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18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184A
KR20200028184A KR1020180106544A KR20180106544A KR20200028184A KR 20200028184 A KR20200028184 A KR 20200028184A KR 1020180106544 A KR1020180106544 A KR 1020180106544A KR 20180106544 A KR20180106544 A KR 20180106544A KR 20200028184 A KR20200028184 A KR 20200028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oor
unit
chamber
poi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김명식
성재석
한성경
허준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184A/ko
Priority to AU2019336879A priority patent/AU2019336879B2/en
Priority to RU2022106464A priority patent/RU2022106464A/ru
Priority to RU2021107576A priority patent/RU2768560C1/ru
Priority to PCT/KR2019/011377 priority patent/WO2020050610A1/en
Priority to JP2021512481A priority patent/JP7227355B2/ja
Priority to EP23177139.5A priority patent/EP4234800A3/en
Priority to EP19195410.6A priority patent/EP3620570B1/en
Priority to US16/562,379 priority patent/US11525207B2/en
Priority to CN202210311396.6A priority patent/CN114657754A/zh
Priority to CN201910836694.5A priority patent/CN110886074B/zh
Publication of KR2020002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84A/ko
Priority to US17/991,334 priority patent/US11946193B2/en
Priority to JP2023018159A priority patent/JP747233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배출구 및 공급구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챔버;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챔버에 연통하는 연통구;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공급구를 연결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흡열부;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는 챔버도어; 상기 챔버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탱크;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제1지점과 상기 배수탱크가 상기 하부챔버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챔버도어 이송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처리작업(세탁, 건조, 탈취, 주름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밴 냄새, 주름 등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등을 통해 의류와 드럼을 마찰시키면서 처리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의류의 건조에는 유리하지만 의류에 지속적인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의류에 구김(wrinkl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가 펼쳐진 채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 의류수용부에 공기와 수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수용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탱크가 자동으로 인출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수용부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의 자동인출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리면 의류 또는 의류가 고정된 옷걸이를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통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배출구 및 공급구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챔버;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챔버에 연통하는 연통구;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공급구를 연결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흡열부;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는 챔버도어; 상기 챔버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탱크;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제1지점과 상기 배수탱크가 상기 하부챔버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챔버도어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어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 또는 가열된 수증기를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챔버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수분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도어는 상기 하부챔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도어는 상기 하부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탱크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구를 폐쇄하되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제2챔버에서 인출되면 상기 연통구를 개방하는 챔버도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도어 이송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는 바디 랙; 상기 바디 랙에 결합된 바디 피니언; 및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바디 피니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어명령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도어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챔버도어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수탱크가 수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챔버도어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하우징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이송부는 상기 챔버도어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랙; 상기 하우징 랙에 결합된 하우징 피니언; 및 상기 챔버도어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피니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흡열부에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덕트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관;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수탱크에서 분리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배수관으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어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 또는 가열된 수증기를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급수탱크;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탱크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수분공급부에 구비된 급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도어를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전진명령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지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명령,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지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강명령과 상기 챔버도어를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후진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제어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한 때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상기 의류수용부 길이의 1/3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상기 의류수용부 길이의 1/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슬롯 및 제2슬롯을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상부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 사이를 왕복 가능한 베이스;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제1연결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에 고정되어 옷걸이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랙; 상기 랙에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펼쳐진 채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 의류수용부에 공기와 수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수용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탱크가 자동으로 인출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수용부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의 자동인출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리면 의류 또는 의류가 고정된 옷걸이를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통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의류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챔버도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챔버도어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며,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11)가 구비된 캐비닛(1), 상기 의류수용부(11)로 공기와 수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 또는 의류가 고정된 옷걸이(H1)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6), 상기 의류수용부(11)를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의류수용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챔버(13, 상부챔버) 및 상기 의류수용부(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15, 하부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는 상기 의류지지부(6)가 설치되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15)는 상기 공급부(3, 4)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1챔버(13)는 제1격벽(17, 상부 격벽)을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11)와 구분되고, 상기 제2챔버(15)는 제2격벽(19, 하부 격벽)을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11)와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격벽(17)의 하부면은 상기 의류수용부(11)의 상부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격벽(19)의 상부면은 상기 의류수용부(1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에는 전방면(16)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11)에 연통하는 투입구(161), 전방면(16)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15)에 연통하는 연통구(163)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61)는 상기 도어(2)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연통구(163)는 후술할 챔버도어(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161)를 개폐하는 도어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21)는 상기 캐비닛 전방면(16)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 전방면(16)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면은 상기 도어바디(21)에 의해 형성하게 될 것이고, 후자의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은 상기 캐비닛 전방면(16)의 일부 영역(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 노출된 영역)과 상기 도어바디(21)에 의해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도어바디(21)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 전방면(2a), 상기 캐비닛 전방면(16)을 향하도록 구비된 도어 후방면(2b)이 구비된 보드(board)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전방면(2a)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13),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이나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에 구비되는 공급부는 상기 의류수용부(11)로 가열된 공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 상기 의류수용부로 가열된 수증기(스팀)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4, 도 7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3)는 상기 제2챔버(15)에 구비되는 덕트(31),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 및 팬(3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31)는 상기 의류수용부(11)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부로 인출하고,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11)로 공급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2격벽(19)에는 상기 의류수용부(11)와 제2챔버(15)를 연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191) 및 공급구(193)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1)는 상기 제2챔버(15)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91)와 공급구(19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31) 내부에 구비된 팬(37)이 회전하면, 상기 의류수용부(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191)를 통해 덕트(31)로 유입된 뒤 상기 공급구(193)를 통해 의류수용부(11)로 이동할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배출구(191)와 상기 공급구(193)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는 상기 제2격벽(19)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커버 바디(197), 및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커버 관통홀(19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배출구(191)를 통해 덕트(3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 가능한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제공하는 냉매관(34), 상기 냉매관(34)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구(191)와 팬(37) 사이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32, 흡열부), 상기 냉매관(34)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32)와 팬(37)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33, 발열부), 냉매가 상기 냉매관(34)을 따라 순환할 수 있게 하는 압축기(35), 제2열교환기(3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기(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32)와 제2열교환기(33)는 덕트(3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35) 및 팽창기(36)는 상기 덕트(3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32)는 상기 덕트(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매관(34)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기(32)를 통과하면서 증발하고,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제1열교환기(32)를 통과하면서 응축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33)는 압축기(35)에서 배출된 냉매가 가진 열을 제1열교환기(32)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지지부(6)는 옷걸이의 고리(H2)가 지지되는 지지바(64), 상기 지지바의 양단을 상기 제1격벽(17)에 연결하는 제1연결부(62) 및 제2연결부(63)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바(64)가 의류수용부(11)의 상부면 중앙 부근에 위치하면, 키가 작은 사용자는 옷걸이의 고리(H2)를 지지바(64)에 걸거나, 지지바(64)에서 분리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된 의류지지부(6)는 의류수용부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지지부(6)는 옷걸이(H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61, 62, 63, 64), 상기 지지부가 의류수용부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이송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챔버(13)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16)과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 사이를 왕복 가능한 베이스(61, Z축을 따라 왕복 가능한 베이스),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의류수용부(11)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62) 및 제2연결부(63), 일단은 상기 제1연결부(6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63)에 고정되어 옷걸이의 고리(H2)를 지지하는 지지바(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7)에는 상기 제1챔버(13)와 의류수용부(11)를 연통시키는 제1슬릿(171)과 제2슬릿(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부(62)는 상기 제1슬릿(171)에 삽입되고, 상기 제2연결부(63)는 제2슬릿에 삽입되어야 한다.
상기 제1슬릿(171)은 상기 의류수용부의 후방에서 투입구(161)가 위치된 의류수용부의 전방을 향해 연장(Z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슬릿은 상기 제1슬릿(171)에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61)를 상기 의류수용부(11)의 중심이 위치된 방향과 상기 투입구(161)가 위치된 방향 사이에서 왕복시킬 수 있는 한 상기 이송부(65)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이송부(65)가 상기 베이스(61)에 구비된 랙(651, rack), 상기 제1챔버(13)에 구비되어 상기 랙에 결합된 피니언(653, pinion),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65)는 사용자가 입력부(지지부 제어명령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한 때 지지바(64)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 제어명령 입력부는 상기 지지바(64)를 상기 투입구(16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명령과, 상기 지지바(64)를 상기 투입구(1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제어명령 입력부는 도어 전방면에 구비된 입력부(213)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 후방면(2b)이나 상기 의류수용부(1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입구(1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 제어명령 입력부를 누르면, 상기 지지바(64)는 상기 투입구(16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므로, 사용자는 옷걸이 고리(H2)를 쉽게 지지바(64)에 걸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바(64)에 옷걸이(H1)를 고정한 후 사용자가 지지부 제어명령 입력부를 누르면, 상기 지지바(64)는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므로, 옷걸이(H1)가 도어바디(21)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65)는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개방한 때 지지바(64)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바디(21)가 상기 투입구(161)를 개방하면, 상기 이송부(65)는 상기 지지바(64)를 투입구(161)가 위치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폐쇄하면 상기 지지바(64)를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개방한 때 상기 투입구(161)에서 상기 지지바(64)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지지바의 이동방향에 대한 의류수용부의 길이(L, 의류수용부의 Z축 방향 길이)의 1/3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H1)를 지지바(64)에 걸거나, 옷걸이(H1)를 지지바(64)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161)에서 상기 지지바(64)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바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의류수용부 길이(L)의 1/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지지바(64)가 의류수용부(11)의 중앙지점(L/2)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면, 옷걸이 고리(H2)를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의 옷걸이(H1)의 크기를 극대화 가능하다(의류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의류의 폭을 극대화 가능하다).
상기 도어바디(21)가 상기 투입구(161)를 개방했는지 여부는 도어감지부(24)를 통해 확인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도어감지부(24)가 캐비닛의 전방면(16)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감지부(24)는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바디(21)에 접촉하고,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개방하면 상기 도어바디(21)에서 분리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도어감지부(24)는 상기 도어바디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송부(65)는 지지바(64)를 투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송부(65)는 지지바(64)를 투입구(1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지지바(64)에는 의류수용부(11)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램프(6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641)는 상기 지지바(6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램프(641)는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개방하면 빛을 방출하고, 상기 도어바디(21)가 투입구(161)를 폐쇄하면 빛의 방출을 중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6)는 상기 지지바(64)를 상기 베이스가 왕복하는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 의류수용부의 너비방향, 투입구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67)는 상기 베이스(61)에 고정된 작동바디 가이드(672)에 지지되는 작동바디(671), 상기 베이스(61)에 고정된 모터(673),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작동바디(67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675, 676, 677, 678)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바디(671)는 상기 작동바디 가이드(672)에 지지되어 의류수용부(11)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62)와 제2연결부(63)는 상기 작동바디(67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작동바디(671)에 구비된 슬롯(675), 상기 모터의 회전축(674)에 고정된 축결합부(676), 상기 축결합부에서 상기 회전축(67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 암(677), 상기 암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롯(675)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부(6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바디(671)가 의류수용부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슬롯(675)은 상기 작동바디(67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슬롯삽입부가 형성하는 회전궤적의 지름(R)은 상기 슬롯의 길이(LS) 이하로 설정되어야 한다(도 4(b)).
상기 의류지지부(6)에는 상기 베이스(6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레일(611) 및 레일 수용홈(613)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레일 수용홈(613)은 제1격벽(17)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611)은 상기 베이스(6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 수용홈(613)에 결합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3)를 작동시켜 의류수용부(11)로 공기를 공급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데, 의류수용부에 공기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작동부(67)에 의해 상기 지지바(64)가 상기 의류수용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면, 의류와 공기의 열교환 시간을 단축되는 효과(건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분공급부(4)를 작동시켜 의류수용부(11)로 수증기를 공급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서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의류수용부에 수증기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지지바(64)가 상기 의류수용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면, 의류의 구김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의류수용부에 수증기와 공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하면, 본 발명은 의류에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의류수용부에 수증기와 공기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지지바(64)가 상기 의류수용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면, 탈취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열교환부(32)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탱크(8), 상기 수분공급부(4)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8) 및 급수탱크(9)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16)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15)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구(163)를 개폐하는 챔버도어(7)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챔버도어(7)는 상기 제2챔버(15)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형태(도 5)로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의 바닥면에 나란한 하부면 또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측면에 구비된 도어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도어(7)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탱크(8) 및 급수탱크(9)가 지지되는 지지바디(72), 및 상기 지지바디(72)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구(163)를 개폐하는 챔버도어 바디(7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도어 바디(71)는 상기 지지바디(72)가 상기 제2챔버(15)에서 인출되면 상기 연통구(163)를 개방하고, 상기 지지바디(72)가 제2챔버(15)로 삽입되면 상기 연통구(163)를 폐쇄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챔버도어(7)는 연통구를 개폐하는 챔버도어 바디 및 챔버도어 바디의 하부면 또는 측면을 캐비닛에 연결하는 도어 회전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도어(7)는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 가능하다. 상기 제1지점(P1)은 상기 챔버도어 바디(71)가 연통구(163)을 폐쇄하는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P2)은 상기 챔버도어(7)가 연통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수탱크(8) 및 급수탱크(9)가 상기 제2챔버(15)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지점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챔버도어(7)를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챔버도어 이송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도어 이송부(77)는 상기 지지바디(72)에 구비되는 바디 랙(771), 상기 제2챔버(15)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랙에 결합된 바디 피니언(773), 및 상기 제2챔버(15)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피니언(773)을 회전시키는 바디 피니언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도어 이송부(77)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챔버도어(7)를 제1지점에서 제2지점(P2)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챔버도어(71)를 제2지점에서 제1지점(P1)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챔버도어 바디(71)에는 제어명령 입력부(7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711)는 상기 챔버도어(7)가 상기 제1지점(P1)에서 상기 제2지점(P2)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인출명령), 상기 제2지점(P2)에서 상기 제1지점(P1)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삽입명령)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711)는 상기 인출명령과 삽입명령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711)를 한 번 누르면 상기 챔버도어(7)는 제2지점(P2)까지 이동할 것이고, 사용자가 제어명령 입력부(711)를 한 번 더 누르면 챔버도어(7)는 제1지점(P1)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배수탱크(8)와 상기 급수탱크(9)는 장착부가 구비된 하우징(72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상기 하우징(721)은 상기 챔버도어 바디(71)와 상기 지지바디(7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72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가이드(723)가 상기 지지바디(72)에 상기 챔버도어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721)은 하우징 이송부(78)를 통해 상기 챔버도어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 이송부(78)는 상기 챔버도어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721)에 구비된 하우징 랙(781), 상기 하우징 랙에 결합하는 하우징 피니언(783), 및 상기 하우징 피니언(783)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피니언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피니언 모터는 상기 챔버도어 바디(71)와 지지바디(7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723)에는 가이드 관통홀(724)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723)의 외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피니언(783)과 상기 가이드(723) 내부에 위치된 하우징 랙(781)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 이송부(78)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711)가 발생하는 인출명령은 상기 챔버도어(7)를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까지 이동시키는 전진명령(도 6 참고), 및 상기 하우징(721)을 상기 지지바디(7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명령(도 7 참고)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전진명령과 상승명령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711)가 발생하는 삽입명령은 상기 하우징(721)을 지지바디(72)를 향해 이동시키는 하강명령, 및 상기 챔버도어(7)를 제2지점(P2)에서 제1지점(P1)까지 이동시키는 후진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탱크(8)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721)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배수탱크 바디(81), 상기 배수탱크 바디를 개폐하는 배수탱크 마개(8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부(32)에 발생한 응축수는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된 배수부(87)를 통해 상기 배수탱크 바디(81)로 공급되는데, 상기 배수부(87)는 제1열교환부(32)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덕트(31)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관(871), 상기 배수탱크 바디(8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배수관(875), 상기 제1배수관(871)에서 공급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2배수관(875)으로 이동시키는 펌프(873)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탱크 바디(81)에는 상기 제2배수관(875)이 삽입되는 배수관 삽입구(82)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수관 삽입구(82)에는 배수탱크 밸브(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 밸브(85)는 상기 배수관 삽입구(82)를 통해 배수탱크 바디 내부의 응축수가 배수탱크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배수탱크 밸브(85)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도어(7)가 상기 제2지점(P2)에서 상기 제1지점(P1)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배수관(875)은 상기 배수관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챔버도어(7)가 상기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배수관(875)는 상기 배수탱크 바디(81)에서 분리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9)는 제2챔버(15)에 구비된 수분공급부(4)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수분공급부(4)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챔버(15)에 구비되는 물저장부(41), 상기 물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43), 상기 물저장부 내부의 스팀을 상기 의류수용부(11)에 공급하는 노즐(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19)에는 의류수용부(11)와 제2챔버(15)를 연통시키는 수분공급구(195)가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47)은 상기 수분공급부(19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노즐(47)과 물저장부(41)는 공급관(45)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9)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721)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급수탱크 바디(91), 상기 급수탱크 바디를 개폐하는 급수탱크 마개(9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탱크 바디(91)에 저장된 물은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된 급수부(97)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41)로 공급되는데, 상기 급수부(97)는 물저장부(41)에 구비되되 상기 연통구(163)을 향해 돌출된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탱크(9)에는 상기 급수탱크 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이 삽입되는 급수관 삽입구(92), 상기 급수관 삽입구를 개폐하는 급수탱크 밸브(95)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721)에는 상기 급수관이 관통하는 하우징 관통홀(7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관통홀(722)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724)로 삽입된 급수관을 상기 급수관 삽입구(92)에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 밸브(95)는 상기 급수관 삽입구(92)를 통해 급수탱크 바디 내부의 물이 급수탱크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급수탱크 밸브(95)는 급수관에 의해 개방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도어(7)가 상기 제2지점(P2)에서 상기 제1지점(P1)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관은 상기 급수관 삽입구(92)에 삽입되고, 상기 챔버도어(7)가 상기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관은 상기 급수관 삽입구(92)에서 분리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도어바디(21)에 구비되어 바지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pleat)은 강화하고, 바지에 형성된 구김(wrinkle,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은 주름)은 펴주는 프레서(Press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서는 도어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도어 전방면(2a)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서가 의류수용부(11)에 구비된 경우와 비교할 때, 의류수용부(11)의 부피를 최대화 가능하고,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바디(21)를 회전시키기 않고도 바지를 프레서에 고정 가능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바디(21)에는 상기 도어 전방면(2a)에 구비되어 바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25), 상기 도어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수용부 도어(26), 상기 수용부(25)에 구비되어 바지를 지지하는 지지부(27), 및 상기 수용부 도어(26)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 도어가 수용부를 폐쇄할 때 바지를 상기 지지부(27)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부(2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7)는 상기 수용부(25)에 구비되어 바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의류고정부(273), 상기 의류고정부에 고정된 바지의 일면이 지지되는 지지바디(271)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28)는 상기 수용부 도어(26)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 도어(26)가 수용부(25)를 폐쇄하면 바지를 상기 지지바디(271)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바디(2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281)에는 상기 수용부 도어(26)가 수용부(25)를 폐쇄한 때 상기 의류고정부(27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수용홈(28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프레서를 통해 바지의 구김을 제거할 때 바지에 형성된 봉제선(Sewing Line) 때문에 새로운 구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프레서에는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피홈(291, 29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은 상기 지지바디(271)의 높이방향(Y축 방향, 도어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지지바디 홈(291)과, 상기 압축바디(28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압축바디 홈(2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홈(291)은 상기 지지바디(271)의 표면이 압축바디(28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축바디 홈(293)은 상기 압축바디(281)의 표면이 상기 지지바디(27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지지부(27)는 수용부 도어(26)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28)는 상기 수용부(25)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바지의 구김은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바지의 주름은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상기 도어바디(21)에는 상기 수용부(25)와 의류수용부(11)를 연통시키는 공급홀(2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홀(215)은 상기 도어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공급부(3, 4)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11)로 공급된 수증기와 공기는 상기 공급홀(215)을 통해 바지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의류수용부 13: 제1챔버
15: 제2챔버 161: 투입구 163: 연통구
17: 제1격벽 171: 제1슬릿 173: 제2슬릿
19: 제2격벽 2: 도어 21: 도어바디
215: 공급홀 24: 도어감지부 25: 수용부
26: 수용부 도어 27: 지지부 271: 지지바디
273: 의류고정부 28: 압축부 281: 압축바디
283: 고정부 수용홈 291: 지지바디 홈 293: 압축바디 홈
3: 공기공급부 4: 수분공급부 6: 의류지지부
61: 베이스 62: 제1연결부 63: 제2연결부
64: 지지바 641: 램프 65: 이송부
67: 작동부 7: 챔버도어 71: 챔버도어 바디
72: 지지바디 721: 하우징 장착부 722: 하우징 관통홀
723: 가이드 724: 가이드 관통홀 77: 챔버도어 이송부
78: 하우징 이송부 8: 배수탱크 87: 배수부
9: 급수탱크 97: 급수부

Claims (1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배출구 및 공급구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챔버;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챔버에 연통하는 연통구;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공급구를 연결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흡열부;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는 챔버도어;
    상기 챔버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탱크;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제1지점과 상기 배수탱크가 상기 하부챔버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챔버도어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어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 또는 가열된 수증기를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챔버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수분공급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도어는 상기 하부챔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도어는 상기 하부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탱크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구를 폐쇄하되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제2챔버에서 인출되면 상기 연통구를 개방하는 챔버도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도어 이송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는 바디 랙; 상기 바디 랙에 결합된 바디 피니언; 및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바디 피니언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어명령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도어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챔버도어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수탱크가 수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챔버도어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하우징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이송부는
    상기 챔버도어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랙;
    상기 하우징 랙에 결합된 하우징 피니언; 및
    상기 챔버도어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하우징 피니언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에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덕트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관;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수탱크에서 분리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배수관으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에 구비되어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 또는 가열된 수증기를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급수탱크; 및
    상기 챔버도어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탱크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수분공급부에 구비된 급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도어를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전진명령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지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명령,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지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강명령과 상기 챔버도어를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후진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제어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한 때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상기 의류수용부 길이의 1/3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때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상기 의류수용부 길이의 1/2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슬롯 및 제2슬롯을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상부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과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 사이를 왕복 가능한 베이스;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제1연결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에 고정되어 옷걸이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랙;
    상기 랙에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106544A 2018-09-06 2018-09-06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44A KR20200028184A (ko) 2018-09-06 2018-09-06 의류처리장치
JP2021512481A JP7227355B2 (ja) 2018-09-06 2019-09-04 衣類処理装置
RU2022106464A RU2022106464A (ru) 2018-09-06 2019-09-04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RU2021107576A RU2768560C1 (ru) 2018-09-06 2019-09-04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PCT/KR2019/011377 WO2020050610A1 (en) 2018-09-06 2019-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9336879A AU2019336879B2 (en) 2018-09-06 2019-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3177139.5A EP4234800A3 (en) 2018-09-06 2019-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195410.6A EP3620570B1 (en) 2018-09-06 2019-09-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562,379 US11525207B2 (en) 2018-09-06 2019-09-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210311396.6A CN114657754A (zh) 2018-09-06 2019-09-05 衣物处理设备
CN201910836694.5A CN110886074B (zh) 2018-09-06 2019-09-05 衣物处理设备
US17/991,334 US11946193B2 (en) 2018-09-06 2022-11-21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3018159A JP7472339B2 (ja) 2018-09-06 2023-02-09 衣類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44A KR20200028184A (ko) 2018-09-06 2018-09-0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84A true KR20200028184A (ko) 2020-03-16

Family

ID=6994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44A KR20200028184A (ko) 2018-09-06 2018-09-0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1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8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907325A1 (en) 2020-05-06 2021-11-10 LG Electronics Inc.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8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907325A1 (en) 2020-05-06 2021-11-10 LG Electronics Inc.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4071293A1 (en) 2020-05-06 2022-10-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 air inle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619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431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998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2A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4075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9482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4106B1 (ko) 의류처리장치
RU27721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2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