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568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568B1
KR100526568B1 KR10-2001-0024173A KR20010024173A KR100526568B1 KR 100526568 B1 KR100526568 B1 KR 100526568B1 KR 20010024173 A KR20010024173 A KR 20010024173A KR 100526568 B1 KR100526568 B1 KR 10052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raffic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center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000A (ko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5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 센터와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교통정보 센터가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잘못 계산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의 도로상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교통정보 센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체의 주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얻어진 다수의 위치 데이터로서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과정과,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교통정보 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교통정보 센터가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에 근거하여 지도 DB로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검색하는 과정과, 교통정보 센터가 검색된 도로를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METHOD FOR SEARCHING CURRENT POSITION ROAD DATA IN NEVIGATION SYSTEM USING PORTBLE TERMINAL}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neviga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 센터와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상에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전세계 위치측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으로 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자기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준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체의 진행방향,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거리, 이동체의 현재 이동속도, 운전자가 주행전에 설정한 경로,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는 등 주행에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현재 선박, 항공기, 자동차 등 각종의 이동체들에는 현재 위치와 이동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혹은 GPS 측위장치)이 탑재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에 속하는 복수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한 후 이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지도정보를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주거나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체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자동 항법용 지도 DB(DataBase)를 내장하며 GPS 수신기와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취득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맵 매칭(map matching) 기법을 사용하여 이동체의 도로상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자동 항법용 지도 DB의 경우 효율성을 고려하여 지도표시용, 경로찾기용 등으로 DB가 구성되어 현재 차량이 위치한 도로가 경로 찾기용 지도 DB에 없는 경우도 발생하지만 지도 도로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계산된 경로로 진입하기 용이해진다.
그러나 실시간 변화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을 반영한 경로 안내가 어렵고, 새로이 개통되거나 공사중인 도로에 따른 동적인 지도 데이터(map data)의 변경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을 별도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동 통신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경로를 안내되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지도 DB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대용량의 메모리가 탑재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 기능을 위해 대한민국 전국에 대한 지도 DB를 구성하는 경우, 디지털 지도 DB마다 차이는 있지만 30MB∼300MB 정도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용량의 메모리를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는 것은 점점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려는 추세에 거스르는 것이고,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비용을 매우 높게 하는 것이다. 게다가, 휴대용 단말기에 지도 DB로서 CD-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마스크 롬(mask ROM), 하드 디스크(hard disk)와 같은 고정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현실 세계의 도로 혹은 교통 규제의 변경에 따른 지도 DB의 업데이트(update)를 어렵게 하며, 실시간 교통량을 반영한 경로 안내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0년 8월 18일자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2000-47955호는 자동 항법용 지도 DB와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체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계산을 하는 교통정보 센터와, 이동체에 위치되고 현재 위치 확인 기능을 구비하며 교통정보 센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위치 확인 기능은 GPS 수신기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교통정보 센터에서 자동 항법용 지도 DB와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체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계산을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대용량의 메모리 등을 추가하지 않고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된 도로 정보 및 현재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경로 안내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체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 내에 지도 DB를 저장하여 활용하고 현재까지의 주행 경로등을 지속적으로 맵 매칭 관리를 함으로써 현재 위치의 정확성을 높이고 어떤 도로상에 있는지 판단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이에 반하여 상기한 특허출원 제2000-47955호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는 지도 DB가 별도의 교통정보 센터에서 관리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취득되는 현재 위치 데이터만으로는 어떤 도로상에 있는지 판단이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현재 도로 오류로 인한 잘못된 경로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잘못된 경로 계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위치한 도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에게 질의할 필요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잘못 계산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의 도로상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현재 위치한 도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교통정보 센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체의 주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얻어진 다수의 위치 데이터로서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history)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과정과,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교통정보 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교통정보 센터가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에 근거하여 지도 DB로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검색하는 과정과, 교통정보 센터가 검색된 도로를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일예로서, 전술한 특허출원 제2000-47955호의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도 1을 상기한 특허출원 제2000-47955호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휴대용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망(150)과, 교통정보 센터(20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교통정보 센터(200)는 컴퓨터(210)와, 교통정보 서버(220)와, 경로계산 서버(230)와, 네트워크 서버(240)와, 지도 DB(212)와, 실시간 교통정보 저장부(222)로 이루어진다. 컴퓨터(210)는 사전에 조사된 도로 및 교통 규제 상황, 예를 들어 전국 도로, 교통 규제 내용)에 따른 지도 데이터(map data)를 제작한다. 컴퓨터(210)에 의해 제작된 지도 데이터는 지도 DB(212)에 저장된다. 교통정보 서버(220)는 각종 교통정보 취득 센서로 부터 감지되는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로서 실시간 교통정보 저장부(222)에 저장한다. 경로계산 서버(230)는 네트워크 서버(240)로 부터 데이터 요청시 지도 DB(212) 및 실시간 교통정보 저장부(222)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이동체가 주행할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른 최적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서버(240)는 이동 통신망(150)과 접속을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교통정보 센터(200)는 지도 DB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이동체가 주행할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지도 DB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생성하여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교통정보 센터(200)에 접속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송신하며, 교통정보 센터(200)는 최적 경로 유도를 위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가 다운로드 요청할 때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망(150)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무선 접속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ives) 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뿐만아니라 최근에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IMT(Intern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시스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GPS 안테나(102)와, GPS 엔진(engine)(104)과, 램(RAM)(106)과, 롬(ROM)(108)과,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10)와, 음성처리기(111)와, 자이로 센서(112)와, 가속도 센서(114)와, 마이크(MIC: Mircrophone)(116)와, 스피커(118)와, 표시부(120)와, 기존 통신 단말기 블록(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위치 확인 블록을 구성하는 GPS 안테나(102), GPS 엔진(104), 자이로 센서(112) 및 가속도 센서(11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램(106)에는 교통정보 센터(200)로 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다운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고, 롬(108)에는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음성 처리기(111)는 음성 IC(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고, 음성 안내를 위한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체의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118)를 통해서는 이동체의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교통정보 센터(200)에 의해 생성된 경로 유도 정보를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다운로드받아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취득되는 위치 데이터를 이동체의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특정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하여 교통정보 센터(200)로 보내고, 교통정보 센터(200)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맵 매칭 기법 등으로 계산하여 현재 도로를 판단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주어진 경로를 이탈시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체의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특정 형태의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라 칭한다. 이러한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는 이동체의 주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얻어진 다수의 위치 데이터로서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를 나타낸다.
상기한 위치 데이타는 지도 DB(212)에 매칭되는 좌표 형태에 따른 좌표정보 및 방향정보로 구성되고, GPS 엔진(104), 자이로 센서(112), 가속도 센서(114) 등에 의해 얻어지는 오차를 포함하는 센서 위치값은 기존의 주행 경력에 따라 지도상의 매칭 좌표로 보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처리능력과 교통정보 센터(200)내 맵 매칭 기법에 최적화하여 적용하는데, 예를 들어 등간격 좌표와 방향정보의 히스토리를 구성하거나 방향 전환시점의 좌표와 방향정보의 히스토리로 구성한다. 상기한 좌표정보인 등간격 좌표는 예를 들어 20m 단위로 지정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처리 흐름을 (300)∼(310)단계로 보인 도 2와 교통정보 센터(200)의 처리 흐름을 (400)∼(416)단계로 보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의 CPU(110)는 도 2의 (300)단계에서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 데이터를 계산하고 램(106)에 저장한다. 그리고 (302)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여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교통정보 센터(200)로 전송하고, (304)단계에서 교통정보 센터(200)로 부터 경로 유도 데이터 또는 사용자 질의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러면 교통정보 센터(200)는 도 3의 (400)∼(402)단계에서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부터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에 근거하여 지도 DB(212)로 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검색한다. 이때 위치 데이터로서 맵 매칭 기법을 적용하여 가장 높은 가능성의 도로를 판단한다. 맵 매칭 기법은 지도 DB(212)상의 도로의 연결성 및 좌표정보,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만일 경로 계산에 이용되는 도로상에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골목길 등의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경로 계산상의 도로로 검색한다. 이와 같이 검색한 결과, (404)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현재 도로의 결정 여부에 따라 (414)단계에서 경로 계산을 하거나 (406)단계에서 검색된 도로가 다수인지 또는 없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만일 검색된 도로가 하나인 경우에는 검색된 도로를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고 (414)단계로 진행하며, 검색된 도로가 다수인 경우에는 (410)단계에서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이동체가 위치한 도로에 대하여 질의하는 사용자 질의를 송신하며, 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우로서 매칭되는 도로가 없는 경우에는 (408)단계에서 도로 검색 범위를 예를 들어 100m에서 2km로 조정한 다음에 상기한 (402)단계로 진행하여 지도 DB(212)로 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다시 검색한다.
상기 (410)단계에서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로서 판단이 불가능하고 특정 범위내, 예를 들어 100m내에 같은 방향의 도로가 비슷한 형태로 다수개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질의하여 현재 위치 도로 판단의 정확도를 높히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로 이동체가 위치한 도로에 대하여 질의하는 사용자 질의를 송신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304)단계에서 사용자 질의 수신에 따라 (308)단계에서 사용자 질의 메시지를 표시부(12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질의 메시지는 예를 들어 "고속도로 상에 있습니까? - (1.예, 2.아니오)"로 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2"번을 선택하면 "1"번을 선택할 때까지 다시 고속화도로, 고가도로, 지하도로 등에 대하여 계속 이어 동일한 형태로 질의한다. 이후 (310)단계에서 이러한 사용자 질의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여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교통정보 센터(200)로 송신하고 상기 (304)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교통정보 센터(200)는 (412)단계에서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부터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한 (402)단계에서 검색된 도로들중에 사용자 응답에 대응하는 도로를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고 (414)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취득되는 위치 데이터로서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여 교통정보 센터(200)로 보내 현재 도로를 판단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도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위해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경우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 제공, 즉 주행 중 질의에 응답해야 하는 경우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통정보 센터(200)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도로를 결정한 다음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진다. 즉, 교통정보 센터(200)는 (414)∼(416)단계에서 경로 계산 서버(230)에 의해 경로 계산을 하고 그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상기한 (400)단계로 진행하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한 (304)단계에서 경로 유도 데이터 수신에 따라 (306)단계에서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경로 안내를 하고 상기한 (30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들었으나, 지도 DB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가지고 경로 계산을 하는 교통정보 센터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경로 안내를 받는 경우라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블록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100)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나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 대신에 별도의 화면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교통정보 센터(200)에서 매칭되는 도로를 검색하였을 때 다수 도로가 검색되거나 도로 부재인 경우의 처리를 포함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취득되는 위치 데이터로서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여 교통정보 센터로 보내 현재 도로를 판단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도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위해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경우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 제공, 즉 주행 중 질의에 응답해야 하는 경우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센터의 처리 흐름도.

Claims (7)

  1. 자동 항법용 지도 DB와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체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계산을 하는 교통정보 센터와, 상기 이동체에 위치되며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확인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교통정보 센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도로상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체의 주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얻어진 다수의 위치 데이터로서 상기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상기 교통정보 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센터가 상기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에 근거하여 상기 지도 DB로 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센터가 상기 검색된 도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가, 상기 지도 DB에 매칭되는 좌표 형태에 따른 좌표정보와 방향정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가, 등간격 좌표 또는 방향 전환시점의 좌표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4. 자동 항법용 지도 DB와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체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계산을 하는 교통정보 센터와, 상기 이동체에 위치되며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확인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교통정보 센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도로상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체의 주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얻어진 다수의 위치 데이터로서 상기 주행에 따른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를 상기 교통정보 센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센터가 상기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히스토리에 근거하여 상기 지도 DB로 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센터가 상기 검색된 도로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검색된 도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센터가 상기 검색된 도로가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이동체가 위치한 도로에 대하여 질의하는 사용자 질의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교통정보 센터로 부터 상기 사용자 질의를 수신하여 사용자 질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질의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여 상기 교통정보 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정보 센터가 상기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검색된 도로들중에 상기 사용자 응답에 대응하는 도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 도로로 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이, 상기 매칭되는 도로가 없는 경우에는 도로 검색 범위를 조정한 다음에 상기 지도 DB로 부터 매칭되는 도로를 다시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가, 상기 지도 DB에 매칭되는 좌표 형태에 따른 좌표정보와 방향정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가, 등간격 좌표 또는 방향 전환시점의 좌표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KR10-2001-0024173A 2001-05-03 2001-05-0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KR10052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73A KR100526568B1 (ko) 2001-05-03 2001-05-0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73A KR100526568B1 (ko) 2001-05-03 2001-05-0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00A KR20020085000A (ko) 2002-11-16
KR100526568B1 true KR100526568B1 (ko) 2005-11-03

Family

ID=2770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173A KR100526568B1 (ko) 2001-05-03 2001-05-0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10B1 (ko) 2011-02-21 2013-02-2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08B1 (ko) * 2004-10-22 2007-03-30 팅크웨어(주)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63020B1 (ko) * 2004-12-22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수집방법
JP4807057B2 (ja) * 2005-12-05 2011-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10B1 (ko) 2011-02-21 2013-02-2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00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0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al-time distributed navigation system
US66546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navigation using mobile telephones
EP1317742B1 (en) Navig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oute guidance method thereof
US7260473B2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route guidance
KR100696801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관심위치 검색방법
US68453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avigation
US20060116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route navigation
JP4345842B2 (ja) 車両位置情報提供装置、車両位置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210959A (zh) 移动终端导航系统及方法
EP1994364A1 (en) Method anb apparatus for determining relevant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based upon route of user
JPH10502174A (ja) 電子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その方法
EP27385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driving instructions with a navigation system
US20050131639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KR100519627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교통 정보 생성방법, 및 네비게이션 방법
KR10052656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KR20050050361A (ko) 사용자 선호 구간을 고려한 경로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7014A (ko)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79106A (ko) 목적지의 최단거리 및 최단시간을 안내하는 지도데이터제공시스템
KR100454963B1 (ko)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유도데이터의 갱신 방법
JP436834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ガイダンス実行方法
JP2002156244A (ja) 位置情報サービス装置
KR20090028295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위치설정방법
JP20131902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