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249B1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249B1
KR100685249B1 KR1020047007766A KR20047007766A KR100685249B1 KR 100685249 B1 KR100685249 B1 KR 100685249B1 KR 1020047007766 A KR1020047007766 A KR 1020047007766A KR 20047007766 A KR20047007766 A KR 20047007766A KR 100685249 B1 KR100685249 B1 KR 10068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perator
ordering
unit
orga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567A (ko
Inventor
가타오카게이스케
하나이아츠시
미수미사치코
시노하라에이지
가미무라시즈오
도리카이다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4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미리 사용자 ID와 그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법인 ID를 관련지어 등록하여, 사용자가 단말에서 쇼핑 사이트로 로그인할 때에 입력하는 로그인명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가 속하는 조직의 법인 ID를 특정한다(S1). 특정된 법인 ID에 기초하여, 동일한 법인 ID와 관련된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특정한다(S2). 특정된 사용자 ID에 기초해서, 그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검색하여(S3), 그 사용자가 속한 조직의 소정 기간의 발주 상황을 단말에 표시한다(S4).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거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직에 의한 효율적인 온라인 쇼핑의 이용에 적합한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 쇼핑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통상의 온라인 쇼핑은 이용자가 미리 시스템의 사용자가 되어, 사용자 등록후, 소정의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등을 판매하는 웹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에 있어서, 사용자가 과거에 구입한 상품에 관한 구입 이력 정보와 그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여, 사용자가 쇼핑 사이트에 액세스한 경우에, 그 사용자의 구입 이력 정보를 활용 가능하게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11-232326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2000-306007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2001-22831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2001-134648호 참조).
한편, 법인 등의 사업체에서는, 조직 단위로(예컨대, 사업부, 부문 등) 다수의 조직 구성원이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조직 구성원이 물품을 구입하여, 소속된 조직 내에서 활용하고 있다. 여기서, 동일 조직에서 여러 명의 조직 구성원이 동일 한 물품을 주문한 경우, 중복 발주되어 쓸데없는 구입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개인의 구입 이력을 그 개인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법인 등의 조직 단위로 물품을 구입하여, 관리하는 데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즉, 조직 구성원마다의 구입 이력을 활용할 수 있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조직 단위의 효율적인 온라인 쇼핑 이용으로 이어지지 못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법인 등의 조직에 의한 효율적인 온라인 쇼핑 이용에 적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사이트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발주된 발주 내용을 나타내는 발주 정보를, 상기 단말의 조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조작자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발주 정보 기억부와, 상기 조작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와, 그 조직에 소속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허가된 상기 단말의 상기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 정보와, 그 조직 정보에 관련지어진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 특정부와, 상기 발주 정보 기억부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발 주 정보 취득부와,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발주 정보를 로그인이 허가된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발주 정보 통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특정부는,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허가된 상기 단말의 상기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는 조직 정보 특정부와,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직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정보를 특정하는 조작자 정보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된 발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조작자 선택 수단 제공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발주 정보 기억부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에 대응된 발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소정 기간의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는 적어도 발주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 정보, 발주 수량을 나타내는 수량 정보, 발주된 물품의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 정보, 발주일을 나타내는 발주일 정보, 발주된 물품의 배송지를 나타내는 배송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의 검색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 선택 수단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 조건 제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통지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조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검색한 상기 발주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발주 정보를 상기 단말 상에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선택 수단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발주일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법인 등의 조직의 조직 구성원이 본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을 발주할 때에, 그 조직 구성원과 동일 조직 단위(예컨대, 사업부, 부문, 과, 그룹 등)의 다른 조직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진 발주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현재 일시에서부터 1개월전까지의 조직 단위의 발주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됨으로써 조직 구성원은 용이하게 현재의 발주 상황을 참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주하려는 상품이 다른 조직 구성원에 의해 이미 발주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 발주 등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발주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발주일 정보나 배송지 정보 등의 검색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검색 조건에 대응한 발주 상황을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관리자가 조직 단위의 발주(구입) 상황을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어, 경리 정보를 관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온라인 쇼핑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로부터의 발주에 있어서는 발주 내용을 나타내는 발주 정보를 발주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시켜서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쇼핑 사이트에 액세스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해서,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고, 그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자의 사용자 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기록된 발주 정보로부터 특정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특정된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의 구입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구입 이력 제시 방법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해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입 이력 제시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하는 사용자 등록 단계와, 상기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가 조직의 일원으로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그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대응시켜 등록하는 조직 정보 등록 단계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한 발주에 있어서의 발주 내용을 나타내는 발주 정보를 발주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시켜 기록하는 발주 정보 기록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그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는 조직 정보 특정 단계와, 상기 조직 정보 특정 단계에서 조직 정보가 특정된 경우, 그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특정하는 사용자 정보 특정 단계와, 상기 발주 정보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발주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특정 단계에서 특정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취득하여, 구입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발주 정보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서버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품 판매를 하는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단말의 조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조작자 정보와, 그 조작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를 대응시켜 축적하는 식별 정보 축적부와, 상기 단말로부터의 발주 내용과, 그 발주를 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를 대응시켜 축적하는 발주 정보 축적부와,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여, 상품의 발주를 접수하는 동시에, 그 발주를 송신한 단말의 조작자를 나타내는 조작자 정보를 접수하는 발주 접수부와, 상기 발주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자 정보에 기초하여, 그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축적부에서 취득하는 조직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직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직 정보에 기초하여, 그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조작자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작자 정보에 기초하여, 그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발주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발주 정보를 구입 이력 정보로서 상기 조작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발주 정보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 송신부는 상기 조작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상기 단말 상에 제시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에 대응된 발주 정보를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 송신부는, 상기 조작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을 상기 단말에 제시하며,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검색한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에 기억되어 있는 발주 정보의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 상에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는, 적어도 발주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 정보, 발주일을 나타내는 발주일 정보, 발주된 물품의 배송지를 나타내는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물품 정보, 상기 발주일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색 조건으로 하여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를 전술한 서버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록 매체(ROM,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CD-ROM, MO, CD-R,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록하여 배포 ·유통하여도 좋다.
또, 컴퓨터를 전술한 서버 장치로서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전부 또 는 일부가 반송파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각 점포에 설치되는 점포내 단말 및 점포내 DB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점포내 DB 시스템에 축적되는 고객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점포내 DB 시스템에 축적되는 법인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점포내 DB 시스템에 축적되는 매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d는 점포내 DB 시스템에 축적되는 청구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마스터 서버 및 마스터 DB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마스터 DB 시스템 내에 축적되는 상품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마스터 DB 시스템 내에 축적되는 고객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는 마스터 DB 시스템 내에 축적되는 관련 상품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쇼핑 서버 및 쇼핑 DB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쇼핑 DB 시스템 내에 축적되는 온라인 사용자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쇼핑 DB 시스템 내에 축적되는 법인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발송 관리 서버 및 발송 관리 D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발송 관리 DB 내에 축적되는 배송 센터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발송 관리 DB 내에 축적되는 상품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c는 발송 관리 DB 내에 축적되는 배송 소요 시간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d는 발송 관리 DB 내에 축적되는 입하 상황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액세스에 응답하여 쇼핑 페이지를 표시하기까지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웹페이지 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웹페이지 제시 처리에서 표시되는 탑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웹페이지 제시 처리에서 표시되는 개인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고객 정보 검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구입 이력 취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구입 이력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구입 이력 표시 처리에서 표시되는 구입 이력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구입 이력 표시 처리에서 표시되는 주문 상황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구입 이력 표시 처리에서 표시되는 상품 구입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0에 도시한 상품 통지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0에 도시한 재고 확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도 10에 도시한 쇼핑 페이지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쇼핑 페이지 표시 처리에서 표시되는 쇼핑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주문 완료 페이지를 표시하기까지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주문 접수 처리에서 표시되는 카트 확인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한 주문 확인 발주 처리에서 표시되는 주문 확인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한 수주 통지 처리에서 표시되는 주문 완료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시스템은 기업 ·단체 등의 사업체가 보유하는 기업내 네트워크 시스템(1)과, 공중에 개방된 인터넷(2)과, 인터넷(2)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31)(311∼31n)로 구성된다.
기업내 네트워크 시스템(1)은 인트라넷 등으로 구성되며, LAN 및 WAN 등의 기업내 네트워크(3)를 통해 서로 접속된, 복수의 점포내 단말(11)(111∼11m)과, 점포내 DB 시스템(21)(211∼21m)과, 마스터 서버(13)와, 마스터 DB 시스템(23)과, 쇼핑 서버(15)와, 쇼핑 DB 시스템(25)과, 발송 관리 서버(17)와, 발송 관리 DB(27) 시스템으로 구성되다.
점포내 단말(11)은 이 사업체가 보유하거나 또는 계약한 판매점, 서비스점 등에 설치되어, 각 점포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이다. 각 점포내 DB 시스템(21)은 각 점포가 자점포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DB 시스템이다. 점포내 단말(11)과 점포내 DB 시스템(21)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다. 점포내 단말(1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111), 제어부(112), 데이터 기억부(113), 입력 처리부(114) 및 표시 처리부(115)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111)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기업내 네트워크(3)를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12)는 입력 처리부(114)로부터 입력된 지시에 따라, 통신 제어부(111)를 통해 통신하고, 또 점포 내의 업무에 관한 각종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화상 정보를 작성하여, 표시 처리부(115)에 공급한다.
데이터 기억부(113)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기록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입력 처리부(114)는 키보드, 지정 도구 등으로 구성되며, 지시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처리부(115)는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12)로부터 공급된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여 정보 등을 제시(출력)한다.
한편, 점포내 DB 시스템(21)은 고객 DB(211)와, 매출 DB(212)와, 청구서 DB(213)를 구비한다.
고객 DB(211)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점포의 고객에 관한 기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DB이며, 고객 ID, 명칭, 주소, 고객 종별[법인/개인별(법인의 경우는 법인 ID)], 고객 순위, 영업 담당자, 추전 상품, 영업 담당 메시지, 배송지 코드, 지역 코드 등의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고객 ID」는 고객의 식별 정보이며, 고객별로 독특한 정보가 설정된다. 「고객 순위」는 그 고객의 우량도를 나타낸다. 「고객 순위」에 따라서, 그 고객에 제공하는 상품 가격의 할인율이나 쿠폰이 정해진다. 「고객 순위」는, 예컨대 영업 담당자에 의해 설정된다. 「추전 상품」은 담당자가 그 고객에게 추천하고 싶은 상품이며, 영업 담당자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영업 담당 메시지」는 각 고객의 담당 영업자로부터의 단문 메시지이다. 「배송지 코드」 및 「지역 코드」는 상품을 보낼 곳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며, 배송지 주소 등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코드이다.
또, 고객 정보 DB(211)에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법인 고객에 관한 정보도 기록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각 법인마다 부여된 법인 ID마다 레코드가 작성되어 있으며, 각 레코드에는 그 법인의 명칭, 소재지 및 구매 담당자의 고객 ID 및 소속 부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매출 DB(212)는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회의 상거래를 단위로 하여 판매한 상품의 상품 코드, 수량, 단가, 구입자(ID), 영업 담당(ID) 등을 기억한다. 1회의 상거래를 단위로 하여 매출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동시에 구입된 상품(상품군)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서 DB(213)는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월분의 청구 정보를 축적하여, 청구서를 발행하기 위한 DB이며, 고객별로 판매일, 판매 상품, 수량, 단가(제공 가격), 담당자(법인의 경우) 등의 정보가 설정된다. 한편, 이 시스템에서는, 법인이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쇼핑으로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도, 담당 점포에서 일괄적으로 청구서를 발행한다. 그래서, 온라인 쇼핑에서의 판매에 관해서도 같은 정보가 청구서 DB(213)에 설정되며, 또한, 온라인 쇼핑을 통한 판매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온라인?」 : YES/NO)가 설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터 서버(13)와 마스터 DB 시스템(23)은 사업체 전체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마스터 서버(1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131), 제어부(132), 데이터 기억부(133), 입력 처리부(134) 및 표시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통신 제어부(131), 제어부(132), 데이터 기억부(133), 입력 처리부(134) 및 표시 처리부(135)의 구성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점포내 단말(11)의 통신 제어부(111), 제어부(112), 데이터 기억부(113), 입력 처리부(114) 및 표시 처리부(115)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다. 다만, 제어부(132)의 기능에는 사업체 전체의 관리 사업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된다.
한편, 마스터 DB 시스템(23)은 이 사업체 전체의 다양한 데이터를 집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DB(231), 고객 DB(232), 관련 상품 DB(233) 및 매출 DB(234)를 구비한다.
상품 DB(231)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사업체가 취급하고 있는 전체 상품의 상품 코드, 상품명, 상품 구분, 기준 단가, 상품 카테고리, 링크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 카테고리란, 그 상품이 「본체」, 「옵션」, 「서플라이 용품」의 어디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체」란, 통상 단독으로 사용되는 주요 상품을 의미한다. 「옵션」이란, 통상 단독으로 사용되는 일이 없고, 「본체」에 부속되거나 접속되어 사용되는 상품을 의미한다. 「서플라이 용품」이란, 통상, 단독으로 사용되는 일이 없고, 「본체」 또는 「옵션」에 장착되어, 사용에 따라 마모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복사기를 예로 들면 복사기 자체가 「본체」, 복사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피더(feeder), 소터(sorter), 통신 장치, 전원 장치 등이 「옵션」, 토너나 용지 등이 「서플라이 용품」이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면, 카메라 자체가 「본체」, 카메라와 개인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나 통신 소프트웨어 등이 「옵션」, 화상을 축적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나 배터리 등이 「서플라이 용품」이 된다.
링크 정보는 다른 상품 카테고리로, 그 상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등록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컨대, 「본체」라면, 그 본체에 적합한 옵션이나 서플라이 용품의 상품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옵션」이라면, 그 옵션이 적합한 본체의 상품 코드나, 그 옵션에 적합한 서플라이 용품의 상품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또, 「서플라이 용품」이라면, 그 서플라이 용품이 적합한 본체나 옵션의 상품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도 5a의 예에서는, 본체인 상품 코드 A123의 상품에 사용할 수 있는 서플라이 용품으로서, C203이 예로 제시된다. 따라서, 상품 코드 C203의 링크 정보에는 적합한 본체로서 A123을 들 수 있다.
이 상품 카테고리 및 링크 정보에 의해, 각 상품이 어느 한 상품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또한, 적합 관계에 있는 상품들끼리 링크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본체의 기종을 지정하면, 그 본체에 적합한 옵션 또는 서플라이 용품이 특정된다. 이와 같은 연상 형식으로, 상품을 선택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품 카테고리를 특정하여, 그 상품 카테고리 내에서 어떤 상품에 적합한 상품을 선택 ·지정하는 것도 할 수 있다.
고객 DB(232)는 이 사업체의 전체 고객에 관한 고객 정보를 기록한다. 그 내용은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a에 나타내는 고객 DB(211)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각 고객이 소유하고 있는 상품(장치)의 정보도 기록하고 있다. 또, 고객 DB(232)에는 점포내 DB 시스템(21)의 고객 DB(211)와 마찬가지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법인 정보도 기록된다.
관련 상품 DB(233)는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시에 구입될 가능성이 높거나 혹은 동시에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품 등을 기록한다.
예컨대, 어떤 상품과 그 상품의 옵션 및 서플라이 용품과는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를 구입했을 때에, 촬영한 화상을 편집 ·가공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나 가공한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를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상품들은 관련있는 상품이다. 이와 같이, 미리 관련이 명확한 경우에는, 관련되는 상품을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담당자가 입력 처리부(134)로부터 관련 상품 DB(233)의 영역(233A)에 설정한다.
한편, 이 시스템의 담당자가 관련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많은 사람이 상품을 구입할 때에, 동시에 구입하는 상품은 동시에 구입하는 쪽이 바람직한 것인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제어부(132)가, 과거의 판매 이력을 체크하여, 동시에 판매되는 비율이 소정치, 예컨대 5%를 넘는 경우에는 이 관련 상품 DB(233)의 영역(233B)에 양 상품의 관련을 나타내는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매출 DB(234)는 이 사업체 전체의 매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전체 점포의 매출 데이터를 집적한 것으로 된다.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3c에 나타내는 각 점포의 매출 DB(212)의 구성과 동일하며, 1회의 상거래를 단위로 한 매출 정보가 등록된다. 따라서, 마스터 서버(13)는 매출 DB(234)의 내용으로부터, 동시에 판매된 상품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쇼핑 서버(15)와 쇼핑 DB 시스템(25)은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쇼핑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다.
쇼핑 서버(1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151), 제어부(152), 데이터 기억부(153), 입력 처리부(154) 및 표시 처리부(155)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151), 제어부(152), 데이터 기억부(153), 입력 처리부(154) 및 표시 처리부(155)의 구성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점포내 단말(11)의 통신 제어부(111), 제어부(112), 데이터 기억부(113), 입력 처리부(114) 및 표시 처리부(115)의 구성 및 기능과 마찬가지다. 다만, 제어부(152)의 기능에는 온라인 쇼핑용의 웹페이지의 운영, 판매 처리 등에 필요한 기능이 포함된다.
쇼핑 DB 시스템(25)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사용자 DB(251), 웹페이지 소재 DB(252), 웹페이지 DB(253), 상품 DB(254), 매출 DB(255)와, 주문 DB(256)와, 관련 상품 DB(257)와, 메뉴얼 DB(258)와, 뉴스 DB(259)를 구비한다.
온라인 사용자 DB(251)는 온라인 쇼핑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 ID, 성명, 주소, 고객 종별[법인/개인별(법인인 경우는 법인 ID를 병기)], 로그인 계정(메일 어드레스·패스워드), 소유 기기, 배송지 코드, 지역 코드가 설정된다. 또한, 법인인 경우에는, 고객 순위, 영업 담당(점포+담당자), 추전 상품, 영업 담당 메시지 등이 설정된다. 고객 ID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이다. 법인 고객의 경우, 고객 ID는 판매점이나 서비스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ID와 동일한 ID가 사용된다. 성명과 주소는 그 사용자의 성명과 주소 ·소재지이다. 로그인 계정은 사용자의 전자 메일의 어드레스(E-mail 어드레스)와 패스워드의 쌍이며,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서비스에 로그인할 때에 필요하게 된다.
법인 사용자의 경우는, 법인내의 각 담당자(예컨대, 총무부나 구매부 사람)마다 계정이 등록된다. 소유 기기는 그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장치(본체)의 정보이다. 온라인 쇼핑만 이용할 뿐 점포와 거래하지 않는 사용자인 경우에는, 과거에 온라인 쇼핑으로 판매한 상품이 설정된다. 한편, 온라인 쇼핑과 점포에서의 거래를 병용하고 있는 법인 사용자에 대해서는, 점포에서의 판매와 온라인 쇼핑에서의 판매의 양방의 이력에 기초하여, 소유 기기의 정보가 설정된다. 담당자의 수는 복수도 좋으며, 담당자의 수에 따른 수의 로그인 계정이 설정된다. 또한, 법인의 경우에 설정되는, 고객 순위, 영업 담당, 추전 상품, 영업 담당 메시지, 배송지 코드, 지역 코드는 점포내 DB 시스템(21)의 고객 DB(211)에 설정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정보가 설정된다. 또한, 고객 DB(251)에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법인 정보[고객 DB(211, 232)와 마찬가지]도 기록된다.
웹페이지 소재 DB(252)는 웹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의 화상을 기억한다. 예컨대, 각 영업 담당원의 얼굴 화상, 상품의 화상, 캐치프레이즈, 각종 양식 등을 기억한다.
웹페이지 DB(253)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여러 가지 웹페이지를 기억한다.
상품 DB(254)는 이 온라인 쇼핑에서 다루는 상품의 데이터베이스이며, 상품 DB(231)과 같은 식의 구성을 갖는다.
매출 DB(255)는 각 점포의 매출 DB(212)(도 3c)와 같은 식의 구성이며, 거래 단위로 매출 정보가 등록된다.
주문 DB(256)는 온라인 쇼핑에서의 주문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관련 상품 DB(257)에는 마스터 DB 시스템(23)의 관련 상품 DB(233)에 등록되어 있는 관련 상품 정보 중 온라인 쇼핑 서비스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정 보만이 복제된다.
메뉴얼 DB(258)에는 복수 기기의 조작 메뉴얼 또는 사용자 메뉴얼이 전자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다.
뉴스 DB(259)에는, 예컨대 인터넷 상의 다양한 뉴스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뉴스 및 쇼핑 서버(15)로부터 입력된 뉴스가 장르별로 저장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발송 관리 서버(17)와 발송 관리 DB(27) 시스템은 상품의 수주 및 발주에 따라서 배송 준비나 재고 관리를 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다.
발송 관리 서버(1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171), 제어부(172), 데이터 기억부(173), 입력 처리부(174) 및 표시 처리부(175)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171), 제어부(172), 데이터 기억부(173), 입력 처리부(174) 및 표시 처리부(175)의 구성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점포내 단말(11)의 통신 제어부(111), 제어부(112), 데이터 기억부(113), 입력 처리부(114) 및 표시 처리부(115)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다. 다만, 제어부(172)의 기능에는 수주 및 발주의 처리, 재고의 관리, 납품일의 특정 등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된다.
발송 관리 DB(27) 시스템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송 센터 DB(271)와, 상품 DB(272)와, 배송 소요 시간 DB(273)와, 입하 상황 DB(274)를 구비한다.
배송 센터 DB(271)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송지 코드별로, 사업체 에 속하는 배송 센터에 부여된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으며, 발송 관리 서버(17)가 배송지로 상품을 발송하는 배송 센터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상품 DB(272)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마다 부여된 상품 코드별로, 각 상품을 발송할 수 있는 배송 센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도 9b의 예에서는,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을 발송할 수 있는 배송 센터에는 「OK」(가능)이 표시되어 있고, 발송할 수 없는 배송 센터는 공란으로 되어 있다.
배송 소요 시간 DB(273)는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의 배송지 주소에 대응하는 지역 코드별로, 각 배송 센터에서의 상품 발송에서부터 주문자의 수중에 상품이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일수가 설정되어 있다.
입하 상황 DB(274)는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의 재고 상황이나 입하 상황의 확인이 가능한 DB이며, 상품 코드별로, 재고수, 다음 입하 예정일, 예정 입하수 등의 정보가 설정된다. 또한, 입하 상황 DB(274)에서는 상품 코드별로, 재고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있음」/「없음」)나 입하 예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있음」/「없음」)이 설정되어도 좋다. 한편, 재고수나 예정 입하수는 사업체에 속하는 배송 센터마다 수치를 설정하는 식으로 하여도 좋다.
[동작]
이어서, 상기 구성의 시스템을 이용한 사업체의 사업 활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판매점에서의 동작]
각 판매점의 영업 담당자는 날마다 고객과 접촉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동시 에 신규 고객을 개척한다.
새로운 매출(주문)이 발생하면, 판매점의 담당자는 점포내 단말(11)로부터, 매출(주문) 내용을 점포내 DB 시스템(21) 내의 매출 DB(212)에 등록한다. 이 때, 1회의 상거래로 거래된 복수의 상품에 대해서는 하나의 거래 번호를 설정한다. 또한, 새로운 고객이 영업원에 의해 개척된 경우에는, 영업원은 그 고객에 관한 정보를 고객 DB(211)에 등록한다.
영업 담당자는 자기가 담당하는 법인에 대해서, 그 법인의 고객 순위(고객 우량도)나, 그 고객에게 알맞은 권장 상품,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 등을 적절히 설정한다.
마스터 서버(13)는, 예컨대 심야 등에 각 판매점의 점포내 DB 시스템(21) 및 쇼핑 DB 시스템(25)에 액세스하여, 갱신된 정보(차분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마스터 DB 시스템(23)을 갱신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당일 매출 정보가 매출 DB(234)에 등록된다. 또한, 이 매출에 의해, 각 고객이 소유하는 주된 장치(상품 카테고리가 주상품에 상당하는 상품)가 증가한 경우에는, 고객 DB(232) 상의 「소유 상품」 란에 추가한다. 또한, 고객 정보에 변경이 생기거나, 새로운 고객이 발생한 경우에도 마스터 서버(13)는 고객 DB(232)를 갱신한다.
또, 마스터 서버(13)는 각 점포의 고객 DB(211)으로부터 수집한 법인 고객의 고객 순위, 권장 상품, 영업 담당 메시지 등을 쇼핑 서버(15)를 통해 쇼핑 DB 시스템(25) 내의 온라인 사용자 DB(251)에 설정한다. 또한, 마스터 서버(13)는 갱신된 매출 DB(234)의 내용으로부터 관련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상품 DB(233)에 설 정한다. 또한, 갱신한 관련 상품 정보 중 온라인 쇼핑에 관련된 정보만 쇼핑 서버(15)를 통해 관련 상품 DB(257)에 기록된다.
[온라인 쇼핑 서비스]
[사전 등록]
법인 고객이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영업 점포 등에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법인 고객은 영업 담당자 등을 통해, 온라인 쇼핑 등록을 등록 신청서 등에 기입하여, 담당 영업원 등을 통해 신청한다. 하나의 법인에 대해서, 담당자는 여러 명이라도 좋으며, 사람수만큼의 로그인 계정이 설정된다. 등록 신청서에 기재된 정보는 쇼핑 서버(15)의 관리자에게 회송되어,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온라인 사용자 DB(251)에 등록된다. 여기서, 고객 순위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각 영업점에서의 서비스와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해서, 영업 담당자가 결정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들 처리는 각 점포의 영업 담당자와 쇼핑 서버(15)의 관리자 사이에서 서로 연락을 취해 실행된다.
한편, 개인 고객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31)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ISP(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인터넷(2)을 통해, 쇼핑 서버(15)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사용자 등록용 웹페이지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이 사용자 등록용 웹페이지에서, 메일 어드레스, 주소 ·성명, 지불 방법 등을 등록한다. 등록한 개인에게는 패스워드가 발행된다. 쇼핑 서버(15)는 이들 정보에 사용자 ID를 붙여, 온라인 사용자 DB(251)에 등록한다.
[온라인 쇼핑의 동작]
이어서, 실제로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31)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쇼핑 서버(15)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로그인 화면에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의한 액세스에 응답하여, 쇼핑 서버(15)는 도 10의 처리를 시작하여, 웹페이지 제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웹페이지 제시 처리는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있어서의 입력 사항에 기초하여 로그인의 허가와 거부를 결정하며, 로그인을 허가한 경우에, 사용자마다 설치된 개인 페이지를 표시하게 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단계 S1의 웹페이지 제시 처리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쇼핑 서버(15)가 단계 S1에서 실행하는 웹페이지 제시 처리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웹페이지 제시 처리에 있어서, 우선 쇼핑 서버(15)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그인명이나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페이지(HTML 형식의 정보)인 탑 페이지를 웹페이지 DB(253)로부터 판독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해서 표시한다(단계 S101).
이 페이지에는 로그인 계정(메일 어드레스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란이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화면 상에서 로그인 계정을 입력하고, 「GO!」를 클릭함으로써 인터넷(2)을 통해 입력 사항이 쇼핑 서버(15)에 통지된다.
쇼핑 서버(15)는 단말(31)의 지시에 기초하여, 개인 페이지로의 로그인 요구의 유무를 판별한다(단계 S102). 로그인 계정의 입력이 없는 경우나 입력된 로그인 계정에 부족할 경우(단계 S102 : No), 쇼핑 서버(15)는 그 밖의 일반적인 페이지를 제시한다(단계 S104).
한편, 로그인 요구가 있었던 경우(단계 S102 : Yes), 쇼핑 서버(15)는 클라이언트 단말(31)에 개인 페이지를 표시되게 한다(단계 S103). 보다 구체적으로는, 쇼핑 서버(15)는 온라인 사용자 DB(251)로부터, 이 고객을 담당하고 있는 영업점의 영업 담당자와, 고객 순위와, 소유 기기와, 추전 상품과, 영업 담당 메시지를 판독한다. 이어서, 웹페이지 소재 DB(252)로부터, 영업 담당자의 화상 및 추전 상품의 이미지 화상을 판독한다. 이 후, 쇼핑 서버(15)는 소유 기기에 관한 정보와, 관련 상품 DB(257)에 기록되어 있는 관련 정보로부터, 로그인한 사용자가 소유한 기기에 적합한 서플라이 용품을 특정하고, 또한 그 서플라이 용품에 관한 정보를 웹페이지 소재 DB(252)로부터 판독한다.
이어서, 쇼핑 서버(15)는 이들 정보를 배치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웹페이지를 형성하고,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하여 표시되게 한다. 이렇게 해서 클라이언트 단말(31)에서 개인 페이지가 표시되면, 웹페이지 제시 처리는 종료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인 페이지는 좌우 2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좌측 프레임에 이 사이트 내의 네비게이션 항목이 배치되어 있다. 또, 우측 프레임의 상단 좌측에 영업 담당자가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배치되고, 상단 우측에 이 사용자를 담당하는 영업 담당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아래에 영업 담당자가 고객에게 추전하는 상품의 화상이나 알림, 서비스 정보 등의 각종 정 보가 제시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31)에서, 좌측 프레임의 네비게이션 표시로부터 「주문 상황」이 선택되면, 쇼핑 서버(15)는 고객 정보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 고객 정보 검색 처리의 상세한 점을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쇼핑 서버(15)의 제어부(152)는 단계 S102에서 입력된 로그인 계정을 취득한다(단계 S201).
제어부(152)는 온라인 사용자 DB(251)에 액세스하여, 단계 S201에서 취득한 로그인 계정에 기초하여, 그 열람자에게 대응하는 법인 ID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02). 여기서 법인 ID는 그 열람자가 소속된 법인 및 부서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어부(152)는, 또한 단계 S202에서 취득한 법인 ID와 동일한 법인 ID인 사용자의 사용자 ID를 취득한다(단계 S203). 즉 열람자와 동일한 부서의 다른 사용자를 선출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52)는 구입 이력 취득 처리(단계 S3)를 실행한다. 구입 이력 취득 처리의 상세한 점을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52)는,예컨대 소정의 타이머 회로 등으로부터, 현재의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301).
다음에 제어부(152)는 매출 DB(255)에 액세스하여, 단계 S203에서 취득한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에 관한 매출 정보를 검색한다. 이 때, 단계 S303에서 취득한 현재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52)는 현재 날짜로부터 소정 기간( 예컨대, 1개월)전의 매출 정보를 검색하고(단계 S302), 검색 결과, 즉 그 조건에 일치하는 매출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303).
제어부(152)는 계속해서 구입 이력 표시 처리(단계 S4)를 실행한다. 이 구입 이력 표시 처리의 상세한 점을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52)는 단계 S303에서 취득한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이하, 「구입 이력 페이지」라 함)를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한다(단계 S401). 도 17에 구입 이력 페이지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입 이력 페이지에는 열람자의 성명 및 소속처가 표시되는 동시에, 단계 S303에서 취득한 매출 정보에 기초한 정보(발주 번호, 발주일, 상품명, 발주자, 금액 등)가 리스트로 표시된다. 이 리스트의 비고란에는 「상세」가 예컨대 하이퍼링크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각각을 클릭함으로써, 그 발주 상품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페이지로 점프한다.
즉, 이 「상세」가 선택되면(단계 S402 : Yes), 제어부(152)는 발송 관리 서버(17)에서 발주 상품에 관한 현황을 조회하여,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현황 정보」라 함)를 취득한다(단계 S403). 여기서, 현황 정보는. 예컨대 주문 내용의 상세, 배송지, 청구처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쇼핑 서버(15)의 제어부(152)에서의 조회에 따라, 발송 관리 서버(17)의 제어부(172)가 발송 관리 DB(27) 시스템으로부터 해당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쇼핑 서버(15)의 제어부(152)는 발송 관리 서버(17)로부터 취득한 현황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웹페이지(이하, 「주문 상황 페이지」라 함)를 작성하 여,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한다(단계 S404).
이 주문 상황 페이지의 표시예를 도 18에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403에서 취득한 현황 정보에 기초한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입 이력 페이지의 하단에는 검색 화면도 표시되어 있다. 검색 화면에는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 박스나 풀다운 메뉴 등이 준비되어 있다. 열람자는 구입 이력 페이지에 리스트 표시된 구입 이력 이외의 구입 이력을 참조할 경우, 검색 화면에 원하는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다. 즉,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단계 S405 : Yes), 쇼핑 서버(15)의 제어부(152)는 입력된 조건으로 매출 DB(255)를 검색한다(단계 S406).
제어부(152)는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도 17에 나타내는 구입 이력 페이지와 같은 표시 형식)를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한다(단계 S407).
또,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입 이력 페이지(검색 결과 페이지도 포함함) 및 주문 상황 페이지 각각의 최하단에는 "상품 구입 페이지로"의 네비게이션 표시가 예컨대 하이퍼링크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네비게이션 표시를 클릭하면(단계 S408 : Yes), 단계 S5의 상품 통지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상품 구입 페이지로"의 점프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는 구입 이력 페이지의 표시에 머무른다(단계 S408 : No).
사용자는 상품 구입 페이지를 선택한 경우, 예컨대 쇼핑 카트 모델을 이용하여 구입 희망 상품을 지정할 수 있다. 상품 구입 페이지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급 상품을 카테고리별로 리스트 표시한 페이지이다. 쇼핑 서버(15)는 전술한 단계 S5의 상품 통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한 카테고리(상품 카테고리)를 선택한 경우에,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을 발송 관리 서버(17)에 통지한다.
다음에, 단계 S5의 상품 통지 처리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쇼핑 서버(15)가 단계 S5에서 실행하는 상품 통지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품 통지 처리에서는, 상품 카테고리의 선택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쇼핑 서버(15)가 판별하여(단계 S501), 선택이 이루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01의 처리를 반복하여 대기한다.
상품 카테고리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쇼핑 서버(15)는 상품 DB(254)를 검색하여,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의 상품 코드를 추출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쇼핑 서버(15)는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을 특정한다(단계 S502).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을 특정한 후, 쇼핑 서버(15)는 추출한 상품 코드를 발송 관리 서버(17)에 통지한다(단계 S503). 이렇게 해서 발송 관리 서버(17)에의 상품의 통지가 완료되면, 상품 통지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에, 단계 S6의 재고 확인 처리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1은 쇼핑 서버(15)가 단계 S6에서 실행하는 재고 확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재고 확인 처리는 발송 관리 서버(17)가 쇼핑 서버(15)로부터 상품의 통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재고 확인 처리를 시작하면, 발송 관리 서버(17)는 쇼핑 서버(15)로부터 통지된 각 상품에 관해서, 재고 유무를 판별한다(단계 S601). 재고 유무는, 예컨대 입하 상황 DB(274)를 검색해서 쇼핑 서버(15)가 통지한 상품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품에 대응하는 「재고 상황」을 체크함으로써 확인된다.
재고가 있는 상품의 경우에는, 발송 관리 서버(17)는, 또한 그 상품에 대응하는 「재고수」를 체크하여, 그 상품의 재고수가 미리 정해진 소정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602). 재고수가 소정수 이하인 경우에는 발송 관리 서버(17)는 「재고 매우 적음」 등의 메시지를 상품 코드와 대응시켜서 쇼핑 서버(15)에 송신한다(단계 S603). 한편, 재고수가 소정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발송 관리 서버(17)는 「재고 있음」 메시지를 쇼핑 서버(15)에 송신한다(단계 S604).
또, 재고가 없는 상품인 경우에는, 발송 관리 서버(17)는 그 상품에 대응하는 「다음 입하 예정」을 참조하여 그 상품이 입하될 예정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605). 입하 예정이 있는 경우에는, 발송 관리 서버(17)는 그 상품에 대응하는 「입하 예정일」로부터 입하 예정일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S606), 판독한 정보를 상품 코드와 대응시켜서 쇼핑 서버(15)에 송신한다(단계 S607). 한편, 입하 예정이 없는 경우에는 「입하 대기」 등의 메시지를 쇼핑 서버(15)에 발신한다(단계 S608). 이렇게 해서, 발송 관리 서버(17)가 쇼핑 서버(15)로부터 통지된 각 상품에 관한 재고 상황이나 입하 예정 등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메시지 발신을 완료하면, 재고 확인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에, 단계 S7의 쇼핑 페이지 표시 처리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2 는 쇼핑 서버(15)가 단계 S7에서 실행하는 쇼핑 페이지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쇼핑 페이지 표시 처리는 쇼핑 서버(15)가 발송 관리 서버(17)로부터 재고 상황이나 입하 예정 등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쇼핑 페이지 표시 처리가 시작될 때, 쇼핑 서버(15)는 전술한 단계 S5의 상품 통지 처리에서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웹페이지 소재 DB(252)로부터 판독하는 등의 방식으로 쇼핑 페이지를 작성한다(단계 S701). 이 때, 쇼핑 서버(15)는 발송 관리 서버(17)로부터 수신한 정보나 메시지에 기초하여, 각 상품마다 재고 상황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쇼핑 페이지에 부가한다. 또, 쇼핑 서버(15)는 발송 관리 서버(17)로부터 입하 예정일을 나타내는 정보나 「입하 대기」 메시지를 수신한 상품에 대해서는, 영업 담당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 가능한 페이지에 링크된 「담당 영업으로」 이미지를 부가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상품의 재고 상황에 따른 쇼핑 페이지를 작성한다.
또한, 쇼핑 서버(15)는, 전술한 웹페이지 단계 S103에서 온라인 사용자 DB(251)로부터 판독한 고객 순위에 대응하는 할인율을 구한다. 쇼핑 페이지에서 판매 상품에 따른 소정 위치에는 할인율을 고려한 제공 가격[기준 가격×(1-할인율)]이 표시된다.
쇼핑 서버(15)는 작성한 쇼핑 페이지를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하여 표시되게 한다(단계 S702). 이에 따라, 예컨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쇼핑 페이지가 클라이언트 단말(31)에서 표시되어, 각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쇼핑 페이지에서는, 각 상품에 관한 정보로서, 예컨대 「재고 매우 적음」, 「1월25일 입하 예정」, 「입하 대기」와 같은, 상품의 재고 상황이나 입하 예정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품마다 표시된다. 한편, 「재고 있음」 메시지를 수신한 상품에 대해서는, 재고 상황을 나타내는 특별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입하 예정일이나 「입하 대기」와 같은 정보가 표시된 상품에 대응하여 「담당 영업으로」 이미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의 「담당 영업으로」 이미지를 클릭함으로써, 영업 담당자에게 전자 메일을 보내는 등과 같은 식으로 연락을 취할 수 있어, 상품 구입의 예약 등이 가능하다.
이 후, 쇼핑 서버(15)는 도 24의 처리를 시작하여, 주문 접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801). 이 주문 접수 처리는 클라이언트 단말(31)에서 사용자가 상품의 구입을 지시하는 절차를 이행한 것에 응답하여, 상품의 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쇼핑 페이지를 통하여, 「카트에 담기」를 선택함으로써 지정된 상품의 주문을 접수한다. 이 경우, 예컨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트의 내용물을 표시하는 페이지가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된다. 클라이언트 단말(31)에서, 「주문 절차로」가 선택됨으로써, 카트에 들어간 상품을 지정하는 정보가 쇼핑 서버(15)에 통지되어, 주문이 접수된다.
쇼핑 서버(15)는 주문을 접수하면, 주문 확인 발주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802). 여기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송지나 지불 방법 등의 주문할 때에 요구되는 페이지가 클라이언트 단말(31)에 송신되는 동시에, 주문된 상품을 지정하는 정보(주문 데이터)가, 쇼핑 서버(15)로부터 발송 관리 서버(17)에 통지된다.
주문 데이터의 통지 시에, 발송 관리 서버(17)는 배송 준비 처리(단계 S803), 배송 가능일 특정 처리(단계 S804) 및 예정 배송일 특정 처리(단계 S805)를 순차 실행한다.
배송 준비 처리에 있어서, 발송 관리 서버(17)는 발송 관리 DB(27)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상품의 재고가 있는 배송 센터를 특정하여, 주문 상품의 발송을 준비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주문 내용에 따른 재고의 준비 처리를 실행한다.
배송 가능일 특정 처리에 있어서, 발송 관리 서버(17)는 주문 상품마다 입하 예정일이나 배송 센터마다 소요 시간 등에 기초하여, 주문 상품을 배송할 수 있는 일시를 특정한다.
예정 배송일 특정 처리에 있어서, 발송 관리 서버(17)는 사용자가 지정한 희망 배송 일시 등의 조건에 따라 배송 예정일을 특정하여 쇼핑 서버(15)에 통지한다.
예정 배송일 특정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상품 배송일의 통지를 받은 쇼핑 서버(15)는 수주 통지 처리를 실행하여(단계 S806), 주문 상품마다 배송 예정일을 제시할 수 있는 화면 정보(도 27)를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1)로 보내어 클라이언트 단말(31)의 화면 상에 표시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법인 ID를 등록하고 있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할 때, 동일 법인 ID의 사용자에 의한 발주 이력(구입 이력)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법인의 조직 단위인 사업부, 부문, 과, 그룹 등에서 필요하게 되는 물품을 구입할 때, 발주 이력을 참조하고 나서 발주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 발주 등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발주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점 시스템과 온라인 쇼핑 시스템을 융합시켰지만, 판매의 대상은 임의적이며,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영상, 음악 등),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판매점 시스템과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같은 식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서버나 DB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점포에 점포내 단말(11)이 1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점포에 LAN 등에 접속된 여러 대의 점포내 단말을 설치하여도 좋다. 마스터 서버(13) 및 쇼핑 서버(15)도, 협동하여 동작하는 여러 대의 서버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DB 구성 역시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DB를 통합하더라도 좋으며, 또는 하나의 DB를 기능적으로 복수로 분할하여도 좋다. 또한, 중복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설정을 생략하여도 좋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련 상품 DB(233)에 본체와 옵션 및 서플라이 용품과의 관계를 설정하지 않고, 이들 관계에 대해서는 상품 DB(231)의 내용으로부터 특정하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 관련 상품 DB(233)을 배치하지 않고, 관련 상품에 관한 정보는 관련 상 품 DB(257)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품 DB(231)에는 상품의 링크 정보가 없고, 상품 DB(254)에만 링크 정보를 설정하여도 좋다.
컴퓨터 또는 컴퓨터군을 전술한 시스템으로서 기능하게 하거나, 또는 전술한 공정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록 매체(ROM,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CD-ROM, MO, CD-R,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록하여 배포 ·유통시켜도 좋다. 또한, 컴퓨터 또는 컴퓨터군을 전술한 시스템으로서 제어하거나, 또는 전술한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반송파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다.
전술한 기재 내용은 예시적으로 설명하려고 의도한 것이며,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제시한 예시들 외에도,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기재 내용을 읽으면 다수의 실시예 및 다수의 용도가 분명해 질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기재를 참조하는 데에 결정되지 않으며, 첨부하는 청구범위의 권리를 부여받는 균등한 전체 범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2001-356691호(2001년 11월21일에 출원)를 기초로 하는 것으로, 그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Claims (15)

  1.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사이트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에서 발주된 발주 내용을 나타내는, 날짜, 발주자를 포함하는 발주 정보를, 상기 단말의 조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조작자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발주 정보 기억부와,
    상기 조작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와 그 조직에 소속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허가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는 조직 정보 특정부와,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직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직 정보와 동일한 조직 정보에 관련된 조작자 정보를 특정하는 조작자 정보 특정부와,
    상기 발주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된 날짜, 발주자를 포함하는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발주 정보 취득부와,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날짜, 발주자를 포함하는 발주 정보를, 상기 로그인이 허가된 조작자의 단말에 통지하는 발주 정보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기준일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기준일로부터 소정 기간의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특정부는,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허가된 상기 단말의 상기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는 조직 정보 특정부와,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조직 정보 특정부를 특정한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정보를 특정하는 조작자 정보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와 대응된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조작자 선택 수단 제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발주 정보 기억부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와 대응된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소정 기간의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는 적어도, 발주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 정보, 발주 수량을 나타내는 수량 정보, 발주된 물품의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 정보, 발주일을 나타내는 발주일 정보, 발주된 물품을 보낼 곳을 나타내는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 정보 특정부가 특정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의 검색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 선택 수단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 조건 제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통지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조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검색한 상기 발주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발주 정보를 상기 단말 상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선택 수단은 상기 물품 정보, 상기 발주일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단계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로부터의 발주에서 발주 내용을 나타내는 발주 정보를 발주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쇼핑 사이트에 액세스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해서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고, 그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자의 사용자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발주 정보로부터, 특정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특정된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의 구입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단계는, 취득한 기준일로부터 소정 기간의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의 제공 방법.
  9.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입 이력 제시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하는 사용자 등록 단계와,
    상기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등록되는 사용자가, 조직의 일원으로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그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대응시켜 등록하는 조직 정보 등록 단계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한 발주에서의 발주 내용을 나타내는 발주 정보를 발주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시켜 기록하는 발주 정보 기록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그 사용자 정보에 기초해서,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특정하는 조직 정보 특정 단계와,
    상기 조직 정보 특정 단계에서 조직 정보가 특정된 경우, 그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특정하는 사용자 정보 특정 단계와,
    상기 발주 정보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발주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특정 단계에서 특정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취득하여, 구입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발주 정보 통지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통지 단계는, 취득한 기준일로부터 소정 기간의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입 이력 제시 방법.
  10.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단말의 조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조작자 정보와, 그 조작자가 소속된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조직 정보를 대응시켜 축적하는 식별 정보 축적부와,
    상기 단말로부터의 발주 내용과, 그 발주를 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를 대응시켜 축적하는 발주 정보 축적부와,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여, 상품의 발주를 접수하는 동시에, 그 발주를 송신한 단말의 조작자를 나타내는 조작자 정보를 접수하는 발주 접수부와,
    상기 발주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자 정보에 기초하여, 그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직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조직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직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직 정보에 기초하여, 그 조직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정보를 상기 조직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조작자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작자 정보에 기초하여, 그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를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발주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발주 정보를 구입 이력 정보로서 상기 조작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발주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취득한 기준일로부터 소정 기간의 발주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 송신부는 상기 조작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상기 단말 상에 제시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조작자의 조작자 정보와 대응된 발주 정보를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 송신부는,
    상기 조작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조작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주 정보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을 상기 단말에 제시하고,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가 검색한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에 기억되어 있는 발주 정보의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 상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는 적어도, 발주된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 정보, 발주일을 나타내는 발주일 정보, 발주된 물품을 보낼 곳을 나타내는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발주 정보 취득부는 상기 물품 정보, 상기 발주일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색 조건으로 하여 상기 발주 정보 축적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4. 컴퓨터를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서버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삭제
KR1020047007766A 2001-11-21 2002-11-20 네트워크 시스템 KR100685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56691 2001-11-21
JP2001356691A JP4448272B2 (ja) 2001-11-21 2001-11-21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購入履歴提示方法、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567A KR20050044567A (ko) 2005-05-12
KR100685249B1 true KR100685249B1 (ko) 2007-02-22

Family

ID=1916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766A KR100685249B1 (ko) 2001-11-21 2002-11-20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87339B2 (ko)
EP (1) EP1450281A4 (ko)
JP (1) JP4448272B2 (ko)
KR (1) KR100685249B1 (ko)
WO (1) WO2003044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0861B1 (en) 2000-03-17 2009-08-25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automated gift registry functionality to assist a user in purchasing an item for a recipient
US7318043B1 (en) 2004-05-24 2008-01-08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ally identifying erroneous orders
JP4940595B2 (ja) * 2005-08-17 2012-05-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発注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53557B2 (ja) * 2009-08-21 2013-11-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アクセ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43535B2 (ja) * 2009-08-21 2012-05-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19188A1 (en) * 2009-11-18 2011-05-19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Business to business trading network system and method
US8332378B2 (en) 2009-11-18 2012-12-11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File listener system and method
JP5572422B2 (ja) * 2010-03-09 2014-08-13 ニフティ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720486B2 (ja) * 2015-08-12 2020-07-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6432477B2 (ja) * 2015-09-25 2018-1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レジスタ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7220006A (ja) * 2016-06-07 2017-12-1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部品販売システム
JP6767534B2 (ja) * 2019-03-20 2020-10-1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10288B2 (ja) * 2019-05-16 2023-07-19 日本電気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059A (ja) * 1993-05-10 1994-11-25 Toppan Moore Co Ltd 発注管理システム及び顧客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326A (ja) * 1998-02-17 1999-08-27 Oki Electric Ind Co Ltd 購入情報処理装置
JP2000137643A (ja) 1998-08-26 2000-05-16 Mitsubishi Materials Corp 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337986B2 (ja) 1998-09-01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購買依頼システム及び購買依頼装置
US6167383A (en) * 1998-09-22 2000-12-26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er configured machines at an internet site
JP2000132596A (ja) 1998-10-21 2000-05-12 Ntt Data Corp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センタ
JP2001022831A (ja) 1999-07-05 2001-01-26 Hitachi Ltd 電子商取引における商品情報提供方法
JP2001118009A (ja) 1999-10-18 2001-04-2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子帳票の取得方法、電子帳票システム、電子帳票を取得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1134648A (ja) 1999-11-02 2001-05-18 Dentsu Tec Inc 顧客維持育成のための顧客データ分析方法
WO2001052122A2 (en) * 2000-01-10 2001-07-19 Skulogix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fulfillment of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s
JP2000306007A (ja) 2000-01-17 2000-11-02 Oricon Direct Digital:Kk 商品提案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商品提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1216371A (ja) 2000-01-31 2001-08-10 Fuji Xerox Co Ltd 電子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JP4028150B2 (ja) * 2000-02-09 2007-12-2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販売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管理方法
US20010032164A1 (en) * 2000-03-15 2001-10-18 Jaekil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auctioning between buyers and sellers using a computer network
EP1293919A1 (en) 2000-05-12 2003-03-19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Distribution aiding method, distribution aiding server, recording medium, distribution aiding program, and dealer terminal
US20020065736A1 (en) * 2000-05-23 2002-05-30 David Willner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US20020013738A1 (en) * 2000-06-05 2002-01-31 Jan Vistisen Online exhibition center
JP2002024574A (ja) * 2000-07-11 2002-01-25 Kjs Net:Kk 多次元空間受発注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7720714B2 (en) * 2001-01-19 2010-05-18 Globalserve Computer Services, Lt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procurement based on negotiated contracts
JP2002218065A (ja) * 2001-01-24 2002-08-02 Hitachi Telecom Technol Ltd 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
US20020133415A1 (en) * 2001-03-16 2002-09-19 Adolph Zarovinsk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or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059A (ja) * 1993-05-10 1994-11-25 Toppan Moore Co Ltd 発注管理システム及び顧客管理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632505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4708A1 (fr) 2003-05-30
US7587339B2 (en) 2009-09-08
JP2003157377A (ja) 2003-05-30
US20050049925A1 (en) 2005-03-03
EP1450281A1 (en) 2004-08-25
KR20050044567A (ko) 2005-05-12
JP4448272B2 (ja) 2010-04-07
EP1450281A4 (en)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5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ntent electronic commerce
US7797195B2 (en) Merchant-affiliated direct wholesale marketing and fulfillment system
US8103557B2 (en) Online merchandising system, online catalog presenting 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data signal
US6466915B1 (en) Customer histo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 online shopping
JP4018903B2 (ja) 本のリサイクル促進装置
US20010051893A1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KR10068524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US20110125611A1 (en) Optimized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US20060085282A1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20080046330A1 (en) Method for an online community of a purchasing management system
JP447348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見積情報管理方法、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265853A (ja) 関連商品推奨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0305989A (ja) 書籍販売システム
JP2001265851A (ja) 従属商品の選択支援装置
TW200825971A (en) Method of processing merchandise information distribution business support of bookstore, merchandise information distribution business support processing system, and corporate PR support processing system of bookstore
KR101096405B1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KR100707724B1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US20020133423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rticle mangement method, article 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n which an article management program is stored
KR101153518B1 (ko)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133173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ログイン方法
JP383271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3288510A (ja) 従属商品の選択支援装置及び方法
JP2001265852A (ja) 商品推奨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20025258A (ko) 상품 판매 장치
JP2007299432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