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425B1 -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425B1
KR100681425B1 KR1020040088617A KR20040088617A KR100681425B1 KR 100681425 B1 KR100681425 B1 KR 100681425B1 KR 1020040088617 A KR1020040088617 A KR 1020040088617A KR 20040088617 A KR20040088617 A KR 20040088617A KR 100681425 B1 KR100681425 B1 KR 10068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emperature
shoe
ai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512A (ko
Inventor
도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립
Priority to KR102004008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4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신발 건조방법은 먼저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이 내부에 수용되는 챔버내에 히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온풍을 순환시켜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가 가열온도로 되었을 때 히터의 작동을 중단하고, 챔버내에 냉각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저온풍을 순환시켜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킨다. 신발 건조장치는 챔버, 히터, 냉각기, 센서,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챔버는 도어에 의해 밀폐되어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불을 수용한다. 히터는 챔버와 연통되도록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냉각기는 챔버와 연통되도록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킨다. 센서는 챔버내에 설치되어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저장되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히터와 냉각기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한다. 디스플레이는 전원 스위치와 냉각기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다.

Description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SHO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아래 구성된 일례의 신발 건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아래 구성된 일례의 은나노화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아래 구성된 일례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발 10 : 신발 건조장치
12 : 프레임 14 : 도어
15 : 가스킷 16 : 판넬
20 : 챔버 22 : 받침대
23 : 슬롯 30 : 서브 챔버
32 : 응축수 배출관 40 : 건조 유니트
42 : 순환팬 50 : 냉각기
51 : 냉매 순환라인 52 : 증발기
54 : 압축기 56 : 응축기
58 : 팽창밸브 60 : 히터
70 : 센서 80 : 제어부
90 : 디스플레이 92 : 전원 스위치
94 : LCD 96 : 표시등
100 : 은나노화 유니트 102 : 탱크
104 : 스프레이 106 : 제 1 연결관
108 : 제 2 연결관 110 : 은콜로이드
112 : 은폼 120 : 수위센서
130 : 보충수 공급라인
본 발명은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장, 대중 목욕탕, 건설 현장, 군부대, 학교, 병원 등에 설치되어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살균하고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화 및 운동화 등의 신발은 장시간 착용하거나 벗어 놓으면 곰팡이 및 각종 세균이 번식이 되고, 습기로 인한 축축한 느낌으로 인해 착용시 불쾌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신발을 건조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신발 건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43496 "신발소독건조기"는 신발의 내외부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오존과 음이온을 접촉시켜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도록 하며, 제습기로 신발 내외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신발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발 건조장치는 본체 내부의 천장과 바닥, 벽면을 반사판으로 구성하고, 각 받침대의 상측에 자외선 조사등과 장치부를 설치하며, 신발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이동 자외선 조사등, 오존과 음이온 순환호스 등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45449 "오존과 열풍을 이용한 신발살균탈취건조기"는 신발장의 하단내부에 고출력의 산업용 팬과 U자형의 히터를 설치하여 섭씨 50도 이하의 저온열풍을 발생시켜 신발장내의 신발을 건조시키고, 신발장 하단내부에 오존발생용 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오존을 발생시켜 신발장내의 신발을 살균시키고 탈취시키는 신발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20236 "살균 및 건조용 신발수납장"은 진공상태의 챔버 내부에서 열과 자외선을 사용하여 신발을 살균하고 건조시키는 신발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발 건조장치는 신발이 수납되고 도어가 설치되는 챔버, 이 챔버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 챔버 내부의 진공을 해지하기 위한 밸브, 챔버 내부에서 신발에 증발에너지를 인가하는 발열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챔버 내부에서 신발을 살균하기 위한 자 외선발생부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0433929호 "위생신발장"은 신발장내 공기를 이동시키면서 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공기를 가열시켜 제습처리하며, 여기에 적절히 오존을 공급하도록 하여 각종 세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신발의 악취가 제거되는 신발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발 건조장치는 외부 케이싱내에 신발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한 메인챔버, 이 메인챔버와의 사이에 구획판으로 구획된 보조챔버, 메인챔버내 공기를 탈취, 제습하기 위하여 케이싱, 흡열부, 방열부, 열전소자,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진 정화수단 및 이 정화수단을 통하여 탈취, 제습된 공기를 다시 메인챔버에 분출하기 위하여 정화수단내에는 순환팬을, 보조챔버내에는 메인관을 설치하고, 메인챔버에는 수개의 분출공을 형성한 분기관을 형성한 순환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안된 종래 신발 건조장치는 신발을 건조시켜서 착용자가 상쾌한 상태로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때 종래 신발 건조장치는 대부분이 열풍을 이용한 고온건조방식을 적용하여 신발을 건조하고, 오존이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신발을 살균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신발을 건조하는 방법이 적용된 신발 건조장치는 고온의 열풍을 형성하는데에 따른 화재의 위험성이 있고, 신발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구성해야 하며, 신발 내측은 불완전하게 건조되고, 소재가 가죽인 경우 변형, 변질, 탈색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조 후 신발이 뜨거워 바로 착용할 때에는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존이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신발을 살균하는 방법은 신발 내측까지 완전한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오존은 그 양이 과도한 경우 인체에 해로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 신발 건조장치중에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45449는 50도 이하의 저온열풍을 사용하여 신발을 건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또한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온도를 약간 낮게 하는 경우에 지나지 않으므로 열풍을 이용한 신발의 건조방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해소할 수 없고, 오히려 건조효율이 저하되어 신발의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0433929호는 신발이 놓여지는 메인챔버내의 공기를 외부(정화장치)로 흡입하여 냉각 및 가열을 통해 악취를 제거하고, 오존을 포함시켜 다시 메인챔버로 들어가도록 하므로써 신발의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점은 기대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열풍을 이용한 건조방식과 오존을 이용한 살균방법을 채용하고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열풍을 이용한 건조방식과 오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방법에 있어서,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이 내부에 수용되는 챔버내에 히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온풍을 순환시켜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온도로 되었을 때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챔버내에 냉각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저온풍을 순환시켜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은 상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상기 챔버내에 넣기 전에 상기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방법에 있어서,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는 단계 및;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이 내부에 수용되는 챔버내에 상기 신발을 넣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다른 신발 건조방법에서 상기 신발을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챔버내에 히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온풍을 순환시켜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챔버내 의 공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온도로 되었을 때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챔버내에 냉각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저온풍을 순환시켜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1, 2 및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에서 상기 가열온도는 최저 가열온도와 최고 가열온도이내의 범위로 정해지는 가열온도구간을 갖고, 상기 냉각온도는 최고 냉각온도와 최저 냉각온도이내의 범위로 정해지는 냉각온도구간을 가지며,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상기 가열온도로 상승시키는 단계와 냉각온도로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열온도구간과 냉각온도구간의 범위에 이르렀을 때 정해진 설정시간이 되면 각 단계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내부에 놓을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서 밀폐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기 위한 냉각기와; 상기 챔버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저장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히터와 냉각기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전원 스위치와 상기 냉각기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기 위한 은나노화 유니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은나노화 유니트는 은콜로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및;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연결관이 결합되고, 상기 탱크로부터 은콜로이드를 유입시켜 분사시키기 위한 스프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내부에 놓을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서 밀폐되는 챔버와;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내에 수용된 신발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유니트와; 상기 건조 유니트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 스위치와 상기 건조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기 위한 은나노화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는 상기 챔버내에 설치 되어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유니트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저장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히터와 냉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6, 7 및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에서 상기 냉각기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사이클을 진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의 증발기와 히터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 챔버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서브 챔버의 앞측에 순환팬이 설치되고, 상기 서브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서브 챔버의 외부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청구항 6, 7 및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히터와 냉각기의 제어를 미리 지정된 설정시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기술적 구성을 갖는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 신발의 건조시 열풍을 이용하는 건조방법 및 장치와 달리 상온풍과 저온풍이 챔버내로 교대로 순환하도록 하여 신발을 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신발의 건조시 오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와 달리 은콜로이드(colloid silver)를 은나노화하여 신발을 살균하는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온풍 및 저온풍은 일반적으로 신발 건조기에서 적용되는 열풍 및 냉풍과 구별을 두기 위한 용어이다. 즉 본 발명에서 상온풍은 히터의 작동시 챔버내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것으로 챔버내 공기의 온도가 약 18℃ 내지 3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저온풍은 냉각기의 작동시 챔버내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것으로 챔버내 공기의 온도가 약 5.5℃ 내지 1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히터에 의하거나 냉동기에 의한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와 달리 다른 온도범위를 갖는 상온풍과 저온풍을 사용하여 신발을 건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열풍으로 신발을 건조하는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처음에는 일반 냉동기의 원리를 응용하여 신발 건조장치를 구성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해 보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열풍으로 신발을 건조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었으나, 건조효율이 낮아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다양한 실험과 연구끝에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은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이 내부에 수용되는 챔버(20)내에 히터(6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온풍을 순환시켜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가 가열온도로 되었을 때 히터(60)의 작동을 중단한 후 챔버(20)내에 냉각기(5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저온풍을 순환시켜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므로써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상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악취제거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은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냉각기의 작동시 악취의 원인인 습기가 응축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악취제거를 할 수 있으며, 건조와 냉각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므로 신발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신발의 소재가 가죽인 경우에도 신발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 후 바로 착용하여도 착용자가 쾌적한 상태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은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은나노화 유니트(100)의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한 다음,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이 내부에 수용되는 챔버(20)내에 상기 신발을 넣고 건조시키도록 하므로써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은 신발의 내측(및 외측)에 은콜로 이드를 스프레이로 은나노화하여 살포하여 신발이 살균되도록 하므로, 인체에 해롭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그 효능이 입증된 은의 살균작용외에 혈액 순환, 면역력 강화, 피부 미용, 노화 방지, 무좀의 제거 등에 대한 간접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은콜로이드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나노화하여 신발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반적으로 은에 의한 살균은 고체의 은을 이용하여 몸에 지닌다던지, 침구, 의류 등에 이용되어온 실정이나 이러한 고체의 은을 이용하는 방식은 그 효과가 미비하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세밀하게 액체화된 은콜로이드를 기체화시켜서 살균하고자 하는 신발에 살포하는 방식으로서, 세균을 제거하고 그의 번식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특별히 설계된 건조 유니트(40)와 은나노화 유니트(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가장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모든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건조 유니트(40)와 은나노화 유니트(100)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신발 건조장치(1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챔버(20), 건조 유니트(40), 센서(70), 제어부(80) 및 디스플레이(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건조 유니트(40)는 히터(60)와 냉각기(50)를 갖는다. 챔버(20)는 프레임(12)의 내부에 위치되 고,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내부에 놓을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대가 설치되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서 밀폐된다. 히터(60)는 챔버(20)와 연통되도록 프레임(12)내에 설치되고,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냉각기(50)는 챔버(20)와 연통되도록 프레임(12)내에 설치되고,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킨다. 센서(70)는 챔버(20)내에 설치되어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부(80)는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저장되며, 센서(70)로부터 입력되는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히터(60)와 냉각기(50)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한다. 디스플레이(90)는 전원 스위치와 냉각기(50) 및 히터(60)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다시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써 신발상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챔버(20), 건조 유니트(40), 은나노화 유니트(100), 제어부(80) 및 디스플레이(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챔버(20)는 프레임(12)의 내부에 위치되고,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내부에 놓을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대가 설치되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서 밀폐된다. 건조 유니트(40)는 프레임(12)내에 설치되어 챔버(20)내에 수용된 신발을 건조시킨다. 제어부(80)는 건조 유니트(40)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한다. 디스플레이(90)는 전원 스위치와 건조 유니트(40)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다. 은나노 유니트(100)는 건조시 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한다. 이때 건조 유니트(40)는 전술한 본 발명의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와 같은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은콜로이드를 은나노화하여 신발을 살균하여 건조과정을 진행하도록 하므로써 은나노에 의한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은에 의해 나타나는 부가적인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신발 건조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요소 및 그들의 작용, 제어형태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신발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의 주요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아래 구성된 일례의 은나노화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아래 구성된 일례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챔버(20), 건조 유니트(40), 제어부(80), 센서(70), 디스플레이(90), 은나노화 유니트(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챔버(20)는 프레임(12)의 내부에 위치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12)은 신발 건조장치(10)의 형태를 유지하는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철판, 스테인리스판,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판, 앵글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챔버(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앞면방향으로 개방된 오프닝을 가지도록 하고, 이 오프닝은 프레임(12)에 힌지 등을 통해 열고 닫히도록 결합되는 도어(14)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도어(14)는 내부면을 아크릴 등으로 구성하여 산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오프닝 주변에 밀착되는 가스킷(15)이 설치되어 챔버(20)의 내부를 확실히 밀폐시키도록 한다. 챔버(20)의 내측에는 챔버(20)내의 공간을 일정하게 나누는 받침대(22)가 설치된다. 이 받침대(22)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1)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 공기가 챔버(20)내를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슬롯(23, 또는 홀 형태)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발 건조장치(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을 수직형으로 구성하여 챔버(20)를 중심에 배치하고, 챔버(2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90)가 배치되도록 하였으며, 하부의 좌측면에는 은나노화 유니트(100)가 배치되도록 하였고, 챔버(20)의 뒤측으로 건조 유니트(40)가 배치되도록 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각 구성의 배치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챔버(20)의 주위에는 단열재(13)가 설치되어 공정시 챔버(20)내의 온도가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발 건조장치(10)는 냉각기(50)와 히터(60)를 구비하여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와 냉각온도로 반복적인 사이클을 수행하여 신발(1)을 건조시키게 된다. 냉각기(50)와 히터(60)에서 각각 발생되는 저온풍 및 상온풍은 순환팬(42)에 의해 챔버(20)내에 순환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종래 신발 건조장치와 달리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미리 지정된 가열온도와 냉각온도로 반복적인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신발(1)에 함유된 습기가 챔버(20)내의 공기중으로 증발되도록 하고, 악취와 오염물을 함유하고 있는 챔버(20)내 공기중의 습기는 응축수로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챔버(20)내의 악취와 오염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발 건조방법을 위해 냉각기(50)는 냉매 순환라인(51)상에 증발기(52), 압축기(54), 응축기(56), 팽창밸브(5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냉각기(50)에는 일반적으로 냉각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냉매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한 각종 밸브 등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각기(50)는 일반적인 냉각 시스템의 냉각 사이클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챔버(20)의 후측에 냉매 순환라인(51)이 상하로 설치되고, 챔버(20)의 후측 상부에 증발기 (52)가 위치되고, 챔버(20)의 후측 하부에 압축기(54), 응축기(56) 및 팽창밸브(57)가 위치된다. 이때 증발기(52)는 챔버(20)의 후측 상부에 설치된 서브 챔버(30)내에 설치된다. 이 서브 챔버(30)는 기본적으로 챔버(20)와 연통되도록 프레임(12)내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챔버(20)내측의 후측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 서브 챔버(30)는 스테인리스 판 등으로 챔버(20)와 분리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앞면에는 챔버(20)내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거나 슬롯 또는 홀이 형성되며, 뒷면은 냉각 순환라인(51)과 전원라인의 통로를 제외하고 막힌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서브 챔버(30)의 바닥면에는 응축수 배출관(32)이 설치되어 냉각기(50)의 작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챔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응축기(56)와 냉각팬(57)은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60)는 발열선을 증발기(52)의 표면에 감아서 구성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히터(60)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구성외에 다른 다양한 열발생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히터(60)에 의 작동시 상온풍을 챔버(20)내로 순환시키고 냉각기(50)의 작동시 저온풍을 챔버(20)내로 순환시키므로써 신발(1)을 건조하기 위해 서브 챔버(30)내에는 순환팬(42)이 설치된다. 물론 챔버(30)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은 이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는 공기순환방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의 제어부(80)는 신발 건조공정의 진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80)에는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전자적 요소들로 이루어지고, 타이머와 같이 공정진행시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요소들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80)는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가열온도와 냉각온도 그리고 각 공정을 진행하는 설정시간이 미리 입력된다. 그리고 센서(70)에서 검출되는 챔버(20)내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히터(60)와 냉각기(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센서(70)는 신발 건조공정에 필요한 측정값을 얻기 위한 종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챔버(20)내의 온도를 기준으로 신발 건조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90)는 신발 건조장치(10)의 작동상태를 관리자 등이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90)에는 신발 건조장치(1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92), 히터(60)의 작동시 켜지는 표시등, 냉각기의 작동시 켜지는 표시등, 전원이 온되었을 때 켜지는 전원 표시등, 후술하는 은나노화 유니트(100)의 은콜로이드가 부족한 경우 켜지는 살균 표시등 등의 다수개의 표시등(96), 챔버(20)내의 온도가 표시되는 LCD(9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신발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의 제어부(80)에는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미리 입력되는데, 가열온도는 히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온풍을 순환시켜 유지되는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이고, 냉각온도는 냉각기(5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저온풍을 순환시켜 유지되는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일정한 가열온도구간과 냉각온도구간을 갖도록 하고, 여기에 설정시간을 부여하여 가열온도구간 또는 냉각온도구간에서 설정시간이 되었을 때 각 공정이 완료되도록 한다. 즉 어느 특정된 온도(가열온도 또는 냉각온도)가 되는 시점에 공정을 전환하게 되면, 각 공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다른 공정으로 넘어가 신발을 안정적으로 건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여지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공정이 효과적으로 완료된 후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도록 하기 위해 가열온도일 경우 최저 가열온도와 최고 가열온도이내의 범위로 정해지는 가열온도구간을 갖도록 하고, 냉각온도일 경우 최고 냉각온도와 최저 냉각온도이내의 범위로 정해지는 냉각온도구간을 갖도록 한 후,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과정은 가열온도구간 또는 냉각온도구간의 범위에 이르렀을 때 정해진 설정시간이 되면 완료되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건조방법은 효과적으로 신발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챔버(20)내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신발(1)내에 함유되어 있는 습기가 챔버(20)내의 공기중으로 발산되도록 한다. 그리고 챔버(20)내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는 챔버(20)내 공기중에 있는 습기가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히터(60)를 사용하여 챔버(20)내에 순환되는 상온풍상의 습기는 각종 악취와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습기가 냉동기(50)의 작동시 증발기(52)에서 응축되어 액체화되도록 하여 응축수 배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므로써, 신발(1)이 건조된 후 도어(14)를 열었을 때 외부로 악취가 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를 사용하여 신발을 건조시키는 방법을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1)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은나노화 유니트(100)의 스프레이(104)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110)를 신발(1)의 내측과 외측에 분사하여, 챔버(20)내의 받침대(22)상에 넣는다(S510). 이때 신발 건조장치(10)가 미작동일 때에는 디스플레이(90)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92)를 조작하여 전원이 입력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92)를 조작하여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면, 먼저 히터(60)가 작동되고 순환팬(42)이 작동되어 챔버(20)내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센서(70)에 의해서 검출되는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가 18℃ 내지 30℃의 범위(가열온도구간)가 유지되도록 한다(S520). 이와 같은 과정에서 신발(1)에 잔존하고 있는 습도는 챔버(1)내로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온풍의 순환단계를 약 20분간 지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신발(1)에 잔존하고 있던 습기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챔버(20)내의 습도가 약 80% 내지 90%가 된다. 제어부(80)는 가열온도구간(18℃ 내지 30℃)에서 설정시간(약 20분)이 되면, 히터(6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냉각기(50)가 작동되도록 하며, 챔버(20)내 공기의 온도가 가열온도구간에 도달하지 않고, 도달하였더라도 설정시간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히터(60)의 작동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S530). 챔버(20)내 공기의 온도가 가열온도구간에 도달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만족되었을 때 냉각기(50)가 작동된다. 냉각기(50)의 작동시 증발기(52)의 표면 온도는 영하로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이때 증발기(52) 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챔버(20)내에 기체상태로 있던 습기가 응착하여 액체상태로 변환되면서 응축수 배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냉각기(50)의 작동과 함께 순환팬(42)이 작동되어 챔버(20)내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서 센서(70)에 의해서 검출되는 챔버(20)내의 공기의 온도가 5.5℃ 내지 10℃의 범위(냉각온도구간)가 유지되도록 한다(S540). 이와 같은 저온풍의 순환단계를 약 60분간 지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챔버(20)내의 공기중에 잔존하고 있던 습기가 증발기(52)에서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제어부(80)는 냉각온도구간(5.5℃ 내지 10℃)에서 설정시간(약 60분)이 되면, 냉각기(5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다시 히터(60)가 작동되도록 하며, 챔버(20)내 공기의 온도가 냉각온도구간에 도달하지 않고, 도달하였더라도 설정시간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냉각기(50)의 작동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S550).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이와 같이 챔버(20)내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공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므로써 언제나 청결하고 쾌적한 상태로 신발의 건조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1)에 스프레이(104)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기 위한 은나노화 유니트(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1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다른 형태의 신발 건조방법이 적용되는 신발 건조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신발 건조장치(10)의 프레임(12) 외부에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챔버(20)의 하측에 설치하여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은콜로이드(110)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102), 탱크(102)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106)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연결관(108)이 결합되고, 탱크(102)로부터 은콜로이드(110)를 유입시켜 분사시키기 위한 스프레이(10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물이 수용되는 탱크(102)내에 은을 구조화시킨 은폼(112)을 넣어 형성되는 은콜로이드(110)를 공기분사방식의 스프레이(104)를 사용해 은나노화하므로써 신발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외부에서 보충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보충수 공급라인(130)이 접속되고, 탱크(102) 내부에 수위센서(120)를 설치하여 제어부(80)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보충수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보충수가 공급되지 않아 은콜로이드(110)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 디스플레이(90)의 살균 표시등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탱크(102)내에 깨끗한 물 약 3리터가 유지되도록 보충수 공급라인(130)에 연결하여 자동적으로 유입{수위센서(120)에 의하여 LOW가 되면 물이 유입되고, HIGH가 되면 물 유임 중단}되도록 만들고, 이 탱크(102)내 물 위에 구조화된 은폼(112)을 부유하게 만든다. 이때의 은폼(112)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은폼(112)이 탱크(102)내 물의 모든 세균 을 제거하게 된다. 이 은폼(112)으로 인하여 정화된 은콜로이드(110)는 제 1 연결관(106)을 통해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레이(104)로 보내지고, 액체상태이던 은콜로이드(110)는 기체상태로 나노화되어 신발에 도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고체상태이던 은폼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시켜서 은콜로이드(110)로 변환시킨 후 스프레이(104)를 사용해 기체상태로 변환하여 은나노화하므로써 신발에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은나노화 유니트(100)는 고체 은의 살균 기능을 이용하여, 액체화시켜서 기체로 도포하게 되므로 기존의 고체상태인 은의 효능을 보다 세밀하게 작용하여 살균 및 건강증진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은나노화 유니트(100)를 사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104)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110)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고, 챔버에 신발(S510)을 넣어 전술한 바와 같은 건조공정(S520, S530, S540, S550)을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히터에 의한 상온풍과 냉 각기에 의한 저온풍을 교대로 작용시켜서 신발을 건조시키므로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상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가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악취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는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냉각기의 작동시 악취의 원인인 습기가 응축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악취제거를 할 수 있으며, 건조와 냉각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므로 신발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신발의 소재가 가죽인 경우에도 신발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 후 바로 착용하여도 착용자가 쾌적한 상태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신발의 내측(및 외측)에 은콜로이드를 스프레이로 은나노화하여 살포하여 신발이 살균되도록 하므로, 인체에 해롭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은콜로이드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나노화하여 신발에 살포하므로 고체의 은 또는 은콜로이드를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 높은 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1)

  1.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이 내부에 수용되는 챔버내에 히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온풍을 순환시켜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온도로 되었을 때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챔버내에 냉각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저온풍을 순환시켜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은 상기 챔버내에 넣기 전에 상기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온도는 최저 가열온도와 최고 가열온도이내의 범위로 정해지는 가열온도구간을 갖고, 상기 냉각온도는 최고 냉각온도와 최저 냉각온도이내의 범위로 정해지는 냉각온도구간을 가지며,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상기 가열온도로 상승시키는 단계와 냉각온도로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열온도구간과 냉각온도구간의 범위에 이르렀을 때 정해진 설정시간이 되면 각 단계가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방법.
  2.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내부에 놓을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서 밀폐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기 위한 냉각기와;
    상기 챔버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저장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히터와 냉각기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전원 스위치와 상기 냉각기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기 위한 은나노화 유니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은나노화 유니트는 은콜로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및;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연결관이 결합되고, 상기 탱크로부터 은콜로이드를 유입시켜 분사시키기 위한 스프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3.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이 땀, 물기 등의 습기가 함유된 경우 건조시켜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을 내부에 놓을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서 밀폐되는 챔버와;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내에 수용된 신발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유니트와;
    상기 건조 유니트를 제어하여 신발의 건조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원 스위치와 상기 건조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표시등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건조시키고자 하는 신발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은콜로이드를 분사하므로써 은나노화하여 살포하기 위한 은나노화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내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유니트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가열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고,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정해진 냉각온도까지 하강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온도와 냉각온도가 저장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챔버내의 공기의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히터와 냉각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사이클을 진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의 증발기와 히터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 챔버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서브 챔버의 앞측에 순환팬이 설치되고, 상기 서브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서브 챔버의 외부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히터와 냉각기의 제어를 미리 지정된 설정시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088617A 2004-11-03 2004-11-03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KR10068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17A KR100681425B1 (ko) 2004-11-03 2004-11-03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17A KR100681425B1 (ko) 2004-11-03 2004-11-03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12A KR20060039512A (ko) 2006-05-09
KR100681425B1 true KR100681425B1 (ko) 2007-02-15

Family

ID=3714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17A KR100681425B1 (ko) 2004-11-03 2004-11-03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4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737B1 (ko) 2007-01-22 2008-06-24 김정순 신발용 건조 및 소독장치
KR101012319B1 (ko) 2008-06-19 2011-02-09 김수길 신발 세척,건조 및 살균·탈취기
EP3088334A3 (en) * 2015-04-30 2017-02-2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Nano silver for neutralizing thermoplastic bag and shoe malodors
WO2022225110A1 (ko) * 2021-04-22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812A (zh) * 2019-09-10 2019-12-13 满誉(福建)制鞋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鞋机上基于plc的多路温度集中巡检装置
KR20220163193A (ko) * 2021-06-02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640A (ja) * 1990-05-31 1992-02-07 Yukio Kitajima 金属イオンを含有する遠赤外線輻射セラミックから成るインクを塗布した基材
JPH06125817A (ja) * 1992-10-20 1994-05-10 Toyo Koatsu:Kk 無菌スリッパ供給装置
JPH07253273A (ja) * 1994-03-17 1995-10-03 Aisin Seiki Co Ltd 乾燥装置
KR20020074117A (ko) * 1999-04-26 2002-09-2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KR20030062919A (ko) * 2002-01-21 2003-07-28 조상균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와 그것의 작동방법
KR20030064427A (ko) * 2002-01-25 2003-08-02 문혁주 자동 감지 기능을 갖는 열풍식 건조장치
KR20050056116A (ko) * 2003-12-09 2005-06-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640A (ja) * 1990-05-31 1992-02-07 Yukio Kitajima 金属イオンを含有する遠赤外線輻射セラミックから成るインクを塗布した基材
JPH06125817A (ja) * 1992-10-20 1994-05-10 Toyo Koatsu:Kk 無菌スリッパ供給装置
JPH07253273A (ja) * 1994-03-17 1995-10-03 Aisin Seiki Co Ltd 乾燥装置
KR20020074117A (ko) * 1999-04-26 2002-09-2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KR20030062919A (ko) * 2002-01-21 2003-07-28 조상균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와 그것의 작동방법
KR20030064427A (ko) * 2002-01-25 2003-08-02 문혁주 자동 감지 기능을 갖는 열풍식 건조장치
KR20050056116A (ko) * 2003-12-09 2005-06-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53273 *
2002741170000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737B1 (ko) 2007-01-22 2008-06-24 김정순 신발용 건조 및 소독장치
KR101012319B1 (ko) 2008-06-19 2011-02-09 김수길 신발 세척,건조 및 살균·탈취기
EP3088334A3 (en) * 2015-04-30 2017-02-2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Nano silver for neutralizing thermoplastic bag and shoe malodors
WO2022225110A1 (ko) * 2021-04-22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12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8474A1 (en) Shoes refreshing,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765858B1 (ko) 신발 건조 소독기
KR101938421B1 (ko) 스마트 위생 신발장
KR100511691B1 (ko) 원적외선 신발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신발장
KR20130136123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손 세척장치
KR2009010508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WI500891B (zh) 臭氧消毒乾燥裝置與其方法
KR20080055288A (ko) 광촉매를 이용한 신발 살균 자판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20120092800A (ko) 신발 살균 건조기 그 외 환기 장치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100681425B1 (ko)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012319B1 (ko) 신발 세척,건조 및 살균·탈취기
JP3222504U (ja) スマートシューズラック
KR200388257Y1 (ko) 위생 관리 보관 장치
KR20130136121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발판장치
KR101870943B1 (ko) 제습장치와 연동되는 상온건조식 건조기
KR100996307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100481622B1 (ko) 신발 살균 건조장치
KR200296964Y1 (ko) 신발소독건조기.
KR100433929B1 (ko) 위생신발장
JP2012152330A (ja) 靴乾燥装置
CN109654627A (zh) 一种卫生间用空气净化除湿装置
JP6602549B2 (ja) 脱臭収納庫
KR101500611B1 (ko) 전장시스템이 분리되는 살균,탈취,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