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563B1 - 안테나장치 및 자동개찰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장치 및 자동개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563B1
KR100676563B1 KR20040044910A KR20040044910A KR100676563B1 KR 100676563 B1 KR100676563 B1 KR 100676563B1 KR 20040044910 A KR20040044910 A KR 20040044910A KR 20040044910 A KR20040044910 A KR 20040044910A KR 100676563 B1 KR100676563 B1 KR 10067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antenna unit
ticke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107A (ko
Inventor
나카지마히로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4011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3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the antenna being of the near field type, inductive coi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시각장애인이라도 용이하게 안테나부의 위치를 인식하여 무선매체를 갖다 대도록 하는 것으로, 안테나 유닛(41)과, 이 안테나 유닛(41) 내에 표면(42a)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되고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42)와, 안테나 유닛(41)의 표면부에 돌출설치되고, 터치됨으로써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식별시키는 돌출설치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장치 및 자동개찰장치{ANTENNA DEVICE AND AUTOMATIC GAT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자동개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자동개찰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자동개찰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상기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상기 안테나 장치에 설치된 식별용 돌기의 하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안테나 장치 7: 개찰 유닛(도어부)
41: 안테나 유닛 45: 스피커
47, 51, 55, 61: 돌출설치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접촉 IC카드(Non-contact IC card)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장치 및 자동개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예를 들면 철도에서는 집개찰(集改札)의 인력절감을 목적으로 역의 입구 또는 출구에 자동개찰장치를 설치하고, 이용객이 소지한 자기승차권(티켓이나 정기권)을 받아들여 체크(check)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역구내로의 입퇴장을 허가하고, 또는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일이 승차권을 받아들이는 일없이, 무선통신에 의해 승차권으로부터의 개찰정보를 수취하고, 이것에 의해 개찰의 통과의 허가 또는 저지를 결정하도록 한 것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7-78276호 공보).
그러나, 안테나부의 표면은 IC카드(IC card)를 접근, 또는 접촉시키기 쉽게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경우에는 안테나부의 표면을 손으로 접촉해도 안테나부의 위치를 인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IC카드를 정확하게 안테나부에 갖다 댈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용자가 시각장애인여도 용이하게 안테나부의 위치를 인식하여 무선매체를 갖다 댈 수 있는 안테나 장치 및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것은, 안테나 유닛 내의 표 면부를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되고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 유닛의 표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위치를 식별시키는 돌출설치부를 구비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것은, 안테나 유닛 내의 표면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 유닛의 표면 또는 안테나 유닛 근방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위치를 식별시키는 돌출설치부와,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된 개찰정보를 수신하는데 기초하여 개찰하는 개찰 유닛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자동개찰장치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자동개찰장치는 장치 본체(1)를 갖고 있다. 이 장치 본체(1)의 일단측의 상면부에는 자기승차권, 예를 들면 유효기간이나 이용구간 등의 개찰정보가 자기 엔코드(Magnetic encode) 기록된 정기권(이하, 자기정기권이라 한다)이 투입되는 투입구(2), 타단측의 상면부에는 투입구(2)로부터 받아들인 자기정기권을 배출하는 배출구(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투입구(2) 앞에는 무선승차권, 예를 들면 유효기간이나 이용구간 등의 개찰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무선매체로서의 정기권(이하, 무선정기권이라 한다)으로부터 개찰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3)의 앞에는 이용객의 통과여부 등을 표시하는 여객 안내부(6)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1)의 양단측의 내면부에는 이용객(정기권 소지자)의 통과를 허가하고, 또는 규제하기 위한 개찰수단으로서의 도어부(7)가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1)의 상면부에는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룬 프레임부(9)가 설치되고, 이 프레임부(9)에는 이용객의 통과를 검지하는 인간검지센서(1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자동개찰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장치 본체(1) 내에는 투입구(2)와 배출구(3)를 연락하는 반송로(12)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2)에는 개폐 셔터(Open/close shutter)(2a) 및 자기정기권(13)을 받아들인 것을 검지하는 검지기(15)가 설치되고, 배출구(3)에는 자기정기권(13)을 배출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기(16)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12) 중에는 투입구(2)로부터 배출구(3)를 향해 자기정기권(13)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정보로서의 개찰정보 등을 판독하는 자기정보 판독부(자기 헤드(Magnetic head))(24, 26) 및 자기정기권(13)에 대해 자기정보를 기록하는 자기정보 기록부(자기 헤드)(28, 30)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정보 판독부(24, 26) 및 자기정보 기록부(28, 30)에는 각각 지지부재(회전롤러)(32, 33, 34, 35)가 대향배치되어 있다.
또, 반송로(12) 중에는 반송되는 자기정기권(13)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기(36, 3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1)의 내부에는 콘트롤러(Controller)(39), 반송용 모터(Motor)(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투입구(2)로부터 자기정기권(13)이 투입되면, 일정 속도로 반송로(12)를 따라 배출구(3) 방향을 향해 반송된다. 이 반송되는 자기정기권(13)은 자기정보 판독부(24, 2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개찰정보가 판독되어 통과가부의 판정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자기정기권(13)의 사용이 정당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자기정보 기록부(28, 3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자기정기권(13)의 자기기록부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도어부(Door portion)(7)를 개방시키는 등의 개찰업무를 실행한다.
그리고, 선행하는 자기정기권(13)의 배출을 기다려, 자기정기권(13)을 배출구(3)로부터 배출하여 통과가 허가된 이용객에게 반각(返却)한 후, 도어부(7)를 닫아 다음 개찰에 대비한다.
한편, 안테나 장치(5)에 무선정기권을 갖다 대면, 그 개찰정보가 안테나 장치(5)에 의해 판독된다. 이 판독된 개찰정보에 의해, 예를 들면 무선정기권의 사용이 정당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안테나 장치(5)에 의해 무선정기권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시키거나, 도어부(7)를 개방시키는 등의 개찰업무를 실행한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5)의 위치로부터 무선정기권이 벗어나 소정 시간 경과후에 도어부(7)를 닫아 다음 개찰에 대비한다.
다음에 상기한 안테나 장치(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안테나 장치(5)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그 측면도이다.
안테나 장치(5)는 안테나 유닛 케이스(Antenna unit case)(41)를 갖고, 이 안테나 유닛 케이스(41)에는 경사면(41a)이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 케이스(41) 내에는 무선정기권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송수신용의 타원형상의 무선 안테나부(42)가 설치되고, 그 표면(42a)은 안테나 유닛 케이스(41)의 경사면(41a)에서 외부에 노출되고, 경사면(41a)에 대해 면일치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무선 안테나부(42)의 전방에는 무선정기권에서의 개찰정보의 판독 가부를 나타내는 표시부(44)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무선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Speaker)(45)가 내장되어 있다.
또, 이 안테나 유닛 케이스(41)의 경사면(41a)의 표면에는 무선 안테나부(42)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식별수단으로서의 복수개의 돌기를 타원형상으로 배치하여 돌출설치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설치부(47)를 구성하는 복수의 돌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설치부(47)의 각 돌기에는 터치센서(Touch sensor)(49)가 접속되고, 터치센서(49)에는 신호회로를 통해 스피커(음성안내 유닛)(45)가 접속되어 있다.
터치센서(49)는 돌출설치부(47)에 대한 통행자의 터치를 검지하는 것으로, 스피커(45)는 터치센서(49)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음성안내, 예를 들면 「돌출설치부(47)의 안쪽(안쪽 영역)에 무선정기권을 갖다 대 주십시오」 등의 음성안내가 실행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이용객의 손이 안테나 유닛 케이스(41)의 경사면(41a)의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출설치부(47)에 접촉함으로써,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 스피커(45)로부터 「돌출설치부(47) 의 안쪽에 무선정기권을 갖다 대 주십시오」 등의 음성안내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촉각에 의해, 또 음성안내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객이 시각장애인여도 용이, 확실하게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원활한 개찰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부(42)의 표면에 식별수단으로서의 복수개의 돌기(51)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1)에 이용객의 손이 닿음으로써,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에는 스피커(45)로부터 「이 돌기(51)의 위치에 무선정기권을 갖다 대 주십시오」라는 음성안내가 실행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유닛 케이스(41)의 경사면(41a)에 안테나부(42)의 근방통행방향(도 7중 화살표 X방향)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돌기(55)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5)에 이용객의 손이 닿음으로써,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에는 스피커(45)로부터 「돌기(55) 전 방에 무선정기권을 갖다 대 주십시오」라는 음성안내가 실행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유닛 케이스(41)의 경사면(41a)에 안테나부(42)의 외주부를 따라 연속하는 링형상(Ring shape)의 돌기(61)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61)에 이용객의 손이 닿음으로써, 안테나부(42)의 위치를 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에는 스피커(45)로부터 「돌기(61)의 안쪽에 무선정기권을 갖다 대 주십시오」라는 음성안내가 실행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은 상기 요지를 변경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 유닛의 표면부에 안테나부의 위치를 식별시키는 돌출설치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안테나부의 위치를 촉각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객이 시각장애인여도 용이, 확실하게 안테나부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자동개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원활한 개찰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안테나 유닛(Antenna unit)의 표면부를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Antenna portion)와,
    상기 안테나 유닛의 표면부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위치를 식별시키는 돌출설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돌출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표면 또는 상기 안테나부의 근방에 돌출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부는 복수개의 반구형상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부가 터치되는데 기초하여 상기 무선매체를 상기 돌출설치부의 안쪽에 갖다 대라는 내용의 음성안내를 하는 음성안내 유닛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안테나 유닛 내의 표면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 유닛의 표면 또는 안테나 유닛 근방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위치를 식별시키는 돌출설치부와,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무선매체로부터 무선송신되는 개찰정보를 수신하는데 기초하여 개찰하는 개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Automatic Gate Apparatus).
KR20040044910A 2003-06-20 2004-06-17 안테나장치 및 자동개찰장치 KR100676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6529A JP2005011198A (ja) 2003-06-20 2003-06-20 アンテナ装置及び自動改札装置
JPJP-P-2003-00176529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107A KR20040111107A (ko) 2004-12-31
KR100676563B1 true KR100676563B1 (ko) 2007-01-30

Family

ID=3409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4910A KR100676563B1 (ko) 2003-06-20 2004-06-17 안테나장치 및 자동개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11198A (ko)
KR (1) KR100676563B1 (ko)
CN (1) CN1573816A (ko)
TW (1) TWI2633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5532A (zh) * 2019-09-17 2020-01-10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闸机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闸机及闸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072A (ja) * 1998-11-06 2000-05-30 Nippon Signal Co Ltd:The 非接触式icカード処理装置
JP2002175551A (ja) * 2000-12-05 2002-06-21 Nippon Signal Co Ltd:The 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107A (ko) 2004-12-31
JP2005011198A (ja) 2005-01-13
TW200501506A (en) 2005-01-01
CN1573816A (zh) 2005-02-02
TWI263375B (en) 200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7883A (en) Automatic ticket-examining apparatus for more than one medium
KR100676563B1 (ko) 안테나장치 및 자동개찰장치
TW523720B (en) Contactless ticket examination apparatus
KR200355455Y1 (ko) 자동 개집찰 장치
JP4528408B2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4951977B2 (ja) 自動改札機
JP2012194719A (ja) ゲート装置
JP2007058762A (ja) 改札機及び改札方法
JP5322372B2 (ja) 自動改札装置
JP2010055495A (ja) 自動改札システムおよび自動改札方法
KR102423335B1 (ko) 관성센서를 이용한 지하철 게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JP5459687B2 (ja) 自動改札装置
JP4703160B2 (ja) 非接触式自動改札機
JP4551909B2 (ja) 改札機及び改札方法
JPH07272032A (ja) 自動改札装置
JP2007094687A (ja) 自動改札機
KR19980040934A (ko)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JPH08235393A (ja) カード式ゲート装置
JP5752543B2 (ja) 自動改札装置
JPH07272031A (ja) 自動改札装置
JP2004220525A (ja) 自動改札装置
JP3061974B2 (ja) ゲートシステム制御方法
JPH11203513A (ja) 複数枚券処理機能付き自動改札機
JP2010287053A (ja) 改札機及び改札方法
JP2009064172A (ja) 改札機及び改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