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204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204B1
KR100834204B1 KR1020070035872A KR20070035872A KR100834204B1 KR 100834204 B1 KR100834204 B1 KR 100834204B1 KR 1020070035872 A KR1020070035872 A KR 1020070035872A KR 20070035872 A KR20070035872 A KR 20070035872A KR 100834204 B1 KR100834204 B1 KR 100834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onnection point
upper doo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411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타미
게이지 즈키타니
가츠히코 가도야
노부오 세키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11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76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11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99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11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1681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조(2)의 전면 개구부(5)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6, 7)가, 제 1 동작 규제부(13)와 제 2 동작 규제부(14)의 회전 기구만에 의해,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 근방에서, 밀봉 부재(8)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작은 힘으로 확실한 밀봉이 실현되고, 또한 이것을 회전 기구의 조합만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안정한 도어의 개폐 동작이 실현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시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제 4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 초기의 제 4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시의 감속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의 감속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 상부 도어 정규 도어 폐쇄시의 불완전 도어 폐쇄 방지부의 동작 설명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 상부 도어 부정규 도어 폐쇄시의 불완전 도어 폐쇄 방지부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부엌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측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시의 측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밀봉 부분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정조 5 : 개구부
6 : 상부 도어 7 : 하부 도어
8 : 밀봉 부재 11 : 상부 도어 지지 부재
12 : 하부 도어 지지 부재 13 : 제 1 동작 규제부
14 : 제 2 동작 규제부 23 : 연동부
36 : 감속 부재
본 발명은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304994 호의 예로 의해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식기 등의 피세정물은 세정조(101)에 수납된다. 세정조(101)에 마련한 전면 개구부(102)를 상부 도어(103)와 하부 도어(104)에 의해 폐색하고 나서, 세정 펌프를 운전하고,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의 세정 및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하부 도어(104)는 하부 도어 지지 부재(105)에 의해, 전면 개구부(102)의 전방 하방으로, 그 내면이 위로 향해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회전해서 개방할 수 있다. 전면 개구부(102)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하부 도어(104)의 내면에 수납된 식기 바구니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도어(103)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6)에 의해, 본체(107)의 상방 공간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03)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작게 억제하고, 높이가 낮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어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부 도어(103)의 전면 개구부(102)에서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피세정물의 출입 등에 지장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05)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6)는 연동부(108)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연동해서 개폐할 수 있다. 연동부(108)는, 제 1 스프링(109)과 제 2 스프링(110)에 의해 상하의 도어(103, 104)가 도어 개방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누름 버튼 스위치(111)를 누르고, 로크부(112)가 세정조(101)에 마련한 걸림고정부(113)에 걸림고정되어 있는 것을 해제함으로써, 상하의 도어(103, 104)는 도어 개방 상태, 즉 전체 개방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된다.
또한, 제 3 스프링(114)에 의해 가압된 감속 부재(115)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6)와 접촉함으로써 도어를 도어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도어 개방 속도를 억제하고,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상하부 도어(103, 104)가 자동적으로 연동해서 도어 개방하는 사용이 편리한 장점과,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rebound)를 억제한 고품질의 식기 세척기가 실현되어 있다.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개폐 기구에서는, 도어는 도어 개방하는 것에 따라서 도어의 자중에 의한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커지고, 도어에 가압하는 감속력은 도어의 도어 개방량에 비례해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단, 도어 개방의 도중에 너무 큰 감속력을 부여하면, 도어의 동작이 도중에 멈춰버리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도어(104)가 도어 개방 도중의 크게 부상된 상태에서 정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에서의 감속력은 도어가 확실하게 도어 개방하도록 작게 설정하고, 도어의 전체 개방 상태 근방에서 감속력이 최 대가 되고, 감속력을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가령 감속력이 도어의 도어 개방력에 이겨서 하부 도어(104)가 최대 도어 개방 상태 앞에서 멈추는 것에 의해, 부상된 상태가 되는 일이 있어도, 도어의 전체 개방 상태의 근방이기 때문에, 하부 도어(104)로의 식기 바구니의 인출 등 실제로 사용상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개폐 기구는, 감속력을 제 3 스프링(114)의 가압력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감속력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밖에 할 수 없고, 현저하게 감속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결과, 도어를 확실하게 전체 개방시키려고 하면,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를 충분히 제압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219083 호에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6)와 연동부(108)는 연결부(302)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도어 지지 부재(105)와 연동부(108)는 연결부(301)에 의해 연결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개폐 구성에서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6)와 연동부(108)의 연결부(302),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105)와 연동부(108)의 연결부(301) 어느 것이나, 도어의 개폐 동작중의 모든 위치에 있어서 틈새(clearance)를 갖고 있다. 상부 도어(104)가 하부 도어(105)에 대하여 선행해서 도어 폐쇄하기 위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하부 도어(105)에 대한 상부 도어(104)의 위치가 불안정해서, 도어의 개폐 동작이나 방수를 위한 밀봉이 불안정으로 되는 것이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종래의 다른 식기 세척기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790 호).
이하, 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의 도어(204)는 회전 지점(207)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지점(207)을 축으로서, 본체(208)의 상방 공간에 도어(204)를 도어 개방함으로써, 도어(204)의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작게 억제하고, 높이가 작은 장소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 동시에, 도어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도어(204)의 전면 개구부(203)로부터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고, 피세정물의 출납 등에 지장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2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성에서는,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 근방에서, 도어(204)와 밀봉 부재(206)가 스치면서 동작한다. 그 때문에, 개폐 동작에 큰 힘이 필요하고, 또한 밀봉 성능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도어의 자동 도어 개방을 확실하게 실현하고, 또한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를 확실하게 억제한 고품질의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식기 세척기에 관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세정조에 마련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복수개의 도어와, 복수개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전 체 개방 상태까지 도어 개방하는 자동 도어 개방 기구와, 도어의 자동 도어 개방 동작을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 감속시키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감속 기구의 감속력이 도어의 도어 개방 상태 근방에서 현저하게 증대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에서의 감속력은 도어가 확실하게 도어 개방하도록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도어의 도어 개방 속도를 확실하게 감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어가 확실하게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고, 또한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를 충분히 제압하는 것이 가능한 고품질의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도어가 확실하게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고, 또한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를 충분히 제압하는 것이 가능한 고품질의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세정조에 마련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복수개의 도어와, 복수개의 도어를 연동해서 개폐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연동 기구는 한쪽의 도어가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도어를 도어 개방 방향으로 소정량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식기 세척기이다.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의 도중에는 복수의 도어는, 틈새에 의한 흔들림이 없게 연동해서 동작하는 것에 의해, 한쪽의 도어를 다른쪽의 도어에 대해서 확실하게 선행해서 도어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예컨대 한쪽의 도어가 도어 폐쇄한 후에는 다른쪽의 도어를 단독으로 도어 폐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정한 개폐 동작과, 확실한 도어 사이의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세정조 전면에 마련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와, 개구부 주위에 마련한 밀봉 부재와,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밀봉 부재와 압접하는 상부 도어에 마련한 도어 밀봉 받침대와, 상부 도어를 지지하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일단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 제 1 연결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정조 측벽의 제 1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1 동작 규제부와, 일단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 제 2 연결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정조 측벽의 제 2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2 동작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연결점과 제 1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 2 연결점과 제 2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이다.
상부 도어는, 도어 폐쇄 상태 근방에서, 전면 개구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와 밀봉 부재가 스치는 일이 없게 수직하게 압접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확실한 밀봉이 실현된다. 또한, 상부 도어의 수직 방향으로의 동작을, 슬라이드 기구와 같은 마찰 저항, 형상의 가공 오차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기구에 상관없이, 회전 기구의 조합만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안정된 도어의 개폐 동작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세정조에 마련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복수개의 도어와, 복수개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까지 도어 개방하는 자동 도어 개방 기구와, 도어의 자동 도어 개방 동작을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 감속시키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이다. 감속 기구의 감속력이, 도어의 전체 개방 상태 근방에서 최대가 되고, 힘이 현저하게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에서의 감속력은 도어가 확실하게 도어 개방하도록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도어 개방 속도를 확실하게 감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어는 확실하게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고, 또한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를 충분히 제압하는 것이 가능한 고품질의 도어의 개폐 동작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감속 기구가, 복수개의 도어를 각기 지지하는 복수개의 도어 지지 부재중 어느 하나에 마련한 접동부와,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 접동부에 접촉하는 회전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감속 부재와, 감속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이다. 접동부와 감속 부재의 접촉 후, 도어의 도어 개방량이 커지는데에 비례하고, 탄성체의 가압력이 커지고, 또한 접동부와 감속 부재의 접촉점이 회전 지지축에 근접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의 가압력의 증가에 추가해서, 접동부가 감속 부재의 회전 중심에 근접하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도어 개방 상태 근 방에서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 기구를 도어 지지 부재와 탄성체에 의해 가압된 감속 부재의 접촉이라고 하는 간단한 부품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접동부와 감속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고 접동 그레이드(grade)의 수지 재료로 형성한 식기 세척기이다. 형상을 형성할 때의 자유도가 크고, 접동부와 감속 부재의 접촉의 방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알맞은 감속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을 고 접동 그레이드로 함으로써, 접촉시의 마찰에 의한 이음(異音)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세정조에 마련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복수개의 도어와, 복수개의 도어를 연동해서 개폐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이다. 그 연동 기구는, 한쪽의 도어가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도어를 도어 개방 방향으로 소정량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의 도중에는 복수의 도어는 틈새에 의한 흔들림 없게 맞물려서 돌아가므로, 한쪽의 도어를 다른쪽의 도어에 대하여 확실하게 선행해서 도어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한쪽의 도어가 도어 폐쇄한 후는, 다른쪽의 도어를 단독으로 도어 폐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한 개폐 동작과, 확실한 도어사이의 밀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연동 기구가, 복수개의 도어를 각기 지지하는 도어 지지부를, 각기 복수개의 연결점에 의해 연동부와 연결하고, 복수개의 연결점중 어느 하나의 연결점이 한쪽의 도어가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만 틈새를 갖 는 구성의 식기 세척기이다. 도어 끼리를 연결점에서의 틈새에 의한 흔들림 없게 직접 연결해서 연동시키므로, 연동을 위한 복잡한 기구나, 구동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서 제 1 발명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한쪽의 도어가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단독으로 소정량 동작 가능한 다른쪽의 도어를 도어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의 식기 세척기이다. 다른쪽의 도어의 단독으로의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정한 개폐 동작과, 보다 확실한 도어사이의 밀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상기 소정 위치를 한쪽의 도어가 도어 폐쇄 상태에 있는 위치로 한 구성의 식기 세척기이다. 한쪽의 도어가 도어 폐쇄한 후는, 다른쪽의 도어를 단독으로 도어 폐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한 개폐 동작과, 확실한 도어사이의 밀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세정조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마련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와, 개구부 주위에 마련한 밀봉 부재와,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밀봉 부재와 압접하는 상부 도어에 마련한 도어 밀봉 받침대와, 상부 도어를 지지하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일단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 제 1 연결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정조 측벽의 제 1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1 동작 규제부와, 일단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 제 2 연결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세정조 측벽의 제 2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2 동작 규제부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이다.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연결점과 제 1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 2 연결점과 제 2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도어는, 도어 폐쇄 상태 근방에서, 전면 개구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한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동작의 최종 단계에서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와 밀봉 부재가 스치는 일이 없고, 수직하게 압접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확실한 밀봉이 실현된다. 또한, 상부 도어의 수직 방향으로의 동작을, 슬라이드 기구와 같은 마찰 저항, 형상의 가공 오차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기구에 상관없이, 회전 기구의 조합만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안정된 도어의 개폐 동작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제 1 연결점과 제 1 지지축을 각각 제 2 연결점과 제 2 지지축보다 개구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제 1 지지축과 제 2 지지축을 각각 제 1 연결점과 제 2 연결점보다 상방에 마련하고, 또한 제 1 연결점과 제 1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가, 제 2 연결점과 제 2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이다. 상부 도어는, 도어 폐쇄 상태 근방에서는 전면 개구부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도어 개방하고,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도어 개방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는, 본체의 전면 상부를 전면으로부터 상부 중앙에 걸쳐서 대략 원호형상으로 하고, 개구부를 본체 전면으로부터 본체 상부의 중앙부 근방까지로 하고, 상부 도어의 상부 형상을 본체 형상과 동일하게 대략 원호형상으로 한 식기 세척기이다. 상부 도어의 상부가 통과하는 궤적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는, 본체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개구부를 본체 전면으로부터 본체 상부의 원호형상의 정상부 근방까지로 하고, 상부 도어의 상부 형상을 본체 형상과 동일하게 대략 원호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이다. 상부 도어를 본체 상부의 원호형상에 따르도록 도어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해서, 도어 개방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의 원호형상을 본체 배면의 원호형상에 따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개폐에 필요한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는, 제 1 동작 규제부와 제 2 동작 규제부에 의해 본체 상부로 도어 개방되는 상부 도어와, 개구부 하단에서 축지지되어 하방으로 도어 개방되는 하부 도어를 갖는 식기 세척기이다. 도어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도어의 전면 개구부보다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피세정물의 출납 등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는, 제 1 동작 규제부와 제 2 동작 규제부에 의해 본체 상부로 도어 개방되는 상부 도어와, 개구부 하단에서 축지지되어 하방으로 도어 개방되는 하부 도어를 갖는 식기 세척기이다.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결합부를 대략 원호형상의 단부에 마련한 것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부 도어의 본체 배면보다 후방으로의 및 전면 개구부보다 전방으로의 돌출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지고, 피세정물의 출납 등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측벽부 단면도이며,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시의 측벽부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개방시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제 4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감속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불완전 도어 폐쇄 방지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식기 세척기의 본체(1)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부의 외곽 형상이, 전면(1a)으로부터 배면(1b)에 걸쳐서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면 형상은 대략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1) 내부에는 상부 형상이 본체(1) 상부의 원호형상부의 내면에 따르도록 상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세정조(2)가 마련되어 있고, 세정조(2)의 내부에는 식기(3) 등의 피세정물을 세트하는 식기 바구니(4)가 수납되어 있다.
세정조(2)에는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개구되는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고, 개구부(5)의 상부, 및 개구부(5)의 하부는 각각 상부 도어(6)와 하부 도 어(7)에 의해 개폐된다. 개구부(5)의 상단 위치는 원호형상의 정상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5)의 주연에 해당하는 부분의 세정조(2)에는 밀봉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도어(6)에 마련한 도어 밀봉 받침대(6a)와 밀봉 부재(8), 및 하부 도어(7)에 마련한 하부 도어 밀봉 받침대(7a)와 밀봉 부재(8)에 의해, 개구부(5)의 밀봉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 도어(6)에는 도어사이 밀봉 부재(9)를 설치할 수 있다. 하부 도어(7)에 마련한 도어사이 밀봉 받침대(7b)와 도어사이 밀봉 부재(9)에 의해, 상하부 도어사이의 밀봉이 구성된다.
상부 도어(6)의 종단면 형상은 본체(1)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 외향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도어(6)의 하단은 본체(1)의 외곽의 대략 원호형상 부분의 하단부(1c) 근방에 도달한다. 또한, 상부 도어(6)의 상단은 대략 원호형상의 상단부(1d) 근방(정상부 근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도어(6)에는 세정조(2)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창(10)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6)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 고정점(1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의 일단은 제 1 연결점(13b)에 의해 제 1 동작 규제부(1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의 다른 일단은 제 2 연결점(14b)에 의해 제 2 동작 규제부(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동작 규제부(13)는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제 1 지지축(13a)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제 2 동작 규제부(14)는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제 2 지지축(14a)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어가 폐쇄된 도어 상태에서, 제 1 지지축(13a)은 제 1 연결점(13b)보다 상 방에 위치되어 있고, 또한 제 2 지지축(14a)은 제 2 연결점(14b)보다 상방에 위치된다. 동시에, 제 1 지지축(13a)은 제 2 지지축(14a)보다 개구부(5)측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제 1 연결점(13b)은 제 2 연결점(14b)보다 개구부(5)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지지축(13a)과 제 1 연결점(13b)을 연결하는 직선(13c)(일점쇄선)과, 제 2 지지축(14a)과 제 2 연결점(14b)을 연결하는 직선(14c)(일점쇄선)은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6a)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6c)(일점쇄선)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지지축(13a)과 제 1 연결점(13b)을 연결하는 직선(13c)의 길이는 제 2 지지축(14a)과 제 2 연결점(14b)을 연결하는 직선(14c)의 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도어(7)는 본체(1)의 전면 형상과 동일하게 대략 평면형상이다. 하부 도어(7)는 세정조(2)의 개구부(5) 하단부 근방에서 제 3 지지축(1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5)에 고정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도어의 도어 개방시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5)와 접촉하는 제 1 스토퍼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부(16)는, 하부 도어(7)가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그 내면이 상향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도어 개방한 시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5)와 접촉한다. 하부 도어(7)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17)와 로크부(19)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부(19)는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걸림고정부(18)에 걸림고정되는 것에 의해, 개구부(5)가 도어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 도어(7)를 고정할 수 있다. 누름 버튼 스위치(17)를 조작하면, 걸림고정부(18)로부터 로크부(19)를 해제해서, 하부 도어(7)를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제 3 연결점(21)에 의해 하부 도어 지지 부재(1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 4 연결점(22)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동부(23)에 의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해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연결점(22)은 연동부(23)에 마련한 긴 구멍부(22a)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원통 연결축(2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4 연결점(22)은 도어 폐쇄 상태의 상부 도어(6)에 대하여, 하부 도어(7)가 도어 개방하는 방향으로 틈새를 갖고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부(23)에는 가이드 돌기부(24)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는 가이드 홈부(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부(24)와 가이드 홈부(25)는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 개방 상태에 걸쳐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부(25)는, 상부 도어(6)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 4 연결점(22)이 틈새를 갖도록 가이드 돌기부(24)의 소정 동작 영역을 갖고,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제 4 연결점(22)의 틈새를 없애도록, 가이드 돌기부(24)의 동작을 규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제 1 유지부(26)와, 연동부(23)에 마련한 제 2 유지부(27)를 제 1 스프링(28)(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하고,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서 상부 도어(6)에 대하여, 하부 도어(7)를 도어 개방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 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제 1 스프링(28)은 상부 및 하부 도어(6, 7)를 도어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부(2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제 2 동작 규제부(14)에 마련한 제 3 유지부(29)와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제 4 유지부(30)를 제 2 스프링(31)(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 개방 도중(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가 45° 정도 회전)에서는, 상부 도어(6)가 전체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 2 동작 규제부(14)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상부 도어(6)가 도어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 2 동작 규제부(14)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도어(6)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2 스프링(31)의 가압력에 의한 상부 도어(6)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모멘트는 상부 도어(6)의 자중에 의한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모멘트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연동부(23)에 마련한 제 5 유지부(32)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한 제 6 유지부(33)를 제 3 스프링(34)(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 개방 도중(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가 70° 정도 회전)에서는, 상부 및 하부 도어(6, 7)가 전체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부(2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상부 및 하부 도어(6, 7)가 도어 폐쇄하는 방향으로 연동부(23)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제 4 지지 축(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감속 부재(36)는,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접동부(37)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속 부재(36)에 마련한 제 7 유지부(38)와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제 8 유지부(39)는 제 4 스프링(40)(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감속 부재(36)와 접동부(37)가 접촉한 후, 도어가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제 7 유지부(38)와 제 8 유지부(39)의 거리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2) 측벽에 마련한 제 2 스토퍼부(41)에 의해, 제 7 유지부(38)와 제 8 유지부(39)의 거리는 소정 길이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속 부재(36)와 접동부(37)의 접촉하는 접점은, 도어가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제 4 지지축(35)에 근접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는 상부 도어(6)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제 1 상부 도어 돌기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상부 도어 돌기부(42)의 상부에는, 제 1 상부 도어 돌기부(42)보다 높이가 크게 전방으로 돌출한 제 2 상부 도어 돌기부(4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 도어(7)에는 하부 도어 돌기부(44)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 도어(6, 7)가 소정 도어 폐쇄 위치에 도어 폐쇄되어 있을 때, 하부 도어 돌기부(44)는 제 2 상부 도어 돌기부(43)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누름 버튼 스위치(17)를 누르는 것에 의해, 걸림고정부(18)로부터 로크부(19)가 해제되어, 제 1 스프링(28)과 제 3 스프링(34)에 의해 가압된 연동부(23) 가 도어를 도어 개방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또한, 제 1 스프링(28)은, 상부 도어(6)에 대하여, 하부 도어(7)를 도어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또한 제 4 연결점(22)이 틈새를 갖고 있는 것에 의해, 도어 개방 초기는 하부 도어(7)만이 전체 개방하고, 상부 도어(6)는 도어 폐쇄 위치에 머무르고 있다.
긴 구멍부(22a)가 원통 연결축(22b)의 틈새 영역을 동작하면, 긴 구멍부(22a)와 원통 연결축(22b)이 연결되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는 연동부(23)에 가압된 도어의 도어 개방 방향의 힘이 전달된다. 또한, 제 2 스프링(31)에 의해 제 2 동작 규제부(14)의 도어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가해진다. 합산된 가압력이 상부 도어(6)의 자중에 의한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모멘트에 이기는 것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도어(6, 7)는 연동해서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 지지 부재(15)가 제 1 스토퍼부(16)와 접촉하는 도어 개방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한다. 이 때, 하부 도어(7)는 그 내면이 상향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있다.
상부 도어(6)는, 도어 개방 초기는 개구부(5)의 대략 원호형상의 중앙부에 대하여, 원호의 법선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 밀봉 부재(8)와 스치는 일없이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는, 제 1 동작 규제부(13)의 회전 각도가, 제 2 동작 규제부(14)의 회전 각도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부 도어(6)는 본체(1)의 상부로 돌아 들어가도록 도어 개방한다. 본체(1)의 상부 형상, 및 상부 도어(6)는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부 도어(6)를 대략 원호형상에 따르도록 도어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 도어(6)의 도어 개 방에 필요한 본체(1) 상부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도어(6)의 외형 라인과, 개구부(5) 상단보다 후방의 본체(1)의 외형 라인은 대략 동일한 원호로 되어 있고, 도어 개방 상태의 상부 도어(6)의 개구부(5)보다 전방으로의 돌출을 없애고, 또한 본체(1) 배면보다 후방으로의 돌출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피세정물의 출납 시에 상부 도어(6)가 방해되지 않는 사용 편리함의 장점과, 본체(1) 후방에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설치성의 장점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어가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하부 도어(7)의 자중에 의한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모멘트는 증가하고, 상부 도어(6)의 자중에 의한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모멘트는 감소한다. 도어의 도어 폐쇄 시에는, 상부 및 하부 도어(6, 7)의 자중에 의한 도어 연동 기구 전체로서의 모멘트는 도어의 도어 폐쇄시는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어가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도어 폐쇄 방향의 모멘트는 작아지고, 도어 개방 도중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방향이 역전하고, 역전 후에는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도어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모멘트는 커진다. 그리고,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에 걸쳐서는, 제 2 스프링(31)이 제 2 동작 규제부(14)를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 3 스프링(34)이 연동부(23)를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어의 도어 개방 속도를 억제하고,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
그러나, 제 2 스프링(31)과 제 3 스프링(34)은 상부 및 하부 도어(6, 7)가 확실하게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고,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 완화도 양립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한, 도어가 확실하게 전체 개방하고, 또한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을 확실하게 완화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전체 개방 상태 근방에서 급격하게 도어의 도어 개방 속도를 억제하고, 전체 개방시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 2 스프링(31)과 제 3 스프링(34)에 의한 감속만에서는, 힘이 비례적으로 서서히 변화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도어의 도어 개방 속도를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그런데,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감속 부재(36)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감속 부재(36)는 상부 및 하부 도어 지지 부재(11, 15) 및 연동부(23)로 이루어지는 연동 기구의 자동 도어 개방 동작과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연동 기구 전체로서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커지는 도어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모멘트를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가하고 있다. 또한, 제 4 스프링(40)에 의한 감속 부재(36)로의 가압력은 도어가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커진다. 또한, 감속 부재(36)와 접동부(37)의 접점도 도어가 도어 개방함에 따라서 제 4 지지축(35)에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서 커진다. 그것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도어의 전체 개방 상태 근방에서, 급격하게 큰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힘을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가하는 것이 가능해서, 도어 개방 속도의 억제와,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의 완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된다.
상부 및 하부 도어(6, 7)의 전체 개방 후, 하부 도어(7)의 내면상으로 식기 바구니(4)를 인출하고, 피세정물을 세트한다. 식기 바구니(4)를 하부 도어(7) 내면상으로 인출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식기(3) 등의 피세정물로부터 흘린 국물, 물방울이 기계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식기 바구니(4)를 세정조(2)내에 수납하고, 하부 도어(7)를 폐쇄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해서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 도어(6)도 동시에 폐쇄할 수 있다. 감속 부재(36)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로의 도어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은 전체 개방 상태 근방에서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도어(7)를 도어 폐쇄하는 기동력이 작아서 양호하고, 조작감이 좋다.
도어의 도어 폐쇄 도중에는, 제 4 연결점(22)의 틈새에 의한 상부 도어(6)의 흔들림을 가이드 돌기부(24)와 가이드 홈부(25)에 의해 규제하고 있으므로, 하부 도어(7)에 관한 상부 도어(6)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어 있다. 그 결과, 도어 폐쇄 동작에 있어서, 상부 도어(6)가 하부 도어(7)에 선행해서 도어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고 하는 소정 동작이 확실하게 실현된다. 이에 의해, 상부 도어(6)에 부착된 도어사이 밀봉 부재(9)를 하부 도어(7)에 마련한 도어사이 밀봉 받침대(7b)에 의해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도어가 도어 폐쇄하기 직전은, 상부 도어(6)가 이미 도어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도어(6)에 의한 도어 폐쇄 방향의 모멘트는 제로로 되고, 도어의 연동 기구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도어 개방 방향으로 급격하게 커진다. 전술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모멘트는 하부 도어(7)를 도어 폐쇄하는 데에 필요한 힘이 되므로, 가능하면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상부 도어(6)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모멘트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부 도어(6)를 가볍게 하면 좋지만, 상부 도어(6)에는 내부의 확인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강화 유리제의 창(1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부 도어(6)는 구성상에서도 경량화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부 도어(6)의 자중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서, 상부 도어(6)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상쇄하도록 제 2 동작 규제부(14)에 제 2 스프링(31)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스프링(31)에 의해, 상부 도어(6)를 경량화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실현하고 있다.
상부 도어(6)에 식기(3) 등이 돌출 연장되는 것에 의해, 상부 도어(6)가 소정의 도어 폐쇄 위치보다 상방에 존재할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 돌기부(44)가 제 1 상부 도어 돌기부(42)와 접촉하기 때문에, 하부 도어(7)를 도어 폐쇄 위치까지 폐쇄할 수 없다. 그 결과, 로크부(19)를 걸림고정부(18)에 걸림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를 운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하부 도어(7)를 억지로 강행하여 도어 폐쇄하려고 하면, 상부 도어(6)는 하방향으로 끌어당겨 안으로 넣어지지만, 하부 도어 돌기부(44)의 상단이 제 2상부 도어 돌기부(43)의 하단에 걸려서, 상부 도어(6)의 동작을 완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하부 도어(7)를 도어 폐쇄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부 도어(6)가 부상된 밀봉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식기 세척기가 운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부 및 하부 도어(6, 7)의 개폐 기구는 세정조(2), 및 상부 및 하부 도어(6, 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도어 폐쇄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식기 세척기를 부엌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상부 도어(45)의 하단을 본체(47)의 외곽의 대략 원호형상 부분의 하방으로 한 것으로, 상부 도어(45)가 대략 원호형상과 대략 평면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기 세척기는 싱크대(46)의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체(47)의 전면을 싱크대(46)측을 향해서 설치하는 측면 설치와, 본체(47)의 측면을 싱크대(46)측을 향해서 설치하는 정면 설치의 두개의 이용 형태가 많다. 도어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 측면 설치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하부 도어(48)는 싱크대(46)내의 수도꼭지(49)를 향해서 돌출된다. 한편, 정면 설치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하부 도어(48)는 부엌 카운터(50)상의 조리 스페이스를 덮도록 돌출한다.
최근, 대형의 식기나 조리 기구 등의 세정도 가능한 대용량 타입의 식기 세척기가 소망되고 있고, 부엌 카운터(50)상의 한정된 설치 면적에서 대용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키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부 도어(45)의 대략 원호형상부의 하단(45E)을 본체(47)의 외곽의 대략 원호형상 부분의 하단부(51) 근방으로 했을 경우에는, 하부 도어(48)가 길어진다. 그 때문에, 도어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 하부 도어(48)가 수도꼭지에 간섭되거나, 조리 스페이스를 없어지게 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키가 큰 대용량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도어(45)와 하부 도어(48)의 분할을 본체(47)의 외곽의 대략 원호형상 부분(51)보다도 하방에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부 도어(48)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서, 도어의 도어 개방시 하부 도어(48)의 전방으로의 돌출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도어(45)의 하단(45E)이 원호형상부의 종단(45R)을 초과한다. 그 때문에, 하단(45E)과 종단(45R) 사이에 직선 형상부가 형성되는 만큼 상부 도어(45)가 길어진다. 즉, 상부 도어(45)의 직선 형상부의 일부는 도어의 도어 개방시에 상부 도어(45)가 개구부(52)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키가 높을 경우에는, 개구부(52)의 상단 위치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세척기내에의 접근에 상부 도어(45)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1)에 마련한 가이드 홈부(25)는, 상부 도어(6)가 도어 폐쇄 상태에서는 제 4 연결점(22)이 틈새를 갖도록 가이드 돌기부(24)의 소정 동작 영역을 갖고,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제 4 연결점(22)의 틈새를 없애도록 가이드 돌기부(24)의 동작을 규제하는 형상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상부 도어(6)가 도어 개방 상태에서 제 4 연결점(22)이 틈새를 갖도록 가이드 홈부(25)와 가이드 돌기부(24)의 상대 위치 및 형상을 설정하면, 상부 도어(6)의 도어 개방 상태에 있어서, 또한 틈새 만큼, 더욱 상부 도어(6)를 상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개구부(5)를 보다 크게 개구할 수 있고, 피세정물의 출납 시에 상부 도 어(6)가 방해되지 않고, 또한 사용이 편리한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고품질의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며, 식기 세척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도어를 사용하는 세탁기, 세정기 등 각종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확실하게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고, 또한 도어의 전체 개방시의 충격이나 리바운드를 충분히 제압하는 것이 가능한 고품질의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전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상부 도어와,
    상기 개구부 주위에 마련된 밀봉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와 압접하는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와,
    상기 상부 도어를 지지하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 제 1 연결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정조 측벽의 제 1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1 동작 규제부와,
    일단이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 제 2 연결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정조 측벽의 제 2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2 동작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도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점과 상기 제 1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제 2 연결점과 상기 제 2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상부 도어 밀봉 받침대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점과 상기 제 1 지지축을 각각 상기 제 2 연결점과 상기 제 2 지지축보다도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상기 제 1 지지축과 상기 제 2 지지축을 각각 상기 제 1 연결점과 상기 제 2 연결점보다 상방에 마련하고, 또한 상기 제 1 연결점과 상기 제 1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가 상기 제 2 연결점과 상기 제 2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는 전면으로부터 상부의 중앙에 걸쳐서 원호형상이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 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의 근방까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상부 형상이 상기 본체의 상부 형상과 동일한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형상은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방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이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 전면으로부터 상기 원호형상의 정부의 근방까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상부 형상이 상기 본체의 상부 형상과 동일한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하단에서 축지지되어 하방으로 개방되는 하부 도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제 1 동작 규제부와 상기 제 2 동작 규제부에 의해 상기 본체 상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의 결합부가 상기 본체의 원호형상의 단부 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를 연동해서 개폐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도어 또는 상기 하부 도어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동 기구는 다른쪽의 도어를 전체 개방 방향으로 소정량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를 각각 지지하는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의 연결점과 상기 하부 도어의 연결점에 의해 상기 도어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연결점 및 상기 하부 도어의 연결점중 어느 하나의 연결점은 상기 상부 도어 또는 상기 하부 도어중 어느 한쪽이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만 틈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중 어느 한쪽의 도어가 개폐 동작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단독으로 소정량 동작 가능한 다른쪽의 도어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한쪽의 도어가 도어 폐쇄 상태에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한쪽의 도어가 도어 폐쇄 상태에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도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를 자동적으로 도어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 개방 상태까지 개방하는 자동 도어 개방 기구와,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의 자동 도어 개방 동작을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 감속시키는 감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 기구의 감속력이 상기 상부 도어 또는 상기 하부 도어의 전체 개방 상태 근방에서 최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는,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를 각각 지지하는 도어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접동부와,
    상기 상부 도어 또는 상기 하부 도어중 어느 한쪽의 도어 개방 도중으로부터 전체 개방 상태에 걸쳐서 상기 접동부에 접촉하는 감속 부재와,
    상기 감속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회전 지지축과,
    상기 감속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부와 상기 감속 부재의 접촉 후, 상기 상부 도어 및 상기 하부 도어중 어느 한쪽의 도어의 개방량이 커지는데에 비례해서,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이 커지고, 또한 상기 접동부와 상기 감속 부재의 접촉점이 상기 회전 지지축에 근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와 상기 감속 부재중 적어도 한쪽이 고 접동 그레이드의 수지 재료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70035872A 2006-04-14 2007-04-12 식기 세척기 KR100834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1783A JP4407664B2 (ja) 2006-04-14 2006-04-14 食器洗い機
JP2006111782A JP4449937B2 (ja) 2006-04-14 2006-04-14 食器洗い機
JPJP-P-2006-00111781 2006-04-14
JPJP-P-2006-00111782 2006-04-14
JP2006111781A JP4561681B2 (ja) 2006-04-14 2006-04-14 食器洗い機
JPJP-P-2006-00111783 2006-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411A KR20070102411A (ko) 2007-10-18
KR100834204B1 true KR100834204B1 (ko) 2008-05-30

Family

ID=3881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872A KR100834204B1 (ko) 2006-04-14 2007-04-12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4204B1 (ko)
TW (1) TW20080624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472A (ja) 1998-11-27 2000-06-13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2001327452A (ja) 2000-05-23 2001-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3180595A (ja) 2001-12-21 2003-07-0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5245641A (ja) 2004-03-03 2005-09-1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KR20050095008A (ko) * 2004-03-24 2005-09-29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472A (ja) 1998-11-27 2000-06-13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2001327452A (ja) 2000-05-23 2001-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3180595A (ja) 2001-12-21 2003-07-0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5245641A (ja) 2004-03-03 2005-09-1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KR20050095008A (ko) * 2004-03-24 2005-09-29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6241A (en) 2008-02-01
TWI325310B (ko) 2010-06-01
KR20070102411A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8985B1 (en) Dishwasher with tension adjustment system
KR10072632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US7438076B2 (en) Dispenser device particularly for dishwashing machines
EP3108791B1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inge for a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KR100642168B1 (ko) 식기 세정기
KR100385271B1 (ko) 식기 세척기
JP4561681B2 (ja) 食器洗い機
KR100687970B1 (ko) 식기 세척기
KR100834204B1 (ko) 식기 세척기
KR100682155B1 (ko) 식기 세척기
JP4281757B2 (ja) 食器洗い機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KR100566618B1 (ko) 식기 세척기
JP4407664B2 (ja) 食器洗い機
JP3933166B2 (ja) 食器洗い機
KR100948717B1 (ko) 식기 세척기
JP2007196005A (ja) 食器洗い機
JP4650329B2 (ja) 食器洗い機
JP4474819B2 (ja) 食器洗浄機
JP4994132B2 (ja) 昇降式吊戸棚
JP4387321B2 (ja) 食器洗浄装置
JP4020525B2 (ja) 食器洗浄機
KR950005948Y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완충장치
KR101178983B1 (ko) 식기 세척기
JP3985809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