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717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717B1
KR100948717B1 KR1020080014991A KR20080014991A KR100948717B1 KR 100948717 B1 KR100948717 B1 KR 100948717B1 KR 1020080014991 A KR1020080014991 A KR 1020080014991A KR 20080014991 A KR20080014991 A KR 20080014991A KR 100948717 B1 KR100948717 B1 KR 10094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door
door
opening
lower doo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576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타미
게이지 츠키타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9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94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90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9419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7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세정조를 내부에 설치한 본체와, 세정조의 전면에 마련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와, 세정조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동시에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각각을 지지하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를 연동하는 연동 부재와, 하부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부를 구비하고,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세정조의 앞쪽 하방으로, 또한 쌍방의 내면측을 상향으로 하여 중첩시켜 개구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도어의 폐쇄 위치를 규제하는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를 구비한다.
세정조, 폐쇄 위치 규제부, 식기 바구니, 도어 지지 부재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096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9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0961 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측벽부 단면도이며, 도 10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상부 도어(118)와 하부 도어(119)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20)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21)에 의해 각각 세정조(122)의 전면 개구부(123)의 전방 하방으로, 그 내면이 상향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회전 개구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도어(118)와 하부 도어(119)가 중합하도록 개구된다.
식기 바구니(124)는 상부 도어(118)의 내면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식기 세척기는 상부 도어(118)가 상방으로 개구되는 것과 비교하여 식기 세척기 본체 상방에 상부 도어(118)의 개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성이 좋고, 또한 식기 세척기 본체의 상면을 빈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좋다. 또한, 전면 개구부(123) 상부에, 상부 도어(118)가 덮여 오지 않기 때문에, 식기 등의 피세정물(125)의 출납 등에도 지장이 없어 사용하기가 좋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20)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21)는 연동부(1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119)를 개폐하면, 상부 도어(118)도 연동하여 개폐하기 때문에, 한 번의 개폐 조작에 의해 전면 개구부(123)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좋은 식기 세척기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20)와 연동부(126)의 연결부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20)에 마련한 원통 연결축(127)과 연동부(126)에 마련한 긴 구멍부(128)에 의해서 유격 영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도어(118)가 폐쇄 상태에 도달하고 나서 하부 도어(119)만 동작시켜 하부 도어(119)에 마련한 로크부(129)를 세정조(122)의 측벽에 로크시킴으로써, 상부 도어(118) 및 하부 도어(119)의 폐쇄를 실현하고 있다. 그 결과, 상부 도어(118)에 부착한 도어간 밀봉 부재(130)를 하부 도어(119)에 마련한 도어간 밀봉 받이(131)에 의해 밀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0961 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상부 도어(118)의 회전 중심(132)으로부터 상부 도어(118)의 외면까지의 거리(L)가 길기 때문에, 운전 중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상부 도어(118)의 외면에 외력(F)을 가했을 때, 비교적 용이하게 상부 도어(118)의 외면이 개구 방향으로 이동해 버린다.
그 결과, 회전 중심(132)이나, 긴 구멍부(128)에 마련한 간극이 증폭되어, 전면 개구부(123)의 외면에 마련한 밀봉 부재(133)와 상부 도어(118)의 밀봉이 불안정하게 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를 내부에 설치한 본체와, 세정조의 전면에 마련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와, 세정조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동시에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각각을 지지하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를 연동하는 연동 부재와, 하부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부를 구비하고,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세정조의 전방 하방으로, 또한 쌍방의 내면측을 상향으로 하여 중첩시켜 개구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도어의 폐쇄 위치를 규제하는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에 의해 상부 도어의 폐쇄 위치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부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부 도어가 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확실한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측벽부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측벽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도중의 측벽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초기의 측벽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도어 비정규 폐쇄시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초기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초기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도중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상부 도어 폐쇄 인입부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도중의 상부 도어 인입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상부 도어 인입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8d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 도중의 상부 도어 인입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본체(1) 내부에는 세정조(2)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내부에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을 셋팅하는 식기 바구니(4)가 수납되어 있다. 세정조(2)의 전면에 마련된 개구부(5)는 개구부(5)의 상부 및 하부의 각각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에 의해 개폐된다.
상부 도어(6)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한 제 1 지지축(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 접촉하는 제 1 스토퍼부(12)가 마련된다.
하부 도어(7)는, 세정조(2) 측벽의 개구부(5) 하단부 근방에서, 제 2 지지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개구시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접촉하는 제 2 스토퍼부(15)가 마련된다.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가,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또한 그들의 내면측을 상향으로 하여 대략 수평으로 중첩시켜 개구된다. 또한, 하부 도어(7)의 개구 위치는 상부 도어(6)의 개구 위치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하부 도어(7)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16)와,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걸어맞춤부(17)에 걸어맞춤되어 하부 도어(7)가 개구부(5)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누름 버튼 스위치(16)와 연동하여 걸어맞춤부(17)로부터 로크부(18)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 부재(21)에 의해 연동되어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중첩하도록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동 부재(21)의 일단부는 제 1 연결점(19)에 의해 하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2 연결점(20)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연동 부재(21)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연동시킨다.
또한, 상부 도어(6)에는 도어간 밀봉 부재(9)가 마련되고, 하부 도어(7)에 마련한 도어간 밀봉 받이(7b)에 의해서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 사이가 밀봉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핀(31)과 제 2 가이드 핀(32)이 마련된다. 그리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6)를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는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에는 역 L자 형상의 제 1 가이드 레일(34)과 직선 형상의 제 2 가이드 레일(35)이 형성되어 각각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에는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7)와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7)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폐쇄 상태로부터 소정량 개구될 때까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상부 도어 인입 핀(36)에 접촉한다. 또한, 트리거부(38)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소정량 폐쇄된 때에 상부 도어 인입 핀(36)과 접촉한다. 그리고,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상부 도어(6)를 소정 개구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에 걸쳐서 인입하게 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에 마련한 제 1 유지부(39)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한 제 2 유지부(40)가 탄성체인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 1 스프링(4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폐쇄 상태로부터 소정량 개구되어 상부 도어 인입 핀(36)과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7)의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 제 1 스프링(41)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의해 상부 도어(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제 3 유지부(42)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한 제 4 유지부(43)가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 2 스프링(44)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 도어(6)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연동 부재(21)에 마련한 제 5 유지부(45)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한 제 6 유지부(46)가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 3 스프링(4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7)가 45°정도 회전한 개구 도중에는,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가 개구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7)이 연동 부재(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개구 중인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7)이 연동 부재(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5)의 주위에는 밀봉 부재(8)가 부착되고, 상부 도어(6)에 마련한 상부 도어 밀봉 받이(6a)와 하부 도어(7)에 마련한 하부 도어 밀봉 받이(7a)에 의해서, 개구부(5)가 밀봉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점(20)은 연동 부재(21)에 마련한 원통 연결축(20a)과,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긴 구멍부(20b)에 의해 구성되며, 폐쇄 상태의 상부 도어(6)에 대하여, 하부 도어(7)가 개구되는 방향으로 유격 영역(20c)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제 2 연결점(20)은 연동 부재(21)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의 연결 개소이다.
연동 부재(21)에는 가이드 구멍부(22)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는 가이드 구멍부(22) 내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부(23)가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부(22)와 가이드 돌기부(23)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구 상태에 걸쳐서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부(22)는, 상부 도어(6)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 2 연결점(20)이 유격 영역(20c)을 갖도록 가이드 돌기부(23)의 소정 동작 영역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부(22)는, 상부 도어(6)가 개구 중인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에 걸쳐서 제 2 연결점(20)의 유격 영역(20c)을 없애도록, 가이드 돌기부(23)의 동작을 규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25)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한 제 3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규제 부재(25)는 제 1 접촉부(27)와 제 2 접촉부(29)를 갖고 있다. 제 1 접촉부(27)는, 상부 도어(6)에 마련하여 상부 도어(6)의 개구 방향으로의 동작을 규제하는 상부 도어 규제부(26)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촉부(29)는 연동 부재(21)에 마련한 연동 규제부(28)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 부재(25)는 자중에 의해 상부 도어 규제부(26)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는 상부 도어 규제부(26), 규제 부재(25) 및 연동 규제부(28)에 의해 구성되어, 상부 도어(6)의 폐쇄 위치를 규제한다.
규제 부재(25)를 구성하는 제 1 접촉부(27),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폐쇄시에 상부 도어(6)의 개구 방향으로의 동작을 규제한다. 또한, 제 2 접촉부(29)는, 하부 도어(7)가 소정 개구 위치로부터 폐쇄될 때까지의 사이에 상부 도어 규제부(26)와 제 1 접촉부(27)를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규제 부재(25)를 회동시킨다. 즉, 연동 규제부(28)는 규제 부재(25)의 회동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3 스토퍼부(30)가 마련되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소정 개구 위치보다 개구측으로 위치된 때에, 연동 규제부(28)와 제 2 접촉부(29)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규제 부재(25)의 회동을 멈추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그의 동작 및 작용을 주로 도 3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누름 버튼 스위치(16)를 누름으로써, 걸어맞춤부(17)로부터 로크부(18)가 해제되고, 제 3 스프링(47)에 의해서 가압된 연동 부재(21)가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개구 방향으로 동작한다. 연동 부재(21)가 동작함으로써, 규제 부재(25)는 제 2 접촉부(29)에 의해 연동 규제부(28)와 접촉하면서 회동한다.
제 2 스프링(44)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로의 가압력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로의 상부 도어 인입력에 의해,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개구 초기는 하부 도어(7)만이 개구되고, 상부 도어(6)는 폐쇄 위치에 멈춰 있다. 그 때문에, 도 6a 및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25)의 회동 동작에 의해서, 제 1 접촉부(27)와 상부 도어 규제부(26)의 접촉은 해제되어, 상부 도어(6)의 폐쇄 위치 규제가 해제된다. 즉, 도 3의 상태로부터 도 5의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제 2 스프링(44)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의 2개의 기구에 의해,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개구 초기에 상부 도어(6)를 폐쇄 위치에 멈추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부 도어(6)의 중량, 제 2 스프링(44),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를 설치한 공간의 제약 조건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기구만에 의해 상부 도어(6)를 폐쇄 위치에 멈추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연결축(20a)이 긴 구멍부(20b) 내의 유격 영역(20c)을 이동하여 원통 연결축(20a)과 긴 구멍부(20b)가 연결되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하여 작동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개구 동작에 맞춰,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소정량 개구되면, 제 2 가이드 레일(35)의 제 2 레일 끝점(35a)과 제 2 가이드 핀(32)이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개구되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제 2 가이드 핀(32)을 지점으로 하여 제 1 가이드 레일(34)의 제 1 가이드 끝점(34a)과 제 1 가이드 핀(31)이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가 회동함으로써 상부 도어 인입 핀(36)과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7)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에 의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이 없어진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제 1 스프링(4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제 1 가이드 핀(31)이 제 1 가이드 레일(34)의 상면에 버티고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위치에 멈춘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각각 제 1 스토퍼부(12)와 제 2 스토퍼부(15)에 접촉하는 개구 상태까지 개구된다. 이때,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그 쌍방의 내면을 상향 대략 수평으로 하고 상부 도어(6)가 상방에 위치하여 중합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 개방 후, 상부 도어(6)의 내면 상에 식기 바구니(4)를 인출하여 피세정물(3)을 셋팅한다. 식기 바구니(4)를 상부 도어(6) 내면 상에 인출하는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식기 등의 피세정물(3)로부터 떨어진 국이나 물방울이 본체(1)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개구부(5)의 상부에 상부 도어(6)가 덮여 오지 않기 때문에, 피세정물(3)의 셋팅 작업이 쉽고, 본체(1) 상면을 물건 배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좋다.
또한, 본체(1) 상방에 상부 도어(6)의 개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설치성도 좋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바구니를 세정조(2) 내에 수납하여 하부 도어(7)를 폐쇄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하여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도어(6)도 동시에 폐쇄된다. 제 2 스프링(44)에 의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로의 상부 도어(6)의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과, 제 3 스프링(47)에 의한 연동 부재(21)로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 도어(7)를 폐쇄하는 기동력이 작아서 좋고, 조작감이 양호하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폐쇄 도중에 있어서, 제 2 연결점(20)의 유격 영역(20c)에 의한 상부 도어(6)의 요동을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부(22)와 가이드 돌기부(23)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 도어(7)에 대한 상부 도어(6)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어 있다. 그 결과, 폐쇄 동작에 있어서, 상부 도어(6) 외면에 하부 도어(7)의 방수 리브 등을 구비한 내면이 접촉하여, 상부 도어(6)의 외관을 더럽히거나 손상시키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부 도어(6)를 하부 도어(7)에 선행하여 폐쇄 위치에 도달시키는 소정 동작을 확실히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상부 도어(6)에 부착한 도어간 밀봉 부재(9)를 하부 도어(7)에 마련한 도어간 밀봉 받이(7b)에 의해 확실히 밀봉할 수 있다.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를 소정 위치까지 폐쇄하면,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인입 핀(36)이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8)와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를 폐쇄하면, 상부 도어 인입 핀(36)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제 2 가이드 핀(32)을 지점으로 하여 제 1 가이드 핀(31)이 제 1 가이드 레일(34)의 제 3 가이드 끝점(34b)과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 그 결과, 가이드 핀(31)의 제 1 가이드 레일(34)의 상면에의 버팀도 없게 되고, 제 1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도어 인입 핀(36)을 폐쇄 방향으로 인입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를 폐쇄해 가면, 소정 폐쇄 위치에서 연동 규제부(28)가 제 2 접촉부(29)에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를 폐쇄해 가면, 규제 부재(25)는 제 1 접촉부(27)가 상부 도어 규제부(26)에 근접해 가는 방향으로 회동을 시작한다. 계속해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를 폐쇄해 가면 상부 도어(6)가 선행하여 폐쇄되고, 그 후에 하부 도어의 폐쇄시에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촉부(27)가 상부 도어 규제부(26)에 접촉하여 상부 도어(6)의 폐쇄 위치가 규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규제 부재(25), 상부 도어 규제부(26) 및 연동 규제부(28)에 의해, 상부 도어(6)의 폐쇄 위치를 규제하는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에 의해 상부 도어(6)의 폐쇄 위치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 도어(6)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부 도어(6)가 개구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일은 없이 확실한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폐쇄 위치 근방에서는, 밀봉 부재(8)로부터의 반발력이나 피세정물(3)의 식기 바구니(4)로부터의 밀려 나옴에 의해, 상부 도어(6)는 개구되려고 하는 힘을 받는다. 제 2 스프링(44)의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나,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의 상부 도어(6)를 인입하는 인입력이 불충분한 경우, 상부 도어(6)는 정규 위치까지 폐쇄되지 않고 폐쇄 동작이 정지해 버린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 상부 도어(6)가 정규 폐쇄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부 도어(7)가 폐쇄되기 전에 제 1 접촉부(27)가 상부 도어 규제부(26)와 접촉한다. 그리고, 그 후의 하부 도어(7)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규제 부재(25)가 상부 도어 규제부(26)를 상부 도어(6)의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기 때문에, 하부 도어(7)가 폐쇄된 때에는 상부 도어(6)를 정규 위치에 폐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폐쇄시에, 식기 등의 피세정물(3)과 상부 도어(6)가 접촉하거나, 개구부(5)에 마련한 밀봉 부재(8)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 도어(6)가 정규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동작이 일단 정지하더라도, 연동 규제부(28)에 의해 회동하는 규제 부재(25)에 의해서, 상부 도어 규제부(26)가 폐쇄 방향으로 인입된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6)는 폐쇄 방향으로 다시 동작하기 시작하고, 하부 도어(7)를 개구부(5)에 로킹한 때에는 상부 도어(6)도 정규 위치에 폐쇄되기 때문에, 확실한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는, 상부 도어(6)가 밀봉 부재(8)로부터 반발력을 받아서 상부 도어(6)를 정규 위치에 폐쇄시키는 데 큰 폐쇄력이 필요한 상부 도어(6)의 폐쇄 위치 근방으로부터 폐쇄에 걸쳐서만 도어 폐쇄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2 스프링(44)과 같이 항상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구성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상부 도어(6)를 정규 폐쇄 위치까지 폐쇄시킨다.
가령 제 2 스프링(44)만으로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폐쇄 위치 근방에서 소정의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작용시키고자 하면,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개구 도중으로부터 완전 개방에 걸쳐서, 제 2 스프링(44)에 의한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지나치게 커진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를 완전 개방하는 데 매우 큰 개구력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는 상부 도어 인입 부재(33)가 상부 도어(6)를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개폐 동작 중에 상시 폐쇄력을 가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적은 힘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부 도어(6)를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를 상부 도어(6)의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마련하는 동시에, 연동 부재(21)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의 연결 개소에 유격 영역(20c)을 마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6)를 하부 도어(7)에 대하여 선행하여 폐쇄시킬 수 있어, 상부 도어(6)가 폐쇄 위치 또는 폐쇄 위치 근방에 도달하고 나서 규제 부재(25)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연결 개소에 유격 영역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부 도어 규제부(26)와 규제 부재(25)는 폐쇄 근방에서 함께 동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접촉부(27)에서 미끄럼 운동하면서 상부 도어(6)의 인입 동작을 하기 때문에 조작감이 나쁘거나, 또한 부품 가공이나 조립의 오차로 인해 상부 도어 규제부(26)와 규제 부재(25)의 동작하는 타이밍이 설정보다 어긋난 때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쉽게 동작 불량을 일으켜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연결 개소에 유격 영역(20c)을 마련함으로써, 정규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상부 도어 규제부(26)에 규제 부재(25)가 회동하여 접촉한다. 그 때문에, 제 1 접촉부(27)에서의 미끄럼 운동 동작이 없고, 상부 도어 규제부(26)와 규제 부재(25)의 동작하는 순서가 규정되어 있어 동작 설정에 여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매끄럽고 안정된 폐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6)가 폐쇄 상태일 때, 연결 개소가 유격 영역(20c)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구 상태로부터 폐쇄 근방까지의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가 연동하여 개폐하는 영역에서, 상부 도어(6)를 하부 도어(7)에 대하여 확실하게 선행하여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정된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개폐 동작 중의 전체에 있어서, 연동 부재(21)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4)의 연결 개소에 유격 영역(20c)을 마련한 경우, 예컨대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폐쇄 동작 도중에 피세정물(3)과 상부 도어(6)의 접촉 등에 의해 상부 도어(6)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폐쇄 동작을 정지한 때, 하부 도어(7)를 유격 영역(20c)만큼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상부 도어(6)의 외면에 하부 도어(7)의 방수 리브 등을 구비한 내면이 접촉하여 상부 도어(6)의 외관을 더럽히거나 손상시키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의 폐쇄 동작 도중에 상부 도어(6)가 로킹하는 모드가 되면 하부 도어(7)도 동작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부 도어(6)가 하부 도어(7)에 대하여 선행하여 폐쇄되며,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접촉도 일어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폐 기구는 세정조(2) 및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도중의 측벽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초기의 측벽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의 동작 설명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도어 비정규 폐쇄시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의 동작 설명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초기의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의 동작 설명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초기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도중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상부 도어 폐쇄 인입부의 동작 설명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 도중의 상부 도어 인입 부재의 동작 설명도,
도 8c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상부 도어 인입 부재의 동작 설명도,
도 8d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 도중의 상부 도어 인입 부재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폐쇄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구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정조 5 : 개구부
6 : 상부 도어 7 : 하부 도어
11 : 상부 도어 지지 부재
14 : 하부 도어 지지 부재
25 : 폐쇄 위치 규제부

Claims (6)

  1. 세정조를 내부에 설치한 본체와,
    상기 세정조의 전면에 마련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와,
    상기 세정조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의 각각을 지지하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도어 지지 부재를 연동하는 연동 부재와,
    상기 하부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부(lock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가 상기 세정조의 전방 하방으로, 또한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의 내면측을 상향으로 하여 중합시켜 개구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폐쇄 위치를 규제하는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는 상부 도어 폐쇄 인입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 폐쇄 위치 규제부를, 상기 상부 도어에 마련하여 상기 상부 도어의 개구 방향으로의 동작을 규제하는 상부 도어 규제부와, 상기 세정조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규제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에 마련하여 상기 규제 부재의 회동을 제어하는 연동 규제부로 구성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 규제부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연동 규제부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연동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의 연결 개소에 유격 영역을 마련한
    식기 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연결 개소는 상기 상부 도어에 대하여 상기 하부 도어가 개구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격 영역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식기 세척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 폐쇄 인입부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를 소정 개구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에 걸쳐서 인입하도록 한
    식기 세척기.
KR1020080014991A 2007-02-20 2008-02-19 식기 세척기 KR100948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9002 2007-02-20
JP2007039003A JP4349420B2 (ja) 2007-02-20 2007-02-20 食器洗い機
JP2007039002A JP4349419B2 (ja) 2007-02-20 2007-02-20 食器洗い機
JPJP-P-2007-00039003 2007-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576A KR20080077576A (ko) 2008-08-25
KR100948717B1 true KR100948717B1 (ko) 2010-03-22

Family

ID=3988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991A KR100948717B1 (ko) 2007-02-20 2008-02-19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48717B1 (ko)
CN (1) CN101926637B (ko)
TW (1) TW20084798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736A (ja) * 1995-09-21 1997-03-31 Toto Ltd 食器洗浄機組み込みキャビネット
JP2004105270A (ja)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JP2005058246A (ja) 2003-08-08 2005-03-1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JP2006204354A (ja) 2005-01-25 2006-08-10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506B1 (ko) * 2000-05-23 2006-04-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JP4283129B2 (ja) * 2004-01-28 2009-06-24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736A (ja) * 1995-09-21 1997-03-31 Toto Ltd 食器洗浄機組み込みキャビネット
JP2004105270A (ja)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JP2005058246A (ja) 2003-08-08 2005-03-1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JP2006204354A (ja) 2005-01-25 2006-08-10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4833B (ko) 2011-07-11
KR20080077576A (ko) 2008-08-25
CN101926637A (zh) 2010-12-29
CN101926637B (zh) 2012-05-23
TW200847985A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933B2 (en) Dishwasher having a device for opening the door in gaps
KR20050077755A (ko) 식기 세정기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KR100948717B1 (ko) 식기 세척기
KR20090120393A (ko) 식기 세척기
JP4349419B2 (ja) 食器洗い機
JP4561681B2 (ja) 食器洗い機
CN101991396B (zh) 洗碗机、尤其家用洗碗机
JP3988742B2 (ja) 食器洗い機
JP4349420B2 (ja) 食器洗い機
JP4407460B2 (ja) 食器洗い機
JP5012755B2 (ja) 食器洗い機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JP2007196005A (ja) 食器洗い機
JP4480934B2 (ja) 食器洗い機
JP2006346314A (ja) 食器洗浄装置
JP2005245641A (ja) 食器洗浄機
KR100834204B1 (ko) 식기 세척기
JP4387321B2 (ja) 食器洗浄装置
JP2005296315A (ja) 食器洗い機
JP2005296545A (ja) 食器洗浄機
JP2005058246A (ja) 食器洗浄機
JP4400451B2 (ja) 食器洗い機
JP2003093309A (ja) 食器洗浄機
JP2005058247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