41,42)은 간격유지판(100)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10) 표면과 현상롤러(40)의 표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또한, 간격유지판(100)에 형성된 구멍과 감광드럼축(11,12) 및 현상롤러축(41,42) 사이에는 베어링과 같은 회전운동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감광드럼축(11,12)과 현상롤러축(41,42) 사이의 간격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간격유지판(100)은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는 상하프레임(30,50)과 간격유지판(100)에 의해 2중지지되므로 고속회전시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어(114)에는 고속회전시 감광드럼(10)의 회전균형을 잡기위한 제1균형유지부재(11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제2기어(116)에도 고속회전시 현상롤러(40)의 회전균형을 잡기위한 제2균형유지부재(11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1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현상장치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속인쇄시에도 진동에 의한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0) 사이의 간격 변화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인쇄화상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간격유지판에 의해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간격유지판이 마모되지 않기 때문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간격유지판에 의해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에는 제1기어 및 제2기어에 균형유지부재를 일체로 성형하여 균형을 유지하므로 고속회전시에도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진동이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항상 화상품질이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간격유지판에 의하여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간격이 변화지 않으며, 고속회전시에는 진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항상 양호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광드럼 11; 제1감광드럼축
12; 제2감광드럼축 16; 제3기어
20; 대전롤러 24; 제4기어
30; 상프레임 40; 현상롤러
41; 제1현상롤러축 42; 제2현상롤러축
50; 하프레임 100; 간격유지판
110; 제1균형유지부재 112; 제2균형유지부재
114; 제1기어 116; 제2기어

Claims (9)

  1.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롤러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로 현상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 양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감광드럼축;
    상기 현상롤러 양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축; 및
    상기 감광드럼 양단의 감광드럼축과 상기 현상롤러 양단의 현상롤러축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축과 상기 현상롤러축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축을 양단 지지하는 상프레임; 및
    상기 현상롤러축을 양단 지지하는 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유지판은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의 바깥쪽에서 상기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축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에 설치된 제1기어; 및
    상기 현상롤러축의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제2기어;를 포함하며,
    제1기어가 회전하면 제2기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현상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균형유지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5.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양단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감광드럼축;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에 조립된 제1기어;
    상기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회전지지하는 상프레임;
    상기 감광드럼과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의 양단 중심으로 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현상롤러축;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2기어;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을 회전지지하는 하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균형유지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판은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의 바깥쪽에서 상기 감광드럼축과 현상롤러축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8.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양단 중심으로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감광드럼축;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에 조립된 제1기어;
    상기 감광드럼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상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대전롤러의 축을 회전지지하는 상프레임;
    상기 감광드럼과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의 양단 중심으로 부터 돌설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현상롤러축;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2기어;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을 회전지지하는 하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감광드럼축과 상기 제1 및 제2현상롤러축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균형유지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
KR10-2002-0071906A 2002-11-19 2002-11-19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KR10047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06A KR100476772B1 (ko) 2002-11-19 2002-11-19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06A KR100476772B1 (ko) 2002-11-19 2002-11-19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80A KR20040043580A (ko) 2004-05-24
KR100476772B1 true KR100476772B1 (ko) 2005-03-17

Family

ID=3734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906A KR100476772B1 (ko) 2002-11-19 2002-11-19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151B1 (ko) 2005-06-28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롤러구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KR100693340B1 (ko) 2005-08-12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80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6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having a predetermined gap formed between an image bearing member and a developing member
US10323719B2 (en) Planetary gear assembly, drive unit including the planetary gear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riv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 for planetary gear assembly
RU2009126579A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2007072236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76772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JP2005037889A (ja) 現像装置
JP464138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20085528A (ko) 현상기 소음 및 진동방지구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110070202A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4570382B2 (ja) 現像装置
JPH02165181A (ja) 画像形成装置
JP5344300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075769A (ja) プロセスユニット
JP5244829B2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70660A (ja) 現像装置
JPH08277844A (ja) 回転体の軸受装置
JPH0651580A (ja) 回転伝達機構
CN104919373A (zh) 显影单元及处理盒
JP4926103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200345583Y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현상부구동장치
JPH06332346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2006243466A (ja) 現像装置
JP20002277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95374A (ja) 回転体の駆動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07950A (ja) 電子写真装置の定着装置、それに用いるドライブカ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