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958B1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958B1
KR101859958B1 KR1020170006386A KR20170006386A KR101859958B1 KR 101859958 B1 KR101859958 B1 KR 101859958B1 KR 1020170006386 A KR1020170006386 A KR 1020170006386A KR 20170006386 A KR20170006386 A KR 20170006386A KR 101859958 B1 KR101859958 B1 KR 10185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processing chamber
steam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처리실 내로 열풍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센싱하는 의류 인식센서, 상기 처리실을 가변시키는 처리실 가변유닛 및 상기 의류 인식센서에서 입력된 의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처리실 가변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실에 수용되는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상기 처리실의 크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처리실을 가변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이러한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 처리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의류 재생 장치에 수납된 의류는 그 의류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종래의 의류 처리기기는 하나의 큰 처리실 내에 다수 또는 단수의 의류를 수용하고, 의류에 열풍, 스팀, 기계력 등을 가하여 주름을 제거하게 된다. 이 때, 한 두벌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리프레시하는 경우, 효과적인 스팀과 열풍으로 인한 주름개선효과를 보기 위해, 여러 벌의 의류가 수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팀과 열풍을 제공해야 의류에 구김을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의류 처리기기는 의류 개수에 상관 없이, 동일한 스팀과 열풍이 공급되므로, 한 두벌의 의류를 처리하는 경우, 스팀과 열풍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되는 의류의 숫자에 따라 스팀 및 열풍 에너지를 절약하고, 처리시간을 단축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옷걸이봉에 걸린 의류를 센싱하여, 상기 옷걸이봉에 걸린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상기 처리실의 크기를 가변하는 처리실 가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실 가변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를 상기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공간과, 상기 열풍과 스팀이 차단되는 비 처리공간으로 나누고, 상기 처리공간과 비 처리공간의 크기를 가변하는 슬라이딩 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실 가변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를 상기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공간과, 상기 열풍과 스팀이 차단되는 비 처리공간으로 나누고, 상기 처리공간과 비 처리공간을 연통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옷걸이봉에 걸린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처리실의 크기를 가변하므로, 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 및 열풍의 공급량과 공급시간을 단축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옷걸이봉에 걸린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처리실의 크기를 가변하므로, 소량의 의류의 처리 시 에너지가 절약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처리실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벽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므로, 의류의 개수에 따라 유연하고, 정확하게 처리실의 처리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실을 형성하는 케비닛에서 인출되는 격벽에 의해 처리실이 분할되므로, 격벽의 수평 이동 시에 발생되는 구동부, 옷걸이봉과의 간섭을 배제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옷걸이봉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옷걸이봉의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실 가변유닛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가 옷걸이봉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가 옷걸이봉과 중첩되는 경우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의류 처리 장치에 따른 공간분할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류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옷걸이봉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옷걸이봉의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의류 처리 장치(100)는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110)과, 처리실(110) 내로 열풍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가열부(120)와, 처리실(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센싱하는 의류 인식센서(210), 처리실(110)을 가변시키는 처리실 가변유닛(200) 및 의류 인식센서(210)에서 입력된 의류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실 가변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외부 캐비닛(111)은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캐비닛(112)은 외부 캐비닛(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처리실(110)이 형성된다.
처리실(110)은 의류에 열풍이나 스팀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즉,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펴거나,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처리실(110)은 의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면은 도어(115)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15)가 닫히면 처리실(110)은 외부와 격리되고, 도어(115)가 열리면 처리실(110)은 외부로 노출된다.
가열부(120)는 처리실(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열부(120)는 처리실(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외부 캐비닛(111)과 내부 캐비닛(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120)는 처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가열하여 처리실(110)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거나, 물을 공급받아 열을 가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처리실(110) 내부로 토출하는 장치이다. 물론, 가열부(120)는, 처리실(110)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을 함께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열풍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가열부(120)는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20)는 처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121)와,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처리실(110) 내부로 토출되는 열풍 토출구(122)와, 처리실(110)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123)를 포함한다.
가열부(120)에 의해 발생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처리실(110) 내에 수용된 의류에 가해져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즉,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부(120)에 의해 발생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처리실(110)의 상부에는 옷걸이(200)가 걸리는 옷걸이봉(140)이 배치된다. 옷걸이봉(140)은 후술하는 구동부(150) 및 변환부(160)에 의해 왕복 운동한다. 옷걸이봉(140)이 왕복 운동하는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부(150)는 처리실(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내부 캐비닛(112)과 외부 캐비닛(111)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내부 프레임(112)과 외부 프레임(111) 사이에 고정되는 구동부 프레임(113)에 안착될 수 있다. 구동부 프레임(113)은 구동부(150)를 고정함과 아울러 구동부(15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150)가 처리실(110)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처리실(110)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대용량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0)가 측면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100)의 폭방향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100)는 처리실(110)의 상측에 구동부(15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슬림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실내 등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처리실(110)의 상측 공간을 이용하여 구동부(150)를 설치하기 때문에 처리실(110)의 내부 공간을 대용량화할 수 있어 처리할 수 있는 의류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변환부(160)는 구동부(150)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옷걸이봉(140)을 왕복운동시키는 수단으로써 일종의 커넥팅 로드이다. 변환부(140)는 일단이 구동부(150)와 연결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옷걸이봉(140)의 슬롯(142)에 삽입된다. 변환부(160)의 상세한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옷걸이봉(140)은 옷걸이(200)가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걸림홈(141)과,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슬롯(142)을 포함한다. 옷걸이봉(140)은 처리실(110)의 상부에 매달린 채 왕복 운동한다. 옷걸이봉(140)의 양측은 각각 지지부(180)에 의해 처리실(110)의 상면을 이루는 내부 캐비닛(112) 또는 구동부 프레임(113)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80)는 옷걸이봉(140)(150)이 원활하게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지지부(180)는 옷걸이봉(140)의 전,후 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판형로 형성되어 구동부 프레임(113) 또는 내부 캐비닛(11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옷걸이봉(14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120)에 의해 공급된 열풍은 처리실(110) 내에 수납된 의류를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머금게 된다. 습기를 머금은 고온의 공기가 처리실(110) 상부로 유동하게 되고, 처리실(110)의 내벽과 만나면서 응축된다. 특히, 가열부(120)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될 시에는 처리실(110) 내벽에 응축 현상은 더 심해진다. 상기와 같이 처리실(110)의 내벽에 응축된 물이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이 완료된 후 그대로 방치되면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 등이 번식하여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송풍팬(미도시)은 처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처리실(110) 내벽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처리실(110) 내부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5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1)와, 모터(15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152)와, 구동 풀리(152)와 밸트(153)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 풀리(154)와, 종동 풀리(154)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5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종동 풀리(154)의 직경은 구동 풀리(15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구동 풀리(152)는 모터(151)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만약, 모터(151)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옷걸이봉(140)이 왕복 운동한다면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모터(151)에 과부하게 걸리게 되며, 옷걸이봉(140)에 걸린 의류를 처리하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동 풀리(154)의 직경을 구동 풀리(152)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옷걸이봉(140)의 왕복 주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동 풀리(152)와 종동 풀리(154)는 바람직하게는 직경비가 1:5~1:15를 이룬다.
한편, 구동 풀리(152), 종동 풀리(154) 및 밸트(153) 대신에 구동 스프라킷, 종동 스프라킷 및 체인으로 구성되거나, 구동 기어, 종동 기어 및 기어치가 형성된 밸트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부(150)는, 회전축(155)에 외삽된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는 베어링 하우징(157)과, 회전축(155)과 베어링 하우징(157)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된 베어링(15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는 구동부 프레임(113)에 고정되어 회전축(155)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축(15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156)은 처리실(110)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오염되지 않도록 무급유 베어링(Oilless bea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부(160)는 구동부(150)의 회전 운동을 변환하여 옷걸이봉(140)을 왕복운동시킨다. 변환부(160)는 회전축(155)과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부(161)와, 회전축 연결부(161)에서 연장 형성된 회전암(162)과, 회전암(162)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옷걸이봉(140)의 슬롯(142)에 삽입되는 슬롯 연결부(163)를 포함한다.
회전축 연결부(161)는 변환부(160)의 일단에 형성되며, 회전축(155)가 연결된다. 회전암(162)은 회전축 연결부(161)에서 대략 회전축(155)과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 연결부(163)는 회전암(162)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회전축(155)이 회전하면 슬롯 연결부(163)는 회전축(144)으로부터 소정 반지름을 가지며 회전 운동한다. 만약 회전암(162)이 회전축(15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소정 반지름은 회전암(162)의 길이가 될 것이다.
슬롯(142)은 옷걸이봉(140)의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옷걸이봉(140)의 왕복 운동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면, 슬롯(14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슬롯(142)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슬롯 연결부(163)가 슬롯(142)에 삽입된 채 회전축(155)를 기준으로 회전 시, 전후 방향의 운동성향은 슬롯(142)에 의해 상쇄되고 옷걸이봉(140)은 좌, 우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한편, 슬롯(142) 내부에는 처리실(110) 내의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되어 물이 고일 수 있다. 따라서, 슬롯(142)에는 고인 물이 슬롯(142)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 인식센서(210)는 처리실(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센싱하여 의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또한, 의류 인식센서(210)는 처리실(11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개수와 의류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의류 인식센서(210)는 처리실(110) 내에 수용되는 의류를 인식하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류 인식센서(21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스위칭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의류 인식센서(210)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옷걸이봉(140)에 형성된 걸림홈(141) 내에 형성된 스위치 센서(2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211)는 걸림홈(141)에 걸림되는 옷걸이의 자중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다른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류 인식센서(210)는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출광부(212a)와 출광부(212a)들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출광부(212a)들에서 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출광부(212a)와 수광부(212b)는 옷걸이봉(140)에 형성된 걸림홈(141)과 동일한 피치(Pitch)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옷걸이봉(140)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경우, 출광부(212a)와 수광부(212b)는 도어(115)의 내면과, 도어(115)와 마주 보는 내부 캐비닛(112)의 후면(112e)에 배치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처리실(110)에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100)의 경우, 소량의 의류를 처리할 때에도, 스팀 또는 열풍을 처리실(110) 전체에 공급하게 되므로, 에너지가 낭비되고,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처리실 가변유닛(200)은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처리실(110)을 가변시킨다. 여기서, 처리실(110)을 가변시키는 것은 처리실(110) 내의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처리실 가변유닛(200)은 처리실(110)의 내부를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공간(110A)과, 열풍과 스팀이 차단되는 비 처리공간(110B)으로 나누고,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의 크기를 가변하는 공간가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처리공간(110A)은 처리실(110) 내에 비 처리공간(110B)과 단절되는 공간으로, 의류에 대한 처리가 실행되는 공간이다. 처리공간(110A)은 공기 흡입구(121), 열풍 토출구(122), 스팀 분사구(123)와 연통된다. 처리공간(110A) 내에 공기 흡입구(121), 열풍 토출구(122), 스팀 분사구(12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가변부는 처리실(110)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벽(2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처리실(110)의 육면체 형상이고, 처리실(11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5)에 의해 차폐된다.
슬라이딩 벽(21)은 슬라이딩 벽(21)은 도어(115)와 교차되는 면을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도어(115)를 열고 처리공간(110A)에 의류를 거치하기 쉽도록 한다. 슬라이딩 벽(21)은 좌우방향(제1 방향)과 교차되는 면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벽(21)은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서,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의 크기를 가변한다. 이 때, 옷걸이봉(140)은 좌우방향과 교차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에 각각 설치된다.
슬라이딩 벽(21)의 외주면은 처리실(110)의 내주면(상세히는 내부 캐비닛(112))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벽(21)의 외주면은 내부 캐비닛(112)의 상면(112a), 하면(112c) 및 후면(112e)과, 도어(115)의 후면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벽(21)은 내부 캐비닛(112)의 좌우 측면(112b, 112d)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슬라이딩 벽(21)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측에 내부 캐비닛(112)과, 도어(115)와 함께 처리공간(110A)을 형성하고, 타측에 내부 캐비닛(112)과, 도어(115)와 함께 비 처리공간(110B)을 형성한다. 즉, 슬라이딩 벽(21)은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의 경계를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실 가변유닛(2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벽(21)의 무빙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슬라이딩 벽(21)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왕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딩 벽(21)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23)와, 구동 풀리 (23)와 밸트(22)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 풀리(24)을 포함하고, 밸트(22)는 슬라이딩 벽(21)의 일단과 연결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115)가 옷걸이봉(140)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115)가 옷걸이봉(140)과 중첩되는 경우 단면도이다.
구동부와의 연결을 편의성을 위해, 옷걸이봉(140)이 슬라이딩 벽(21)의 이동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하나가 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딩 벽(21)와, 옷걸이봉(140)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벽(21)은 옷걸이봉(140)이 수용되도록 처리실(1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된 공간을 정의하는 수용홈(21a)을 포함한다. 수용홈(21a)은 슬라이딩 벽(21)의 상단이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수용홈(21a)은 슬라이딩 벽(21)의 이동 중에 옷걸이봉(140)과의 간섭 시 옷걸이봉(140)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수용홈(21a)에는 옷걸이봉(140)이 수용되지 않을 때, 변형되어 수용홈(21a)을 커버하고, 옷걸이봉(140)이 수용될 때, 옷걸이봉(140)과 슬라이딩 벽(21)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21b)가 형성된다.
커버부(21b)는 플렉서블 한 재질로, 옷걸이봉(140)에 의해 변형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21b)는 일단이 수용홈(21a)과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수용홈(21a) 내의 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리브 형태를 가진다.
커버부(21b)는 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홈(21a)과 옷걸이봉(140)이 중첩되지 않을 때에는 수용홈(21a)을 커버하여서,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 사이에 스팀 또는 열풍 등의 유동을 제한한다. 또한, 커버부(21b)는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홈(21a)과 옷걸이봉(140)이 중첩되지 않을 때에는 수용홈(21a)을 커버하여서,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 사이에 스팀 또는 열풍 등의 유동을 제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가열부(120), 처리실 가변유닛(200) 및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70)는 가열부(120), 처리실 가변유닛(200) 및 구동부(150) 뿐만 아니라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90)에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가열부(120)와 구동부(150)가 함께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처리되는 의류의 양이 많거나, 의류의 젖은 정도가 심하거나, 의류를 급속으로 처리하거나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170)에 의해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가 함께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처리실(110) 내에 수용된 의류의 양이 적거나, 의류의 젖은 정도가 미미하거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나, 심야 구동시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170)에 의해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 중 어느 하나만이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처리실(110) 내의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경우에 제어부(170)는 구동부(150) 만이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가열부(120)의 작동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이고 송풍팬만이 회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사용자가 입력부(190)를 통해 자기 청소 명령(Self cleaning)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구동부(15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송풍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처리실(110) 내부 공기를 탈취 및 건조 시킬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는 처리실(110) 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에 의해 처리실(110) 내부 공기의 습도가 측정되면, 제어부(170)는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습도 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가 함께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습도 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 중 어느 하나만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가열부(120)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될 시, 구동부(15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처리실 가변유닛(200)을 제어하여, 처리실(110)의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제어부(170)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의류의 개수 정보나, 의류 인식센서(210)에서 입력된 의류 개수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실 가변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처리실(110)에 수용되는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처리실(110)의 크기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의류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슬라이딩 벽(21)을 처리공간(110A)을 줄이는 방향(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의류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슬라이딩 벽(21)을 처리공간(110A)을 늘리는 방향(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를 작동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초기에, 제어부(170)는 처리공간(110A)이 최대가 되고, 비 처리공간(110B)이 최소가 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벽(21)을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벽(21)은 내부 캐비닛(112)의 우 측면(112b)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때, 공기 흡입구(121), 열풍 토출구(122), 스팀 분사구(123)는 캐비닛의 좌측면(112d)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처리실(110) 내에 의류가 수용되면, 의류 인식센서(210)가 처리실(110) 내의 의류의 개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물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의 개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처리실(110) 내에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슬라이딩 벽(21)을 이동시켜서, 처리공간(110A)의 크기를 조절한다. 의류의 개수가 일정 수 보다 많은 경우, 슬라이딩 벽(21)은 움직이지 않고, 의류의 개수가 일정 수 보다 작은 경우 슬라이딩 벽(21)이 움직여서 처리공간(110A)을 줄인다.
이후, 제어부(170)는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서, 의류를 처리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처리실(110)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처리실(110)의 크기의 가변이 완료된 후, 가열부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되게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가열부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될 시,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의 전면도, 도 12는 도 11의 의류 처리 장치(100)에 따른 공간분할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의 의류 처리 장치(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처리실 가변유닛(20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 도 1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처리실 가변유닛(200)은 처리실(110)의 내부를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공간(110A)과, 열풍과 스팀이 차단되는 비 처리공간(110B)으로 나누고,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을 연통하는 공간분할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공간분할부는 처리실(110)의 내주면에서 인출됨으로써 처리실(110)의 내부를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250)을 포함한다. 격벽(250)은 사용자가 처리실(110) 내의 의류를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벽(21)과 동일하게, 닫힘 상태의 도어(115)와 교차되는 면을 형성한다. 격벽(250)은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격벽(250)은 처리실(110)의 내주면에 인입되어서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을 연통하여 처리공간(110A)을 확장하고, 처리실(110) 내주면에서 인출되어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을 분리하여서, 처리공간(110A)을 축소한다.
제어부(170)는 처리실(110) 내에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격벽(250)을 인입, 인출시켜서, 처리공간(110A)의 크기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의류의 개수가 일정 수 보다 많은 경우, 격벽(250)을 처리실(110)의 내주면으로 인입시키고, 의류의 개수가 일정 수 보다 작은 경우 격벽(250)을 처리실(110)의 내주면에서 인출시켜서 처리공간(110A)을 줄인다
이 때, 격벽(250)과 옷걸이봉(140)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옷걸이봉(140)은 처리실(110)의 복수의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옷걸이봉(140)은 처리공간(110A)에 배치되는 제1옷걸이봉(140)과, 비 처리공간(110B)에 배치되는 제2옷걸이봉(140)을 포함한다.
공간분할부는 캐비닛(7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220)와, 자유단은 처리실(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고정단은 롤러(220)의 원주면에 고정된 격벽(250)과, 격벽(250)의 자유단과 와이어W1)로 연결된 구동축(230)을 포함한다. 구동축(230)과 롤러(220)의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격벽(250)은 롤러(220)와 구동축(230)의 회전에 의해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인입된다. 물론, 격벽(250)은 슬라이더(240)에 의해 슬라이딩 되며 가이드 될 수 있다.
물론, 격벽(250)은 롤러(220)에 귄취될 수도 있지만, 분할된 다수의 세크먼트가 접혔다가 펴지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를 작동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초기에, 제어부(170)는 처리공간(110A)이 최대가 되고, 비 처리공간(110B)이 최소가 되게 격벽(250)을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격벽(250)은 캐비닛에 인입된 상태가 되어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이 연통되어, 전체가 스팀 및 열풍이 공급되는 처리공간(110A)이 된다.
처리실(110) 내에 의류가 수용되면, 의류 인식센서(210)가 처리실(110) 내의 의류의 개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물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의 개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처리실(110) 내에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격벽(250)을 인입 또는 인출시켜서 처리공간(110A)의 크기를 조절한다. 의류의 개수가 일정 수 보다 많은 경우, 격벽(250)은 인입상태를 유지하고, 의류의 개수가 일정 수 보다 작은 경우 격벽(250)이 인출되어 처리실(110)을 처리공간(110A)과 비 처리공간(110B)으로 분리하고, 처리공간(110A)을 줄인다.
이후, 제어부(170)는 가열부(120) 및 구동부(15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서, 의류를 처리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처리실(110)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처리실(110)의 크기의 가변이 완료된 후, 가열부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되게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가열부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될 시,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처리실 내로 열풍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센싱하는 의류 인식센서;
    상기 처리실을 가변시키는 처리실 가변유닛; 및
    상기 의류 인식센서에서 입력된 의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처리실 가변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실에 수용되는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상기 처리실의 크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처리실 가변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를 상기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는 처리공간과, 상기 열풍과 스팀이 차단되는 비 처리공간으로 나누고, 상기 처리공간과 비 처리공간의 크기를 가변하는 공간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가변부는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벽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실 내부에 배치된 옷걸이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봉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벽은 제1 방향과 교차되는 면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벽은,
    상기 옷걸이봉이 수용되도록 상기 처리실의 내주면에서 이격된 공간을 정의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어 상기 옷걸이봉이 수용되지 않을 때, 변형되어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의류 처리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벽의 외면은 상기 처리실의 내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의류 처리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옷걸이봉을 왕복 운동시키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 분사구는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실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에 대응되게 상기 처리실의 크기의 가변이 완료된 후,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처리실 내로 스팀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처리실 내로 스팀이 공급될 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70006386A 2017-01-13 2017-01-13 의류 처리 장치 KR10185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386A KR101859958B1 (ko) 2017-01-13 2017-01-13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386A KR101859958B1 (ko) 2017-01-13 2017-01-13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958B1 true KR101859958B1 (ko) 2018-05-21

Family

ID=6245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386A KR101859958B1 (ko) 2017-01-13 2017-01-13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9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8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2164037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KR20220122077A (ko) * 2021-02-26 2022-09-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보관 방법
WO2023106741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RU2807153C1 (ru) * 2020-03-18 2023-11-09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EP4123082A4 (en) * 2020-03-18 2024-03-06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WO2024128781A1 (ko) * 2022-12-13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상물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25B1 (ko) * 2015-07-30 2016-02-19 김종란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25B1 (ko) * 2015-07-30 2016-02-19 김종란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8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23520166A (ja) * 2020-03-18 2023-05-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RU2807153C1 (ru) * 2020-03-18 2023-11-09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RU2811168C1 (ru) * 2020-03-18 2024-01-11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EP4123082A4 (en) * 2020-03-18 2024-03-06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JP7490073B2 (ja) 2020-03-18 2024-05-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WO2022164037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KR20220122077A (ko) * 2021-02-26 2022-09-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보관 방법
KR102490219B1 (ko) * 2021-02-26 2023-01-1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보관 방법
WO2023106741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128781A1 (ko) * 2022-12-13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상물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958B1 (ko) 의류 처리 장치
US11208755B2 (e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738414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556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525569B1 (ko) 의류 처리 장치
US93534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moving hanger bar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85890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2503646A (ja) 衣類処理装置
JP2008264513A (ja) ドラム洗濯機及びこれを用いた洗濯方法
US9175433B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4740271B2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EP362056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28184A (ko) 의류처리장치
RU27721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JP201114327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