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421B1 - 스마트 위생 신발장 - Google Patents

스마트 위생 신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421B1
KR101938421B1 KR1020170115660A KR20170115660A KR101938421B1 KR 101938421 B1 KR101938421 B1 KR 101938421B1 KR 1020170115660 A KR1020170115660 A KR 1020170115660A KR 20170115660 A KR20170115660 A KR 20170115660A KR 101938421 B1 KR101938421 B1 KR 10193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shoe
doo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케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케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케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1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2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함하도록 한 스마트 위생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장 내에서의 신발에 대한 살균, 건조 및 탈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신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신발 사용에 의해서, 무좀 등과 같은 발 질환의 유발 및 전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발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고, 신발장 내부의 청결 유지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신발 착용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 측에 설치된 위치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신발장의 효용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다양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를 통한 스마트홈 기능의 부여에 의해 편리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위생 신발장{Smart hygiene shoes box}
본 발명은 스마트 위생 신발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쾌적한 신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신발 사용에 의해, 무좀 등과 같은 발 질환의 유발 및 전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신발 착용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 측에 설치된 위치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신발장의 효용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자의 활동영역, 활동종류, 착용자의 발건강 상태 및 사용되는 기후 등의 조건에 따라 그 상태가 다르겠지만, 사용할수록 그 내부에 습기와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은 대개 신발장에 수납되는데, 신발장은 신발수납의 용도 외에 타 물품 보관에 국한된 수납장으로만 사용되어져 왔다. 그래서 신발장의 대부분이 신발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과 기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건조 및 살균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신발을 재착용했을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우천시 착용하여 젖은 신발의 건조를 위하여 별도의 그늘진 곳에서 자연 건조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건조에 많은 시간과 불편을 초래하고, 나아가서 신발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신발장에서 신발의 장기간 보관에 있어서, 신발장 내부의 습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세균의 번식과 원형의 변형을 막고, 탈취를 위하여 별도의 습기 방지제나 신문지, 녹차잎, 커피 가루 등을 신발장 내부에 함께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살균되지 않은 신발을 재착용함으로 인하여, 무좀 등의 세균성 발 질환의 발생 뿐만 아니라, 이의 치료에 오랜 시일이 걸리게 되는 것은 물론, 함께 사용하는 주변인들에게 무좀 등의 발 질환을 전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7086호의 "자외선 램프와 열풍기를 이용한 살균 건조 신발장"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자외선 램프와 열풍기를 이용한 살균 건조 신발장에 있어서 문을 여닫음을 감지하고 신발이 들어온 것을 근접센서, 습도센서, 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단계, 자외선램프와 열풍기를 이용해 살균소독하고 건조하는 단계, 신발장 내부의 온도와 습도상태를 일정수준으로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신발장 내에서의 살균 및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상기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사용에 대한 편리성과 효용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이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스마트홈의 구축을 위해서 24시간 가동되는 냉장고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홈 구축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냉장고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해킹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고, 고가의 스마트 냉장고로 교체해야 하는 비용적 부담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할 대안이 제시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장 내에서의 신발에 대한 살균, 건조 및 탈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신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신발 사용에 의해서, 무좀 등과 같은 발 질환의 유발 및 전염을 방지하며, 이러한 신발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고, 신발장 내부의 청결 유지력이 뛰어나고, 신발 착용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 측에 설치된 위치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신발장의 효용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실내의 다양한 제어대상기기의 원격 제어를 통한 스마트홈 기능의 부여에 의해 편리한 생활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자외선조사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하여, 제습 및 탈취를 마친 공기를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는 방출구를 통해 방출시키는 제습탈취부; 상기 본체의 정면에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단말기통신모듈; 상기 본체에 가전기기와의 IoT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IoT통신모듈;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자외선조사부 또는 상기 제습탈취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IoT 통신모듈에 의한 IoT 통신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이 원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투과성 재질의 미러 후측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정보나 콘텐츠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에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자외선조사부, 상기 제습탈취부 또는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음성인식부에 의해 추출되는 동작 명령에 상응하도록 상기 자외선조사부 또는 상기 제습탈취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IoT 통신모듈에 의한 IoT 통신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액자, 메모 또는 조명 명령에 상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정해진 또는 무작위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모를 남기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인테리어용 조명 역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를 통한 날씨 정보 요청시,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검색을 통해서 오늘자 날씨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날씨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신발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신발의 이미지에 대해서, 날씨조건에 따른 착용 여부를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통해서 수신받아 상기 신발의 이미지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날씨안내부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오늘자 날씨정보를 디스플레이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검색에 의해 상기 오늘자 날씨정보에 해당하는 날씨조건에서 착용 가능한 신발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에 대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옷에 대한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옷에 대한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를 매칭시켜서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의해 옷에 대한 신발 코디 가이드를 요청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코디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전방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제 1 설정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단말기에 회신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정해진 단말기로부터 제 2 설정시간 동안 회신용 메시지의 회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기관의 단말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제 3 설정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ㅅ수신시,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단말기에 침입 경보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 다수로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에 제 1 자외선조사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에 상기 제습탈취부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위해 제 1 흡입구와 제 1 방출구가 형성되는 선반형수용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살균거치대가 상하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제 2 자외선조사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습탈취부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위해 제 2 흡입구와 제 2 방출구가 형성되는 공간형수용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도어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항시 개방되는 개방형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선반형수용부의 전측에 폴딩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폴딩도어;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공간형수용부의 전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딩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상측과 하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 1 슬라이딩레일 사이에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다수개가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의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힌지결합부;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레일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슬라이더; 상기 제 1 분할도어 각각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제 1 분할도어가 전개시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슬라이딩레일 사이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제 1 분할도어가 전개시 상기 제 1 접합부에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도어는, 상기 본체에 일단이 제 3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닫힐 때,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각각에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3 접합부가 양측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수용부의 전측에 폴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폴딩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폴딩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상측과 하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2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 2 슬라이딩레일 사이에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다수개가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 상기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의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5 힌지결합부; 상기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4 힌지결합부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레일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슬라이더; 상기 제 2 분할도어 각각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제 2 분할도어가 전개시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4 접합부;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레일 사이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제 2 분할도어가 전개시 상기 제 4 접합부에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5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에 의하면, 신발장 내에서의 신발에 대한 살균, 건조 및 탈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신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신발 사용에 의해서, 무좀 등과 같은 발 질환의 유발 및 전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발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고, 신발장 내부의 청결 유지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신발 착용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 측에 설치된 위치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신발장의 효용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다양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를 통한 스마트홈 기능의 부여에 의해 편리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고, 침입 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고독사 및 장시간 외출 등의 상태를 확인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신발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개별소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클리닝툴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도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도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100)은 본체(110), 자외선조사부(121,122), 제습탈취부(130), 도어(170,180), 단말기통신모듈(230), IoT통신모듈(240), 마이컴(250), 입력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살균거치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부(111,112,113)가 마련되고, 대개 현관에 설치되며, 현관의 규격에 따라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고, 목재는 물론 합성수지나 스틸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수용부(111,112,113)는 본체(110)의 일측에 상하 다수로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에 제 1 자외선조사부(121)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에 제습탈취부(130)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위해 제 1 흡입구(131)와 제 1 방출구(135)가 각각 형성되는 선반형수용부(111)와, 본체(110)의 타측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살균거치대(140)가 상하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제 2 자외선조사부(122)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제습탈취부(130)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위해 제 2 흡입구(132)와 제 2 방출구(136)가 형성되는 공간형수용부(112)와, 본체(110)의 하부에 도어(170,180)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항시 개방되는 개방형수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 각각의 종류, 크기, 재질,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합한 수용부(111,112,113)에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1,132)가 제습탈취부(130)의 제습탈취기(134)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공기의 흡입통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방출구(135,136)가 제습탈취부(130)의 제습탈취기(134)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공기의 방출통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선반형수용부(111)가 선반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신발(1)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간을 제공하고자, 신발(1)을 적재하는 선반의 유기적 변경이 편리하도록 레일을 수직으로 다수로 설치하고, 레일 상에서 선반의 고정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선반형수용부(111) 각각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121,122)는 수용부(111,112)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예컨대 UV 램프나 UV LED 등을 비롯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양한 발광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조사부(121,122)는 선반형수용부(111) 각각에 설치되는 제 1 자외선조사부(121)와, 개방형수용부(113)에 설치되는 제 2 자외선조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필요로 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습탈취부(130)는 수용부(111,112)에 마련되는 흡입구(131,13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하여, 제습 및 탈취를 마친 공기를 수용부(111,112)에 마련되는 방출구(135,136)를 통해 방출시킨다. 제습탈취부(130)는 공기의 흡입을 위해 수용부(111,112)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1,132)와, 제 1 및 제 2 흡입구(131,132)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물론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이나 세균 등을 필터링하도록 본체(110)에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필터(133)와, 공기가 필터(133)를 통과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냄새 및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탈취기(134)와, 제습탈취기(134)에 의해 처리를 마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수용부(111,112)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방출구(135,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탈취기(134)는 탈취를 위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하거나, 음이온을 이용하여 냄새물질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탈취를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습탈취기(134)는 제습을 위하여, 일례로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경우, 다른 예로서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제습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습탈취기(134)의 제습으로 인해 수집되는 물은 별도의 저수탱크에 담겨지는데, 이러한 저수탱크는 공간형수용부(112) 내에 마련되는 커버(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습탈취기(134)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경우,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수단과, 제습수단에서 제습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습수단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거쳐 모세관(팽창튜브)을 통과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가 증발잠열을 흡수하여 냉각작용을 하는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습탈취기(134)는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탈취기(134)는 팬의 회전으로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져 제거되며, 제거된 습기가 모여 물방울로 맺히면 낙하하여, 내부의 저수탱크로 흘러 저장될 수 있다.
제습탈취기(134)는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히트펌프의 응축기에서 방열된 열에 의한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피건조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한 다습의 공기가 증발기의 증발작용에 의해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습된 공기는 다시 응축기의 통과중 응축기에서 방열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를 만들어 수용부(111,112) 내에 공급되게 하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처럼 히트펌프를 사용한 건조 방식의 경우, 건조시 신발(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저온건조와 제습과정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신발(1) 내부의 습기 제거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살균거치대(140)는 수용부, 예컨대 공간형수용부(112) 내에 신발의 거치를 위해 마련되고,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거치된 신발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도록 한다. 살균거치대(140)는 신발을 살균하면서 거치 가능하도록 다양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일례로서 수용부, 예컨대 공간형수용부(112) 내의 수직면에 끝단이 볼트나 스크루 또는 걸림구조 등에 의해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몸체(141)와, 거치몸체(141)의 끝단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제 3 자외선조사부(142)와, 거치몸체(141)에 제습탈취부(130)에 의해 공기가 흡입 및 방출되도록 각각 다수로 형성되는 제 3 흡입구(143)와 제 3 방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몸체(141)는 제 3 흡입구(143)가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 3 방출구(144)가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제 3 방출구(144)를 통해서 신발(1)의 내측 깊숙이 방출되는 청정한 공기가 신발(1) 내부를 감싸면서 외부로 배출시 제 3 흡입구(143)에 의해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흡입구(143)와 제 3 방출구(144) 각각에 연결되는 중공통로는 거치몸체(141)의 내측에 서로 격리되도록 형성되고, 공간형수용부(112)의 수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공기의 흡입통로 및 공기의 방출통로에 의해 제습탈취부(130)의 제습탈취기(134)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통로 및 공기의 방출통로에 제 3 흡입구(143)와 제 3 방출구(144)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제습탈취기(134)에 의한 제습 및 탈취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신발(1) 내 또는 그 주변의 오염되거나 비위생적인 공기가 제습탈취기(134)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선반형수용부(111) 각각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소켓(115)이 마련되고, 전원소켓(115)에 살균삽입모듈(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체(110)는 외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전원소켓(115) 각각으로 분기되도록 매설되는 분기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분배하도록 하는 전원분배기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삽입모듈(150)은 선반형수용부(111)에 놓여진 신발(1)에 삽입되고, 신축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스폰지 또는 신축성이나 다공성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살균몸체(151)와, 살균몸체(151) 각각으로부터 인출되고, 끝단에 마련되는 전원플러그(153)에 의해 전원소켓(1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케이블(152)과, 살균몸체(151) 각각의 끝단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제 4 자외선조사부(154)와, 살균몸체(151) 각각의 둘레를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제 5 자외선조사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몸체(151)는 수축에 의해 신발(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원력에 의해 신발(1) 내부를 가압하여 신발(1)의 원형 유지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살균몸체(151)는 전원케이블(15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 4 및 제 5 자외선조사부(154,155)에 각각 분배 공급하기 위한 도선이나 케이블이 내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전원케이블(152)의 전원을 제 4 및 제 5 자외선조사부(154,155)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압하여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 등이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케이블(152)은 일단이 양단으로 분기되어 살균몸체(151)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4 및 제 5 자외선조사부(154,155)는 UV 램프나 UV LED를 비롯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양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로서 역할과 함께, 동작을 위한 드라이버로서의 역할을 위한 PCB와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 4 자외선조사부(154)는 살균몸체(151)의 끝단에 마련됨으로써, 신발(1) 깊숙이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살균 효율이 뛰어나도록 하며, 제 5 자외선조사부(155)는 UV LED가 다수로 배열되는 띠 또는 링 형태의 FPCB를 포함으로써, 전방위에 걸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몸체(151)가 신발(1) 내에 어떠한 자세나 각도로 삽입되더라도 신발(1) 내에 자외선이 안정적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진공 청소를 가능하도록 하는 클리닝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클리닝부(160)는 본체(110)에 외기를 흡입하여 필터(162)에 의해 필터링하여 배출시키는 흡입모듈(161)과,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고, 흡입모듈(161)을 통해 흡입력을 전달받아 수용부(111,112,113)나 그 주변에 대한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하는 클리닝툴(163)과, 클리닝툴(163)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마련되는 흡입플러그(165)에 의해 수용부, 예컨대 공간형수용부(112)에 흡입모듈(161)을 통해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소켓(1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클리닝툴(163)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라인(164)을 포함한다. 클리닝툴(163)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간형수용부(112)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부(117)에 끼워지도록 하여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흡입소켓(116)으로부터 흡입모듈(161)까지 흡입공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모듈(161)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진공펌프 또는 흡입펌프 등을 포함하고 있다. 클리닝툴(163)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진공 청소를 원하는 부분에 위치시킴으로써 흙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한다.
본체(110)는 수용부. 예컨대 공간형수용부(112) 내에 커버(114)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공간 내에 제습탈취부(130)의 필터(133)와 클리닝부(160)의 필터(162)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133,162) 각각은 단일로 이루어지거나,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공간에 올인원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그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필터(133,162)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항균필터, 탈취필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 및 구조의 필터가 단일 또는 다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어(170,180)는 본체(110)의 정면에 수용부(111,112)를 개폐시키도록 마련된다. 도어(170,18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본체(110)에서 선반형수용부(111)의 전측에 폴딩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폴딩도어(170)와, 본체(110)에서 공간형수용부(112)의 전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도어(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폴딩도어(170)는 본체(110)의 전측에서 상측과 하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레일(171)과, 제 1 슬라이딩레일(171) 사이에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다수개가 제 1 힌지결합부(173)에 의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172)와, 제 1 힌지결합부(173)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172)의 일단이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힌지결합부(174)와, 제 1 힌지결합부(173)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172)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제 1 힌지결합부(173)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제 1 슬라이딩레일(171)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슬라이더(175)와, 제 1 분할도어(172) 각각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다수의 제 1 분할도어(172)가 전개시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1 접합부(177)와, 제 1 슬라이딩레일(171) 사이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다수의 제 1 분할도어(172)가 전개시 제 1 접합부(177)에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2 접합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힌지결합부(173)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172)의 타단 측에는 손잡이(176)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접합부(177) 간에 마주 보는 측과, 제 1 및 제 2 접합부(177,178) 간에 마주 보는 측에는 필요에 따라 기밀을 위한 기밀유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 1 슬라이더(175)는 제 1 슬라이딩레일(171)에 수직방향 이탈이 억제된 상태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힌지도어(180)는 본체(110)에 제 3 힌지결합부(181)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닫힐 때, 제 1 접합부(177)와 제 2 접합부(178) 각각에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3 접합부(183)가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며, 일측에 손잡이(182)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3 접합부(177,183) 간에 마주 보는 측과, 제 2 및 제 3 접합부(178,183) 간에 마주 보는 측에는 필요에 따라 기밀을 위한 기밀유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예로서, 도어는 본체(110)에서 수용부(111,112), 즉 선반형수용부(111)와 공간형수용부(112)의 전측에 폴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폴딩도어(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폴딩도어(190)는 본체(110)의 전측에서 상측과 하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2 슬라이딩레일(191)과, 제 2 슬라이딩레일(191) 사이에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다수개가 제 4 힌지결합부(193)에 의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192)와, 제 4 힌지결합부(193)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192)의 일단이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5 힌지결합부(194)와, 제 4 힌지결합부(193)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192)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제 4 힌지결합부(193)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제 2 슬라이딩레일(191)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슬라이더(195)와, 제 2 분할도어(192) 각각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다수의 제 2 분할도어(192)가 전개시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4 접합부(197)와, 제 2 슬라이딩레일(191) 사이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다수의 제 2 분할도어(192)가 전개시 제 4 접합부(197)에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5 접합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접합부(197) 간에 마주 보는 측과, 제 4 및 제 5 접합부(197,198) 간에 마주 보는 측에는 필요에 따라 기밀을 위한 기밀유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 2 슬라이더(195)는 제 2 슬라이딩레일(191)에 수직방향 이탈이 억제된 상태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어(170,180,190)는 디스플레이부(220) 등과 같이 자신에게 설치된 장치에 연결되는 전원라인 또는 신호라인 등이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이러한 장치가 신호라인 또는 전원라인을 통해서 본체(110) 측의 마이컴(250), 전원공급부(320) 등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통신모듈(230)은 본체(110)에 단말기(2)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단말기통신모듈(230)은 단말기(2)가 무선통신에 의해 음성을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위해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는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로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하여 음성의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하며,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IoT용 가전기기(3)의 선택 및 필요한 제어신호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전기기(3)는 각종 조명, TV, 세탁기, 밥솥 등의 각종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가스렌지나 난방기구, 전력제어기, 각종 센서 또는 도어락 등을 비롯하여,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IoT용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IoT통신모듈(240)은 상기 본체(110)에 가전기기(3)와의 IoT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IoT통신모듈(240)은 IoT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등과 같은 IoT 기기와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마이컴(250)은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자외선조사부(121,122) 또는 상기 제습탈취부(130)를 제어하거나, 상기 IoT통신모듈(240)에 의한 IoT 통신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3)를 제어한다. 마이컴(250)은 단말기통신모듈(230)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2)에 IoT통신모듈(240)을 통해 연결된 가전기기(3)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단말기(2)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가전기기(3)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부(210)는 마이컴(250)이 원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별도의 키보드, 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거나,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220)의 기능을 가지는 터치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컴(250)은 입력부(21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5 자외선조사부(121,122,142,154,155)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1 내지 제 5 자외선조사부(121,122,142,154,155)는 전원공급의 온(on)/오프(off)에 따라 동작 및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도어, 예컨대 힌지도어(180)의 전면에 마련되는 투과성 재질의 미러 후측에 마련됨으로써, 마이컴(250)의 제어에 의해 정보나 콘텐츠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100)은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60)와,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도어(170,180) 전면에 마련되는 카메라(290)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 분배 및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폰(330)과, 마이크로폰(330)에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자외선조사부(121,122), 상기 제습탈취부(130) 또는 상기 가전기기(3)에 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음성인식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음성인식부(340)는 본체(110) 내에 마련될 수 있고, 마이크로폰(330)에 입력된 오디오로부터 음성을 추출하여 음성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다양한 방식의 음성 인식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마이크로폰(330)에 의해 음성을 입력받아 음가마다 고유한 특성을 추출하여, 발성문법과 음향모델에 의해 디코딩을 수행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언어적인 특성과 발성 시점의 명확성을 고려하여 후처리를 수행한 인식 결과를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마이컴(250)은 상기 음성인식부(340)에 의해 추출되는 동작 명령에 상응하도록 상기 자외선조사부(121,122) 또는 상기 제습탈취부(130)를 제어하거나, 상기 IoT통신모듈(240)에 의한 IoT 통신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2)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210)에 입력된 액자, 메모 또는 조명 명령에 상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서 정해진 또는 무작위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메모를 남기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20)가 인테리어용 조명 역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상기 입력부(210)를 통한 날씨 정보 요청시,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검색을 통해서 오늘자 날씨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날씨안내부(270)가 마련될 수 있다. 날씨안내부(270)는 단말기통신모듈(230)에 의한 웹검색으로 오픈 API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기법의 웹검색 및 데이터 추출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마이컴(250)은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는 카메라(290)로부터 제공되는 신발(1)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신발(1)의 이미지에 대해서, 날씨조건에 따른 착용 여부를 상기 입력부(210)의 입력신호를 통해서 수신받아 상기 신발(1)의 이미지와 함께 메모리부(260)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날씨안내부(270)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상기 오늘자 날씨정보를 디스플레이시, 상기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정보 검색에 의해 상기 오늘자 날씨정보에 해당하는 날씨조건에서 착용 가능한 신발(1)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20)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날씨조건에 따른 착용 여부는 예컨대, 맑음, 흐림, 무더위, 강우, 한파, 강설 등과 같은 날씨조건에서 착용할 수 있는지를 체코하게 된다.
마이컴(250)은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는 카메라(290)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에 대해서,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는 카메라(29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옷에 대한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옷에 대한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를 매칭시켜서 메모리부(2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코디가이드부(280)는 입력부(210)의 입력에 의해 옷에 대한 신발 코디 가이드를 요청시,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는 카메라(290)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26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마이컴(250)은 이미지의 데이터화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이미지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70,180)에는 전방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센서(3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250)은 상기 동작감지센서(310)로부터 제 1 설정시간, 예컨대 6~12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서 정해진 단말기(2)에 회신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정해진 단말기(2)로부터 제 2 설정시간, 예컨대 0.5~3시간 동안 회신용 메시지의 회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서 정해진 기관, 예컨대, 의료기관, 행정기관,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의 단말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감지센서(310)로부터 제 3 설정시간, 예컨대 0.5시간~10일 동안 감지신호를 수신시, 상기 단말기통신모듈(230)을 통해서 정해진 단말기,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2)에 침입 경보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회신용 메시지는 사용자가 회신을 선택하여 클릭시, 정해진 메시지를 마이컴(250)에 전송함으로써, 마이컴(250)이 사용자에게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게 되는 반면, 이러한 회신용 메시지를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기관의 단말기에 이를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1)의 종류는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보관 방법 또한 다양한데, 이러한 다양성을 가지는 신발(1)의 수용에 적합한 공간의 다양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제 1 내지 제 5 자외선조사부(121,122,142,154,155)에 의해서, 신발(1) 깊숙한 곳까지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신발(1) 외측에서도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신발(1)에 대한 직접적인 1차 살균은 물론, 간접적인 2차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서, 제습탈취부(130)에 의한 내측의 공기에 대한 제습 및 탈취에 의해 신발(1)의 청결도 향상 및 유지를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서, 클리닝툴(163)을 사용한 흙과 먼지의 흡입 제거를 통해서 내부 청결 및 위생성 향상과 함께 관리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다.
본체(110)의 외부 하단에 마련된 개방형수용부(113) 내에 슬리퍼 등 자주 착용하는 신발(1)을 정리하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출입구 공간의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맞춤형 소재를 통한 다양한 도어(170,180,190)의 연출 및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고, 내부와 외부 시스템 타입별 모듈화 도입을 통해 구매자가 바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위생 신발장에 따르면, 신발장 내에서의 신발에 대한 살균, 건조 및 탈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신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신발 사용에 의해서, 무좀 등과 같은 발 질환의 유발 및 전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발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고, 신발장 내부의 청결 유지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착용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될 뿐만 아니라, 출입구 측에 설치된 위치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신발장의 효용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다양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를 통한 스마트홈 기능의 부여에 의해 편리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고, 침입 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고독사 및 장시간 외출 등의 상태를 확인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신발 2 : 단말기
3 : 가전기기 110 : 본체
111 : 선반형수용부 112 : 공간형수용부
113 : 개방형수용부 114 : 커버
115 : 전원소켓 116 : 흡입소켓
117 : 지지편 121 : 제 1 자외선조사부
122 : 제 2 자외선조사부 130 : 제습탈취부
131 : 제 1 흡입구 132 : 제 2 흡입구
133 : 필터 134 : 제습탈취기
135 : 제 1 방출구 136 : 제 2 방출구
140 : 살균거치대 141 : 거치몸체
142 : 제 3 자외선조사부 143 : 제 3 흡입구
144 : 제 3 방출구 150 : 살균삽입모듈
151 : 살균몸체 152 : 전원케이블
153 : 전원플러그 154 : 제 4 자외선조사부
155 : 제 5 자외선조사부 160 : 클리닝부
161 : 흡입모듈 162 : 필터
163 : 클리닝툴 164 : 흡입라인
165 : 흡입플러그 170 : 제 1 폴딩도어
171 : 제 1 슬라이딩레일 172 : 제 1 분할도어
173 : 제 1 힌지결합부 174 : 제 2 힌지결합부
175 : 제 1 슬라이더 176 : 손잡이
177 : 제 1 접합부 178 : 제 2 접합부
180 : 힌지도어 181 : 제 3 힌지결합부
182 : 손잡이 183 : 제 3 접합부
190 : 제 2 폴딩도어 191 : 제 2 슬라이딩레일
192 : 제 2 분할도어 193 : 제 4 힌지결합부
194 : 제 5 힌지결합부 195 : 제 2 슬라이더
196 : 손잡이 197 : 제 4 접합부
198 : 제 5 접합부 210 : 입력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단말기통신모듈
240 : IoT통신모듈 250 : 마이컴
260 : 메모리부 270 : 날씨안내부
280 : 코디가이드부 290 : 카메라
310 : 동작감지센서 320 : 전원공급부
330 : 마이크로폰 340 : 음성인식부

Claims (7)

  1.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자외선조사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하여, 제습 및 탈취를 마친 공기를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는 방출구를 통해 방출시키는 제습탈취부;
    상기 본체의 정면에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단말기통신모듈;
    상기 본체에 가전기기와의 IoT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IoT통신모듈;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자외선조사부 또는 상기 제습탈취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IoT 통신모듈에 의한 IoT 통신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이 원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투과성 재질의 미러 후측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정보나 콘텐츠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날씨 정보 요청시,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검색을 통해서 오늘자 날씨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날씨안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신발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신발의 이미지에 대해서, 날씨조건에 따른 착용 여부를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통해서 수신받아 상기 신발의 이미지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날씨안내부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오늘자 날씨정보를 디스플레이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검색에 의해 상기 오늘자 날씨정보에 해당하는 날씨조건에서 착용 가능한 신발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도록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자외선조사부, 상기 제습탈취부 또는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음성인식부에 의해 추출되는 동작 명령에 상응하도록 상기 자외선조사부 또는 상기 제습탈취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IoT 통신모듈에 의한 IoT 통신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액자, 메모 또는 조명 명령에 상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정해진 또는 무작위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모를 남기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인테리어용 조명 역할을 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에 대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옷에 대한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 또는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옷에 대한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를 매칭시켜서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의해 옷에 대한 신발 코디 가이드를 요청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옷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표준 신발 코디의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코디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전방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제 1 설정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단말기에 회신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정해진 단말기로부터 제 2 설정시간 동안 회신용 메시지의 회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기관의 단말기에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제 3 설정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수신시, 상기 단말기통신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단말기에 침입 경보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 다수로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에 제 1 자외선조사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에 상기 제습탈취부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위해 제 1 흡입구와 제 1 방출구가 형성되는 선반형수용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살균거치대가 상하로 다수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제 2 자외선조사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습탈취부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위해 제 2 흡입구와 제 2 방출구가 형성되는 공간형수용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도어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항시 개방되는 개방형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선반형수용부의 전측에 폴딩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폴딩도어;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공간형수용부의 전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딩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상측과 하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1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 1 슬라이딩레일 사이에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다수개가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의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힌지결합부;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1 분할도어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힌지결합부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레일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슬라이더;
    상기 제 1 분할도어 각각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다수의 상기 제 1 분할도어가 전개시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슬라이딩레일 사이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다수의 상기 제 1 분할도어가 전개시 상기 제 1 접합부에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도어는,
    상기 본체에 일단이 제 3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닫힐 때,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각각에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3 접합부가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수용부의 전측에 폴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폴딩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폴딩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상측과 하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 2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 2 슬라이딩레일 사이에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다수개가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폴딩 또는 전개되도록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
    상기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의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 5 힌지결합부;
    상기 제 4 힌지결합부에 의해 다수로 연결되는 제 2 분할도어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4 힌지결합부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레일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슬라이더;
    상기 제 2 분할도어 각각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다수의 상기 제 2 분할도어가 전개시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4 접합부;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레일 사이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다수의 상기 제 2 분할도어가 전개시 상기 제 4 접합부에 서로 접합되어 차단되도록 하는 제 5 접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위생 신발장.
KR1020170115660A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위생 신발장 KR10193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660A KR101938421B1 (ko)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위생 신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660A KR101938421B1 (ko)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위생 신발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421B1 true KR101938421B1 (ko) 2019-01-14

Family

ID=6502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660A KR101938421B1 (ko)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위생 신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4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508A (zh) * 2019-04-26 2019-07-02 李秀娟 一种智能家居生活用鞋柜
KR102125170B1 (ko) * 2019-07-15 2020-06-22 김하영 물품 부착 미세 먼지 제거 및 항균 기능을 가진 다기능 iot 작동 방식의 공기 청정기
KR20210001089A (ko) * 2019-06-26 2021-01-06 김민규 스마트 신발장
WO2021261748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41312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피티씨랩 음성 감지에 의한 소독제 분사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CN114390905A (zh) * 2019-09-10 2022-04-22 三星电子株式会社 鞋干燥机及其控制方法
KR20220081202A (ko) 2020-12-08 2022-06-15 구희진 스마트 살균 신발장
KR102481701B1 (ko) 2021-09-09 2022-12-27 주식회사 티알에이디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가구 시스템
KR102488881B1 (ko) 2022-07-12 2023-01-13 김명희 주택 출입구 토탈 케어 장치
KR102563987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신발장 문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KR102563983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욕실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04B1 (ko) * 2015-11-30 2017-05-29 김재기 스마트 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04B1 (ko) * 2015-11-30 2017-05-29 김재기 스마트 가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508A (zh) * 2019-04-26 2019-07-02 李秀娟 一种智能家居生活用鞋柜
KR20210001089A (ko) * 2019-06-26 2021-01-06 김민규 스마트 신발장
KR102623634B1 (ko) 2019-06-26 2024-01-09 김민규 스마트 신발장
KR102125170B1 (ko) * 2019-07-15 2020-06-22 김하영 물품 부착 미세 먼지 제거 및 항균 기능을 가진 다기능 iot 작동 방식의 공기 청정기
EP3989792A4 (en) * 2019-09-10 2022-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390905A (zh) * 2019-09-10 2022-04-22 三星电子株式会社 鞋干燥机及其控制方法
US11408679B2 (en) 2019-09-10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261748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427865B1 (ko) 2020-09-25 2022-08-02 주식회사 피티씨랩 음성 감지에 의한 소독제 분사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20041312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피티씨랩 음성 감지에 의한 소독제 분사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20081202A (ko) 2020-12-08 2022-06-15 구희진 스마트 살균 신발장
KR102481701B1 (ko) 2021-09-09 2022-12-27 주식회사 티알에이디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가구 시스템
KR102488881B1 (ko) 2022-07-12 2023-01-13 김명희 주택 출입구 토탈 케어 장치
KR102563987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신발장 문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KR102563983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욕실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21B1 (ko) 스마트 위생 신발장
KR101938420B1 (ko) 살균, 건조 및 탈취 기능을 가지는 신발장
KR101132397B1 (ko) 신발 살균소독기
KR101765858B1 (ko) 신발 건조 소독기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200488200Y1 (ko) 소독박스
WO2013176514A1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수납장, 테이블 및 도마
KR20210158771A (ko)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36123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손 세척장치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20170108242A (ko) 살균건조장치
KR20080055288A (ko) 광촉매를 이용한 신발 살균 자판기
CN201167692Y (zh) 智能鞋柜
KR200388257Y1 (ko) 위생 관리 보관 장치
CN103610323A (zh) 多功能鞋柜
KR200436837Y1 (ko) 발 살균탈취기
KR101451758B1 (ko) 슈즈케어시스템이 구비된 케비넷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20110011197U (ko)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KR20090132471A (ko) 신발 세척,건조 및 살균·탈취기
KR200487385Y1 (ko) 살균 장치
KR100681425B1 (ko) 신발 건조방법 및 장치
CN209268947U (zh) 鞋柜
CN115768331A (zh) 鞋护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