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55B1 -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555B1
KR100683555B1 KR1020040072388A KR20040072388A KR100683555B1 KR 100683555 B1 KR100683555 B1 KR 100683555B1 KR 1020040072388 A KR1020040072388 A KR 1020040072388A KR 20040072388 A KR20040072388 A KR 20040072388A KR 100683555 B1 KR100683555 B1 KR 10068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route
serv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619A (ko
Inventor
김신덕
홍충표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7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5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1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 G08G1/0968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where the complete rout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t o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방법은, 사용자의 텔레매틱스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 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서버는 시/종점 정보를 수신하여, 시/종점 정보에 부합하는 범위내에 존재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가입자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서버는 수집된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시/종점에 대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서버는 최적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은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원화된 교통정보의 수집과 네비게이션 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진정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도로상황의 동적변화를 즉시적으로 반영한 차량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 네비게이션 서버{Navigation method, navigation system, telematics terminal and navigation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2 단계 즉 가입자 차량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S204 단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방법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단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경로정보 요청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교통정보 제공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서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교통정보 요청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이용한 차량 네비게이션(navigation)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자동차 대수의 증가율은 약 12% 정도인데 비하여 도로시설 증가율은 0.5% 미만으로서, 교통수요와 교통공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으로 인한 혼잡비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통시설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지능형 교통시스템(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이라고 한다.
도로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도로상 장치 설치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차량내 단말 운용 방식이다.
도로상 장치 설치 방식은, 도로나 도로 주변의 시설물에 차속감지 센서, 도로 감시형 카메라 등의 각종 장치를 설치하여 그 장치로부터 도로의 여러가지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이다. 도로상 장치 설치 방식은, 감지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교통정보는 수집할 수 없다.
차량내 단말 운용 방식은, 차량내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과 같은 교통정보 수집 단말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차량내 단말을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이라고 한다. 텔레매틱스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차 안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이르는 용어로서,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이다. 종래의 차량내 단말 운용 방식은 교통정보의 서비스 제공자(이하 '센터')의 계획하에 획일적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한다. 즉 교통정보의 수집과 수집된 정보의 활용(네비게이션 등)을 이원화하고 있다. 센터의 획일적 교통정보 수집으로 인하여, 미관심 정보의 적체 현상이 발생하고, 교통정보 수집의 음영지역이 발생한다. 종래의 차량내 단말 운용 방식은, 교통정보의 수집 영역이 넓어질수록 센터의 데이터 처리 부하가 가중되고 통신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내 단말 운용 방식에 의한 ITS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80385호 "GPS를 이용한 교통정보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감지방법" 은 클라이언트 서버 개념을 도입하여 차량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자동으로 수집된 교통상황 정보가 서버가 지정하는 위치의 일정 반경내에 접근하면 무선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교통 관제 센터인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교통관제 서버는 텔레매틱스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분야에서 활용되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운용하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종 분석 과정을 수행하여 PC 통신, 인터넷, ARS, 방송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교통 안내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교통량 정보를 제공하는 GPS를 이용한 교통정보 감지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교통흐름, 운행패턴 등을 파악하여 다수의 교통관제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 장착 차량 중 중복되는 교통정보가 교통수집 서버로 송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차량을 선정하여 선택된 단말기 장착차량만이 교통수집서버로 교통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정보수집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원하는 지역의 일정 반경안의 차량이 원하는 도로를 지나가게 된 때 그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게 되므로, 교통정보를 원하는 차량이 그 지역을 통과하지 않는다면 그 지역의 정보를 수집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37689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은 현재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정보센터로 전송하는 초기정보 전송단계와; 정보센터에서 현재 위치와 목적지간의 주행경로를 기 저장되어 있는 지도데이터 및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한 경로데이터를 검색하여 주행 경로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점을 안내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 유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와; 경로유도 데이터에 따라 차량이 노드점을 통과하기 전에 노드점을 통과하여 주행할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주행안내 단계와; 경로안내 동작을 수행중에 임의의 주기별로 이동 경로의 위치정보를 정보센터로 전송하는 교통정보 제공단계와; 교통정보에 따른 현재 이동 경로의 속도정보를 추출하여 각 시간대별로 분류 및 경로별로 교통 흐름을 파악하여 교통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갱신단계와; 데이터 갱신단계의 수행이 완료된 후, 서비스 요청시 지도데이터 및 갱신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 유도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갱신데이터 전송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교통정보 수집차량(프루브카)을 이용하지만 서비스 가입자의 자발적인 정보 제공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체 수집차량의 운영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발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집된 정보를 차후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다. 결국 교통정보의 수집과 이용이 이원화되어 있고, 도로상황의 동적변화에 대한 정보를 즉시적으로 수집하지 못한다. 또한 이것은 특히 사용자 단말이 요구한 경로에 대해서만 이동중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동적 교통상황에 따라 최적경로를 결정할 수 없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16712호 "프루브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에 개시된 기술은, 교통 정보 수집을 위한 기반시설에 대한 초기 투자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초기에 효율적인 교통 정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지정된 프루브카의 특정 한 경로를 통한 교통정보의 수집 방법이므로, 교통정보 수집 영역이 넓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교통정보 수집의 음영시간 및 음영지역이 발생한다. 교통정보 수집 영역을 확장할수록 센터의 처리 부하 증가와 통신량 증가 등의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둘째, 교통정보 수집과 그 활용 체계가 이원화되어 있어서, 도로상황의 동적변화를 즉시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정보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고, 수시로 변하는 도로교통 상황에 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 네비게이션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방법은, (a) 사용자의 텔레매틱스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 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이하 '서버'라 함)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상기 시/종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시/종점 정보에 부합하는 범위내에 존재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가입자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이하 '가입자 단말'이라 함)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서버는 상기 수집된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종점에 대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서버는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진행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진행방향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행속도 정보는 상기 각 차량이 소정구간에서의 누적평균에 의한 진행속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탐색된 경로마다의 이동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그 시간이 가장 작게 계산되는 경로를 최적경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경로마다의 이동 소요시간은 각 경로의 전체거리를 각 경로마다의 차량들의 평균속도로 나눈값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b1) 수신된 상기 시/종점 정보의 지도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b2) 상기 시/종점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b3) 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2) 단계에 있어서 탐색된 상기 경로는 작은 세그먼트들의 링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탐색된 경로에 부합하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고, 상기 시/종점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태인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진행속도 정보와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진행방향 정보, 진행속도 정보 및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 진행방향 정보 및 기지국이 커버하는 탐색된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상기 진행방향과 같고,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현 진행상태 정보 중 상기 탐색경로에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 개수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탐색경로별로 선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 진행방향 정보 및 기지국의 좌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상기 기지국의 좌표정보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이며 상기 진행방향과 같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좌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탐색경로의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 개수의 가입자 단말을 선정하고 교통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정보를 요청받은 가입자 단말은 차량 진행속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든 가입자 단말은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진행방향이 일치하고,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탐색경로의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탐색경로별로 소정 개수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선별하여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로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길 안내 음성 정보로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 이동의 시/종점을 지정하여 경로정보 요청하여 외부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하고, 외부의 교통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둘 이상의 텔레매틱스 단말; 하나의 텔레매틱스 단말의 경로정보 요청에 따라 다른 텔레매틱스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최적경로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경로정보를 요청한 텔레매틱스 단말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및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들과 상기 네비게이션 서 버의 통신 매체가 되는 무선 통신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텔레매틱스 단말은, 지리 정보를 저장한 지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이동의 시/종점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경로정보 요청을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정보 요청부;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 외부로부터 제공된 최적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의 진행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 요청에 따라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정보 요청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이동의 시/종점 정보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 상기 시/종점 정보을 포함한 경로정보 요청을 외부로 송신하는 경로정보요청 송신부; 및 외부로부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정보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차량의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및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측정하는 방향 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는 둘 이상의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하여 AOA(Angle of Arrival) 방식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는 세개의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하여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는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하여 RF Fingerprint 방식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는 시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교통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복조된 정보와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방향 비교부; 및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교통정보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서버는, 지리 정보를 저장한 지도 데이터베이스; 외부로부터 수신된 경로정보 요청을 복조하고, 이로부터 시/종점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최적 경로정보를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경로정보 제공부; 상기 시/종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종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탐색하여 출력하는 경로탐색부; 상기 탐색된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요청신호를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요청부; 및 상기 복조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 중에서 최적경로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최적경로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통정보 요청부는, 상기 탐색된 경로를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별하고, 기지국의 좌표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 선별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상기 기지국 좌표정보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상 차량 호출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차량좌표 수신부; 상기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를 입력하여, 교통정보를 요청할 가입자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변조하여 호출신호로서 송신하는 교통정보 요청 송신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요청부는, 상기 탐색된 경로를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별하고, 기지국의 좌표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 선별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상기 기지국 좌표정보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상 차량 호출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수신부; 및 상기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와의 정합정도에 따라 최적경로 결정에 이용할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정보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표는,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즉시적으로 도로교통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차량 네비게이션에 반영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실시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선정한 동적경로에 대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둘째,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가입된 모든 차량의 단말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도록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셋째,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버는 수집된 정보를 취사선택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른 최적경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방법은 사용자 텔레매틱스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이라 함), 네비게이션 서버(이하 '서버'라 함),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 가입자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이하 '가입자 단말'이라 함)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방법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둘 이상의 텔레매틱스 단말(100)과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서버(102)가 무선망(104)을 통하여 교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단말(100)은 네비게이션 서버(102)로 경로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고, 네비게이션 서버(102)의 요청에 따라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서버(102)는 텔레매틱스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최적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텔레매틱스 단말(100)로 교통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단말(100)과 네비게이션 서버(102)의 장치 구성에 대하여는 도 8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경로정보 요청을 수신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서버(202)는,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단말을 사용하는 가입자 단말들(204-1,204-2,...,204-n)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최적경로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200)에게 최적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용자 단말'은 경로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을 의미하고, '가입자 단말'은 네비게이션 서버의 교통정보 요청에 따라 차량 현 진행상태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 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S100). 사용자가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지시를 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 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일 수도 있다.
시/종점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시/종점 정보에 부합하는 범위내에 존재하는 가입자 차량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102). 이 때 서버는 시/종점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개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102단계 후에, 서버는 수집된 차량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시/종 점에 대한 최적 경로를 결정한다(S104). 여기서 서버는 탐색된 경로마다의 이동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그 시간이 가장 작게 계산되는 경로를 최적경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경로마다의 이동 소요시간은 예컨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4041049567-pat00001
S104단계 후에, 서버는 결정된 최적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S106).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최적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8).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2 단계 즉 가입자 차량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서버는 먼저, 수신된 시/종점 정보의 지도상 위치를 파악한다(S200).
S200 단계 후에, 서버는 지도상에서 시/종점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경로를 탐색한다(S202). 경로는, 시/종점의 거리 및 지리에 따라, 하나만이 탐색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탐색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탐색된 경로는 작은 세그먼트들의 링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세그먼트는 소정 거리단위, 교차로 단위, 신호등 단위가 될 수 있다.
S202단계 후에, 서버는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동일한 진행방향의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204). 가입자 단말이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지와 진행방향이 동일하는지는 가입자 단말이 판단할 수도 있고, 서버가 판 단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판단을 가입자 단말이 결정하기 위하여는, 서버는 가입자 단말에게 탐색경로정보 및 진행방향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은 최적경로 결정에 필요한 정보 즉 진행속도 정보만을 서버로 제공한다. 이 때, 서버가 다시 한번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진행속도 정보와 좌표정보를 함께 서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판단을 서버가 결정하기 위하여는, 서버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진행속도 정보, 좌표정보, 진행방향 정보를 포함한 차량 현 진행상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서버는 수신된 정보 중에서 진행방향이 일치하고,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와 탐색경로의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탐색경로별로 소정 개수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선별하여, 진행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현 진행상태 정보에는,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가입자 단말이 정보를 제공한 시간과 서버가 정보를 수신한 시간의 간격이 크다면, 서버는 그 정보를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폐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이 제공하는 진행속도 정보는, 정보 제공 시점의 순간 속도일 수도 있고, 소정 시간구간 또는 소정 거리구간에서의 누적평균에 의한 진행속도 정보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204 단계 즉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동일한 진행방향의 가입자 차량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의 방법은 가입자 단말 자신이 교통정보 제 공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서버는 먼저, 탐색경로 정보 및 진행방향 정보를 가입자 단말들로 송신한다(S300). 탐색경로 정보 및 진행방향 정보를 수신한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탐색경로상에 존재하고 진행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현 진행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S302).
S300 단계에서 탐색경로 정보 및 진행방향 정보는 기지국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 송신될 수도 있다.
S300 단계는, 서버는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 진행방향 정보 및 기지국이 커버하는 탐색된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진행방향이 동일하고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에는 진행속도 정보와 차량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현 진행상태 정보 중 탐색경로에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 개수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탐색경로별로 선별하여 최적경로 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버의 과도한 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S204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서버가 탐색된 경로에 부합하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의 방법은 서버가 가입자 단말을 선별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서버는 먼저, 탐색경로에 부합되는 기지국의 좌표정보 및 진행방향 정보를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송신한다(S310).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진행방향이 동일하고 기지국 좌표와허용오차 범위 이내이면, 차량 아이디와 차량 좌표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S312).
서버는, 탐색경로와 수신된 차량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탐색경로별로 소정 개수의 차량을 선정하고, 선정된 차량의 가입자 단말로 차량 속도 정보를 요청한다(S314).
선정된 가입자 단말은 진행속도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S316).
도 5는 도 2에 도시된 S204 단계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의 방법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 자신이 교통정보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서버는 탐색경로에 부합되는 기지국의 좌표정보 및 진행방향 정보를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송신한다(S310).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진행방향이 동일하고, 기지국 좌표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이면 차량 좌표정보 및 속도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S318).
서버는 탐색경로와 수신된 차량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탐색경로별로 소정 개수의 속도 정보를 선정한다(S320).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텔레매틱스 단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경로정보 요청부(300), 네비게이션 제어부(304), 지도 데이터베이스(306), 교통정보 제공부(302), 차량진행정보 측정부(308)을 구비한다.
텔레매틱스 단말이 사용자 단말로서 사용된 경우에, 경로정보 요청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 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정보 요청(REQ1)을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경로정보 요청부(300)는, 네비게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최적경로 정보(DATA1)를 수신한다.
텔레매틱스 단말이 사용자 단말로서 사용된 경우에, 네비게이션 제어부(304)는, 경로정보 요청부(300)를 통하여 입력된 최적경로 정보(312)를 지도 데이터베이스(306)의 지리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306)와 지리정보를 매칭하는 지도정합기법은 주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999-58343호에 개시된 기술은, GPS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좌표점이 도로링크의 보간영역내에 위치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좌표점이 상기 도로링크의 보간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간영역내에 위치하는 보간점들을 대상으로 상기 차량좌표점과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 의해 산출된 이격거리가 최소인 보간점을 보간대상점을 선택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량좌표점을 상기 제 4단계에 의해 선택된 보간대상점으로 대치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를 수행한후 차량의 주행궤적을 추종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진행정보 측정부(308)는 네비게이션 제어부(304) 및 교통정보 제공부(302)로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310)를 제공한다.
네비게이션 제어부(304)는, 차량진행정보 측정부(310)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310)를 사용자에게 지도 디스플레이, 음성 안내 등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이 가입자 단말로서 사용된 경우에, 교통정보 제공부(302)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 요청(REQ2)에 따라, 차량진행정보 측정부(308)로부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310)를 획득하여 교통정보(DATA2)로서 외부로 송신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경로정보 요청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조작부(400), 경로정보 요청 송신부(401), 경로정보 수신부(402)를 구비한다.
조작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이동의 시/종점 정보(403)를 발생한다. 조작부(400)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입력장치, 터치스크린 등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경로정보 요청 송신부(401)는 차량이동의 시/종점 정보(403)를 포함하는 경로정보 요청을 전송 신호로 변조하여 경로정보 요청 신호(REQ1)로서 송신한다. 경로정보 요청 신호(REQ1)은 외부의 무선망(미도시)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서버(미도시)로 전달된다.
경로정보 수신부(402)는 네비게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정보(DATA1)를 수신하고 이를 단말의 내부신호(312)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교통정보 제공부(302)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 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교통정보 요청 수신부(410), 위치방향 비교부(411), 교통정보 송신부(412)를 구비한다.
텔레매틱스 단말이 가입자 단말로서 사용된 경우에, 교통정보 제공부(302)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 요청(REQ2)에 따라, 차량진행정보 측정부(308)로부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310)를 획득하여 교통정보(DATA2)로서 외부로 송신한다. 이 때, 교통정보 제공부(302)는 가입자 단말이 탐색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교통정보(DATA2)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교통정보 요청 수신부(410)는 외부로부터 교통정보 요청(REQ2) 수신하고 이를 내부신호(413)로서 복조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 요청(REQ2)에는 탐색경로에 대한 정보, 사용자 차량의 시/종점 진행방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교통정보 요청(REQ2)이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되는 경우에는, 탐색경로에 대한 정보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가입자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방향 비교부(411)는 차량의 현 진행정보(314)와 교통정보 요청(REQ2)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여, 정보(414)의 출력여부를 결정한다. 즉 위치방향 비교부(411)는 진행방향이 동일하고, 탐색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정보(414)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위치·방향 비교부(411)는 가입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탐색경로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현재 위치가 기지국 좌표의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교통정보 송신부(412)는, 위치·방향 비교부(4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가입자 단말의 현 진행상태 정보(414)를 변조하여 교통정보(DATA2)로서 출력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GPS 모듈(420), 위치 측정부(421), 속도측정부(422), 방향 측정부(423)을 구비한다.
차량진행정보 측정부(314)는 위치정보(425), 속도정보(426), 진행방향정보(427)를 차량 현 진행정보(314)로서 출력한다.
GPS 모듈(420)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측정부(421)는 GPS 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 정보(316)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 위치정보(425)를 생성한다.
속도 측정부(422)는 차량 자체의 차속측정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속도정보(426)를 생성할 수 있다.
방향 측정부(423)는 절대방위각 측정수단인 자이로스코프나(gyroscope)나 마그네틱 콤파스(magnetic compass)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측정부(423)는 측정된 위경도 좌표의 시간당 변화량을 계산하여 진행 방향 정보(427)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위치측정부(421)가 GPS 모듈에 의해 차량의 현 위치를 측정하고 있다. 무선 위치측정 기법에는, 이러한 GPS 모듈을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 based)의 기법 이외에도,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의 AOA(Angl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라디오를 이용한 주파수 패턴매칭 방식(RF finger printing)이 있다. 이하에서 이들 위치 측정 방법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AOA 방식에서는, 두 개의 기지국에서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을 측정하여 방위각을 구하고, 이 방위각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구한다. 하나의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의 방향은 하나의 방향각(Line Of Bearing, LOB)을 형성하며, 이들 방향각의 교점이 단말기의 위치가 된다. 이는 삼각형의 위치결정 방법 중에서 두 각과 사잇변의 길이를 이용한 것이다. 즉, 두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의 방향각과 두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알면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2차원 평면에서는 2개의 방향각만으로도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실제 시스템에서는 정확도를 고려하여 3개 이상의 방향각을 이용한다.
TDOA 방식에 의하면 신호원이 되는 두 기지국에서 단말기까지의 거리의 차에 비례하는 전파 도달 시간차가 측정되고, 두 기지국에서 거리가 일정한 곳 즉, 두 기지국을 초점으로 하는 쌍곡선 위에 단말기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각 기지국은 동기화되어 있어야 하며 기지국간의 시간의 동기화는 위성시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2개의 쌍곡선이 얻어지고, 두 쌍곡선의 교점이 수신기의 위치로 결정된다.
라디오를 이용한 주파수 패턴매칭 방식은, 유에스 와이어레스(US Wireless) 社가 개발하였다. 이 방식은, 셀 사이트(cell site)에 설치된 수신기(RadioCameraTM)가 수신된 신호의 RF 주파수 패턴 및 다중경로(multi-path)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특성 데이터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위치특성(fingerprint)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위치를 파악한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서버(102)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경로정보 제공부(500), 경로탐색부(506), 지도 데이터베이스(504), 교통정보 요청부(502), 최적경로 결정부(50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서버(102)는 텔레매틱스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최적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텔레매틱스 단말(100)로 교통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도 있다.
경로정보 제공부(5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경로정보 요청(REQ1)을 복조하고, 이로부터 시/종점 정보(510)를 추출하여 경로 탐색부(506)로 출력한다. 또한 경로정보 제공부(500)는 결정된 최적 경로정보(516)를 변조하여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DATA1)한다.
경로탐색부(506)는 시/종점 정보(510)을 입력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504)로부터 시/종점을 연결하는 경로(512)를 탐색하여 출력한다. 경로는 여러개의 세그먼트의 링크형식으로 탐색될 수 있다. 지도상에서 단위 세그먼트는 예컨대 소정 거리단위, 교차로 단위, 신호등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경로탐색부(506)는 진행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탐색된 경로정보(512)를 출력한다.
교통정보 요청부(502)는 교통정보 요청신호(REQ2)를 무선망(미도시)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한다. 교통정보 요청신호(REQ2)에는 탐색된 경로정보(512)가 포함되며, 경로정보에는 진행방향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교통정보 요청부(502)는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DATA2)를 복조하고 이로부터 최적경로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514)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514)에는 좌표정보와 속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최적경로 결정부(508)는 입력된 정보(514)를 이용하여, 탐색된 경로(518) 중에서 최적경로(516)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최적경로는 탐색된 경로마다 차량 이동속도가 가장 빠른 경로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세그먼트 단위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세그먼트 들 중 차량 이동속도가 가장 빠른 세그먼트의 링크 형태로 최적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이동속도는 예컨대 평균값 등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교통정보 요청부(502)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기지국 선별부(601), 경로상 차량 호출부(600), 차량좌표 수신부(602), 차량선택부(603), 교통정보 요청 송신부(604), 교통정보 수신부(605)를 구비한다.
기지국 선별부(601)는 탐색된 경로를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별하고, 기지국의 좌표정보(606)를 출력한다. 기지국 좌표정보(606)에는 진행방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경로상 차량 호출부(600)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기지국 좌표정보를 포함한 호출신호(REQ2-1)를 송신한다.
차량좌표 수신부(602)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DATA2-1)를 복조하여 단말 내부신호(607)로서 출력한다.
차량 선택부(603)는 차량좌표 수신부(602)로부터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607)를 입력하여, 교통정보를 요청할 가입자 단말을 선택하여, 그 가입자 단말의 아이디(ID, 식별번호)(608)를 출력한다. 가입자 단말의 선택은 탐색된 경로정보 (512)와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607)의 정합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교통정보 요청 송신부(604)는 선택된 가입자 단말의 아이디를 변조하여 호출신호(REQ2-2)를 송신한다.
교통정보 수신부(605)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DATA2)를 수신하여, 최적경로 결정을 위한 서버의 내부신호(514)로서 복조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DATA2)에는 가입자 단말의 진행속도가 포함된다. 교통정보(DATA2)에는 시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교통정보 요청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기지국 선별부(601), 경로상 차량 호출부(600), 교통정보 수신부(605), 정보 선택부(610)을 구비한다.
기지국 선별부(601)는 탐색된 경로를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별하고, 기지국의 좌표정보(606)를 출력한다. 기지국 좌표정보(606)에는 진행방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경로상 차량 호출부(600)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기지국 좌표정보를 포함한 호출신호(REQ2-1)를 송신한다.
교통정보 수신부(605)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DATA2)를 수신하여, 최적경로 결정을 위한 서버의 내부신호(609)로서 복조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DATA2)에는 가입자 단말의 진행속도와 좌표정보가 포함된다. 교통정보(DATA2)에는 시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선택부(610)는 입력된 교통정보(609)에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탐색경 로와의 정합정도에 따라 최적경로 결정에 이용할 정보(514)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609)에 시간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에는 정보의 선택에 시간의 경과 정도를 반영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나 수치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원화된 교통정보의 수집과 네비게이션 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진정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도로상황의 동적변화를 즉시적으로 반영한 차량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네비게이션 서비스 가입자 차량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을 활용하는 교통정보를 수집하므로 교통정보 수집의 음영시간 및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교통정보의 수집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정보 수집 영역을 확장하는데 따라 발생하는 센터의 처리 부하와 통신량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3)

  1. (a) 사용자의 텔레매틱스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 이동의 시/종점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이하 '서버'라 함)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상기 시/종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시/종점 정보에 부합하는 범위내에 존재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가입자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이하 '가입자 단말'이라 함)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서버는 상기 수집된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종점에 대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서버는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진행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진행방향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5. 제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속도 정보는
    상기 각 차량이 소정구간에서의 누적평균에 의한 진행속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b1) 수신된 상기 시/종점 정보의 지도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b2) 상기 시/종점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b3) 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탐색된 경로마다의 이동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그 시간이 가장 작게 계산되는 경로를 최적경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로마다의 이동 소요시간은 각 경로의 전체거리를 각 경로마다의 차량들의 평균속도로 나눈값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b1) 수신된 상기 시/종점 정보의 지도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b2) 상기 시/종점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b3) 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 있어서 탐색된 상기 경로는
    작은 세그먼트들의 링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탐색된 경로에 부합하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하고, 상기 시/종점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태인 가입자 단말들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진행속도 정보와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 진행방향 정보 및 기지국이 커버하는 탐색된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상기 진행방향과 같고,상기 탐색된 경로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현 진행상태 정보 중 상기 탐색경로에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 개수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탐색경로별로 선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 진행방향 정보 및 기지국의 좌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은 자신이 상기 기지국의 좌표정보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이며 상기 진행방향과 같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좌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탐색경로의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 개수의 가입자 단말을 선정하고 교통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정보를 요청받은 가입자 단말은 차량 진행속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는 진행방향 정보, 진행속도 정보 및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단말에게 기지국 아이디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든 가입자 단말은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진행방향이 일치하고,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탐색경로의 정합되는 정도에 따라 탐색경로별로 소정 개수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선별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로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길 안내 음성 정보로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방법.
  21. 차량 이동의 시/종점을 지정하여 경로정보 요청하여 외부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하고, 외부의 교통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둘 이상의 텔레매틱스 단말;
    하나의 텔레매틱스 단말의 경로정보 요청에 따라 다른 텔레매틱스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최적경로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경로정보를 요청한 텔레매틱스 단말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및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들과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의 통신 매체가 되는 무선 통신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22. 지리 정보를 저장한 지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차량이동의 시/종점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경로정보 요청을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정보 요청부;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
    외부로부터 제공된 최적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의 진행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 요청에 따라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요청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이동의 시/종점 정보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
    상기 시/종점 정보을 포함한 경로정보 요청을 외부로 송신하는 경로정보요청 송신부; 및
    외부로부터 최적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차량의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및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측정하는 방향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GPS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둘 이상의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하여 AOA(Angle of Arrival) 방식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세개의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하여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하여 RF Fingerprint 방식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진행정보 측정부는
    현재시간을 측정하는 시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교통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복조된 정보와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방향 비교부; 및
    상기 차량의 현 진행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교통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31. 지리 정보를 저장한 지도 데이터베이스;
    외부로부터 수신된 경로정보 요청을 복조하고, 이로부터 시/종점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최적 경로정보를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경로정보 제공부;
    상기 시/종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종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탐색하여 출력하는 경로탐색부;
    상기 탐색된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요청신호를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요청부; 및
    상기 복조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 중에서 최적경로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최적경로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요청부는
    상기 탐색된 경로를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별하고, 기지국의 좌표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 선별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상기 기지국 좌표정보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상 차량 호출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차량좌표 수신부;
    상기 가입자 단말의 좌표정보를 입력하여, 교통정보를 요청할 가입자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가입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변조하여 호출신호로서 송신하는 교통정보 요청 송신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요청부는
    상기 탐색된 경로를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별하고, 기지국의 좌표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 선별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가입자 단말로 상기 기지국 좌표정보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상 차량 호출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교통정보 수신부; 및
    상기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탐색된 경로와의 정합정도에 따라 최적경로 결정에 이용할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정보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KR1020040072388A 2004-09-10 2004-09-10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KR10068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88A KR100683555B1 (ko) 2004-09-10 2004-09-10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88A KR100683555B1 (ko) 2004-09-10 2004-09-10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619A KR20060023619A (ko) 2006-03-15
KR100683555B1 true KR100683555B1 (ko) 2007-02-15

Family

ID=3712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388A KR100683555B1 (ko) 2004-09-10 2004-09-10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872B1 (ko) * 2007-09-21 2009-07-14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내비게이션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의 오류 지점 파악 서버및 방법
CN102682591A (zh) * 2011-03-16 2012-09-19 高德软件有限公司 旅行时间获取方法和装置
KR101870284B1 (ko) * 2011-04-29 2018-07-24 팅크웨어(주)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101532871B1 (ko) * 2014-04-08 2015-07-06 양연철 비행자동차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417A (ko) * 1998-06-29 2000-01-15 이계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48588B1 (ko) * 1997-06-16 2000-03-15 김정수 교통방송시스템
KR20010028955A (ko) * 1999-09-28 2001-04-06 이남수 원거리 적외선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KR20040037689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588B1 (ko) * 1997-06-16 2000-03-15 김정수 교통방송시스템
KR20000003417A (ko) * 1998-06-29 2000-01-15 이계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28955A (ko) * 1999-09-28 2001-04-06 이남수 원거리 적외선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KR20040037689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619A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371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약속 장소 설정 방법 및시스템
EP26049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ap matching
US7260473B2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route guidance
CN101727742B (zh) 路线搜索装置和信息控制服务器
US20060116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route navigation
US9400182B2 (en) Probabilistic reverse geocoding
KR20060096729A (ko) 개인 항법 시스템 및 개인 항법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KR101087725B1 (ko)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도로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US20100057334A1 (en) Method and system to estimate vehicle traffic conditions
KR20010036842A (ko) 지피에스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의 위치 및 운행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726567B1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에 기반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US6324468B1 (en) Process for transmitting route information which concerns a route of a vehicle in a road network between a traffic information center and a terminal in a vehicle, traffic information center and terminal
KR100337701B1 (ko) 교통정보시스템
KR100683555B1 (ko)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KR20070042689A (ko)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Raiyn Developing vehicle locations strategy on urban road
KR100683556B1 (ko) 휴대폰 기반의 실시간 온디멘드 네비게이션 방법,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폰, 및 네비게이션 서버
KR20070070714A (ko) 위치 선정 방법, 위치 선정 시스템, 위치 선정 서버 및사용자 단말기
JP200234058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交通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645294B1 (ko) 정밀지도 정보 제공 장치
KR10052656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KR100547623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밀 측위응용 장치 및 그 방법
WO2017221021A2 (en) Detecting electromagnetic signal sources from mobile devices travelling along paths and applications thereof
RU2442963C1 (ru) Способ сбора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о транспортных потоках на автодорога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208953695U (zh) 自动驾驶车辆定位系统以及定位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