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008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008A
KR20050095008A KR1020040019986A KR20040019986A KR20050095008A KR 20050095008 A KR20050095008 A KR 20050095008A KR 1020040019986 A KR1020040019986 A KR 1020040019986A KR 20040019986 A KR20040019986 A KR 20040019986A KR 20050095008 A KR20050095008 A KR 2005009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hinge
hook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618B1 (ko
Inventor
권정열
김경수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6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05Electron or ion-optic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electrons or ions according to their energy or m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열림 높이를 작게 하여 설치 공간 제약을 축소하고, 헹굼후 건조시에는 도어가 약간 열림되도록 하여 건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식기 수납함(114)이 인출 가능하게 일측에 개방구(113)가 형성된 내부 케이스(111)와, 상기 내부 케이스(111)의 양측 바깥면에 일단이 제1고정 회전축(123)으로 결합되어, 내부 케이스(111)의 개방구(113) 전방으로 열리는 하부 도어(120)와, 상기 하부 도어(120)의 각 제1고정 회전축(123) 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 거리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이동 회전축(131)이 결합된 하부 힌지(130)와, 상기 하부 힌지(130)의 제1이동 회전축(13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제2이동 회전축(141)이 결합된 연동 링크(140)와, 상기 연동 링크(140)와 제2이동 회전축(141)으로 중앙 영역이 결합되고, 일단은 내부 케이스(111)의 바깥면에 제2고정 회전축(151)으로 결합된 상부 힌지(150)와, 상기 상부 힌지(150)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구(113)의 전방을 따라서 내부 케이스(111)의 상면으로 열리는 상부 도어(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어 열림 높이를 작게 하여 설치 공간 제약을 축소하고, 헹굼후 건조시에는 도어가 약간 열리도록 하여 건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식기 세척기(10')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도어가 열리고 수납함이 배출된 상태의 식기 세척기(10')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 세척기(10')는 수납함(11')이 설치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전방 상부에 손잡이(13')가 형성되고, 하단은 회전축(14')으로 상기 본체(12')에 결합된 도어(1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10')는 도어(15')가 한 개이기 때문에 도어(15') 열림시의 전체 폭 및 본체(12')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없고, 따라서 통상은 내부 깊이를 깊게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본체(12')의 내부 깊이가 깊으면, 식기 수납함(11')의 먼곳에까지 식기를 배치하여야 함으로써, 식기 수납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15')가 한 개이기 때문에, 그 높이가 비교적 높아서, 식기를 넣기 위해 도어(15')를 열었을 때 앞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는 문제도 있다. 즉, 일부 설치 조건에서는 상기 도어(15')가 주방의 수도꼭지 등에 걸리는 문제가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다른 식기 세척기(20')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를 참조하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식기 세척기(20') 측면 부분 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식기 세척기(20')는 수납함이 설치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전방 상부에 회전축(22')으로 결합된 상부 도어(23')와, 상기 상부 도어(23')의 하부에 회전축(24')으로 본체(21')에 결합된 하부 도어(25')와, 상기 상부 도어(23') 및 하부 도어(25')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상부 도어(23') 및 하부 도어(25') 사이에 설치된 연동 링크(26') 및 하부 힌지(27')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20')는 도어가 상부 도어(23')와 하부 도어(25')로 나뉘어져 있음으로써, 높이를 높게 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식기 수납함을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내부 깊이도 깊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기 세척기(20')도 상부 도어(23')가 열렸을 때 그 상부 도어(23')의 상단 높이가 본체(21')의 높이에 비해 과도하게 높아짐으로써, 설치 공간에 많은 제약이 있다. 더욱이, 본체(21')에서 수납함을 꺼낸 후 그릇을 수납하고 다시 그 수납함을 밀어 넣을 때 상기 그릇이 상부 도어(23')의 하단에 걸리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더불어, 상기 식기 세척기(20')는 식기 세척중 상부 도어(23') 및 하부 도어(25')의 내측면에 맺힌 물방울이 도어 개방시 식기 세척기 외부로 그대로 누출되는 문제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다른 식기 세척기(30')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107640 참조)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2개의 도어체(18')[하부 도어체(51')와 상부 도어체(52')]를 포함하고, 하부 도어체(51')는 추축(53')에 의해 본체(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부 도어체(52')는 지지 수단으로서 마련한 2개의 회전 아암(54', 55')을 이용하여, 추축(56', 57')에 의해 상부 도어체(52')에, 추축(58', 59')에 의해 본체(1')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를 연동하는 연동 수단으로서 연동 링크(60')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한쪽 단부측은 하부 도어체(51')와 일체적으로 구성한 추축(61')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측은 상부 도어체(52')의 지지 수단인 회전 아암(54')상의 추축(62')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추축(62')과 결합하는 연동 링크(60')의 구멍부(63')는 여유를 마련한 긴 구멍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추축이나 상기 회전 아암, 연동 수단(60') 등의 지지 수단은 도어체(18')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어체(18')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부(64')는 하부 도어체(51')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30')는, 2개로 분할된 상, 하부 도어체(52', 51')가 상하로 각각 개폐하는 구성이며, 추축(53')의 회전에 의해서 하부 도어체(51')는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하고, 2개의 회전 아암(54', 55')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상부 도어체(52')는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때, 회전 아암(54', 55')의 길이는 달라 상부 도어체(52')는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연동 수단인 연동 링크(60')는 하부 도어체(51')와 상부 도어체(52')를 지지하는 회전 아암(54')을 연결하고 있어, 한쪽의 도어체를 이동시키면 다른쪽의 도어체도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 때문에, 2개의 도어체(18')를 개방할 필요가 없고, 한 번의 개방조작으로 2개의 도어체(18')를 한꺼번에 개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추축(62')과 결합하는 구멍부(63')는 긴 구멍형상으로, 연동 링크(60')에 의해서 연동하지 않는 영역을 만들어 낸다. 하부 도어체(51')의 핸들부(64')를 인출한 경우, 하부 도어체(51')를 약간 이동시키더라도, 추축(62')과 긴 구멍(63')의 여유에 의하여 추축(62')부는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도어체(52')는 전혀 이동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그 이상 하부 도어체(51')를 인출하면, 연결 링크(60')의 작용에 의해서,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는 연동하여, 도 3b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상하의 도어체(18')는 동시에 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30')도 도어체의 열림시 그 상부 도어체(52')가 본체(1')의 상면과 너무 멀게 이격되어 위치됨으로써, 그 식기 세척기(30')의 설치 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상부 도어체(52')가 본체(1')의 상면과 거의 밀착되면 그 설치 공간을 작게 사용해도 되는데, 상술한 연동 링크(60') 및 회전암(55',54')의 상호 결합 구조로 인해 상부 도어체(52')가 본체(1')의 상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도어체의 닫힘시, 하부 도어체(51') 및 상부 도어체(52') 각각에는 그 닫힌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는 부재가 결여되어 있음으로써, 식기 세척 작업중 물이 도어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커 제품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열림 높이를 작게 하여 설치 공간 제약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열림시 도어 내측면에 맺힌 물방울이 식기 세척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헹굼후 건조시에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자동적으로 약간 열리도록 하여 건조 시간을 대폭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열림시 상부 도어가 수직 상승후 일정 각도 회전하여 본체의 상면에 위치함으로써, 상부 도어와 본체 상면 사이의 간격을 더욱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도어의 닫힘시 그 상부 도어의 닫힘력을 최소화하여 닫힘 동작이 작은 힘으로도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도어 개방시 급낙하를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 수납함이 인출 가능하게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양측 바깥면에 일단이 제1고정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내부 케이스의 개방구 전방으로 열리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각 제1고정 회전축 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 거리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이동 회전축이 결합된 하부 힌지; 상기 하부 힌지의 제1이동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제2이동 회전축이 결합된 연동 링크; 상기 연동 링크와 제2이동 회전축으로 중앙 영역이 결합되고, 일단은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 제2고정 회전축으로 결합된 상부 힌지; 및, 상기 상부 힌지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구의 전방을 따라서 내부 케이스의 상면으로 열리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연에는 상기 하부 힌지, 연동 링크 및 상부 힌지를 덮도록 외부 케이스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개방구와 근접한 상,하,좌,우면에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닫혔을 때 밀착되는 밀봉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제1고정 회전축에서 하부 힌지의 제1이동 회전축까지의 거리는, 하부 도어의 열림 각도에 비하여 상부 도어의 열림 각도가 작도록, 상기 상부 힌지의 제2고정 회전축에서 제2이동 회전축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제1고정 회전축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인 동시에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힌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는 판 형태의 내부 패널; 상기 내부 패널의 중앙에 위치된 동시에 상단 양측이 제3고정 회전축으로 결합된 도어 버튼; 상기 도어 버튼의 외주연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패널의 양측단까지 연장된 도어 후크 회전축;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의 하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상기 도어 버튼에 일측이 결합된 도어 후크 누름판; 및,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 패널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됨으로써, 하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결정하는 도어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과 내부 패널 사이에는,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후크 회전축용 스프링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는 상기 하부 도어의 도어 후크가 결합 및 분리되는 래치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 후크가 결합되어 밀착 및 분리되는 래치 후크; 상기 래치 후크의 일측에 제4고정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4고정 회전축에는 상기 도어 후크의 접촉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된 래치 레버; 상기 래치 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 도어의 개폐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래치 레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 입력시 상기 래치 레버를 상부로 밀어서 상기 도어 후크가 레치 후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엑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치 레버의 하부로는 상기 엑튜에이터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일정 길이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는 "T"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제2이동 회전축으로 연동 링크의 상단이 결합되고, 일단은 제2고정 회전축으로 내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타단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 도어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2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에 결합된 제2고정 회전축은,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서 일정 거리 수직 승강이 가능하게, 타원형 홈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힌지의 제2고정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수직 승강 및 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힌지의 제2고정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와 그 상부의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부 도어의 열림 시점 또는 닫힘 종점 근처에서 상기 상부 도어가 일정 거리 수직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수직 상승용 스프링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와 그 하부의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하부 도어의 급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낙하 방지용 스프링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는 상기 상부 힌지의 걸림턱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후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내부 케이스에 결합된 제5고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길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힌지의 걸림턱에 결합 및 분리되는 상부 힌지 후크; 및, 상기 상부 힌지 후크에 대하여 대략 직각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보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판과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상부 도어의 닫힘시 상기 상부 힌지가 상기 수직 상승용 스프링의 인장력을 극복하여 상기 상부 힌지 후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이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조판의 후방측에는 상기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에 의해 상부 힌지 후크 및 보조판이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보조판 걸림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의 상단은 상기 내부 케이스를 향하여 일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상단에는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는 상기 상부 도어의 라운드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평탄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는 그릇의 건조시에 수증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단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단 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단 커버의 상부에는 하부 도어에서 내부 케이스 내측으로 향하는 배선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배선을 감싸는 커버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의 열림 정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프레임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힌지에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는 하부 힌지, 연동 링크 및 상부 힌지로 이루어진 간단한 도어 개폐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장 발생 확률을 줄이는 동시에,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또한 상부 도어가 식기 세척기의 상면으로 열림으로서, 싱크대와 싱크장 사이의 거리가 좁다고 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열림시 그 전단이 하부 도어의 내부 패널과 대응됨으로써, 상부 도어의 내부 패널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이 모두 하부 도어의 내부 패널 위에 모이게 됨으로써, 식기 세척기 외부로는 물이 전혀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도어에 도어 후크가 설치되고, 하부 도어에 의해 상부 도어가 밀착되어 닫히도록 단턱이 형성됨으로서, 도어의 닫힘 상태가 더욱 완벽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래치부를 채택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식기 건조 중에는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약간 열어서 건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열림시 일정 거리 수직 상승후, 일정 각도 회전하여 식기 세척기의 상면에 위치됨으로써, 상부 도어와 식기 세척기 상면 사이의 간격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식기 세척기의 설치 공간을 더욱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의 상단은 더욱 작은 반경으로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평탄면도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닫힘시 일정 각도 회전 후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개방구 주변에 형성된 밀봉재에 밀착됨으로써, 상부 도어와 밀봉재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힌지에 낙하 방지용 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 열림시 상기 하부 도어의 급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100)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100)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를 참조하면, 도어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100)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10)(내부, 외부, 상부, 하부 케이스(111,112,1113,1114))와, 상기 케이스(110)의 양측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개폐되는 하부 도어(120)와, 상기 하부 도어(120)에 고정된 하부 힌지(130)와, 상기 하부 힌지(130)에 하단이 결합된 연동 링크(140)와, 상기 연동 링크(14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 힌지(150)와, 상기 상부 힌지(150)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도어(120)와 연동하여 상방향으로 개폐되는 상부 도어(16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크게 내부 케이스(111)와 외부 케이스(1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개방구(113)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태를 한다. 물론, 상기 내부 케이스(111)의 내측에는 세척조가 형성되어 식기 수납함(114)이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케이스(111)의 바깥면에는 상술한 하부 힌지(130), 연동 링크(140) 및 상부 힌지(150) 등이 위치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 요소는 상기 외부 케이스(112)에 의해 밖에서 보이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개방구(113)와 근접한 상,하,좌,우면의 내부 케이스(111)에는 하부 도어(120) 및 상부 도어(160)가 닫혔을 때 밀착되어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봉재(115)가 더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 도어(120)는 대략 사각판 형태로서 내부 패널(121)과 외부 패널(12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도어(12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1)의 양측 바깥면에 전방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 채 결합된 힌지 프레임(116)에 후단이 제1고정 회전축(123)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120)는 상기 제1고정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개방구(113) 전방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어(12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하단 커버(117)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하부 도어(120)의 열림 각도는 대략 90°정도로 제한된다.
상기 하부 힌지(130)는 상기 하부 도어(120)의 제1고정 회전축(123) 전방에 일단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일정거리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이동 회전축(13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힌지(130)는 하부 도어(120)의 닫힘시에는 대략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하부 도어(120)의 열림시에는 대략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연동 링크(140)는 하단은 상기 하부 힌지(130)의 제1이동 회전축(131)에 결합되고, 상단에는 제2이동 회전축(141)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연동 링크(140)는 상기 하부 도어(120)가 열리거나 닫혀 있는 모든 상태에서 지면과 대략 수직하게 위치되어 있으나, 상기 하부 도어(120)가 열려 있을 때는 일정 거리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개방구(113)쪽으로 더욱 근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상부 힌지(150)는 상기 연동 링크(140)와 제2이동 회전축(141)으로 중앙 영역이 결합되어 있고, 일단은 내부 케이스(111)의 바깥면에 제2고정 회전축(151)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도어(160)와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힌지(150)는 대략 T자형 또는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 힌지(15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제2이동 회전축(141)으로 연동 링크(140)의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일단은 제2고정 회전축(151)으로 내부 케이스(111)의 타원형 홈부(118)에 설치된 제1영역(15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힌지(150)는 상기 제1영역(152)의 타단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고, 상단은 상부 도어(160)에 고정된 동시에 하단에는 걸림턱(153)이 형성된 제2영역(154)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부 힌지(150)는 상부 도어(160)가 열릴 경우에는 상기 제2고정 회전축(151)이 타원형 홈부(118)를 따라 상부로 일정 거리 상승한 후, 그 상승점에서 다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도어(160)는 열림시 일정 거리 수직 상승후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부 도어(160)가 닫힐 경우에는 상기 제2고정 회전축(151)이 타원형 홈부(118)의 상부에서 일정 각도 회전 운동한 후, 닫힘 종점 근처에서 상기 제2고정 회전축(151)이 수직 하강 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도어(160)는 닫힘시 일정 각도 회전한 후 수직 하강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내부 케이스(111)에는 상기 상부 힌지(150)의 제2고정 회전축(151)이 안정적으로 수직 승강 및 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힌지(150)의 제2고정 회전축(151)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대(1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힌지(150)와 그 상부의 내부 케이스(111) 사이에는 상부 도어(160)의 열림 시점 또는 닫힘 종점 근처에서 상기 상부 도어(160)가 일정 거리 수직 상승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힌지(150)와 그 하부의 내부 케이스(111) 사이에도 하부 도어(120)의 급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낙하 방지용 스프링(157)이 더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 도어(160) 역시 대략 사각 판 형태로서 내부 패널(161) 및 외부 패널(16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부 도어(160)는 내부 패널(161)의 양측면 중앙이 상기 상부 힌지(150)의 전단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160)는 상술한 상부 힌지(150)의 회전에 의해 식기 세척기 상면으로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160)에는 식기 건조중 습기 및 열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16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구(163)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면상 다수회 절곡된 형태를 함으로써, 식기 세척중 물방울이 상기 배기구(163)를 통하여 외부로 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 도어(160)의 하단에도 밀봉재(166)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하부 도어(120)에 밀착되어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160)가 열렸을 때 그 내부 패널(161)은 하부를 향하고 있음으로써, 식기 세척중 부착된 물방울이 하부로 낙하되어 식기 세척기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도어(120)의 제1고정 회전축(123)에서 하부 힌지(130)의 제1이동 회전축(131)까지의 거리가, 상기 상부 힌지(150)의 제2고정 회전축(151)에서 제2이동 회전축(141)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음으로써, 하부 도어(120)의 열림 각도에 비하여 상부 도어(160)의 열림 각도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160)의 내부 패널(161) 전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물방울은 상기 하부 도어(120)의 내부 패널(121) 위에 모두 모이게 되고, 따라서 식기 세척기 외부로 물이 누출되지 않게 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중 하부 도어(120)로서 외부 패널(122)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를 참조하면, 하부 도어(120)의 닫힘 상태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c를 참조하면, 하부 도어(120)가 약간 열린 상태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d를 참조하면, 하단 커버(117)의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도어(120)는 대략 사각판 형태의 내부 패널(1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부 패널(121)의 중앙에는 상단 양측이 제3고정 회전축(124)으로 결합된 도어 버튼(12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버튼(125)의 외주연에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패널(121)의 양측단까지 연장된 도어 후크 회전축(126)이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126)의 하단으로는 일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상기 도어 버튼(125)에 일측이 결합된 도어 후크 누름판(12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126)의 끝단에는 내부 패널(121)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됨으로써, 하부 도어(120)가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도어 후크(12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126)과 내부 패널(121) 사이에는, 도어 후크 회전축(126)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도어 후크(128)가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후크 회전축용 스프링(129)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11)의 바깥면에 상기 하부 도어(120)의 도어 후크(128)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래치부(17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래치부(170)는 상기 도어 후크(128)가 결합되어 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래치 후크(1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치 후크(171)의 후방측에는 제4고정 회전축(17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4고정 회전축(172)에는 상기 도어 후크(128)의 접촉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래치 레버(173)가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래치 레버(173)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 도어(120)가 열렸을 때 모든 식기 세척 공정이 정지되도록 소정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7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 후크(128)가 래치 후크(171)로부터 해제되면, 제4고정 회전축(172)에 결합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 레버(17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래치 레버(173)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174)의 접점 상태가 변화된다. 물론, 이러한 스위치(174)의 접점 상태 변화에 의해 모든 식기 세척 공정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래치 레버(173)의 하부에는 전기적 신호 입력시 상기 레치 레버를 상부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도어 후크(128)가 래치 후크(171)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엑튜에이터(17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 레버(173)의 하부로는 상기 엑튜에이터(175)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돌기(17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엑튜에이터(175)는 예를 들면, 식기 세척후 건조 단계에서 작동한다. 즉, 건조 공정에서는 열풍이 식기 수납함(114)에 제공되는데 이러한 열풍 및 이로 인한 수증기는 상부 도어(160)에 형성된 배기구(163)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배기구(163)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열풍 및 수증기의 배출시간이 장기간 소비되고, 이로 인해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술한 엑튜에이터(175)가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엑튜에이터(175)에 의해 돌기(176)가 밀어 올려짐으로써 래치 레버(173)가 제4고정 회전축(17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작동에 의해 도어 후크(128)는 래치 후크(171)로부터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도어(12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열린다. 물론, 이러한 약간의 열림후에는 상부 힌지(150)에 결합된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의 인장력에 의해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물론, 상기 상부 도어(160)는 상부 힌지(150)에 결합된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의 인장력에 의해 상부로 약간 수직 상승하게 되어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 단계에서 상기 하부 도어(120) 및 상부 도어(160)가 약간 열림으로써, 그 사이의 공간으로 열풍 및 수증기가 신속하게 배출되고, 이로 인해 건조 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전력 소비량도 줄어들고, 건조 성능도 우수하게 된다.
한편,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방에는 상기 하부 도어(120)의 열림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프레임(116)에 돌기부(11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힌지(130)에는 걸림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된 하단 커버(117)가 더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하단 커버(117)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도어(120)에서 케이스(110) 내측으로 향하는 배선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그 배선(도시되지 않음)을 감싸는 커버 돌기(119)가 더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100)중 상부 힌지(150)가 후크부(180)에 결합된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를 참조하면, 상부 힌지(150)가 후크부(180)로부터 해제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100)는 하부 도어(120)에만 도어 후크(12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도어(120)의 닫힘시 하부 도어(120)는 도어 후크(128)가 래치부(170)에 결합됨으로써, 그 닫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하부 도어(120)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상부 도어(160)에는 도어 후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더구나, 상부 도어(160)를 수직 상승시키기 위한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이 상부 힌지(150)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상부 도어(160)가 완벽하게 닫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도어(120)의 상단에 단턱(120a)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120a)이 상부 도어(160)에 형성된 단턱(160a)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도어(160)의 닫힘력도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 도어(160)의 단턱(160a)에는 밀봉재(166)가 형성되어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도어(160)의 닫힘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부 힌지(150)에 형성된 걸림턱(153)에 결합 및 분리되는 후크부(180)를 채택하였다.
이러한 후크부(18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11)에 제5고정 회전축(18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5고정 회전축(181)을 중심으로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5고정 회전축(181)을 중심으로 일정 길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상부 힌지(150)의 걸림턱(153)에 직접 결합 및 분리 될 수 있도록 힌지 후크(18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힌지 후크(182)에 대하여 대략 직각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보조판(18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판(183)과 내부 케이스(111) 사이에는 상기 상부 도어(160)의 닫힘시 상기 상부 힌지(150)가 상기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의 인장력을 극복하고 걸림턱(153)이 힌지 후크(18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즉, 상부 도어(160)의 닫힘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184)이 더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판(183)의 후방측에는 상기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184)에 의해 힌지 후크(182) 및 보조판(183)이 과도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지 않도록 보조판 걸림턱(18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부 도어(160)가 열릴 때는 상부 힌지(150)가 제2고정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 힌지(150)에 형성된 걸림턱(153)이 상기 힌지 후크(182)로부터 분리된다. 물론 이러한 상부 힌지(150)의 걸림턱(153)과 힌지 후크(182)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상기 상부 힌지(150)의 걸림턱(153)에는 일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153)과 접촉되는 힌지 후크(182)도 직각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약간 경사진 경사면(18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160)가 닫힐 경우에는 상기 상부 힌지(150)의 걸림턱(153)이 상기 힌지 후크(182)의 전면(187)을 밀면서 이동하여, 결국은 상기 힌지 후크(182)의 경사면(186)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조판(183)은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184)에 의해 지면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되며, 상기 상부 힌지(150)의 걸림턱(153)은 힌지 후크(182)에 강하게 결합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중 상부 힌지(150)의 수직 승강 작용에 의한 상부 도어(160)의 열림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b를 참조하면, 상부 힌지의 수직 승강 작용이 없을 경우 상부 도어 열림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힌지(150)에 결합된 제2고정 회전축(151)이 상,하로 일정 거리 수직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60)는 최초 열림시에 일정 구간에서 상부 힌지(150)의 제2고정 회전축(151)이 B에서 B'로 수직 상승한 후, B'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E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부 도어(160)의 열림 높이 D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제2고정 회전축(151)의 구조로 인하여 상부 도어(160)의 상단에는 최소 반경을 갖는 라운드부(164)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평탄면(16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도어(160) 및 케이스(110)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상부 도어(160)의 닫힘시 수직 하강하여 밀봉재(115)를 밀착하게 됨으로써, 그 밀착력도 향상된다. 물론, 상기 상부 도어(160)의 라운드부(164) 및 평탄면(165)과 밀착되는 내부 케이스(111)에도 이와 취합될 수 있도록 라운드부(1111) 및 평탄면(11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 회전축(151)이 하나의 회전축 B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면, 도 8a에서 내부 케이스(111)에 형성된 평탄면(1112)의 간섭을 받게 되므로, 이를 회피하게 위해 상부 도어(160)에 형성된 라운드부(1111)의 길이 즉, E'가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E'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부 도어(160)의 열림 높이는 D가 아닌 D'가 됨으로써, 열림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상부 도어(160)의 상단 디자인도 제조하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또한 상부 도어(160)의 닫힘시 밀봉재(115)를 상기 상부 도어(160)가 스치면서 가압하는 구조가 되어 그 밀착성도 좋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사용자는 내부 케이스(111) 내의 수납함(114)을 꺼내서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 하부 도어(120)의 버튼(125)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도어 버튼(125)이 제3고정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 후크 누름판(127) 및 도어 후크 회전축(126)도 연동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126)의 단부에 형성된 도어 후크(128)가 래치부(170)의 래치 후크(171)로부터 해제되어 하부 도어(120)가 열리기 시작한다.
물론, 상기 래치부(170)의 래치 레버(173)는 도어 후크(128)의 접촉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대략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174)의 접점 상태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174)의 접점 상태가 변하면 식기 세척 단계, 헹굼 단계 및 열풍 건조 단계 등이 자동적으로 중단되어 물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고, 또한 안전 사고도 예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 도어(120)가 열리기 시작하면, 상기 하부 도어(120)는 힌지 프레임(116)에 결합된 제1고정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도어(120)에 결합된 하부 힌지(130) 역시 상기 제1고정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하부 힌지(130)의 단부에 결합된 제1이동 회전축(131)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 회전축(131)에 결합된 연동 링크(140)도 상부로 일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상부 도어(160)에 결합된 상부 힌지(150)가 제2고정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도어(120)의 최초 열림시 상기 상부 도어(160)에 연결된 동시에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의 인장력에 의해, 상부로 일정 거리 상승후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고정 회전축(151)은 타원형의 홈부(118)에 결합되고, 또한 상부 힌지(150)는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되고 있음으로써, 상기 제2고정 회전축(151)이 상부로 일정 거리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160)는 일정거리 수직 상승후 다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상부 힌지(1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53)은 후크부(180)로부터 슬라이딩되어 해제됨으로써, 그 상승 및 회전 운동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즉, 상기 걸림턱(153)에 형성된 라운드부(158)가 힌지 후크(182)의 경사면(186)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해제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어(120)가 전방을 향하여 대략 90°정도 열리면, 상기 연동 링크(140)의 제2이동 회전축(141) 역시 최상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160)도 식기 세척기의 상면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하부 도어(120)를 닫게 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하부 도어(120) 및 상부 도어(160)가 닫힌다. 즉, 하부 도어(120)는 도어 후크(128)가 래치부(170)에 결합되어 완전 고정되고, 또한 하부 도어(120)의 단턱(120a)이 상부 도어(160)의 단턱(160a)를 감싸며 도어 후크(128)가 래치부(170)에 결합되므로 완전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 도어(160)는 일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수직 하강하여 밀봉재(115)의 거의 법선 방향으로 밀착되고, 따라서 그 밀착력이 더욱 향상된다.
더불어, 건조 공정이 진행되면 상기 래치부(170)의 엑튜에이터(175)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엑튜에이터(175)에 의해 래치부(170)의 돌기(176)가 일정 각도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4고정 회전축(172)을 중심으로 래치 레버(173)가 대략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120)의 도어 후크(128)가 래치 후크(171)로부터 해제된다. 물론, 이와 연동하여 상부 도어(160) 역시 수직 상승용 스프링(156)의 인장력에 의해 상부로 약간 수직 상승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엑튜에이터(175) 작동으로 상기 스위치(174)의 접점 상태가 변하는 경우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이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된다. 즉, 건조 단계에서는 엑튜에이터(175)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하부 도어(120) 및 상부 도어(160)가 약간 열리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접점 스위치(174)가 작동하여도 그 건조 단계가 정지하지 않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하부 도어(120)fmf 잡아당기지 않는 한 하부 도어(120) 및 상부 도어(160)는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 즉, 상부 힌지(150)와 내부 케이스(111) 사이에 설치된 낙하 방지용 스프링(157)에 의해, 상기 상부 힌지(150)의 시계 방향 회전 운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 건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해 전력 소비량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는 하부 힌지, 연동 링크 및 상부 힌지로 이루어진 간단한 도어 개폐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장 발생 확률을 줄이는 동시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가 식기 세척기의 상면으로 열림으로써, 설치 공간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싱크대와 그 상부의 싱크장 사이의 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가 안착되었을 때, 식기 세척기의 상면과 싱크장 사이의 간격이 좁다고 해도 그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상부 도어가 삽입되는 형태로 열림으로써,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열림시 그 전단이 하부 도어의 내부 패널과 대응됨으로써, 상부 도어의 내부 패널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이 모두 하부 도어의 내부 패널 위에 모이게 되고 따라서, 식기 세척기 외부로는 물이 전혀 누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도어에 도어 후크가 설치되고, 상부 도어에 결합된 상부 힌지에는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가 더욱 완벽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래치부를 채택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식기 건조 중에는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약간 열어서 건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열림시 일정 거리 수직 상승후, 일정 각도 회전하여 식기 세척기의 상면에 위치됨으로써, 상부 도어와 식기 세척기 상면 사이의 간격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식기 세척기의 설치 공간을 더욱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의 상단은 더욱 작은 반경으로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또한 평탄면도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닫힘시 일정 각도 회전 후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개방구 주변에 형성된 밀봉재에 밀착됨으로써, 상부 도어와 밀봉재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힌지에 낙하 방지용 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 열림시 상기 하부 도어의 급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도어의 닫힘시 상부 힌지가 후크부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하부 도어 뿐만 아니라 상부 도어의 닫힘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식기 세척기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다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종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다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어의 닫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어의 열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중 하부 도어로서 외부 패널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부 도어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c는 하부 도어가 약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d는 하단 커버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중 상부 힌지가 후크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7b는 상부 힌지가 후크부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중 상부 힌지의 수직 승강 작용에 의한 상부 도어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상부 힌지의 수직 승강 작용이 없을 경우의 상부 도어 열림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
110; 케이스 111; 내부 케이스
112; 외부 케이스 113; 개방구
114; 식기 수납함 115; 밀봉재
116; 힌지 프레임 117; 하단 커버
118; 타원형 홈부 119; 커버 돌기
1111; 내부 케이스에 형성된 라운드부
1112; 내부 케이스에 형성된 평탄면
1113; 상부 패널 1114; 하부 패널
120; 하부 도어 121; 내부 패널
122; 외부 패널 123; 제1고정 회전축
124; 제3 고정 회전축 125; 도어 버튼
126; 도어 후크 회전축 127; 도어 후크 누름판
128; 도어 후크 129; 후크 회전축용 스프링
130; 하부 힌지 131; 제1이동 회전축
140; 연동 링크 141; 제2이동 회전축
150; 상부 힌지 151; 제2고정 회전축
152; 제1영역 153; 걸림턱
154; 제2영역 155; 지지대
156; 수직 상승용 스프링 157; 낙하 방지용 스프링
158; 걸림턱에 형성된 라운드부 160; 상부 도어
161; 내부 패널 162; 외부 패널
163; 배기구 164; 상부 도어에 형성된 라운드부
165; 상부 도어에 형성된 평탄면 166; 상부 도어에 형성된 밀봉재
170; 래치부 171; 래치 후크
172; 제4고정 회전축 173; 래치 레버
174; 스위치 175; 엑튜에이터
176; 돌기 180; 후크부
181; 제5고정 회전축 182; 힌지 후크
183; 보조판 184;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
185; 보조판 걸림턱 186; 힌지 후크의 경사면

Claims (24)

  1. 식기 수납함이 인출 가능하게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양측 바깥면에 일단이 제1고정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내부 케이스의 개방구 전방으로 열리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각 제1고정 회전축 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 거리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이동 회전축이 결합된 하부 힌지;
    상기 하부 힌지의 제1이동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제2이동 회전축이 결합된 연동 링크;
    상기 연동 링크와 제2이동 회전축으로 중앙 영역이 결합되고, 일단은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 제2고정 회전축으로 결합된 상부 힌지; 및,
    상기 상부 힌지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구의 전방을 따라서 내부 케이스의 상면으로 열리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연에는 상기 하부 힌지, 연동 링크 및 상부 힌지를 덮도록 외부 케이스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개방구와 근접한 상,하,좌,우면에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가 닫혔을 때 밀착되는 밀봉재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제1고정 회전축에서 하부 힌지의 제1이동 회전축까지의 거리는, 하부 도어의 열림 각도에 비하여 상부 도어의 열림 각도가 작도록, 상기 상부 힌지의 제2고정 회전축에서 제2이동 회전축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제1고정 회전축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인 동시에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힌지 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는
    판 형태의 내부 패널;
    상기 내부 패널의 중앙에 위치된 동시에 상단 양측이 제3고정 회전축으로 결합된 도어 버튼;
    상기 도어 버튼의 외주연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패널의 양측단까지 연장된 도어 후크 회전축;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의 하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상기 도어 버튼에 일측이 결합된 도어 후크 누름판; 및,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 패널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됨으로써, 하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결정하는 도어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과 내부 패널 사이에는, 상기 도어 후크 회전축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후크 회전축용 스프링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는 상기 하부 도어의 도어 후크가 결합 및 분리되는 래치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 후크가 결합되어 밀착 및 분리되는 래치 후크;
    상기 래치 후크의 일측에 제4고정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4고정 회전축에는 상기 도어 후크의 접촉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된 래치 레버;
    상기 래치 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 도어의 개폐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래치 레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 입력시 상기 래치 레버를 상부로 밀어서 상기 도어 후크가 래치 후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엑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의 하부로는 상기 엑튜에이터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일정 길이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는 "T"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제2이동 회전축으로 연동 링크의 상단이 결합되고, 일단은 제2고정 회전축으로 내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타단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 도어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2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에 결합된 제2고정 회전축은,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서 일정 거리 수직 승강이 가능하게, 타원형 홈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힌지의 제2고정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수직 승강 및 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힌지의 제2고정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와 그 상부의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부 도어의 열림 시점 또는 닫힘 종점 근처에서 상기 상부 도어가 일정 거리 수직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수직 상승용 스프링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와 그 하부의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열릴 때 하부 도어의 급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낙하 방지용 스프링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바깥면에는 상기 상부 힌지의 걸림턱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후크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내부 케이스에 결합된 제5고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길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힌지의 걸림턱에 결합 및 분리되는 상부 힌지 후크; 및,
    상기 힌지 후크에 대하여 대략 직각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보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 세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과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상부 도어의 닫힘시 상기 상부 힌지가 상기 수직 상승용 스프링의 인장력을 극복하여 상기 힌지 후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이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조판의 후방측에는 상기 인장력 상쇄용 스프링에 의해 힌지 후크 및 보조판이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보조판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상단은 상기 내부 케이스를 향하여 일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상단에는 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는 상기 상부 도어의 라운드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평탄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그릇의 건조시에 수증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단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단 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단 커버의 상부에는 하부 도어에서 내부 케이스 내측으로 향하는 배선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배선을 감싸는 커버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열림 정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프레임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힌지에는 걸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40019986A 2004-03-24 2004-03-24 식기 세척기 KR10056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86A KR100566618B1 (ko) 2004-03-24 2004-03-24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86A KR100566618B1 (ko) 2004-03-24 2004-03-24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08A true KR20050095008A (ko) 2005-09-29
KR100566618B1 KR100566618B1 (ko) 2006-03-31

Family

ID=3727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986A KR100566618B1 (ko) 2004-03-24 2004-03-2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6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89B1 (ko) * 2006-02-17 2007-11-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정기
KR100832197B1 (ko) * 2006-04-14 2008-05-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0834204B1 (ko) * 2006-04-14 2008-05-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1534561B1 (ko) * 2015-04-23 2015-07-08 김원호 자동차 범퍼 도장 및 건조장치
CN110863728A (zh) * 2019-10-18 2020-03-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联动装置
CN111904351A (zh) * 2019-05-09 2020-11-1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嵌入式洗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58B1 (ko) * 2008-05-23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382486B1 (ko) * 2019-11-28 2022-04-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89B1 (ko) * 2006-02-17 2007-11-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정기
KR100832197B1 (ko) * 2006-04-14 2008-05-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0834204B1 (ko) * 2006-04-14 2008-05-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1534561B1 (ko) * 2015-04-23 2015-07-08 김원호 자동차 범퍼 도장 및 건조장치
CN111904351A (zh) * 2019-05-09 2020-11-1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嵌入式洗碗机
CN110863728A (zh) * 2019-10-18 2020-03-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联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618B1 (ko)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KR100566618B1 (ko) 식기 세척기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CN101991396A (zh) 洗碗机、尤其家用洗碗机
CN210383839U (zh) 一种门体能自动开关的清洗机
CN111493678B (zh) 一种控制面板可翻转的嵌入式家用电器
JP2006198223A (ja) 食器洗浄機
CN103189694B (zh) 冰箱
CN102980369A (zh) 用于冰箱的门托盘和具有该门托盘的冰箱
CN107802224A (zh) 一种洗碗机门衬密封结构
JP4480934B2 (ja) 食器洗い機
CN203083272U (zh) 用于冰箱的门托盘和具有该门托盘的冰箱
KR20160064693A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217610950U (zh) 一种洗碗机
CN218419794U (zh) 一种门机构及家用电器
KR20210036711A (ko) 식기세척기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CN220529962U (zh) 折叠板组件及洗碗机
CN208980960U (zh) 洗涤剂分配器
CN211796292U (zh) 洗碗机
JP4610346B2 (ja) 食器洗浄機
CN210673256U (zh) 洗碗机
CN111202483B (zh) 家用电器
JP5987168B2 (ja) 食器洗い機
JP2006034331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