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652B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652B1
KR100684652B1 KR1020050124221A KR20050124221A KR100684652B1 KR 100684652 B1 KR100684652 B1 KR 100684652B1 KR 1020050124221 A KR1020050124221 A KR 1020050124221A KR 20050124221 A KR20050124221 A KR 20050124221A KR 100684652 B1 KR100684652 B1 KR 10068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ody
meat
roasting
roasting p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숙
Original Assignee
조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숙 filed Critical 조은숙
Priority to KR102005012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판의 테두리를 가로지르며 나열되는 다수개의 가열체를 삼각뿔형태의 단면을 이루도록 하여 구이하고자 하는 고기와 접촉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가열체의 양측단부 즉, 테두리부위와 접촉되는 부위에 일부위를 절개하여 용접에 의한 접합시 결합력을 높이고, 가열체와 테두리부위의 접합시 용접에 의한 접합부위가 상부(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구이판의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링형태로 이루어진 테두리부와, 테두리부의 일측 부위에 상향 절곡된 형태로 용접되어 결합된 손잡이부와, 테두리부를 가로지르며 등간격을 이루도록 결합된 다수개의 가열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체는 원뿔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쪽단부에는 일부위가 절개되어 단차진형태의 접합부가 형성되어 테두리부와의 접합시 접합부위 즉, 용접부위가 상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결합된 것이다.
구이판, 테두리부, 가열체, 접합부

Description

구이판{Roast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이판 2:테두리부
3:손잡이부 4:접합부
5:가열체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판의 테두리를 가로지르며 나열되는 다수개의 가열체를 삼각뿔형태의 단면을 이루도록 하여 구이하고자 하는 고기와 접촉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가열체의 양측단부 즉, 테두 리부위와 접촉되는 부위에 일부위를 절개하여 용접에 의한 접합시 결합력을 높이고, 가열체와 테두리부위의 접합시 용접에 의한 접합부위가 상부(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구이판의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가 올려져 구이되는 가열체를 삼각뿔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구이시 고기와 가열체의 접촉에 따른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고기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정체되지 않고, 하방으로 흘러내려 고기가 타거나 기름에 의해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고기면에 화기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어 직화구이방식으로 구이가 이루어지는 망체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간접열에 의한 구이 방식의 원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육류 고기는 구이과정에서, 기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름을 잘 배출한 후 먹어야 고기의 담백한 맛을 즐길 수 있고 지나친 지방 섭취를 방지하여 건강에도 해가 되지 않으므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기름 배출이 잘 되어야 하는 바, 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후라이 팬의 경우에는 직화구이 방식이 아닌 간접열을 이용한 구이방식으로,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이에 비해 기름의 배출이 잘 되지 않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기름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과다한 기름으로 인해 구이된 고기맛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현재, 구이판을 솥뚜껑 모양으로 제작하여 기름이 구이판 주위로 흘러내리게 하거나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한쪽으로 기울어진 돌 구이판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구이판들은 고기를 굽는 원리에 있어서는 후라이팬을 가스불 위에 올려놓고 굽는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가스불이 구이판을 달구고 고기가 팬의 면과 접촉하여 구워지는 것인데 이런 방식은 숯불이나 연탄불에 의한 열에 직접 접촉되어 익혀지는 직화(直火) 구이 방식에 비하면 수분이나 향이 더 많이 날아 가버려 그 맛에 있어서는 숯불로 굽는 것에 즉 직화구이 방식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난다.
숯불구이에는 일반적으로 석쇠를 이용하는데, 이 경우 고기를 구울 때 열이 가해지면 고기에서 추출된 기름이 석쇠와 같이 구성된 가열체를 통해 직접 배출되므로 기름배출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기 구이판은 원판 또는 사각 등의 금속판에 일정간격을 갖고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되, 고기가 구워지는 구이판 본체의 면은 수평 단면을 이루게 되므로, 구이판 본체에 고기가 접촉되는 면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많이 타게 되어 고기의 손실량이 많아지고, 부득이 탄 고기를 먹게 되는 경우가 발생뿐 아니라, 그을음과 매케한 연기가 많이 발생되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눈을 따갑게 하고 공기를 탁하게 하여 기침을 유발시키게 되며, 구이판을 교체하는 횟수가 많아져 사용상에도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기를 직화방식으로 구이함에 있어, 고기가 올려져 구이되는 가열체를 삼각뿔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이를 위해 올려지는 고기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므로서, 고기가 가열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또한,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정체되거나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하방으로 낙하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기름에 의한 고기 구이에 대한 본연의 맛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고기 구이판을 제작함에 있어, 테두리부위와 가열체의 연결부위, 즉, 접합을 위한 용접부위가 상부(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용접부위로 인해 미관을 헤치거나 상품으로서의 품질,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전체적인 고기 구이판의 미려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고기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링형태로 이루어진 테두리부와, 테두리부의 일측 부위에 상향 절곡된 형태로 용접되어 결합된 손잡이부와, 테두리부를 가로지르며 등간격을 이루도록 결합된 다수개의 가열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체는 원뿔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쪽단부에는 일부위가 절개되어 단차진형태의 접합부가 형성되어 테두리부와의 접합시 접합부위 즉, 용접부위가 상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체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지되, 저면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쐐기형태의 절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곡률을 이루며 하향 돌출되게 돌편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체는 저면이 'V'자 모양으로 하향 돌출된 마름모꼴형태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1)은 소정 크기의 링형태로 이루어진 테두리부(2)와; 테두리부(2)의 일측 부위에 상향 절곡된 형태로 용접되어 결합된 손잡이부(3)와; 테두리부(2)를 가로지르며 등간격을 이루도록 결합되되, 원뿔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쪽단부에는 일부위가 절개되어 단차진형태의 접합부(4)가 형성된 가열체(5)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가열체(5)는 테두리부와의 접합시 접합부(4)에 의해 용접부위가 상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소정 크기의 링형태로 이루어진 테두리부(2)의 일측 부위에 상향 절곡된 형태로 손잡이부(3)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테두리부(2)를 가로지르며 다수개의 가열체(5)가 등간격을 이루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열체(5)는 원뿔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쪽단부에는 일부위가 절개되어 단차진형태의 접합부(4)가 형성된다.
이때, 가열체(5)는 양쪽단부에 형성된 접합부(4)에 테두리부(2)가 얹혀진 상태, 즉, 테두리부(2)의 저면에 접합부(4)가 접촉된 상태로 별도의 용접에 의해 접 합되며, 특히, 접합부(4)와 테두리부(2) 상호간에 접촉되어 용접되는 부위는 상면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저면에서만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체(5)는 삼각뿔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테두리부(2)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최소한의 협소한 면적을 이루게 된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구이판(1)의 테두리부(2)를 가로지르며 등간격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가열체(5)가 원뿔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5(a)에서와 같이, 가열체(5) 저면에 소정 깊이를 갖는 쐐기형태의 절개홈(5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도 5(b)에서와 같이, 저면에 소정 곡률을 이루며 하향 돌출되게 돌편(5b)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체(5)는 도 5(c)에서와 같이, 저면이 'V'자 모양으로 하향 돌출된 마름모꼴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1)은 고기를 굽기 위해 올려지는 가열체(5)가 삼각뿔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면의 단면적이 협소한 상태로 구이하고자 하는 고기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적게 이루어지므로,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접촉부위가 달라붙지 않은 상태에서, 최상의 직화구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정체되거나 측방으로 흐름 없이 바로 낙하되어 제거되므로, 기름에 의한 구이 고기의 맛이 떨어지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데,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1)은 링형태의 테두리부(2)를 가로지르도록 가열체(5)를 결합함에 있어, 가열체(5)의 양쪽단부에 접합부(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접에 의한 접합부위가 테두리부(2)의 저면에서 이루어지고, 접합부위가 상면으로는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구이판(1)의 외관에 대한 미려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에 대한 우수한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이판의 형태를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열체를 가로지르도록 등간격으로 구성되게 하였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서는 테두리부를 삼각, 사각, 오각 등의 다각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열체를 상호간에 교차되는 망체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하니컴,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이용함에 따라, 구이를 위해 올려지는 고기와 가열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서, 고기가 가열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정체되거나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하방으로 낙하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기름에 의한 고기 구이에 대한 본연의 맛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고기 구이판을 제작함에 있어, 테두리부위와 가열체의 연결부위, 즉, 접합을 위한 용접부위가 상부(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구이판의 외관에 대한 미려함을 향상시키고, 구이에 대한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직화방식으로 고기를 구이하기 위한 구이판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링형태로 이루어진 테두리부(2)와, 테두리부(2)의 일측 부위에 상향 절곡된 형태로 용접되어 결합된 손잡이부(3)와, 테두리부(2)를 가로지르며 등간격을 이루도록 결합된 다수개의 가열체(5)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체(5)는 원뿔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쪽단부에는 일부위가 절개되어 단차진형태의 접합부(4)가 형성되어 테두리부(2)와의 접합시 접합부위가 상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5)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지되, 저면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쐐기형태의 절개홈(5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5)는 저면에 소정 곡률을 이루며 하향 돌출되게 돌편(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5)는 저면이 'V'자 모양으로 하향 돌출된 마름모꼴형태로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KR1020050124221A 2005-12-15 2005-12-15 구이판 KR10068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21A KR100684652B1 (ko) 2005-12-15 2005-12-15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21A KR100684652B1 (ko) 2005-12-15 2005-12-15 구이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363U Division KR200409879Y1 (ko) 2005-12-15 2005-12-15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652B1 true KR100684652B1 (ko) 2007-02-22

Family

ID=3810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21A KR100684652B1 (ko) 2005-12-15 2005-12-15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31B1 (ko) 2020-04-27 2021-04-27 김병철 숯향 강도 조절이 가능한 숯불 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31B1 (ko) 2020-04-27 2021-04-27 김병철 숯향 강도 조절이 가능한 숯불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922B2 (en) Grill pan
US7487717B2 (en) Flameless barbecue grill
KR102214329B1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100684652B1 (ko) 구이판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KR101515862B1 (ko) 다목적 구이용 석쇠
KR101565326B1 (ko) 직화 구이판
KR200409879Y1 (ko) 구이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180038688A (ko) 구이용 고체연료
KR101775149B1 (ko) 고기구이판
KR200385600Y1 (ko) 이중석쇠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KR200375682Y1 (ko) 고기 구이판
KR200241605Y1 (ko) 저면 환턱이 형성된 고기구이 판
KR102266675B1 (ko) 고기구이용 불판 제조방법
CN209360432U (zh) 集油式烧烤炉栅组件
KR101589403B1 (ko) 직화구이용 석쇠
KR200254124Y1 (ko) 분리형 2중 구이판
KR200214894Y1 (ko) 불고기용 구이판 구조
KR100815543B1 (ko) 고기구이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