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155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155B1
KR100682155B1 KR1020050029928A KR20050029928A KR100682155B1 KR 100682155 B1 KR100682155 B1 KR 100682155B1 KR 1020050029928 A KR1020050029928 A KR 1020050029928A KR 20050029928 A KR20050029928 A KR 20050029928A KR 100682155 B1 KR100682155 B1 KR 10068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main body
dish wash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169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타미
기요야스 신카이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8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winging wing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개구부가 설치된 본체와, 본체내에 설치된 세정조와, 도어와, 슬라이드 지지부와, 동작 규제부를 갖는다. 도어는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라이드 홈을 갖고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다. 슬라이드 지지부는 그 일단부가 세정조의 외벽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도어를 슬라이드 홈에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도어를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동작 규제부의 일단부는 세정조의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도어에 고정되어 있다. 동작 규제부는 도어를 소정 궤적으로 개폐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상측 도어 개방 완료시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식기 세척기 본체 8 : 세정조
9 : 개구부 10 : 상측 도어
11 : 하측 도어 14 : 홈
15 : 슬라이드 결합부 17 : 제 1 연결점
18 : 제 1 동작 규제부 19 : 제 2 동작 규제부
본 발명은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 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식기 세척기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조(1)에 수납하고, 세정조(1)에 설치된 전면 개구부(이하, 개구부)(2)가 상측 도어(이하, 문)(3), 하측 도어(이하, 문)(4)로 폐쇄되고 나서, 세정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운전된다. 그리고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의 세정 공정 및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개구부(2)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어가 문(3, 4) 2개로 분할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도어가 이동하는 공간)이 작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설치성이 향상되고, 좁은 장소에도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다.
문(4)은 지점(5)을 중심으로 개구부(2)의 전하방으로 회동한다. 한편, 문(3)은 지점(6)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서,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개방 완료된다. 그 때문에, 문(3)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작게 억제되어, 높이가 작은 장소에서도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 있어서의 문(3)의 개구부(2)로부터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작아져서, 피세정물의 출납 등에 지장이 없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7266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문(3)의 개폐 구성에서는, 본체나 도어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경우, 문(3)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와, 개방 완료 상태에서의 문(3)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는 상반 관계에 있다. 그 때문에, 개폐시의 높이를 낮게 하면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고, 반대로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하면 개폐시의 높이가 높아진다. 특히, 문(3)이 길어진 경우에는, 문(3)의 개폐시의 높이가 변하지 않아도 문(3)이 사용에 지장이 생길 만큼 전방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개구부가 설치된 본체와, 본체내에 설치된 세정조와, 도어와, 슬라이드 지지부와, 동작 규제부를 갖는다. 도어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을 갖고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다. 슬라이드 지지부는 그 일단부가 세정조의 외벽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도어를 슬라이드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도어를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동작 규제부의 일단부는 세정조의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도어에 고정되어 있다. 동작 규제부는 도어를 소정 궤적으로 개폐 이동시킨다. 이 구성에 있어서 도어는 단순한 회전 동작으로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지지부와 동작 규제부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이 조합된 동작으로 개폐한다. 그 때문에, 도어의 크기가 종래와 대략 동일한 경우, 개방 완료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그 도어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줄어든다. 또한, 도어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그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낮아진다. 이와 같이, 본체의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부가 세정조 외벽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본체 상방으로 이동할 때의 본체 상면과의 위치 관계가 정밀도 양호하게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동일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동일 식기 세척기 상측 도어 개방 완료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식기 세척기 본체(이하, 본체)(7)의 내부에는 세정조(8)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7)의 전면에는 세정조(8)의 개구부(9)가 설치되고, 도어인 상측 도어(이하, 문)(10)와 하측 도어(이하, 문)(11)가 개폐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은 문(10, 11)이 폐쇄된 상태이고,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은 개방된 상태이다. 문(10)은 개구부(9)의 상측을 덮고, 문(10)이 덮는 위치보다 하측의 개구부(9)를 문(11)이 덮는다. 세정조(8) 내부에는 피세정물을 세팅하는 식기 바스켓(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문(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이하, 지지부)(12)의 일단부는 세정조(8) 외벽 상부에 제 1 지점(13)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에는 2점의 슬라이드 결합부(이하, 결합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2)는 문(10)의 측면 근방에 설치된 슬라이드 홈(이하, 홈)(14)을 거쳐서, 결합부(15)에 의해 문(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홈(14)은 문(10)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홈(14)은 문(10)의 측면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문(10)이 폐쇄 상태에서는 지지부(12)가 세정조(8) 외벽내에 수납된다.
홈(14)의 폭은 문(10)의 폐쇄 완료 상태에서 결합부(15)가 결합하는 근방만이 다른 영역보다 좁게 되어 있다. 또한 문(10)의 폐쇄 완료 상태에서의 홈(14)과 결합부(15)의 간극은 가공 오차, 조립 오차를 고려했을 때에 양쪽 부품이 로킹되어, 개폐 동작이 로킹되는 일이 없도록 필요 최소한의 설정으로 되어 있다. 홈(14)의 다른 영역은 결합부(15)의 슬라이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한 폭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15)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16)가 설치되어 있고, 결합부(15)의 홈(14)내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한, 문(10)을 일정한 소정 궤적으로 개폐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 규제부로서, 제 1 동작 규제부(이하, 규제부)(18)와 제 2 동작 규제부(이하, 규제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18)와 규제부(19)의 상호 일단부끼리는 제 1 연결점(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18)의 타단부는 세정조(8) 외벽에 제 2 지점(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규제부(19)의 타단부는 문(10)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점(21)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동작 규제부 전체적으로는 일단부가 세정조(8)의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문(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18, 19)는 각각 수지로 형성되고, 규제부(18, 19)가 본체(7) 전면의 측부로부터 외부로 출입하는 부분에는 동작 규제부 수납구(이하, 수납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18)는 문(10)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문(10)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수납구(22)에 접촉하는 제 1 립(2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10)에 설치된 홈(14)의 규제부(19)가 고정되는 측의 일단은 개방부(14a)로 되어 있고, 지지부(12)의 결합부(15)를 슬라이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15)를 홈(14)에 삽입한 후, 규제부(19)를 고정점(21)에 고정함으로써 규제부(19)에 의해 홈(14)의 개방부(14a)가 폐쇄된다. 이로써, 결합부(15)의 이탈 방지용 부품을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가 삭감되며,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규제부(19)에는 문(10)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지지부(12)와 접촉하는 접촉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문(11)은 세정조(8)의 개구부(9) 하단부 근방에 제 3 지점(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측 지지부(26)에 고정되어 있고, 개구부(9)의 전하방에 그 내면이 상향으로 수평하게 되는 위치까지 개방할 수 있다.
문(11)에는 푸시 버튼 스위치(이하, 스위치)(27)와, 문(11)을 폐쇄 완료 상태에서 고정하는 로크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28)는 스위치(27)와 연동하여 세정조(8) 외벽에 설치된 결합부(29)로부터 해제된다. 문(10, 11)과 개구부(9) 사이 및 문(10)과 문(11)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개구부(9)와 문(10)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밀봉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부(31)는 그 일단부가 규제부(18)와 제 2 연결점(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측 지지부(26)와 제 3 연결점(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문(10)과 문(11)이 연동하여 개폐한다. 또한 연동부(31)에 설치된 제 1 유지부(34)와 세정조(8) 외벽에 설치된 제 2 유지부(35)를 제 1 스프링(36)(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스프링(36)은 문(10, 1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문(10, 1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연동부(31)의 본체(7) 외부로 노출하는 부분에는 보호 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점(32)은 규제부(18)에 설치된 회전축(18a)과 연동부(31)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긴 구멍(31a)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18a)과 긴 구멍(31a)에는 문(10, 11)을 폐쇄하고 있었을 때에, 문(10)이 문(11)보다 먼저 폐쇄 완료 상태로 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스프링(38)(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문(1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규제부(18)를 가압하고 있다. 스프링(38)의 일단부는 연동부(31)에, 타단부는 회전축(18a)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7) 상면에는 개방 완료 상태에서 문(1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립(39)과, 문(10)의 연직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8) 측벽에는 연동부(31)와 접촉하여 문(11)의 개방 완료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4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점(17)을 중심으로 하여, 지점(20)과 고정점(21)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θ1로 한다. 연결점(32)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점(33)과 지점(20)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θ2로 한다. 연결점(33)을 중심으로 하여, 지점(25)과 연결점(32)으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θ3으로 한다. 이 때 3개의 각도(θ1, θ2, θ3)가 문(10, 11)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 0° 이상 및 180° 이하가 되도록 각 지점 및 연결점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그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스위치(27)를 누르면, 결합부(29)로부터 로크부(28)가 해제된다. 그리고 스프링(36)에 의해 문(10, 11)의 개방측으로 가압된 연동부(31)에 의해, 문(10, 11)은 연동하여 폐쇄 완료 상태로부터 연동부(31)가 스토퍼(41)와 접촉하는 개방 완료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문(10, 11)의 개방 동작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문(11)은 세정조(8) 하단을 중심으로 전하방으로 회전하고, 그 내면이 상향 수평하게 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문(10)은 지지부(12)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이 조합된 궤적으로 이동한다. 지지부(12)는 일단부측이 세정조(8) 외벽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문(10)을 홈(14)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로써, 도 4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같이 단순하게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동 궤적의 자유도가 높다.
단, 지지부(12)만으로는 문(10)의 회동 궤적은 일정하게 결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동작하여, 본체(7) 상면 등에 충돌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규제부(18, 19)가 문(10)의 이동 궤적을 일정하게 규제하고 있다. 이로써, 문(10)을 본체(7)의 외곽 형상에 따르도록 본체(7)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문(10)의 개폐에 필요한 설치 높이를 낮게 억제한 설치성이 좋은 식기 세척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가 본체(7) 상면 근방의 세정조(8) 외벽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문(10)과 본체(7) 상면과의 위치 관계가 정밀도 양호하게 실현된다. 그 때문에, 문(10)이 본체(7) 상면에서, 벽장 등과 접촉하지 않는 안정된 도어 개폐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완전하게 문(10)이 개방 완료된 상태에서, 문(10)의 개구부(9)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길이도 작아진다. 그 때문에, 세정조(8)내를 보기가 용이하고, 식기 등의 출납에도 방해되지 않는 사용하기 용이한 식기 세척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문(10)은 단순한 회전 동작으로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지지부(12)와 동작 규제부(18, 19)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이 조합된 동작으로 개폐한다. 그 때문에, 문(10)의 크기가 종래와 대략 동일한 경우, 개방 완료 상태에서, 문(10)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문(10)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문(10)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문(10)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낮아지고, 본체의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부(12)를 세정조(8)의 외벽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문(10)이 본체(7)의 상방으로 이동할 때의 본체(7)의 상면과의 위치 관계가 정밀도 양호하게 실현된다.
또한, 도어를 문(10)과 문(11)으로 구성하고, 홈(14)이 문(1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를 상하 2개로 분할함으로써, 1개의 도어에 의해 개구부(9)를 개폐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욱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 연동부나 각 동작 규제부 등의 링크의 각 지점 위치는 상사점 및 하사점이 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문(10, 11)의 개폐시의 링크의 불가역적인 동작이나 로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문(10, 11)은 안정되게 개폐된다.
문(10)의 개방 완료 상태에 있어서는, 본체(7) 상면에 설치된 립(39)이 문(1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본체(7) 상면에 설치된 규제부(40)가 문(10)의 연직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부(40)는 문(10)의 개방시에 본체(7)의 상면에 접촉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규제부(40)는 개방 완료시에 문(10)이 경사져 지지부(12)가 홈(14)내에서 비틀려서 문(10)이 로크되는 것을 방지하고, 문(10)이 안정되게 개폐한다. 또한, 수납구(22)에 규제부(18)에 설치된 립(23)이 접촉함으로써, 문(1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동작 규제부(19)에 설치된 접촉부(24)가 지지부(12)와 접촉함으로써, 문(1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개방 완료 상태에서의 동작 규제부(19)와 지지부(12)의 위치 관계가 규제되기 때문에, 문(10)의 개방 완료 위치가 안정된다.
문(10, 11)의 개방 후, 문(11)위에 식기 바스켓을 인출하고, 피세정물을 세팅한다. 식기 바스켓을 문(11) 내면상으로 인출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로부터 떨어지는 국물 및 물방울이 세척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하여, 식기 바스켓을 세정조(8)내에 수납하고, 사용자는 문(11)을 폐쇄한다. 문(10)과 문(11)은 연동부(31)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하므로, 문(10)도 동시에 폐쇄된다. 이 때, 문(11)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규제부(18, 19)가 수납구(22)에 수납되지만, 문(11)과의 연동 동작 때문에 사용자의 의식이 수납구(22)를 향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부(18, 19)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동작 중에 가령 사용자의 몸의 일부나 손가락이 그것에 닿아도 상처를 내지 않는다.
또한, 규제부(40)에 의한 문(10)의 연직 하방으로의 이동 규제와, 접촉부 (24)에 의한 문(10)의 후방으로의 이동 규제에 의해, 결합부(15)가 홈(14)내에서 비틀리지 않고, 원활한 도어 폐쇄 동작이 유지된다.
또한, 연결점(32)이 회전축(18a)과 긴 구멍(31a)으로 구성되고, 또한 스프링(38)이 규제부(18)를 문(10)이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문(10, 11)의 폐쇄 완료 근방에서는, 문(10)이 확실하게 먼저 폐쇄 완료하고, 문(10)에 설치된 밀봉 부재(30)를 문(11)이 확실하게 가압하며, 문(10, 11) 사이의 밀봉이 확실하게 실행된다.
또한, 홈(14)과 결합부(15)의 간극은 문(10)의 폐쇄 완료시만 좁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폐쇄 완료시의 문(10)의 위치가 안정되어 문(10)과 개구부(9) 사이의 밀봉이 확실하게 실행된다. 게다가 개폐 중간에서의 홈(14)과 결합부(15)의 원활한 슬라이딩에 의해 안정된 도어 개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5)에 롤러(16)를 사용함으로써, 홈(14)과 결합부(15)의 슬라이딩 저항은 더욱 저감되고, 보다 안정된 도어 개폐 동작이 실현된다.
문(10)의 개폐 궤적은 규제부(19)를 사용하지 않고, 규제부(18)를 문(10)의 고정점(21)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도 실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수납구(22)가 현저하게 커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부(19)가 설치되고, 또한 규제부(18)를 문(10)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수납구(22)의 크기가 필요 최소한으로 되고, 식기 세척기 전면의 문형상 구조의 강도 저하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다. 즉, 식기 세척기의 하우징 강도가 동작 규제부를 1부품으로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있다. 게다가 링크의 각 지점 위치가 변위하기 어려워지고, 안정된 문(10, 11)의 개폐 동작 및 확실한 밀봉성이 실현된다. 또한, 상술한 문(10, 11)을 개폐하기 위한 링크 기구는 세정조(8)와 문(10, 1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나 높이가 작고, 본체의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구부로부터 도어를 방해되지 않는 위치까지 크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피세정물의 출납 등의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부가 세정조 외벽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본체 상방으로 이동할 때의 본체 상면과의 위치 관계를 정밀도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어가 개폐시에, 본체 상면, 벽장 등과 접촉하지 않는 안정된 도어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물체의 출납용 개폐문을 갖는 각종 기기 및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개구부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세정조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고,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이 설치된 도어와,
    일단부가 상기 세정조의 외벽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슬라이드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와,
    일단부가 상기 세정조의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를 소정 궤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개폐 이동시키는 동작 규제부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을 덮고,
    상기 도어가 덮는 위치보다 하측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하측 도어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규제부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연직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동작 규제부가 상기 슬라이드 홈이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규제부가 상기 도어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1020050029928A 2004-04-12 2005-04-11 식기 세척기 KR100682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6561A JP3988743B2 (ja) 2004-04-12 2004-04-12 食器洗い機
JPJP-P-2004-00116561 2004-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69A KR20060047169A (ko) 2006-05-18
KR100682155B1 true KR100682155B1 (ko) 2007-02-12

Family

ID=3526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928A KR100682155B1 (ko) 2004-04-12 2005-04-1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88743B2 (ko)
KR (1) KR100682155B1 (ko)
CN (1) CN100415152C (ko)
TW (1) TWI2913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121B2 (ja) * 2010-03-29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8968710B (zh) * 2018-08-28 2021-06-25 高孝会 一种翻盖式电烤箱
CN109700334A (zh) * 2019-02-26 2019-05-03 高亮 一种下翻盖烤箱
US11697958B1 (en) * 2020-01-30 2023-07-11 The Eastern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bus doors
CN114224258B (zh) * 2021-11-22 2023-08-15 宁波欧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毒、烘干一体式水槽
CN114129069B (zh) * 2022-01-25 2023-10-10 扬州市海牛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易于清洗的干湿分离式电烤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002B2 (ja) * 1998-12-02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537751B2 (ja) * 2000-09-01 2004-06-14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3614791B2 (ja) * 2001-04-23 2005-01-26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4049443A (ja) * 2002-07-18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88743B2 (ja) 2007-10-10
CN100415152C (zh) 2008-09-03
CN1682645A (zh) 2005-10-19
TW200605839A (en) 2006-02-16
KR20060047169A (ko) 2006-05-18
TWI291339B (en) 2007-12-21
JP2005296315A (ja)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155B1 (ko) 식기 세척기
KR100687970B1 (ko) 식기 세척기
KR100385271B1 (ko) 식기 세척기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EP1281345A1 (en) Seal for dishwasher door
KR101121262B1 (ko) 식기 세척기
JP4281757B2 (ja) 食器洗い機
JP4561681B2 (ja) 食器洗い機
KR100658851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조립 구조
KR102311406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JP4407460B2 (ja) 食器洗い機
JP2002143072A (ja) 食器洗い機
JP4461999B2 (ja) 食器洗い機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JP4400451B2 (ja) 食器洗い機
JP4609367B2 (ja) 食器洗い機
JP4349420B2 (ja) 食器洗い機
JP3540559B2 (ja) 洗浄機
JP2001327452A (ja) 食器洗浄機
JP2003093309A (ja) 食器洗浄機
JP4650329B2 (ja) 食器洗い機
KR100590356B1 (ko) 식기 세척기
JP2007282750A5 (ko)
JP4635946B2 (ja) 食器洗い機
JP2001275912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