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28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282A
KR20200110282A KR1020200118934A KR20200118934A KR20200110282A KR 20200110282 A KR20200110282 A KR 20200110282A KR 1020200118934 A KR1020200118934 A KR 1020200118934A KR 20200118934 A KR20200118934 A KR 20200118934A KR 20200110282 A KR20200110282 A KR 2020011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lothing
space
support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영
민지연
홍석기
이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282A/ko
Publication of KR2020011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282A/ko
Priority to KR1020210100055A priority patent/KR102381164B1/ko
Priority to KR1020210100054A priority patent/KR10238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의류를 가압하여 의류에 주름(crease)을 형성시키는 압축부가 구비된 프레서(presser)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구김 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주름(crease,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잡아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의류에 주름(crease)을 형성시키려면 세탁이나 건조가 완료된 후 다리미와 같은 주름 형성 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주름(crease) 형성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의류를 가압하여 의류에 주름(crease)을 형성시키는 압축부가 구비된 프레서(presser);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서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의류를 가압하는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바디 관통홀에 구비되는 메시(mes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의류의 주름을 상기 지지부를 향해 가압하는 압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판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압축판 및 제2압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내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프레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서 수용홈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서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프레서 수용홈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프레서 수용홈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제1지지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은 각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프레서 수용홈과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의류의 일단이 고정되는 의류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서는 상기 의류지지바에 거치된 의류의 타단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바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되어 구비되는 기계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름(crease) 형성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resser)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프레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3),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에 미리 설정돼 있는 주름(crease)을 고정시키는 프레서(9)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3)에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용공간(31)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의류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에 구비되는 의류지지바(51, 이하 '제1의류지지바'라 함)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의류지지바(53, 이하 '제2의류지지바'라 함)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지지바(51)는 수용공간(31)의 너비 방향(도어의 너비방향) 또는 수용공간의 깊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수용공간(3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의류지지바(5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의류는 옷걸이(200)에 구비된 고리(H)를 통해 제1의류지지바(51)에 지지될 수도 있고, 옷걸이(200) 없이 제1의류지지바에 지지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의류는 수용공간(31)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의류지지바(53)는 도어(11)에 구비되어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2의류지지바(5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고리(H)가 지지될 수 있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가 옷걸이 없이 직접 지지될 수 있도록 도어(11)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에는 수용공간(31)과 분리된 기계실(7)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공급부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7)은 수용공간(31)의 하부에 위치되고, 기계실 도어(7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공급부가 수용공간(31)으로 공급하는 공기나 수분이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 및 스팀(steam)인 경우 열풍이나 스팀이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도 수용공간(31)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급부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 수용공간(31)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부가 공기공급부(71) 및 수분공급부(72)를 모두 포함하고, 공기공급부(71)는 열풍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며 수분공급부(72)는 스팀을 수용공간(31)에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공기공급부(71)는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11), 상기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713),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31)에 구비된 공기배출부(35) 및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와 연통한다.
상기 공기배출부(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31)과 기계실(7)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된 순환덕트(711)가 일단은 공기흡입부(36)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배출부(35)에 연결된다면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31)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수단으로, 도 2는 열교환부의 일례로 히트펌프(heat pump)를 도시한 것이다.
열교환부가 히트펌프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C), 순환덕트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기(P) 및 팽창기(Ex)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팽창기(Ex)는 냉매관(7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기(P)는 냉매가 냉매관(714)을 따라 순환될 수 있도록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수단이고, 증발기(E)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며, 응축기(C)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가 응축되는 수단이다.
상기 블로워(715)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응축기(C)와 공기배출부(3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블로워(715)가 작동하면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 수용공간(31)으로 이동하고,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며(제습),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응축수)는 증발기의 표면이나 순환덕트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순환덕트(71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면 열교환부(713)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은 증발기(E)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의 제거를 위한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수탱크(745),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배수관(747) 및 배수펌프(74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745)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배수탱크(745)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급수탱크 리드(7451), 배수관(747)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74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7453)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개방하면 배수관(747)이 유입구(7453)에서 분리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폐쇄하면 배수관(747)이 유입구(74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배수탱크를 기계실 도어에서 분리할 때 배수탱크 내부의 물이 배수탱크 외부로 누출되는 것도 방지).
한편,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공급부(72)는 기계실(7)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721), 상기 저장부(721)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725), 저장부(721)를 수분배출부(37)에 연결하는 수분공급관(72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21)는 물이 저장되는 수단이고, 상기 히터(725)는 저장부(72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 내부의 스팀을 수용공간(31)으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725)는 저장부(721)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의 상부면(또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7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는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74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721)에는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폐쇄하면 상기 급수탱크(743)에 연결되고, 기계실 도어(74)가 기계실(7)을 개방하면 상기 급수탱크(743)에서 분리되는 연결관(723)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743)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한 어떤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급수탱크(743) 내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 리드(7431), 상기 연결관(723)이 삽입되는 배출구(7433),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체크밸브(74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급수탱크(743)를 기계실 도어(74)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즉,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면 저장부(721)는 급수원으로부터 필요한 때에 물을 공급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급수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상술한 제어가 불가능한데 상기 급수탱크(743)는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탈취나 구김(wrinkle)을 제거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의류가 수용공간(31)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므로 스팀이나 열풍의 공급이 완료된 뒤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프레서(9, presser)는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에 미리 설정돼있는 주름(crease)을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류에 공급할 수 있는 한 상기 프레서(9)는 수용공간(31)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도어(11)의 내주면(수용공간(31)의 일면을 형성하는 도어의 표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9)는 도어(1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부(91), 지지부(91) 또는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91)에 위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축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93)는 도어(11)의 내주면 또는 상기 지지부(9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931), 상기 바디(931)에 구비되어 수용공간(31)으로 유입된 스팀이나 열풍을 지지부(91)에 거치된 의류에 공급하는 메쉬(937)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도어(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바디힌지(933)를 통해 바디(931)가 도어(11)에 고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바디(931)는 착탈부(971, 973)에 의해 도어(11)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착탈부는 도어(11) 또는 바디(9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출부(971), 도어(11) 또는 바디(9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97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973, 또는 수용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931)에는 지지부(91)를 수용공간(31)과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937)이 구비되며, 상기 메쉬(937)는 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관통홀(93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1)는 도어(1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지지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도어(11)의 내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된 프레서 수용홈(13)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판은 하나의 판(board, plate)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1지지판(911) 및 제2지지판(913)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부(91)가 제1지지판(911) 및 제2지지판(913)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은 의류에 구비된 봉재선(Sewing Line)을 제1지지판(911)과 제2지지판(913) 사이에 위치된 공간(S, 지지판 간격)에 위치시킴으로써 압축부(93)에 의해 의류가 지지부(91) 방향으로 압축될 때 봉재선에 의해 의류에 불필요한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판(911) 및 제2지지판(913)은 각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917)을 더 포함하고, 각 지지판(911, 913)의 표면은 프레서 수용홈(13)의 표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메쉬(937)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나 스팀이 각 지지판(911, 913)에 거치된 의류를 통과한 뒤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91)는 각 지지판(911, 913)을 프레서 수용홈(13)에 고정시키는 탄성부재(9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지지판(911, 913)을 프레서 수용홈(13)과 소정거리 이격시킬 뿐만 아니라 각 지지판(911, 913)에 거치된 의류가 압축부(93)의 바디(931)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부(91)가 제1지지판(911) 및 제2지지판(913)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915)는 제1지지판(911)을 프레서 수용홈(13)에 연결하는 제1탄성체(9151), 제2지지판(913)을 프레서 수용홈(13)에 연결하는 제2탄성체(9153)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915)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판(board or plate) 형상을 가진 탄성부재(915)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의 탄성부재(915)는 금속판의 마주보는 양단이 금속판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상의 판스프링을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판스프링의 중심은 프레서 수용홈(13)에 고정되고, 판스프링의 자유단(free end)은 각 지지판(911, 913)에 고정된다.
탄성부재(915)와 지지판(911, 9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레서 수용홈(13)을 향하는 각 지지판(911, 913)의 배면에는 판스프링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고정홈(9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프레서(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지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름(crease)이 있는 의류를 옷걸이에 고정시킨 뒤 옷걸이의 고리를 도어(11)에 구비된 제2의류지지바(53)에 연결함으로써 의류를 지지부(9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의류에 형성된 봉재선(SL)이 제1지지판(911)과 제2지지판(913) 사이의 공간(S)에 위치되도록 의류의 위치를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의류가 지지부(91)에 거치되면, 사용자는 압축부(93)의 바디(931)를 지지부(91)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바디(931)에 구비된 수용홈(973)이 도어(11)에 구비된 돌출부(97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디(931)를 도어(11)에 고정시킨다.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crease)이 있다면 사용자는 주름이 바디(931)와 각 지지판(911, 913)의 접합면을 통해 가압될 수 있도록 의류의 위치를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은 없으나 새로운 주름을 형성시키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의류를 바디(931)와 각 지지판(911, 913)의 접합면에 위치시켜야 한다.
압축부(93)의 바디(931)가 착탈부(971, 973)를 통해 도어(11)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도어(11)를 닫아 수용공간(31)을 폐쇄시킨 뒤 공기공급부(71) 및 수분공급부(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킨다.
공기공급부나 수분공급부를 통해 수용공간(31)에 공급된 열풍이나 스팀은 압축부(93)에 구비된 메쉬(937)를 통해 의류에 공급되며, 의류에 공급된 열풍이나 스팀은 각 지지판(911, 913)에 구비된 관통홀(917)을 통해 프레서 수용홈(13)을 거친 뒤 수용공간(31)으로 이동한다.
프레서(9)에 의해 고정된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이 공급되면 의류에 발생된 구김은 제거되고, 지지부(91)와 압축부(93)의 접합면에 위치된 의류의 주름(crease)은 도드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탈취나 구김 제거뿐만 아니라 의류에 설정된 주름(crease)을 형성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부(91)와 압축부(93)의 접합면에 위치된 의류의 주름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압축부(93)에는 압축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판은 바디(931)에 고정되되 의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압축판(938) 및 제2압축판(93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압축판(938)의 가장자리는 제1지지판(911)의 가장자리와 나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압축판(939)의 가장자리는 제2지지판(913)의 가장자리와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부(91)에 거치된 의류의 위치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프레서(9)에는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95)는 바(bar)나 판(board)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판(951), 상기 고정판(951)을 도어(11)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판힌지(953)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91)의 상부에 제2의류지지바(53)가 구비될 경우, 상기 고정부(95)는 상기 지지부(91)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5 (a)는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서(9)는 압축부(93)에 탄성부재(919)가 구비되었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서(9) 역시 프세서 수용홈(13)에 구비된 지지부(91), 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부(91)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부(9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91)는 프레서 수용홈(13) 내부에 서로 소정거리(S)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지지판(911) 및 제2지지판(913)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압축부(93)는 도어(11)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931),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935), 바디 관통홀(935)에 고정되는 메쉬(93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93)는 제1탄성체(9151)에 의해 바디(931)에 지지되는 제1압축판(938), 제2탄성체(9153)에 의해 바디(931)에 지지되는 제2압축판(938)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메쉬(937)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나 열풍이 지지부(91)를 행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압축판(938)과 제2압축판(939)에는 각 압축판을 관통하는 관통홀(9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 (b)에 도시된 프레서(9)는 도 5 (a)에 도시된 프레서(9)와 기본 구조는 동일하나 제1압축판(938)과 제2압축판(939)은 링크를 통해 바디(931)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즉, 제1압축판(938)은 제1링크(9155)를 통해 바디(931)에 연결되고, 제2압축판(939)은 제2링크(9157)를 통해 바디(931)에 연결된다.
다만, 바디(931)가 지지부(91)에서 분리된 때 각 링크(9155, 9157)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각 링크(9155, 9157)와 압축판(938, 939)의 연결위치, 각 링크(9155, 9157)와 바디(931)의 연결위치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링크(9155, 9157)를 통해 각 압축판(938, 939)을 바디(931)에 연결시키는 것은 바디(931)가 지지부(91)를 향해 회전할 때 압축판(938, 939)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이나 5 (a)에 도시된 실시예는 바디(931)가 지지판(911, 91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각 압축판(938, 939)이 도어(11)의 너비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고, 각 압축판(938, 939)이 도어의 너비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 의류에 불필요한 구김이나 주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5 (b)에 도시된 프레서(9)는 바디(931)가 지지판(911, 913)에 결합될 때 각 압축판(938, 939)이 바디(931)의 표면을 향해서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압축판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링크(9155, 9157)는 각 압축판(938, 939)과 바디(931) 사이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각 압축판(938, 939)과 바디(931)를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 도어: 11
프레서 수용홈: 13 의류수용부: 3 수용공간: 31
공기배출부: 35 공기흡입부: 36 수분배출부:37
제1의류지지바: 51 제2의류지지바: 53 기계실: 7
공기공급부: 71 순환덕트: 711 열교환부: 713
블로워: 715 수분공급부: 72 저장부: 721
연결관: 723 히터: 725 수분공급관: 727
기계실도어: 74 급수탱크: 743 배수탱크: 745
프레서: 9 지지부: 91 제1지지판: 911
제2지지판: 913 제1탄성체: 9151 제2탄성체: 9153
관통홀: 917 압축부: 93 바디: 931
바디힌지: 933 바디 관통홀: 935 메쉬: 937
제1압축판: 938 제2압축판: 939 고정부: 95
돌출부: 971 수용홈: 973

Claims (15)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서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와 함께 의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고정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될 때 의류의 움직임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의류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고정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의류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도어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 중 상기 탄성부재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공간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면, 상기 이격공간 중 상기 탄성부재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공간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고정면에 위치하여 의류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판; 및
    상기 지지부의 고정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1지지판과 이격되어 의류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판을 상기 지지부의 고정면에 연결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지지판을 상기 지지부의 고정면에 연결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 각각은 상기 도어의 너비 방향 또는 의류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제1지지판의 너비 방향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2지지판의 너비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은 각각 상기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의 사이에는 의류의 봉제선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프레서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서는 상기 프레서 수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프레서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18934A 2020-09-16 2020-09-16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34A KR20200110282A (ko) 2020-09-16 2020-09-16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5A KR102381164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4A KR102384526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34A KR20200110282A (ko) 2020-09-16 2020-09-16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52A Division KR102158701B1 (ko) 2020-02-20 2020-02-20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55A Division KR102381164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4A Division KR102384526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282A true KR20200110282A (ko) 2020-09-23

Family

ID=727083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934A KR20200110282A (ko) 2020-09-16 2020-09-16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5A KR102381164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4A KR102384526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55A KR102381164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00054A KR102384526B1 (ko) 2020-09-16 2021-07-2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0011028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961A (en) * 1996-06-26 1998-10-06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KR20010113436A (ko) * 2000-08-16 2001-12-28 김점화 스팀 다림 장치
KR20080078367A (ko) * 2007-02-23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110048344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20091799A (ko) *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59A (ko) 2021-08-04
KR102384526B1 (ko) 2022-04-08
KR102381164B1 (ko) 2022-04-01
KR20210096058A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9B1 (ko) 의류처리장치
JP7248748B2 (ja) 衣類処理装置
US2024030161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540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6460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3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4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118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77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96406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