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728A -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5728A KR20220145728A KR1020210090703A KR20210090703A KR20220145728A KR 20220145728 A KR20220145728 A KR 20220145728A KR 1020210090703 A KR1020210090703 A KR 1020210090703A KR 20210090703 A KR20210090703 A KR 20210090703A KR 20220145728 A KR20220145728 A KR 202201457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mode
- air
- damper
- conden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6 ster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과,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를 수용하는 기계실과, 상기 관리실과 상기 기계실을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성되는 송풍팬과,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개폐하는 제1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관리기는 신발을 건조시키거나 깨끗하게 하고, 신발의 냄새를 제거하는 등 신발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신발관리기는 내부에 증발기, 응축기 및 압축기 등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가질 수 있다. 건조 및/또는 냉각 행정에서 관리실 내의 공기는 관리실 외부로 유출되어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냉각 및 제습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및 제습된 공기는 다시 관리실로 돌아가게 된다. 다시 말해, 공기는 관리실 및 기계실을 거치는 유로를 순환하게 된다.
밀폐 순환 방식의 경우, 공기가 신발관리기 내부를 계속 순환하면서 가열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열 축적이 발생하고 관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 및 제습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속적인 열 축적을 방지하여 관리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 및 제습되는 히트펌프 사이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히트펌프 사이클의 효율이 증가된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냉각 및 제습시킬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의 수요에 맞게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과,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를 수용하는 기계실과, 상기 관리실과 상기 기계실을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성되는 송풍팬과,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와,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개폐하는 제1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외부와 상기 기계실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벽에 마련되는 연통홀과, 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로 흐르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기계실로 흐르는 유출구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 또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3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유로 상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의 작동 및 상기 제4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순환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4댐퍼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순환유로가 폐쇄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4댐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댐퍼의 작동 및 상기 제4댐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댐퍼 및 상기 제3댐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펌프 장치의 응축기를 거친 공기가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하이고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히트펌프 사이클의 효율이 증가되므로, 공기를 원활하게 냉각 및 제습시킬 수 있는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신발관리기의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제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히트 펌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 별 댐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 별 댐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의 도어(20)가 설치된 방향은 전방으로 정의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23)에 의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면의 길이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측면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 전면의 길이(L1)가 본체(10) 측면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현관에도 신발 관리기(1)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본체(10) 전면의 길이는 제1 길이(L1), 본체(10) 측면의 길이는 제2 길이(L2)로 정의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 및/또는 상면에 마련되는 컨트롤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관리기(1)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신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신발에 적절한 관리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관리기(1)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22)은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걸이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관리실(30)의 내부를 마주보는 도어(2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거치대(50)의 손잡이(55)를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걸이부재(21)에 의해 거치대(50)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체(10)는 외부 케이스(11) 및 외부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관리실(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케이스(12)는 관리실(30)를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의 내부에는 신발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50)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는 케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관리실(30)는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는 내부 케이스(12)의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은 관리실(30) 내에 수용되어 관리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의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은 내부 케이스(12)의 상벽(12a), 하벽(12b), 좌측벽(12c), 우측벽(12d) 및 후벽(12e)이 될 수 있다.
관리실(30)에는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이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은 내부케이스(12)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거치대(50)는 신발 관리기(1)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신발의 측면이 보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 측면의 길이가 본체(10) 전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의 위치는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50)는 신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50)는 관리실(30)에서 분리 가능하다. 즉, 거치대(50)는 관리실(30)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80)과 결합될 수 있고, 장착 레일(80)과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거치대(50)는 제2방향(Y)을 따라서 장착 레일(80)에 삽입될 수 있다. 거치대(50)가 분리 가능하므로, 신발의 크기에 따라 관리실(30) 내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는 공기 유출구(31) 및 공기 유입구(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내부 케이스(12)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유출구(31)는 관리실(30)의 좌측면(12c)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덕트(100)를 지난 공기가 관리실 내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말해, 덕트(100) 내에서 증발기(42)에 의해 냉각 제습된 공기는 응축기(43)로 흐르고, 응축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기 유출구(31)를 통해 관리실(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내부케이스(1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60)는 내부케이스(12)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유입구(60)는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30) 내 공기는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덕트(10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중앙 홀(60a)과 복수의 사이드 홀을 포함하는 그릴(60b)로 구성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기계실(32), 응축기(43), 압축기(41), 증발기(42) 및 연통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32)은 관리실(3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실(32)은 관리실(30)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2)의 내부에는 덕트(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기계실(32)에는 압축기(41), 팽창기(44), 증발기(42) 및 응축기(43)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32)은 압축기(41), 팽창기(44), 증발기(42) 및 응축기(43)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실(30) 내부 또는 기계실(32) 내에는 살균 장치(49)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살균 장치(49)가 관리실(30)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기계실(32) 내부의 공기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의 외부 공기와 연통될 수 있다. 연통홀(33)은 기계실(32)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연통홀(33)은 본체(10)의 후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홀(33)은 외부 캐비닛(11)의 후벽(11e)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통홀(33)은 기계실(32)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캐비닛(11)의 측벽(11c, 11d)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덕트(100)는 관리실(3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100)는 관리실(30)의 아래, 좌측벽(12c) 및/또는 우측벽(12d)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100)는 기계실(3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100)는 기계실(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100) 내에는 증발기(42), 응축기(43), 탈취 장치(45), 덕트(100), 송풍팬(47), 제1 온도 센서(110) 및 제2 온도 센서(120)가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44, 후술함)는 히트 펌프 장치(40)로 정의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의 냉매배관(40a, 후술함)을 통해 냉매는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를 흐를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관리실(30)를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관리실(30)에서 유출된 공기를 제습 시킨 뒤, 응축기(43)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관리실(3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덕트(100)는 관리실(30) 아래에 위치하는 제1덕트(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01)는 하부 덕트(101)로 지칭될 수도 있다. 덕트(100)는 관리실(30)의 공기 유입구(60)와 연결되고 공기 유입구(6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팬(47)까지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덕트(100)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좌측벽(12c) 및/또는 우측벽(12d)에 마련되는 제2덕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101)는 본체(10)의 측벽에 마련되는 제2 덕트(1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102)는 측면 덕트(102)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덕트(102)는 신발 관리기(1)의 제2 방향(Y)으로 내부 케이스(12)의 측벽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덕트(102)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출구(31)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1 덕트(1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102)는 공기를 공기 유출구(31)로 안내하는 배기유로(10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덕트(101) 내에는 증발기(42)와 응축기(43)가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42), 응축기(43) 및 송풍팬(47)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증발기(42)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43)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47)은 히트 펌프 장치(40)와 관리실(3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송풍팬(47)은 미리 정해진 RPM(Rotate per minute)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47)은 제1 덕트(101)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제2 덕트(102) 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제1 덕트(101)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 펌프 장치(40)의 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건조되고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제2 덕트(102)와 공기 유출구(31)를 통해 관리실(30)로 다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덕트(101) 내에는 탈취 장치(45)가 배치될 수 있다. 탈취 장치(45)는 탈취 필터(45a)와 UV LED(45b)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필터(45a)와 UV LED(45b)는 관리실(30)의 공기 유입구(6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UV LED(45b)는 탈취 필터(45a)에 광을 조사하여 공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취 필터(45a)는 세라믹 필터, 광촉매 필터 또는 활성탄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 내부나 제1 덕트(101) 내에는 살균 장치(4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장치(49)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살균 장치(49)는 자외선 램프, 자외선 LED, 제논 램프, 오존 발생기 또는 살균제 스프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48)은 본체(10)의 하부, 즉 기계실(3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48)은 증발기(42)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실(30)에서 유출된 공기는 덕트(100) 내에 마련되는 증발기(42)에서 냉각 제습될 수 있고, 냉각 제습시에 발생한 응축수는 배수통(48)에서 집수될 수 있다. 배수통(48)은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배수통(48)은 집수통(48)으로 지칭될 수 있다.
관리실(3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90)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90)에는 신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반(90)은 덕트 선반(91)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선반(91)은 내부에 덕트유로(91b)를 형성할 수 있고, 하면에 형성되는 하면 홀(9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102)를 통해 송풍팬(47)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덕트 선반(91)의 하면 홀(91a)을 통해 관리실(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덕트 선반(91)의 상면에도 상면 홀(93)이 마련될 수 있다.
덕트 선반(91)의 측면은 제2 덕트(102) 내에 배치되는 원형 덕트(92)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원형 덕트(92)의 노즐(92a)을 통해 관리실(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는 원형 덕트(92)를 지난 후 덕트 선반(9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형 덕트(9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110)는 응축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제1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온도 센서(110)는 응축기(43)의 하류에 배치되어, 응축기(43)를 흘러 나온 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 제1 온도 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1 온도로 정의된다. 제1 온도 센서(110)는 응축기(43)와 송풍팬(47) 사이의 유로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온도 센서(11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 관리기(1)의 제어부(200)는 제1 온도 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120)는 관리실(30)의 공기 유입구(60)에서 공기의 온도 및/또는 증발기(42)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온도 센서(120)는 증발기(42)의 상류에 배치되어, 증발기(42)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120)는 공기 유입구(60)와 탈취 필터(45a) 사이 또는 탈취 필터(45a)와 증발기(42) 사이의 유로에 마련된 수 있다. 이하 제2 온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2 온도로 정의된다. 신발 관리기(1)의 제어부(200)는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시작 시 제2 온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제2 온도에 기초하여 외기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발관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신발관리기(1)에서 관리실(30)과 기계실(32)을 흐르는 순환유로와, 덕트(100)의 내부 유로(100a)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는 공기가 관리실(30)과 기계실(32)을 순환하는 순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 내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47)을 포함 할 수 있다.
순환유로는 제1순환유로와 제2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로는 급기유로(103), 배기유로(104) 및 제1유로(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유로는 급기유로(103), 배기유로(104) 및 제2유로(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발관리기는 관리실(30)의 일측에 마련되는 덕트(100)와 내부 유로(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는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01)는 관리실(30)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02)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측벽(12c, 12d)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는 공기가 연통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덕트(101)와 제2덕트(102)는 각각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덕트(100) 내에는 유로(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42), 응축기(43), 송풍팬(47)은 유로(10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100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100a)는 급기유로(103), 배기유로(104), 제1유로(105), 제2유로(106) 및 제3유로(109)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유로(103)는 관리실(30) 내의 공기가 덕트(100) 내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기유로(103)는 공기 유입구(6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증발기(42)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급기유로(103)는 공기 유입구(60)로부터 증발기(42)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5)는 공기 유입구(60)에서 증발기(42)의 상류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증발기(42)는 급기유로(103)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제1덕트(1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증발기(42)를 지난 공기가 응축기(43)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증발기(42)에서 송풍팬(47)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5)는 증발기(42)의 하류에서 송풍팬(47)의 상류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증발기(42)와 송풍팬(47)이 제1유로(105)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유로(105) 내부에는 응축기(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로(105)는 응축기 유로(105) 또는 메인 유로(10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42)를 지난 저온저습의 공기는 응축기(43)를 지나 고온저습의 공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105)에는 제1온도 센서(1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온도 센서(11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유로(106)는 제1덕트(1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제1유로(105)와의 사이에서 격벽(107)을 두고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제2유로(106)의 적어도 일부는 제1유로(105)와 중첩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증발기(42)를 지난 공기가 응축기(43)를 바이패스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후술하는 제2모드에서 증발기(42)를 통과한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유로(106)는 바이패스 유로(106)가 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06)로 인해 덕트(100) 내에서 증발기(42)를 지난 공기는 응축기(43)를 지나지 않을 수 있고, 열축적이 일어난 관리실(30) 및 주변 구성들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42)의 제습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3유로(109)는 제1덕트(10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유로(109)는 기계실(32) 측으로 돌출되는 제3유로 형성부(10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유로(109)는 기계실(32) 내부의 공기가 응축기(43)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3유로(109)는 후술하는 제2모드에서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도록 할 수 있다. 제3유로(109)의 적어도 일부는 제1유로(105)와 중첩될 수 있다. 제3유로(109)로 인해 기계실(32) 내의 공기는 응축기(43)와 열교환 할 수 있고, 가열된 기계실(32) 내 공기는 본체의 후벽에 마련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거나 열교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관리기(1) 내의 열이 신발관리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덕트(1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의 일부분은 제2덕트(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덕트(100) 내의 공기가 신발(2)이 수용되는 관리실(30)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공기 유출구(31)와 연결되어 송풍팬(47)을 통과한 공기가 관리실(30)로 공기가 흐로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1)는 관리실(3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측벽(12c, 12d)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04)는 송풍팬(47)으로부터 공기 유출구(31)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5)는 송풍팬(47)의 하류에서 공기 유출구(31)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팬(47)은 배기유로(104)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유로(100a)를 개폐하도록 댐퍼(105a, 105b, 106a 109c, 109d)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05a, 105b, 106a 109c, 109d)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댐퍼(105a, 105b, 106a 109c, 109d)는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제3댐퍼(109d), 제4댐퍼(105a) 및 제 5댐퍼(10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106a)는 바이패스 유로(106)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바이패스 유로(10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댐퍼(106a)는 바이패스 유로(106)를 개폐시킬 수 있다. 다만, 제1댐퍼(106a)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이패스 유로(106)를 개폐시킬 수 있다면 바이패스 유로(106)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는 제3유로(109)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3유로(109)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댐퍼(109c)는 제3유로의 유입구(109a)를 개폐할 수 있고, 제3댐퍼(109d)는 제3유로의 유출구(109b)를 개폐할 수 있다. 제2댐퍼(109c) 및/또는 제3댐퍼(109d)는 제1모드 및/또는 정상모드에서는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지 않도록 제3유로(109)를 폐쇄시키고, 제2모드에서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를 지나도록 제3유로(109)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3유로(109)로 인해 기계실(32) 내의 공기는 응축기(43)와 열교환 할 수 있고, 가열된 기계실(32) 내 공기는 본체의 후벽에 마련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거나 열교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관리기(1) 내의 열이 신발관리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는 제1유로(105)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1유로(105)를 개폐할 수 있다. 제4댐퍼(105a)는 제1유로(105) 내에서 응축기(43)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댐퍼(105a)는 증발기(42)의 하류 및 응축기(43)의 상류에 배치되어 증발기(42)를 지나 응축기(43)로 흐르는 제1유로(105) 내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5댐퍼(105b)는 제1유로(105) 내에서 응축기(43)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댐퍼(105b)는 응축기(43)의 하류 및 송풍팬(47)의 상류에 배치되어 응축기(43)를 지난 송풍팬(47)으로 흐르는 제1유로(105) 내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4댐퍼(105a) 및/또는 제5댐퍼(105b)는 제1모드 및/또는 정상모드에서는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관리실(30)에서 급기유로(103)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42)로 흐르도록 제1유로(10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4댐퍼(105a) 및/또는 제5댐퍼(105b)는 제2모드에서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관리실(30)에서 급기유로(103)로 유입된 공기가 응축기(42)로 흐르지 않도록 제1유로(105)를 폐쇄시키고, 기계실(32)의 공기가 제3유로의 유입구(109a)에서 응축기(42)를 흐른뒤 제3유로 유출구(109b)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3유로(109)로 인해 기계실(32) 내의 공기는 응축기(43)와 열교환 할 수 있고, 가열된 기계실(32) 내 공기는 본체의 후벽에 마련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신발관리기(1)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거나 열교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관리기(1) 내의 열이 신발관리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기계실(32)은 관리실(30)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2) 내에는 히트 펌프 장치(40)를 구성하는 냉매배관(40a), 압축기(41) 및 팽창기(4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신발관리기는 제3온도 센서(130) 및 제4온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온도 센서(130) 및 제4온도 센서(140)는 냉매배관(40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온도 센서(130)는 팽창기(44)를 지나 증발기(4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4 온도 센서(140)는 압축기(41)를 지나 응축기(43)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신발관리기는 본체(10)의 외부와 본체(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33)은 본체(10)의 외부의 공기가 기계실(32)로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본체(10)의 일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연통홀(33)은 외부 캐비닛(11)의 우측벽(11d) 및/또는 후벽(11e)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연통홀(33)이 우측벽(11d)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되었으나, 연통홀(33)의 형성한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관리기는 응축기 냉각팬(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 냉각팬(34)은 제3유로(109) 내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 냉각팬(34)은 기계실(32) 내의 공기가 응축기(43)로 흐른 후 다시 기계실(32)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응축기 냉각팬(34)은 기계실(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 냉각팬(34)은 제3유로 유출구(109b)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응축기 냉각팬(34)은 제3유로 유입구(109a)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22), 히트 펌프 장치(40), 센서부(150), 제어부(200) 및 댐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22)은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명령(이하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44)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동작 정보(예: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히트 펌프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신발관리기(1)의 각 위치(예: 덕트(100) 내부)에서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50)는 제1 온도 센서(110), 제2 온도 센서(120), 제3 온도 센서(130) 및 제4 온도 센서(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신발관리기(1)의 각 위치에서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댐퍼부(300)는 덕트(100)에 마련된 복수의 유로(예: 제1유로(105), 제2유로(106), 제3유로(109))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댐퍼(예: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제3댐퍼(109d), 제4댐퍼(105a), 제5댐퍼(105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댐퍼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댐퍼(예: 제1댐퍼(106a))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신발관리기(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신발관리기(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히트 펌프 장치(40), 댐퍼부(300), 송풍팬(47), 탈취장치(45), 응축기 냉각팬(34)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부(150), 컨트롤 패널(22)))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인 프로세서 (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히트 펌프 장치 제어용 프로세서, 댐퍼부 제어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가 메인 프로세서 및 보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신발관리기(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10) 또는 센서부(15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때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 별 댐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신발관리기(1)의 각종 구성(예: 댐퍼부(300), 히트 펌프 장치(40))을 제어할 수 있다(10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댐퍼부(300)(예: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제3댐퍼(109d), 제4댐퍼(105a), 제5댐퍼(105b))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는, 관리실(30)에 수용된 신발(2)을 응축기(43)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로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는, 관리실(30)에 수용된 신발(2)을 응축기(43)를 통과하지 않은 비교적 저온의 공기로 냉각시키고, 히트 펌프 장치(40)(예: 응축기(43))를 냉각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 댐퍼를 폐쇄할 수 있다(11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를 개방할 수 있다(111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송풍팬(47)을 동작시키고, 응축기 냉각팬(3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가 폐쇄되고,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가 개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공기의 유동(f1)을 참조하면, 관리실(30)로부터 유입되어 증발기(42)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43)를 통과하여 다시 관리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응축기(43)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가 신발(2)에 제공되어 신발(2)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모드에서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 중 어느 하나의 댐퍼(예: 제1댐퍼(106a))만을 폐쇄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통홀(33)을 통해 본체(10) 외부의 공기와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기계실(32)로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 댐퍼(109d)를 개방할 수 있다(12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를 폐쇄할 수 있다(121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송풍팬(47)을 동작시키고, 응축기 냉각팬(34)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압축기(41)를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공기의 제1 유동(f2)을 참조하면,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가 개방되고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가 폐쇄되는 경우, 관리실(30)로부터 유입되어 증발기(42)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43)를 바이패스하여 제2유로(106)를 통해 다시 관리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공기의 제2 유동(f3)을 참조하면, 제1댐퍼(106a), 제2댐퍼(109c) 및 제3댐퍼(109d)가 개방되고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가 폐쇄되는 경우, 연통홀(33)을 통해 기계실(32)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구(109a)에서 제3유로(109)로 유입되고, 응축기(43)를 통과한 공기는 유출구(109b)를 통해 다시 기계실(32)로 유입될 수 있다. 유출구(109b)를 지나 다시 기계실(32)로 흐른 공기는 연통홀(33)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증발기(42)만을 통과한 공기를 관리실(30)로 순환시킴으로써 신발(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압축기(41)가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목표 온도가 유지되지 않고 온도가 상승할 경우 가열되지 않은 기계실(32)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응축기(43)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모드에서 제4댐퍼(105a) 및 제5댐퍼(105b)를 개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신발(2) 및 응축기(43)를 보다 낮은 효율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20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건조 코스를 선택한 후 시작한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댐퍼부(300) 및 히트 펌프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센서부(150)를 통해 획득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 코스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를 추종하도록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조절하거나 압축기(41)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건조 코스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를 추종하도록 퍼지(Fuzzy) 제어 방식을 통해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특별한 사정(예: 고온의 외기)에 의하여 압축기(41)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신발관리기(1)의 온도(예: 덕트(100) 내부의 온도 또는 관리실(30)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고온 다습한 공기로 인해 신발관리기(1)의 제습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히트 펌프 장치(40)의 고장이 야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와 덕트(10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압축기(41)의 동작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하이고(2100의 예), 덕트(10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2200의 예)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2300).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별한 사정(예: 고온의 외기)에 의하여 압축기(41)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 최소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신발관리기(1)의 온도(예: 덕트(100) 내부의 온도 또는 관리실(30)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응축기(43) 및 신발(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발관리기(1)의 동작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시킴으로써 관리실(3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저온 저습한 공기로 바꿀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22)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신발 관리 코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에 포함된 각종 버튼 및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신발 관리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발관리기(1)는 신발(2)을 건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건조 코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신발(2)을 건조시킨 후 냉각하기 위한 제1 코스, 신발(2)의 제습에 초점을 맞춘 제2 코스, 신발(2)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3 코스 등의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1 사용자 입력으로, 제2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2 사용자 입력으로, 제3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3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3000),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신발관리기(1)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신발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3100).
일실시예에서, 제1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신발(2)을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신발(2)을 냉각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신발(2)을 냉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신발(2)을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다는 점을 감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제2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제1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케어가 끝난 신발(2)을 바로 착용하는 경우, 보다 시원한 느낌을 받게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스는 사용자가 고온의 신발(2)을 착용하기 불쾌한 여름에 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제1모드와 제2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도록 신발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32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제1 기준 시간 동안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제2 기준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싸이클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시간 및 제2 기준 시간은 제습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는 경우, 제1 모드에서 관리실(30), 증발기(42) 및 응축기(43)를 통과하여 고온 다습해진 공기를 제2 모드에서 증발기(42)만 통과하게끔 하여 저습하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시 제1 모드에서 고온 저습한 공기를 신발(2)에 제공함으로써 신발(2)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제2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신발(2)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신발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3300).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신발관리기(1)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신발(2)을 냉각하기에 적절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신발관리기(1)가 제2 모드로만 동작하는 경우, 신발(2)에 저온의 공기만 제공할 수 있어서, 최적의 시간으로 신발(2)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관리기(1)는 사용자에게 제3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2)을 착용하는 경우 시원한 느낌을 받게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코스는 사용자가 고온의 신발(2)을 착용하기 불쾌한 여름에 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관리기(1)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코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신발관리기
10: 본체
32: 기계실
40: 히트 펌프 장치
41: 압축기
42: 증발기
43: 응축기
100: 덕트
100a: 내부유로
101: 제1덕트
102: 제2덕트
103: 급기유로
104: 배기유로
105: 제1유로
106: 제2유로
109: 제3유로
150: 센서부
200: 제어부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300: 댐퍼부
10: 본체
32: 기계실
40: 히트 펌프 장치
41: 압축기
42: 증발기
43: 응축기
100: 덕트
100a: 내부유로
101: 제1덕트
102: 제2덕트
103: 급기유로
104: 배기유로
105: 제1유로
106: 제2유로
109: 제3유로
150: 센서부
200: 제어부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300: 댐퍼부
Claims (15)
-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를 수용하는 기계실;
상기 관리실과 상기 기계실을 순환하는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성되는 송풍팬;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개폐하는 제1댐퍼;를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와 상기 기계실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벽에 마련되는 연통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로 흐르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기계실로 흐르는 유출구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 또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3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유로 상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댐퍼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의 작동 및 상기 제4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순환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4댐퍼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순환유로가 폐쇄될 때 상기 제2순환유로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4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발관리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댐퍼의 작동 및 상기 제4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발관리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댐퍼 및 상기 제3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발관리기. - 히트 펌프 장치의 응축기를 거친 공기가 신발을 수용하는 관리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한 공기가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1순환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관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고 상기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제2순환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의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 및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발관리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압축기의 동작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하이고 상기 관리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신발관리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로 번갈아 가며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발관리기를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것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상기 신발관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관리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13012 WO2022225110A1 (ko) | 2021-04-22 | 2021-09-24 |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CN202180085840.0A CN116648177A (zh) | 2021-04-22 | 2021-09-24 | 鞋管理设备及其控制方法 |
EP21938026.8A EP4238474A4 (en) | 2021-04-22 | 2021-09-24 | SHOE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7/560,677 US20220338711A1 (en) | 2021-04-22 | 2021-12-23 | Shoe ca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2577 | 2021-04-22 | ||
KR20210052577 | 2021-04-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5728A true KR20220145728A (ko) | 2022-10-31 |
Family
ID=8380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0703A KR20220145728A (ko) | 2021-04-22 | 2021-07-12 |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4572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91050A1 (ko) * | 2023-03-15 | 2024-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EP4335350A4 (en) * | 2021-07-29 | 2024-10-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HOE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2021
- 2021-07-12 KR KR1020210090703A patent/KR2022014572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35350A4 (en) * | 2021-07-29 | 2024-10-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HOE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4191050A1 (ko) * | 2023-03-15 | 2024-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14566B1 (en) |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146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20313061A1 (en) | Shoe care apparatus | |
US20090119848A1 (en) | Clothes treat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30117944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3034678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cent diffuser | |
KR20220145728A (ko) |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220034023A1 (en) |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67769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0782377B1 (ko) |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 |
KR20190141286A (ko) | 의류처리장치 | |
EP3964640A1 (en)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10149458A (ko) | 의류관리기 | |
KR20190139405A (ko) | 의류처리장치 | |
EP4238474A1 (en) | Shoe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240122442A1 (en) | Shoe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90386B1 (ko) | 드레스룸 환경조성장치 | |
KR102483851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JP4938536B2 (ja) | 空気調和機 | |
CN116648177A (zh) | 鞋管理设备及其控制方法 | |
KR20220163193A (ko)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07781907B (zh) | 室内机 | |
JP5348465B2 (ja) | 洗濯物乾燥庫付き洗面化粧台 | |
KR20210144277A (ko) | 의류관리기 | |
KR102412956B1 (ko) | 공기 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