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889B1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889B1
KR100776889B1 KR1020060034606A KR20060034606A KR100776889B1 KR 100776889 B1 KR100776889 B1 KR 100776889B1 KR 1020060034606 A KR1020060034606 A KR 1020060034606A KR 20060034606 A KR20060034606 A KR 20060034606A KR 100776889 B1 KR100776889 B1 KR 10077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opening
shelf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832A (ko
Inventor
히로아키 이누이
도모유키 기쿠카와
마코토 오야마
도모아키 가지우라
다카시 미야우티
미카 사다히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0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158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05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158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0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767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가 기설되어 있는 키친으로의 설치를 쉽게 한다.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적어도 전면에 설치한 개구부(4)를 개폐하는 도어체(5)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의 상부 형상을, 전면(1a)으로부터 배면(1b)에 걸쳐서 상측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도어의 개폐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식기 배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식기 선반을 끌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도어체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식기 배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단 선반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단 선반의 전후 이동 선반을 끌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단 선반의 높이 조정부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하 이동 선반의 높이를 조정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긴 식기를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긴 식기를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본체 1a : 전면
1b : 배면 1c : 원호 형상부
2 : 세정조 3 : 식기 선반
4 : 개구부 5 : 도어체
6 : 상측 도어 7 : 하측 도어
13 : 세정 노즐 14 : 세정 펌프
23 : 상측 도어 지지부 40 : 후단부
본 발명은 식기의 세정을 실행하는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식기 세정기는, 예컨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식기 선반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쉽게 하기 위해서, 본체(101)에 설치된 개구부(102)는 본체(101)의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그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02)를 개폐하는 도어체는, 상기 본체(101) 상부의 외측으로 개구하는 상측 도어(103)와, 상기 개구부(102)를 하측으로 개구하는 하측 도어(1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의 전면 상부의 형상은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내에는, 식기 등을 세트하는 식기 선반(105)이 개구된 상기 개구부(102)로부터 본 체(101)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19083 호 공보 참조).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도어체는 세정조의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설치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본체의 상측으로 개구하는 상측 도어의 종단면 형상은 세정조의 전면과 상면을 덮기 위해 단일의 평면에서가 아니라, く자형 혹은 대략 곡면 형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본체의 상면이 평면이며, 상측 도어의 종단면의 형상이 대략 く자 형상 혹은 대략 곡면 형상 때문에, く자 형상 혹은 대략 곡면 형상만큼,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본체의 높이(본체의 설치면에서 본체 상면까지의 높이)는 높아진다. 이 때문에, 매단 찬장을 설치한 키친에서는 높이에 제약이 있으므로 설치할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의 키친은 욕조나 급탕기 등의 급탕 설비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키친의 측벽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식기 세정기는, 키친 상면의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벽에 가까이에 배치된다. 종래의 식기 세정기는, 본체의 상면과 배면이 교차하는 각부는 측쪽으로부터 보면 대략 직각을 보이는 동시에, 세정조도 마찬가지로 상면의 후단부가 대략 직각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탁상형 식기 세정기를 키친의 조리대 상에 설치하면, 제어기의 표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생겨서 제어기의 스위치가 조작하기 어려워지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본체 상면과 배면이 교차하는 각부는 대략 직각을 보이는 동시에, 세정조도 마찬가지로 상면 후단부가 대략 직각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세정조의 배면으로부터 상면에 향해 흐르는 세정수가 상면에 접촉하기 어렵고, 상면으로부터 식 기에 내리쏟는 세정수가 적기 때문에, 식기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의 세정 성능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본체 상부의 개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시에 상측 도어가 개구부를 조금이라도 덮지 않도록 돌출량을 적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도어의 개폐시에 상측 도어의 돌출량을 적게 하는 것은, 즉 하측 도어가 길어지는 것이며, 도어의 개구시의 하측 도어의 본체 전방으로의 튀는 양은 많아진다.
그리고, 키친의 싱크 사이드에 식기 세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본체는 놓을 수 있지만, 도어의 개폐시에 수도꼭지에 접촉하기 위해 식기 선반을 인출하기가 어렵고, 식기의 세트성을 현저하게 손상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반대로, 상측 도어의 길이를 길게 한 경우, 도어를 개구했을 때에 개구부의 상단부를 상측 도어를 덮기 위해, 특히 상단 선반의 식기의 세트와 취득을 실행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를 설치한 키친이나, 매단 찬장을 설치함으로써 설치 공간 높이가 낮은 키친에도 설치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 2 목적은 식기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내리쏟는 세정수를 많게 하여 세정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제 3 목적은 식기 선반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용이하게 하여, 식기의 세트성을 각별히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 밖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정기는 본체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식기 세정기를 벽 가까이에 설치해도 제어기에 접촉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제어기의 시인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전면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를 설치한 키친으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어기를 피하기 위해 벽면보다 분리하여 설치할 필요도 없으므로, 키친의 조리대의 작업 스페이스를 좁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한 세정조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고, 상기 세정조에 수용하는 식기 선반을 가지며, 개구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외측으로 부풀도록 설치한 원호 형상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식기 선반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출을 용이하게 하여 식기의 세트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를 설치한 키친으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개구부는, 상면측의 상단부가 본체의 상부 형상의 정상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상부 면적의 전면측의 대략 반을 열 수 있고, 식기 선반의 속까지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식기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개구부는, 상면측의 상단부가 본체의 상부 형상의 정상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구부를 상면에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식기 선반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한 세정조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고, 상기 세정조에 수용하는 식기 선반과, 상기 세정조내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내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조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식기 선반의 하방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물이 세정조의 상면까지 용이하게 도달하고, 식기에 상측으로부터 살수하는 세정수를 보다 많이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기로의 잔반의 재부착을 적게 하여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식기 선반은 접시류의 주연부가 세정조의 상부 형상에 따르도록 수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분사한 세정수의 회수 시간이 빨라지고, 세정조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한 세정조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고, 상기 세정조에 수용하는 식기 선반과, 상기 세정조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체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부를 상기 본체 상부의 외측으로 개구하는 상측 도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부를 하측으로 개구하는 하측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본체 상부의 개구 를 크게 할 수 있고, 본체 상부로부터의 식기 선반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용이하게 하고, 식기의 세트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측 도어는 본체의 상부 형상에 따르도록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성이므로 함으로써, 상측 도어를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본체의 상면을 따라 높이를 낮게 억제한 상태에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본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기설된 매단 찬장에 의한 설치 공간 높이가 낮은 장소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제 9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도어체는 개구부를 개구했을 때에 상측 도어의 후단부가 본체의 배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식기 세정기를 벽면에 접촉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면적이 좁은 키친에도 설치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도어체는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본체의 원호 형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열었을 때에 상측 도어가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식기 선반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측 도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도어 지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상측 도어 지지부는 개구부를 열었을 때에 본체의 상측에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와 교차하는 위치가, 상기 개구부의 상단부보다 후방에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를 개구하여 식기를 출납할 때에 개구부를 상측 도 어 지지부가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시계를 가로막지 않고, 식기의 세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측 도어는 개구부를 닫았을 때에 상측 도어 지지부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측 도어지지부가 본체 외부에 노출하지 않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회동축에 예상되거나 퇴적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도어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도어체의 개폐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닫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참조부호(1)는 식기 세정기의 본체로서, 이 본체(1)를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부의 외곽 형상은, 전면(1a)으로부터 배면(1b)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원호 형상부(1c)를 갖고 있다. 또한, 전면 형상은 대략 평면으로 형성한 평면부(1d)를 갖고 있다. 참조부호(2)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식기 선반(3)을 수용하는 세정조로서, 본체(1)에 내장되어 있다. 세정조(2)의 상부 형상은, 본체(1) 상부의 원호 형상부(1c)의 내면에 따르도록 상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개구하는 개구부(4)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개구부(4)를 폐색하는 개폐가능한 도어체(5)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체(5)는,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부(4)를 본체(1) 상부의 외측으로 개방하는 상측 도어(6)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부(4)를 하측으로 개구하는 하측 도어(7)로 구성되어 있고, 상측 도어(6)는 세정조(2)의 내부를 시인하기 위한 창문(8)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 도어(6)의 종단면 형상은 본체(1)의 상면 형상과 같이 외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본체(1) 상부의 원호 형상부(1c)에 따르도록 이동하여 개구부(4)를 개폐한다.
식기 선반(3)은 상단 선반(9)과 하단 선반(10)의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단 선반(9)은 하단 선반(10)과 구성 부재를 공용하고 있다. 그리고, 식기 선반(3)은 측면에 미끄럼운동부(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세정조(2)의 내측면에 설치한 지지부(1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하측 도어(7)를 개방했을 때에 하측 도어(7)상에 인출가능하다. 참조부호(13)는 세정 펌프(14)에 의해 가압한 세정수를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는 세정 노즐이다.
세정조(2)의 하부에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15)를 배치하고 있다. 참조부호(16)는 세정조(2)의 하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로서, 세정 펌프(14)나 히터(15) 등을 제어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4)는 본체(1)의 전면(1a)과, 전면(1a)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외측에 부풀도록 설치한 원호 형상부(1c)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의 상단부(39)는 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의 본체(1) 상면의 정상부(17)까지 개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본체(1)의 상부 면적의 전면(1a)측의 대략 반쪽이 개구하고 있다[선부분(C)은 정상부(17)상의 선으로, 개구부(4)의 상단부(39)는 그 근방에 위치한다]. 본체(1)의 전면(1a)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설치된 개구부(4)를 덮는 상측 도어(6)와 하측 도어(7)의 결합부(18)는 평면부(1d)에 설치하고 있고, 상측 도어(6)측에 설치한 밀봉 부재(21)와, 하측 도어(7)에 설치한 밀봉 부재(22)에 의해 상측 도어(6)와 하측 도어(7)를 밀봉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측 도어(6) 및 하측 도어(7)에는 각각 상측 도어 지지부(23), 하측 도어 지지부(24)가 구비되어 있고, 세정조(2)의 측면에 설치된 상측 도어 회동축(25), 하측 도어 회동축(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상측 도어 지지부(23)상에는 이동축(27)이 설치되는 동시에, 세정조(2)의 측면에는 이동축(27)이 이동하는 이동홈(28)이 설치되어 있고, 이동축(27)은 이동홈(28)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이동한다. 상측 도어(6)와 하측 도어(7)는 제 1 연동 부재(29)와 제 2 연동 부재(30)에 의해 연결되고, 하측 도어(7) 하측으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 도어(6)도 상측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연동 부재(29)의 일단부는 하측 도어(7)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연동 부재 사이에 회동축(31)을 설치하고, 제 2 연동 부재(30)의 일단부에 설치된 연동 부재간 회동 구멍(32)과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제 2 연동 부재(30)의 다른 단부에 설치된 상측 도어 연동 구멍(33)은 상측 도어 지지부(23)에 설치된 상측 도어 연동 회전축(34)과의 사이에서 회동하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개구부(4)를 열었을 때의 도어체(5)의 위치 규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 2 연동 부재(30)에 스토퍼(35)가 접촉하는 스토퍼 받침부(36)를 본체(1)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상측 도어 지지부(23)는 상측 도어(6)를 닫았을 때에 상측 도어(6)의 측면에 설치된 커버(수납부)(37)에 의해 덮어 수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측 도어 지지부(23), 제 1 연동 부재(29), 제 2 연동 부재(30), 이동 홈(28) 등, 도어체(5)를 지지하여 회동시키는 기구 부품은, 본체(1)의 측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 측면 바디(38)에 의해 덮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측 도어 지지부(23)는, 도어체(5)의 개구 동작 종료시에 본체(1)의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와 교차하는 위치[점(D)]가, 개구부(4)의 상단부(39)보다 후방에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도어체(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측 도어(6) 및 하측 도어(7)는 연동 구성을 갖기 위해서, 하측 도어 회동축(26)을 중심으로 하측 도어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측 도어(6)도 이에 연동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구부(4)가 열린다. 또한, 개구부(4)를 열었을 때, 상측 도어(6)는 상측 도어 회동축(25)을 중심으로 본체 후방으로 이동하지만, 이동 종료 시점에서는 상측 도어 지지부(23)가 개구부(4)의 상단부(39)보 다 후방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스토퍼(35)가 스토퍼 받침대(36)에 접촉하여 상측 도어(6) 및 하측 도어(7)는 정지하고, 그 이상 이동하지는 않는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기 세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키친의 측벽을 따라 식기 세정기의 정면을 향해 배치한 경우와, 측면 가까이를 향해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의 키친은 욕조나 급탕기 등의 온수 공급 설비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1)를 키친의 측벽에 설치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 세정기를 키친에 설치하는 경우, 식기 세정기의 본체(1)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제어기(41)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문제없지만, 제어기(41)가 조금 낮게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어기(41)에 설치된 표시부의 시인성이나 스위치류의 조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식기 세정기를 벽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키친에서의 작업성을 손상한다. 그리고, 제어기(41)가 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기 세정기를 설치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체(1)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기(41)가 낮게 설치되어 있을 경우라도, 제어기(41)에 접촉하지 않고 본체(1)를 벽면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키친의 조리대의 작업 스페이스를 좁게 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측으로부터 본체(1) 너머로 제어기(41)를 시인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의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류의 조작성도 확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41)를 기설된 키친 에 있어서, 제어기(41)의 시인성 및 조작성을 확보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상부 형상 및 상측 도어(6)의 상부 형상을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측 도어(6)를 본체(1) 상부의 원호 형상부(1a)에 따르도록 이동하여 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설치된 개구부(4)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개구부(4)를 열었을 때의 본체(1)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매단 찬장 등이 기설하고 있는 등,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장소로의 설치를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2)의 배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의 본체의 측쪽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직각이면, 세정시에 세정조(2)의 배면으로부터 상면으로 향하여 흐르는 세정수가 상면에 닿기 어렵고, 상면으로부터 식기에 내리쏟는 세정수가 적기 때문에, 식기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의 세정 성능이 낮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세정조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식기 선반(3)의 하방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정조(2)의 상면까지 용이하게 도달하고, 세정조(2) 상면으로의 세정수량이 증가하기 위해서, 상면으로부터 식기에 내리쏟는 세정수가 많아지고, 식기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을 확실하게 세정하여 흘릴 수 있는 동시에, 식기로의 잔반의 재부착을 적게 하여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4)는 본체(1)의 전면(1a)과, 전면(1a)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외측에 부풀어지도록 설치한 원호 형상부(1c)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식기 선 반(3)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용이하게 하여 식기의 세트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41)를 기설된 키친으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부(4)의 상단부(39)를,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의 정상부(17)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체(1)의 상부면적의 대략 반만큼을 개구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단 선반(9)의 속까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식기의 출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접시류의 중심과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의 중심의 본체(1) 전면으로부터의 거리를 거의 동일하도록 식기 선반(3)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큰 접시 등은 세정조(2)의 개구부(4)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고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 상면의 전면측의 대략 반까지를 개구부(4)로 함으로써, 식기 선반(3)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쉽게 할 수 있고, 식기의 세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4)는 본체(1)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하는 구성이므로, 이 개구부(4)를 덮는 도어체(5)는 같은 정도의 본체 치수의 종래의 식기 세정기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어진다. 이 때문에, 하나의 도어로 상측 열림 구성인 경우에는, 도어가 방해되어 식기의 취출을 할 수 없다. 또한, 하측 열림 구성인 경우에는, 정면 배치이면 도어가 본체로부터 가까이로 열리고, 키친 조리대상의 조리 스페이스가 없어지고, 또한 도 1과 같이 세로로 배치하면, 수도꼭지에 도어가 접촉하여 도어를 완전하게 개구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체(5)를 상측 도어(6)와 하측 도어(7)의 2개 도어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부(4)를 본체(1) 상부의 외측으로 개구하는 상측 도어(6)와,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부(4)를 하측으로 개구하는 하측 도어(7)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 상부의 개구를 크게 할 수 있고, 본체(1) 상부로부터의 상단 선반(9)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쉽게 하고, 식기의 세트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설치된 개구부(4)의 평면부(1d)에 도어체(5)의 분할 위치를 설치하여 결합부(18)를 구성함으로써, 개구부(4)를 열었을 때 하측 도어(7)의 본체(1) 전방으로의 돌출량을 적게 하여 본체(1) 설치시의 본체(1) 전방의 설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수도꼭지 등이 본체(1)의 근방에 존재할 경우라도, 본체의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도어 지지부(23)는 도어체(5)의 개구 동작 종료시에 본체(1)의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와 교차하는 위치[점(D)]가, 개구부(4)의 상단부(39)보다 후방에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좁은 키친의 싱크 사이드에 식기 세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본체(1)의 개구부(4)를 사용자의 대면에 두는 정면 배치보다도, 키친의 우측 혹은 좌측의 싱크 사이드에 세로 배치된 경우 쪽이 많다. 이 세로 배치 설치의 경우, 도어체(5)를 열어서 식기를 출납할 때에는, 개구부(4)의 비듬하게 앞쪽으로부터 실행하지만, 본 발명의 상측 도어 지지부(23)는 상측 도어(6)를 닫았을 때에 커버(37)내에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 도어(6)를 열었을 때에는, 상측 도어 지지부(23)가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와 교차하는 위치보다 후방으로 변위하고, 식기를 출납시킬 때에 개구부(4)를 상측 도어 지지부(23)가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식기의 세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도어(6)에 상측 도어 지지부(23)를 수납하는 수납부로서의 커버(37)를 설치하고, 도어체(5)를 닫았을 때에 상측 도어 지지부(23)를 커버(37)내에 수납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측 도어 지지부(23)와 상측 도어 회동축(37)이 본체(1)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측 도어 회동축(25)에 예상되거나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체(5)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이동축(27)과 이동홈(28)도 본체 측면 바디(38)에 의해 본체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구성을 되어 있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동축(27)과 이동홈(28)내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하측 도어(7)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측 도어(6)도 회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어체(5)의 조작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식기 배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식기 선반을 끌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 선반(42)은 양측면부에 설치한 상 단 선반 미끄럼운동부(43)와 세정조(2)의 측면에 설치한 상단 선반 지지부(44)에 의해, 세정조(2)에 대해 미끄럼운동 가능하고, 그 앞 부분은 개구부(4)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 선반(42)의 하측으로 설치된 하단 선반(45)도 상단 선반(42)과 같이, 하단 선반(45)의 양측면부에 설치한 하단 선반 미끄럼운동부(46)와 세정조(2)의 측면에 설치한 하단 선반 지지부(47)에 의해, 세정조(2)에 대해 미끄럼운동 가능하고, 상단 선반(42)과 하단 선반(45)은 완전히 독립하여 세정조(2)에 설치된다.
또한, 상단 선반(42)은 상단 선반 지지부(44)에 상단 선반 스토퍼(48)를 설치하고, 하단 선반(45)은 하측 도어(7)에 하단 선반 스토퍼(49)를 설치함으로써 식기 선반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동시에, 하단 선반(45)의 본체 전방으로의 인출량은 상단 선반(42)의 인출량보다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기의 배치에 관하여, 하단 선반(45)은 직경 27cm 정도의 큰 접시와, 밥공기, 국 그릇 등의 공기류 등, 크기와 형상의 다른 여러 가지 식기를 정렬 배치한 상태에 지지하는 동시에, 소품 선반(62)이 세트될 수 있는 지지 핀(51)을 갖고 있다. 상단 선반(42)은 높이가 다른 2단 구조이며, 큰 접시의 상부에 위치하는 곳에 있는 고위부(42a)에는 찻잔, 컵류를 세트하고, 공기류의 상부에 위치하는 곳 에 있는 저위부(42b)에는 직경 17cm 정도의 중간 크기 접시가 세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체(3)는 개구부(4)를 열었을 때에 상측 도어(6)의 후단부(40)가 본체(1)의 배면(1b)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도어(6)는 개구부(4)를 열었을 때에 그 후단부(40)가 본체(1)의 배면부(1b)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측 도어(6)의 후단부(40)가 본체(1)의 배면부(1b)보다 후방에 돌출하지 않기 위해서, 본체(1)의 배면부(1b)와 대면하는 벽에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본체(1)를 정면 배치한 경우에는, 본체(1)의 전방에 조리 스페이스를 널리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배치로 한 경우에는, 싱크(50)에서의 작업 중에 본체(1)가 방해되지 않고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4)를 열었을 때에는 하측 도어(7)가 회동하여 싱크(50)의 상측으로 변위하지만, 싱크(50)를 막는 양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싱크(50)내에 둔 식기류를 식기 선반(42, 45)에 세트할 때의 세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2)의 상부가 전면측의 대략 반만을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 선반(45)만을 인출한 상태에서, 하단 선반(45) 전체와 상단 선반(42)의 앞 부분에 수용되어 있는 식기의 출납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식기의 세트와 취득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용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선반(42)을 조금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단 선반(42), 하단 선반(45) 양쪽으로의 식기 세트가 가능하여, 식기의 세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단 선반(45)의 인출량은 상단 선반(42)의 인출량보다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 선반(45)의 식기의 세트성도 손상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열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개구부를 도어체로 닫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4)의 상면측의 상단부(39)는 상측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의 정상부(17)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도어(6)와 하측 도어(7)의 결합부(18)는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단 선반(52)은 그 전단부(67)가 열린 상측 도어(6)의 전단부(65)보다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단 선반(52)은 접시류의 주연부(68)나 컵류의 각부가,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세정조(2)의 상부 형상에 따라 수납가능하고, 이와 같이 수납된 상태로 식기를 지지하는 지지 핀(51)이 상단 선반(52)에 설치되어 있다. 상단 선반(52)의 하측으로 설치한 하단 선반(53)에는, 컵류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단 선반(52)에 수납한 접시류의 하부에 컵류가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구부(4)의 상면측의 상단부(39)가, 상측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1c)의 정상부(17)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본체(1)의 상부 면적의 반 이상을 개구시킨 구성이 되기 때문에, 식기의 출납시에, 식기 선반(3)의 시인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식기가 상측 도어(6)에 접촉하지 않고 스무스하게 출납할 수 있는 등, 식기의 세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세정 공정에서 도어체(5)를 열었을 때에, 세정조(2)의 상부면에 부착된 액적은 세정조(2)의 상부면으로부터 배면을 따라 낙하하기 때문에, 개구부(4) 상면측의 상단부(39)로부터 개구부측으로 적하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세정 도중에 식기를 추가하려고 도어체(5)를 개구하였을 때에도, 오염된 고온의 세정액이 손이나 의복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5)는 개구부(4)를 닫았을 때에 상측 도어(6)와 하측 도어(7)를 결합하는 결합부(18)는 본체(1)의 원호 형상부(1a)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체(5)를 열었을 때에 상측 도어(6)가 개구부(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식기 선반(3)으로의 식기 등의 세트와 취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시류의 주연부(68)가 세정조(2)의 상부 형상에 따르도록 수용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분사한 세정수의 회수 시간이 빨라지고, 세정조(2)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선반(52)에 수납한 접시류의 하부에 설치한 하단 선반(53)에 컵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 선반(53)에 배치한 식기로의 잔반의 재부착을 적게 하여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식기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단 선반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전후 이동 선반을 끌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단 선반의 높이 조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상하 이동 선반의 높이를 조정한 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 선반(53)은 찻잔, 컵류와, 밥공기, 국 그릇 등의 공기류가 정렬 배치한 상태로 수납한다. 상단 선반(52)은 하단 선반(53)의 상측에 설치된 높이의 다른 2단 구조이며, 하단 선반(53)에 배치한 컵류의 상측에 위치하는 곳인 저위부(52a)에는 직경 27cm 정도의 큰 접시와 소품 선반(62)을 세트하고, 공기류의 상부에 위치하는 곳인 고위부(52b)에는, 직경 17cm 정도 중간 크기 접시를 개구부(4)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 세트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핀(51)을 갖고 있다. 특히, 상단 선반(52)은 접시류의 주연부(68)가 세정조(2)의 상부의 원호 형상부(1c)의 형상에 따르도록 세트 위치를 미리 규제하도록 지지 핀(51)을 형성하고 있다.
상단 선반(52)은, 상단 선반(52)의 골격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의 금속 선재로 구성된 고정 선반(54)과, 고정 선반(54)에 대하여 각각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이동 선반(55)과 상하 이동 선반(56)을 설치하고 있다. 고정 선반(54)은, 세정조(2)의 양측의 측면(2a)과 배면(2b)에 설치된 오목 형상을 갖는 고정 선반 지지용 부재(57)에, 고정 선반(54)을 구성하는 금속 선재에 부착된 볼록 형상의 고정 선반 서포트 부재(69)를 삽입하여 세정조(2)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또한, 전후 이동 선반(55)과 상하 이동 선반(56)은, 접시류 등의 주연부(68) 가 세정조(2)의 상부 형상에 따르도록 식기를 세트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핀(51)을 갖고 있다.
상하 이동 선반(56)은, 세정조(2)에 고정한 고정 선반(54)에 대하여 설치 높이가 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납된 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56a)로부터 세정조(2)의 상부 내벽(2a)까지의 높이를 선택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고정 선반(54)에는 상하 이동 선반(56)을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는 높이 조정부(58a, 58b)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 선반(54)의 높이의 다른 위치에 복수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정부(58)가 높은 위치(58a)에 상하 이동 선반(56)을 조정한 경우, 직경이 23cm 정도까지의 큰 접시를 개구부(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서 세트할 수 있다. 또한, 23cm∼27cm 정도까지의 큰 접시의 경우, 높이 조정부(58)의 낮은 위치(58b)에 조정하는 것으로 세트할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이 27cm 정도의 큰 접시도 상단 선반(52)을 끌어내지 않고 용이하게 세트 및 취출할 수 있고, 사용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식기 선반(3)을 세정조(2)에 고정하여 견고한 본체(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 선반(56)에 설치한 접시의 지지 핀(51)은 접시 이외에도 높이가 큰 컵류 등도 세트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이동 선반(55)은 전후 이동 선반 미끄럼운동부(60)를 설치하고, 고정 선반(54)에 설치한 전후 이동 선반 지지부(61) 사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후 이동 선반(55)의 상단 선반(52)으로부터 화살표(C) 방향으로의 인출량이 하단 선반(53)의 인출량보다 적어지도록 전후 이동 선반 지지부(61)에 전후 이동 선반 스토퍼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다. 전후 이동 선반(55)에는, 젓가락이나 스푼 등의 소품류를 수납하는 소품 선반(62)을 고정하고 있고, 전후 이동 선반(55)의 인출과 동시에 소품 선반(62)도 전방에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단 선반(52)에 배치된 큰 접시 등의 접시류의 하부에는, 하단 선반(53)에 배치한 컵이나 실굽이 있는 찻잔이 업혀져 있다. 찻잔의 실굽은 식품 재료 등의 잔여 오염물이 퇴적하기 쉬운 구조이며, 다량의 세정수를 걸지 않으면 세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큰 접시에 접촉한 세정수는 큰 접시의 직경방향 하부에 집중하여 낙하한다. 그리고, 집중하여 다량의 세정수가 흘러내리는 위치에, 찻잔의 실굽을 합치도록 하단 선반(53)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컵의 외측 혹은 찻잔의 실굽은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선반(52)은 그 전단부(67)가 열린 상측 도어(6)의 전단부(65)보다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4)를 열었을 때에 상단 선반(52) 가까운 부분의 식기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식기의 세트에 관하여, 사용자는 임의로 적재된 식기류를 세트하지만, 종류가 다른 식기를 순서로 세트한다. 또한, 한번 세트한 식기를 다른 장소에 세트하여 옮기기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단 선반(52)과 하단 선반(53)을 오고 가면서 세트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식기 세정기에서는 상단 선반(52)에 식기를 세트할 때에는 상단 선반(52)을 인출하고, 다음에 하단 선반(53)에 식기를 세트할 때에는 상단 선반(52)을 세정조(2)내에 수납하고 나서 하단 선반(53)을 끌어내는 등, 종류가 다른 식기를 출납할 때에, 몇 번이나 상단 선반(52)과 하단 선반(53)을 출납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하단 선반(53)을 끌어낸 상태에서, 상단 선반(52)과 하단 선반(53)에 식기를 자유롭게 출납할 수 있으므로, 식기의 세트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선반(52)은 큰 접시나 중간 접시 등의 접시류의 주연부(68)가 세정조(2)의 상부 형상에 따라 세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정조(2)의 속까지 수정하지 않고, 가까이로부터 식기를 쥐어서 세트할 수 있고, 또 세트성을 좋게 하고 있다.
또한, 상측으로 팽출하는 대략 원호 형상의 세정조(2)에 대해 접시류를 상단 선반(52)에 두는 구성이기 때문에, 효율 좋은 식기 배치가 가능해지고, 보다 많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식기 선반(3)이 세정조(2)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성의 경우, 본체 상부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면 본체에 따른 응력에 의한 본체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 본체(1) 각부의 보강을 실행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지금까지 식기의 세트에만 이용되던 상단 선반(52)을 세정조(2)의 양측면(2a)과 배면(2c)에서 고정하는 것으로, 상단 선반(52)을 본체(1)의 강도를 강화하는 보강 부재로서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본체(1)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따른 응력에 대하여는, 세정조(2)의 측면과 배면에 설치한 고정 선반 지지용 부재(57)와 고정 선반 서포트 부재(69) 사이의 요철 형상에 의한 결합에 의해 세정조(2)와 상단 선반(52)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 선반(52) 전체에서 그 응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단 선반(52)에 무거운 식기를 세트했을 때 등에 발생하는 상하 방향의 응력에 관해서도, 고정 선반 지지용 부재(57)와 고정 선반 서포트 부재(69)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세정조 전체에서 그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넓은 개구부에 의한 높은 세트성과 높은 강성을 갖는 본체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선반(52)에 오염이 부착되었을 경우에는,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정조(2)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전후 이동 선반(55)의 적어도 그 앞 부분을 세정조(2)의 개구부(4)로부터 화살표(C) 방향으로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상단 선반(52)의 속에 컵류를 세트했을 때라도, 전후 이동 선반(55)을 전방으로 취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후 이동 선반(55)의 상단 선반(52)으로부터의 인출량은 하단 선반(53)의 인출량보다 적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 선반(53)을 전부 인출된 상태에서 상단 선반(52)을 인출하더라도, 하단 선반(53)의 식기의 취득성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또한, 소품 선반(62)은 전후 이동 선반(55)에 고정되어 있고, 전후 이동 선반(55)의 인출과 동시에 소품 선반(62)도 전방에 인출되므로, 소품류의 취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도어체를 열었을 때 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긴 식기를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정기의 긴 식기를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세정조(2)에 고정한 고정 선반(54)에 개구(64)를 설치하고, 이 개구(64)를 개폐하는 탈착가능한 탈착 선반(63)을 설치하고 있다. 탈착 선반(63)을 고정 선반(54)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출현하는 개구(64)에 긴 식기(66)를 통과시켜서 하단 선반(53)에 둠으로써, 긴 식기(66)를 세정할 수 있다.
종래부터 상단 선반을 떼어냄으로써, 작은 직경으로, 높이가 30cm을 초과하는 큰 식기[긴 식기(66)]을 세트할 수 있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긴 식기(66)를 상부에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세정시의 수압이나 도어의 개폐 동작 등에 의한 진동으로 긴 식기(66)가 세정조의 속에서 이동하고, 다른 식기와 접촉하거나, 이탈하여 파손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세트 상태가 불안정한 긴 식기(66)의 세정시에, 탈착 선반(63)을 고정 선반(54)으로부터 떼어 긴 식기(66)를 개구(64)에 관통시켜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시의 수압에 의한 긴 식기(66)의 이동이나 다른 식기와의 충돌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정기는, 벽면에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를 기설된 키친으로의 설치가 용이해지므로, 키친의 조리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식기 세정기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식기 세정기는, 욕조나 급탕기 등의 제어기를 기설된 키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2)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한 세정조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고 상기 세정조에 수용하는 식기 선반과, 상기 본체에 마련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과,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외측으로 부풀도록 마련한 원호 형상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도어체는, 상기 본체에 마련한 상기 개구부를 상기 본체 상부의 외측으로 개구하는 상측 도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상기 개구부를 하측으로 개구하는 하측 도어와, 상기 상측 도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도어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도어 지지부는 개구부를 개구했을 때에 본체의 상측으로 팽출하는 원호 형상부와 교차하는 위치가, 상기 개구부의 상단부보다 후방에 있도록 구성한
    식기 세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상면측의 상단부가 본체의 상부 형상의 정상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상면측의 상단부가 본체의 상부 형상의 정상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한 세정조와,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고 상기 세정조에 수용하는 식기 선반과, 상기 세정조내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내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조의 상부 형상을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식기 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식기 선반은, 접시류의 주연부가 세정조의 상부 형상에 따르도록 수용가능하게 구성한
    식기 세정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 도어는 본체의 상부 형상에 따도록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체는, 개구부를 개방했을 때에 상측 도어의 후단부가 본체의 배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체는,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본체의 원호 형상부에 설치한
    식기 세정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 도어는,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상측 도어 지지부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마련한
    식기 세정기.
KR1020060034606A 2006-02-17 2006-04-17 식기 세정기 KR100776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0549 2006-02-17
JP2006040548A JP2007215811A (ja) 2006-02-17 2006-02-17 食器洗浄機
JP2006040547A JP2007215810A (ja) 2006-02-17 2006-02-17 食器洗浄機
JP2006040549A JP4797678B2 (ja) 2006-02-17 2006-02-17 食器洗浄機
JPJP-P-2006-00040548 2006-02-17
JPJP-P-2006-00040547 2006-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32A KR20070082832A (ko) 2007-08-22
KR100776889B1 true KR100776889B1 (ko) 2007-11-19

Family

ID=3861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606A KR100776889B1 (ko) 2006-02-17 2006-04-17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6889B1 (ko)
TW (1) TW20073195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737A (ko) * 1994-02-28 1995-09-15 배순훈 식기세척기
JP2002219083A (ja) 2001-01-25 2002-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5245641A (ja) 2004-03-03 2005-09-1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KR20050095008A (ko) * 2004-03-24 2005-09-29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737A (ko) * 1994-02-28 1995-09-15 배순훈 식기세척기
KR950014767B1 (ko) * 1994-02-28 1995-12-14 대우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JP2002219083A (ja) 2001-01-25 2002-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5245641A (ja) 2004-03-03 2005-09-1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KR20050095008A (ko) * 2004-03-24 2005-09-29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3592B (ko) 2009-08-21
KR20070082832A (ko) 2007-08-22
TW200731953A (en) 200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2037B2 (ja) 食器洗い機
AU2008247768B2 (en) Rack handle member for a dishwasher
EP2415382B1 (en) Table top dishwasher
US8168006B2 (en) Utensil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JP2001000377A (ja) 食器洗浄機
JP4770573B2 (ja) 食器洗浄機
KR100776889B1 (ko) 식기 세정기
KR100707556B1 (ko) 식기 세척기
KR101135851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착탈 구조
JP4797678B2 (ja) 食器洗浄機
JP2007215810A (ja) 食器洗浄機
KR100832197B1 (ko) 식기 세척기
CN209421874U (zh) 一种抽屉式洗碗机
JP4692320B2 (ja) 食器洗浄機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220005211A (ko) 식기 세척기
JP4281758B2 (ja) 食器洗い機
CN111050620B (zh) 洗碗机
JP2007215811A (ja) 食器洗浄機
KR100707429B1 (ko) 식기 세척기
CN209610953U (zh) 一种洗菜池
JP2007236800A (ja) 食器洗い機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CN108065890B (zh) 水槽式清洗机的开盖结构
JP2001292944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