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205B1 - 데이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205B1
KR100682205B1 KR1020057003914A KR20057003914A KR100682205B1 KR 100682205 B1 KR100682205 B1 KR 100682205B1 KR 1020057003914 A KR1020057003914 A KR 1020057003914A KR 20057003914 A KR20057003914 A KR 20057003914A KR 100682205 B1 KR100682205 B1 KR 10068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ime
data
remain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491A (ko
Inventor
히데키 후쿠다
고지로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04N9/7925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for more than one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해서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입 및/또는 판독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프로그램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장전된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프로그램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지 않는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적어도 프로그램 데이터의 부호화를 실행하는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의 처리를 거쳐서,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부와,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 및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 및,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산 처리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와, 계산된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DATA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등의 복수 종류의 입력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기록 처리 경로를 구비하고, 비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특정한 경로를 선택하여 기록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3339호 데이터 처리 장치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 장치는 디지털 스트림의 비디오 신호를 수취하여, 그 신호를 직접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녹화 모드1, 그 디지털 스트림을 디코드한 후에 기록하는 녹화 모드2, 및 디코드한 후에 인트라 모드 압축 부호화 처리하여 기록하는 녹화 모드3 중에서 적절한 모드(기록 처리 경로)를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비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는, 기록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계산은 일반적으로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을 기록 레이트로 제산하여 실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32893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 장치는, 기록 레이트가 변동하는 가변 비트 레이트에 의해서 압축 부호화가 실행되는 경우에, 현재의 압축 비트 레이트와 잔여 용량에 근거하여 잔여 시간을 구해서 표시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12897호 공보에서는, 비디오ㆍ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근거해서 데이터 용량 또는 데이터 레이트를 검출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디지털 방송 및 DVD로의 기록시에 실행되는 비디오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서는, MPEG 부호화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BS 디지털 방송에서는, 비디오 신호는 주지의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전송되고, 청자색 레이저를 이용하여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k)(BD)에 기록된다. 또한, 비디오 신호는 DVD에는 주지의 MPEG 프로그램 스트림으로서 기록된다. 이들 MPEG 스트림에서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정보를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각 부호화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단, 비디오, 오디오의 품질에 따라서 신호의 비트 레이트는 상이하다.
종래의 기록 장치에서는 입력 신호의 종류 및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기록 방법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기록 방법에 대해서도 기록 장치가 미리 결정된 고정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잔여 시간을 계산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잔여 시간을 구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트림을 직접 기록하는 모드(스트림 기록)에서는 데이터 레이트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데이터 레이트로는 정확하게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스트림 기록에서는 기록 장치가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후에 데이터 를 소거해 버리면, 소거한 시간에 상당하는 시간의 기록을 보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거 후의 잔여 시간을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하면, 정확한 잔여 시간을 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력 신호의 종류 및 기록 매체의 종류에 근거하여 기록 방법을 결정하고, 또한, 기록 방법에 따른 잔량 계산 방법을 결정하여 정확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입 및/또는 판독이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장전된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지 않는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부호화를 실행하는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의 처리를 거쳐서, 상기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부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 및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 및,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산 처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와, 계산된 상기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부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한쪽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하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해도 된다.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부호화 처리하는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하는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또한 기록 레이트 및 기록 처리를 실행한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완료 시간에 근거해서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미사용의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기준 기록 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기록 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완료 시간을 정규화한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 기록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감산하여 기준 잔여 시간을 구하고, 상기 기준 잔여 시간과 상기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부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해도 된다.
상기 신호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 및 방영 시간을 특정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산부는 추출된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 계산부는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1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데이터량을 계산하여,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각 데이터량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데이터량을 구하고, 또한, 가산된 상기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각 방영 시간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방영 시간을 구하며, 상기 누적 방영 시간으로부터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한 데이터량에 상당하는 방영 시간을 감산해서 잔여 시간으로서 구해도 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에 근거해서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선택된 기록 처리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표시해도 무방하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레이트, 해상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입 및/또는 판독을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장전된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지 않는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부호화를 실행하는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의 처리를 거쳐서, 상기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 및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 및,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산 처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한쪽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하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해도 된다.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부호화 처리하는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하는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또한 기록 레이트 및 기록 처리를 실행한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완료 시간에 근거해서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미사용의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기준 기록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완료 시간을 정규화한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 기록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감산해서 기준 잔여 시간을 구하여, 상기 기준 잔여 시간과 상기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해서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해도 된다.
상기 신호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 및 방영 시간을 특정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추출된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1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데이터량을 계산하여,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각 데이터량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데이터량을 구하고, 또한, 가산된 상기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각 방영 시간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방영 시간을 구하여, 상기 누적 방영 시간으로부터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한 데이터량에 상당하는 방영 시간을 감산해서 잔여 시간으로서 구해도 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에 근거해서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선택된 기록 처리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레이트, 해상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입 및/또는 판독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서 실행된 다.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서 컴퓨터가 실행하는 변환 방법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장전된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지 않는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부호화를 실행하는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의 처리를 거쳐서, 상기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 및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 및,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산 처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기능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의 기능 블록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의 기능 블록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d)는 표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기록 처리의 결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잔량 계산 처리(1b)의 계산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프로그램의 기록 시각과 기록되는 데이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잔량 계산 처리(1c)의 계산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상술한 기록 처리부(121)에 의한 기록 처리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상에 기록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처리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및 기록 처리 종별에 근거하는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및 입력 신호의 종별에 근거하는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a)는 녹화 모드 표시 기능을 갖는 표시부(114)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b)~(d)는 표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모드 결정 순서를 나타내 는 흐름도인 도면,
도 18은 제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에서의 기록 처리의 결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a)~(c)는 녹화 모드 표시 기능을 갖는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a)는 표시부(114)의 표시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b)~(g)는 표시부(114)가 취할 수 있는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오토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BX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X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S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L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오토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BX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X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S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L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2(a)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b)~(f)는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a)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b)~(f)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기능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다.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기록 용량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디지털 스트림 신호 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입 및/또는 판독할 수 있다.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4.7GB의 기록 용량을 갖고 22Mbps의 기록 레이트로 기록되는 DVD-RAM 미디어, 23GB의 기록 용량을 갖고 33Mbps의 기록 레이트로 기록되는 Blu-ray 디스크(BD) 등의 초고밀도 RAM 미디어, 수십~수백GB,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갖는 하드디스크 등이다. 또한, 초고밀도 RAM 미디어는 블루 레이저 등보다 단파장을 갖는 레이저이더라도 무방하고, 또한, 미디어상의 마크(mark), 피트(pit) 등에 의해서 데이터를 유지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기록 매체(112)의 종류나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기록 레이트, 부호화 방법 등이 상이한 복수의 기록 처리 중에서 하나의 기록 처리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기록 매체(112)에 기록 가능한 잔여 시간(이하, 단순히 「잔여 시간」이라고 함)을 복수의 잔량 계산 처리로부터 선택하여 구할 수 있다. 복수의 잔량 계산 처리를 요구하는 이유는 기록 처리에 따라서 기록 매체(112)의 잔여 시간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계산된 잔여 시간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거나, 또는 이후의 기록 동작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기록 매체(112)가 기재되어 있지만, 기록 매체(112)가 하드디스크이면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요소이며, 기록 매체(112)가 광디스크 등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이면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록 매체(112)는 DVD-RAM 미디어 또는 초고밀도 RAM 미디어라고 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주지의 광디스크 리코더로서 기능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에 입력되는 신호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101) 및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102)라고 한다.
디지털 스트림 신호(101)는, 예를 들면 BS 디지털 방송에 의해서 전송된다. BS 디지털 방송에서는, 비디오는 MPEG2 비디오 부호화 방식에 의해서 압축 부호화되고, 오디오 신호는 AAC 부호화 방식에 의해서 압축 부호화되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한편,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102)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에 의해서 전송되는 텔레비전 신호라고 한다. 또한, 현행 BS 디지털 방송의 하이비전 방송의 디지털 스트림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는 24Mbps이다. 따라서, 하이비전의 디지털 스트림 신호(예를 들면,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는 기록 레이트 22Mbps의 DVD-RAM 미디어에 직접 기록하는 것은 할 수 없지만, 초고밀도 RAM 미디어에는 직접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표준 해상도의 디지털 스트림 신호나 아날로그 신호는 DVD-RAM 미디어 및 초고밀도 RAM 미디어 중 어느 하나에도 직접 기록할 수 있다.
또한, MPEG 부호화 방식에서는 비디오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 데이터가 압축 부호화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소값의 프레임내 상관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프레임내 부호화 처리와, 화소값의 프레임간 상관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프레임간 부호화 처리가 적응적으로 전환된다. 이 부호화 처리는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가 하나의 단위로서 취급된다.
이하,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신호 선택기(103), 처리 선택기(104), 시스템 제어기(108), 채널 설정부(109), 기록 헤드(110), 미디어 판별부(111), 잔여 용량 검출부(113), 표시부(114), 잔량 계산부(115), 기록 데이터 검출부(119), 데이터 레이트 검출기(120), 기록 처리부(121), 테이블 메모리(122) 및 녹화 모드 설정부(123)를 갖는다. 이 중, 시스템 제어기(108)는 데이터 처리 장치(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CPU)이 다. 시스템 제어기(108)의 동작은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관련하여 적절하게 설명한다.
신호 선택기(103)는 시스템 제어기(108)에 의해서 제어되고, 선택된 채널 정보에 따라서 디지털 스트림 신호(101) 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102)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BS 방송파에 의해 전송된 채널의 경우는, 신호 선택기(103)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101)를 출력한다. 한편, 아날로그 지상 방송파의 채널의 경우는, 신호 선택기(103)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102)로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처리 선택기(104)는 시스템 제어기(108)에 의해서 제어되고, 기록 처리부(121)에서 실행해야 할 복수의 기록 처리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종류의 기록 처리가 존재한다고 하고 있다.
채널 설정부(109)는 사용자가 기록의 대상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전면 패널에 배치된 버튼, 리모콘, 또는 화면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이다. 선택된 채널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108)에 통지된다.
기록 헤드(110)는 본 실시예에서는 광픽업이다. 광픽업은 기록 미디어(112)의 종류에 따른 파장의 레이저를 기록 미디어(112)에 방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또한 기록 미디어(112)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미디어 판별부(111)는 데이터 처리 장치(10)에 장전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종 류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VD-RAM 미디어 및 초고밀도 RAM 미디어 중 어느 하나의 미디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판별한다.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의 내주부에 제조시에 기록 미디어의 종류를 특정하는 판별 정보를 기록해 두고, 미디어 판별부(111)가 기록 헤드(110)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판별 정보를 판독하면 된다. 또는, 레이저광을 조사했을 때에 기록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서 반사광의 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그 강도를 검출하여 미디어 판별부(111)에서 판별하면 된다. 또는, 기록 미디어가 카트리지에 저장된 상태로 장전될 때는, 기록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카트리지의 형상에 의해서 판별해도 된다. 어느 것이나, 장전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광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검출하면 된다.
잔여 용량 검출부(113)는 기록 미디어(112)의 기록 가능한 용량을 잔여 용량으로서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잔여 용량 검출부(113)는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된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 기록 완료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등에 근거하여 검출하면 된다.
표시부(114)는 잔량 계산부(115)에서 계산되고, 통지된 잔여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4)는 선택되어 실행되고 있는 기록 처리부(121)의 처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14)는, 예를 들면 전면 패널에 설치된 전광 표시관, 액정 패널, 또한 텔레비전 화면 등이다.
잔량 계산부(115)는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한다. 잔량 계산부(115)는 복수의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할 수 있어, 어떤 계산 처리에 근거하여 계산을 실행할지의 지시를 시스템 제어기(108)로부터 수취하 고, 그 지시에 근거하여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시스템 제어기(108)는 기록 처리부(121)에서 선택된 기록 처리에 대응하는 잔량 계산 처리를 지시한다. 잔량 계산 처리는 크게 나누면 기록 미디어(112)의 잔여 용량 및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잔량 계산 처리와,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잔량 계산 처리로 나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 처리부(121)는 3종류의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각각의 잔량 계산 순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기록 데이터 검출부(119)는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록 데이터의 정보(관리 정보)로서, 각 기록 데이터의 기록 시간 및 기록 레이트를 검출한다.
데이터 레이트 검출기(120)는 입력되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를 검출한다. 그 검출 방법으로서 소정 기간내에 전송되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의 데이터량을 계측하여 데이터 레이트를 검출하면 된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로서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의 EIT(이벤트 정보 테이블) 패킷의 섹션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의 데이터 레이트를 취득해도 된다.
기록 처리부(121)는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 및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를 포함한다. 기록 처리부(121)는 신호 선택기(103)에 의해서 선택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 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내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신호를,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 및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에서의 처리를 거쳐서 출력한다.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는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복호화 및 부호화를 하는 일 없이 직접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한다.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는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일단 복호화하고, 당초와는 상이한 부호화 레이트로 재차 부호화해서 부호화 스트림을 생성하여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한다.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의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부터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해서 부호화 스트림을 생성하여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한다. 이 부호화 스트림은 MPEG 프로그램 스트림(PS) 또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다. 이하에서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에서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PS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라고 부르고,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TS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라고 부른다. 또한, 도 1에서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로의 입력은 1경로이지만,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제각기의 경로로 입력되더라도 무방하다.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의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테이블 메모리(122)는 제어 테이블(419)과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을 저장한다. 제어 테이블(419)은 입력 신호, 미디어, 기록 처리, 잔량 계산의 대응 관계를 기술한 테이블(예를 들면, 도 4)이다.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은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 레이트,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 종료 시간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종료 시간 대신에 프로그램의 방 영 시간이 기술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들 정보는, 예를 들면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트랜스포트 스트림일 때에, 프로그램 정보로서 전송되는 EIT(이벤트 정보 테이블) 패킷의 섹션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9는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 레이트 및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이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의 예를 나타낸다.
녹화 모드 설정부(123)는 녹화 시간, 비디오 화질 등의 어느 하나를 중시해서 녹화할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녹화 모드 설정부(123)는 채널 설정부(109)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녹화 모드」란, 스트림 기록, 셀프 인코드 기록, 재인코드 기록 등의 기록 종별이나, 셀프 인코드 기록 또는 재인코드 기록에서의 녹화 시간의 종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록 시간의 종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저화질로 장시간의 녹화가 가능한 장시간 녹화 모드(부호화 레이트: 2.5Mbps), 고화질로 단시간의 녹화가 가능한 고화질 모드(부호화 레이트: 15Mbps), 그들 중간에 위치하는 표준 시간 녹화 모드(부호화 레이트: 5Mbps)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녹화 시간 모드를,
LP 모드(부호화 레이트: 2.5Mbps)
SP 모드(부호화 레이트: 5.0Mbps)
XP 모드(부호화 레이트: 10Mbps)
B-XP 모드(부호화 레이트: 15Mbps)
로서 표현한다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부호화 레이트 또는 부호화 파라미터는 녹화 시간 모드에 따라서 특정된다.
도 2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의 기능 블록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스트림(216)을 출력한다.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는 비디오 인코더(201), 오디오 인코더(202) 및 시스템 인코더(207)를 갖는다.
비디오 인코더(201)는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210)를 소정의 비디오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서 부호화하여 비디오 스트림(212)을 출력한다. 비디오 부호화 파라미터는 부호화 압축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비트 레이트, 또는 비디오 해상도 등이 있으며, 시스템 제어기(108)에 의해서 공급된다. 또한, 비디오 부호화 방식으로서는 MPEG2 비디오 부호화 방식 등이 이용되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인코더(202)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211)를 오디오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서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213)을 출력한다. 오디오 부호화 파라미터는 압축률을 나타내는 비트 레이트, 샘플링 주파수 등이 있으며, 시스템 제어기(108)에 의해서 공급된다. 또한, 오디오 부호화 방식으로서는 MPEG1 오디오 레이어2 방식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압축의 오디오 부호화, 예를 들면 CD 오디오에서 이용되고 있는 PCM 신호를 오디오 스트림(213)으로서 출력해도 무방하다.
시스템 인코더(207)는 비디오 스트림(212) 및 오디오 스트림(213)을 다중화하여 부호화 스트림(216)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인코더 (207)는 다중화하여 PS를 생성하는 PS 인코더(204)와, TS를 생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20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시스템 스트림 선택기(206)가 시스템 제어기(10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MPEG 프로그램 스트림(214) 또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215)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MPEG 프로그램 스트림으로서 다중화할지,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다중화할지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스템 스트림 선택기(206)를 마련하지 않고서, 시스템 제어기(108)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인코더(204 및 205)의 한쪽이 동작해도 무방하다. 또한, 인코더(204 및 205)로서 2종류의 하드웨어를 구비할 필요도 없다.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전환하여 인코더(204 및 205)에 대응하는 인코드 처리를 실행해도 무방하다.
도 3은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의 기능 블록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는 입력된 부호화 스트림(310)을 복호 처리하고, 그 후, 당초와는 상이한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재차 부호화 처리하여, 얻어진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한다.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디코더(301), 비디오 디코더(302), 해상도 판별기(303), 다운 컨버터(304), 비디오 인코더(305), 오디오 디코더(306), 오디오 인코더(307) 및 시스템 인코더(308)를 갖는다.
TS 디코더(301)는 입력되는 부호화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인 TS(310)를 해석하여 비디오 스트림(311)과 오디오 스트림(312)으로 분리한다.
비디오 디코더(302)는 비디오 스트림(311)을 복호 처리하여 복호 비디오 (313)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PEG2 비디오 규격에 따라서 복호한다.
해상도 판별기(303)는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해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평 샘플수×수직 샘플수×프레임 주파수라고 하면, 1920×1080×29.97, 1440×1080×29.97, 1280×720×59.94, 720×480×59.94, 720×480×29.97이라고 한 해상도를 검출한다. 해상도의 검출은 비디오 스트림의 관리 정보에 쓰여 있는 해상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MPEG 비디오의 경우는 시퀀스 헤더에 해상도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다운 컨버터(204)는 복호된 비디오(313)의 해상도를 소정의 해상도로 변환하여 다운 컨버트한 비디오(314)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1440×1080×29.97의 해상도를 720×480×29.97의 해상도로 변환한다. 이는, 로우패스 필터 처리와 샘플링 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한, 복호 비디오(313)의 해상도가 720×480×29.97인 경우는, 해상도의 변경은 실행하지 않고서 그대로 출력한다.
비디오 인코더(305)는 변환 후의 비디오 데이터(314)를 부호화 처리하여 비디오 스트림(315)을 출력한다. 부호화 처리에서의 부호화 파라미터는 시스템 제어기(108)에 의해서 공급된다. 부호화 파라미터로서는 부호화 압축률 등이 있으며, 입력된 당초의 TS에 포함되어 있었던 비디오 스트림(311)과 상이하다. 또한, 부호화 방법은 MPEG2 비디오 부호화 방식이더라도 무방하고, 그 밖의 방식이더라도 무방하다.
오디오 디코더(306)는 오디오 스트림(312)을 복호 처리하여 복호된 오디오 데이터(316)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디코더(306)는 AAC 규격에 따라 서 복호 처리한다.
오디오 인코더(307)는 시스템 제어기(108)에 의해서 공급되는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서 복호된 오디오 데이터(316)를 부호화 처리하여 오디오 스트림(317)을 출력한다. 또한, 부호화 방법은 MPEG1 오디오 레이어2 방식 등으로 부호화 처리하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인코더(308)는 비디오 스트림(315) 및 오디오 스트림(317)을 다중화해서 부호화 스트림(318)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시스템 인코더(308)는 도 2의 셀프 인코드 기록부에서 나타낸 시스템 인코더(207)와 마찬가지로, TS 및 PS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선택은 시스템 제어기(10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입력된 비디오, 오디오의 부호화 파라미터가 동일한 경우는, 비디오, 오디오의 재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MPEG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만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비디오 스트림(311) 및 오디오 스트림(312)을 시스템 인코더(308)에 입력하여, 시스템 인코드 처리하면 된다.
또한, 비디오만, 또는 오디오만 재부호화 처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재부호화 처리하는 신호만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고, 재부호화 처리하지 않는 스트림은 시스템 인코더(308)에 직접 입력하면 된다.
또한, 재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복호 처리하여 얻어진 복호 신호를 재차 부호화 처리한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호 처리의 일부만을 실행하고, 복호한 일부만을 재차 부호화 처리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는, 이산 코사인 변환(DCT) 부호화 처리를 이용하는 MPEG 부호화 방식에서는, 가변 길이 복호한 심볼을 역양자화하여 DCT 계수를 얻은 후, 역DCT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복호 비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부호화 처리는 DCT 변환 처리하여 얻어진 DCT 계수를 양자화 처리하고,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얻는다. 그러나, 비디오 디코더(302)는 DCT 계수로 되돌리는 부분까지 처리한다고 해도 된다. 이 경우, 비디오 인코더(305)는 복호된 DCT 계수를 부호화 파라미터에 따라서 양자화 처리하고,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315)을 얻는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비디오 디코더(302)의 역DCT 변환 처리, 및 비디오 인코더(305)의 DCT 변환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MPEG 부호화 방식과 같이,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는 입력되는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재부호화 처리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비디오 인코더(305)에서의 움직임 벡터 검출 처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 및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에서의 부호화 처리를 위한 구성 부품(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인코더(201), 오디오 인코더(202) 및 시스템 인코더(207)와, 비디오 인코더(305), 오디오 인코더(307), 시스템 인코더(308))은 공용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에서 PS를 기록하는 것을 PS 재인코드 기록 처리라고 부르고, TS를 기록하는 것을 TS 재인코드 기록 처리라고 칭한다.
다음에 기록 처리부(121)에서의 기록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록 처리 부(121)는 처리 선택기(104)의 선택 동작에 의해서 선택된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기록 처리의 선택은 입력 신호의 종별, 및,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 및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의 신호의 기록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관련되는 선택 처리 및 기록 처리의 관계는 테이블 메모리(122)의 제어 테이블(419)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다. 도 4는 제어 테이블(419)의 예를 나타낸다. 제어 테이블(419)에는 입력 신호, 미디어, 기록 처리, 잔량 계산의 대응 관계가 기술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기(108)는 제어 테이블(419)에 따라서 각 구성요소에 지시해도 되고, 이러한 테이블을 마련하는 일 없이 후술하는 처리를 실현하는 지시를 출력해도 된다.
[디지털 스트림 신호의 기록]
채널 설정부(109)를 거쳐서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설정되어 있을 때, 데이터 처리 장치(10)에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입력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10)에 기록 미디어(112)가 장전되고, 미디어 판별부(111)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가 DVD-RAM 미디어라고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기(108)는 처리 선택기(104)를 제어하여 신호가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로 전송되도록 그 경로를 설정한다.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는 BS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TS를 PS로 변환하여 DVD-RAM 미디어에 기록한다. 이 PS는, 예를 들면 DVD 비디오 리코딩 규격에 준거한 포맷으로 기록된다. 또한, 입력된 비디오 신호가 하이비전 신호인 경우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는 그 신호를 표준 텔레비전 해상도(720 ×480×29.97)로 다운 컨버트하여 기록한다.
다음에, 미디어 판별부(111)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가 초고밀도 RAM 미디어라고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기(108)는 처리 선택기(104)를 제어하여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로 전송되도록 신호의 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입력된 TS를 복호화도 부호화도 하는 일 없이, 직접 초고밀도 RAM 미디어에 기록한다. 재인코드 처리를 실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부호화 노이즈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에 충실한 데이터 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TS에 복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TS의 각 패킷에 첨부되어 있는 패킷 ID를 이용해서 추출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 처리는 복호화도 부호화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역시 스트림 기록 처리라고 말할 수 있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의 기록]
다음에, 채널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109)에 의해서 아날로그 지상파를 수신하는 채널이 선택되어 있을 때, 데이터 처리 장치(10)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10)에 기록 미디어(112)가 장전되면, 미디어 판별부(111)에 의해서 인식되는 기록 미디어의 종류에 관계하지 않고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처리 선택기(104)를 제어하여, 신호가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로 전송되도록 그 경로를 설정한다. 단, 시스템 제어기(108)는 기록 미디어(112)가 DVD-RAM 미디어인 때에는, 시스템 인코더(207)에 대하여 DVD 비디오 리코딩 규격에 준거한 포맷 의 PS를 출력시킨다. 한편, 기록 미디어(112)가 초고밀도 RAM 미디어인 때에는, 시스템 인코더(207)는 TS를 출력시킨다.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는, 데이터 처리 장치(1O)의 표시부(114)는 실행중인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문자 등을 점등시켜, 실행중인 기록 처리의 종별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도 5(a)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낸다. 표시부(114)는 3종류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Stream" 표시(401), "Self" 표시(402) 및 "DC" 표시(403)이다.
도 5(b)는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에 의해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설정되고, 초고밀도 미디어로의 신호 기록시에 "Stream" 표시(401)만이 점등한다. 도 5(c)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에 의해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의 채널이 설정되어 있을 때에 "Self" 표시(402)만이 점등한다. 기록 미디어의 종류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도 5(d)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에 의해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설정되고, DVD-RAM 미디어로의 신호 기록시에 "DC" 표시(403)가 점등한다. 도 5(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114)에 녹화 모드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선택되어 있는 기록 처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 신호 및 기록 매체가 결정되고 상술한 순서에 의해서 기록 처리가 결정되면, 다음에 잔량 계산부(115)는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 가능한 잔여 용량 또는 잔여 시간을 계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잔여 용량 또는 잔여 시간을 「잔량 」이라고 칭하고, 잔량을 구하는 계산을 「잔량 계산」이라고 칭한다.
도 6은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처리의 종별에 따라서 시스템 제어기(108)가 잔량 계산 처리(1), (2) 및 (3) 중 하나를 선택하고, 잔량 계산부(115)는 그 선택에 따라서 잔량을 계산한다.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단계 601에서 기록 처리의 종별이 결정된다. 기록 처리의 종별은 스트림 기록, PS 셀프 인코드 기록 및 PS 재인코드 기록의 각 처리이다. 이 처리가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단계 602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어떤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지를 판정한다. 스트림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단계 603으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1)가 실행된다. TS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단계 604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2)가 실행된다. PS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PS 재인코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단계 605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3)가 실행된다.
잔량 계산 처리(1) 및 (2)는 기록 미디어(112)의 잔여 용량에 근거하여 잔량의 계산 및 관리를 실현한다. 한편, 잔량 계산 처리(3)는 데이터의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잔량의 계산 및 관리를 실현한다. 이하에서는, 용량에 근거하는 잔량 관리를 「용량 베이스 잔량 관리」라고 칭하고, 시간에 근거하는 잔량 관리를 「시간 베이스 잔량 관리」라고 부른다. 각 처리(1)~(3)의 구체적인 처리는 후에 상술한다.
PS 셀프 인코드 기록 또는 PS 재인코드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에 시간 베이스 잔량 관리에 의한 잔량 계산 처리(3)를 선택하는 이유는, 모두 데이터 처리 장치 (10)측에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부호화 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고, 데이터 소거 후에 소거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의 기록 보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스트림 기록 및 TS 셀프 인코드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용량 베이스 잔량 관리를 실행한다. 모두 TS의 포맷에 의해서 기록하지만, 스트림 기록과 TS 셀프 인코드 기록이 혼재하기 때문에, 용량 베이스 잔량 관리를 실행하여 스트림 기록시에 있어서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한다.
이와 같이, 기록 처리에 따라서 잔량 계산 처리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각 기록 처리와의 관계에서 적절하고 또한 정확한 잔량 계산을 실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의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기 알기 쉬운 잔량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서 도 6의 단계 601에서 실행되는 기록 처리의 결정 순서를 설명한다. 도 7은 기록 처리의 결정 순서를 나타낸다. 먼저, 단계 701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채널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702에서, 신호 선택기(103)는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한다. 입력 신호가 디지털 스트림 신호인 경우에는 단계 703으로 진행하고, 입력 신호가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인 경우에는 단계 707로 진행한다.
단계 703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미디어 판별부(111)에 의해서 판별된, 장전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을 취득하고, 단계 704에서 그 종별을 판별한다. DVD-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706으로 진행하고, 초고밀도 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705로 진행한다. 단계 705에서는, 스트림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 후, 시스템 제어기(108)가 처리 선택기(104)에 지시를 보내어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를 선택시키면,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는 초고밀도 미디어에 스트림 기록된다. 한편, 단계 706에서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결정된다. 시스템 제어기(108)가 처리 선택기(104)에 지시를 보내어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를 선택시키면,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는 복호되고, PS로 재인코드되어 DVD-RAM 미디어에 기록된다.
단계 707 및 단계 708에서는, 상술한 단계 703 및 704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이 판별된다. DVD-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710으로 진행하고, 초고밀도 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709로 진행한다. 단계 709에서는, TS로의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결정된다. 그 후, 시스템 제어기(108)가 처리 선택기(1O4)에 지시를 보내어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를 선택시키면, 입력된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는 부호화 처리되어 TS로 변환되어 초고밀도 미디어에 기록된다. 단계 710에서는, PS로의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결정된다. 시스템 제어기(108)가 처리 선택기(104)에 지시를 보내어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를 선택시키면, 입력된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는 부호화 처리되어 PS로 변환되고, DVD-RAM 미디어에 기록된다.
상술한 처리에 의하면, 사용자는 채널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입력 신호의 종류 및 기록 미디어의 종류를 의식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기록 처리가 선택되어 최적의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도 6의 단계 603에서 실행되는 잔량 계산 처리(1)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량 계산 처리(1)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3종류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각각 잔량 계산 처리(1a), (1b) 및 (1c)로 표기한다.
잔량 계산 처리(1a):
잔량 계산 처리(1a)에서는, 데이터 레이트 검출기(120)에 의해서 디지털 스트림 신호(101)의 데이터 레이트 Rs가 검출되고, 잔량 계산부(115)는 검출한 데이터 레이트 Rs와 잔여 용량 CR로부터 다음식과 같이 잔여 시간 TR1을 계산한다.
TR1=CR/Rs
잔량 계산 처리(1b):
잔량 계산 처리(1b)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현재 전송중인 프로그램 정보와 아울러, 계속해서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여 잔량을 계산한다. 도 8은 잔량 계산 처리(1b)의 계산 순서를 나타낸다. 단계 801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용량 검출부(113)에 의해서 검출된 잔여 용량 CR를 취득한다. 단계 802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현재 시각 Tcur을 취득한다. 현재 시각 Tcur은 기록 장치에 구비된 시계로부터, 또는 TS내의 시간 정보 패킷(TOT)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단계 803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현재 수신중인 프로그램의 데이터 레이트 Rcur을 취득한다.
데이터 레이트 Rcur은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취득된다. 도 9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프로그램 a, 프로그램 b, 프로그램 c, 프로그램 d의 개시 시각과 데이터 레이트가 저장되고, 개시 시각은 각각 T(a), T(b), T(c), T(d)로 하며, 데이터 레이트는 R(a), R(b), R(c), R(d)로 하고 있다. 프로그램 a가 현재 수신중인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b~d는 계속해서 전송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데이터 레이트는 프로그램의 신호가 표준 해상도(SD) 신호인지, 고해상도(HD) 신호인지 등에 따라서 특정된다. 시스템 제어기(108)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a가 SD 신호로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면 R(a)을 12Mbps로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HD 신호로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면 R(a)을 24Mbps로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한다. 단계 804에서는, 다음식과 같이 데이터 레이트 Rcur과 잔여 용량 CR을 이용하여 기준 잔여 시간 TR을 계산한다.
TR=CR/Rcur
다음에, 잔여 용량이 영으로 되는 기준 최종 예정 시각 Tend를 구한다.
Tend=Tcur+TR
이 기준 잔여 시간 TR 및 기준 최종 예정 시각 Tend는 각각 데이터 레이트 Rcur로 계속해서 입력했다고 상정했을 때의 잔여 시간 및 잔량이 영으로 되는 예정 시각이다. 계속되는 단계 805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메모리(420)에 근거하여,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 Tnext 및 데이터 레이트 Rnext를 취득한다. 단계 806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최종 예정 시각 Tend와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 Tnext을 비교하여, 어느 것이 큰지를 판정한다. 이는, 다음 프로그램이 기록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이다. 최종 예정 시각 Tend까지에 다음 프로그램이 개시되는 경우(Tend≥Tnext의 경우)는, 다음 프로그램을 기록 가능하다고 판정하여 단계 80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409로 진행한다. 단계 807에서는, 잔여 시간이 보정된다. 먼저, 잔량 계산부(115)는 다음식에 의해서 다음 프로그램이 개시되는 시각 Tnext로부터 최종 예정 시각 Tend까지의 시간 dT를 구한다.
dT=Tend-Tnext
다음에, Rcur의 데이터 레이트로 계속해서 입력되었다고 상정하고, 실시식에 의해서 시간 dT 동안에 발생하면 상정한 데이터량 dC를 구한다.
dC=dT×Rcur
데이터량 dC는 다음 프로그램의 기록에 해당되는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잔량 계산부(115)는 다음식에 의해서 데이터량 dC에 대하여 데이터 레이트 Rnext인 다음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시간 dTR을 구한다.
dTR=dC/Rnext
다음에, 잔량 계산부(115)는 최종 예정 시각 Tend를 재차 산출한다. 시각 Tnext에서 다음 프로그램이 개시되고, 시간 dTR만큼 다음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 기 때문에, 최종 예정 시각 Tend는 다음식에 의해 구한다.
Tend=Tnext+dTR
단계 808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프로그램의 인덱스를 하나 진행시켜 단계 805로 되돌아간다. 즉, 또 하나 앞의 프로그램에 관해서 다시 단계 805 및 806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809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갱신된 시각 Tend를 이용하여 잔여 시간 TR을 구한다.
TR=Tend-Tcur
잔량 계산 처리(1)에서는 상술한 순서에 의해서 잔여 시간 TR을 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프로그램의 기록 시간과 기록되는 데이터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가로축을 시각, 세로축을 데이터량으로 하고, 원점이 현재 시각 Tcur 및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량 Ccur을 나타낸다. 또한, 기록 미디어의 총용량을 CT, 잔여 용량을 CR(=CT-Ccur)로 나타낸다. 또한, 프로그램의 흐름으로서, 현재, 프로그램 a가 방송중이며, 계속해서 프로그램 b, 프로그램 c, 프로그램 d가 방송된다고 하고 있다.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는 도 9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메모리(420)에 기술되어 있다.
먼저, 현재,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 a를 기록한 경우의 데이터량의 시간적 추이는 데이터 레이트 R(a)를 기울기로 한 직선으로 표시된다. 이 직선이 총용량 CT에 달하는 시각이 종료 시각 Tend(a)이다.
이 예에서는 Tend(a)로 되기 전의 시각인 T(b)부터 프로그램 b가 개시된다. 따라서, 데이터량의 추이는 시각 T(b)까지는 기울기 R(a)로 증가하지만, 시각 T(b)부터 기울기 R(b)로 증가해 간다. 여기서, C(a)는 프로그램 a를 기록한 경우에 상정되는 데이터량이며, 데이터량 dC(b)가 프로그램 b의 개시 시각 T(b)에 예정되는 잔여 용량이다.
프로그램 b에 대해서도 프로그램 a와 마찬가지로 종료 예정 시각을 구한다. 즉, 프로그램 b 개시 시각 T(b)부터 기울기 R(b)의 직선으로 데이터량이 추이된다고 하여, 총용량 CT에 달하는 종료 예정 시각 Tend(b)를 구한다.
도 8에서는, 종료 예정 시각 Tend(b)의 도래까지 프로그램 c가 개시된다. 이 때, 도 8의 단계 806에서는, 종료 예정 시각 Tend(b)≥Tnext로 된다. 프로그램 c에서는, 데이터량은 시각 T(c)부터 기울기 R(c)로 추이하고, 종료 예정 시각 Tend(c)로써 총용량 CT에 달한다. 이 종료 예정 시각 Tend(c)는 다음에 입력되는 프로그램 d의 개시 시각 T(d)보다 전에 있기 때문에, Tend(c)가 종료 예정 시각 Tend로 된다. 이 결과, 현재 시각 Tcur부터 Tend까지의 시간이 구해야 할 잔여 시간 TR로 된다.
이상과 같이 구한 잔여 시간 TR을 잔량 계산 처리(1b)에 의한 잔여 시간 TR1이라고 한다. 상술한 계산 처리에서는, 현재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데이터 레이트 및 프로그램 개시 시각)에 부가하여, 앞으로 입력될 예정의 프 로그램의 데이터 레이트 및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구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한 시간을 표시부(114)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로서 데이터 레이트를 취득한다고 했지만, 각 프로그램의 데이터량을 취득하여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이는,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은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과의 차로부터 구하고, 데이터량을 이 프로그램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데이터 레이트를 계산할 수 있다.
잔량 계산 처리(1c):
잔량 계산 처리(1c)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입력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량을 순차적으로 가산하여 총용량에 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면서 잔량을 계산한다. 도 11은 잔량 계산 처리(1c)의 계산 순서를 나타낸다. 단계 1101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시간 TR 및 누적 데이터량 C를 초기화한다(TR=0, C=0). 단계 1102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용량 검출부(113)에 의해서 검출된 잔여 용량 CR를 취득한다. 단계 1103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로부터 데이터 레이트 R을 취득한다. 단계 11O4에서는, 프로그램 시간 P를 취득한다. 프로그램 시간 P는 프로그램 개시 시각과 프로그램 종료 시각으로부터 계산하면 된다. 단, 프로그램 시간이 프로그램 정보로서 전송되었을 때는, 전송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서 검출할 수도 있다. 각 프로그램 시간은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420)에 저장해도 무방하다. 단계 1105에서는, 프로그램 시간 P와 데이터 레이트 R로부터 프로그램의 데이터량 Cp를 계산한다.
Cp=P×R
단계 1106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다음식에 의해서 누적 데이터량 C를 갱신한다.
C=C+Cp
단계 1107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다음식에 의해서 잔여 시간 TR을 갱신한다.
TR=TR+P
상술한 2개의 식은 우변의 계산 결과를 좌변의 변수의 값으로서 채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1108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용량 CR과 누적 데이터량 C를 비교하여, 어떤 것이 큰지를 판정한다. 이는, 다음 프로그램이 기록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이다. 잔량 계산부(115)는, 누적 데이터량 C가 잔여 용량 CR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하여 단계 11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1110으로 진행한다. 단계 1109에서는, 프로그램 인덱스를 하나 진행시켜 단계 1103으로 되돌아간다. 즉, 또 하나 앞의 프로그램에 관해서 다시 단계 1103부터 1108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1110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시간 TR을 보정하여, 잔여 시간 TR을 확정한다.
TR=TR-(C-CR)/R
위의 식의 우변에서는, 단계 507에서 갱신한 잔여 시간 TR에 대하여 잔여 용량 CR을 초과한 용량(=C-CR)에 상당하는 시간(=(C-CR)/R)을 감산하고 있다. 그 감산 결과는 보정 후의 새로운 TR의 값으로 된다.
상술한 계산 처리에 의하면, 잔량 계산 처리(1b)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잔여 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고, 또한, 계산한 시간을 표시부(114)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잔량 계산 처리(1c)에서도 프로그램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의 데이터량을 취득하여 잔여 시간을 계산해도 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서 잔량 계산 처리(1c)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프로그램 a의 프로그램 시간 P(a)는 현재 시각 Tcur부터 프로그램 a의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또한, 프로그램 a의 종료 시각은 프로그램 b의 개시 시각 T(b)와 동등하다.
P(a)=T(b)-Tcur
잔여 시간 TR을 프로그램 시간 P(a)라고 하면,
TR=P(a)
프로그램 a를 기록했을 때의 데이터량 C(a)는 데이터 레이트 R(a)을 이용하 여,
C(a)=P(a)×R(a)
로 표현된다. 프로그램 a의 기록 후에 상정되는 누적 데이터량 C는,
C=C(a)
이다. 도 10에서는 프로그램 a의 모든 기록 데이터량은 잔여 용량 CR에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C(a)<CR), 다음 프로그램 b를 기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로그램 b의 프로그램 시간 P(b) 및 데이터 레이트 R(b)를 이용하여 잔여 시간 TR을 갱신하고, 프로그램 b의 데이터량 C(b) 및 누적 데이터량 C를 구한다.
P(b)=프로그램 c의 개시 시각 T(c)-프로그램 b의 개시 시각 T(b)
TR=TR+P(b)=P(a)+P(b)
C(b)=P(b)×R(b)
C=C+C(b)=C(a)+C(b)
도 10에서는 누적 데이터량 C는 아직 잔여 용량 CR에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C(a)+C(b)<CR), 다음 프로그램 c를 기록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한다.
P(c)=프로그램 d의 개시 시각 T(d)-프로그램 c의 개시 시각 T(c)
R=TR+P(c)=P(a)+P(b)+P(c)
C(c)=P(c)×R(c)
C=C+C(c)=C(a)+C(b)+C(c)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c의 기록중에 누적 데이터량 C가 잔여 용량 CR를 초과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프로그램 c의 도중까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용량 CR을 초과하는 양에 대하여 잔여 시간 TR의 보정을 실행하여 잔여 시간을 확정한다.
TR=TR-(C-CR)/R(c)
=P(a)+P(b)+P(c)-(C-CR)/R(c)
상기 식을 변형하여,
TR=P(a)+P(b)+(CR-C(a)-C(b))/R(c)
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과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기(108)는 프로그램 개시 시각 및 프로그램 종료 시각의 양쪽을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취득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구한 잔여 시간 TR을 잔량 계산 방법(1)에 의한 잔여 시간 TR1으로 한다. 잔량 계산부(115)는 갱신된 시각 Tend를 이용하여 잔여 시간 TR1을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량 계산 방법(1)에 관해서 3개의 예(1a)~(1c)를 들어서 설명하였다.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잔량 계산부(115)는, 이 중, 예를 들면 잔량 계산 방법(1b)에 의해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다음에, 도 6의 단계 604에서 실행되는 잔량 계산 처리(2)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량 계산 처리(2)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2종류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각각 잔량 계산 처리(2a) 및 (2b)로 표기한다.
잔량 계산 처리(2a):
잔량 계산 처리(2a)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 및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의 부호화 처리에서 이용되는 부호화 레이트 Re 및 잔여 용량 CR을 이용하여, 다음식과 같이 잔여 시간 TR2를 계산한다.
TR2=CR/Re
부호화 레이트 Re는 녹화 시간 모드로부터 결정된다. 예를 들면, 장시간 녹 화 모드(LP 모드)에서는 부호화 레이트 Re는 2.5Mbps, 표준 시간 녹화 모드(SP 모드)는 5Mbps이다.
잔량 계산 처리(2b):
잔량 계산 처리(2b)에서는, 부호화 처리가 가변 비트 레이트(VBR) 부호화하는 경우에 이용 가능한 계산 처리이다.
일반적으로, VBR 부호화는 목표로 하는 평균 부호화 레이트를 중심으로 입력 신호의 복잡함 등을 고려하여 부호화 레이트를 상하시켜, 고화질화, 고음질화를 실현한다. 따라서, 실제의 부호화 레이트와, 목표로서 설정된 평균 부호화 레이트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VBR 여유량 M을 규정하고, 이 VBR 여유량 M의 범위에서 부호화 레이트를 변동시킨다. 즉, 평균 부호화 레이트 Rea와 실제로 발생한 데이터 레이트 Rg와의 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차 데이터량 D가 VBR 여유량 M을 초과하지 않도록 레이트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기록 시간 Tr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량 G는 다음식에 의해서 구하는 최대 데이터량 Gmax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Gmax=Rea×Tr+M
즉, 잔여 용량 CR에서 VBR 여유량 M을 감산한 용량을 평균 부호화 레이트 Rea로 제산하여 구한 잔여 시간 TRvbr의 기간은,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록이 보증된다.
TRvbr=(CR-M)/Rea
잔량 계산부(115)는 평균 부호화 레이트 Rea를 부호화 레이트 Re로 치환하여, 잔여 시간 TR2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TR2=(CR-M)/Re
또한, VBR 여유량 M에 따른 레이트 제어 방법으로서는, 부호화 처리에서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제어하면 된다. 양자화 파라미터를 크게 하면 데이터량은 억제되고, 작게 하면 데이터량은 증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면 된다.
Q=Qst×M/(M-F×D)
여기서, Qst는 소정의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이고, F는 1 이하의 정의 유의수로서, 피드백의 강도로 결정되는 소정값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량 계산 방법(2)에 관해서 2개의 예(2a) 및 (2b)를 들어서 설명하였다.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잔량 계산부(115)는, 이 중, 예를 들면 잔량 계산 방법(2b)에 의해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다음에, 도 6의 단계 605에서 실행되는 잔량 계산 처리(3)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량 계산 처리(3)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2종류의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각각 잔량 계산 처리(3a) 및 (3b)으로 표기한다.
잔량 계산 처리(3a):
잔량 계산 처리(3a)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각 기록 데이터의 기록 시간 Tr, 기록 레이트 Rr 및 부호화 레이트 Re에 근거하여 잔여 시간 TR3를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i번째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Tr(i), 기록 레이트를 Rr(i) 등으로 표현한다. 잔량 계산부(115)는 기준 기록 레이트로서 Rrs를 정의하고, 각 기록 시간을 정규화하여 기준 기록 시간 Trs(i)를 계산한다.
Trs(i)=Tr(i)×Rr(i)/Rrs
이 기준 기록 시간 Trs(i)의 총합을 Trs로 놓는다. 이렇게 정규화한 기록 시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록 레이트에는 관계되지 않는 기준으로 되는 기록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Trs=Sum[Trs(i)]
(Sum[]: 모든 기록 데이터에 관한 가산을 나타냄)
여기서, 기록 미디어의 총용량에 의해서 결정되는 기록 가능한 시간(기준 총기록 시간) Tas를 도입한다. 예를 들면, DVD와 같이 4.7GB의 용량에서는, 기준 기록 레이트 Rs를 5Mbps로 하여 기준 총기록 시간 Tas를 2시간으로 하면 된다. 기준 기록 시간은 미리 결정된 기록 레이트에 따라서 미사용의 기록 미디어(112)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시간을 나타낸다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준 총기록 시간 Tas를 이용하여, 잔량 계산부(115)는 기준 잔여 시간 TRs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TRs=Tas-Trs
다음에, 잔량 계산부(115)는 녹화 시간 모드에서 결정되는 부호화 레이트 Re에 의해서 다음식과 같이 잔여 시간 TR3를 계산한다.
TR3=TRs×Rrs/Re
예를 들면, 2개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고 하고, Tas=2시간, Tr(1)=1시간, Tr(2)=1시간, Rrs=5Mbps, Rr(1)=2.5Mbps, Rr(2)=5Mbps, Re=2.5Mbps라고 하면,
Trs(1)=1×2.5/5=0.5시간
Trs(2)=1×5/5=1시간
Trs=1.5시간
TRs=2-1.5=0.5시간
TR3=0.5×5/2.5=1시간
으로서 구할 수 있다.
또한, 각 기록 데이터의 기록 시간 Tr, 기록 레이트 Rr은 기록 데이터 검출부(119)에 의해서 검출된다. 또한, 부호화 레이트 Re는 녹화 시간 모드에 의해서 결정된다.
잔량 계산 처리(3b):
잔량 계산 처리(3b)에서는,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용량으로부터 구한 잔여 시간 TR3c와, 전술한 잔량 계산 방법(3a)과 동일한 순서로 구한 잔여 시간을 TR3t로서, 어느 하나의 작은 쪽을 잔여 시간 TR3으로 해도 된다.
TR3c=CR/Re
TR3t=TRs×Rrs/Re
TR3c<TR3t일 때 TR3=TR3c
TR3c≥TR3t일 때 TR3=TR3t
이다.
이는, 기록 미디어에 난 스크래치 등에 의해 결함이 발생하여 본래의 기록 미디어의 총용량분의 기록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래의 총용량을 기초로 규정한 총기록 시간 Tas분의 시간을 기록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잔량 계산부(115)는 잔여 용량으로부터 구한 잔여 시간 TR3c를 잔여 시간으로 한다.
또한, 잔량 계산 처리(2b)와 마찬가지로, VBR 부호화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잔여 시간 TR3c를 구해도 된다.
TR3c=(CR-M)/Re
그런데, VBR 부호화하면, 실제로 발생한 데이터 레이트가 목표로 하는 부호화 레이트보다도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하면, 기록 전에 계산한 잔여 시 간의 기록을 실행한 후에 용량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잔여 용량이 없어질 때까지 기록을 계속한 경우, 소거 시간의 기록 보증을 할 수 없게 된다. 소거 시간의 기록 보증이란, 소거한 기록 데이터의 시간과 동일한 시간분의 기록이 보증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녹화 시간 모드에서 잔여 시간이 1시간인 조건으로 기록했지만, 실제 발생 레이트가 낮기 때문에 잔여 용량이 없어질 때까지 기록을 계속하면 1시간 30분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후에 그 기록 데이터를 소거하여 동일한 녹화 시간 모드로 기록할 때는, 1시간분의 프로그램의 기록밖에 보증되지 않는다. 이는, VBR 부호화에 의해서 실제 발생 레이트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잔여 시간의 기록이 보증된다는 것은, 전술한 VBR 여유량 M을 갖고서 가변 비트 레이트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잔여 시간이 영이 되었을 때의 잔여 용량을 영에 가깝게 하도록 레이트 제어하여, 용량의 낭비를 극력 피하도록 하면 된다. 즉,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시스템 제어기(108) 등은 실제 발생 레이트와 목표로 하는 부호화 레이트와의 차를 이용하여 부호화 처리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피드백 제어하여 실제 발생 레이트를 제어하면 된다.
잔량 계산 방법(3a) 및 (3b)에 나타내는 총기록 시간을 규정한 시간 베이스 잔량 관리는 소거 시간의 기록 보증을 실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잔여 시간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BS 디지털 방송 등 디지털 스트림 신호의 전송은, 송출측이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한다. 따라서, 동일한 하이비전 텔레비전 신호이더라도 그 데이터 레이트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전송되는 스트림이 하이비전 텔레비전 신호인지 표 준 텔레비전 신호인지 인식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스트림의 데이터 레이트를 인식해서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즉, 사용자에게 있어서 의미가 있는 소거 시간의 기록 보증이란, 소거한 표준 텔레비전 신호의 시간분의 표준 텔레비전 신호의 기록을 보증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표준 텔레비전 신호라고 하더라도 실제의 데이터 레이트는 4~8Mbps 정도까지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 레이트는 송출측이 제어하고, 또한 데이터 레이트의 격차가 있는 상황에서 소거 시간의 기록 보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4Mbps의 텔레비전 신호도 8Mbps의 텔레비전 신호도 동일한 기록 시간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4Mbps의 텔레비전 신호를 기록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량은 8Mbps의 텔레비전 신호의 데이터량의 반분으로 되어 기록 용량의 낭비가 커진다. 이 때문에, 소거 시간의 기록 보증을 실현하는 것에 의해 반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불이익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스트림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는 용량 베이스 시간 관리를 실행하는 편이 좋다.
도 12는 상술한 기록 처리부(121)에 의한 기록 처리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상에 기록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기록 미디어(112)에는 관리 정보(1001), 클리프(#1)(1002), 클리프(#2)(1003) 등이 기록된다. 「클리프」는 녹화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각 클리프는 하나의 녹화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각 프로그램의 비디오 신호ㆍ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스트림이다. 따라서, 도 12의 기록 미디어(112)에는 적어도 2개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다.
관리 정보(1001)는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되어 있는 클리프를 재생 및 기록하기 위한 관리 정보이다. 관리 정보(1001)는 기본 관리 정보(1004), 및, 각각 클리프#1 및 2의 관리 정보인 관리 정보(1005 및 1006)로 이루어진다. 기본 관리 정보(1004)는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되어 있는 클리프 수 등 기본적인 정보가 기록된다. 클리프#1 정보(1005)는 클리프 기본 정보(1007), 기록 종별 식별 정보(1008), 부호화 모드 정보(1009)로 이루어진다. 클리프 기본 정보는 이 클리프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 기록 시간 등 기본 정보가 기록된다. 기록 종별 식별 정보(1008)는 이른바 녹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클리프가 스트림 기록 처리된 스트림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부호화 모드 정보(1009)는 부호화 처리하여 기록 처리된 스트림에서의, 그 부호화 처리의 부호화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이다. 부호화 파라미터는 부호화 처리에서의 비트 레이트, 비디오 해상도, 녹화 시간 모드를 식별하는 정보 등이다.
이와 같이, 기록 종별 식별 정보(1008)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의 데이터 스트림이 스트림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모드 정보(1009)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재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에서의 부호화 처리의 파라미터를 알 수 있어, 녹화 시간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08)가 선택한 기록 처리를 식별하는 신호를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해도 된다. 기록 위치는,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112)상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이에 의해, 기록 미디어(112)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 가 BS 디지털 방송으로 전송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직접 기록한 것인지, 또는 녹화 장치가 갖는 부호화 처리부에 의해서 부호화되어 얻어진 부호화 스트림인지를 더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은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처리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다. 데이터 처리 장치(20)는 기록 미디어(11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비디오 신호ㆍ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일반적으로, 기록 기능을 갖는 장치(예를 들면,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동시에 재생 기능도 갖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장치(20)는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재생 기능에 관한 구성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20)는 재생 헤드(1101), 재생부(1302), 기록 종별 식별부(1303), 부호화 모드 식별부(1304), 관리 정보 취득부(1305) 및 녹화 모드 표시부(1306)를 갖는다.
영상 음성 재생부(1302)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호 처리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기록 데이터가 TS인 경우는, 먼저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한 후, 비디오 스트림의 복호 처리, 및 오디오 스트림의 복호 처리를 실행한다. 복호 처리는 부호화 방법에 대응한 복호 처리를 실행하면 되고, MPEG2 비디오 규격 및, MPEG1 오디오 레이어2 규격에 따라서 복호 처리하면 된다.
관리 정보 취득부(1305)는 기록 미디어의 관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판독하여 취득하고, 관리 정보로부터 재생하고자 하는 기록 데이터(재생 데이터)의 기록 종별 식별 정보 및 부호화 모드 정보를 판독한다. 기록 종별 식별부(1303)는 판독된 기록 종별 식별 정보에 의해 재생 데이터가 스트림 기록 처리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또한, 부호화 모드 식별부(1304)는 판독된 부호화 모드 정보에 의해 녹화 시간 모드를 식별한다.
표시부(1306)는 기록 처리의 종류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306)는 재생 데이터가 스트림 기록된 데이터인지 여부, 및 녹화 시간 모드를 표시한다.
표시부(1306)의 예로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표시부(114)(도 5)와 동등한 표시관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20)가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재생 기능에 관한 부분으로서 포함되는 경우에는, 표시부(114)는 녹화시는 녹화 모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동작하고, 재생시는 재생 데이터의 녹화 모드를 표시한다. 또한, 뒤에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재생 데이터가 스트림 기록 처리된 데이터이면, 표시부(114)의 Stream(501)이 점등 표시되고, LP 모드에서 재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된 데이터이면, LP(502)가 점등 표시된다. 또는, 도 32,3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기록 모드의 표시가 점등한다. 도 16, 도 32, 33 등에서의 「LP」나 「SP」 등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결정된 녹화 모드를 나타낸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잔량 계산 처리(1)~(3)의 각각 대해서 복수의 계산 처리의 변화를 설명했지만, 생각할 수 있는 변화는 계산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래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동작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의 변화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내는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에서는 기록 처리 종별에만 근거하여 실행해야 할 잔량 계산 처리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및 기록 처리 종별에 근거하여, 또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및 입력 신호의 종별에 근거하여 실행해야 할 잔량 계산 처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4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및 기록 처리 종별에 근거하는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먼저, 단계 14O1에서, 미디어 판별부(111)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가 초고밀도 RAM 미디어인지 DVD-RAM 미디어인지가 판별된다. 시스템 제어기(108)는 기록 미디어(112)가 초고밀도 RAM 미디어인 때는 단계 1402로 진행한다. 한편, DVD-RAM 미디어인 때는 단계 1406으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3)가 실행된다. 단계 1402에서는 기록 처리의 종별이 결정된다. 기록 처리의 종별은 스트림 기록, TS 셀프 인코드 기록 및 TS 재인코드 기록의 각 처리이다. 단계 1403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어떤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지를 판정한다. 스트림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단계 1404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1)가 실행된다. TS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TS 재인코드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는 단계 1405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2)가 실행된다.
도 15는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및 입력 신호의 종별에 근거하는 잔량 계산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먼저, 단계 1501에서, 미디어 판별부(111)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가 초고밀도 RAM 미디어인지 DVD-RAM 미디어인지가 판별된다. 시 스템 제어기(108)는 기록 미디어(112)가 초고밀도 RAM 미디어인 때는 단계 1502로 진행한다. 한편, DVD-RAM 미디어인 때는 단계 1506으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3)가 실행된다. 단계 1502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채널 설정부(109)를 거쳐서 설정된 채널을 취득한다. 단계 1503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설정되어 있는 채널의 입력 종류를 판별한다. 디지털 스트림 신호의 경우는 단계 1504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1)가 실행된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의 경우는 단계 1505로 진행하여, 잔량 계산 처리(2)가 실행된다.
상술한 2개의 다른 예에서는, DVD-RAM 미디어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는, 시간 베이스 잔량 관리를 하면서 PS 셀프 인코드 기록 또는 PS 재인코드 기록을 실행한다. 초고밀도 RAM 미디어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는, 용량 베이스 잔량 관리를 하면서 TS 기록을 실행한다. 도 6에 관련되어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따라, 잔량 관리와 잔량 계산 처리를 대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 종별과 기록 처리 종별에 따라서, 또는 미디어 종별과 입력 신호의 종별에 따라서 잔량 계산 처리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각 기록 처리와의 관계에서 적절하고 또한 정확한 잔량 계산을 실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의해서 기록 미디어(112)의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알기 쉬운 잔량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초고밀도 RAM 미디어에 기록한다고 한 경우에,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복호하여 소정의 부호화 파라미터로 재차 부호화 처리해서 기록해도 된다. 이 경우는 TS 재인코드 기록 처리로 되어, 잔량 계 산 처리(2)를 선택하면 된다.
상술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에 관한 변화는 이하와 같다. 먼저,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녹화 시간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해도 된다. 녹화 시간 모드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에서의 부호화 파라미터에 반영된다.
녹화 시간 모드로서, 예를 들면, 표준 시간 녹화(SP) 모드, 장시간 녹화(LP) 모드를 설정하면 된다. LP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서 SP 모드보다도 낮은 비트 레이트로 부호화 처리한다. 그 때문에, 시스템 제어기(108)는 비디오 인코더(201 및 305)에 대해서 부호화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제어한다. 또한, 오디오 인코더(202 및 30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녹화 시간 모드에 따라서 부호화 파라미터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와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녹화 시간 모드(부호화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매우 세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와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 중 어느 한쪽의 녹화 시간 모드(부호화 파라미터)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 및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에서 이용된 부호화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기록 미디어(112)의 소정 영역에 기록해도 된다. 기록 위치는,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112)상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부호화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로서는, 부호화 압축률로서 표시되는 비트 레이 트이더라도 무방하고, LP, SP 등의 녹화 시간 모드를 식별하는 정보이더라도 무방하다. 시스템 제어기(108)가 기록 미디어로부터 판독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 처리에서의 부호화 파라미터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예에서는 녹화 시간 모드는 LP 모드 및 SP 모드의 2개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화질인 모드 또는 또한 장시간인 모드 등의 모드의 수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동작에 대응하여 현재의 처리 내용을 표시부(114)에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6(a)~(d)는 녹화 모드 표시 기능을 갖는 표시부(114)를 나타낸다. 표시부(114)는 3개의 녹화 모드 표시관을 구비하여, 각각 Stream(501), LP(502), SP(503)를 점등시켜 표시한다. 도 16(a)는 전체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b)는 "Stream"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스트림 기록 처리가 실행될 때, 즉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초고밀도 미디어에 기록될 때의 상태이다.
도 16(c)는 "L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될 때로서, 또한, 녹화 시간 모드가 LP 모드일 때의 상태이다. 즉,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의 채널 또는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DVD-RAM 미디어에 기록될 때의 상태이다.
도 16(d)는 "S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부(107)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부(106)가 기록 처리를 실행할 때로서, 녹화 시간 모드를 SP 모드로 하고 있을 때의 상태이다. 즉,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의 채널 또는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선택되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DVD-RAM 미디어에 기록될 때의 상태이다.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및 재인코드 기록 처리는 모두 데이터 처리 장치(10)내에서 실행되는 부호화 처리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입력 신호를 직접 기록하는 스트림 기록인지, 그렇지 않은지는 중요하다. 따라서, 표시부(114)에, 도 16(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림 기록인지 여부, 및 부호화 처리하는 경우의 녹화 시간 모드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스트림 기록인지 여부, 및 녹화 모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4)는 이상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기록 처리를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면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입력 신호, 장전된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등에 따라서 기록 처리를 결정하여 기록한다고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실시예 1의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설정한 녹화 모드에 따라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녹화 모드」는 기록 처리의 종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오토 모드 기록 처리 및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이다. 오토 모드 기록 처리는 실시예 1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처리와 동일하다.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녹화 시간, 비디오 화질 등 중 어느 하나를 중시하여 녹화 하고자 할 때에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실시예 1의 데이터 처리 장치(10)와 상이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모드 결정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2종류의 기록 처리(오토 모드 기록 처리 및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를 갖는다.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의 전환은, 예를 들면 녹화 모드 설정부(123)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실행된다. 즉, 녹화 모드 설정부(123)에서는 매뉴얼 모드의 설정, 및 녹화 시간, 비디오 화질 등 중 어느 하나를 중시하여 녹화할지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의 어느 한쪽의 모드이더라도,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와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입력으로서, DVD-RAM 미디어 및 초고밀도 RAM 미디어에 기록 처리할 때에 복수 종류의 기록 방법이 선택된다.
먼저, 단계 1701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선택되어 있는 녹화 모드를 취득한다. 단계 1702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녹화 모드를 판별한다. 즉, 녹화 모드 설정부(123)를 거쳐서 녹화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는 오토 모드라고 하여 단계 1704로 진행하고, 설정되어 있을 때는 매뉴얼 모드라고 하여 단계 1703으로 진행한다. 단계 1703에서는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1704에서는 오토 모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기록 처리부(121)는 오토 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각 모드에 대하여 디지털 스트림 신호 및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의 신호의 기록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관련되는 선택 처리 및 기록 처리의 관계는 테이블 메모리(122)의 제어 테이블(419)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다.
도 18은 제어 테이블(419)의 예를 나타낸다. 제어 테이블(41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오토 모드 기록 처리 및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에서는 모두 입력 신호 및 미디어 종별에 따라서 기록 처리의 종별이 결정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08)는 제어 테이블(419)에 따라서 각 구성요소에 지시해도 되고, 이러한 테이블을 마련하는 일 없이 후술의 처리를 실현하는 지시를 출력해도 된다. 도 18에서의 오토 모드는 도 4에 나타내는 내용과 동일하고, 그 구체적인 처리 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따라서, 오토 모드의 설명은 생략한다.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이더라도, 결정된 기록 처리에 대응하는 잔량 계산 처리(1)~(3)은 일의로 결정되어, 잔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이어도, 스트림 기록 처리에는 잔량 계산 처리(1)가 대응하고, TS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에는 잔량 계산 처리(2)가 대응하며, PS 재인코드 기록 처리 및 PS 셀프 인코드 처리에는 잔량 계산 처리(3)가 대응하여 실행된다. 잔량 계산 처리(1)~(3)의 상세한 것은 실시예 1에 관련되어 설명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매뉴얼 모드 기록 처리에서의 기록 처리의 결정 수순을 나타낸다. 단계 1901에서, 시스템 제어기(108)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채널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1902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한다. 입력 신호가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인 경우는 단계 1907로 진행하고, 디지털 스트림 신호인 경우는 단계 1903으로 진행한다. 단계 1903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현재 기록 처리하려고 하고 있는 기록 미디어의 종류를 취득한다. 다음 단계 1904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기록 미디어의 종류를 판별한다. DVD-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1906으로 진행하고, 초고밀도 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1905로 진행한다. 단계 1905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TS로 재인코드하여 초고밀도 미디어에 기록한다. 한편, 단계 1906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PS로 재인코드하여 DVD-RAM 미디어에 기록한다.
단계 1907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현재 기록 처리하려고 하고 있는 기록 미디어의 종류를 취득한다. 단계 1908에서는, 기록 미디어의 종류를 판별한다. DVD-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1910으로 진행하고, 초고밀도 RAM 미디어의 경우는 단계 1909로 진행한다. 단계 1909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TS로 셀프 인코드하여 초고밀도 미디어에 기록한다. 한편, 단계 1910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8)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PS로 셀프 인코드하여 DVD-RAM 미디어에 기록한다.
또한, 재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에서의 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부호화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장시간 녹화 모드 또는 표준 시간녹화 모드 등, 녹화 시간에 관한 복수의 모드를 갖게 하더라도 무방하다.
오토 모드는 사용자가 녹화하는 채널만을 선택함으로써, 입력 신호, 기록 미 디어에 적합한 기록 처리가 이루어진다. 오토 모드는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직접 기록하는 스트림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입력되는 스트림의 데이터량은 송출측이 제어한다. 따라서, 빈 용량이 적은 기록 미디어에 기록하는 경우는, 녹화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을 전부 녹화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매뉴얼 모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녹화 시간 모드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매뉴얼 모드는 항상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기록하는 부호화 스트림의 데이터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빈 용량이 적은 경우는 장시간 녹화 모드로 녹화하는 것에 의해, 녹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한, 빈 용량에 따른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 모드와 매뉴얼 모드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유연하게 적합한, 편리성이 우수한 녹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처리시에 있어서,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또한, 어떠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20(a)~(c)는 녹화 모드 표시 기능을 갖는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표시부(114)는 2개의 녹화 모드 표시관을 구비하여, 각각 "Auto" 및 "Stream"을 점등 표시한다.
도 20(a)는 "Auto" 및 "Stream"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오토 모드가 선택되어 있고, 또한, 스트림 기록 처리가 실행될 때의 상태이다. 즉,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입력되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초고밀도 미디어에 기록될 때의 상태이다. 도 20(b)는 "Auto"만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오토 모드가 선택되 어 있고, 또한, 재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될 때의 상태이다. 즉,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입력되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DVD-RAM 미디어에 기록될 때, 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될 때의 상태이다. 도 20(c)는 표시부(114)의 표시관이 점등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매뉴얼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상태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선택하고 있는 녹화 모드 및 기록 처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부(114)에 표시되는 내용에 관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0)에 설정된 오토 모드/매뉴얼 모드의 설정, 기록 레이트, 기록 미디어(112)의 종류 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언급하는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오토 모드」에서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초고밀도 미디어(BD)에 기록될 때의 스트림 기록과,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될 때, 또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DVD-RAM 미디어에 기록될 때에 SP 모드로 실행되는 셀프 인코드 기록/재인코드 기록으로 나누어진다. 스트림 기록과, 셀프 인코드 기록/재인코드 기록은 데이터 처리 장치(10)의 처리에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셀프 인코드 기록/재인코드 기록시에는 녹화 시간 모드는 SP 모드로 고정된다.
한편, 「매뉴얼 모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4개의 녹화 시간 모드, 즉, LP 모드, SP 모드, XP 모드, B-XP 모드가 설정된다. 또한, DVD-RAM 미디어가 장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B-XP 모드가 설정되면, 녹화는 XP 모드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21(a)는 표시부(114)의 표시관의 예를 나타낸다. 표시부(114)는 크게 "Auto", "B-XP", "SP" 및 "LP"의 4개의 표시관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도 21(b)~(g)는 취할 수 있는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b)는 오토 모드 설정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c)는 오토 모드가 설정되고,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중인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d)는 BXP 모드 설정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e)는 XP 모드 설정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f)는 SP 모드 설정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g)는 LP 모드 설정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표시 상태에 실행되는 처리의 관계를 제어 테이블(419)에 따라서 설명한다. 각 제어 테이블(419)은 장전된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신호(입력 소스)의 종별 및 채용되는 잔량 계산의 종별 및 잔량 계산에 이용하는 기록 레이트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오토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419)을 나타낸다. 이 모드에 근거하는 녹화 처리시에는, 표시부(114)는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또한,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HD 신호이면 HD 방송이라고 하여, 기록 레이트를 24Mbps로서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SD 신호이면 SD 방송이라고 하여, 기록 레이트를 12Mbps로서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된 디지털 스트림 신호가 HD 신호인지 SD 신호인지를 검출할 수 없을 때는, 기록 레이트를 24Mbps로서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기록 미디어가 DVD이며 입력 소스가 아날로그 신호일 때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 표시부(114)는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23은 BX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419)을 나타낸다. 이 모드에 근거하는 녹화 처리시에는, 표시부(114)는 도 2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기록 미디어(112)가 BD인 경우는, 프로그램은 기록 레이트 15Mbps의 "BXP" 모드로 녹화된다.
단, 기록 미디어(112)가 DVD인 경우는, 프로그램은 10Mbps의 XP 모드로 녹화된다. 그 이유는, DVD 규격에서는 최대 기록 레이트가 10Mbps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DVD가 장전되어 있을 때는, 표시부(114)에는 「XP」로 표시된다(도 21(e)).
도 24는 X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419)을 나타낸다. 이 모드에 근거하는 녹화 처리시에는, 표시부(114)는 도 2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25는 S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419)을 나타낸다. 이 모드에 근거하는 녹화 처리시에는, 표시부(114)는 도 2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26은 LP 모드 설정시의 제어 테이블(419)을 나타낸다. 이 모드에 근거하는 녹화 처리시에는, 표시부(114)는 도 2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각 모드와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과의 관계를 도 27~도 31에 나타낸다. 도 27은 오토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낸다. 도 28은 BX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낸다. 도 29는 X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낸다. 도 30은 S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 (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낸다. 도 31은 LP 모드 설정시의 기록 미디어(112)의 종별, 입력 소스의 종별 등에 따른 표시부(114)의 표시 패턴을 나타낸다. 또한, 도 27~도 31에서의 「재생시」의 표시 패턴은 해당하는 조건으로 녹화된 데이터를 재생했을 때의 표시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114)의 표시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도 32(a)~(f)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2 및 도 33에 관련되어 언급하는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오토 모드」에서는, 앞서의 「오토 모드」의 정의와 대략 동일하지만, 이하의 점이 상이하다. 즉, 셀프 인코드 기록/재인코드 기록시에서의 녹화 시간 모드는 SP 모드 또는 LP 모드이며, 어느 하나인가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다. 한편, 「매뉴얼 모드」에서는, 녹화 시간 모드는 SP 모드 또는 LP 모드이며, 어느 하나인가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다. 또한, 사용자는 「오토 모드」 및 「매뉴얼 모드」의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SP 모드 또는 LP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2(a)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낸다. 표시부(114)는 "Auto", "LP" 및 "SP"만을 표시한다.
도 32(b)는 "Auto"만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스트림 기록 처리부(105)에 의해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의 예에서는, BS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설정되고 초고밀도 미디어로의 신호 기록시에 "Auto"만이 점 등한다.
도 32(c)는 "Auto" 및 "L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L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d)는 "Auto" 및 "S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오토 모드가 선택되고 S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e)는 "L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매뉴얼 모드가 선택되고 L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f)는 "S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매뉴얼 모드가 선택되고 S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선택하고 있는 녹화 모드, 및 기록 처리, 또한 녹화 시간 모드를 사용자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의 관점에서, 도 32에 나타내는 표시 패턴의 변형예로서 또한 스트림 기록 처리를 표시해도 된다. 도 33(a)는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예를 나타낸다. 도 32(a)와 비교하면, 도 33(a)의 표시부(114)는 "Stream"의 표시를 갖는 점이 상이하다.
도 33(b)는 "Auto" 및 "Stream"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오토 모드가 선택되고 스트림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c)는 "Auto" 및 "L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오토 모드가 선택되고 L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d)는 "Auto" 및 "S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오토 모드가 선택되고 S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e)는 "L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매뉴얼 모드가 선택되고 L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f)는 "SP"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매뉴얼 모드가 선택되고 SP 모드로써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선택하고 있는 녹화 모드, 및 기록 처리, 또한 녹화 시간 모드를 사용자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녹화 모드 설정부(123)에서 매뉴얼/오토의 설정, 및 녹화 모드의 선택을 실행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공통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녹화 모드 버튼을 구비하여 녹화 모드 버튼을 누를 때마다, 오토→LP→SP→오토로 순환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 오토를 선택한 경우는 오토 모드가 설정된다. 또한, LP 또는 SP를 선택한 경우는 매뉴얼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되어, 녹화 시간 모드로서 LP 또는 SP 모드가 선택된다.
또한, 오토 녹화 시간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601)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오토 모드에서의 재인코드 기록 처리, 또는 셀프 인코드 기록 처리에서의 녹화 시간 모드는 미리 기기에 고정되어 있다고 한다. 이에 의해, 오토 모드는 보다 간단한 녹화 모드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각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들에 한정되는 일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와 상이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10)로의 입력 신호는 디지털 스트림 신호는 Cs 디지털 방송이더라도 무방하고, iLink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전송되는 신호이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입력 신호가 디지털 캠코더의 신호이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민생용 디지털 캠코더인 DV 데이터를 디지털 스트림 신호로서 취급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DV 단자로부터 입력되지만 DV 단자를 하나의 채널로서 할당시키더라도 무방하여, DV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는 스트림 기록 처리, 재인코드 기록 처리를 기록 미디어에 따라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DVD-RAM 미디어의 경우는 재인코드 기록 처리하고, 초고밀도 RAM 미디어의 경우는 스트림 기록 처리한다.
입력 신호를 비압축의 디지털 신호 및 압축 디지털 신호의 2종류로 해도 무방하다. 비압축의 디지털 신호의 경우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아날로그 신호와 마찬가지로 기록 처리를 선택하면 된다. 아날로그 신호의 경우는, 부호화 처리에서 디지털 변환 처리하고, 비압축의 디지털 신호로서 취급하기 때문이다. 또한, 신호 의 종별은 3 이상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기록 미디어의 종별도 또한 일례에 불과하며, DVD-R, DVD-RW, DVD+R, DVD+RW, CD-R, CD-RW 등 그 밖의 광디스크 미디어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자기 기록 미디어 등이더라도 상관없으며, 그 종별도 2개 이상 존재하고 있으면 임의이다.
또한, 기록 처리에서 실행되는 부호화 방법의 종별도 일례에 불과하며, MPEG4 등의 다른 부호화 방법에 따라서도 무방하고, 그 종별에 대해서도 2종류 이상이면 수는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기능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기(108)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해도 무방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도 6~8, 11 및 1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광디스크에 대표되는 광기록 매체, SD 메모리 카드, EEPROM에 대표되는 반도체 기록 매체, 플렉서블 디스크에 대표되는 자기 기록 매체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0)는 기록 매체를 거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거쳐서도 컴퓨터 프로그램을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종류 및 기록 매체의 종류에 근거하여 기록 방법을 결정하고, 또한, 기록 방법에 따른 잔량 계산 방법을 결정하여, 잔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이 제공된다. 잔량 계산 방법은 기록 방법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보다 적절하고 또한 정확하게 잔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관 등을 거쳐서 계산된 잔여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매우 향상된다.

Claims (20)

  1.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입 및/또는 판독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장전된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지 않는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부호화를 실행하는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의 처리를 거쳐서, 상기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부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 및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 및,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산 처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와,
    계산된 상기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부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한쪽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하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부호화 처리하는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하는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또한 기록 처리를 실행한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완료 시간 및 기록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미사용의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기준 기록 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기록 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완료 시간을 정규화한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 기록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감산해서 기준 잔여 시간을 구하여, 상기 기준 잔여 시간과 상기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부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 및 방영 시간을 특정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계산부는 추출된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1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데이터량을 계산하고,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각 데이터량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데이터량을 구하고, 또한, 가산된 상기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각 방영 시간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방영 시간을 구하고,
    상기 누적 방영 시간으로부터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한 데이터량에 상당하는 방영 시간을 감산하여 잔여 시간으로서 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부는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선택된 기록 처리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레이트, 해상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입 및/또는 판독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장전된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실행하지 않는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적어도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부호화를 실행하는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의 처리를 거쳐서, 상기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 및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록 처리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 및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 및,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산 처리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한쪽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하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부호화 처리하는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하는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또한 기록 레이트 및 기록 처리를 실행한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완료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미사용의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기준 기록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완료 시간을 정규화한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준 기록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 기록 완료 시간을 감산해서 기준 잔여 시간을 구하여, 상기 기준 잔여 시간과 상기 부호화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스트림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제 1 잔량 계산 처리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 및 방영 시간을 특정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추출된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방영 시간에 근거하여 1 이상의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데이터량을 계산하고,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할 때까지 상기 각 데이터량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데이터량을 구하고, 또한, 가산된 상기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각 방영 시간을 순차적으로 가산한 누적 방영 시간을 구하고,
    상기 누적 방영 시간으로부터 상기 잔여 용량을 초과한 데이터량에 상당하는 방영 시간을 감산하여 잔여 시간으로서 구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 용량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 용량 이상의 기록 용량을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를 선택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에 근거해서 상기 제 2 잔량 계산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잔여 시간을 계산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선택된 기록 처리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처리부에 의해서 상기 인코드 기록 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레이트, 해상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57003914A 2003-02-13 2004-02-12 데이터 처리 장치 KR100682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4842 2003-02-13
JPJP-P-2003-00034843 2003-02-13
JP2003034843 2003-02-13
JPJP-P-2003-00034842 2003-02-13
JP2003034841 2003-02-13
JPJP-P-2003-00034841 2003-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491A KR20050042491A (ko) 2005-05-09
KR100682205B1 true KR100682205B1 (ko) 2007-02-12

Family

ID=3287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914A KR100682205B1 (ko) 2003-02-13 2004-02-12 데이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608166B1 (ko)
JP (1) JP4439469B2 (ko)
KR (1) KR100682205B1 (ko)
WO (1) WO2004073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1864A1 (en) * 2005-01-12 2006-07-19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recording an a/v signal
JP2006338205A (ja) 2005-05-31 2006-12-14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7193888A (ja) 2006-01-19 2007-08-02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5156757B2 (ja) * 2006-12-13 2013-03-06 ジーブイビービ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エイ.アール.エル. オーディオ・データおよびビデオ・データを取得および編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243246A (ja) * 2007-03-26 2008-10-09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20100250665A1 (en) * 2008-10-03 2010-09-30 Ryuichi Okamoto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additional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content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1930770B (zh) * 2010-08-19 2011-10-19 福建星网锐捷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快速搜索切片引擎及其搜索方法
KR20140111789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 타임 쉬프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tv 타임 쉬프트 장치
JP6412794B2 (ja) * 2014-12-24 2018-10-24 東芝映像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録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3941A1 (en) 2000-06-26 2002-01-10 Eiichi Hatae Remaining recordable time calculation apparatus that converts amount of free area of recording medium into time
JP4495906B2 (ja) * 2000-09-29 2010-07-07 株式会社東芝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2152657A (ja) * 2000-11-08 2002-05-24 Toshiba Corp 録画レート自動設定録画装置及び録画レート自動設定録画方法
JP2002222586A (ja) 2001-01-26 2002-08-09 Sony Corp 記録装置
JP2002313067A (ja) 2001-04-13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楽記録装置
JP2002374498A (ja) 2001-06-15 2002-12-26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画像記録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記録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324684A (ja) * 2002-05-08 2003-11-14 Toshiba Corp 映像記録装置及び映像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73305A1 (ja) 2006-06-01
EP1608166A1 (en) 2005-12-21
EP1608166B1 (en) 2012-08-22
KR20050042491A (ko) 2005-05-09
EP1608166A4 (en) 2009-12-02
WO2004073305A1 (ja) 2004-08-26
JP4439469B2 (ja)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3574B2 (ja) 番組符号化装置及び記録装置
US824410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US66400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moving picture and recording medium
JPWO2006013781A1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7792417B2 (en) Data processor
JP2000209553A (ja) 情報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682205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US74607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moving picture and recording medium
KR100630602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20071466A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US20060198607A1 (en) Method of reserving space on a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audio and video content and recording device thereof
WO1999031886A1 (en) Image encoding method and device
US20070030766A1 (en) Multiple-drive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7865067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00000611A (ko) 기록매체의 잔량 검출 및 검출잔량에 따른 신호의 압축 기록방법과 그 장치
KR100920697B1 (ko) 트랜지션 포인트 검출용 장치와 방법, 레코딩 장치 및레코드 재생 장치
KR100726557B1 (ko) 디지털 기록 시스템의 mpeg7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US20050024758A1 (en) Recording rate setting apparatus, data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rate setting method, recording rate setting program and data recording medium
JP2007028029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2007213634A (ja) デジタル情報記録器
KR20060095207A (ko) DivX 비디오 파일의 재인코딩 방법
JP2006268992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7080362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