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588B1 - 교통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588B1
KR100248588B1 KR1019970024860A KR19970024860A KR100248588B1 KR 100248588 B1 KR100248588 B1 KR 100248588B1 KR 1019970024860 A KR1019970024860 A KR 1019970024860A KR 19970024860 A KR19970024860 A KR 19970024860A KR 100248588 B1 KR100248588 B1 KR 10024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raffic information
map
video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502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1997002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58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교통정보를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텔레비젼방송신호의 형태로 제공하는 교통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교통방송시스템은 지역별 교통상황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정보수집수단과, 교통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의 지역별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와, 지역별 기본교통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와,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교통정보를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기본교통지도와 결합시켜 프레임 단위로 된 비디오신호 형태의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하는 다수의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과,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로부터의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 각각에 그 프레임을 지시하는 식별코드를 부가하는 코드부가수단과, 코드부가수단으로부터의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소정의 프레임씩 대기를 통해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식별코드에 의해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진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수신하여 비디오신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교통정보지도를 가지는 비디오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교통정도단말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교통방송시스템(Traffic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교통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정보를 조회 가능하게 제공하는 교통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레저문화가 조성됨에 따라 거의 모든 가정이 자동차를 필수적으로 구비하려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자동차는 도로의 증가량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도로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의 량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도로교통은 날이 갈수록 더욱 더 혼잡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혼잡한 교통상황을 완화하기 위하여, 실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들에게 제공하여 교통량이 많은 도로 또는 지역을 경유하려는 자동차들을 비교적 교통량이 작은 도로쪽으로 유도하는 방안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 즉 교통정보는 라디오 방송 시스템, 문자호출서비스시스템 및 대형 전광판에 의해 운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혼잡한 교통상황을 실시간적으로 운전자들에게 제공하기는 하나 교통정보가 방송국에 의해 임의의 순서로 전송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없었다. 문자호출서비스시스템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교통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이용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그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형전광판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교통정보의 제공범위가 지역적으로 제한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통정보 제공수단들은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음성 또는 문자의 형태로 전달할 뿐이어서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교통정보를 조회할 수는 없었고 아울러 운전자가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상황을 손쉽게 파악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실시간적으로 원하는 교통정보를 획득 가능하게 하는 교통정보 방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들이 원하는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교통정보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방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서버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단말기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통지도작성수단 11 : ISD
12 : 자동차 13 : 헬리콥터
14 : 교통지도 데이타베이스 15 : 교통정보 데이타베이스
16 : 교통정보지도 PC 20 : 식별코드부가수단
30 : 정보전송수단 31 : 비디오 레코오더
32 : 텔레비젼방송장치 40 : 교통정보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방송시스템은 지역별 교통상황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정보수집수단과, 교통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의 지역별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와, 지역별기본교통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와,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교통정보를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기본교통지도와 결합시켜 프레임 단위로 된 비디오신호 형태의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하는 다수의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과,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로부터의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 각각에 그 프레임을 지시하는 식별코드를 부가하는 코드부가수단과, 코드부가수단으로부터의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소정의 프레임씩 대기를 통해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식별코드에 의해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진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수신하여 비디오신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교통정보지도를 가지는 비디오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교통정보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방송시스템은 실시간적으로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하고, 이 교통정보지도를 텔레비젼 방송신호라 하고, 이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수직 귀선시간에 각각의 고유번호를 부가하여 전송한다. 즉, 텔레비젼 방송신호에 교통정보지도와, 이 교통정보지도에 대한 고유번호와 제어데이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가 실려 전송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교통방송시스템은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음성정보영역에는 교통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부가적으로 실어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메뉴선택방식에 의해 교통정보 조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통방송시스템은 제1도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교통정보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크게 교통정보지도작성수단(10), 식별코드부가수단(20), 정보전송수단(30) 및 교통정보단말기(40)의 4개의 부분들로 구분될 수 있다.
교통정보지도작성수단(10)은 다양한 형태의 교통정보 소스(Source)를 통하여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Database)(15)를 구축하고, 이 교통정보데이타 베이스(15)와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4)로부터의 정보를 조합하여 교통정보 지도를 작성한다. 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5)의 구축을 위해서는 정보수집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정보수집의 방법으로는 기존의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운용자의 입력에 의한 방법(즉, 자동차(12) 또는 헬리곱터(13)을 운행하는 통신원 등의 전화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Camera)로부터의 교통상황을 입력하는 방법), IDS(Image Detect System)(11)의 출력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5)에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5)에는 지역코드, 거리코드 및 교통상황의 필드에 따라 정보가 구축된다. 이러한 정보는 교통정보지도 퍼스날컴퓨터들(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161내지 1630)이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교통정보지도PC(16)에 의해 교통정보지도가 작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 교통정보지도PC(16)는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4)에 저장되어진 지역별 기본교통지도를 판독하여 그 기본교통지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교통정보지도PC(16)는 지역코드에 해당하는 전체거리코드를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5)로부터 수신하여 교통상황필드에 부합하는 거리부분 지도를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4)에서 판독한 기본교통지도와 중첩시킨다. 또한, 교통정보지도PC(16)는 교통상황필드의 내용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기본교통지도에 부가함으로서 교통정보지도의 작성을 종료하게 된다. 이 교통정보지도는 교통정보지도PC(16)에 설치된 비디오출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식별코드부가수단(20)은 교통정보지도에 관한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을 메뉴선택방식으로 원하는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각 교통정보지도, 즉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를 지시하는 고유식별코드들을 그 비디오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부가한다.
정보전송수단(30)은 고유식별코드가 부가되어진 교통정보지도들에 대한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을 연속적인 비디오신호로 구축하여 그 연속적인 비디오신호와 함께 메뉴선택화상 및 중간 광고화상 등과 같은 부수적인 화상정보를 가지는 비디오신호 및 음성교통정보를 텔레비젼방송신호의 형태로 교통정보단말기들(40)쪽으로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전송수단(30)은 비디오레코오더(31)과 텔레비젼방송장치(32)를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교통정보단말기(40)는 텔레비젼방송신호에 실려진 교통정보지도를 수신하여 사용자, 즉 운전자가 지정하는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교통정보지도를 선택하여 제공한다.
제2도는 교통정보서버의 블럭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교통정보서버는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를 구축하고 또한 기본교통지도들이 저장되어진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04)를 구비한다.
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의 구축을 위해서는 정보수집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정보수집의 방법으로는 기존의 교통정보입력시스템(102)으로부터 교통정보가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쪽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방안이 사용된다. 이 방법외에도, 운용자의 입력에 의한 방법(즉, 통신원 등의 전화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Camera)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IDS(Image Detect System)의 출력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에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에는 지역코드, 거리코드 및 교통상황의 필드에 따라 정보가 구축된다. 이러한 정보는 30대의 교통정보지도PC들(106)이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 사용된다.
이 교통정보지도PC들(106) 각각은 제어서버(108)의 명령에 따라 교통정보지도를 작성한다. 이 교통정보지도PC들(106) 각각에는 비디오 출력장치가 내장되고, 이에 의해 교통정보지도가 비디오신호로 변환·출력된다. 이를 위하여, 교통정보지도PC들(106) 각각은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로부터 교통정보를 읽어오고 아울러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04)로부터는 기본교통지도와 거리지도를 읽어 온다. 여기서, 거리지도는 교통정보에 적합한 색과 형태로 이미 작성되어 있으며 거리코드와 교통정보코드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읽혀진다. 그리고 교통정보지도PC(106) 각각은 읽어온 거리지도를 기본 교통지도에 중첩시킨 다음 교통상황에 적합한 문자들을 기본교통지도에 부가함으로써 교통정보지도를 완성한다. 이 교통정보지도의 작성이 완료된 때에 교통정보지도PC들(30) 각각은 교통정보지도가 완성되었음을 제어서버(108)에 통보한다.
상기 교통정보지도PC(106)에 의해 교통정보지도가 작성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어서버(108)에서 교통정보지도PC(106)에 지역코드와 지도작성명령을 인가한다. 교통정보지도PC(106)는 이 명령에 의해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04)로부터 지역코드에 해당하는 기본교통지도를 판독하여 그 기본교통지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교통정보지도PC(106)는 지역코드에 해당하는 전체거리코드를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로부터 수신하여 교통상황필드에 부합되는 거리부분지도를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04)에서 판독한 기본교통지도와 중첩시킨다. 또한, 교통정보지도PC(106)는 교통상황필드의 내용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기본교통지도에 부가함으로서 교통정보지도의 작성을 종료하게 된다. 이 교통정보지도는 교통정보지도PC(106)에 설치된 비디오신호 출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이 교통정보지도의 작성이 완료될 때, 교통정보지도 PC(106)는 제어서버(108)에 작업완료신호를 공급한다.
제어서버(108)는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와 교통정보지도PC들(106)들과 100M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함)에 의해 접속되어 교통정보지도 작성을 감독한다. 그리고 제어서버(108)는 4개의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d)과 RS485 방식으로 연결되어 교통정보지도 PC들(106) 중 어느 하나에서 교통정보지도의 작성이 완료된 때에 그 교통정보지도PC(106)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VBI부가기(110)쪽으로 공급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시킨다. 또한, 제어서버(108)는 VBI 부가기(110)와 RS232C 방식으로 연결되어 VBI 부가기(110)가 현재의 입력 비디오신호를 포획하여 VBI에 메뉴 네비게이션(Menu Navigation)을 위한 고유식별코드를 부가하도록 해당정보를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제어서버(108)는 비디오레코오더(114)가 VBI부가기(110)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VBI 부가기(110)는 제어서버(108)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비디오스위치(112d)로부터의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를 포획하고 이 포획되어진 비디오 신호의 VBI에 제어서버(108)로부터의 매뉴 네비게이션 정보, 즉 고유식별코드들을 부가한다.
VBI 부가기(110)에서 출력되는 한 프레임의 비디오신호에는 교통정보지도에 관한 정지화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교통정보 방송시스템용(이하 "V-TBS"라 함) 필드와, 자신이 식별되도록 하는 식별신호와, 자신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인접한 교통정보지도들을 가지는 프레임들을 나타내는 고유식별코드들을 포함한다. 이는 비디오신호에 교호(Interactive)의 성격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하여 탑메뉴(Top Menu)에는 반드시 10000의 숫자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탑 메뉴에는 9개의 하위메뉴가 존재하며, 이들 각각은 11000에서 19000까지의 천 단위의 숫자로 표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최하위의 메뉴에는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가지는 교통정보지도의 상하 좌우에 인접하는 교통정보지도들에 대한 식별번호들이 기재된다. 표 1은 VBI에 부가되는 식별코드들의 형태를 나타낸다. 표 1에서, V-TBS 구분필드와 프레임 ID 각각에는 2 바이트(Bytes)의 식별코드가 기재되고, 나머지 UP Frame, Down Frame, Left Frame 및 Right Frame ID 각각에는 1 Byte의 식별코드가 기재된다. 그리고 V-TBS의 메뉴와 교통정보지도에 관한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외에 일반의 잠시대기화상과 안내화상 등에 대한 프레임 비디오신호에는 반드시 20000 이상의 값을 가지는 식별코드가 부여된다. 이 20000 이상의 식별코드를 가지는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은 임의의 한 교통정보 지도에서 다음 교통정보지도로 교체될 경우에 포획되어 안내화상으로 사용된다.
Figure kpo00002
교통정보지도PC들(106)과 VBI 부가기(110) 사이에 설치된 4개의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d)은 제어서버(108)에 의해 제어되어 30개의 교통 정보지도PC(106)들 선택적으로 VBI부가기(110)에 접속시킨다. 이를 상세히 하면, 3개의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c)은 각각 10개의 교통정보지도 PC들(106)로부터의 10개의 비디오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비디오스위치(112d)는 3개의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c)로부터 공급되는 3개의 비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VBI부가기(110)에 공급한다.
비디오레코오더(114)는 VBI부가기(11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도록 접속됨과 아울러 RS232C 방식에 의해 제어서버(108)와 접속된다. 이 비디오레코오더(114)는 제어서버(108)로부터의 비디오 포획명령에 의해 VBI부가기(110)로부터의 비디오신호 중 한 프레임의 비디오신호를 포획한다. 그리고 비디오레코오더(114)는 포획되어진 한 프레임의 비디오신호를 제어서버(108)로부터의 프레임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비디오레코오더(114)는 기록되어진 비디오신호 중 10초분량의 비디오신호, 즉 30×10 프레임의 비디오신호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하여 동화상스위치(118)에 공급한다.
감시모듈(116)은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100),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104), 교통정보지도PC들(106) 및 제어서버(108)와 100M LAN에 의해 연결되어 이들 장치들의 현재상태를 감시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감시모듈(116)은 제어서버(108)와 각 장치들간의 전송되는 명령을 해독하여 모니터에 도표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운용자가 현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감시모듈(116)은 제어서버(108)와 접속되어진 데이타베이스들(100, 104)과 교통정보지도PC들(106)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경고음을 송출하고 이와 더불어 운용자의 호출기를 호출할 수 있다.
동화상스위치(118)는 비디오레코오더(114)로부터의 정지화상의 형태의 교통정보지도들에 대한 비디오신호와 동화상비디오신호원(120)으로부터의 동화상의 비디오신호를 텔레비젼방송장치(122)쪽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이 동화상비디오신호원(120)에서 발생되는 동화상 비디오신호는 교통정보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교통화상정보와 안내화상정보 및 일정한 시간간격을 둔 수 초 간격의 광고화상정보 등을 가진다. 아울러, 동화상스위치(118)는 오디오 소스(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교통정보에 관한 음성신호를 텔레비젼방송장치(122)쪽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텔레비젼방송장치(122)는 동화상스위치(118)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일정한 채널 주파수의 텔레비젼방송신호의 형태로 대기를 통해 교통정보단말기들(도시하지 않음)쪽을 송출한다. 그리고 동화상스위치(118)로부터 비디오신호와 함께 음성신호가 입력될 경우 음성신호를 텔레비젼방송신호의 음성주파수영역에 부가하여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교통정보단말기는 수신되어진 텔레비젼방송신호로부터 비디오신호를 복원하고 그 복원된 비디오신호의 VBI에 V-TBS 구분 필드의 값이 지정된 코드값과 다르면 교통정보지도가 아닌 동화상정보로 간주하여 기존의 텔레비젼수상기와 동일하게 수신되어진 비디오신호를 텔레비젼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교통정보지도PC들(106), 비디오 스위치들(112a 내지 112d), VBI 부가기(110) 및 비디오레코오더(114)는 동기신호들을 필요로 한다. 이 동기신호들은 도시하지 않은 타임 베이스 코렉터(Time Base Corrector)에 의해 발생된다. 그리고 이 동기신호들에 의하여 교통정보지도PC들(106),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d), VBI 부가기(110) 및 비디오레코오더(114)는 동기화 된다.
상기 제어서버(108)에 의해 제어되는 4개의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d), VBI 부가기(110), 비디오레코오더(114), 동화상스위치(118) 및 텔레비젼 방송장치(112)를 경유하여 교통정보지도에 관한 비디오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제어서버(108)는 비디오스위치들(112a 내지 112d)를 제어하여 교통정보지도PC들(106)에서 발생되어진 비디오신호(즉, 교통정보지도)가 VBI부가기(110)에 공급될 수 있는 통로(Path)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어서버(108)는 VBI부가기(110)에 비디오신호를 포획하라는 명령과 VBI에 실릴 식별코드들을 공급한다. 이들 포획명령과 부가형 데이타를 공급받는 VBI부가기(110)는 현재 입력되는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를 포획하여 그 프레임 비디오신호의 VBI에 식별코드들을 실어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서버(108)는 VBI 부가기(110)에 의한 정보의 부가작업이 종료된 때에 비디오레코오더(114)에 현재 VBI부가기(110)로부터의 한 프레임의 비디오신호(즉, 식별코드들이 삽입되어진 교통정보지도)를 포획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키라는 명령을 인가한다. 그러면, 비디오레코오더(114)는 VBI부가기(110)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포획하여 제어서버(108)로부터의 프레임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저장영역에 기록한다. 이 비디오레코오더(114)에 기록되어진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은 텔레비젼방송장치(122)에 의해 일정한 주파수의 텔레비젼방송채널에 실려 송출된다. 텔레비젼방송장치(122)에 의해 송출되어진 텔레비젼방송신호는 대기를 경유하여 교통정보단말기들쪽으로 전파된다. 그러면, 교통정보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들은 교통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교통정보단말기는 일반의 텔레비젼 모드와 교통정보 모드로 동작한다.
일반의 텔레비젼 모드의 경우, 교통정보단말기는 텔레비젼방송신호로부터 음성신호와 비디오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교통정보단말기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04)를 송출하는 비디오신호는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한다.
교통정보 모드의 경우에 교통정보단말기는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그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VBI에 부가된 V-TBS 구분필드가 지정된 식별번호를 가지는가 판단한다. V-TBS 구분필드에 지정된 식별번호가 포함된 때, 교통정보단말기는 그 식별코드를 가지는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비디오 버퍼(210)에 저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비디오 버퍼(210)에 저장되어진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탑메뉴에서 사용자가 0 내지 9까지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화상정보, 즉 교통정보 지도의 식별코드를 지정하였을 경우에 그 지정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비디오버퍼(210)에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9"를 선택하였다면, 교통정보단말기는 그 선택되어진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레임 비디오신호에 대한 19000의 식별코드를 산정한 다음 그 산정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프레임 비디오신호를 포획한다. 사용자가 지정한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되기 이전에 교통정보단말기는 사용자 안내화상 예를 들면 2000 이상의 식별번호를 가지는 프에임 비디오신호가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되는 교통정보지도에 관한 프레임 비디오신호와 인접한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에 대한 상하좌우 이동용 아이콘이 VBI에 부가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현재 표시된 교통정보지도와 인접한 다른 교통정보지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되는 프레임 비디오신호와 인접한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에 대한 상하좌우이동용 아이콘이 VBI에 부가되지 않는 경우에 교통정보단말기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상하좌우 키에 따라 현재 표시되어진 프레임 비디오신호들과 인접한 프레임 비디오신호를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뉴키를 선택한 때, 교통정보단말기는 현재의 프레임 비디오신호 보다 상위의 식별번호를 가지는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텔레비젼모니터(214)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표시된 프레임 비디오신호의 식별번호가 "11001"이라면 이 프레임 비디오신호의 상위의 프레임 비디오신호의 식별번호는 "11000"이 된다. 즉, 현재 표시된 비디오 프레임의 식별번호에서 백단위 이하의 숫자들을 모두 "0"으로 리세트함으로써 상위의 프레임 비디오신호의 식별번호가 산정된다.
키패드(200)는 0 내지 9까지의 숫자키들, 상하좌우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상하좌우 키들 및 메뉴키를 구비한다. 메뉴키는 일반 텔레비젼모드와 교통정보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키패드(200)에는 음성신호의 크기, 즉 음량을 크게 및 작게하기 위한 볼륨-업 키와 볼륨-다운 키가 포함되어 있다.
공중선(ANT)에 접속된 텔레비젼튜너(202)는 공중선(ANT)으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신호(Radio Frequency Signal) 중 임의의 텔레비젼방송채널에 실려진 텔레비젼방송신호를 선국하고 그 선국되어진 텔레비젼방송신호로 부터 비디오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한다. 이 텔레비젼튜너(202)에 발생되어진 음성신호는 스피커(204)를 통해 송출되는 반면 비디오신호는 디코더(206) 및 스위치(208)에 공급된다.
비디오버퍼(210)는 한 프레임의 비디오신호, 즉 한 화면분의 화소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을 가진다. 그리고 비디오버퍼(210)는 디코더(206)로부터 한 화면분의 비디오 데이타, 즉 프레임 비디오신호를 저장한 다음 저장된 프레임 비디오신호를 초당 30회 판독하여 스위치(208)에 공급한다.
디코더(206)는 텔레비젼튜너(202)로부터의 비디오신호의 VBI의 포함되어진 식별코드들 복호한다. 아울러, 디코더(206)는 텔레비젼튜너(202)로부터의 비디오신호, 즉 교통정보지도를 비디오버퍼(210)에 공급한다. 이 디코더(206)에 의해 복호된 식별코드들은 CPU(212)에 공급되어 CPU(212)에 의해 제어의 기초정보로서 사용된다.
스위치(208)는 CPU(212)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버퍼(210) 및 텔레비젼 튜너(202)를 텔레비젼모니터(214)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스위치(208)는 일반의 텔레비젼모드에서는 텔레비젼튜너(202)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텔레비젼모니터(214)에 공급되도록 하는 반면 교통정보모드에서는 비디오버퍼(210)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텔레비젼모니터(214)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텔레비젼모니터(214)는 스위치(208)를 경유한 텔레비젼튜너(202) 또는 비디오버퍼(210)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자신의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CPU(212)는 키패드(2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젼수신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CPU(212)는 텔레비젼튜너(202)를 제어하여 텔레비젼튜너(202)로 하여금 임의의 한 텔레비젼방송채널에 실려진 텔레비젼방송신호를 선택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신호 크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교통정보수신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CPU(212)는 탑메뉴화상에 관한 식별신호(10000)에 해당하는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비디오버퍼(210)에 기록되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비디오버퍼(210)에 기록되어진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스위치(208)를 경유하여 텔레비젼모니터(214)쪽으로 공급되도록 비디오버퍼(210)를 제어한다. 아울러, CPU(212)는 0 내지 9의 숫자키가 입력됨에 따라 하위 메뉴로 이동한다. 또한, CPU(212)는 각 단계의 프레임 비디오신호가 포획되기 전에 20000 이상의 식별번호를 가지는 안내화상이 비디오 버퍼(210) 및 스위치(208)를 경유하여 텔레비젼모니터(214)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방송시스템은 지역별 교통상황에 대한 교통정보를 지도 형태로 화상화하고 그 화상화된 정보에 지역별 식별코드를 부가하여 메뉴화상과 함께 텔레비젼방송신호의 형태로 운전자들에게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정보를 운전자가 조회 가능하게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교통방송시스템에서는 교통정보가 지도와 같이 도식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운전자가 교통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통방송서버는 지역별 교통정보를 프레임 단위의 텔레비젼반송신호로 형성하고 이들 프레임 단위의 텔레비젼방송신호의 VBI에 각각 식별코드를 부여함으로써 교통정보를 조회 가능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방송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텔레비젼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에 시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10)

  1. 지역별 교통상황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정보수집수단과, 상기 교통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의 지역별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와, 지역별 기본교통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와, 상기 교통정보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교통정보를 상기 교통지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기본교통지도와 결합시켜 프레임 단위로 된 비디오신호 형태의 교통정보 지도를 작성하는 다수의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과, 상기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 각각에 그 프레임을 지시하는 식별코드를 부가하는 코드부가수단과, 상기 코드부가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비디오 신호들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소정의 프레임씩 대기를 통해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상기 식별코드에 의해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진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신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교통정보 지도를 가지는 비디오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교통정보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상기 코드부가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프레임의 비디오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텔레비젼방송채널에 실어 텔레비젼방송신호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안내화상 및 교통상황에 대한 동화상의 비디오 신호를 부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교통상황에 관련된 음성신호를 음성주파수영역에 실어 추가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부가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소정의 프레임씩 반복적으로 재생하여 상기 정보전송수단에 공급하는 비디오기록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부가수단은 상기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 각각의 수직귀선기간에 각 교통정보지도별로 식별코드들을 부가하고 그 식별코드가 부가된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를 비디오 기록수단에 공급하는 수직귀선기간 부가기와, 상기 교통정보지도작성기들을 상기 수직귀선기간 부가기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비디오절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안내정보 및 교통상황에 대한 동화상 비디오신호를 발생하는 동화상 비디오신호원과, 상기 비디오기록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의 비디오신호들과 상기 동화상 비디오신호원으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전송수단에 공급하는 동화상절환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방송단말기는 프레임별 식별코드와 지역별 교통정보지도가 포함된 프레임 비디오신호들을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과, 상기 비디오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코드를 복호하는 복호수단과, 상기 신호수신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신호들중 한 프레임의 비디오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모니터에 공급하는 비디오퍼버와, 상기 복호수단으로부터의 식별코드들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정보지도가 상기 모니터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비디오버퍼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비디오버퍼로부터의 비디오신호와 상기 신호수단으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모니터에 공급하는 절환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방송시스템.
KR1019970024860A 1997-06-16 1997-06-16 교통방송시스템 KR10024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860A KR100248588B1 (ko) 1997-06-16 1997-06-16 교통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860A KR100248588B1 (ko) 1997-06-16 1997-06-16 교통방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02A KR19990001502A (ko) 1999-01-15
KR100248588B1 true KR100248588B1 (ko) 2000-03-15

Family

ID=1950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860A KR100248588B1 (ko) 1997-06-16 1997-06-16 교통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55B1 (ko) * 2004-09-10 2007-02-15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548B1 (ko) * 2009-11-19 2012-03-22 주식회사 에스비에스 비쥬얼 라디오의 화면 전송방법 및 방송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55B1 (ko) * 2004-09-10 2007-02-15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단말 및네비게이션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02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170B2 (en) Multi-source switching in a television system displaying source indicators
KR100519144B1 (ko) 한쪽방향으로방송되는방대한수의영상정보중,조작자가시청을희망한것을캐시를이용하여보다고속으로표시시킬수있는단말장치,당해단말장치에서이용되는재생방법,기록매체
CA2218543C (en) Merging multi-source information in a television system
KR10099976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JP2003518342A (ja) 電子番組ガイドの余分な一覧を削除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179888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配信サーバ及び表示端末、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100740441B1 (ko) 방송 프로그램 검색용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H0729815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48588B1 (ko) 교통방송시스템
JPH09116878A (ja) 文字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文字放送受信システム制御方法
US73914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aption information
JPH06188846A (ja) Fm多重放送受信機
RU2068625C1 (ru) Система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US5905481A (en) Radio paging receiver with dot matrix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79624B1 (ko) 영상 재생 시스템의 채널 선택 방법
KR100474373B1 (ko) 자동차용 실시간 문자 정보 및 동영상 제공장치
KR20020082454A (ko) 다중채널 방송 제어방식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JPH03136525A (ja) 放送番組の予約蓄積制御方法
KR101165632B1 (ko) 교통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04461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2247572A (ja) 衛星放送システムと衛星放送受信装置
KR20030046751A (ko) 텔레텍스트 수신용 텔레비전
US20040210934A1 (en) Video program guide system
JP4210195B2 (ja) Avシステム
JPH01140885A (ja) 画像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