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856A -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856A
KR20210030856A KR1020200094017A KR20200094017A KR20210030856A KR 20210030856 A KR20210030856 A KR 20210030856A KR 1020200094017 A KR1020200094017 A KR 1020200094017A KR 20200094017 A KR20200094017 A KR 20200094017A KR 20210030856 A KR20210030856 A KR 20210030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lowing
unit
dryer
blow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나리 히로토
후쿠오카 다이스케
타케노시타 카즈토시
나카가와 스구루
후지요시 토시유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21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9846A1/en
Priority to EP20862284.5A priority patent/EP3989792B1/en
Priority to CN202080063674.XA priority patent/CN114390905A/zh
Priority to US17/015,990 priority patent/US11408679B2/en
Publication of KR2021003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신발 건조기는 본체와, 신발을 수용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신발 수용부와,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과,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촬영하여 신발의 화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신발의 화상으로부터 신발의 정보를 인식하고 신발의 정보를 근거로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스체 내부의 신발 건조실에 신발을 얹는 선반을 마련하고, 선반 위의 신발에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온풍을 토출하는 온풍 토출구를 선반의 상방에 마련하여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공개 평3-13831호 공보
신발을 신는 입구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신발 입구부 밖에서 대부분의 바람이 접촉하므로, 신발의 발끝 부분에 대한 건조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신발의 발끝 부분이 건조 부족이 되지 않도록 송풍 온도를 높이거나 송풍량을 증가시키면 신발이 과건조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건조 부족이나 과건조를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신발 건조기는 본체;와, 신발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신발 수용부;와,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과,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촬영하여 신발의 화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신발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신발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신발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한다.
상기 신발의 정보는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은 상기 신발 입구부의 상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근사한 경우의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의 중심일 수 있다.
상기 송풍 유닛은 송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노즐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건조기는 상기 송풍 노즐에서 토출되는 공기 방향을 조정하도록 상기 송풍 노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전력 파형에 기반하여 상기 송풍 노즐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노즐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 노즐은 오른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노즐과, 왼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 노즐의 방향과 상기 제2 송풍 노즐의 방향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노즐은 바람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송풍 노즐의 유로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노즐은 상기 송풍 노즐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에 그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 내부까지 연장 가능하도록 상기 송풍 노즐에 결합되는 연장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수용부는 한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칸막이를 갖는 제1 신발 수용부와, 상기 제1 신발 수용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다른 한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칸막이를 갖는 제2 신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칸막이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건조기는 신발 액세서리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액세서리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건조기는 상기 신발의 정보와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고, 손가락 또는 음성으로 상기 표시 요소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신발을 수용하는 신발 수용부와,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촬영에 의해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신발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신발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신발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된 신발의 정보는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은 상기 신발 입구부의 상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근사한 경우의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의 중심일 수 있다.
상기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신발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버은 상기 인식된 신발의 정보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모드는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풍속 및 상기 신발 건조기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 내에 마련되고, 신발을 수용하는 신발 수용부와,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의 신발 입구부의 면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부와, 촬영에 의해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와,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 내의 신발 정보에 따라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신발 건조기가 제공된다.
제어부는 구동 전력 파형에 기반하여 이동량을 결정하는 전동기를 이용하여,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송풍부에 의한 송풍 방향을 초기값으로 되돌린 후에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신발 건조기는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서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온습도 감지 수단의 감지 결과에 따라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풍량 및 풍속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송풍부는 오른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노즐과, 왼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 송풍 노즐의 방향과 상기 제2 송풍 노즐의 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송풍부는 신발 입구부의 면에 대해 신발과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는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상 취득부는 신발 수용부의 벽면 또는 본체 외부에 마련된 카메라일 수 있다.
송풍부는 신발 수용부의 벽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벽면은 신발의 뒤꿈치부에 대향하는 벽면일 수 있다. 또한, 송풍부는 벽면에서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부드러운 곡률을 갖는 형상을 갖는 송풍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부는 송풍 노즐의 유로 중앙 부근에 바람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에 있어서, 전연부의 단면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을 가지며, 후연부의 단면이 상변과 후연단부의 연결 부분이 부드러운 곡률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가이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송풍부는 칸막이에 수용된 신발에까지 연장 가능한 송풍 노즐을 구비할 수있다.
송풍부는 칸막이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송풍하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신발 수용부는 1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칸막이를 갖는 제1 신발 수용부와, 제1 신발 수용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1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칸막이를 갖는 제2 신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 수용부는 제1 칸막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신발 건조기는 본체 내에, 신발 액세서리를 수용하는 액세서리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신발건조기는 신발의 정보 또는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고, 손가락 또는 음성으로 표시 요소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신발 건조기는 화상 취득부에 의해 얻어진 화상이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자기의 운전 조건을 조정하는 조작이 수행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는 운전 조건 중 미설정 항목이 제1표시 형태로 표시되고, 운전 조건 중 설정된 항목이 제1 표시 형태와는 다른 제2 표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신발 건조기는 신발 수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와,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를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순환형 유로와, 순환형 유로 내에 마련되어 본체 내의 균을 살균하는 살균부와, 순환형 유로 내에 마련되어 본체 내부의 냄새를 탈취하는 탈취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 내의 신발 정보에 기반하여 자기의 운전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 조건은 살균부에 의한 살균의 강약,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및 풍속, 그리고 자기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순환형 유로는 응축기 직후의 토출 위치의 유로 면적보다 토출 위치와 송풍부 사이의 유로 면적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신발 건조기는 신발 수용부의 신발을 수용 가능한 칸막이의 주변부 또는 신발 수용부의 신발을 수용 가능한 칸막이 내에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칸막이의 주변부 또는 칸막이 내의 공기의 유로는 송풍부에 대향하는 벽면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칸막이의 주변부 또는 칸막이 내의 공기의 유로는 송풍부의 토출 위치의 유로 면적보다 큰 유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살균부는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을 가지며,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본체 내의 균을 살균할 수 있다.
신발 건조기는 운전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고, 손가락 또는 음성으로 표시 요소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신발건조기는 순환형 유로 내에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생성부를 구비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 내에 마련되어 신발을 수용하는 신발 수용부와,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의 신발 입구부의 면에 대해 송풍하는 송풍부를 구비한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영에 의해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화상 내의 신발 정보에 기반하여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입구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송풍함에 따라 발생하는 건조 부족이나 과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측면도로, 순환형 유로에서의 바람의 흐름과, 카메라에 의한 촬영 범위를 겹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신발 건조기 측면도의 영역 X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7b와 도 7c는 그 전연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d는 그 후연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장 노즐의 삽입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살균 유닛이 배치된 송풍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b는 살균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낸 신발 건조기 측면도의 영역 Y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칸막이를 분리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부츠 어테치먼트를 이용한 연장 노즐의 설치 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 도어 외측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초기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운전 중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동작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측면도에 순환형 유로에서의 바람의 흐름과 카메라에 의한 촬영 범위를 겹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신발 화상을 기반으로 송풍 노즐의 풍향 조정에 대해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1은 온습도 정보를 기반으로 송풍 노즐의 풍향 조정에 대해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2a는 송풍 노즐의 각도를 하향 각도로 설정한 경우의 송풍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2b는 그 경우의 송풍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3a는 송풍 노즐의 각도를 전방을 향하는 각도로 설정한 경우의 송풍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3b는 그 경우의 송풍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1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송풍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a는 송풍 노즐의 각도를 신발 수용부의 후벽면에 직교하는 각도로 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25b는 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26a는 송풍 노즐의 각도를 신발 수용부의 후벽면에 평행하며 하향 각도로 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26b는 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제2의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송풍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신발과 송풍 유닛의 위치 관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초기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운전 중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동작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신발 건조기의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는 외곽을 구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열 구조를 가지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본체(10)는 정면측에 마련되어 신발을 출입하기 위해 개폐되는 도어(11)와, 좌측면을 구성하는 좌측면판(12)과, 우측면을 구성하는 우측면판(13)과,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14)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판(15)과,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1)의 내측에는 신발 액세서리를 수용하는 액세서리 수용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신발 액세서리 중 하나인 부츠 어테치먼트(382)(도 13)는 도면에서는 본체(10)의 아래쪽 기계실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는 신발을 수용하는 신발 수용부(20(1)) ~ 20(3))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는 신발 수용부(20(1) ~ 20(3))로 표기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신발 수용부(20)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3 개의 신발 수용부(20)를 나타냈지만, 1 개, 2 개, 또는 4 개 이상의 신발 수용부(2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신발 수용부(20(1) ~ 20(3))에는 각각 1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칸막이(21(1) ~ 2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칸막이(21(1) ~ 21 3))에 1 켤레씩 신발을 수용하여 최대 3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칸막이(21(1) ~ 21(3))로 표시했지만, 이들을 구별 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칸막이(21)로 표기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칸막이(21)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칸막이(21)의 수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칸막이(21)는 본체(10)에 직접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로 가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신발 수용부(20(1) ~ 20(3))에는 좌측면 측에 좌측벽면(22(1) ~ 22(3))이, 우측면 측에 우측벽면(23(1) ~ 23(3))이, 배면 측에 후벽면(24(1) ~ 24(3))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면(22(1) ~ 22(3)), 우측벽면(23(1) ~ 23(3)), 후벽면(24(1) ~ 24(3))은 각각 신발 수용부(20(1) ~ 20(3))에 공통으로 일체화 한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후벽면(24)일 수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편의상, 신발 수용부(20(1) ~ 20(3))의 각각에 대면한 부분을 구별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후벽면(24)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후벽면(24)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는 본체(10)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신발 수용부(20)를 제습 건조시키는 순환형 유로(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순환형 유로(30)는 팬(31)과, 증발기(32)와, 응축기(33)와, 토출 유로(34)와, 후면 유로(35)와, 송풍 유닛(36(1) ~ 36(3))과, 전면 유로(37)를 포함한다.
팬(31)은 신발 수용부(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도면에서는 팬(31)을 하나만 표시하고 있지만, 복수개 마련될 수도 있다.
증발기(32)는 팬(31)의 하류부에 배치되고, 팽창 밸브(315)에 의해 팽창되어 저온 저압이 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팬(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서 제습한다. 응축기(33)는 압축기(325)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이 된 냉매를 응축함으로써 증발기(32)를 통과한 공기를 재가열한다.
토출 유로(34)는 응축기(33)를 통과한 직후의 공기가 후면 유로(35)로 토출하는 부분의 유로이다. 후면 유로(35)는 본체(10)의 후면판(14)과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의 사이에 마련되고, 응축기(33)를 통과하여 토출 유로(34)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신발 수용부(20)에 재분류하기 위한 유로이다.
송풍 유닛(36(1) ~ 36(3))은 각각 신발 수용부(20(1) ~ 20(3))의 후벽면(24(1) ~ 24(3))에 마련되고, 후면 유로(35)로부터의 공기를 칸막이(21(1) ~ 21(3))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송풍한다. 여기에서는 송풍 유닛(36(1) ~ 36(3))으로 표기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송풍 유닛(36)으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송풍 유닛(36)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송풍 유닛(36)의 수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송풍 유닛(36)은 후벽면(24)에 한정하지 않고,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천장면(미도시) 등 다른 벽면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송풍부의 일례로 송풍 유닛(36)을 마련하고 있다.
전면 유로(37)는 팬(31)에 의해 신발 수용부(2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도어(11) 측의 유로이다.
도 4의 측면도에는 이러한 순환형 유로(30)에서 바람의 흐름을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흰색 화살표 중 탈취 장치(50)로부터 증발기(32)로의 화살표는 습도가 높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증발기(32)로부터 응축기(33)로의 화살표는 습도가 낮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응축기(33) 또는 증기 생성기(60)로부터 후면 유로(35)로의 화살표는 고온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순환형 유로(30)에 있어서, 팬(31)을 증발기(32)의 상류 부에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팬(31)은 응축기(33)의 하류부에 마련되거나 각 송풍 유닛(36)의 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신발 건조기(1)는 본체(10) 밖의 공기를 신발 수용부(20) 내로 송풍한 후 신발 수용부(20) 내의 공기를 본체(10) 밖으로 배출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나아가,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는 살균 유닛(40(1) ~ 40(3))과, 탈취 장치(50)와, 증기 생성기(60)와, 배수 탱크(71)와, 급수 탱크(72)를 구비하고 있다.
살균 유닛(40(1) ~ 40(3))은 각각 송풍 유닛(36(1) ~ 36(3)) 내에 마련되며, 본체(10) 내부의 균을 살균한다. 여기에서는 살균 유닛(40(1) ~ 40(3))으로 표기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살균 유닛(40)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살균 유닛(40)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살균 유닛(40)의 수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살균부의 일례로서, 살균 유닛(40)을 마련하고 있다.
탈취 장치(50)는 순환형 유로(30) 내에 마련되며, 본체(10) 내의 악취를 탈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탈취부의 일례로서, 탈취 장치(50)를 마련하고 있다.
증기 생성기(60)는 순환형 유로(30) 내에 마련되며, 순환형 유로(30) 내에 증기를 생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증기 생성부의 일례로서, 증기 생성기(60)를 마련하고 있다.
배수 탱크(71)는 증발기(32)에서 응결된 수분을 저장한다. 급수 탱크(72)는 증기 생성기(60)에 공급하는 물을 저장한다.
나아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는 카메라(80(1) ~ 80(3))와, 제어 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80(1) ~ 80(3))는 각각 신발 수용부(20(1) ~ 20(3))의 벽면에 마련되며, 신발 수용부(20(1) ~ 20(3))에 수용된 신발의 화상(신발 사진)을 촬영한다. 여기서, 벽면은 항상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일 수도 있고, 일시적으로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이 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예로는 신발 수용부(20)의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후벽면(24)이 있지만, 천장면(미도시)일 수도 있다. 후자의 예로는 도어(11)를 닫았을 때에 신발 수용부(20)의 정면측 벽면이 되는 도어(11)의 내측면이 있다. 도면에서는, 이와 같이 도어(11)의 내측면에 카메라(80(1) ~ 80(3))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카메라(80)는 거울을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신발 화상을 얻을 수도 있다.
도 4의 측면도에는 카메라(80(1) ~ 80(3))에 의한 촬영 범위에 대해서 카메라(80(1) ~ 80(3))를 중심으로 한 부채꼴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카메라(80(1) ~ 80(3))로 표기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카메라(80)로 표기할 수 있다. 도면에는 3 개의 카메라(80)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카메라(80)의 수도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80)는 신발의 정보(신발 정보)를 가진 상품 태그나 바코드 등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80)는 반드시 본체(10) 내의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에 마련할 필요 없이 본체(10) 밖에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촬영을 통해 화상을 얻는 화상 취득부의 일례로서, 카메라(80)를 마련하고 있다.
제어 장치(90)는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신발 정보를 판별한다. 여기서, 신발 정보는 예를 들어, 신발의 종류, 형상, 사이즈, 소재 등이 있다.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이 신발 화상인 경우, 예를 들어 촬영한 화상과 미리 등록된 화상과의 화상 매칭 처리에 의해 신발 정보를 판별하면 된다. 또한,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이 상품 태그나 바코드 등의 화상인 경우, 예를 들어 상품 태그에 기재된 문자의 문자 인식 처리나 바코드로 표현된 정보의 분석 처리에 의해 신발 정보를 판별하면 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90)는 이 판별된 신발 정보에 따른 운전 모드를 신발 건조기(1)에 설정한다. 운전 모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살균 유닛(40)에 의한 살균의 강약, 송풍 유닛(36)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및 풍속, 및 신발 건조기(1)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90)는 초기 제어 시에는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에 대해 사용자가 소재를 판단한 결과를 등록한다. 그리고, 제습 건조의 초기 조건(팬(31)의 회전수, 압축기(325)의 주파수 등) 및 살균 유닛(40)의 초기 운전 조건(전류나 전압의 값 등)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운전 중 제어 시에는 본체(10) 내에 마련된 센서의 값에 따라 제습 건조의 조건(팬(31)의 회전수, 압축기(325)의 주파수, 팽창 밸브(315)의 개도) 및 살균 유닛(40)의 운전 조건(전류나 전압의 값 등)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조건으로 운전하도록 자동 제어하거나 운전을 정지하거나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운전 조건의 일례로서 운전 모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화상 내의 신발 정보에 근거해서 자기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일례로서 제어 장치(90)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신발로의 살균이나 열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면서 신발 케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에서 실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경우, 제어 장치(90)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CPU가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에 읽어 들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OS를 탑재한 시스템에서 RAM에 로드되는 소프트웨어는 HDD나 SD(등록 상표) 카드 등의 외부 기억 장치에 기억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에, 신발 건조기(1)가 구비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토출 유로 및 후면 유로)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신발 건조기(1)의 측면도 영역(X)의 확대도이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실시 예에서는 토출 유로(34)의 면적(A)보다 후면 유로(35)의 면적(B)이 커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토출 유로(34)의 면적(A)이란, 응축기(33) 직후의 토출 위치의 유로 면적이며, 후면 유로(35)의 면적(B)이란, 토출 위치와 송풍 유닛(36) 사이의 유로 면적이다. 토출 유로(34)에서 후면 유로(35)로의 유로 면적의 확대의 양태로서는 유로 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로 면적이 급속히 확대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토출 유로(34)에서 후면 유로(35)로 유로 면적이 확대됨으로써 토출 유로(34)를 통과하는 공기의 동압의 일부가 정압으로 변환되고, 후면 유로(35)를 통과하는 정압이 상승하고 후면 유로(35)로부터 신발 수용부(20)로 분류(分流)할 때에 동압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풍 유닛(36)으로부터 바람을 균일하게 분류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각 신발 수용부(20)에 균일한 풍량으로 바람을 분류하기 용이해진다.
(송풍 유닛)
송풍 유닛(36)은 후면 유로(35)로부터 신발 수용부(20)로 송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얇은 판을 평행하게 배열한 루버 형상의 것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송풍 유닛(36)이 송풍 노즐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송풍 유닛(36)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유닛(36)은 오른쪽 신발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 노즐(38a)과, 왼쪽 신발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 노즐(38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풍 노즐(38a, 38b)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송풍 노즐(38)로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말해 송풍 유닛(36)에는, 신발 1 켤레에 대해 2 개의 송풍 노즐(38)이 마련되고, 좌우 각각의 신발에 대해 송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오른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노즐의 일례로서 송풍 노즐(38a)을 마련하고, 왼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 노즐 일례로서 송풍 노즐(38b)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 신발마다 송풍 노즐(38)을 마련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에만 송풍할 수 있어서 신발 케어(살균이나 건조 등)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송풍 노즐(38a, 38b)에는 그 유로 중앙 부근에, 바람에 대한 가이드판(39a, 39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39a, 39b)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가이드판(39)로 표기할 수도 있다.
도 7a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노즐(38)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송풍 노즐(38)의 단면이 후벽면(24)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즉 신발 수용부(20)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부드러운 곡률을 가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판(39)의 전연부(391)의 단면은 도 7b에 나타내는 반원 형상 또는 도 7c에 나타내는 반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판(39)의 후연부(392)의 단면은 도 7d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상변(393)과 후연 단부(395)의 접속 부분이 부드러운 곡률로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변(394)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변(394)은 반드시 평면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되지만, 평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송풍 노즐(38)의 단면을 부드러운 곡률을 가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로 내의 박리(剝離) 등의 손실을 억제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신발에 송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판(39)을 마련함으로써, 유로 내의 박리를 더욱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판(39)의 전연부(391)의 단면을 도 7c, 도 7c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연 박리를, 후연부(392)의 단면을 도 7d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후연 박리를, 각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송풍 효율이 향상된다.
도 8a 및 도 8b는 연장 노즐(381)의 삽입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노즐(381)을 준비한다. 여기에서는, 칸막이(21)에 아직 신발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 또한, 연장 노즐(381)로는 벨로우즈 형상의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늘린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벨로우즈는 보이지 않는다. 이 후,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 노즐(38)의 선단에 연장 노즐(381)을 설치하여 연장하고, 신발 내에 연장 노즐(381)을 삽입한다. 혹은, 송풍 노즐(38)을 기계적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하여 연장하고, 신발 내에 송풍 노즐(38)를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풍 노즐(38)을 연장함으로써, 특수한 형상의 신발이나 개구부가 극단적으로 좁아져 있는 신발에 대해서도 신발 내부로 송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송풍 노즐(38)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에 그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의 일례로서 댐퍼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신발 수용부(20) 내의 온습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신발의 살균이나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 신발 케어가 완료된 신발 수용부(20)에 대응하는 송풍 노즐(38)의 댐퍼를 닫는다. 따라서, 신발 케어가 완료된 신발 수용부(20)로의 불필요한 송풍을 중지할 수 있어서, 복수 컬레의 상태가 서로 다른 신발을 동시에 넣고 운전하더라도 신발 수용부(20)마다 적절한 상태로 송풍을 멈출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려면, 제어 장치(90)가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개시한 후, 예를 들어 일정 시간마다 각 신발 수용부(20)의 온습도 센서로부터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신발 케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 온습도 센서가 있으면, 그 온습도 센서에 대응하는 신발 수용부(20)에 대해 송풍 노즐(38)의 댐퍼를 닫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도, 제어 장치(90)가 온습도 센서로부터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신발 케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 온습도 센서가 있으면, 그 온습도 센서에 대응하는 신발 수용부(20)에 대해서는 송풍 노즐(38)의 댐퍼를 닫은 상태에서 이후의 처리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면 유로)
칸막이(21)와 도어(11)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칸막이(21)와 도어(11) 사이의 공간이 전면 유로(37)가 되어, 신발을 경유해서 흘러 들어온 공기가 팬(31)으로 빨려 가기 쉬워진다. 여기서, 전면 유로(37)는 신발 내의 습도가 높은 바람이 신발 수용부(20) 내에서 정체되지 않고 신발 수용부(20)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송풍 유닛(36)에 대향하는 벽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시의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즉 송풍 유닛(36)의 토출 위치에서의 풍압보다 전면 유로(37)에서의 풍압을 줄이기 위해 송풍 유닛(36)의 토출 위치의 유로 면적보다 전면 유로(37)의 유로 면적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낸 신발 건조기(1)의 평면도에서, 송풍 유닛(36)의 토출 위치의 유로 면적은 S1로, 전면 유로(37)의 유로 면적은 S2로 나타내고 있다. 전면 유로(37)는 칸막이(21)와 도어(11) 사이에 한정하지 않고, 칸막이(21) 주변부의 어떤 부분에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유로(37)는 칸막이 주변부의 공기 유로의 일례이다.
혹은, 칸막이(21)와 도어(11)와 접촉하도록 하고, 칸막이(21)에 개구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칸막이(21)에 마련된 개구부가 전면 유로(37)가 되어, 신발을 경유해서 흘러 들어온 공기가 팬(31)에 빨려 가기 쉬워진다. 이 경우, 전면 유로(37)는 칸막이 내의 공기 유로의 일례이다.
(살균 장치)
살균 유닛(40)은 후면 유로(35) 및 송풍 유닛(36)의 어디에도 배치할 수 있지만,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설치된 송풍 유닛(36)의 송풍 노즐(38)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송풍 노즐(38a, 38b) 내에 배치된 살균 유닛(40)을 각각 살균 유닛(40a, 40b)으로 설명한다.
도 10a는 살균 유닛(40a, 40b)이 배치된 송풍 유닛(36)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송풍 유닛(36)은 살균 유닛(40a, 40b)과, 살균 유닛(40a, 40b)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고주파 전원(4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b는 살균 유닛(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살균 유닛(40)은 방전 전극(41)과 접지 전극(4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a에 나타낸 고주파 전원(45)에 의해 방전 전극(41)과 접지 전극(42)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함으로써 본체(10) 내의 균을 살균한다. 이처럼 신발 냄새의 원인균을 살균하여 신발을 탈취할 수 있다.
(탈취 장치)
도 11은 도 4에 나타낸 신발 건조기(1)의 측면도의 영역 Y의 확대도로, 탈취 장치(50)의 설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50)는 필터 가드(51)와, 프리 필터(52)와, 탈취 필터(53)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가드(51)는 프리 필터(52) 및 탈취 필터(53)를 보호한다. 프리 필터(52)는 신발에 묻은 먼지나 흙 등을 제거한다. 탈취 필터(53)는 프리 필터(52)에서 제거할 수 없는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한다. 여기서, 탈취 필터(53)는 냄새 흡착식, 냄새 분해 식의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탈취 장치(50)는 순환형 유로(30) 내에서 신발 수용부(20)로부터 팬(31)까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순환형 유로(30) 내의 어디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형 유로(30) 내에 탈취 장치(50)를 설치함으로써, 신발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탈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발 수용부)
신발 수용부(20(1) ~ 20(3))는 칸막이(21(1) ~ 21(3)) 중 하나를 분리하여 롱부츠 등의 높이가 긴 신발을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는 이때의 신발 건조기(1)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칸막이(21(2))를 제거해서 신발 수용부(20(2), 20(3))에 롱부츠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칸막이(21(2))는 제1 칸막이의 일례이며, 신발 수용부(20)(2)는 제1 신발 수용부의 일례이다. 또한, 칸막이(21(3))는 제2 칸막이의 일례이며, 신발 수용부(20(3))는 제2 신발 수용부의 일례이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에서는 송풍 노즐(38)마다 연장 노즐(381)이 준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송풍 노즐(38a(1), 38b(1), 38a(2), 38b(2), 38a(3), 38b(3))에 삽입하기 위해 준비된 연장 노즐(381)을 각각 연장 노즐(381a(1), 381b(1), 381a(2), 381b(2), 381a(3), 381b(3))로 표기하기로 한다.
칸막이(21(3))에 수용된 롱부츠가 혼자 세워질 수 있는 것이라면, 연장 노즐(381a(2), 381b(2))을 각각 송풍 노즐(38a(2), 38b(2))에 설치하여 롱부츠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있다. 한편, 칸막이(21(3))에 수용된 롱부츠가 혼자 세워질 수 없는 것이라면, 연장 노즐(381a(2), 381b(2))을 각각 송풍 노즐(38a(2), 38b(2))에 설치해서 롱부츠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12에 왼쪽의 롱부츠에 대해 절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노즐(381a(2), 381b(2))의 앞에 부츠 어테치먼트(382b)를 각각 마련한다. 그리고, 그 앞에 더, 원래 송풍 노즐(38a(3), 38b(3))에 삽입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는 연장 노즐(381a(3), 381b(3))을 각각 장착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부츠 어테치먼트(382)를 이용한 연장 노즐(381(2), 381(3))의 장착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부츠 어테치먼트(382)를 설치하는 도중의 단면도이다. 부츠 어테치먼트(382)는 일단 롱부츠의 개구부 면적보다 좁은 상태로 롱부츠에 삽입되고, 삽입 후 탄력에 의해 넓혀져 롱부츠에 고정된다.
도 13b는 연장 노즐(381(3))을 설치한 후의 사시도이다. 부츠 어테치먼트(382)를 통해 연장 노즐(381(2), 381(3))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칸막이(21)를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높이가 있는 높은 신발도 쉽게 수납해서 신발 건조기(1)를 사용할 수 있다.
(도어)
본 실시 예의 신발 건조기(1)의 도어(11) 내측에 배치된 액세서리 수용부(17)는 신발용 브러쉬, 천, 크림 등의 신발 액세서리를 위에서부터 꽂거나 걸어서 수용 가능한 상부 개방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액세서리 수용부(17)의 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에 뚜껑을 마련한 박스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액세서리 수용부(17)는 도어(11)의 내측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0) 내의 다른 장소에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발 액세서리로서, 송풍 노즐(38)에 접속하는 연장 노즐(381)은 신발 수용부(20)의 우측벽면(23)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신발 액세서리에는 부츠 어테치먼트(382)도 있지만, 이를 수용하는 액세서리 수용부(17)도 마찬가지로 본체(10) 내의 어떤 위치에도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 수용부(17)를 본체(10) 내에 마련함으로써, 본체(10) 내에 신발 케어 용품을 모두 수납할 수 있어서, 본체(10) 밖으로 신발 케어 용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소를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4a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1)의 도어(11) 외측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의 외측에는 터치 패널(18)이 마련되어 있다. 이 터치 패널(18)은 카메라(80)가 촬영한 신발 화상이나 제어 장치(90)가 설정한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발 화상을 보면서 운전 모드를 확인하고, 신발 화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신발의 종류, 모양, 사이즈, 소재 등에 대하여 운전 모드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표시된 운전 모드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는, 터치 패널(18)에 표시된 버튼 등의 표시 요소를 음성으로 선택하여 운전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버튼 등의 표시 요소를 터치하라는 뜻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일반화하여 도어(11)의 외측에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려면, 제어 장치(90)가 터치 패널(18)에 운전 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작부로부터 사용자 지시를 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지시가 운전 모드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제어 장치(90)는 표시된 운전 모드를 신발 건조기(1)에 설정한다. 한편, 사용자 지시가 운전 모드를 변경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제어 장치(90)는 표시된 운전 모드를 변경한 후의 운전 모드를 신발 건조기(1)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도어(11) 외측에 조작부를 마련함으로써 설정된 운전 모드를 사용자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어서 조작이 쉬워진다.
여기서, 터치 패널(18) 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b는 터치 패널(18)의 표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 패널(18)에는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과, 텍스트 영역(182)과,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과,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 184b)과, 운전 온도 영역(185)과, 운전 시간 영역(186)과, 정지 버튼(187)과, 시작 버튼(188)이 표시되어 있다.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은 각각 신발 수용부(20(1) ~ 20(3))에 수용된 신발의 화상(신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또한,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에는 각각 점멸 또는 점등 가능한 테두리(191(1) ~ 191(3))도 표시되어 있다.
텍스트 영역(182)은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텍스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은 신발의 종류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간단하게 운전 모드 버튼(183)으로 표기 할 수 있다.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 184b)은 신발 케어 종별, 즉 일상적인 신발 케어인가, 물에 젖은 경우의 신발 케어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 ~ 184d)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간단하게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으로 표기 할 수 있다.
운전 온도 영역(185)은 신발 건조기(1)를 운전할 때의 설정된 신발 건조기(1) 내의 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운전 시간 영역(186)은 신발 건조기(1)의 설정된 운전 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정지 버튼(187)은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시작 버튼(188)은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시작 버튼(188)에는 점멸 또는 점등 가능한 테두리(198)도 표시되어 있다.
이하, 도 14b의 표시가 이루어진 터치 패널(18) 상에서의 조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11)를 열어 신발 수용부(20(1) ~ 20(3))에 신발을 수용한다.
사용자가 도어(11)를 닫거나 인식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90)는 카메라(80)에서 촬영한 신발 화상을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에 표시하고, 신발 인식을 시작한다. 이때, 제어 장치(90)는 텍스트 영역(182) 예를 들면, "인식 중"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신발 인식의 진행 상황을 0 % ~ 100 %로 표시한다. 신발 인식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에 표시된 신발 화상의 어딘가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어 장치(90)는 텍스트 영역(182)에 신발의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신발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는 예를 들어, "신발이 없습니다", "등록하지 않은 신발입니다", "구두(또는 가죽신발) 입니다" 등이 있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의 테두리(191(1) ~ 191(3))를 대응하는 신발 화상 영역(181)에 표시된 신발 화상에 운전 모드가 설정될 때까지 점멸시키고, 해당 신발 화상 영역(181)에 표시된 신발 화상에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점등으로 변경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신발 종류에 따른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에 표시된 신발 화상 중 선택된 신발 화상이 처음으로 신발로 인식되는 것일 경우, 제어 장치(90)는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을 네 개 모두 점멸시키고, 텍스트 영역(182)에 예를 들어, "운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등의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어 장치(90)는 선택되지 않은 운전 모드 버튼(183)을 소등시키고, 선택된 운전 모드 버튼(183)을 점등으로 변경한다.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에 표시된 신발 화상 중 선택된 신발 화상이 이전에 신발로 인식된 것일 경우, 제어 장치(90)는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 중 이전의 신발 인식 시에 등록된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 버튼(183)을 점멸시키고, 텍스트 영역(182)에 예를 들어, "이전에 등록한 운전 모드로 운전하시겠습니까?"등의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전에 등록한 운전 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사용자는 점멸하고 있는 운전 모드 버튼(183)를 터치하여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90)는 선택된 운전 모드 버튼(183)을 점등으로 변경한 후, 선택된 운전 모드 버튼(183)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등록한다. 한편, 이전에 등록한 운전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운전 모드 버튼(183a ~ 183d) 중 점멸하고 있지 않은 운전 모드 버튼(183)을 터치하여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90)는 점멸하고 있던 운전 모드 버튼(183)을 소등시키고, 선택된 운전 모드 버튼(183)을 점등시킨 후, 선택된 운전 모드 버튼(183)에 대응하는 운전 모드를 등록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 184b)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신발 케어 종별을 설정하고, 이 신발 케어 종별에 따라 운전 온도 및 운전 시간을 갱신한다.
신발 케어 종별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90)는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 184b) 양쪽을 점멸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상적인 신발 케어의 경우는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을 선택하고, 물에 젖어 있는 경우는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b)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a) 또는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b)을 선택하면, 제어 장치(90)는 선택되지 않은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을 소등시키고, 선택된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을 점등으로 변경한 후, 운전 온도 및 운전 시간을 갱신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90)는 텍스트 영역(182)에 신발 케어 종별과, 신발 화상 영역(181(1) ~ 181(3))에 표시된 신발 화상에 따라 설정된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신발 케어, 구두 모드로 운전합니다"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는 운전 개시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에서 점멸하고 있던 운전 모드 버튼(183) 및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이 모두 점등으로 변경되면, 제어 장치(90)는 시작 버튼(188)의 테두리(198)르 점멸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작 버튼(188)을 누르면, 제어 장치(90)는 시작 버튼(188)의 테두리(198)를 점등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90)는 등록된 운전 모드로 신발 건조기(1)를 가동시킨다.
한편, 신발 건조기(1)는 운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운전 정지 조작을 수행하고, 제어 장치(90)는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때, 제2 실시 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풍 유닛(36)이 풍향 조정을 할 경우에는 송풍 노즐(38)을 홈 포지션으로 되돌린다.
사용자가 정지 버튼(187)을 누르면, 제어 장치(90)는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때, 제2 실시 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풍 유닛(36)이 풍향 조정을 할 경우에는 송풍 노즐(38)을 홈 포지션으로 되돌린다.
한편, 상기에서는 운전 모드 버튼(183) 및 테두리(191)를 운전 모드가 설정될 때까지 점멸시키고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점등으로 변경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전 모드 버튼(183) 및 테두리(191)를 운전 모드가 설정될 때까지 제1 표시 형태로 표시하고,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제1 표시 형태와는 다른 제2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을 신발 케어 종별이 설정될 때까지 점멸시키고, 신발 케어 종별이 설정되면 점등으로 변경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을 신발 케어 종별이 설정될 때까지는 제1 표시 형태로 표시하고, 신발 케어 종별이 설정되면 제1 표시 형태와는 다른 제2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 버튼(183) 및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이 모두 점등으로 변경되면, 시작 버튼(188)의 테두리(198)를 점멸시키고, 시작 버튼(188)이 눌리면 시작 버튼(188)의 테두리(198)를 점등으로 변경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전 모드 버튼(183) 및 신발 케어 종별 버튼(184)이 모두 점등으로 변경되면, 시작 버튼(188)의 테두리(198)를 제1 표시 형태로 표시하고, 시작 버튼(188)이 눌리면 시작 버튼(188)의 테두리(198)를 제1 표시 형태와는 다른 제2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4b의 터치 패널(18)의 각 버튼의 배치는 일례이며, 다른 어딘 가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운전 모드도 일례이며, 다른 신발의 종류가 기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신발 케어 종별도 일례이며, 물에 젖은 정도나 탈취 모드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신발 화상 중에 텍스트나 운전 모드, 신발 케어 종별, 온도, 시간을 기재하는 등을 할 수도 있다.
(증기 생성기)
본 실시 예의 신발 건조기(1)에서는 순환형 유로 내에 증기를 생성해서 신발 수용부(20)에 송풍하는 증기 생성기(60)를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0) 내에 마련된 습도 센서의 값에 근거해서, 본체(10) 내의 습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급수 탱크(72)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신발 수용부(20)에 송풍한다.
이와 같이 증기 생성기(60)를 마련함으로써, 본체(10) 내에 적절한 습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
도 15는 제어 장치(90)의 초기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초기 제어 시의 기능으로서, 신발형상 판정부(911)와, 신발정보 저장부(912)와, 소재 판정부(913)와, 제습조건 결정부(916)와, 살균조건 결정부(917)와, 운전모드 설정부(918)를 구비한다. 또한, 도 15에는 엄밀하게는 제어 장치(90)의 기능은 아니지만 카메라(80)도 나타내고 있다.
신발형상 판정부(911)는 카메라(80)로 촬영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정하는 신발 인식을 수행한다. 그리고,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화상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비등록의 경우, 운전모드 결정 후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신발 ID와 화상과 운전 모드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과거에 신발 건조기(1)에 수용된 적이 있는 신발에 대해서는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신발 ID와 화상과 운전 모드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등록된 경우 신발 인식 후에 자동으로 이전에 등록된 운전 모드를 제시한다.
신발정보 저장부(912)는 화상에 그 화상이 나타내는 신발의 신발 ID를 부여하고, 이 신발 ID에 화상과 운전 모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도면에서는, "기존"으로 표시). 또한, 신발 인식에 비등록인 경우 신규로 신발 ID를 부여하여 화상과 그 신발에 대해 결정된 운전 모드 또는 그 운전 모드를 사용자가 임의로 갱신한 경는 갱신 후의 운전 모드를 저장(도면에서는, "신규/갱신"으로 표시)한다.
소재 판정부(913)는 비등록 신발에 대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재를 판단하고 입력하면, 이 입력된 판단 결과에 따라 소재를 판정한다.
제습조건 결정부(916)는 소재 판정부(913)에 의한 소재 판정 결과에 따라 제습 조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적당한 제습 건조의 초기 조건(팬(31)의 회전수, 압축기(325)의 주파수 등)을 결정한다.
살균조건 결정부(917)는 소재 판정부(913)에 의한 소재 판정 결과에 따라 살균 유닛(40)의 조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적합한 살균 유닛(40)의 초기 운전 조건(전류 및 전압의 값 등)를 결정한다.
운전모드 설정부(918)는 제습조건 결정부(916) 및 살균조건 결정부(917)가 결정한 조건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이에 응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다른 운전 모드를 희망하는 경우 수동으로 운전 모드를 갱신하면, 운전모드 설정부(918)는 갱신된 운전 모드를 설정하고, 그 운전 모드를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저장한다.
도 16은 제어 장치(90)의 운전 중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운전 중 제어 시의 기능으로서, 제습조건 결정부(921)와, 살균조건 결정부(922)와, 운전모드 변경부(923)를 구비한다. 도 16에는 엄밀하게는 제어 장치(90)의 기능은 아니지만, 환경 센서(81), 냉매 센서(82), 및 신발 수분 센서(83)도 나타내고 있다.
환경 센서(81)는, 신발 수용부(20)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냉매 센서(82)는 제습 제어에 관련된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신발 수분 센서(83)는 신발에 전극을 접촉시켜 전기 저항으로 수분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습조건 결정부(921)는 환경 센서(81), 냉매 센서(82), 및 신발 수분 센서(83)의 값에 따라 냉매 상태를 추측하고, 제습 건조 조건(팬(31)의 회전수, 압축기(325)의 주파수, 팽창 밸브(315)의 개도)을 제어한다.
살균조건 결정부(922)는 환경 센서(81), 냉매 센서(82), 및 신발 수분 센서(83)의 값에 따라 신발 수용부(20)의 온도 및 습도에 적합한 운전 조건(전류나 전압의 값 등)를 제어한다.
운전모드 변경부(923)는 제습조건 결정부(916) 및 살균조건 결정부(917)가 결정된 조건에 따라 운전 모드를 변경한다. 또한, 제습조건 결정부(916) 및 살균조건 결정부(917)가 결정한 조건에 따라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도 있다.
도 17은 제어 장치(90)의 동작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이 동작 예는 초기 제어 시의 동작 예이며, 카메라(80)가 촬영하는 화상은 신발 화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80)는 신발 화상을 상시 촬영하고 있으며, 정지 화상의 프레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태가 변화했다고 판단하고, 화상 인식 처리를 시작하는 것이 기본이다. 다만,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량이 충분하지 않고, 처리하는 CPU도 무력하며, 상시 촬영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떤 트리거에 의해 촬영을 시작하는 것도 효과적이므로, 이하에서는 이 트리거에 의한 촬영 시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 장치(90)는 먼저, 신발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901). 여기서, 트리거로는, 타이머가 일정 시간 경과를 감지했음을 카메라(80) 이외의 센서가 상태 변화를 감지한 것(예를 들면, 도어(11)가 닫힌 것을 도어 스위치가 감지한 것, 신발수용부(20)의 칸막이(21)에 신발이 수용된 것을 칸막이(21)에 마련된 중량 센서가 감지한 것), 사용자로부터 지시가 있었던 것(예를 들면, 도어(11)가 닫힌 후에 운전 개시를 지시하는 취지의 지시가 있었던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트리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 장치(90)는 단계 S901을 반복하고, 트리거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 장치(90)는 처리를 단계 S902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단계 S901에서 신발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었다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90)는 카메라(80)에 의해, 신발 수용부(20)의 칸막이(21)에 수용된 신발 화상을 촬영한다(단계 S902).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90)가 카메라(80)에 대해 촬영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카메라(80)가 신발 화상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90)는 단계 902에서 카메라(80)에 의해 촬영된 신발 화상으로부터 신발 정보를 인식한다(단계 S903). 구체적으로는, 신발형상 판정부(911)가 카메라(80)에서 신발 화상을 취득하고, 예를 들어 화상 매칭 처리에 의해 신발 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카메라(80)에서 얻은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저장되어 있으면, 신발형상 판정부(911)는 신발 정보로서 신발 ID를 인식한다. 한편,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소재 판정부(913)가 신발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소재를 인식한다.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 S903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에 따른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904). 구체적으로는,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저장되어 있으면, 운전모드 설정부(918)가 신발 ID에 매핑된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1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습조건 결정부(916) 및 살균조건 결정부(917)가 소재 판정부(913)에 의해 인식된 소재와, 어떤 소재에 대해 어떤 제습 조건 및 살균 조건이 적절한가를 정의한 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습 조건 및 살균 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운전모드 설정부(918)가 결정된 제습 조건 및 살균 조건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제어 장치(90)는 단계 S904에서 설정한 운전 모드에서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실시한다(단계 S905).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90)는 신발 건조기(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이 설정한 운전 모드에서의 운전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단계 S904 및 단계 S905에 있어서, 신발 화상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에 따른 운전 모드를 설정하고, 이 운전 모드에서 신발 건조기(1)의 운전을 실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은 어디 까지나 일례이다. 신발 화상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처리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신발 건조기의 전체 구성)
도 1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의 측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는 도 1과 같으며,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의 정면도는 도 3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는 외곽을 구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는 신발을 수용하는 신발 수용부(20(1) ~ 20(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신발 수용부(20(1) ~ 20(3))를 나타내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신발 수용부(20)로 표기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신발 수용부(20)를 나타냈지만, 1 개, 2 개 또는 4 개 이상의 신발 수용부(2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신발 수용부(20)의 구성 및 신발 수용부(20)에 대해 마련된 벽면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는 본체(10)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신발 수용부(20)를 제습 건조시키는 순환형 유로(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순환형 유로(30)는 팬(31)과 증발기(32)와 응축기(33)와 토출 유로(34)와 후면 유로(35)와 송풍 유닛(36(1) ~ 36(3))과 전면 유로(37)를 포함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순환형 유로(30)는 송풍 유닛(36)(1) ~(3) 만 제1 실시 예에 따른 순환형 유로(30)와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송풍 유닛(36(1) ~ (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송풍 유닛(36(1) ~ 36(3))은 각각 신발 수용부(20(1) ~ 20(3))의 후벽면(24(1) ~ 24(3))에 마련되고, 후면 유로(35)로부터의 공기를 칸막이(21(1) ~ 21(3))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송풍한다. 여기에서는, 송풍 유닛(36(1) ~ 36(3))으로 펴기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송풍 유닛(36)으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송풍 유닛(36)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송풍 유닛(36)의 수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유닛(36)은 후벽면(24)에 한정하지 않고,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천장면(미도시) 등 다른 벽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송풍 유닛(36(1) ~ 36(3))은 각각 송풍 노즐(38(1) ~ 38(3))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송풍 노즐(38(1) ~ 38(3))을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361(1) ~ 361(3))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에서는, 송풍 노즐(38(1) ~ 38(3)), 구동부(361(1) ~ 361(3))로 표시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송풍 노즐(38), 구동부(361)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송풍 노즐(38), 구동부(361)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송풍 노즐(38), 구동부(361)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송풍부의 일례로, 송풍 유닛(36)을 마련하고 있다.
도 19의 측면도에는, 이러한 순환형 유로(30)에서 바람의 흐름을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흰색 화살표 중 탈취 장치(50)로부터 증발기(32)로의 화살표는 습도가 높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증발기(32)로부터 응축기(33)로의 화살표는 습도가 낮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응축기(33) 또는 증기 생성기(60)로부터 후면 유로(35)로의 화살표는 고온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순환형 유로(30)에 있어서는 팬(31)을 증발기(32)의 상류부에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팬(31)은 응축기(33)의 하류부에 마련할 수도 있고, 각 송풍 유닛(36) 내부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는 살균 유닛(40(1) ~ 40(3))과, 탈취 장치(50)와, 증기 생성기(60)와, 배수 탱크(71)와, 급수 탱크(7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건조기(2)는 카메라(80(1) ~ 80(3))와, 제어 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80(1) ~ 80(3))는 각각 신발 수용부(20(1) ~ 20(3))의 벽면에 마련되고, 신발 수용부(20(1) ~ 20(3))에 수용된 신발의 화상(신발 화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벽면은 항상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이 되어 있을 수 있고, 일시적으로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이 될 수도 있다. 전자의 예로는 신발 수용부(20)의 좌측벽면(22), 우측벽면(23) 후벽면(24)이 있지만 천장면(미도시)일 수도 있다. 후자의 예로는 도어(11)를 닫았다 때에 신발 수용부(20)의 정면측의 벽면이 되는 도어(11)의 내측면이 있다. 도면에서는, 이와 같이 도어(11)의 내측면에 카메라(80(1) ~ 80(3))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카메라(80)는 거울을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신발 화상을 취득할 수도 있다.
도 19의 측면도에는 카메라(80(1) ~ 80(3))에 의한 촬영 범위에 대해서도 카메라(80(1) ~ 80(3))를 중심으로 한 부채꼴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카메라(80(1) ~ 80(3))를 나타냈지만,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카메라(80)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3 개의 카메라(80)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3 개의 신발 수용부(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신발 수용부(20)의 수에 따라 카메라(80)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80)는 신발의 정보(신발 정보)를 가진 상품 태그나 바코드 등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80)는 반드시 본체(10) 내의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에 마련할 필요 없이 본체(10) 밖에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촬영을 통해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의 일례로서, 카메라(80)를 마련하고 있다.
제어 장치(90)는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에서 신발 정보를 판별한다. 여기서, 신발 정보는 예를 들어, 신발의 종류, 형상, 사이즈, 소재, 신발의 발 넣는 곳의 위치 등이 있다.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이 신발 화상인 경우, 예를 들어 촬영한 화상과 미리 등록된 화상의 화상 매칭 처리를 통해 신발 정보를 판별하면 된다. 또한,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이 상품 태그나 바코드 등의 화상인 경우, 예를 들어 상품 태그에 기재된 문자의 문자 인식 처리나 바코드로 표현된 정보의 분석 처리를 통해 신발 정보를 판별하면 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90)는 이 판별된 신발 정보에 따른 운전 모드 및 송풍 노즐(38)의 풍향을 신발 건조기(2)에 설정한다. 운전 모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살균 유닛(40)에 의한 살균의 강약, 송풍 유닛(36)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및 풍속 그리고 신발 건조기(2)의 운전 시간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90)는 초기 제어 시에는 카메라(80)로 촬영한 화상에 대해, 신발의 치수 및 발을 넣는 위치 위치를 판정한 결과와, 사용자가 소재를 판단한 결과를 등록한다. 그리고, 제습 건조의 초기 조건(팬(31)의 회전수, 압축기(325)의 주파수 등), 살균 유닛(40)의 초기 운전 조건(전류나 전압의 값 등), 및 송풍 노즐(38)의 구동 조건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운전 중 제어 시에는 본체(10) 내에 마련된 센서의 값에 따라 제습 건조 조건(팬(31)의 회전수, 압축기(325)의 주파수, 팽창 밸브(315)의 개도), 살균 유닛(40)의 운전 조건(전류나 전압의 값 등), 및 송풍 노즐(38)의 구동 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조건에서 운전하도록 자동 제어하거나 운전을 정지하기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운전 조건의 일례로서 운전 모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화상 내의 신발의 정보에 따라 자기의 운전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화상 내의 신발의 정보에 따라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일례로서 제어 장치(90)를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발로의 살균이나 열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면서 신발의 케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경우, 제어 장치(90)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하여 예를 들어, CPU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에 로드하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OS를 탑재한 시스템에서, RAM에 로드하는 소프트웨어는 HDD나 SD(등록 상표) 카드 등의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 예에서 도 5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은 모두, 제2 실시 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 신발 건조기(2)가 구비하는 기능 및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의 화상을 근거로 송풍 유닛의 풍향 조절)
신발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신발의 발끝까지 바람을 송풍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장 노즐(381)이 없는 경우나, 송풍 노즐(38)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는 신발 사이즈나 신발의 놓는 위치에 따라 젖은 신발이 건조되지 않거나 건조 시간을 좀 더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신발의 화상에서 신발을 신는 신발 입구부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송풍 노즐(38)의 풍향이 신발 입구부를 향하도록 조정한다. 이를 통해, 특히 신발 내부를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 외측 등의 불필요한 위치에 송풍함으로 인한 신발의 과건조를 억제한다.
도 20은 신발 화상을 기반으로 송풍 노즐(38)의 풍향 조정에 대해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 경우는, 먼저 카메라(80)가 신발 수용부(20)에 수용된 신발의 화상(신발 화상)을 촬영한다. 이 신발 화상은 신발 입구부(P1)의 화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신발 화상으로부터는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정보(D1)가 산출된다. 여기서,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정보(D1)로서는, 예를 들면 신발 입구부(P1)의 상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근사한 경우의 원형 또는 타원의 중심 좌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송풍 유닛(36)은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정보(D1)에 따른 송풍 노즐(38)의 풍향 조절(C1)을 화살표(F1)로 표시한 바와 같이 신발 입구부(P1)를 향해 송풍한다.
또한, 송풍 유닛(36)은 풍향 조정(C1)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후자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패널(18)(도 14a 참조) 상에서 신발 화상에 대해, 신발 입구부(P1)나 신발 입구부(P1) 이외의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고, 풍향 조정 각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80)는 신발의 정보(신발 정보)를 가진 상품 태그나 바코드 등의 화상을 촬영하고, 이 화상으로부터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정보(D1)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80)는 반드시 본체(10) 내의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에 마련할 필요 없이 본체(10) 밖에 마련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80)는 본체(10) 내외의 어느 장소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80)는 본체(10) 내외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송풍 유닛(36)이 풍향 조정(C1)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송풍 유닛(36)은 펄스 전력에 동기하여 송풍 노즐(38)의 풍향 조정(C1)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판정 결과에 따른 스테핑 모터 등의 회전수를 펄스 단위로 지정하여 송풍 노즐(38)을 작동시킴으로써, 신발 입구부(P1)를 향한 풍향 조정(C1)을 수행한다. 이때, 초기 동작에서는 판정 결과에 관계없이 송풍 노즐(38)을 홈 포지션(초기값)으로 되돌린 후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신발을 수납하는 조작 등에 의해 송풍 노즐(38)의 방향이 어긋난 경우에, 그 어긋난 위치를 기준으로 신발 입구부(P1)의 위치의 판정 결과에 따라 송풍 노즐(38)를 작동시켜도, 신발 입구부(P1)를 향한 풍향 조정(C1)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송풍 유닛(36)이 풍향 조정(C1)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이동량과 구동 전압 파형과의 상관 관계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부(361), 즉 구동 전력 파형에 따라 이동량을 결정하는 구동부(361)를 이용하여 풍향 조정(C1)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구동부(361)의 대표적인 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이지만, 스테퍼 모터 대신에 DC 브러시리스 모터, 동기 모터, 릴럭턴스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핑 모터, DC 브러시리스 모터, 동기 모터, 릴럭턴스 모터 등은 구동 전압 파형에 따라 이동량을 결정하는 전동기의 일례이다.
또한, 송풍 유닛(36)이 풍향 조정(C1)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작동하는 구동부(361)를 이용하여 풍향 조정(C1)을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361)로는 DC 모터에 복수의 전압 파형(구형파, 삼각파, PMW 등의 직류 바이어스를 갖는 임의의 파형)의 조합을 부여하여 동작시키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유닛(36)이 풍향 조정(C1)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이동량과 구동 전압 파형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량을 인코더로 감지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풍향 조정(C1)을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환경 센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송풍 유닛의 풍향 조절)
도 21은 온습도 정보를 기반으로 송풍 노즐(38)의 풍향 조정에 대해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 경우는 신발 건조기(2)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수단의 일례로서 환경 센서(81)를 구비한다. 이 환경 센서(81)는 순환형 유로(30) 내의 어딘 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예를 들면 본체(10) 내의 화살표(F2)로 나타내는 신발로부터 나온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는 유로 또는 벽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0과 같이 카메라(80)가 촬영한 신발 화상에서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정보(D1)가 산출되는 것에 더해, 환경 센서(81)에서는 온습도 정보(D2)가 출력된다. 이를 통해, 송풍 유닛(36)은 신발 입구부(P1)의 위치 정보(D1)와 온습도 정보(D2)를 기반으로 송풍 노즐(38)의 풍향 조정(C2)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0) 내에 설치된 환경 센서(81)의 온습도의 정보에 따라 신발의 건조 완료 상태를 확인하고, 신발의 건조가 완료하면 송풍 노즐(38)의 풍향을 신발 입구부(P1)로부터 신발 입구부(P1) 이외의 부분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송풍 노즐(38)의 풍향을 신발에 바람이 닿지 않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신발의 과건조를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본체(10) 내에 주입하여 본체(10) 내부의 습도를 외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혹은, 본체(10) 내를 가습하여 본체(10) 내부의 습도를 10 ~ 60%로 유지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송풍 유닛에서 송풍되는 풍량과 풍속의 조정)
이어서, 송풍 노즐(38)로부터 송풍되는 풍량 및 풍속의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송풍 유닛(36)이 송풍 노즐(38)의 각도에 따라 송풍되는 풍량 및 풍속을 조절하는 것으로 한다.
도 22a는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하향 각도로 설정한 경우 송풍 유닛(36)의 사시도이고, 도 22b는 이 경우의 송풍 유닛(36)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송풍 노즐(38b)을 절개해서 나타내고 있으며, 도 22b에서는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22b에 굵은 화살표(38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 노즐(38b)에서 송풍되는 풍량 및 풍속은 커지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송풍 노즐(38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3a는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전방 각도로 설정한 경우 송풍 유닛(36)의 사시도이고, 도 23b는 이 경우의 송풍 유닛(36)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도 송풍 노즐(38b)을 절개해서 나타내고 있으며, 도 23b에서는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23b에 굵은 화살표(384) 및 Х 표시(38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 노즐(38b)에서의 송풍은 정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송풍 노즐(38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혹은,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도 22a 및 도 22b의 각도와 도 23a 및 도 23b의 각도 사이의 각도로 설정한 경우, 송풍 노즐(38)로부터의 송풍이 정지되지 않고 송풍 노즐(38)로부터 송풍되는 풍량 및 풍속은 작아진다. 즉, 도 21에 나타낸 환경 센서(81)에서 건조 완료를 감지하면 송풍 노즐(38)로부터 송풍되는 풍속을 저하시키거나 송풍 노즐(38)로부터의 송풍을 정지시킴으로써 신발의 과건조를 억제한다.
또한, 송풍 노즐(38)로부터 송풍되는 풍량 및 풍속은 댐퍼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풍 노즐(38)의 내부 또는 출입구에 댐퍼를 마련하여 개폐시킴으로써 풍량 및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 조정 장치의 구동 방법)
도 24는 제1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송풍 유닛(36)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송풍 유닛(36)은 오른쪽 신발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 노즐(38a)과, 왼쪽 신발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 노즐(38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풍 노즐(38a, 38b)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간단하게 송풍 노즐(38)로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말해 송풍 유닛(36)에는 신발 1 켤레에 대해 2 개의 송풍 노즐(38)이 마련되고, 좌우 각각의 신발에 대해 송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오른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노즐의 일례로서 송풍 노즐(38a)을 마련하고, 왼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의 노즐 일예로서 송풍 노즐(38b)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 신발마다 송풍 노즐(38)을 마련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에만 송풍할 수 있어 신발 케어(살균이나 건조 등)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1 구동 방법은 송풍 유닛(36)이 하나의 구동부(361)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구동부(361)가 송풍 노즐(38a, 38b)을 동시에 구동하여 송풍 노즐(38a, 38b)의 풍향을 조정한다.
도 24에서는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정면 사선 하향 각도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5a는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직교하는 각도로 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25b는 이 경우의 측면도이다. 이 경우, 송풍 노즐(38)로부터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송풍된다.
도 26a는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평행으로 하향 각도로 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26b는 이 경우의 측면도로 있다. 이 경우, 송풍 노즐(38)로부터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평행하게 아래 방향으로 송풍된다.
또한, 송풍 노즐(38)의 각도는 이와 같이,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수직인 연직면 상에서 전후에 변화시켜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수직인 수평면 상에서 좌우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는,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수직인 평면이지만 연직면도 수평면도 아닌 평면 상에서 경사지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도 27은 제2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송풍 유닛(36)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도, 도 6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송풍 유닛(36)은 오른쪽 신발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 노즐(38a)과, 왼쪽 신발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 노즐(38b)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 신발마다 송풍 노즐(38)을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에만 송풍 할 수 있어서 신발 케어(살균이나 건조 등)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2 구동 방법에서는 송풍 유닛(36)이 송풍 노즐(38a)을 구동하는 구동부(361a)와, 송풍 노즐(38b)을 구동하는 구동부(361b)을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부(361a)가 송풍 노즐(38a)을 구동하여 송풍 노즐(38a)의 풍향을 조정하고, 구동부(361b)가 송풍 노즐(38b)을 구동하여 송풍 노즐(38b)의 풍향을 조정한다. 즉, 송풍 노즐(38a)의 풍향과 송풍 노즐(38b)의 풍향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도 27에서는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정면 대각선 하향 각도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직교하는 각도로 하고, 송풍 노즐(38)로부터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할 수도 있다. 혹은, 송풍 노즐(38)의 각도를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평행한 하향 각도로 하고,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평행하게 아래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송풍 노즐(38)의 각도는 이와 같이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수직인 연직면 상에서 전후에 변화시켜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수직인 수평면 상에서 좌우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혹은,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수직인 평면이지만 연직면도 수평면도 아닌 평면 상에서 사선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신발의 위치와 송풍 유닛의 위치와의 관계)
도 28a 및 도 28b는 신발과 송풍 유닛(36)의 위치 관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가운데, 도 28a는 신발의 뒤꿈치부(P2)가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의 근처에 오도록 신발을 수평으로 놓은 경우의 예이다. 이 경우, 송풍 유닛(36)은 신발 수용부(20)의 후벽면(24)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8B는 신발의 뒤꿈치부(P2)를 아래로 해서 예를 들어, 신발 수용부(20)의 좌측벽면(22)에 신발을 세워 걸어 두도록 한 경우의 예이다. 이 경우, 송풍 유닛(36)은 신발 수용부(20)의 저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송풍 유닛(36)은 신발 수용부(20)의 벽면 중 신발의 뒤꿈치부(P2)의 근방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송풍 유닛(36)이 신발의 뒤꿈치부에 대향하는 신발 수용부(20)의 벽면에 마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서는 송풍 유닛(36)을 신발 입구부(P1)의 면에 대해 상방 뒤쪽에 마련했지만, 이 도 28a 및 도 28b와 같은 배치도 고려하면, 송풍 유닛(36)은 신발 입구부(P1)의 면에 대해 신발과는 반대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발의 뒤꿈치부(P2)의 근방 벽면에 송풍 유닛(36)을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신발의 발끝까지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제어 장치)
도 29는 제어 장치(90)의 초기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초기 제어 시의 기능으로서, 신발형상 판정부(961)와, 신발정보 저장부(962)와, 소재 판정부(963)와, 치수 판정부(964)와, 입구위치 판정부(965)와, 제습조건 결정부(966)와, 살균조건 결정부(967)와, 운전모드 설정부(968)와, 풍향조건 결정부(969)와, 풍향 설정부(97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9에는 엄밀하게는 제어 장치(90)의 기능은 아니지만 카메라(80)도 나타내고 있다.
신발형상 판정부(961)는 카메라(80)로 촬영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신발 인식을 수행한다. 그리고,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화상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비등록인 경우 운전 모드 결정 후에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신발 ID와 화상과 운전 모드와 풍향이 자동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과거에 신발 건조기(2)에 수용된 적이 있는 신발에 대해서는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신발 ID와 화상과 운전 모드와 풍향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등록된 경우 신발 인식 후에 자동으로 과거에 등록된 운전 모드 및 풍향을 제시한다.
신발정보 저장부(962)는 화상에 이 화상이 나타내는 신발의 신발 ID를 부여하고, 이 신발 ID에 화상과 운전 모드와 풍향을 매핑하여 저장한다(도면에서는 "기존"으로 표시). 또한, 신발 인식에서 비등록인 경우, 신규로 신발 ID를 부여하여 화상과 그 신발에 대해 결정된 운전 모드 및 풍향 또는 그 운전 모드 및 풍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갱신한 경우는 갱신 후의 운전 모드 및 풍향을 저장한다(도면에서는 "신규/갱신"으로 표시).
소재 판정부(963)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재 판정부(913)와 동일하다.
치수 판정부(964)는 카메라(80)로 촬영된 화상에서 신발의 치수 정보를 추출하여 판정한다.
입구위치 판정부(965)는 카메라(80)로 촬영된 화상에서 신발 입구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판정한다.
제습조건 결정부(966), 살균조건 결정부(967), 및 운전모드 설정부(968)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습조건 결정부(916), 살균조건 결정부(917), 및 운전모드 설정부(918)와 동일하다.
풍향조건 결정부(969)는 치수 판정부(964)에 의한 치수 정보의 판정 결과 및 입구위치 판정부(965)에 의한 입구 위치 정보의 판정 결과에 따라 적합한 송풍 노즐(38)의 구동부(361)에 의한 구동 조건을 결정한다. 초기 동작에서는 판정 결과에 관계없이 송풍 노즐(38)을 홈 포지션으로 되돌린 후에 운전을 시작하도록 구동 조건을 결정한다.
풍향 설정부(970)는 풍향조건 결정부(969)가 결정한 조건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이에 응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송풍 노즐(38)의 풍향을 설정한다. 사용자가 다른 풍향을 희망하는 경우에 수동으로 풍향을 갱신하면, 풍향 설정부(970)는 그 갱신 후의 풍향을 설정하고 이 풍향을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한다. 이러한 수동을 이용한 풍향 갱신은 예를 들어, 풍향조건 결정부(969)가 결정한 풍향을 터치 패널(18)(도 14a 참조)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 풍향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표시된 풍향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변경함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0은 제어 장치(90)의 운전 중 제어 시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운전 중 제어 시의 기능으로서, 제습조건 결정부(971)와, 살균조건 결정부(972)와, 운전모드 변경부(973)와, 풍향조건 결정부(974)와, 풍향 변경부(975)를 구비한다. 도 30에서는 엄밀하게는 제어 장치(90)의 기능은 아니지만, 환경 센서(81), 냉매 센서(82), 및 신발 수분 센서(83)도 나타내고 있다.
환경 센서(81), 냉매 센서(82), 및 신발 수분 센서(83)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제습조건 결정부(971), 살균조건 결정부(972), 및 운전모드 변경부(973)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습조건 결정부(921), 살균조건 결정부(922), 및 운전모드 변경부(923)와 동일하다.
풍향조건 결정부(974)는 환경 센서(81), 냉매 센서(82), 및 신발 수분 센서(83)의 값에 따라 적합한 송풍 노즐(38)의 구동부(361)에 의한 구동 조건을 결정한다.
풍향 변경부(975)는 풍향조건 결정부(974)가 결정한 조건에 따라 송풍 노즐(38)의 풍향을 변경한다.
도 31는 제어 장치(90)의 동작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동작 예는 초기 제어 시의 동작 예이며, 카메라(80)가 촬영하는 화상은 신발 화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80)는 신발 화상을 상시 촬영하고 있으며, 정지 화상의 프레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태가 변화했다고 판단하고, 화상 인식 처리를 시작하는 것이 기본이다. 다만,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량이 충분하지 않고, 처리하는 CPU도 무력하며, 상시 촬영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떤 트리거에 의해 촬영을 시작하는 것도 효과적이므로, 이하에서는 이 트리거에 의한 촬영 시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 장치(90)는 먼저 신발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951). 여기서, 트리거로는 타이머가 일정 시간 경과를 감지했던가, 카메라(80) 이외의 센서가 상태 변화를 감지했던가(예를 들면, 도어(11)가 닫힌 것을 도어 스위치가 감지한 것, 신발 수용부(20)의 칸막이(21)에 신발이 수용된 것을 칸막이(21)에 마련된 중량 센서가 감지한 것), 사용자의 지시가 있었던 것(예를 들면, 도어(11)가 닫힌 후에 운전 개시를 지시하는 취지의 지시가 있었던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트리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 장치(90)는 단계 S951을 반복하고, 트리거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 장치(90)는 처리를 단계 S952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단계 S951에서 신발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었다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90)는 카메라(80)에 의해 신발 수용부(20)의 칸막이(21)에 수용된 신발 화상을 촬영한다(단계 S952).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90)가 카메라(80)에 촬영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카메라(80)가 신발 화상을 촬영한다.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 S952에서 카메라(80)에 의해 촬영된 신발 화상에서 신발 정보를 인식한다(단계 S953). 구체적으로는, 신발형상 판정부(961)가 카메라(80)에서 신발 화상을 취득하고, 예를 들어 화상 매칭 처리를 통해 신발 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카메라(80)에서 얻은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되어 있으면, 신발형상 판정부(961)는 신발 정보로서 신발 ID를 인식한다. 한편,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소재 판정부(963)가 신발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소재를 인식한다. 또한, 치수 판정부(964)가 신발 정보로서 신발의 크기를 인식한다. 또한, 입구위치 판정부(965)가 신발 정보로서 신발의 입구 위치를 인식한다.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 S953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 중 신발의 소재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954). 구체적으로는,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되어 있으면, 운전모드 설정부(968)가 신발 ID에 매핑된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습조건 결정부(966) 및 살균조건 결정부(967)가 소재 판정부(963)에 의해 인식된 소재와, 어떤 소재에 대해 어떤 제습 조건 및 살균 조건이 적절한가를 정의한 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습 조건 및 살균 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운전모드 설정부(968)가 결정된 제습 조건 및 살균 조건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 S953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 중 신발의 치수 및 입구 위치에 따라 풍향을 설정한다(단계 S955). 구체적으로는,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되어 있으면, 풍향 설정부(970)가 신발 ID와 매칭된 풍향을 설정한다. 한편, 카메라(80)로부터 취득한 신발 화상이 신발정보 저장부(96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풍향조건 결정부(969)가 치수 판정부(964)에 의해 인식된 치수와, 입구위치 판정부(965)에 의해 인식된 입구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361)의 구동 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풍향 설정부(970)가 결정된 구동 조건에 따라 풍향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제어 장치(90)는 단계 S954에서 설정한 운전 모드 및 단계 S955에서 설정한 송풍 노즐(38)의 풍향으로 신발 건조기(2)의 운전을 수행한다(단계 S956).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90)는 신발 건조기(2)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정한 운전 모드에서의 운전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송풍 유닛(36)의 구동부(361)에 대해 이 설정한 풍향으로 송풍하도록 송풍 노즐(38)을 구동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는, 단계 S954 ~ 단계 S956에 있어서 신발 화상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에 따른 운전 모드 및 풍향을 설정하고, 이 운전 모드에서 신발 건조기(2)의 운전을 수행하는 동시에, 이 풍향으로 송풍 노즐(38-2)에서 송풍하게 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신발 화상에서 인식한 신발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처리도 수행할 수 있다.
1 ... 신발 건조기
10 ... 케이스
20 ... 신발 수용부
21 ... 칸막이
30 ... 순환형 유로
31 ... 팬
32 ... 증발기
33 ... 응축기
34 ... 토출 유로
35 ... 후면 유로
36 ... 송풍 유닛
361 ... 구동부
37 ... 전면 유로
38 ... 송풍 노즐
40 ... 살균 유닛
50 ... 탈취 장치
60 ... 증기 생성기
71 ... 배수 탱크
72 ... 급수 탱크
80 ... 카메라
81 ... 환경 센서
82 ... 냉매 센서
83 ... 신발 수분 센서
90 ... 제어 장치
911,961 ... 신발형상 판정부,
912,962 ... 신발정보 저장부
913,963 ... 소재 판정부
916,921,966,971 ... 제습조건 결정부
917,922,967,972 ... 살균조건 결정부
918,968 ... 운전모드 설정부
923,973 ... 운전모드 변경부
964 ... 치수 판정부
965 ... 입구위치 결정부
969,974 ... 풍향조건 결정부
970 ... 풍향 설정부
975 ... 풍향 변경부

Claims (20)

  1. 본체;
    신발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신발 수용부;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촬영하여 신발의 화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신발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신발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신발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정보는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신발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은 상기 신발 입구부의 상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근사한 경우의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의 중심인 신발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송풍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노즐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신발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노즐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상기 송풍 노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전력 파형에 기반하여 상기 송풍 노즐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노즐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 노즐은 오른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노즐과, 왼쪽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 노즐을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 노즐의 방향과 상기 제2 송풍 노즐의 방향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신발 건조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노즐은 바람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송풍 노즐의 유로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노즐은 상기 송풍 노즐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에 그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 내부까지 연장 가능하도록 상기 송풍 노즐에 결합되는 연장 노즐을 더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수용부는 한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칸막이를 갖는 제1 신발 수용부와, 상기 제1 신발 수용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다른 한 켤레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칸막이를 갖는 제2 신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칸막이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신발 건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신발 액세서리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액세서리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정보와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고, 손가락 또는 음성으로 상기 표시 요소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
  15. 신발을 수용하는 신발 수용부와,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영에 의해 상기 신발 수용부에 수용된 신발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신발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신발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신발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신발의 정보는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입구부의 중심은 상기 신발 입구부의 상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근사한 경우의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의 중심인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을 촬영하기 위한 트리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신발의 정보에 따라 운전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드는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풍속 및 상기 신발 건조기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094017A 2019-09-10 2020-07-28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30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104 WO2021049846A1 (en) 2019-09-10 2020-09-08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862284.5A EP3989792B1 (en) 2019-09-10 2020-09-08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080063674.XA CN114390905A (zh) 2019-09-10 2020-09-08 鞋干燥机及其控制方法
US17/015,990 US11408679B2 (en) 2019-09-10 2020-09-09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4911 2019-09-10
JP2019164911A JP2021040909A (ja) 2019-09-10 2019-09-10 靴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56A true KR20210030856A (ko) 2021-03-18

Family

ID=7486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017A KR20210030856A (ko) 2019-09-10 2020-07-28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40909A (ko)
KR (1) KR20210030856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10A1 (ko) * 2021-04-22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022440A1 (ko) * 2021-08-20 2023-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22425A1 (ko) * 2021-08-17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20230043480A (ko) * 2021-09-24 2023-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살균, 건조, 탈취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85404A (ko) * 2021-12-07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20230085594A (ko) * 2021-12-07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06567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WO2023106786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4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80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26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6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7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66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102601790B1 (ko) * 2022-09-01 202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102603566B1 (ko) * 2022-09-0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20240042780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서랍형 신발 트레이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
EP4238474A4 (en) * 2021-04-22 202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7484A4 (en) * 2021-05-04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CARE DEVICE
CN113303746B (zh) * 2021-05-27 2023-04-14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轿厢的鞋底清洁方法以及电梯轿厢的鞋底清洁装置
CN113974330B (zh) * 2021-10-26 2023-12-29 武义索锐家具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防虫除湿清洁鞋柜
JP7356665B2 (ja) * 2021-11-02 2023-10-05 株式会社Virtusize 靴データ生成装置、靴データ生成方法、靴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10A1 (ko) * 2021-04-22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EP4238474A4 (en) * 2021-04-22 202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3022425A1 (ko) * 2021-08-17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022440A1 (ko) * 2021-08-20 2023-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43480A (ko) * 2021-09-24 2023-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살균, 건조, 탈취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85404A (ko) * 2021-12-07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20230085594A (ko) * 2021-12-07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06567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WO2023106786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06784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80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26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6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7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66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20230092410A (ko) * 2021-12-17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4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102601790B1 (ko) * 2022-09-01 202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102603566B1 (ko) * 2022-09-0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20240042780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서랍형 신발 트레이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40909A (ja)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0856A (ko) 신발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EP3989792B1 (en)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199239A (ja) 靴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91746B2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66882B1 (ko) 의류 건조기
CN108779599B (zh) 除湿器
EP2896740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US20080282568A1 (en) Dryer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31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17058099A (ja) 空気調和機
JP5414175B2 (ja) 衣類の脱臭方法及び装置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6509423B2 (ja) 空気調和機
KR20030062919A (ko)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와 그것의 작동방법
KR102627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03961A (ko) 의류처리장치
US20240118027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272712Y1 (ko)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
KR2019013940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59781A (ko) 신발 건조기
KR20220006824A (ko) 의류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25106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