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892B1 -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Google Patents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4892B1 KR100684892B1 KR1020050021071A KR20050021071A KR100684892B1 KR 100684892 B1 KR100684892 B1 KR 100684892B1 KR 1020050021071 A KR1020050021071 A KR 1020050021071A KR 20050021071 A KR20050021071 A KR 20050021071A KR 100684892 B1 KR100684892 B1 KR 1006848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alysis
- bit line
- transistors
- region
- reg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7 microelectroni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ZLGASXMSKOWSE-UHFFFAOYSA-N tantal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a]#N MZLGASXMSKOW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tungsten nit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06—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at wafer scale level, i.e. wafer scale integration [WSI]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4—Circuits for electrically characterising 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es, e. g. whole test die, wafers filled with test structures, on-board-devices incorporated on each die, process control monitors or pad structures thereof, devices in scribe lin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10B10/12—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comprising a MOSFET load elemen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029/0403—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during or with feedback to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 분석 구조체는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분석 영역들, 게이트 전극 및 불순물 영역들을 구비하면서 분석 영역들에 배치되는 어레이 구조의 반도체 트랜지스터들, 분석 영역들에 배치되어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워드라인들 및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과 불순물 영역을 연결하는 수직 배선 구조체을 구비하면서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의 불순물 영역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비트라인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이때, 비트 라인은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른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2b 내지 도 10b는 각각 도 2a 내지 도 10a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분석 구조체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에스램 셀 어레이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각 공정 단계에 적용된 공정 여유도를 나타내는 표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량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불량 분석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불량 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채산성있는 수율(yield)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생산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도체 장치의 개발 과정은 이러한 안정된 생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반도체 장치를 설계하고, 시험 제조한 후, 테스트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불량 분석(failure analysis)은 시험 제조된 반도체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량의 원인을 찾아 개선하는 일련의 피드백 과정이다.
특히, 상기 반도체 장치의 설계 및 제조 방법은 상기 불량 분석의 결론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불량 분석은 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잘못된 불량 분석은 불필요한 시행 착오를 초래하여, 제품의 개발 기간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빠르면서 정확한 불량 분석은 짧은 개발 기간 및 이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시장 선점을 위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불량 분석을 위해, 반도체 웨이퍼에는 다양한 설계 규칙(design rule)을 적용하여 형성된 테스트 패턴들이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 패턴들에 대해 수행되는 다양한 전기적 측정들은 상기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미세 전자 소자들의 구조적 또는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테스트 패턴들은 상기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구조적/전기적 특성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까지의 단계들을 의미하는 전단 공정과 그 이후의 단계들을 의미하는 후단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후단 공정은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연결하는 배선 구조체(interconnection structure)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배선 구조체를 기계적으로 지지(mechanically support)하고 전기적으로 절연(electrically insulate)시키는 층간절연막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 미국특허 US2003-034558호(Eiichi Umemura et al.)는 상기 후단 공정을 평가하기 위해, 콘택 체인 구조를 갖는 검사 패턴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콘택 체인 구조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서는, 배선과 관련된 불량(즉, 쇼트 또는 오픈 등의 배선 불량)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지만, 불량의 유형 및 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까지는 얻을 수 없다.
불량의 정확한 위치를 알 경우, 그 위치의 반도체기판은 집중이온빔(FIB, focused ion beam) 등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으며, 절단된 단면은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분석 가능한 크기로 확대될 수 있다. 반면,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모를 경우, 분석 가능한 크기로 확대된 시각적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웨이퍼 절단 과정(wafer cutting process)이 필요하다. 즉, 상기 웨이퍼 절단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위치가 절단면에 포함된다면, 그 불량은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해 분석 가능한 크기로 확대될 수 있다. 하지만, 불량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경우, 불량이 발생한 위치가 웨이퍼 절단 공정을 통해 절단된 단면에 포함될지는 보장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술한 것처럼 여러 번의 웨이퍼 절단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제한된 개수의 불량들을 갖는 반도체 장치를 분석하는 경우, 시료 웨이퍼는 상기 부정확한 웨이퍼 절단 과정에서 불량 분석이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될 수 있다. 이 경우, 불량의 원인을 알아낼 수 없기 때문에, 개발 기간이 크게 지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제조의 후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제조의 후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는 분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다층 배선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서 발생하는 배선 불량의 유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분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다층 배선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서 발생하는 배선 불량의 수직적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분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분석 영역들을 구비하는 분석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 분석 구조체는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분석 영역들, 게이트 전극 및 불순물 영역들을 구비하면서 상기 분석 영역들에 배치되는 어레이 구조의 반도체 트랜지스터들, 상기 분석 영역들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워드라인들 및 비트라인 및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불순물 영역을 연결하는 수직 배선 구조체을 구비하면서 상기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의 불순물 영역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비트라인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트 라인은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른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배선 구조체는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직 배선 구조체는 적어도 한 층의 금속 패드들 및 적어도 한 층의 플러그들을 갖되,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층수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배선 구조체는 적어도 두 개의 플러그들이 한 개의 금속 패드에 연결되는 멀티 비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은 두 개의 부하 트랜지스터들, 두 개의 구동 트랜지스터들 및 두 개의 접근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에스램 셀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워드라인들은 상기 접근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비트라인 구조체들은 상기 접근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전극으로 사용되는 상기 불순물 영역들을 종 방향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분석 영역들에서 상기 비트라인의 적어도 일 측에는, 상기 비트 라인에서 브릿지 불량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접지 전압에 연결된 더미 패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분석 영역들에서 상기 비트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근접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 부분은 상기 비트 라인에서 브릿지 불량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비트라인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웨이퍼(10) 내에는 제품 영역(14) 및 보조 영역들(16)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다이들(dies, 12)이 배치된다. 상기 다이들(12)은 웨이퍼 절편 공정(wafer sawing process)을 통해 분리되어, 반도체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품 영역(14)은 상기 반도체 제품으로 사용될 영역이고, 상기 보조 영역(16)은 제조 공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구조체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상기 보조 영역(16)의 면적은 상기 반도체 제품의 개발 단계에서 대량 생산 단계로 넘어감에 따라 감소된다. 특히, 상기 대량 생산 단계에서, 상기 보조 영역(16)은 상기 다이(12) 내부가 아니라 다이들(12) 사이의 절단 영역(cutting region, 18)에 배치될 수 있다.
공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정 방법을 찾기 위해, 상기 분석 구조체는 다양한 설계 규칙을 적용하여 형성된 테스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 구조체는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의 공정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단 분석 구조체들(front-end analytic structures)과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한 이후의 공정(예를 들면, 배선 형성 공정)의 공정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단 분석 구조체들(back-end analytic structures)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단 분석 구조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된 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단 분석 구조체들에 대해 다양한 항목의 전기적 테스트들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제품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제조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단 분석 구조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된 구조를 갖는 배선 구조체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단 분석 구조체들에 대해, 다양한 항목의 전기적 테스트들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배선 구조체들을 형성하는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배선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콘택 플러그, 비아 플러그, 금속 패턴 및 금속 라인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단 분석 구조체들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층간절연막들의 형성 및 패터닝 공정, 플러그 도전막들의 매립 공정, 금속막들의 형성 및 패터닝 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불량의 원인들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선 구조체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 구조체들이 어레이 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들을 연결하도록 배치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처럼,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이용함으로써, 불량의 평면적 위치(즉, 불량이 발생한 셀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구조체들은 상기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배선 구조체의 각 부분들을 독립적 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 부분에 대한 독립적 테스트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배선 구조체들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논의될 것처럼, 다른 구조의 배선 구조체들을 이용함으로써, 불량의 수직적 위치(즉, 불량이 발생한 층의 위치)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배선 구조체들은 서로 다른 보조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2b 내지 도 10b는 각각 도 2a 내지 도 10a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분석 구조체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다이(12)에는 층수(number of layer) 및 구조가 다른 복수개의 분석 영역들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아래 실시예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금속 패턴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후단 분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한 개의 다이(12)에는 층수 또는 구조가 다른 네 개의 분석 영역들(즉,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들(21, 22, 23, 24))이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금속 패턴의 층수에 따라, 상기 분석 영역들의 개수 및 각 분석 영역들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은 표준적인 에스램 셀 어레이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 패턴은 표준적인 공정 여유도(process margin)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아 형성된다(도 12A 참조). 상기 공정 여유도는 각 단위 공정에 있어서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공정 조건의 여유 정도를 의미하며, 이 값이 클수록 공정 불량은 최소화되고, 이 값이 작아질수록 공정 불량은 증가한다. 상기 공정 여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설계 규칙(design rule)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용이한 방법의 하나이다. 즉, 사진, 식각 및 증착 공정 등에서의 기술적 어려움은 패턴의 폭 또는 넓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극복될 수 있다.
한편, 다른 분석 영역들(22, 23, 24)에서는 상기 제 1 금속 패턴을 형성하기까지의 제조 공정은 표준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표준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공정을 통해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할 경우, 상기 셀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하는 공정 불량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들(22, 23, 24)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불량은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 자체가 아니라 이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에서 발생한 불량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 패턴들 역시 표준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아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에서 비트 라인으로 이용되는 상기 제 2 금속 패턴은 표준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아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금속 패턴에서 발생하는 불량은 제 1 분석 영역(21)에서 파악되기 어렵다.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은 상기 제 2 금속 패턴에서의 불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에서 상기 제 2 금속 패턴은 표준 또는 그 이하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아 형성된다(도 12B 참조). 한편, 상기 제 2 금속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분석 영역(21, 22)에서 비트라인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영역들에는 상기 제 3 및 제 4 금속 패턴들이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및 제 4 금속 패턴들에서 발생하는 불량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분석 영역들(21, 22)에서 파악될 수 없다.
상기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23, 24)은 각각 상기 제 3 및 제 4 금속 패턴들에서 발생하는 불량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3 분석 영역(23)에서 상기 제 3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표준 또는 그 이하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고(도 12C 참조), 상기 제 4 분석 영역(24)에서 상기 제 4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표준 또는 그 이하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는다(도 12D 참조). 이때, 불량의 원인을 단순화하기 위해, 비트라인으로 사용되는 최상부 금속 패턴을 형성하기 전까지의 공정은 표준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분석 영역(23)에서 상기 제 2 금속 패턴은 표준 또는 그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아 형성되고, 상기 제 4 분석 영역(24)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금속 패턴은 표준 또는 그 이상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받아 형성된다.
각 분석 영역들의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도 및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금속 패턴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 구조체 및 제 1 금속 패턴들은 상기 네 개의 분석 영역들(21, 22, 23, 24) 모두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석 구조체는 어레이 구조(array structure)를 가지면서 반도체기판(100)에 형성된 씨모스 에스램 셀들(CMOS SRAM Cells)을 구비한다(도 11 참조). 상기 씨모스 에스램 셀은 한 쌍의 구동 트랜지스터들(driver transistors), 한 쌍의 전송 트랜지스터들(transfer transistors) 및 한 쌍의 부하 트랜지스터들(load transistors)로 구성된다.
상기 반도체기판(100)에는 제 1 활성영역들(111)과 제 2 활성영역들(112)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들(105)이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막들(105)은 통상의 소자 분리 기술, 예를 들면 트렌치 소자 분리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활성영역들(111)은 폐곡선을 이루는 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활성영역들(112)은 에이치(H)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105)은 상기 제 1 활성영역들(111)과 상기 제 2 활성영역들(112) 사이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활성영역들(111)의 내부 영역(internal region)에도 배치된다.
상기 제 1 활성영역(111)에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들 및 전송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활성영역(112)에는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된다.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는 복수개의 셀들을 가로지르는 제 1 게이트 패턴(121)을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121)은 씨모스 에스램 셀 어레이 에서 워드 라인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들(121)은 복수개의 씨모스 에스램 셀들에서 상기 제 1 활성영역(111)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 2 게이트 패턴(122)을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122)은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122)을 공통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122)은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활성영역들(111, 112)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패턴들(121, 122)의 양 옆의 제 1 및 제 2 활성영역들(111, 112)에는 상기 구동, 전송 및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으로 사용되는 불순물 영역들(12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활성영역(111)에는 피형 웰(P-type well, 101p)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활성영역(112)에는 엔형 웰(N-type well, 101n)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활성영역(111)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125)은 엔형 도전형(N-type conductivity)을 갖고, 상기 제 2 활성영역(112)에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125)은 피형 도전형(P-type conductivity)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은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이고,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들은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전송 및 부하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는 제 1 층간절연막(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30)을 관통하여 상기 불순물 영역들(125)의 상부에 접속하는 콘택 플러그들(13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30) 상에는 상기 콘택 플러그들(135)을 연결하는 제 1 금속 패턴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금속 패턴들은 전원전압 라인(VDD line, 141), 접지 라인(VSS line, 142), 국부 배선(local interconnection, 143) 및 제 1 패드(first pad, 144)를 구성한다. 상기 전원전압 라인(141)은 상기 제 2 활성영역(112)의 가운데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125)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접지 라인(142)은 상기 제 1 활성영역들(111)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들(122)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영역(125)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국부 배선(143)은, 상기 한 쌍의 구동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한 쌍의 부하 트랜지스터들이 인버터(inverter)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122)을 상기 구동 및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불순물 영역들(125)과 연결시킨다. 상기 제 1 패드(144)는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들(121) 사이에 형성된 콘택 플러그들(135)을 통해,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125)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금속 패턴들(141, 142, 143, 144)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는, 제 2 층간절연막(150), 제 3 층간절연막(170) 및 제 4 층간절연막(190) 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층간절연막들(130, 150, 170, 190, 21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저유전막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절연막(150) 상에는 제 2 금속 패턴들(161, 162, 163, 302, 303, 304)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층간절연막(170) 상에는 제 3 금속 패턴들(183, 184, 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층간절연막(190) 상에는 제 4 금속 패턴들(204, 32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분석 영역들(21, 22, 23, 24)에서 상기 제 2 금속 패턴들(161, 162, 163, 164)은 상기 제 2 층간절연막(150)을 관통하는 제 1 비아 플러그(155)를 통해 상기 제 1 패드(144)에 연결되지만,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분석 영역들(21, 22)에서 상기 제 2 금속 패턴(도 4B의 161 그리고 5B 및 6B의 162)은 에스램 셀 어레이에서 비트라인으로 사용되지만, 상기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들(23, 24)에서 상기 제 2 금속 패턴(도 7B 및 8B의 163 그리고 도 9B 및 10B의 164)은 비트라인(도 7B 및 8B의 183 그리고 도 9B 및 10B의 204 참조)과 상기 제 1 패드(144) 사이에 개재되는 또다른 패드로 이용된다.
상기 제 3 금속 패턴들(183, 184)은 상기 제 3 층간절연막(170)을 관통하는 제 2 비아 플러그(175)를 통해 상기 제 1 패드(144)에 연결되지만, 상기 제 2 금속 패턴과 유사하게,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제 3 분석 영역(23)에서 상기 제 3 금속 패턴(도 7B 및 8B의 183)은 에스램 셀 어레이를 위한 비트라인으로 사용되지만, 상기 제 4 분석 영역(24)에서 상기 제 3 금속 패턴(도 9B 및 10B의 184)은 비트라인(204)과 패드로 사용되는 상기 제 2 금속 패턴(164) 사이에 개재되는 또다른 패드이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 3 금속 패턴들(183, 184)은 비트라인으로 상기 제 2 금속 패턴이 사용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분석 영역(21, 22)에는 배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제 4 금속 패턴들(204)은 상기 제 4 층간절연막(190)을 관통하는 제 3 비아 플러그(195)를 통해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125)에 연결되어, 상기 에스램 셀 어레이의 비트라인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 4 금속 패턴들(204)은 비트라인으로 상기 제 2 또는 제 3 금속 패턴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분석 영역(21, 22, 23)에는 배치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비아 플러그들(155, 175, 195)은 각각 상기 제 1, 제 2, 제 3 금속 패턴들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금속 패턴들 및 비아 플러그들은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질화 티타늄, 티타늄, 질화 텅스텐, 탄탈륨, 질화 탄탈륨 및 다결정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들(22, 23, 24)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금속 패턴들은 표준 또는 그 이하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설계 규칙을 적용하여 형성된다. 이처럼 엄격한 설계 규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트 라인으로 사용되는 금속 패턴들의 주변에 또다른 금속 패턴을 인접하게 배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또다른 금속 패턴으로는 더미 패턴 또는 인접하는 비트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엄격한 설계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구조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풀 씨모스형 에스램 셀 어레이의 표준적인 비트라인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분석 영역(21)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에 배치되는 제 2 금속 패턴들(161)은 상 기 제 1 비아 플러그(155), 상기 제 1 패드(144) 및 상기 콘택 플러그(135)를 통해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125)에 접속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금속 패턴들(161)은 상기 에스램 셀들(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비트 라인(bit line)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에는 상기 제 3, 제 4 및 제 5 금속 패턴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분석 영역(22)의 비트라인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에 배치되는 제 2 금속 패턴들(162)은 상기 제 1 분석 영역(21)에 배치되는 제 2 금속 패턴(16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에 배치되는 제 2 금속 패턴들(162)은 상기 에스램 셀들(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비트 라인(bit line)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은 상기 비트라인들(162)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라인들(302)을 구비한다. 상기 더미 라인(302)은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의 제 2 금속 패턴들(162)(즉, 비트라인)과 동시에 형성되는 배선들에서 브릿지(bridge) 불량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비트라인(16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 불량은 전기적 분리가 요구되는 두 인접 배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상으로, 이를 테스트 과정에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더미 라인들(302)은 접지 전압에 연결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 2 분석 영역(22)의 비 트라인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금속 패턴(162)은 상기 브릿지 불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5b에 도시된 상기 더미 라인(302)이 아니라 이웃하는 또다른 제 2 금속 패턴(162)에 근접한다. 이러한 근접을 위해, 상기 제 2 금속 패턴들(162)은 도시된 것처럼 서로를 향해 굴곡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금속 패턴들(162)은, 이 실시예에서도, 에스램 셀 어레이의 비트 라인(bit line)으로 사용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분석 영역(23)의 비트라인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분석 영역(24)의 비트라인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엄격한 설계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의 비트라인들 사이에 더미 라인(302)을 배치하는 설계의 변경 방법은 상기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23, 24)의 비트라인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분석 영역(23)의 비트라인들(183) 사이에는 제 3 금속 패턴들(183, 184)과 함께 형성되는 더미 라인들(도 7a 및 도 7b의 313)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4 분석 영역(24)의 비트라인들(204) 사이에는 제 4 금속 패턴들(204)과 함께 형성되는 더미 라인들(도 9a 및 도 9b의 32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라인들(313, 324)은 상술한 것처럼 접지 전압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트라인(204)과 상기 불순물 영역(125)을 연결하는 수직 배선 구조체는 큰 공정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비아 플러그들을 통해 그 하부의 금속 패턴에 접속하는, 이중 비아 구조 또는 멀티 비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분석 영역(23)에서 패드로 사용되는 상기 제 2 금속 패턴(163) 및 상기 제 4 분석 영역(24)에서 패드로 사용되는 상기 제 2 금속 패턴(164) 및 상기 제 3 금속 패턴들(184)의 상부에는 각각 두개씩의 비아 플러그들(175, 195)이 배치되어, 이중 비아 구조를 형성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 3 분석 영역(23)의 비트라인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분석 영역(24)의 비트라인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엄격한 설계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분석 영역(22)의 비트라인들을 굴곡지게 형성하는 설계의 변경 방법(도 6a 및 6b 참조)은 상기 제 3 및 제 4 분석 영역(23, 24)의 비트라인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분석 영역(23)의 비트라인들(183)은 이웃하는 또다른 제 3 금속 패턴(183)에 근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4 분석 영역(24)의 비트라인들(204)은 이웃하는 또다른 제 4 금속 패턴(204)에 근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배선 구조체 역시, 상술한 큰 공정 여유도를 위해 이중 또는 멀티 비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비트라인 하부의 금속 패턴들 주변에는 패터닝 공정에서의 로딩 효과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조 패턴들(303, 304)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제 1, 제 2, 제 3, 제 4 분석 영역들(21, 22, 23, 24)에 배치되는 배선 구조체들은 소정의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금속 패턴들을 수직적 높이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각각 다른 높이 및 다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다. 각 영역에서, 소정의 금속 패턴은 표준 또는 표준 이하의 공정 여유도를 갖는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요소들(elements)은 큰 공정 여유도를 갖는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불량 발생의 가능성을 상기 소정의 금속 패턴 형성 공정으로 국한(confine)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한 수직적 위치를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도 13의 403b 참조).
불량이 발생한 평면적 위치는 상기 불량이 발생한 주소를 통해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상기 불량의 주소는 각 영역들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워드 라인의 위치 및 비트 라인의 위치를 알아냄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도 13의 403a 참조). 예를 들면, 상기 워드 라인들 및 상기 비트 라인들에 소정의 메모리 테스트 장치를 연결하여, 소정의 메모리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불량의 평면적 위치를 나타내는 불량 지도(failure map)을 작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불량의 주소가 알려지면, 상술한 것처럼, 집중이온빔(FIB, focused ion beam) 등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반도체기판을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다. 이 경우, 불량을 갖는 시료가 손상되어 불량 분석에 실패하는 위험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 영역들(21, 22, 23, 24)에 형성되는 셀 어레이를 풀 씨모스형 에스램의 셀 트랜지스터들로 구성하기 때문에, 에스램 셀 어레이의 고유한 구조에서 불량의 유형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불량 지도에서 소정의 비트라인에 연결된 셀들이 모두 불량인 경우, 상기 비트라인이 단선(open) 또는 쇼트(short)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량 지도에서 소정의 워드 라인에 연결된 셀들이 모두 불량인 경우, 상기 제 1 게 이트 패턴(121)과 관련된 불량(특히,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택 플러그(155), 상기 활성 영역(111, 112) 또는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122)들에서 불량이 발생할 경우, 그러한 불량은 상기 불량 지도에서 소위 무작위적 1비트 유형의 불량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불량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상기 불량이 발생한 평면적 위치의 단면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단면에 대한 시각적 정보는 상술한 어레이 주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배선 구조체의 층수가 증가할 경우, 불량이 발생한 수직적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분석 방법은 많은 층수의 금속 패턴들을 갖는 반도체 장치, 예를 들면 중앙 연산 장치(CPU)와 같은 반도체 장치에서 배선 구조체의 불량을 분석하는데 용이하다. 즉, 이러한 중앙 연산 장치는 상기 제품 영역(도 1의 14)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연산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들의 불량은 상기 분석 영역들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불량의 수직적 위치 및 평면적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한편, 각 분석 영역들의 구조 및 적용되는 공정 여유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배선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서 발생하는 배선 불량의 평면적 위치 및 수직적 위치를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 불량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그 결과, 반도체 장치의 개발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
Claims (8)
- 반도체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분석 영역들;게이트 전극 및 불순물 영역들을 구비하면서 상기 분석 영역들에 배치되는, 어레이 구조의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상기 분석 영역들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워드라인들; 및비트라인 및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불순물 영역을 연결하는 수직 배선 구조체을 구비하면서, 상기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의 불순물 영역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비트라인 구조체들을 포함하되,상기 비트 라인은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른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배선 구조체는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배선 구조체는 적어도 한 층의 금속 패드들 및 적어도 한 층의 플러그들을 갖되, 상기 분석 영역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층수 및 구조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배선 구조체는 적어도 두 개의 플러그들이 한 개의 금속 패드에 연결되는 멀티 비아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은 두 개의 부하 트랜지스터들, 두 개의 구동 트랜지스터들 및 두 개의 접근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에스램 셀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워드라인들은 상기 접근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상기 비트라인 구조체들은 상기 접근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전극으로 사용되는 상기 불순물 영역들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각 분석 영역들에서 상기 비트라인의 적어도 일 측에는, 상기 비트 라인에서 브릿지 불량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접지 전압에 연결된 더미 패턴이 더 배치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각 분석 영역들에서 상기 비트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근접 부분을 구비하되,상기 근접 부분은 상기 비트 라인에서 브릿지 불량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비트라인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1071A KR100684892B1 (ko) | 2005-03-14 | 2005-03-14 |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US11/374,579 US20060220240A1 (en) | 2005-03-14 | 2006-03-13 | Analytic structure for failure analysis of semiconductor device |
JP2006069588A JP2006261671A (ja) | 2005-03-14 | 2006-03-14 | 半導体不良分析のための分析構造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1071A KR100684892B1 (ko) | 2005-03-14 | 2005-03-14 |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9691A KR20060099691A (ko) | 2006-09-20 |
KR100684892B1 true KR100684892B1 (ko) | 2007-02-20 |
Family
ID=3706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1071A KR100684892B1 (ko) | 2005-03-14 | 2005-03-14 |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220240A1 (ko) |
JP (1) | JP2006261671A (ko) |
KR (1) | KR1006848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1771B1 (ko) * | 2005-02-07 | 2006-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의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KR101318946B1 (ko) | 2007-08-09 | 2013-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테스트 장치, 스태틱 메모리 테스트 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
KR101917605B1 (ko) * | 2012-07-16 | 2018-11-13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N106601720B (zh) * | 2015-10-15 | 2019-03-29 |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 一种半导体测试结构及测试方法 |
CN109686675B (zh) * | 2018-12-12 | 2020-09-18 |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 一种失效的定位方法 |
CN111092024B (zh) * | 2019-12-25 | 2023-02-07 |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 检测闪存位线之间漏电结构的制造方法及漏电检测方法 |
KR20210145386A (ko) | 2020-05-25 | 2021-1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라인 식별자를 갖는 반도체 소자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3380A (ko) * | 2004-12-07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의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불량 분석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3249B1 (ko) * | 1996-10-10 | 1999-08-02 | 윤종용 | 반도체 메모리셀의 레이아웃 |
KR100260560B1 (ko) * | 1998-03-18 | 2000-07-01 | 윤종용 | 실리콘-온 인슐레이터 구조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제조 방법 |
US6768144B2 (en) * | 2001-12-31 | 2004-07-27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eakage current in an SRAM array |
-
2005
- 2005-03-14 KR KR1020050021071A patent/KR1006848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3-13 US US11/374,579 patent/US2006022024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3-14 JP JP2006069588A patent/JP2006261671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3380A (ko) * | 2004-12-07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의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불량 분석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261671A (ja) | 2006-09-28 |
KR20060099691A (ko) | 2006-09-20 |
US20060220240A1 (en) | 2006-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8552B1 (ko) | 반도체 장치의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불량 분석 방법 | |
US5977558A (en) | Testchip design for process analysis in sub-micron DRAM fabrication | |
KR100684892B1 (ko) | 반도체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
KR101966278B1 (ko) | 반도체 소자의 안티 퓨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60163571A1 (en) | Test element group structures having 3 dimensional SRAM cell transistors | |
KR101950002B1 (ko)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US11728227B1 (en) | Test structure and test method thereof | |
US11276707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2014041991A (ja) |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9044159A (ja) | スタティックメモリ素子 | |
KR102086466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TW202312165A (zh) | 記憶體測試電路及元件晶圓 | |
JP4995512B2 (ja) | 半導体装置 | |
KR100591771B1 (ko) | 반도체 장치의 불량 분석을 위한 분석 구조체 | |
US663551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ignal line above main ground or main VDD line | |
KR20070081640A (ko)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US8405483B2 (en) | Fus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20060273371A1 (en) | Evaluation semiconductor device | |
KR101096231B1 (ko) | 반도체 소자의 퓨즈 및 그의 형성방법 | |
JP2009094212A (ja) | 試験回路、半導体ウエハ装置、及び試験方法 | |
KR20100002673A (ko) | 반도체 소자의 퓨즈 및 그 형성 방법 | |
KR100792442B1 (ko) | 퓨즈 패턴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90088678A (ko) | 퓨즈 및 그 제조 방법 | |
KR19980068791A (ko) |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 |
KR20090044581A (ko) | 반도체소자의 퓨즈 및 그 형성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