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96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961A
KR20200003961A KR1020180076802A KR20180076802A KR20200003961A KR 20200003961 A KR20200003961 A KR 20200003961A KR 1020180076802 A KR1020180076802 A KR 1020180076802A KR 20180076802 A KR20180076802 A KR 20180076802A KR 20200003961 A KR20200003961 A KR 2020000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oor
suction
air conditio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김명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3961A/ko
Publication of KR2020000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06F2058/2819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처리실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드레스룸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과, 상기 처리실을 공조하는 공조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공조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상기 공조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돌출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흡토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처리기와 의류보관기가 세트로 구성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처리실 내로 물을 가하여 의류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건조 공기를 가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공기를 송풍하거나 증기를 가하여 의류를 재생(refresh, 예를 들어, 주름이나 냄새 제거)하는 리프레셔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리프레셔는 처리실 내에서 좌우로 왕복되는 걸이대를 구비하고, 의류가 걸쳐지는 옷걸이가 상기 걸이대에 매달린다. 걸이대가 왕복 운동되면, 의류가 흔들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의류에 묻은 먼지들이 털린다.
또한, 상기 리프레셔는 처리실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상기 옷걸이대가 왕복 운동하는 중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팀이 가해진 의류가 흔들리는 과정에서, 의류의 구김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리프레셔는 처리실 내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히트펌프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스팀공급장치가 상기 처리실 내로 스팀을 공급한 후, 상기 처리실 내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리프레셔는 처리실 내에 배치된 의류를 흔들어 먼지를 제거한 후, 스팀분사 및 건조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열고 처리를 원하는 의류를 상기 처리실에 수용시킬 수 있고, 처리가 완료되는 의류는 상기 도어를 열고 상기 처리실에서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처리실에서 의류를 처리하는 기본적인 기능이외에도,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리프레셔가 배치되는 드레스룸의 제습을 실시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 리프레셔에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드레스룸의 제습을 실시하는 기능이 있는지 조차 모르는 사용자가 대부분이며, 상기 리프레셔에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드레스룸의 제습을 실시하는 기능이 있는지 알더라도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게 번거롭고 미관상 좋지 않아 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처리실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드레스룸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드레스룸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드레스룸을 자동으로 제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3 과제는, 드레스룸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드레스룸을 자동으로 공기청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과, 상기 처리실을 공조하는 공조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공조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상기 공조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돌출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흡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흡토출부 무빙기구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와, 상기 도어개폐센서가 상기 도어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상기 습도센서가 감지한 습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가 감지한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흡토출부 무빙기구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센서와,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와, 상기 도어개폐센서가 상기 도어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센서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센서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과, 상기 처리실을 공조하는 공조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공조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상기 공조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돌출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흡토출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처리실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드레스룸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흡토출부 무빙기구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센서와,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와, 상기 도어개폐센서가 상기 도어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센서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드레스룸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흡토출부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자동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스룸을 자동으로 제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흡토출부 무빙기구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센서와,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와, 상기 도어개폐센서가 상기 도어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센서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드레스룸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흡토출부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자동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스룸을 자동으로 공기청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토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실 및 기계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습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탈취 또는 먼지제거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토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실 및 기계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11)과, 처리실(11)을 공조하는 공조기(60)가 배치되는 기계실(12)을 구비한 처리기(1000)와, 처리기(1000)와 별도로 구비되고, 의류를 보관하는 보관실(13)을 구비한 보관기(2000)를 포함한다. 보관실(13)은 공조기(60)에 의해 공조된다.
처리기(1000)는 보관기(2000)의 일측에 배치된다. 처리기(1000)는 보관기(20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처리기(1000)는 전방에서 바라볼 시 보관기(2000)의 좌측에 배치된다. 처리기(1000)는 보관기(200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보관기(2000)는 처리기(1000)의 일측에 배치된다. 보관기(2000)는 처리기(10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보관기(2000)는 전방에서 바라볼 시 처리기(10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보관기(2000)는 처리기(100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처리기(1000)는 내측에 처리실(11)이 형성된 제1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고, 보관기(2000)는 내측에 보관실(13)이 형성된 제2 캐비닛(90)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은 각각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은 각각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의류가 출입될 수 있다. 제1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처리실(11)을 개폐하는 제1 도어(2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캐비닛(90)의 전면에는 보관실(13)을 개폐하는 제2 도어(27)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20)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어(20) 및 제2 도어(27)는 투명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20)는 일측이 제1 캐비닛(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처리실(1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도어(27)는 일측이 제2 캐비닛(9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보관실(13)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도어(20) 중 어느 하나는 좌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도어(20) 중 좌측에 배치된 제1 도어(20)는 좌측이 제1 캐비닛(10)의 전면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도어(20) 중 우측에 배치된 제1 도어(20)는 우측이 제1 캐비닛(10)의 전면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27)는 우측이 제2 캐비닛(90)의 전면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20)의 배면이 제1 캐비닛(10)의 전면 중 처리실(1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과 밀착되어 처리실(11)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처리실(11)을 기밀하는 실러가 제1 도어(20)의 배면과, 처리실(1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제1 캐비닛(10)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어(27)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도어(27)의 배면이 제2 캐비닛(90)의 전면 중 보관실(13)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과 밀착되어 보관실(13)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보관실(13)을 기밀하는 실러가 제2 도어(27)의 배면과, 보관실(13)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제2 캐비닛(90)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처리실(11)은 제1 캐비닛(10)의 내측면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캐비닛(10)의 내측면에는 제1 기류 유입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캐비닛(10)의 내측면에는 제1 기류 토출구(341) 및 스팀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류 유입구(331), 제1 기류 토출구(341) 및 상기 스팀 토출구는 처리실(1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기류 유입구(331)는 처리실(11)의 하면 중 전방부에 형성되고, 제1 기류 토출구(341) 및 상기 스팀 토출구는 처리실(11)의 하면 중 후방부에 형성된다. 제1 기류 토출구(341) 및 상기 스팀 토출구는 좌우방향으로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류 토출구(341) 및 상기 스팀 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관실(13)은 제2 캐비닛(90)의 내측면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캐비닛(90)의 내측면에는 제2 기류 유입구(351) 및 제2 기류 토출구(3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류 유입구(351) 및 제2 기류 토출구(361)는 보관실(13)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류 유입구(351) 및 제2 기류 토출구(361)는 좌우방향으로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류 유입구(351) 및 제2 기류 토출구(361)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비닛(10)은 처리실(11)의 하측에 기계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비닛(10)에는 제1 도어(20)의 하측에 흡토출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흡토출부(25)는 제1 캐비닛(10)의 전면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흡토출부(25)는 기계실(12) 내부에서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흡토출부(25)는 기계실(12) 내부에서 제1 캐비닛(10)의 전방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흡토출부(25)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흡토출부(25)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 캐비닛(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흡토출부(25)는 제1 캐비닛(10)으로 삽입된 상태일 때, 전면이 제1 캐비닛(10)의 전면에 일치될 수 있다. 흡토출부(25)의 하면에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흡토출부(25)의 상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토출부(25)가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경우, 흡토출부(25)의 상기 흡입구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흡토출부(25)의 상기 토출구도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드레스룸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기(60)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는 공조기(60)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드레스룸으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레스룸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룸을 의미한다.
처리기(1000)는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는 흡토출부(25)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는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는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으로 삽입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시켜 흡토출부(25)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1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고 흡토출부(25)에 결합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랙이 전후로 직선이동되는 것에 의해 흡토출부(25)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공조기(60)는 기계실(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조기(60)는 히트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12) 내에는 제1 송풍팬(53), 제2 송풍팬(54) 및 스팀생성기(8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조기(60)는 처리실(11)로부터 제1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제1 기류 토출구(341)를 통해 다시 처리실(11)로 토출할 수 있다. 제1 순환 유로(70)는 제1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1 기류 토출구(341)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송풍팬(53)은 제1 순환 유로(70) 상에 구비되어 공기를 송풍한다. 제1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제1 순환 유로(70)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송풍팬(53)에 의해 송풍되어, 제1 기류 토출구(341)를 통해 처리실(11) 내로 토출된다. 제1 도어(2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처리실(11)은 외기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처리실(11) 내의 공기는 제1 순환 유로(70)를 따라 순환된다. 제1 순환 유로(70)의 일단은 제1 기류 유입구(331)와 연결되고, 제1 순환 유로(70)의 타단은 제1 기류 토출구(34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조기(60)는 보관실(13)로부터 제2 기류 유입구(3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제2 기류 토출구(361)를 통해 다시 보관실(13)로 토출할 수 있다. 제2 순환 유로(75)는 제2 기류 유입구(3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2 기류 토출구(361)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제2 송풍팬(54)은 제2 순환 유로(75) 상에 구비되어 공기를 송풍한다. 제2 기류 유입구(351)를 통해 제2 순환 유로(75)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송풍팬(54)에 의해 송풍되어, 제2 기류 토출구(361)를 통해 보관실(13) 내로 토출된다. 제2 도어(27)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보관실(13)은 외기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보관실(13) 내의 공기는 제2 순환 유로(75)를 따라 순환된다. 제2 순환 유로(75)의 일단은 제2 기류 유입구(351)와 연결되고, 제2 순환 유로(75)의 타단은 제2 기류 토출구(36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조기(60)는 냉매를 순환시키고, 냉매가 순환되는 중에 제1 순환 유로(70)의 상류측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이렇게 흡수한 열을 이용하여 제1 순환 유로(70)의 하류측에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공조기(60)는 작동유체인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 배관(61)을 통해 연결된 증발기(62), 압축기(64), 팽창밸브(65) 및 응축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62)는 냉매 배관(61)과 연결된 미세 직경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 전도성의 열전달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이다. 증발기(62)는 제1 순환 유로(70) 및 제2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순환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증발기(62)는 처리실(11)로부터 제1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제1 순환 유로(70)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또한, 증발기(62)는 보관실(13)로부터 제2 기류 유입구(351)를 통해 제2 순환 유로(75)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렇게 흡수된 열이 상기 튜브 내의 냉매에 전달됨으로써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진다.
공기 중의 습기는 증발기(62)를 지나면서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순환 유로(70)에는 제1 순환 유로(70)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 펌프(35)가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 펌프(35)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배수통(31)에 모일 수 있다. 배수통(31)은 기계실(12) 내에서 제1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64)는 증발기(6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64)는 회전수(또는, 압축용량)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inverter compressor)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버터 압축기는 회전수 제어를 통해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고, 따라서, 응축기(63)의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인버터 압축기는 DC 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드라이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63)는 실질적으로 증발기(6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증발기(62)와는 반대로 냉매를 응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압축기(64)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63)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전달하며 응축된다.
응축기(63)는 제1 순환 유로(70) 상에서 증발기(62)보다 하류측에 위치한다. 증발기(62)를 지나면서 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응축기(63)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응축기(63)가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응축기(63)를 통과하면서 순환 공기에 열을 빼앗긴 냉매가 팽창밸브(65)를 통과하면서 팽창되고, 다시 증발기(62)로 유입됨으로써 냉매의 순환회로가 구성된다.
기계실(12) 내에는 배수통(3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31)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캐비닛(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수통(31)을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안에 모인 응축수를 버릴 수 있다.
기계실(12) 내에는 급수통(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을 담는 것이다. 상기 급수통의 물이 스팀생성기(80)로 공급되어 스팀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상기 급수통은 제1 캐비닛(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급수통을 분리하여 그 안에 물을 채울 수 있다.
처리실(11)의 상면에는 걸이대(40)가 배치될 수 있다. 걸이대(40)에는 옷걸이가 걸리는 옷걸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홈은 걸이대(4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대(40)는, 처리실(11)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좌우방향으로 왕복될 수 있다. 걸이대(40)는 처리실(11) 내에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처리기(1000)는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대 무빙기구(400)는 걸이대(40)를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도 있다. 걸이대 무빙기구(400)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시켜 걸이대(40)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써, 크랭크, 랙과 피니언, 캠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걸이대 무빙기구(400)는 제1 캐비닛(10) 중 걸이대(4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처리실(11) 내에는 선반(14)이 배치될 수 있다. 선반(14) 위에는 의류가 올려질 수 있다.
한편, 보관실(13) 내에도 선반(16)이 배치될 수 있다. 선반(16) 위에는 의류가 올려질 수 있다. 또한, 보관실(13) 내에도 옷걸이가 걸리는 걸이대(15)가 배치될 수 있다. 보관실(13)에 배치되는 걸이대(15)는 보관실(13)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를 위한 CPU와,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별다른 설명이 없다고 하더라도, 걸이대 무빙기구(400), 흡토출부 무빙기구(250), 제1 송풍팬(53), 제2 송풍팬(54), 압축기(64), 스팀생성기(80), 응축수 배출 펌프(35) 등의 작동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하자.
제1 도어(20)의 전면에는 입력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전반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버튼, 다이얼,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도어(20)의 전면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LCD, LED 등의 화상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각종 설정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발생한 각종 에러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처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인 제1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130)와, 제1 캐비닛(10) 외부(드레스룸)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40)와, 제1 캐비닛(10) 외부(드레스룸)의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센서(130)가 감지한 제1 도어(20)의 개폐신호는 제어부(100)로 입력될 수 있고, 습도센서(140)가 감지하는 제1 캐비닛(10) 외부의 습도값은 제어부(10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오염도센서(150)가 감지하는 제1 캐비닛(10) 외부의 냄새 또는 먼지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은 제어부(100)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스룸의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는 오염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오염도센서(150)는 상기 드레스룸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가 제1 도어(20)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습도센서(140)가 감지한 습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공조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조기(60)를 작동시킨다는 의미는, 압축기(64)를 작동시킨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가 제1 도어(20)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습도센서(140)가 감지한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압축기(64)를 작동시켜서 드레스룸을 제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습도센서(140)가 감지한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공조기(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조기(60)를 정지시킨다는 의미는, 압축기(64)를 정지시킨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가 제1 도어(20)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오염도센서(150)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공조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가 제1 도어(20)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오염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압축기(64)를 작동시켜서, 제1 캐비닛(10) 외부(드레스룸)의 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다. 공조기(60)는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로부터 공조기(60)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서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조기(60)가 작동되는 경우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로부터 공조기(60)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다시 제1 캐비닛(10) 외부(드레스룸)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오염도센서(150)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공조기(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습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탈취 또는 먼지제거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개폐센서(130)는 제1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입력하고, 습도센서(140)는 제1 캐비닛(10) 외부(드레스룸)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입력한다(S1).
이후, 제어부(100)는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로부터 입력된 신호값을 통해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로부터 제1 도어(20)의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도어개폐센서(130)로부터 제1 도어(20)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S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습도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 이후, 제어부(100)는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이고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면, 흡토출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돌출시키고, 공조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S4). 즉, 제어부(100)는 상기 S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습도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압축기(64) 및 제3 송풍팬(미도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송풍팬은 공조기(6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3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공조기(60)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공조기(60)에서 공조된 공기는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S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S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S1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흡토출부(25)가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공조기(60)의 작동 중에, 습도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S5). 제어부(100)는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 내로 삽입시키고, 공조기(60)를 정지시킬 수 있다(S6). 즉, 제어부(100)는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제1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압축기(64) 및 상기 제3 송풍팬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S4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개폐센서(130)는 제1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입력하고, 오염도센서(150)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입력한다(S11). 여기서, 제1 캐비닛(10)의 외부의 오염도는 드레스룸의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로부터 입력된 신호값을 통해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어개폐센서(130)로부터 제1 도어(20)의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도어개폐센서(130)로부터 제1 도어(20)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S1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염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오염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 이후, 제어부(100)는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이고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돌출시키고, 공조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S14). 즉, 제어부(100)는 상기 S1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염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제3 송풍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S1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S12 단계에서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S11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흡토출부(25)가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공조기(60)의 작동 중에, 오염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S15). 제어부(100)는 상기 S15 단계에서 상기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제1 캐비닛(10) 내로 삽입시키고, 공조기(60)를 정지시킬 수 있다(S16). 즉, 제어부(100)는 상기 S15 단계에서 상기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흡토출부 무빙기구(250)를 제어하여 흡토출부(25)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제1 캐비닛(10)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제3 송풍팬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S15 단계에서 상기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S14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를 제습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7에서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의 공기청정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제어부(100)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의 제습 및 공기청정을 동시에 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습도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고, 오염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공조기(60)를 작동시켜서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의 제습 및 공기청정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의 제습 및 공기청정을 동시에 하는 도중에, 상기 습도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습을 종료할 수 있고, 상기 오염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공기청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00)는 제1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의 제습 및 공기청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게 된다. 이유인 즉, 처리실(11)에서 의류를 처리하는 도중에 제1 도어(20)가 개방되게 되면 흡토출부(25)에 형성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처리실(11)로 유입되어 처리실(11)에 수용된 의류 처리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처리실(11)의 도어(20)를 개방하지 않고도 제1 캐비닛(10)의 외부(드레스룸)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드레스룸의 습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흡토출부(25)가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전방으로 자동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스룸을 자동으로 제습할 수 있다.
또한, 드레스룸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흡토출부(25)가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전방으로 자동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스룸을 자동으로 공기청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처리실 12 : 기계실
25 : 흡토출부 60 : 공조기
130 : 도어개폐센서 140 : 습도센서
150 : 오염도센서 100 : 제어부
250 : 흡토출부 무빙기구

Claims (5)

  1. 의류가 처리되는 처리실과, 상기 처리실을 공조하는 공조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한 캐비닛; 및
    상기 공조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상기 공조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돌출시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흡토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흡토출부 무빙기구;
    상기 캐비닛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 및
    상기 도어개폐센서가 상기 도어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상기 습도센서가 감지한 습도값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가 감지한 습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정지시키는 의류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구동되는 흡토출부 무빙기구;
    상기 캐비닛 외부의 냄새 및 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센서;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 및
    상기 도어개폐센서가 상기 도어를 닫힘으로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센서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센서가 감지한 오염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흡토출부 무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상기 공조기를 정지시키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76802A 2018-07-03 2018-07-03 의류처리장치 KR20200003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02A KR20200003961A (ko) 2018-07-03 2018-07-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02A KR20200003961A (ko) 2018-07-03 2018-07-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961A true KR20200003961A (ko) 2020-01-13

Family

ID=6915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02A KR20200003961A (ko) 2018-07-03 2018-07-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39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22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22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713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2639200B (zh)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3197B1 (ko) 의류처리장치
EP324645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68534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5728A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85995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N116065371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KR20200003961A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4075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0395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7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3940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809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23333A (ko) 건조기
CN116065372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KR2022010580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3819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