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970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970B1
KR100687970B1 KR1020050029918A KR20050029918A KR100687970B1 KR 100687970 B1 KR100687970 B1 KR 100687970B1 KR 1020050029918 A KR1020050029918 A KR 1020050029918A KR 20050029918 A KR20050029918 A KR 20050029918A KR 100687970 B1 KR100687970 B1 KR 100687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opening
dish washer
upp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167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타미
기요야스 신카이
게이지 즈키타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8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winging wing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체와 전면 개구부를 갖고 본체내에 설치한 세정조와, 슬라이딩 홈부를 갖고 전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측 도어와, 일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홈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측 도어를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와, 일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동작 규제부와, 일단이 제 1 동작 규제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측 도어에 연결된 제 2 동작 규제부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상측 도어는 슬라이딩 지지부와 제 1 동작 규제부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 동작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상측 도어의 개폐 높이가 종래와 같은 경우는,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그 상측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설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벽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 도중의 제 2 연결점의 상세도,
도 3b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 완료 상태의 제 2 연결점의 상세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슬라이딩 홈부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측벽부의 주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식기 세척기 본체 8 : 세정조
9 : 전면 개구 부 10 : 상측 도어
11 : 하측 도어 12 : 슬라이드 지지부
14 : 슬라이드 홈부 18 : 제 1 동작 규제부
19 : 제 2 동작 규제부 22 : 동작 규제부 수납구
본 발명은,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식기 세척기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조(1)에 수납하고, 세정조(1)에 설치한 전면 개구부(2)를 상측 도어(3), 하측 도어(4)에 의해 폐쇄하고 나서, 세정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운전된다. 그리고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의 세정 및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전면 개구부(2)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존재하지만,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어가 2개로 분할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도어가 이동하는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설치성이 향상되고, 좁은 장소에도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도어 중 하측 도어(4)는 지점(5)을 중심으로 전면 개구부(2)의 전하방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측 도어(3)는 지점(6)에 회전 지지되고,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개방 완료된다. 그 때문에, 상측 도어(3)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작게 억제되고, 높이가 낮은 장소에라도,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도어 개방 완료시에, 상측 도어(3)의 전면 개구부(2)로부터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의 출납 등에 지장이 없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의 예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7266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 상측 도어(3)의 개폐 구성에서는, 본체나 도어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 상측 도어(3)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와, 개방 완료 상태에서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는 상반 관계에 있다. 그 때문에, 개폐 높이를 낮게 하면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고, 반대로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하면 개폐 높이가 높아지는 과제를 갖고 있다. 특히, 도어의 길이가 커진 경우에는, 상측 도어(3)의 개폐 높이가 변하지 않아도, 사용에 지장이 생길 만큼 도어가 전방으로 돌출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전면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본체내에 설치한 세정조와, 슬라이딩 홈부를 갖고 전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와, 일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홈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도어를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와, 도어를 소정 궤적으로 개폐 이동시키는 동작 규제 수단과, 동작 규제 수단이 본체로부터 외부로 출입하는 동작 규제부 수납구를 구비하고, 동작 규제 수단을 상호 일단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제 1 동작 규제부와 제 2 동작 규제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동작 규제부의 타단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제 2 동작 규제부의 타단이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는, 단순한 회전 동작으로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딩 지지 부재와 동작 규제부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이 조합된 동작으로 개폐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의 크기가 종래와 대략 동일한 경우, 개방 완료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그 도어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종래와 동일한 경우는, 그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가 낮아져서 본체의 설치성이 향상한다. 또한, 개구부로부터 도어를 방해되지 않는 위치까지 크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피세정물의 출납 등의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동작 규제부를 제 1 동작 규제부와 제 2 동작 규제부로 구성함으로써, 동작 규제부를 1부품으로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동작 규제부가 본체로부터 외부에 출입하는 동작 규제부 수납구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 전면의 문형(門型) 구조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b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를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 본체(이하, 본체라 함)(7)의 내부에 세정조(8)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8)의 전면 개구부(9)를 도어인 상측 도어(10)와 하측 도어(11)가 개폐한다.
세정조(8) 내부에는 피세정물을 세팅하는 식기 바스켓(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상측 도어(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12)는 일단이 세정조(8) 외벽 상부에 제 1 회전 지점(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측 도어(10)에 설치한 슬라이딩 홈부(14)가 2점의 슬라이딩 결합부(15)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홈부(14)의 홈폭은 상측 도어(10)를 폐쇄 완료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결합부(15)가 결합하는 근방만 다른 범위보다 좁게 되어 있다. 즉, 상측 도어(10)를 폐쇄 완료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홈부(14)와 슬라이딩 결합부(15)의 간극은, 가공 오차, 조립 오차를 고려했을 때에 양쪽 부품이 로킹되어, 개폐 동작이 로킹되지 않는 필요 최소한의 설정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 홈부(14)의 다른 범위는, 슬라이딩 결합부(15)의 슬라이딩에 영향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한 폭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결합부(15)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 결합부(15)의 슬라이딩 홈부(14)내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측 도어(10)를 일의적인 소정 궤적으로 개폐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 규제 수단으로서, 상호 일단끼리를 제 1 연결점(17)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제 1 동작 규제부(18)와 제 2 동작 규제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동작 규제부(18)의 타단은 세정조(8) 외벽에 제 2 회전 지점(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2 동작 규제부(19)의 타단은 상측 도어(10)의 하단에 설치한 고정점(21)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동작 규제부(18), 제 2 동작 규제부(19)가 본체(7) 전면의 측부로부터 외부로 출입하는 부분에는 동작 규제부 수납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동작 규제부(18)는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립(23)은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동작 규제 수납구(22)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동작 규제부가 본체로부터 외부로 출입하는 동작 규제 수납구(22)를 최소한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식기 세척기 전면의 문형 구조의 강도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며, 식기 세척기의 하우징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하측 도어(11)는 세정조(8)의 전면 개구부(9) 하단부 근방에, 제 3 회전 지점(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측 지지부(25)에 고정되어 있다. 전면 개구부(9)의 전하방에 그 내면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되는 위치까지 개방된다. 하측 도어(11)에는 가압 버튼 스위치(26)와, 하측 도어(11)를 폐쇄 완료 상태로 고정하는 록 수단(27)을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가압 버튼 스위치(26)와 연동하여, 세정조(8) 외벽에 설치한 고정부(28)로부터 록 수단(27)을 해제할 수 있다. 상측 도어(10) 및 하측 도어(11)와 전면 개구부(9)의 밀봉 및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 사이의 밀봉을 실행하기 위해서, 전면 개구부(9)와 상측 도어(10)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밀봉 부재 (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동부(30)의 일단을 제 1 동작 규제부(18)와 제 2 연결점(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단을 하측 지지부(25)와 제 3 연결점(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측 도어(10)와 하측 도어(11)가 연동하여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동부(30)에 설치한 제 1 유지부(33)와 세정조(8) 외벽에 설치한 제 2 유지부(34)를 제 1 스프링(35)(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연동부(30)의 본체(7)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보호 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점(31)은 제 1 동작 규제부(18)에 설치한 회전축(37)과 연동부(30)에 설치한 상하 방향의 긴 구멍(38)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37)과 긴 구멍(38)은 상측 도어(10)와 하측 도어(11)를 폐쇄해 갔을 때에, 상측 도어(10)가 하측 도어(11)보다 먼저 폐쇄 완료 상태로 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일단을 연동부(30)에 타단을 회전축(37)에 연결한 제 2 스프링(39)(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측 도어(1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 1 동작 규제부(18)가 가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부의 양단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적어도 한쪽에 소정의 여유분을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도어 폐쇄시의 상측 도어, 하측 도어가 폐쇄 완료 상태로 되는 순서를 규정하고, 또한 링크 구성 부품의 가공 오차, 조립 오차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양쪽 도어의 연동 불량을 없앨 수 있다. 본체(7) 상면에는 상측 도어(10)의 개방 완료 상태에서, 상측 도어(10)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립(40)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8) 측벽에는 연동부(30)와 접촉하여 하측 도어(11)의 개방 완료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의 각 지점 위치는 이하의 3개의 각도가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 0도 이상 180도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3개의 각도란, 제 1 연결점(17)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회전 지점(20)과 고정점(21)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제 2 연결점(31)을 중심으로 하여, 제 3 연결점(32)과 제 2 회전 지점(20)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제 3 연결점(32)을 중심으로 하여, 제 3 회전 지점(24)과 제 2 연결점(31)으로 이루어지는 각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가압 버튼 스위치(26)를 누르면, 록 수단(27)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 1 스프링(35)에 의해 하측 도어(11)의 개방측으로 가압된 연동부(30)에 의해, 상측 도어(10)와 하측 도어(11)는 연동하여, 폐쇄 완료 상태로부터 연동부(30)의 접촉부(30a)가 스토퍼부(41)와 접촉하는 개방 완료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감이 더욱 향상된다. 상측 도어(10)와 하측 도어(11)의 개방 동작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하측 도어(11)의 개방 동작은 세정조(8)의 하단을 중심으로 전하방으로 회전 하고, 그 내면이 상향 수평으로 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상측 도어(10)는 일단측이 세정조(8) 외벽에 회전 지지되고, 타단측이 상측 도어(10)의 슬라이딩 홈부(14)에 슬라이딩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딩 지지부(12)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이 조합된 궤적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5의 종래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단순하게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동 궤적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있다. 단, 이 슬라이딩 지지부(12)만으로는 상측 도어(10)의 회전 궤적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가능하게 동작하여, 본체 상면 등에 충돌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 1 동작 규제부(18)와 제 2 동작 규제부(19)에 의해 상측 도어(10)의 이동 궤적을 일의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로써, 상측 도어(10)를 본체(7)의 외곽 형상에 따르도록 본체(7)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측 도어(10)의 개폐에 필요한 설치 높이를, 종래보다 낮게 억제한 설치성이 좋은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완전히 개방 완료한 상태에서, 상측 도어(10)의 전면 개구부(9)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 길이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8)내를 보기 용이하고, 식기 등의 출납에도 방해되지 않는 사용감이 좋은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링크의 각 지점 위치를 상사점, 하사점으로 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의 개폐시의 링크의 불가역적인 동작이나 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안정된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의 개방 완료 상태에 있어서는, 본체 상면에 설치한 제 2 립(40)이 상측 도어(10)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동작 규제부 수납구(22)가 제 1 동작 규제부(18)에 설치된 제 1 립(23)과 접촉함으로써, 상측 도어(10)가 본체 상면에서 흔들리지 않아, 제품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를 개방한 후, 하측 도어(11)에 식기 바스켓을 인출하여, 피세정물을 세팅한다. 식기 바스켓을 하측 도어(11) 내면위로 인출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로부터 흘린 국물, 물방울이 기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식기 바스켓을 세정조(8)내로 수납하고, 하측 도어(11)를 폐쇄한다. 상측 도어(10)와 하측 도어(11)는 연동부(30)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도어(10)도 동시에 폐쇄된다. 이 때, 제 2 연결점(31)이 회전축(37)과 긴 구멍(38)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 2 스프링(39)에 의해, 제 1 동작 규제부(18)는 상측 도어(1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 결과, 상측 도어(10)가 확실하게 먼저 폐쇄 완료하고, 상측 도어(10)에 설치한 밀봉 부재(29)를 하측 도어(11)로 확실하게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 사이의 밀봉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홈부(14)와 슬라이딩 결합부(15)의 간극은, 상측 도어(10)의 폐쇄 완료시에만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도어 폐쇄 완료시의 슬라이딩 결합부(15)와 슬라이딩 홈부(14)의 간극을, 도어 개방 도중 및 도어 개방 완료시의 그것들의 간극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폐쇄 완료시의 상측 도어(10)의 위치의 안정화에 의한 상측 도어(10)와 전면 개구부(9)의 확실한 밀봉과, 개폐 도중의 슬라이딩 홈부(14)와 슬라이딩 결합부(15)의 원활한 슬라이딩에 의한 안정된 도어 개폐 동작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결합부(15)에 회전 가능한 롤러부(16)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딩 홈부(14)와 슬라이딩 결합부(15)의 슬라이딩 저항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보다 안정된 도어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측 도어(10)의 개폐의 궤적은, 제 2 동작 규제부(19)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동작 규제부(18)를 상측 도어(10)의 고정점(21)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도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동작 규제 수납구(22)가 현저하게 커지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동작 규제부(19)를 설치하고, 또한 제 1 동작 규제부(18)를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V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동작 규제부 수납구(22)의 개구 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남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식기 세척기 전면의 문형 구조의 강도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하우징 강도를 동작 규제 수단을 1부품으로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링크의 각 지점 위치가 변위하기 어려워지며, 안정된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의 개폐 동작, 확실한 밀봉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측 도어(10), 하측 도어(11)의 개폐 링크 기구는 세정조(8) 및 도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동작 규제 수단(18)의 제 2 회전 지점(20)의 위치를 본체(7)의 전면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제 2 연결점(31)과 제 2 회전 지점(20)의 지점간 거리를 길게 하여, 제 1 동작 규제 수단(18)의 폐쇄 완료 상태 내지 개방 완료 상태간의 회전 각도를 작게 하면[상측 도어(10)와 제 2 동작 규제 수단(19)으로 이루는 각도가 좁아지는 방향], 상측 도어(10)의 개방 완료시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회전 지점(20)과 제 1 연결점(17)의 지점간 거리를 길게 하고, 또한 제 1 연결점(17)과 고정점(21) 사이의 지점간 거리를 길게 하면[상측 도어(10)와 제 2 동작 규제 수단(19)으로 이루는 각도가 넓어지는 방향], 상측 도어(10)의 개방 완료시의 본체(7) 전방으로의 돌출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구부로부터 도어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크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피세정물의 출납 등의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동작 규제부를 제 1 동작 규제부와 제 2 동작 규제부로 구성함으로써, 동작 규제부 수납구가 작아지고, 식기 세척기 전면의 문형 구조의 강도가 향상된다. 즉, 식기 세척기의 하우징이 변형되기 어려워지고, 안정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설치 장소에 따라 각 링크 기구의 지점간 거리나 위치를 변경하여 대응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선반 아래에 설치한 경우, 혹은 상방에 선반 등의 장해물은 없지만 전방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등의 설치 장소가 한정되어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특징은 구입 결정의 중요한 포인트로 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이나 높이가 낮고, 본체의 설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물체의 출납용 개폐문을 갖는 각종 기기,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본체와, 전면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본체내에 설치한 세정조와, 슬라이딩 홈부를 갖고 상기 전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홈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와, 상기 도어를 소정 궤적으로 개폐 이동시키는 동작 규제 수단과, 상기 동작 규제 수단이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출입하는 동작 규제부 수납구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규제 수단을 상호 일단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제 1 동작 규제부와 제 2 동작 규제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의 타단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동작 규제부의 타단을 상기 도어에 연결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홈부를 상기 상측 도어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동작 규제부의 타단을 상기 상측 도어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하측 도어를 상기 세정조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에, 타단이 상기 하측 지지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도어와 상기 하측 도어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킨
    식기 세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자동적으로 폐쇄 완료 상태로부터 개방 완료 상태까지 개방되는 자동 개방 기구를 갖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는 상기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동작 규제부와의 연결부와, 본체와의 지지부를 양단으로 하여 하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으로 한
    식기 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하측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와, 상기 연동부와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각도,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와 상기 연동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 규제부와 상기 본체의 연결부와, 상기 연동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각도, 및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와 상기 제 2 동작 규제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와 상기 본체의 연결부와, 상기 제 2 동작 규제 부와 상기 상측 도어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각도의 3개의 각도가 각각을 0도 이상 180도 이하로 되도록 설정한
    식기 세척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의 양단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적어도 한쪽에 소정의 유격을 형성한
    식기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를 상기 상측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
    식기 세척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홈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폐쇄 완료시의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홈부의 간극을, 상기 도어 개방 도중 및 상기 도어 개방 완료시의 그것들의 간극보다 작게 설정한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 회전 가능한 롤러부를 설치한
    식기 세척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에 상기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동작 규제부 수납구의 폭 방향과 접촉하는 제 1 립을 설치한
    식기 세척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면에 상기 도어 개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립을 설치한
    식기 세척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도중 또는 상기 도어 개방 완료시에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동부의 노출부에 보호 부재를 설치한
    식기 세척기.
KR1020050029918A 2004-04-12 2005-04-11 식기 세척기 KR100687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6559A JP3988742B2 (ja) 2004-04-12 2004-04-12 食器洗い機
JPJP-P-2004-00116559 2004-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67A KR20060047167A (ko) 2006-05-18
KR100687970B1 true KR100687970B1 (ko) 2007-02-27

Family

ID=3526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918A KR100687970B1 (ko) 2004-04-12 2005-04-1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88742B2 (ko)
KR (1) KR100687970B1 (ko)
CN (1) CN100415151C (ko)
TW (1) TWI2913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1757B2 (ja) * 2006-04-14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561681B2 (ja) * 2006-04-14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20090122008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S2385760A1 (es) * 2009-08-21 2012-07-31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Maquina lavavajillas con dispositivo de sujeción de puerta.
CN110094131B (zh) * 2018-01-31 2024-02-2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箱开门结构
JP7122685B2 (ja) * 2018-10-04 2022-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11202483B (zh) * 2020-03-11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002B2 (ja) * 1998-12-02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537751B2 (ja) * 2000-09-01 2004-06-14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3614791B2 (ja) * 2001-04-23 2005-01-26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4049443A (ja) * 2002-07-18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96313A (ja) 2005-10-27
CN1682644A (zh) 2005-10-19
JP3988742B2 (ja) 2007-10-10
TW200602002A (en) 2006-01-16
TWI291338B (en) 2007-12-21
CN100415151C (zh) 2008-09-03
KR20060047167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970B1 (ko) 식기 세척기
KR100443459B1 (ko) 식기세척기용세제첨가장치
US10422070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US11708657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KR100682155B1 (ko) 식기 세척기
US11377772B2 (en) Laundry appliance
JP4561681B2 (ja) 食器洗い機
KR100892672B1 (ko) 식기 세척기용 디스펜서
EP0744521B1 (en) Hinge with movable axis of rotation in particular for the panel-finished doors of built-in dish washing machines
KR100377622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JP3933166B2 (ja) 食器洗い機
JP4407460B2 (ja) 食器洗い機
JP4349419B2 (ja) 食器洗い機
JP4461999B2 (ja) 食器洗い機
KR101154956B1 (ko) 식기세척기
JP4400451B2 (ja) 食器洗い機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JP3985808B2 (ja) 食器洗い機
KR100948717B1 (ko) 식기 세척기
JP2001275916A (ja) 食器洗い機
JP2001275912A (ja) 食器洗い機
JP2003093309A (ja) 食器洗浄機
JP2020093078A (ja) 洗浄機
JP4650329B2 (ja) 食器洗い機
JP2001275913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