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679B1 -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의 개량 - Google Patents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의 개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679B1
KR100684679B1 KR1020027005428A KR20027005428A KR100684679B1 KR 100684679 B1 KR100684679 B1 KR 100684679B1 KR 1020027005428 A KR1020027005428 A KR 1020027005428A KR 20027005428 A KR20027005428 A KR 20027005428A KR 100684679 B1 KR100684679 B1 KR 10068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connector
case
frame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297A (ko
Inventor
카쎄클로드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2006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95Insulation penetration combined with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member, e.g.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기(6)의 수용을 위한 종방향 플러그 소켓의 적어도 하나의 행이 끼워진 케이스(1), 가요성 회로와 함께 크림핑 및 전기 접속 단자(7)를 포함하는 접속기, 크림핑 공구(50)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된 프레임(11)으로 구성되며 접속기의 예비 삽입 위치와 상기 접속기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접속기, 케이스, 크림핑, 전기 접속 단자, 가요성 회로, 플러그 소켓, 접속기 모듈

Description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의 개량{IMPROVEMENT IN CONNECTION DEVICES FOR A FLEXIBLE CIRCUIT}
본 발명은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 특히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방법 뿐만 아니라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회로는 통상 절연 재료의 제2 시트 또는 절연 도료 중 하나에 의해 덮인, 예컨대 구리인 전도성 트랙이 배열된 가요성 절연 재료의 제1 시트로 구성된다. 이들 회로는 전기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며 수 개의 접속 방법이 회로들을 전기 접속기 또는 전자 부품에 접속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미국 특허 제4 082 402호는 전기적 접속이 한편으로 가요성 회로 관통 윙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보조 접속기를 갖는 접속기 단자를 포함하는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기의 실행에 관한 것이다. 크림핑에 의해서 가요성 회로에 접속되는 이들 접속기는 보조 케이스를 수용하도록 된 보조 절연 케이스에 내장되며, 보조 접속기를 포함하고, 친숙한 유형의 이러한 보조 케이스는 도시되지 않는다.
가요성 회로를 접속기를 사용하는 크림핑에 의해 수 개의 접속기에 접속하는 것은 접속기 리드 뿐만 아니라 가요성 회로와 접속기의 크림핑된 접속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요한다. 가요성 회로와 접속기의 경계부를 가능한 분리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특히 필요하다.
또한, 가요성 회로와 미리 끼워진 위치의 접속기를 접속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 미국 특허 제4 082 402호는 실시예에서 후방부가 접속기에 대한 가요성 회로의 크림핑을 가능케 하는 지지 판에 의해 연장된, 접속기의 수용을 위한 플러그 소켓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어서, 가요성 회로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후방부는 가요성 회로 자신 뿐만 아니라 가요성 회로에 접속된 접속기 단자를 보호하는 힌지식 플랩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접속기 및 접속 방법을 개량하며, 특히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크림핑 작동을 보다 신뢰성 있게 하기 위한 제안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특히 접속기의 수용을 위한 종방향 플러그 소켓들 중 적어도 한 줄을 갖는 케이스,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전기 접속 단자 및 크림핑을 포함하는 접속기 및 접속기의 예비 삽입 위치와 상기 접속기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며, 크림핑 공구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카운터 드러스트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며 플러그 소켓을 포함하는 전면부와 접속기 안내 홈 사이에 위치한 창을 포함한다.
프레임과 케이스는 보조 래칭부와 함께 끼워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후방부에서 가요성 회로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어서 가요성 회로는 커버가 폐쇄된 후에 삽입된다.
대안으로서, 프레임은 가요성 회로 접속 단자에 대해서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는 가요성 회로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후방 단부에 가지며, 케이스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시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돌기는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접철 가능한 블레이드 단자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는 모듈 캐리어 접속기 부품 내에 배열되는 접속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내에서, 보조 래칭 장치는 특히 모듈의 로딩이라 불리는 제1 위치 또는 접속 위치라 불리는 제2 위치 및 모듈의 예비 삽입 위치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회로의 접속 방법은 다음의 일련의 단계, 즉 케이스의 플러그 소켓 내로 접속기를 삽입하는 단계, 접속기 상에서 커버부를 폐쇄하는 단계, 프레임을 형성하는 커버와 가요성 회로에 대한 접속기의 크림핑 단자 사이의 공간에 가요성 회로를 활주시키는 단계 및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공구로써 가요성 회로를 접속기에 대해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된 가요성 회로에 있어서, 상기 구멍 내부로 가요성 회로를 고정하기 위한 가요성 회로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기의 삽입으로써 케이스 내부로 가요성 회로를 중심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단계는 유리하게도 가요성 회로를 내부로 활주시키는 단계와 크림핑 단계 사이에 있다.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 캐리어의 접속기 부품을 위하여, 단계들은 모듈이 모듈 캐리어에 미리 삽입된 채 실행될 수 있다.
수 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 캐리어의 접속기 부품을 위하여, 크림핑 작동은 모듈 캐리어 외부의 모듈 상에서 실행되며, 이어서 가요성 회로로 연결된 모듈이 모듈 캐리어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제한적이지 않은 특별한 실시예의 기술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예비 삽입 위치 내의 접속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는 각각 삽입된 위치 내의 접속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삽입된 위치내의 접속기 및 폐쇄된 보유 장치를 갖고 가요성 회로를 갖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삽입된 위치 내의 접속기, 접속기 상에서 크림핑된 가요성 회로 및 접속기의 고정 위치와 가요성 회로의 보유 위치 내의 커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는 각각 가요성 회로의 도입을 도시하는 도3 및 도4의 두 개의 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각각 로딩 위치 내의 크림핑 단계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 듈 캐리어 및 접속기 모듈을 포함하는 접속기의 사시도이다.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캐리어 및 수 개의 접속기 모듈을 포함하는 접속기의 사시도이다.
도1은 예를 들면 도3에서 알 수 있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100) 및 접속기(6)를 수용하기 위한 종방향 플러그 소켓의 적어도 하나의 행이 끼워진 케이스(1)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두 개의 접속기는 크림핑을 위한 단자(7) 및 가요성 회로를 갖는 전기 접속기를 포함하는데, 이들 크림핑 단자는 접속기(20)의 평탄부로부터 형성되고, 또한 접속기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암단자(female termination)이나 어떠한 다른 공지된 유형일 수 있는 보조 접속기를 갖는 종래의 방법에 따른 접속기 단자(21)를 포함한다.
접속기 부품(6)은 종방향으로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도입은 홈(31)에 의해 안내되고 노치(32)는 케이스의 후방부 내에 형성된다. 예컨대, 이들 접속기에는 친숙한 방식으로 케이스(도시 생략)의 플러그 소켓 내부로 접속기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는 접속기의 삽입을 가능케 하는 개방 위치 내에 도1에 도시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커버는 접속기의 예비 삽입 위치와 상기 접속기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 위치는 커버부의 벽(18)이 접속기 단자의 리지(22)에 대향하여 보조 접속기를 유지함으로써 접속기를 차단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3에서 파악 가능하다. 커버는 크림핑 공구(50)의 부품을 수용하는 개구가 제공된 프레임(1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은 측벽(23, 24), 후방벽(25) 및 접속기를 차단하는 벽(18)을 포함한다.
프레임과 케이스에는 보조 래칭 부품(8, 9)이 제공된다. 예에서 도시된 것처럼, 이들 부품은 커버의 측벽 상의 포획부(8) 및 케이스의 측벽(26, 27) 상의 보강재이다. 이들 포획부를 보강재 내부로 래칭하는 것은 접속기를 고정하며, 이어서 접속기는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고 접속기 오정렬(misalignment)의 위험 없이 가요성 회로를 수용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은 후방부 상에서 벽(25) 및 가요성 회로의 도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접속기 단자에 대해 약간 상승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회로는 케이스의 후방을 경유하여 프레임 하부로 도입될 수 있다. 측벽(23, 24)은 측방으로 가요성 회로를 안내하고 가요성 회로는 벽(18)에 대향하여 정지될 때까지 크림핑 단자 상부로 도입된다.
특히 도1에서 파악될 수 있듯이, 커버의 후방 단부에서 가요성 회로의 구멍(101) 내부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가 커버에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두 개의 돌기가 제공된다. 이들 돌기는 가요성 회로가 삽입될 때 가요성 회로를 유지하며 가요성 회로의 전도성 트랙에 대한 정확한 크림핑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식으로 크림핑 단자에 대해 가요성 회로를 위치시킨다.
가요성 회로의 보유를 개량하기 위한 목적에서, 케이스에는 이러한 돌기의 수용 및 보유를 위한 시트(28)가 끼워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또는 돌기들은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접철식 블레이드 단자(13)에 의해 운반된다. 단일 블레이드 단자 또는 각각의 돌기를 위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a 및 도5b에서, 돌기(12)는 가요성 회로의 도입을 가능케 하는 위치 및 도5b의 마킹(50) 하부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공구에 의해 크림핑될 목적으로 유지된 가요성 회로의 위치 내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도시된다.
크림핑은 가요성 회로를 관통하며 공구(50) 및 대향 드러스트를 실행하는 대향 공구(51)의 작용에 의해 가요성 회로 상에서 접철되는 크림핑 단자(7)의 치형부를 압착함으로써 수행된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특히 플러그 소켓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와 접속기 안내 홈(31)을 포함하는 비임을 형성하는 후방부(33) 사이에 배열된 창(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창은 대향 드러스트 공구의 도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대향 드러스트 공구는 접속기가 케이스의 플로어에 대향하여 지탱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더욱 정확한 크림핑을 가능케 한다.
크림핑 단자가 더 제공되는 접속기의 구역은, 접속기가 플러그 소켓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때, 마킹(40a)에 따른 접속기의 경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비임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거나 마킹(40b) 내의 접속기의 경우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32)들 사이에서 크림핑 단자의 측면 보유를 보존하기 위하여 연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경우 접속기의 후방부는 크림핑 공구(50) 및 대향 공구(51)의 지지에 의해 수행되는 크림핑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홈(31)의 하부 상에 유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임(33)은 창의 틀을 잡는 아암(34, 35)에 의해 케이스의 전방에 연결되고, 이들 아암은 프레임(5)의 래칭부(9)를 포함한다.
도6a 및 도6b는 합체된 모듈 캐리어(14)와 케이스의 접속을 도시한다. 이어서, 케이스는 접속 모듈을 구성한다.
케이스 및 모듈 캐리어는 보조 래칭 장치(15, 16, 17), 모듈의 로딩이라 불리며 가요성 회로 및 크림핑의 삽입을 가능케 하는 제1 위치 내부로 모듈의 부분 삽입을 가능케 하는 장치(15, 17) 및 모듈의 접속 위치라 불리는 제2 고정 위치를 모듈이 설치되어 보조 접속기에 결합될 수 있는 접속기를 형성하는 모듈 캐리어 내부로 실행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장치(15, 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6c는 수 개의 모듈이 끼워진 모듈 캐리어를 도시하며, 이 경우 모듈은 가요성 회로와 함께 모듈 캐리어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기 실행의 필수 단계는 다음과 같다.
a - 접속기를 케이스의 플러그 소켓에 삽입하는 단계.
b - 커버부를 접속기 상에서 폐쇄하는 단계.
c - 가요성 회로를 프레임을 형성하는 커버와 가요성 회로 상의 접속기의 크림핑 단자 사이의 공간으로 활주시키는 단계.
d -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공구로써 접속기 상의 가요성 회로를 크림핑하는 단계.
이들 단계는 접속기가 설치된 케이스의 용이한 조작 및 크림핑을 수행하기 위한 가요성 회로 및 케이스의 정확한 조립을 가능케 한다. 케이스는 "a" 및 "b" 단계에 따라 접속기와 미리 조립될 수 있으며, 이어서 이러한 조건에서 저장되거나 공급될 수 있고, "c" 및 "d" 단계는 이후에 실행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이들 단계 및 가요성 회로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가요성 회로의 고정 프레임의 돌기 형성부를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와 가요성 회로를 중심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단계는 가요성 회로를 내부로 활주시키는 단계 및 크림핑 단계 사이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은 미리 조립된 접속기와 함께 가요성 회로의 케이블링 스테이션에 공급되거나 예비 삽입 위치 내부로 모듈 캐리어 내의 상기 케이블링 스케이션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히 프레임을 형성하는 커버는 크림핑 단자가 링 타입 외의 타입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리식 부품일 수 있다.

Claims (12)

  1.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100)에 있어서,
    접속기(6)의 수용을 위한 종방향 플러그 소켓들 중 적어도 한 줄이 끼워진 케이스(1)와,
    크림핑 단자(7) 및 가요성 회로를 갖는 전기 접속기를 포함하는 접속기와,
    접속기의 예비 삽입 위치와 상기 접속기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는 커버부(5)를 포함하고,
    커버부는 크림핑 공구부(5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프레임(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플러그 소켓을 포함하는 케이스의 전방부와 접속기 안내 홈(31)을 포함하는 후방부(33) 사이에 배열된 창(30)을 포함하고, 상기 창은 대향 드러스트 공구(51)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 및 케이스는 보조 래칭부(8, 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가요성 회로의 도입용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10)를 후방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11)은 가요성 회로의 도입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가요성 회로 접속 단자에 대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버는 가요성 회로의 구멍으로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돌기(12)를 후방 단부에 가지며, 케이스에는 상기 돌기의 수용 및 보유를 위한 시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돌기(12)는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접철식 블레이드 단자(13)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속 장치는 모듈 캐리어 접속기(14)의 한 부품으로서 배열될 접속 모듈을 구성하며, 접속 장치와 모듈 캐리어는 로딩 위치라 불리는 제1 위치 및 접속 위치라 불리는 제2 위치에서 보조 래칭 장치(15, 16, 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
  9. 가요성 회로를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의 케이스(1)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 접속기를 케이스의 플러그 소켓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b - 접속기 상에서 커버부를 폐쇄하는 단계와,
    c - 가요성 회로를 프레임을 형성하는 커버와 가요성 회로 접속기의 크림핑 단자 사이의 공간으로 활주시키는 단계와,
    d - 프레임으로 삽입된 공구로 가요성 회로를 접속기에 대해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방법.
  10. 가요성 회로를 제2항에 따르는 가요성 회로 접속 장치의 케이스(1)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 케이스의 플러그 소켓으로 접속기를 삽입하는 단계와,
    b - 접속기 상에서 커버부를 폐쇄하는 단계와,
    c - 가요성 회로를 프레임을 형성하는 커버와 가요성 회로의 크림핑 단자 사이의 공간으로 활주시키는 단계와,
    d - 프레임으로 삽입된 공구(50) 및 케이스의 창으로 삽입된 대향 드러스트 공구(51)로 가요성 회로를 접속기에 대해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가요성 회로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며, 가요성 회로의 활주 단계와 크림핑 단계 사이에, 가요성 회로를 구멍으로 고정시키는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기를 삽입하여 케이스로 가요성 회로를 중심 이동 및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모듈 캐리어(14)를 형성하는 접속기의 부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모듈을 구성하며, 단계들은 모듈이 모듈 캐리어에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KR1020027005428A 1999-10-28 2000-10-26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의 개량 KR10068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3772A FR2800520B1 (fr) 1999-10-28 1999-10-28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de connexion pour circuit souple
FR99/13772 1999-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97A KR20020062297A (ko) 2002-07-25
KR100684679B1 true KR100684679B1 (ko) 2007-02-22

Family

ID=955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428A KR100684679B1 (ko) 1999-10-28 2000-10-26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의 개량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46269B1 (ko)
EP (1) EP1224713B1 (ko)
JP (1) JP4658429B2 (ko)
KR (1) KR100684679B1 (ko)
AT (1) ATE240593T1 (ko)
AU (1) AU1275901A (ko)
CA (1) CA2391916A1 (ko)
CZ (1) CZ298576B6 (ko)
DE (1) DE60002746T2 (ko)
FR (1) FR2800520B1 (ko)
WO (1) WO2001031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5296C2 (de) * 2000-05-22 2003-03-20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Airbag-Zündsysteme
WO2004084353A1 (de) * 2003-03-17 2004-09-30 Lear Corporatio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für einen flachleiter
DE202004001083U1 (de) * 2004-01-23 2005-06-0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nd Electronics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ergehäuse
JP2006310007A (ja) * 2005-04-27 2006-11-09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組立方法、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JP4668687B2 (ja) * 2005-05-27 2011-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ピアッシング端子、フラット回路体とピアッシング端子との接続構造、及び、フラット回路体とピアッシング端子との接続方法
US7585180B2 (en) * 2006-10-30 2009-09-08 Group Dekk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 conductor carrier in an electrical connector
US7955106B1 (en) 2010-03-12 2011-06-07 Haworth, Inc. Flex connector and manufacturing process
JP7382721B2 (ja) * 2018-02-09 2023-11-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平板状電線の接続構造及び該接続構造を備えるワイヤハーネス
DE102018207794A1 (de) * 2018-05-17 2019-11-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bandkabelstecker, Steckeranordnung und Verwendung eines Steckers
JP7125653B2 (ja) * 2018-10-30 2022-08-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1069994B2 (en) 2019-03-25 2021-07-2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able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and electrical terminal for same
US20220006222A1 (en) * 2020-07-02 2022-01-06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11557858B2 (en) * 2021-04-16 2023-01-1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11855374B2 (en) * 2021-06-04 2023-12-26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Housing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7925A (en) * 1970-07-22 1972-10-10 Amp Inc Termination means for flat cable
GB1474249A (en) * 1974-01-09 1977-05-18 Amp Inc Electrical contact for flat conductor cable
US4278314A (en) * 1979-10-31 1981-07-14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for flat cable conductors in multiple rows
US4382652A (en) * 1981-01-19 1983-05-10 Aries Electronics, Inc. Stackable flat conductor cable connector assembly
US4427303A (en) * 1982-06-17 1984-01-24 Hermann Hirsch Leder Und Kunstoffwarenfabrik Electronic wristwatch
US4564253A (en) * 1984-12-11 1986-01-14 Aries Electronics, Inc. Crimp-on connector for flat cable
JPH0244462Y2 (ko) * 1986-08-13 1990-11-26
US4784623A (en) * 1987-04-03 1988-11-15 Amp Incorporated Mass terminable flat flexible cable to pin connector
JPH0635413Y2 (ja) * 1989-07-10 1994-09-14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415168U (ko) * 1990-05-29 1992-02-06
JP2579377Y2 (ja) * 1992-03-30 1998-08-27 ケル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223100B2 (ja) * 1996-03-01 2001-10-2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のカバー構造
JPH10106694A (ja) * 1996-09-25 1998-04-24 Nec Home Electron Ltd コネクタ装置
JPH10177871A (ja) * 1996-12-19 1998-06-30 Alps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電気接続端子
US5860832A (en) * 1997-01-29 1999-01-19 Ut Automotive Dearborn, Inc. Method for connecting flat flexible cable and a connector
US5954536A (en) * 1998-03-27 1999-09-21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ry
JP2001210408A (ja) * 2000-01-26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の端末保持構造
CZ2000472A3 (cs) * 2000-02-08 2000-10-11 Ensto Sekko Oy Spojovací objímka nebo konektor pro spojování elektrických kabelů nebo připojování odboček k elektrickým kabelům
JP3683769B2 (ja) * 2000-03-02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への分岐コネクタ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1916A1 (en) 2001-05-03
FR2800520B1 (fr) 2001-12-14
DE60002746T2 (de) 2004-03-25
FR2800520A1 (fr) 2001-05-04
EP1224713B1 (en) 2003-05-14
DE60002746D1 (de) 2003-06-18
JP2003513409A (ja) 2003-04-08
CZ20021473A3 (cs) 2003-03-12
ATE240593T1 (de) 2003-05-15
CZ298576B6 (cs) 2007-11-14
EP1224713A1 (en) 2002-07-24
AU1275901A (en) 2001-05-08
KR20020062297A (ko) 2002-07-25
JP4658429B2 (ja) 2011-03-23
US6746269B1 (en) 2004-06-08
WO2001031748A1 (en) 200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679B1 (ko) 가요성 회로를 위한 접속 장치의 개량
US5458426A (en) Double locking connector with fallout preventing protrusion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US5562486A (en) Lock detection connector
US6663411B2 (en) Clamshell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US20070049088A1 (en) Electrical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KR20060048048A (ko) 커넥터의 피팅부에 탄성 가동부가 있는 셀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US7014511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689040A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EP094810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aking contact with at least one flat foil conductor
US7090543B2 (en) Wire harness connector
US20030096528A1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US5676564A (en) Joint connector, temporary holding jig for use therewith, and method of making wire harnesses
US5921807A (en) Crimping connector
US5769670A (en) Connector with rear holder
US475818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wire cover
JP3188380B2 (ja) リヤホルダー付きコネクタ
US5399097A (en) Terminal with cramp member
US5356317A (en) Multi-terminal connector
EP0657968A1 (en) Lock detection connector
US6918781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EP056494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171064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EP0565937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13039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