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5110A1 -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5110A1
WO2022225110A1 PCT/KR2021/013012 KR2021013012W WO2022225110A1 WO 2022225110 A1 WO2022225110 A1 WO 2022225110A1 KR 2021013012 W KR2021013012 W KR 2021013012W WO 2022225110 A1 WO2022225110 A1 WO 20222251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e
mode
air
manag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0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희문
김민수
나중원
서국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9070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45728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85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648177A/zh
Priority to EP21938026.8A priority patent/EP4238474A1/en
Priority to US17/560,677 priority patent/US20220338711A1/en
Publication of WO20222251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51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hoe car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car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air supplied into a management roo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 a shoe manager is a device for managing shoes, such as drying or cleaning shoes, and removing odors from shoes.
  • the shoe care machine may have devices constituting the heat pump cycle, such as an evaporator,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therein.
  • the air in the control room may flow out of the control room and be cooled and dehumidified through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Then, the cooled and dehumidified air is returned to the management room. In other words, the air circulates through the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management room and the machine room.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hoe care device with increased efficiency of a heat pump cy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hoe care device capable of smoothly cooling and dehumidifying air supplied to a management roo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hoe car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hoe car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variety of courses according to user need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 shoe manager includes a main body, a management room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accommodating shoes, a machine room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a heat pump device including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the management room and a blowing fan configured to blow air circulating in the machine room; a first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management room is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It may include a first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by bypassing the condenser through the .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a thir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 a fourth valve dispos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operation of the fourth valve.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fourth valve so that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is closed whe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is opened,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is closed whe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is close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fourth valve to be open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operation of the fourth valv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frequency of a compressor of the heat pump and a temperature of air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care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of the heat pump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of the heat pump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may include, while the shoe manager is operating in the first mode, the compressor If the operating frequenc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requency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management room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emperature, it may include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to the second mod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perating the shoe manager in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a user input.
  • Operating the shoe manager in any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the user input is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user input, operating in the first mode for a first preset time. Afterwards,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shoe manager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for a second preset time.
  • Operating the shoe manager in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the user input alternately operates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user input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shoe care device to do so.
  • Operating the shoe manager in any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the user input is such that the shoes operate only in the second mode for a preset time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user input. This may include controlling the manag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1 .
  • FIG.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1 .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1 .
  •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alve for each operation mode of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llustrates a flow of air whe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s in the first operation mode.
  • FIG 8 illustrates a flow of air whe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hoe manager to change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rs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20 of the shoe manager 1 is installed is defined as the front, and based on this,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defi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1 .
  • FIG.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1 .
  • the shoe manager 1 may include a body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20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 .
  • the body 1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 An opening 10a may be formed in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
  • the door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main body 10 .
  • the door 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 by a hinge 23 .
  •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surfac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length of the side surfac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are different. That is, the length L1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L2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For this reason, it can be easy to install the shoe manager 1 even in a narrow entrance hall.
  • the length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defined as a first length L1 and the leng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defined as a second length L2.
  • the door 20 may include a control panel 22 provided on the front and/or upper surface.
  • the control panel 22 may receive various commands from the user.
  • the control panel 22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manager 1 .
  • the user may select a type of shoe to be managed using the control panel 22 , and may set an appropriate management course for the shoe.
  • the control panel 22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manager 1 . Also, the control panel 2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tton and a touch screen.
  • the door 20 may include a hook member 21 .
  • the hanging member 2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20 facing the in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provided.
  •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referred to as a compartment 30 , a management area 30 , a care area, a treatment area 30 , and a care space 30 .
  • the hanging member 21 may be used for hanging the handle 55 of the cradle 50 . Storage of the cradle 50 can be facilitated by the hanging member 21 .
  • the hanging member 21 may be used for other purposes.
  • the body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1 and an inner case 12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11 .
  • a management room 30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
  • the inner case 12 may form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in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provided with a cradle 50 on which shoes can be mounted.
  • the inner case 12 may be referred to as a case.
  • the management office 30 may form a space in which shoes are accommodated.
  •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formed of an upper surface 12a, a lower surface 12b, a left surface 12c, a right surface 12d, and a rear surface 12e of the inner case 12 .
  • Shoes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nagement room 30 and managed.
  • the upper surface 12a, the lower surface 12b, the left surface 12c, the right surface 12d and the rear surface 12e of the inner case 12 are the upper wall 12a, the lower wall 12b, and the left wall of the inner case 12. (12c), the right wall 12d, and the rear wall 12e.
  • a cradle 50 and a mounting rail 80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cradle 50 and the mounting rail 8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12c or the right side 12d of the inner case 12 . That is, the cradle 5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side of the shoe is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shoe manager 1 .
  •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 the positions of the cradle 50 and the mounting rail 80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 At least one cradle 50 may be provided.
  • the holder 5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hoe.
  • the cradle 50 is detachable from the management room 30 . That is, the cradle 50 may be combined with the mounting rail 8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rail 80 .
  • the cradle 5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rail 80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Since the cradle 50 is detachable, the space in the management room 30 can be efficiently u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oe.
  • 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n air outlet 31 and an air inlet 60 .
  • the air outlet 3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of the inner case 12 .
  • the air outlet 31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12c of the management room 30 .
  • a plurality of air outlets 31 may be provided.
  • the air outlet 31 may allow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uct 100 to flow into the management room.
  • the air cooled and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42 in the duct 100 flows to the condenser 43 , and the air heated by the condenser 43 flows into the management room 30 through the air outlet 31 . can be supplied.
  • the air inlet 6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12 .
  • the air inlet 6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inner case 12 .
  • the air inlet 6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12b).
  • Air in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uct 100 through the air inlet 60 .
  • the air inlet 60 may include a central hole 60a and a grill 60b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holes.
  • the shoe care machine may include a machine room 32 , a condenser 43 , a compressor 41 , an evaporator 42 , and a communication hole 33 .
  • the machine room 3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machine room 32 may be referred to as a compartment 32 , a machine area 32 , and a machine space 32 .
  • the machine room 32 may be provided under the management room 30 .
  •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32 .
  • a heat pump device 40 including a compressor 41 , an expander 44 , an evaporator 42 , and a condenser 43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32 .
  • the machine room 32 may accommodate a compressor 41 , an expander 44 , an evaporator 42 , and a condenser 43 .
  • a sterilization device 49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room 30 or in the machine room 32 . 2 and 3 , the sterilization device 49 is exemplified to be provided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
  • Air inside the machine room 32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of the shoe care device 1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
  • the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chine room 32 .
  • the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provided in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10 .
  • the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provided in the rear wall 11e of the external cabinet 11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the machine room 32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s 11c and 11d of the external cabinet 11 .
  • the duct 1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duct 100 may be disposed below the management office 30 , the left wall 12c and/or the right wall 12d.
  • the duct 1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32).
  • the duct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machine room 32 .
  • an evaporator 42, a condenser 43, a deodorizing device 45, a duct 100, a blower fan 47, a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are provided in the duct 100.
  • an evaporator 42, a condenser 43, a deodorizing device 45, a duct 100, a blower fan 47, a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can be
  • the compressor 41 , the evaporator 42 , the condenser 43 , and the expansion device 44 may be defined as the heat pump device 40 .
  • the refrigerant may flow through the compressor 41 , the evaporator 42 , the condenser 43 , and the expansion device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0a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heat pump device 40 .
  • the heat pump device 40 may cool, dehumidify, and heat the air circulating in the management room 30 . After the heat pump device 40 dehumidifies the air leaked from the management room 30 , the air heated through the condenser 43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duct 100 may include a first duct 101 positioned below the management office 30 .
  • the first duct 101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duct 101 .
  • the duct 10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60 of the management room 30 and may form a flow path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60 to the blowing fan 47 .
  • the duct 100 may include a second duct 102 provided on the left wall 12c and/or the right wall 12d forming the management office 30 .
  • the first duct 10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ct 102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body 10 .
  • the second duct 102 may be referred to as a side duct 102 .
  • the second duct 102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of the inner case 12 in the second direction (Y) of the shoe care device (1). One end of the second duct 102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air outlet 31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uct 101 .
  • the second duct 102 may form an exhaust passage 104 for guiding air to the air outlet 31 .
  • An evaporator 42 and a condenser 4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uct 101 .
  • the evaporator 42 , the condenser 43 , and the blowing fan 47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X).
  • the evaporator 42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condenser 43 based on the flow of air.
  • the blowing fan 4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t pump device 40 and the management room 30 to circulate air.
  • the blowing fan 47 may rotate based on a predetermined rotation per minute (RPM). Specifically, the blowing fan 47 may suck in air flowing into the first duct 101 and discharge the air toward the second duct 102 .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101 through the air inlet 60 is dr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2 of the heat pump device 40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43 , and the second duct 102 . ) and the air outlet 31 may be discharged back to the management room 30 .
  • a deodorizing device 45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uct 101 .
  • the deodorizing device 45 may include a deodorizing filter 45a and a UV LED 45b.
  • the deodorizing filter 45a and the UV LED 45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ir inlet 60 of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UV LED 45b may remove the smell of air by irradiating light to the deodorizing filter 45a.
  • the deodorizing filter 45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ramic filter,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n activated carbon filter.
  • a sterilizing device 49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management room 30 or in the first duct 101 .
  • the sterilizer 49 may remov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 the sterilizer 49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ltraviolet lamp, an ultraviolet LED, a xenon lamp, an ozone generator, or a sterilizing agent spray.
  • the drain tube 48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 that is, in the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32 .
  • the drain tube 48 may stor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42 .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cooled and dehumidified by the evaporator 42 provided in the duct 100 , and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may be collected in the drain tube 48 .
  • the drain tube 48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dy 10 .
  • the drain container 48 may be referred to as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48 .
  • At least one shelf 90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room 30 . Shoes may be placed on the shelf 90 .
  • the shelf 90 may include a duct shelf 91 .
  • the duct shelf 91 may form a duct passage 91b therein, and may include a lower surface hole 91a formed in a lower surface thereof. Air blown from the blowing fan 47 through the second duct 102 may be discharged into the management room 30 through the lower surface hole 91a of the duct shelf 91 .
  • the upper surface hole 9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shelf 91 .
  • a side of the duct shelf 91 may be connected to a circular duct 92 disposed in the second duct 102 .
  • the air may be discharged into the management room 30 through the nozzle 92a of the circular duct 92 .
  • Air may be supplied to the duct shelf 91 after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duct 92 .
  • the circular duct 92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measure a first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by the condenser 43 .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ndenser 43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of the condenser 43 .
  • the temperature of the air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is defined as the first temperature.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be provided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condenser 43 and the blowing fan 47 .
  • the posi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 the controller 200 of the shoe manager 1 may adjus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based on the first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air inlet 60 of the management room 30 and/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before flowing into the evaporator 42 .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evaporator 42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before flowing into the evaporator 42 .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may be provided in a flow path between the air inlet 60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45a or between the deodorization filter 45a and the evaporator 42 .
  • the temperature of the air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is defined as the second temperature.
  • the controller 200 of the shoe manager 1 may determine the outdoor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when the shoe manager 1 starts to operate.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1 .
  • the circulation flow path flowing through the management room 30 and the machine room 32 in the shoe manager 1 shown in FIG. 3 and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100a of the duc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hoe care device includes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circulates between the management room 30 and the machine room 32 , and a blower fan 47 for blowing air in the circulation passage. can do.
  • the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a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a second circulation passage.
  •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an air supply passage 103 , an exhaust passage 104 , and a first passage 105 .
  •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a supply air passage 103 , an exhaust passage 104 , and a second passage 106 .
  • 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duct 100 and an internal flow path 100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duct 100 may include a first duct 101 and a second duct 102 .
  • the first duct 101 may be provided under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second duct 102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s 12c and 12d forming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first duct 101 and the second duct 1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ir is communicated.
  • the first duct 101 and the second duct 102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uct 101 and the second duct 102 may be respectively formed and combined.
  • a flow path 100a may be formed in the duct 100 .
  • the evaporator 42 , the condenser 43 , and the blowing fan 47 may be disposed in the flow path 100a.
  • the flow path 100a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flow path 100a may include an air supply flow path 103 , an exhaust flow path 104 , a first flow path 105 , a second flow path 106 , and a third flow path 109 .
  • the air supply flow path 10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ir in the management room 30 flows into the duct 100 .
  • the air supply passage 103 may receive air from the air inlet 60 and flow it to the evaporator 42 .
  • the air inlet 6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inner case forming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air supply passage 103 may be formed from the air inlet 60 to the evaporator 42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formed upstream of the evaporator 42 from the air inlet 60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vaporator 42 may be a component disposed inside the air supply passage 103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formed in the first duct 101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2 flows to the condenser 43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formed from the evaporator 42 to the blowing fan 47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formed from the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42 to the upstream of the blowing fan 47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vaporator 42 and the blowing fan 47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105 .
  • a condenser 43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a condenser flow path 105 or a main flow path 105 .
  • the low-temperature, low-humidity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42 may pass through the condenser 43 and become high-temperature and low-humidity air.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posi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flow path 106 may be formed in the first duct 101 .
  • the second flow path 106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low path 105 by a partition wall 107 . Howe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low path 106 may overlap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second flow path 106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2 bypasses the condenser 43 .
  • the second flow path 106 may preven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2 from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43 in a second mode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flow path 106 may be a bypass flow path 106 .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2 in the duct 100 may not pass through the condenser 43, and the temperature of the management room 30 and surrounding components where heat accumulation has occurred may be lowered. Accordingly,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42 may be increased.
  • the third flow path 109 may be formed by the first duct 101 .
  • the third flow path 109 may be formed by the third flow path forming part 108 protruding toward the machine room 32 .
  • the third flow path 109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machine room 32 to flow to the condenser 43 .
  • the third flow path 109 may allow air in the machine room 32 to pass through the condenser 43 in a second mode to be described la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flow path 109 may overlap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can exchange heat with the condenser 43, and the heated air in the machine room 32 i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provided in the rear wall of the body to the shoe care machine ( 1)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or exchange heat. Accordingly, the heat in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care device (1).
  • the exhaust passage 104 may be formed in the duct 100 . A portion of the exhaust passage 10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uct 102 .
  • the exhaust passage 104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ir in the duct 100 flows to the management room 30 in which the shoes 2 are accommodated.
  • the exhaust passage 104 may be connected to the air outlet 31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lower fan 47 flows to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air outlet 3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s 12c and 12d of the inner case forming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exhaust passage 104 may be formed from the blowing fan 47 to the air outlet 31 .
  • the first flow path 105 may be formed from the downstream of the blowing fan 47 to the air outlet 31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lowing fan 47 may be a component disposed inside the exhaust passage 104 .
  • the shoe manager may include dampers 105a, 105b, 106a, 109c, and 109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100a. Dampers may be referred to as valves 105a, 105b, 106a, 109c, 109d.
  • a plurality of dampers 105a, 105b, 106a, 109c, and 109d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dampers 105a, 105b, 106a 109c, and 109d include a first damper 106a, a second damper 109c, a third damper 109d, a fourth damper 105a, and a fifth damper ( 105b).
  • the first damper 106a may be disposed in the bypass flow path 106 to control a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106 .
  • the first damper 106a may open and close the bypass flow path 106 .
  • the position of the first damper 106a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ypass flow path 106 as long as the bypass flow path 106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109d may open and close the third flow path 109 to adjust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third flow path 109 .
  • the second damper 109c may open and close the inlet 109a of the third passage
  • the third damper 109d may open and close the outlet 109b of the third passage.
  • the second damper 109c and/or the third damper 109d closes the third flow path 109 so that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does not pass through the condenser 43 in the first mode and/or the normal mode, and In the second mode, the third flow path 109 may be opened so that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43 .
  •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can exchange heat with the condenser 43, and the heated air in the machine room 32 i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provided in the rear wall of the body to the shoe care machine ( 1)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or exchange heat. Accordingly, the heat in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care device (1).
  •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105b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flow path 105 to adjust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fourth damper 105a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condenser 43 in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fourth damper 105a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evaporator 42 and upstream of the condenser 43 to control the flow rate of air in the first flow path 105 flowing to the condenser 43 through the evaporator 42 .
  • the fifth damper 105b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ndenser 43 in the first flow path 105 .
  • the fifth damper 105b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ndenser 43 and upstream of the blowing fan 47, and the air flow rate in the first flow path 105 flowing to the blowing fan 47 passing the condenser 43 can be adjusted.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assage 103 from the management room 30 through the air inlet 60 is transferred to the condenser 42 ) may open the first flow path 105 to flow to the The first flow path 105 is clos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103 does not flow into the condenser 42, and after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flows through the condenser 42 at the inlet 109a of the third flow path, the second flow path 105 is closed. It can flow through the 3-channel outlet 109b.
  •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can exchange heat with the condenser 43, and the heated air in the machine room 32 i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provided in the rear wall of the body to the shoe care machine ( 1)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or exchange heat. Accordingly, the heat in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care device (1).
  • the machine room 32 may be provided under the management room 30 .
  • a refrigerant pipe 40a, a compressor 41 and an expander 44 constituting the heat pump device 40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32 .
  • 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and a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
  •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and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frigerant pipe 40a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vaporator 42 through the expander 44 .
  •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ndenser 43 through the compressor 41 .
  • the shoe care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33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
  • the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formed in one wall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ir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flows into or out of the machine room 32 .
  • the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formed in the right wall 11d and/or the rear wall 11e of the external cabinet 11 .
  • the communication hole 33 is formed in the right wall 11d for explanation, but the formed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33 is not limited to the ba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 the shoe car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er cooling fan 34 .
  •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may blow air in the third flow path 109 .
  •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may allow the air in the machine room 32 to flow to the condenser 43 and then to the machine room 32 again.
  •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32 .
  •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third flow passage outlet 109b.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third flow passage inlet 109a.
  •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shoe manager 1 may include a control panel 22 , a heat pump device 40 , a sensor unit 150 , a control unit 200 , and a damper unit 300 .
  • the control panel 2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tton and a touch screen, and may receive various commands from a user.
  • the control panel 22 may transmit a command (hereinafter, 'user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200 .
  • the heat pump device 40 may include a compressor 41 , an evaporator 42 , a condenser 43 , and an expansion device 44 .
  • the heat pump device 40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eg,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 to the controller 200 , and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heat pump device 40 .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
  • the sensor unit 150 may sense a temperature at each location (eg, inside the duct 100 ) of the shoe manager 1 .
  • the sensor unit 150 detects at least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 and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 and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
  •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may include
  • the sensor unit 150 may sense the temperature at each position of the shoe manager 1 and send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
  • the damper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ths (eg, the first flow path 105 , the second flow path 106 , and the third flow path 109 ) provided in the duct 100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air. It may include a damper (eg, a first damper 106a, a second damper 109c, a third damper 109d, a fourth damper 105a, and a fifth damper 105b).
  • a damper eg, a first damper 106a, a second damper 109c, a third damper 109d, a fourth damper 105a, and a fifth damper 105b).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opening/closing of at least one damper (eg, the first damper 106a) among a plurality of dampers included in the damper unit 300 .
  • at least one damper eg, the first damper 106a
  • 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and at least one memory 220 , and may control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shoe manager 1 .
  • the processor 210 executes software (eg, a program) to execute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the heat pump device 40, the damper unit (eg, the heat pump device 40) of the shoe manager 1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0 ( 300), the blowing fan 47, the deodorizing device 45, and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can be controlled, and various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 the processor 210 store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eg, the sensor unit 150, the control panel 22) in the volatile memory, processes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and , the result data can be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uxiliary processor (eg,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heat pump unit,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damper unit) tha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r together.
  • a main processo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 an auxiliary processor eg,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heat pump unit,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damper unit
  •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and an auxiliary processor
  • the auxiliary processor may use less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or may be set to specialize in a specified function.
  • the coprocess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or as part of the main processor.
  • the memory 22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processor 210 or the sensor unit 150) of the shoe manager 1 .
  •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 the memory 22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 the memory 220 may store software (eg, a program) that,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210 , performs an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 software eg, a program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amper for each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when the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s in the first operation mode.
  • FIG. 8 shows the flow of air whe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various components (eg, the damper unit 300 and the heat pump device 40 ) of the shoe manager 1 based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1 . There is (1000).
  •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amper unit 300 (eg, the first damper 106a,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109d) based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1 .
  •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105b)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mode and a second operation mode.
  •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mean an operation mode for drying the shoes 2 accommodated in the management room 30 with the high-temperatur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43 .
  •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to cool the shoes 2 accommodated in the management room 30 with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43, and cool the heat pump device 40 (eg, the condenser 43). It may mean an operation mode for
  • the controller 200 may close the first damper 106a,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in the first mode ( 1100 ).
  • the controller 200 may open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105b in the first mode ( 1110 ).
  • the controller 200 may operate the blowing fan 47 in the first mode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
  • air heated through the condenser 43 is provided to the shoe 2 to dry the shoe 2 efficiently.
  • the controller 200 controls any one of the first damper 106a,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109d (eg, the first damper 106a) in the first mode.
  • the bay may be closed.
  • air outside the body 10 and air inside the body 1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
  • air outside the main body 10 may flow into or out of the machine room 32 .
  • the controller 200 may open the first damper 106a,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109d in the second mode ( 1200 ).
  • the controller 200 may close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105b in the second mode ( 1210 ).
  • the controller 200 may operate the blowing fan 47 in the second mode and may operate the condenser cooling fan 34 . Also, the controller 200 may operate the compressor 41 at the minimum operating frequency in the second mode.
  • the first damper 106a,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109d are opened, and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are opened.
  • the 105b is closed, the air flowing in from the management room 30 and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2 bypasses the condenser 43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nagement room 30 again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06 . .
  • the first damper 106a, the second damper 109c, and the third damper 109d are opened, and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are opened.
  • the 105b is clos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3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flows into the third flow path 109 from the inlet 109a,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43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 109b)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32 again.
  • the air flowing back into the machine room 32 through the outlet 109b may flow ou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3 .
  • the shoes 2 in the second mode, can be cooled by circulat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only the evaporator 42 to the management room 30 .
  • the unheated air in the machine room 32 is used to The condenser 43 may be cooled.
  • control unit 200 may open the fourth damper 105a and the fifth damper 105b in the second mode, and in this case, the shoe 2 and the condenser 43 are operated with lower efficiency. can be cooled with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hoe manager to change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shoe manager 1 may operate in a first mode ( 2000 ).
  • the control unit 200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a drying course through the control panel 22 and starting the drying course, controls the damper unit 300 and the heat pump device so that the shoe care unit 1 operates in the first mode. (40) can be controlled.
  • control unit 200 adjust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drying course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150 or turns on the compressor 41 . Off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200 may adjus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through a fuzzy control method to follow a targe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 drying course.
  • the temperature of the shoe care device 1 eg,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100
  • the dehumidifying performance of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 air, and a failure of the heat pump device 40 may occur.
  •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care device (1) based 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100).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while the shoe manager 1 operates in the first mod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41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requency (YES in 2100),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100 is preset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eg 2200),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1 may be changed to the second mode (2300).
  • the temperature of the shoe care device 1 (eg, the duct 100 )
  • the condenser 43 and the shoes 2 can be cooled b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manager 1 to the second mode.
  •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ir circulating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can be changed to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ir, and accordingly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shoe manager 1 may receive various user inputs from the user including the control panel 22 .
  • the shoe management device 1 may provide a user with various shoe management courses, and the user may select a shoe management course using various buttons and a touch pad included in the control panel 22 .
  • the shoe care device 1 may provide a general drying course for drying the shoes 2 , and a first course for cooling the shoes 2 after drying, and for dehumidification of the shoes 2 .
  • Various courses such as a focused second course and a third course for cooling the shoe 2 may be provided.
  •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course is referred to as a first user input
  •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course is referred to as a second user input
  •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third course is provided. 3 Defined by user input.
  • control unit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22 (3000), and operate the shoe manager 1 in any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the user input. have.
  • control unit 200 operates in the first mode for a first preset time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user input and then operates the shoe manager 1 in the second mode for a second preset time. ) can be controlled (3100).
  • the first preset time may be set as a time for drying the shoe 2
  • the second preset time may be set as a time for cooling the shoe 2
  • the first preset time may be set longer than the second prese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time it takes to dry the shoe 2 is longer than the time it takes to cool the shoe 2 .
  • the shoe manager 1 provides the user with the first course, so that when the user immediately puts on the shoes 2 after the care has been completed, the user can feel a cooler feeling,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 the first course may be mainly used in summer when the user is uncomfortable to wear shoes 2 with high temperature.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shoe manager 1 to alternately operate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second user input (3200). .
  • the controller 200 may cause the shoe manager 1 to repeat a cycle of operating in the first mode for a first reference time and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for a second reference time several times.
  •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be preset to a time for maximizing the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anagement room 30, the evaporator 42, and the condenser 43 in the first mode is heated and humid in the second mode. Only the evaporator 42 can pass through to make it low-humidity, and accordingly, the moisture of the shoe 2 can be efficiently removed by providing the high-temperature and low-humidity air to the shoe 2 again in the first mode.
  • the shoe manager 1 may remove moisture from the shoes 2 in an optimal time 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second course.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shoe manager 1 to operate only in the second mode based on receiving the third user input ( 3300 ).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shoe manager 1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for a preset time.
  • the preset time may be preset to a time suitable for cooling the shoe 2 .
  • the shoe manager 1 provides a third course to the user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shoes 2, the user feels cool,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 the third course may be mainly used in summer when the user is uncomfortable to wear shoes 2 with high temperature.
  • the shoe manager 1 may provide various courses to the user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과,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를 수용하는 기계실 및 상기 관리실과 상기 기계실을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신발관리기는,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 및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를 포함한다. 신발관리기는상기 제2순환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본 개시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관리기는 신발을 건조시키거나 깨끗하게 하고, 신발의 냄새를 제거하는 등 신발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신발관리기는 내부에 증발기, 응축기 및 압축기 등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가질 수 있다. 건조 및/또는 냉각 행정에서 관리실 내의 공기는 관리실 외부로 유출되어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냉각 및 제습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및 제습된 공기는 다시 관리실로 돌아가게 된다. 다시 말해, 공기는 관리실 및 기계실을 거치는 유로를 순환하게 된다.
밀폐 순환 방식의 경우, 공기가 신발관리기 내부를 계속 순환하면서 가열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열 축적이 발생하고 관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 및 제습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속적인 열 축적을 방지하여 관리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 및 제습되는 히트펌프 사이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히트펌프 사이클의 효율이 증가된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냉각 및 제습시킬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의 수요에 맞게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과,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를 수용하는 기계실과, 상기 관리실과 상기 기계실을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성되는 송풍팬과,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외부와 상기 기계실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벽에 마련되는 연통홀과, 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로 흐르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기계실로 흐르는 유출구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 또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유로 상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의 작동 및 상기 제4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순환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순환유로가 폐쇄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밸브의 작동 및 상기 제4밸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펌프 장치의 응축기를 거친 공기가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하이고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히트펌프 사이클의 효율이 증가되므로, 공기를 원활하게 냉각 및 제습시킬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신발관리기의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제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히트 펌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 별 밸브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의 도어(20)가 설치된 방향은 전방으로 정의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23)에 의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면의 길이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측면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 전면의 길이(L1)가 본체(10) 측면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현관에도 신발 관리기(1)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본체(10) 전면의 길이는 제1 길이(L1), 본체(10) 측면의 길이는 제2 길이(L2)로 정의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 및/또는 상면에 마련되는 컨트롤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관리기(1)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신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신발에 적절한 관리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관리기(1)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22)은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걸이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관리실(30)의 내부를 마주보는 도어(2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30)은 컴파트먼트(30, compartment), 관리 구역(30, care area), 처리 구역(30, treatment area) 및 관리 공간(30, care space)으로 지칭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거치대(50)의 손잡이(55)를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걸이부재(21)에 의해 거치대(50)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체(10)는 외부 케이스(11) 및 외부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관리실(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케이스(12)는 관리실(30)를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의 내부에는 신발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50)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는 케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관리실(30)는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는 내부 케이스(12)의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은 관리실(30) 내에 수용되어 관리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의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은 내부 케이스(12)의 상벽(12a), 하벽(12b), 좌측벽(12c), 우측벽(12d) 및 후벽(12e)이 될 수 있다.
관리실(30)에는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이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은 내부케이스(12)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거치대(50)는 신발 관리기(1)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신발의 측면이 보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 측면의 길이가 본체(10) 전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의 위치는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50)는 신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50)는 관리실(30)에서 분리 가능하다. 즉, 거치대(50)는 관리실(30)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80)과 결합될 수 있고, 장착 레일(80)과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거치대(50)는 제2방향(Y)을 따라서 장착 레일(80)에 삽입될 수 있다. 거치대(50)가 분리 가능하므로, 신발의 크기에 따라 관리실(30) 내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는 공기 유출구(31) 및 공기 유입구(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내부 케이스(12)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유출구(31)는 관리실(30)의 좌측면(12c)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덕트(100)를 지난 공기가 관리실 내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말해, 덕트(100) 내에서 증발기(42)에 의해 냉각 제습된 공기는 응축기(43)로 흐르고, 응축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기 유출구(31)를 통해 관리실(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내부케이스(1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60)는 내부케이스(12)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유입구(60)는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30) 내 공기는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덕트(10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중앙 홀(60a)과 복수의 사이드 홀을 포함하는 그릴(60b)로 구성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기계실(32), 응축기(43), 압축기(41), 증발기(42) 및 연통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32)은 관리실(3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2)은 컴파트먼트(32, compartment), 기계 구역(32, machine area), 및 기계 공간(32, machine space)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실(32)은 관리실(30)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2)의 내부에는 덕트(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기계실(32)에는 압축기(41), 팽창기(44), 증발기(42) 및 응축기(43)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32)은 압축기(41), 팽창기(44), 증발기(42) 및 응축기(43)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실(30) 내부 또는 기계실(32) 내에는 살균 장치(49)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살균 장치(49)가 관리실(30)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기계실(32) 내부의 공기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의 외부 공기와 연통될 수 있다. 연통홀(33)은 기계실(32)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연통홀(33)은 본체(10)의 후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홀(33)은 외부 캐비닛(11)의 후벽(11e)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통홀(33)은 기계실(32)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캐비닛(11)의 측벽(11c, 11d)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덕트(100)는 관리실(3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100)는 관리실(30)의 아래, 좌측벽(12c) 및/또는 우측벽(12d)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100)는 기계실(3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100)는 기계실(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100) 내에는 증발기(42), 응축기(43), 탈취 장치(45), 덕트(100), 송풍팬(47), 제1 온도 센서(110) 및 제2 온도 센서(120)가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44, 후술함)는 히트 펌프 장치(40)로 정의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의 냉매배관(40a, 후술함)을 통해 냉매는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를 흐를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관리실(30)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관리실(30)에서 유출된 공기를 제습 시킨 뒤, 응축기(43)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관리실(3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덕트(100)는 관리실(30) 아래에 위치하는 제1덕트(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01)는 하부 덕트(101)로 지칭될 수도 있다. 덕트(100)는 관리실(30)의 공기 유입구(60)와 연결되고 공기 유입구(6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팬(47)까지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덕트(100)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좌측벽(12c) 및/또는 우측벽(12d)에 마련되는 제2덕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101)는 본체(10)의 측벽에 마련되는 제2 덕트(1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102)는 측면 덕트(102)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덕트(102)는 신발 관리기(1)의 제2 방향(Y)으로 내부 케이스(12)의 측벽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덕트(102)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출구(31)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1 덕트(1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102)는 공기를 공기 유출구(31)로 안내하는 배기유로(10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덕트(101) 내에는 증발기(42)와 응축기(43)가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42), 응축기(43) 및 송풍팬(47)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증발기(42)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43)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47)은 히트 펌프 장치(40)와 관리실(3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송풍팬(47)은 미리 정해진 RPM(Rotate per minute)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47)은 제1 덕트(101)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제2 덕트(102) 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제1 덕트(101)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 펌프 장치(40)의 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건조되고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제2 덕트(102)와 공기 유출구(31)를 통해 관리실(30)로 다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덕트(101) 내에는 탈취 장치(45)가 배치될 수 있다. 탈취 장치(45)는 탈취 필터(45a)와 UV LED(45b)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필터(45a)와 UV LED(45b)는 관리실(30)의 공기 유입구(6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UV LED(45b)는 탈취 필터(45a)에 광을 조사하여 공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취 필터(45a)는 세라믹 필터, 광촉매 필터 또는 활성탄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 내부나 제1 덕트(101) 내에는 살균 장치(4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장치(49)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살균 장치(49)는 자외선 램프, 자외선 LED, 제논 램프, 오존 발생기 또는 살균제 스프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48)은 본체(10)의 하부, 즉 기계실(3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48)은 증발기(42)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실(30)에서 유출된 공기는 덕트(100) 내에 마련되는 증발기(42)에서 냉각 제습될 수 있고, 냉각 제습시에 발생한 응축수는 배수통(48)에서 집수될 수 있다. 배수통(48)은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배수통(48)은 집수통(48)으로 지칭될 수 있다.
관리실(3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90)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90)에는 신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반(90)은 덕트 선반(91)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선반(91)은 내부에 덕트유로(91b)를 형성할 수 있고, 하면에 형성되는 하면 홀(9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102)를 통해 송풍팬(47)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덕트 선반(91)의 하면 홀(91a)을 통해 관리실(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덕트 선반(91)의 상면에도 상면 홀(93)이 마련될 수 있다.
덕트 선반(91)의 측면은 제2 덕트(102) 내에 배치되는 원형 덕트(92)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원형 덕트(92)의 노즐(92a)을 통해 관리실(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는 원형 덕트(92)를 지난 후 덕트 선반(9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형 덕트(9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110)는 응축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제1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온도 센서(110)는 응축기(43)의 하류에 배치되어, 응축기(43)를 흘러 나온 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 제1 온도 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1 온도로 정의된다. 제1 온도 센서(110)는 응축기(43)와 송풍팬(47) 사이의 유로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온도 센서(11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 관리기(1)의 제어부(200)는 제1 온도 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120)는 관리실(30)의 공기 유입구(60)에서 공기의 온도 및/또는 증발기(42)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온도 센서(120)는 증발기(42)의 상류에 배치되어, 증발기(42)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120)는 공기 유입구(60)와 탈취 필터(45a) 사이 또는 탈취 필터(45a)와 증발기(42) 사이의 유로에 마련된 수 있다. 이하 제2 온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2 온도로 정의된다. 신발 관리기(1)의 제어부(200)는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시작 시 제2 온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제2 온도에 기초하여 외기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신발관리기(1)에서 관리실(30)과 기계실(32)을 흐르는 순환유로와, 덕트(100)의 내부 유로(100a)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는 공기가 관리실(30)과 기계실(32)을 순환하는 순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 내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47)을 포함 할 수 있다.
순환유로는 제1순환유로와 제2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로는 급기유로(103), 배기유로(104) 및 제1유로(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유로는 급기유로(103), 배기유로(104) 및 제2유로(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발관리기는 관리실(30)의 일측에 마련되는 덕트(100)와 내부 유로(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는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01)는 관리실(30)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02)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측벽(12c, 12d)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는 공기가 연통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는 각각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덕트(100) 내에는 유로(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42), 응축기(43), 송풍팬(47)은 유로(10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100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100a)는 급기유로(103), 배기유로(104), 제1유로(105), 제2유로(106) 및 제3유로(109)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유로(103)는 관리실(30) 내의 공기가 덕트(100) 내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기유로(103)는 공기 유입구(6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증발기(42)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급기유로(103)는 공기 유입구(60)로부터 증발기(42)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5)는 공기 유입구(60)에서 증발기(42)의 상류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증발기(42)는 급기유로(103)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제1덕트(1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증발기(42)를 지난 공기가 응축기(43)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증발기(42)에서 송풍팬(47)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5)는 증발기(42)의 하류에서 송풍팬(47)의 상류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증발기(42)와 송풍팬(47)이 제1유로(105)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유로(105) 내부에는 응축기(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응축기 유로(105) 또는 메인 유로(10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42)를 지난 저온저습의 공기는 응축기(43)를 지나 고온저습의 공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105)에는 제1온도 센서(1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온도 센서(11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유로(106)는 제1덕트(1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제1유로(105)와의 사이에서 격벽(107)을 두고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제2유로(106)의 적어도 일부는 제1유로(105)와 중첩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증발기(42)를 지난 공기가 응축기(43)를 바이패스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후술하는 제2모드에서 증발기(42)를 통과한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바이패스 유로(106)가 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06)로 인해 덕트(100) 내에서 증발기(42)를 지난 공기는 응축기(43)를 지나지 않을 수 있고, 열축적이 일어난 관리실(30) 및 주변 구성들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42)의 제습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3유로(109)는 제1덕트(10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유로(109)는 기계실(32) 측으로 돌출되는 제3유로 형성부(10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유로(109)는 기계실(32) 내부의 공기가 응축기(43)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3유로(109)는 후술하는 제2모드에서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도록 할 수 있다. 제3유로(109)의 적어도 일부는 제1유로(105)와 중첩될 수 있다. 제3유로(109)로 인해 기계실(32) 내의 공기는 응축기(43)와 열교환 할 수 있고, 가열된 기계실(32) 내 공기는 본체의 후벽에 마련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거나 열교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관리기(1) 내의 열이 신발관리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덕트(1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의 일부분은 제2덕트(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덕트(100) 내의 공기가 신발(2)이 수용되는 관리실(30)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공기 유출구(31)와 연결되어 송풍팬(47)을 통과한 공기가 관리실(30)로 공기가 흐로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측벽(12c, 12d)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송풍팬(47)으로부터 공기 유출구(31)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5)는 송풍팬(47)의 하류에서 공기 유출구(31)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팬(47)은 배기유로(104)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유로(100a)를 개폐하도록 댐퍼(105a, 105b, 106a 109c, 109d)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밸브(105a, 105b, 106a, 109c, 109d)로 지칭될 수 있다. 댐퍼(105a, 105b, 106a 109c, 109d)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댐퍼(105a, 105b, 106a 109c, 109d)는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제3댐퍼(109d), 제4댐퍼(105a) 및 제 5댐퍼(10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106a)는 바이패스 유로(106)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바이패스 유로(10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댐퍼(106a)는 바이패스 유로(106)를 개폐시킬 수 있다. 다만, 제1댐퍼(106a)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이패스 유로(106)를 개폐시킬 수 있다면 바이패스 유로(106)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는 제3유로(109)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3유로(109)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댐퍼(109c)는 제3유로의 유입구(109a)를 개폐할 수 있고, 제3댐퍼(109d)는 제3유로의 유출구(109b)를 개폐할 수 있다. 제2댐퍼(109c) 및/또는 제3댐퍼(109d)는 제1모드 및/또는 정상모드에서는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지 않도록 제3유로(109)를 폐쇄시키고, 제2모드에서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도록 제3유로(109)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3유로(109)로 인해 기계실(32) 내의 공기는 응축기(43)와 열교환 할 수 있고, 가열된 기계실(32) 내 공기는 본체의 후벽에 마련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거나 열교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관리기(1) 내의 열이 신발관리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는 제1유로(105)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1유로(105)를 개폐할 수 있다. 제4댐퍼(105a)는 제1유로(105) 내에서 응축기(43)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댐퍼(105a)는 증발기(42)의 하류 및 응축기(43)의 상류에 배치되어 증발기(42)를 지나 응축기(43)로 흐르는 제1유로(105) 내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5댐퍼(105b)는 제1유로(105) 내에서 응축기(43)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댐퍼(105b)는 응축기(43)의 하류 및 송풍팬(47)의 상류에 배치되어 응축기(43)를 지난 송풍팬(47)으로 흐르는 제1유로(105) 내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4댐퍼(105a) 및/또는 제5댐퍼(105b)는 제1모드 및/또는 정상모드에서는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관리실(30)에서 급기유로(103)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42)로 흐르도록 제1유로(10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4댐퍼(105a) 및/또는 제5댐퍼(105b)는 제2모드에서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관리실(30)에서 급기유로(103)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42)로 흐르지 않도록 제1유로(105)를 폐쇄시키고, 기계실(32)의 공기가 제3유로의 유입구(109a)에서 응축기(42)를 흐른뒤 제3유로 유출구(109b)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3유로(109)로 인해 기계실(32) 내의 공기는 응축기(43)와 열교환 할 수 있고, 가열된 기계실(32) 내 공기는 본체의 후벽에 마련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거나 열교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관리기(1) 내의 열이 신발관리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기계실(32)은 관리실(30)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2) 내에는 히트 펌프 장치(40)를 구성하는 냉매배관(40a), 압축기(41) 및 팽창기(4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신발관리기는 제3온도 센서(130) 및 제4온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온도 센서(130) 및 제4온도 센서(140)는 냉매배관(40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온도 센서(130)는 팽창기(44)를 지나 증발기(4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4 온도 센서(140)는 압축기(41)를 지나 응축기(43)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본체(10)의 외부와 본체(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33)은 본체(10)의 외부의 공기가 기계실(32)로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본체(10)의 일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연통홀(33)은 외부 캐비닛(11)의 우측벽(11d) 및/또는 후벽(11e)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연통홀(33)이 우측벽(11d)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되었으나, 연통홀(33)의 형성한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관리기는 응축기 냉각팬(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 냉각팬(34)은 제3유로(109) 내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 냉각팬(34)은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로 흐른 후 다시 기계실(32)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응축기 냉각팬(34)은 기계실(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 냉각팬(34)은 제3유로 유출구(109b)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응축기 냉각팬(34)은 제3유로 유입구(109a)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22), 히트 펌프 장치(40), 센서부(150), 제어부(200) 및 댐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22)은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명령(이하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44)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동작 정보(예: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히트 펌프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신발관리기(1)의 각 위치(예: 덕트(100) 내부)에서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50)는 제1 온도 센서(110), 제2 온도 센서(120), 제3 온도 센서(130) 및 제4 온도 센서(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신발관리기(1)의 각 위치에서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댐퍼부(300)는 덕트(100)에 마련된 복수의 유로(예: 제1유로(105), 제2유로(106), 제3유로(109))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댐퍼(예: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제3댐퍼(109d), 제4댐퍼(105a), 제5댐퍼(105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댐퍼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예: 제1댐퍼(106a))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신발관리기(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신발관리기(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히트 펌프 장치(40), 댐퍼부(300), 송풍팬(47), 탈취장치(45), 응축기 냉각팬(34)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부(150), 컨트롤 패널(22)))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인 프로세서 (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히트 펌프 장치 제어용 프로세서, 댐퍼부 제어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가 메인 프로세서 및 보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신발관리기(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10) 또는 센서부(15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때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 별 댐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신발관리기(1)의 각종 구성(예: 댐퍼부(300), 히트 펌프 장치(40))을 제어할 수 있다(10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댐퍼부(300)(예: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제3댐퍼(109d), 제4댐퍼(105a), 제5댐퍼(105b))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는, 관리실(30)에 수용된 신발(2)을 응축기(43)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로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는, 관리실(30)에 수용된 신발(2)을 응축기(43)를 통과하지 않은 비교적 저온의 공기로 냉각시키고, 히트 펌프 장치(40)(예: 응축기(43))를 냉각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 댐퍼를 폐쇄할 수 있다(11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를 개방할 수 있다(111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송풍팬(47)을 동작시키고, 응축기 냉각팬(3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가 폐쇄되고,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가 개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공기의 유동(F1)을 참조하면, 관리실(30)로부터 유입되어 증발기(42)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43)를 통과하여 다시 관리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응축기(43)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가 신발(2)에 제공되어 신발(2)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 중 어느 하나의 댐퍼(예: 제1댐퍼(106a))만을 폐쇄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통홀(33)을 통해 본체(10) 외부의 공기와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기계실(32)로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 댐퍼(109d)를 개방할 수 있다(12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를 폐쇄할 수 있다(121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송풍팬(47)을 동작시키고, 응축기 냉각팬(34)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압축기(41)를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공기의 제1 유동(F2)을 참조하면,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가 개방되고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가 폐쇄되는 경우, 관리실(30)로부터 유입되어 증발기(42)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43)를 바이패스하여 제2유로(106)를 통해 다시 관리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공기의 제2 유동(F3)을 참조하면,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가 개방되고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가 폐쇄되는 경우, 연통홀(33)을 통해 기계실(32)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구(109a)에서 제3유로(109)로 유입되고, 응축기(43)를 통과한 공기는 유출구(109b)를 통해 다시 기계실(32)로 유입될 수 있다. 유출구(109b)를 지나 다시 기계실(32)로 흐른 공기는 연통홀(33)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증발기(42)만을 통과한 공기를 관리실(30)로 순환시킴으로써 신발(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압축기(41)가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목표 온도가 유지되지 않고 온도가 상승할 경우 가열되지 않은 기계실(32)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응축기(43)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를 개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신발(2) 및 응축기(43)를 보다 낮은 효율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20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건조 코스를 선택한 후 시작한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댐퍼부(300) 및 히트 펌프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센서부(150)를 통해 획득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 코스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를 추종하도록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조절하거나 압축기(41)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건조 코스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를 추종하도록 퍼지(Fuzzy) 제어 방식을 통해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특별한 사정(예: 고온의 외기)에 의하여 압축기(41)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신발관리기(1)의 온도(예: 덕트(100) 내부의 온도 또는 관리실(30)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고온 다습한 공기로 인해 신발관리기(1)의 제습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히트 펌프 장치(40)의 고장이 야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와 덕트(10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하이고(2100의 예), 덕트(10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2200의 예)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2300).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별한 사정(예: 고온의 외기)에 의하여 압축기(41)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신발관리기(1)의 온도(예: 덕트(100) 내부의 온도 또는 관리실(30)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응축기(43) 및 신발(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시킴으로써 관리실(3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저온 저습한 공기로 바꿀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22)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신발 관리 코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에 포함된 각종 버튼 및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신발 관리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발관리기(1)는 신발(2)을 건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건조 코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신발(2)을 건조시킨 후 냉각하기 위한 제1 코스, 신발(2)의 제습에 초점을 맞춘 제2 코스, 신발(2)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3 코스 등의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1 사용자 입력으로, 제2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2 사용자 입력으로, 제3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3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3000),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신발관리기(1)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신발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3100).
일실시예에서, 제1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신발(2)을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신발(2)을 냉각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신발(2)을 냉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신발(2)을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다는 점을 감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제2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제1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케어가 끝난 신발(2)을 바로 착용하는 경우, 보다 시원한 느낌을 받게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스는 사용자가 고온의 신발(2)을 착용하기 불쾌한 여름에 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제1모드와 제2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도록 신발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32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제2 기준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싸이클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시간 및 제2 기준 시간은 제습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는 경우, 제1 모드에서 관리실(30), 증발기(42) 및 응축기(43)를 통과하여 고온 다습해진 공기를 제2 모드에서 증발기(42)만 통과하게끔 하여 저습하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시 제1 모드에서 고온 저습한 공기를 신발(2)에 제공함으로써 신발(2)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제2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신발(2)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신발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33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신발(2)을 냉각하기에 적절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가 제2 모드로만 동작하는 경우, 신발(2)에 저온의 공기만 제공할 수 있어서, 최적의 시간으로 신발(2)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제3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2)을 착용하는 경우 시원한 느낌을 받게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코스는 사용자가 고온의 신발(2)을 착용하기 불쾌한 여름에 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관리기(1)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코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서 신발을 수용하는 제1컴파트먼트;
    상기 본체 내에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를 수용하는 제2컴파트먼트;
    상기 제1컴파트먼트과 상기 제2컴파트먼트을 순환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송풍팬;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로 가이드함으로서 다시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순환유로;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를 지나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함으로서 다시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를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와 상기 제2컴파트먼트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벽에 형성되는 연통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컴파트먼트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로 흐르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제2컴파트먼트로 흐르는 유출구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 또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로 상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의 작동 및 상기 제4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순환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순환유로가 폐쇄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발관리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밸브의 작동 및 상기 제4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발관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발관리기.
  9. 히트 펌프의 응축기를 거친 공기가 신발을 수용하는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로 가이드함으로서 다시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도록 가이드함으로서 다시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제1컴파트먼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하이고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PCT/KR2021/013012 2021-04-22 2021-09-24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2251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85840.0A CN116648177A (zh) 2021-04-22 2021-09-24 鞋管理设备及其控制方法
EP21938026.8A EP4238474A1 (en) 2021-04-22 2021-09-24 Shoe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7/560,677 US20220338711A1 (en) 2021-04-22 2021-12-23 Shoe ca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2577 2021-04-22
KR10-2021-0052577 2021-04-22
KR10-2021-0090703 2021-07-12
KR1020210090703A KR20220145728A (ko) 2021-04-22 2021-07-12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560,677 Continuation US20220338711A1 (en) 2021-04-22 2021-12-23 Shoe ca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110A1 true WO2022225110A1 (ko) 2022-10-27

Family

ID=8372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012 WO2022225110A1 (ko) 2021-04-22 2021-09-24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2511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193B1 (ko) * 2002-11-27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식 의류 건조기용 응축기의 냉각 유로
KR100681425B1 (ko) * 2004-11-03 2007-02-15 주식회사 대립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JP2007301220A (ja) * 2006-05-12 2007-11-22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101636711B1 (ko) * 2014-07-03 2016-07-08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건조기
KR20210030856A (ko) * 2019-09-10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193B1 (ko) * 2002-11-27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식 의류 건조기용 응축기의 냉각 유로
KR100681425B1 (ko) * 2004-11-03 2007-02-15 주식회사 대립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JP2007301220A (ja) * 2006-05-12 2007-11-22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101636711B1 (ko) * 2014-07-03 2016-07-08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건조기
KR20210030856A (ko) * 2019-09-10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46971A1 (ko) 의류관리장치
WO2021137389A1 (ko) 신발 관리기
WO2020040451A1 (ko) 의류관리장치
WO2016099224A1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5068934A1 (en) Laundry machine
WO202004601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19839A1 (ko)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WO2021107573A1 (ko) 의류관리기
WO2017104927A1 (en) System for preventing generation of odor in vehicle and removing generated odor from vehicle
WO2020040420A1 (ko) 의류 관리기
WO2020105864A1 (ko) 의류관리장치
WO202005511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010608A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80191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70648A1 (ko) 공기조화기
WO2019098636A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WO2018208129A1 (ko)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순환 시스템
WO2022164036A1 (ko) 신발관리기
WO2022225110A1 (ko)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40453A1 (ko) 의류관리기
WO2016129880A1 (en) Air conditioner
WO2020009355A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도어 내측을 건조시키는 방법
WO2018097530A2 (ko) 의류건조장치의 제어방법 및 의류건조장치
WO2022234948A1 (ko) 신발관리기
WO2019117520A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380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380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530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5840.0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